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불설성보장신의궤경(佛說聖寶藏神儀軌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의궤(儀軌)-보장신(寶藏神)
분류체계 正藏-續藏經部-密敎部
제목정보
대표서명 불설성보장신의궤경(佛說聖寶藏神儀軌經)
경명 불설성보장신의궤경(佛說聖寶藏神儀軌經) 2권
병음 FOSHUOSHENGBAOZANGSHENYIGUIJING
약경명 보장신의궤경(寶藏神儀軌經)
별명
저자정보
역자 법천(法天, Dharmadeva)
형태정보
권사항 2
확장정보
고려_위치 33-1236
고려_주석 KBC는 번역시대를 北宋으로 표기.
신수_NR T.1284
신수_위치 21-0349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범] Jambhalajalendrayathālabdhakalpa
산스_NOTE
적사_VOL 32
적사_PAGE 821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264
중화_VOL 064
중화_PAGE 0197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보장신 진언의 염송법을 비롯해 다양한 의례 절차를 설명한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Jambhalajalendrayathālabdhakalpa이다. 줄여서 『보장신의궤경(寶藏神儀軌經)』이라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북송(北宋)시대에 법천(法天)이 986년에서 987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2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보장신 진언의 염송법을 비롯해 다양한 의례 절차를 설명한다. 이 경은 설주(說主)가 따로 없이 단지 보장신의 의궤 법칙을 설한다. 먼저 의궤를 배우는 사람의 마음가짐을 설한다. 진언의 지송자는 불·법·승 3보에 귀의하고 관정을 받으며, 일체 중생을 위해 자비심을 내야 한다. 그 다음 청정한 곳에 자리를 정해 정화한 다음, 근본 진언을 비롯해 심(心) 진언과 결정(結淨) 진언 등을 설한다. 이어 등(燈)을 켜서 올리는 법칙, 본존을 목욕시키는 법칙, 향을 바르거나 뿌리는 법칙, 꽃을 공양하는 법칙 따위를 설명한다. 이어서 만다라 작법을 설명한다. 가운데에 보장신을 안치하고, 그 주위에 여러 천신들을 그려 넣는다. 제단에 쓰는 기물들은 20벌씩 준비했다가 공양 때마다 새 것으로 바꾸어야 한다. 공양은 하루에 세 번 올리고, 아침에 사용한 기물을 낮과 밤에 다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의궤들은 대개 현실적인 복락을 위한 것으로 잡밀(雜密)의 성격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