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금강정연화부심염송의궤(金剛頂蓮華部心念誦儀軌)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의궤(儀軌)-의궤기본(儀軌基本)
분류체계 正藏-再雕藏經部-續開元釋敎錄部-不空譯本
제목정보
대표서명 금강정연화부심염송의궤(金剛頂蓮華部心念誦儀軌)
경명 금강정연화부심염송의궤(金剛頂蓮華部心念誦儀軌) 1권
병음 JINGANGDINGLIANHUABUXINNIANSONGYIGUI
약경명 연화부심염송의궤(蓮華部心念誦儀軌), 연화부심의궤(蓮華部心儀軌), 연화부의궤(蓮華部儀軌)
별명
저자정보
역자 불공(不空, Amoghavajra)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36-0979
고려_주석
신수_NR T.0873
신수_위치 18-0299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34
적사_PAGE 517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436
중화_VOL 065
중화_PAGE 0680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밀교의 만다라를 구성하는 5부의 하나인 연화부에서 강조하는 진언의 염송 방법과 그 절차에 관해 설명한다. 줄여서 『연화부심염송의궤(蓮華部心念誦儀軌)』·『연화부심의궤(蓮華部心儀軌)』·『연화부의궤(蓮華部儀軌)』라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당(唐)나라 때 불공(不空, Amoghavajra)이 746년에서 774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 금강지(金剛智)가 한역한『금강정경유가수습비로자나삼마지법(金剛頂經瑜伽修習毘盧遮那三摩地法)』이 있다. 고려대장경 이외의 것으로 『범자연화부심염송의궤』, 2권본 『금강정경(金剛頂經)』, 『금강정연화부심염송의궤사기』 등이 있으며, 이상의 경에 등장하는 의궤는 모두 금강계 염송법의 전형을 보여 준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밀교의 만다라를 구성하는 5부의 하나인 연화부에서 강조하는 진언의 염송 방법과 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그 주된 내용은 5상(相) 성신관(成身觀)과 제존의 염송법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은 내용에 따라 성신(成身), 갈마(羯磨), 삼매야(三昧耶), 공양(供養) 등의 4회(會)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성신회는 3보에 대한 귀의, 장소의 정화, 몸과 입과 마음에 대한 정화 등과 4불(아촉불·보생불·무량수불·불공존)에 대한 귀의, 5상 성신관, 5불 관정, 도량관, 108명찬 등을 차례로 설한다. 갈마회는 5여래불, 20천, 8공양, 4섭, 16존 등을 설명한다. 삼매야회는 5불, 4바라밀, 16존, 8공양, 4섭을 반복한다. 마지막 공양회의 내용은 여러 가지 공양 진언과 정염송(定念誦), 의궤를 마무리하는 후공양(後供養)으로 요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