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불설복력태자인연경(佛說福力太子因緣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기본신행(基本信行)-신행기본(信行基本)
분류체계 正藏-再雕藏經部-再雕入藏部-施護譯本
제목정보
대표서명 불설복력태자인연경(佛說福力太子因緣經)
경명 불설복력태자인연경(佛說福力太子因緣經) 4권
병음 FOSHUOFULITAIZIYINYUANJING
약경명
별명
저자정보
역자 시호(施護, Dānapāla)
형태정보
권사항 4
확장정보
고려_위치 40-0797
고려_주석 KBC는 번역시대를 北宋으로 표기.
신수_NR T.0173
신수_위치 03-0428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Bsod nams stobs kyi rtogs pa brjod pa
티벳_북경_NR 1016
티벳_북경_위치 40-255, Ke1
티벳_DU_NR 0347
티벳_DU_위치 A?1b1
티벳_DT_NR 0347
티벳_DT_위치 15-437, Ah2
티벳_NOTE DU. DT. Bsod nams kyi stobs kyi rtogs pa brjod pa.
산스_NAME [범] Puṇyabalāvadāna
산스_NOTE
적사_VOL 34
적사_PAGE 058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592
중화_VOL 068
중화_PAGE 0170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여러 가지 행업 중에서도 복덕의 원인이 되는 행업을 닦는 것이 최상이라 설하고 있다.
2. 성립과 한역
북송(北宋)시대에 시호(施護, Dānapāla)가 983년에 태평흥국사(太平興國寺)에서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없음.
4. 구성과 내용
총 4권으로 되어 있다.
세존이 안다(安陀) 숲에 머물 때였다. 아난을 비롯한 여러 비구들이 한곳에 모여서 어떤 행업이 가장 뛰어난 이득이 있는지 논의하고 있었다. 아난은 색상(色相) 행업을, 문이백억(聞二百億)은 정진 행업을, 아니루타(阿泥樓駄)는 공교(工巧) 행업을, 사리불은 지혜 행업을 각각 주장하였다. 그들이 부처님에게 가서 어떤 행업이 중요한지를 묻자, 부처님은 복력 태자의 인연 이야기를 해준다.
일찍이 과거세에 안력(眼力)이라는 왕이 있었다. 안력왕과 광조(廣照) 왕후는 네 아들을 두었다. 그 네 아들은 각각 색력(色力)ㆍ정진ㆍ공교(工巧)ㆍ지혜 등을 구족하고 있었다. 다섯 번째 아들이 태어날 무렵 온갖 상서로운 일들이 일어나자 복이 많다고 하여 복력(福力) 태자라 하였다. 어느 날 다섯 태자들이 함께 모여서 어떤 성품을 가지는 것이 가장 뛰어난 것인지 논의하였는데, 결국 복력 태자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판명되고 마침내 그가 왕위에 올랐다고 한다.
만약 뛰어난 모든 성품을 갖추었을지라도 복력이 없다면 결국 윤회에서 벗어나지 못하지만, 복력이 있다면 원하는 것은 모두 이루어지며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이어서 부처님은 좋은 복력을 쌓기 위해서는 삼보에 귀의하고 선한 일을 하며 계율을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