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시설론(施設論)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기본교리(基本敎理)-인연(因緣) 각종(各種)
분류체계 正藏-再雕藏經部-再雕入藏部-惟淨∙法護等譯本
제목정보
대표서명 시설론(施設論)
경명 시설론(施設論) 7권
병음 SHISHELUN
약경명
별명
저자정보
형태정보
권사항 7
확장정보
고려_위치 41-0217
고려_주석 KBC는 번역시대를 北宋으로 표기.
신수_NR T.1538
신수_위치 26-0514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Rgyu gdags pa
티벳_북경_NR 5588
티벳_북경_위치 115-47, Khu112a1
티벳_DU_NR 4087
티벳_DU_위치 I93a7
티벳_DT_NR 4092
티벳_DT_위치 41-93, I185,7
티벳_NOTE
산스_NAME [범] Prajñapti Śāstra
산스_NOTE
적사_VOL
적사_PAGE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626
중화_VOL 069
중화_PAGE 0072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논서는 근본설일체유부의 6족론 중 하나인 『아비달마시설족론(阿毘達磨施說足論)』의 내용 중에서 인 시설, 즉 인연의 이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산스크리트 경명은 Prajñaptipāda Śāstra이고, 티벳어 경명은 Rgyu gdags pa이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북송(北宋)시대에 법호(法護, Dharmarakṣa) 등이 1018년에서 1058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7권으로 구성된 이 논서는 근본설일체유부의 6족론의 가운데 하나인 아비달마시설족론(阿毘達磨施設足論, Abhidharma-prajñapti-pāda śāstra)의 내용 중에서 인(因) 시설, 즉 인연의 이치에 대한 부분을 담고 있다. 유부의 6족론 중에서도 시설족론은 특히 중요한 논서로 꼽히는데, 본 시설론이 시설족론의 일부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저자의 문제 또한 일치하지 않는다. 예로부터 한문본에서는 대가다연나(大迦多衍那, Mahākātyāyana)의 저술로서 알려져 있는 반면에 산스크리트 어 본과 티베트 어 본에서는 성(聖) 목건련(目犍連, Ārya Maudgalyāyana)이 저술한 것이라 한다. 현재로서는 성 목건련의 저술로 보고 있으며, 시설론 또한 시설족론의 일부라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본래 시설족론(施設足論)의 내용은 제1 세간(世間) 시설(Loka-prajñapti), 제2 인(因) 시설(Kāraṇa-prajñapti), 제3 업(業) 시설(Karma-prajñapti), 세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하지만 시설론의 내용은 그 중 인 시설 부문의 부분적인 역본에 그친다. 전체 7권 중에서 앞 부분 3권은 북송(北宋)의 법호(法護)가 번역한 것이며 그 나머지는 유정(惟淨)이 번역하였다. 내용 가운데는 전륜성왕이 말, 보배 구슬, 코끼리, 여인, 주장(主藏: 신하) 등의 일곱 가지 보물을 가지게 된 인연을 비롯하여, 보살이 태어날 때 상서로운 일들이 생기는 인연, 부처님의 제자들이 부처님보다 먼저 입적하는 인연, 부처님과 전륜성왕이 32상을 갖추게 되는 인연, 탐‧진‧치, 3독심이 생기는 인연, 선악의 인연과 생사의 인연 및 신통력의 인연 등과 바다의 생성 및 밀물과 썰물, 비와 구름의 인연에 이르기까지 갖가지 다양한 인연들을 거론하여 해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