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불모반야바라밀다원집요의론(佛母般若波羅蜜多圓集要義論)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기본(大乘基本)-반야(般若) 공(空)
분류체계 正藏-再雕藏經部-再雕入藏部-施護譯本
제목정보
대표서명 불모반야바라밀다원집요의론(佛母般若波羅蜜多圓集要義論)
경명 불모반야바라밀다원집요의론(佛母般若波羅蜜多圓集要義論)
병음 FOMUBANRUOBOLUOMIDUOYUANJIYAOYILUN
약경명 불모반야원집요의론(佛母般若圓集要義論), 원집요의론(圓集要義論)
별명
저자정보
저자 대역룡(大域龍, Dignāga)
역자 시호(施護, Dānapāla)
형태정보
권사항
확장정보
고려_위치 40-0573
고려_주석 KBC는 번역시대를 北宋으로 표기.
신수_NR T.1518
신수_위치 25-0912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Ḥphags pa śes rab kyi pha rol tu phyin ma bsdus paḥi tshig leḥur byas pa
티벳_북경_NR 5207
티벳_북경_위치 94-1, Pha333a6
티벳_DU_NR 3809
티벳_DU_위치 Pha292b4
티벳_DT_NR 3814
티벳_DT_위치 34-156, Pha584,4
티벳_NOTE
산스_NAME [범] Prajñāpāramitāsaṁgraha Kārikā
산스_NOTE
적사_VOL 34
적사_PAGE 068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583
중화_VOL 067
중화_PAGE 0862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논서는 불모(佛母)라고 말해지는 8천송 반야를 해석한 것이다. 줄여서 『불모반야원집요의론』ㆍ『원집요의론』이라 한다.
2. 성립과 한역
북송(北宋)시대에 시호(施護, Dānapāla)가 1011년에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알려진 이역본은 존재하지 않는다.
4. 구성과 내용
불모(佛母)라고 말해지는 팔천송반야(八千頌般若)를 해석한 것이다. 모두 56송으로 구성되어 있다. 16공(空), 열 가지 분별(分別) 산란(散亂)의 지견(止遣), 변계‧의타‧원성의 3성 등을 통해 반야 공성의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 명본(明本)은 이 불전의 저자를 용수라고 적고 있는데 이는 착오로 보인다. 이 불전의 게송은 자구의 제한 때문에 난해한 것이 되어 그 의미를 이해하기 힘들다. 이런 부류의 게송은 처음부터 주석서의 제작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주석서와 함께 읽어야 그 의미를 이해하기가 수월해진다. 이 불전에 대한 주석으로 삼보존(三寶尊)이 저술한 불모반야바라밀다원집요의석론(佛母般若波羅蜜多圓集要義釋論) 4권이 있다. 여기에는 본송(本頌)이 그대로 들어있어서, 본송은 누군가가 편의상 석론에서 뽑아 내어 따로 유통시킨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저자인 대역룡의 산스크리트 이름은 마하딘나가(Mahādinnāga)이며, 이 산스크리트 이름으로부터 볼 때, 진나(陳那)와 같은 사람일 수도 있다. 대역룡은 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의 저자인데, 그것을 주석하는 입정리론소(入正理論疏)에서는 진나가 인명정리문론을 지었다고 말하고 있으므로 그 두 사람이 같은 사람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현장과 의정의 역례(譯例)를 보면 대역룡과 진나를 구분하고 있으므로 동일인이라고 하기 힘든 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