서지

해제 닫기

불설사천왕경(佛說四天王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기본교리(基本敎理)-인과(因果)
주제분류 신행(信行)-기본신행(基本信行)-재일(齋日)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小乘-小乘律
제목정보
대표서명 불설사천왕경(佛說四天王經)
경명 불설사천왕경(佛說四天王經) 1권
병음 FOSHUOSITIANWANGJING
약경명
별명
저자정보
역자 보운(寶雲)
역자 지엄(智嚴)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20-1205
고려_주석
신수_NR T.0590
신수_위치 15-0118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20
적사_PAGE 122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924
중화_VOL 036
중화_PAGE 0363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악의 과보가 엄중하다는 것을 일깨우는 내용이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유송(劉宋)시대에 지엄(智嚴)과 보운(寶雲)이 427년 이후에 양도(楊都)의 지원사(枳園寺)에서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알려진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악의 과보가 엄중하다는 것을 일깨운다. 부처님이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머물 때, 여러 제자들에게 매달 8일·14일·15일·23일·29일·30일의 6재일에는 4천왕이 여러 천신들을 거느리고 내려와 중생이 지은 선악을 살피고, 제석천왕에게 보고한다고 설한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수명이 연장되거나 재난과 질병을 피할 수 있게 되고, 죽은 뒤에는 하늘에 태어나는 과보를 받기도 한다. 특히 악한 행위를 지은 경우는 불행한 과보를 받지만, 일단 자신의 행위를 참회하고 바르게 사는 경우는 하늘에 태어나는 즐거운 과보가 있으므로 선악의 업인에 따른 결과의 막중한 차이를 알아 선업에 힘쓰도록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