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보현금강살타약유가염송의궤(普賢金剛薩埵略瑜伽念誦儀軌)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의궤(儀軌)-보현보살(普賢菩薩)
분류체계 正藏-再雕藏經部-續開元釋敎錄部-不空譯本
제목정보
대표서명 보현금강살타약유가염송의궤(普賢金剛薩埵略瑜伽念誦儀軌)
경명 보현금강살타약유가염송의궤(普賢金剛薩埵略瑜伽念誦儀軌)
병음 PUXIANJINGANGSADUOLUEYUJIANIANSONGYIGUI
약경명 보현살타의궤(普賢薩埵儀軌), 유가염송의궤(瑜伽念誦儀軌)
별명 보현금강살타염송법(普賢金剛薩埵念誦法), 보현금강살타유가염송법(普賢金剛薩埵瑜伽念誦法)
저자정보
역자 불공(不空, Amoghavajra)
형태정보
권사항
확장정보
고려_위치 36-1030
고려_주석
신수_NR T.1124
신수_위치 20-0531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34
적사_PAGE 541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443
중화_VOL 065
중화_PAGE 0751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보현금강살타의 몸을 이루기 위한 수행 절차를 설한다. 줄여서 『보현살타의궤(普賢薩埵儀軌)』·『유가염송의궤(瑜伽念誦儀軌)』라 하고, 별칭으로 『보현금강살타염송법(普賢金剛薩埵念誦法)』·『보현금강살타유가염송법(普賢金剛薩埵瑜伽念誦法)』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당(唐)나라 때 금강지(金剛智, Vajrabodhi)와 함께 720년에 낙양(洛陽)에 와서 774년에 입적한 불공(不空, Amoghavajra)이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보현 금강살타의 몸을 이루기 위한 수행 절차를 설한다. 먼저 금강 삼매야인(三昧耶印)을 취하고 성취 진언을 염송한다. 그다음 금강권(金剛拳) 금강박(金剛縛)의 수인과 진언, 통달심, 보리심, 5고(股) 금강저, 신여(身如) 금강저, 신여(身如) 보현 보살의 진언 등을 차례로 행한다. 이어 만다라 가운데 만월(滿月)이 있는 것을 염상하면서 그 달 속에 있는 보현 보살과 욕금강(欲金剛), 계리계라존(計里計羅尊), 애금강(愛金剛), 만금강(慢金剛)을 생각한다. 이러한 염상을 통해 도량관을 행하고 다시 춘금강(春金剛), 운금강(雲金剛), 추금강(秋金剛), 금강 상설(霜雪) 보살의 수인과 진언을 취한 다음 여러 가지 공양을 한다. 그리고 17존에 대한 삼매야인(三昧耶印)을 취한다. 보현 삼매야인을 제외하고 모두 갈마인(羯磨印)과 갈마 진언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보현 보살을 찬탄하는 게송을 읊고 보현 보살 대인(大印)을 취하고 대락 불공 삼매야 진실어(眞實語)를 외운다. 이와 같이 보현 금강살타의 수행법을 익히고자 하는 자는 하루에 네 번 계속 대인(大印)과 근본 진언을 염송해야 하며, 이런 수행을 통해 15일 밤 만월에 보현 보살이 나타나며 결국 보현 보살처럼 된다고 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