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불설신불공덕경(佛說信佛功德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신행유도(信行誘導)
분류체계 正藏-續藏經部-密敎部
제목정보
대표서명 불설신불공덕경(佛說信佛功德經)
경명 불설신불공덕경(佛說信佛功德經)
병음 FOSHUOXINFOGONGDEJING
약경명
별명
저자정보
역자 법현(法賢, Dharmabhadra)
형태정보
권사항
확장정보
고려_위치 34-0536
고려_주석 KBC는 번역시대를 北宋으로 표기.
신수_NR T.0018
신수_위치 01-0255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33
적사_PAGE 240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374
중화_VOL 064
중화_PAGE 0889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북송(北宋) 때 법현(法賢)이 한역하였으며, 부처님의 정법을 믿고 귀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내용의 경전이다.
2. 성립과 한역
북송(北宋) 때 법현(法賢)이 998년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는 『장아함경』의 제18 『자환희경』(불타야사ㆍ축불념 역)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부처님이 아나가성(阿拏迦城) 암라(菴羅) 동산에 머무를 때, 사리불과 나누었던 대화로 이루어진 경전이다. 사리불은 부처님의 뛰어난 신통과 높은 깨달음을 찬탄하면서, 이를 조목조목 나열하여 그 공덕을 예찬한다. 결론적으로 이렇게 뛰어난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이에 귀의해야 한다는 것이 이 경전의 요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