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보현보살행원찬(普賢菩薩行願讚)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기본신행(基本信行)-서원(誓願)
분류체계 正藏-再雕藏經部-續開元釋敎錄部-不空譯本
제목정보
대표서명 보현보살행원찬(普賢菩薩行願讚)
경명 보현보살행원찬(普賢菩薩行願讚)
병음 PUXIANPUSAXINGYUANZAN
약경명 보현행원찬(普賢行願讚)
별명 약화엄경(略華嚴經)
저자정보
역자 불공(不空, Amoghavajra)
형태정보
권사항
확장정보
고려_위치 36-0805
고려_주석
신수_NR T.0297
신수_위치 10-0880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Ḥphags pa bzaṅ po spyod paḥi smon lam gyi rgyal po
티벳_북경_NR ①P.5924 ②P.0716 ③P.1038
티벳_북경_위치 ①150-235, Bo288b6 ②11-285, Ya268a2 ③45-236, Phe296b1
티벳_DU_NR ①DU.1095(250) ②DU.4377 ③DU.0044(part4)
티벳_DU_위치 ①Wam262b5 ②No300b1 ③A1b1
티벳_DT_NR ①DT.1098 ②DT.4382 ③DT.0044(part4)
티벳_DT_위치 ①20-462, Wam524,5 ②52-259, Nyo600,1 ③8-340, A2
티벳_NOTE
산스_NAME [범] Bhadracaryāpraṇidhānarāja
산스_NOTE
적사_VOL 34
적사_PAGE 403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405
중화_VOL 065
중화_PAGE 0422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당(唐)나라 때 불공(不空, Amoghavajra)이 한역하였으며, 약칭으로는 『보현행원찬』이라 하고, 다른 이름으로는 『양화엄경』이라고도 한다. 보현보살의 열 가지 행원을 시로 노래하고 있다.
2. 성립과 한역
『보현보살행원찬』은 40권 본 『화엄경』 「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의 중송 부분에 해당하며, 60권 본이나 80권 본 『화엄경』에는 해당 부분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로 유통되던 해당 내용이 40권 본에 편입된 이후 다시 범본(梵本)에서 별도로 번역되어 『보현보살행원찬』으로 유통된 것으로 보인다. 총 62송의 『보현보살행원찬』은 40권 본 『화엄경』의 범본 해당 부분과 완전히 일치한다. 당(唐)나라 때 금강지(金剛智, Vajrabodhi)와 함께 720년 낙양(洛陽)에 들어와 774년 입적한 불공(不空, Amoghavajra)이 746년에서 774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는 『대방광불화엄경』 「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의 ‘중송’(반야 역), 『문수사리발원경』(불타발타라 역)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보현보살의 열 가지 행원을 찬탄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열 가지 행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부처님께 예경하고자 하는 행원, 둘째, 여래를 찬탄하고자 하는 행원, 셋째, 널리 공양을 올리고자 하는 행원, 넷째, 업장을 참회하고자 하는 행원, 다섯째, 공덕을 마음으로부터 기뻐하고자 하는 행원, 여섯째, 부처님의 가르침을 청하고자 하는 행원, 일곱째, 부처님께서 세상에 머물러 주시기를 청하고자 하는 행원, 여덟째, 항상 부처님을 따르며 가르침을 받고자 하는 행원, 아홉째, 항상 중생에게 가르침을 주고자 하는 행원, 열째, 모든 공덕을 회향하고자 하는 행원이다. 열 가지 행원에 이어서 팔대보살찬(八大菩薩讚)을 덧붙이는데, 이것은 본래 『팔대보살만다라경』(八大菩薩曼茶羅經)에 들어 있는 내용을 가져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