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최상대승금강대교보왕경(最上大乘金剛大敎寶王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의궤(儀軌)-성취법(成就法) 8종(八種)
주제분류 신행(信行)-의궤(儀軌)-작단법(作壇法)
분류체계 正藏-續藏經部-密敎部
제목정보
대표서명 최상대승금강대교보왕경(最上大乘金剛大敎寶王經)
경명 최상대승금강대교보왕경(最上大乘金剛大敎寶王經) 2권
병음 ZUISHANGDACHENGJINGANGDAJIAOBAOWANGJING
약경명
별명
저자정보
역자 법천(法天, Dharmadeva)
형태정보
권사항 2
확장정보
고려_위치 34-0277
고려_주석 KBC는 번역시대를 北宋으로 표기.
신수_NR T.1128
신수_위치 20-0542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범] Vajragarbharatnarājatantra
산스_NOTE
적사_VOL 33
적사_PAGE 065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313
중화_VOL 064
중화_PAGE 0561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금강수 보살을 통해 금강(金剛) 대승법(大乘法), 무생 법인(無生法忍), 여덟 가지 성취법(成就法), 관정(灌頂) 만다라법 등을 설한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Vajragarbharatnarājatantr이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북송(北宋)시대에 법천(法天)이 994년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2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금강수 보살을 통해 금강(金剛) 대승법(大乘法), 무생 법인(無生法忍), 여덟 가지 성취법(成就法), 관정(灌頂) 만다라법 등을 설한다. 상·하 두 권으로 품의 구분이 없으며 9천 자가량의 잡밀경(雜密經)이다. 부처님이 광엄성(廣嚴城)의 암라수원(菴羅樹園)에 있을 때, 어느 날 부처님의 입에서 빛이 나와 세상을 두루 비추더니 다시 부처님의 정수리로 되돌아간다. 아난이 부처님께 이러한 광경이 일어나는 사연을 묻자 무생 법인의 불도를 닦게 된 연유라고 대답한다. 이때 인날라부제(印捺囉部帝)라는 천자가 무생 법인을 얻을 수 있는 방도를 묻는다. 이 물음에 대해 부처님은 성문(聲聞), 연각(緣覺), 방광(方廣) 대승(大乘), 최상 금강 대승의 길을 설명한다. 처음의 두 길은 자신의 해탈만을 추구하는 소승의 길이며, 나머지 두 가지 길은 자신뿐 아니라 남들까지 구제하는 대승의 길이다. 이 가운데 불경을 통해 불도를 닦는 것은 방광 대승의 길이며, 밀교의 교법을 통해서 불도를 닦는 것이 최상 금강 대승의 길이라고 한다. 이어서 전생에 일청정광(日淸淨光) 여래가 남인도의 국왕 정진수(精進授)를 위해 금강수 보살을 시켜 금강승을 설명하도록 한 이야기를 하면서 그 정진수 국왕이 지금의 인날라부제라는 것을 말한다. 이런 인연으로 다시 부처님은 금강수 보살에게 인날라부제를 위해 금강 대승법을 설하도록 명한다. 그는 그 법을 듣고 무생 법인을 증득한다. 그리고 금강수 보살은 중생을 위해 여덟 가지의 성취법을 설한다. 부처님이 구시나성(拘尸那城)에서 임종한 다음 금강수 보살은 사문과 브라만을 위해 금강 아사리, 즉 밀교의 스승을 섬기는 여덟 가지의 규칙을 설한다. 예를 들면, 제자는 스승의 이름을 부르지 못하며, 늘 스승의 발을 씻고 신을 집어 주어야 하며, 방을 청소하고 그의 분부를 받들어야 한다. 또한 그 스승은 제자의 행실과 귀천을 관찰하고 불도와 속세의 이치를 설명해 주어야 한다. 금강수 보살은 계속해서 제자가 수행해야 할 네 가지 보살행을 설하고 다시 비밀 대승의 의미를 설한다. 이어서 관정 만다라를 비롯한 스무 가지의 제단을 건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