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수소연의초(隨疏演義鈔)

제목정보
장소명 수소연의초(隨疏演義鈔)
이명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저자정보
찬자 이름징관(澄觀)
이명화엄징관(華嚴澄觀), 석징관(釋澄觀), 청량(清涼), 대휴(大休), 화엄소주(華嚴疏主), 청량국사(清涼國師), 화엄보살(華嚴菩薩), 진국대사(鎮國大師), 대통국사(大統國師), 대조국사(大照國師), 화엄관(華嚴觀)
생몰년738.01.29-739.02.16 ~ 839.04.27
국적당(唐)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隨疏演義鈔四十卷(或開為六十卷徑山寫本八十卷) 澄觀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安元寫本>: "隨䟽演義鈔四十卷(或開爲六十卷徑山寫本八十卷)澄觀述" [爲:<正保寫本>에 「九」,<元祿刊本>,<大正藏本>,<韓佛全本>에 「爲」, 案 「爲」].【cf. 朴鎔辰. "『新編諸宗敎藏總錄』의 對校와 校勘 硏究." 『서지학연구』, 67 (2016.09), 177-207.】
형태정보
권수 四十卷(六十卷/八十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제01-20: 목판본, 興王寺, 1094. 1094년(大安 10) 興王寺 [간본년 추정], 동대사도서관(東大寺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상)-17(하): 필사본, 泉州久未多寺, 1344. 1095년(壽昌 1) 興王寺간행, 1295-96년(永仁 3-4)筆寫, 1343-44년(康永 2-3)校合 外, 저본필사기: 壽昌元年乙亥(1095)歲歲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권제18(상)-20(상): 필사본, 泉州久未多寺, 1344. 1096년(壽昌 1) 興王寺간행, 1295-96년(永仁3- 4)筆寫, 1343-44년(康永2- 3)校合 外, 저본필사기: 壽昌元年(1096)丙子歲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권제7(상),16(상)-17(하),18(하): 필사본, 泉州久未多寺, 1268. 1096년(壽昌 1) 興王寺간행, 1267-68년(文永4- 5) 필사본 外, 저본필사기: 壽昌元年(1096)丙子歲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권제04(상) 잔편(낱장 2면), 해인사사간장인본 합철: 목판본, [不明], [不明]. 해인사수장고려각판(S.008, 총2판 중 1판2면)의 후쇄인본, 고려대장경연구소(高麗大藏經硏究所)
서지정보 권제04(상) 잔편(낱장 2면), 해인사사간장인본 합철: 목판본, [不明], [不明]. 해인사수장고려각판(S.008, 총2판 중 1판2면)의 후쇄인본, 동국대도서관(東國大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2: 목판본, 伽倻山下鋸寺, 1241. [1241년(高宗 28) 下鋸寺 조조각판의 후쇄인본년(1990년대)], 고려대장경연구소(高麗大藏經硏究所)
서지정보 권제5(하): 필사본, [不明], 1573. 南北朝~室町시기(1336~1573) 사본,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권제5(하): 필사본, [不明], 1573. 南北朝~室町시기(1336~1573) 사본,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권제1,5(上半5(上):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응현목탑문물관리소(應縣木塔文物保管所)
서지정보 : 목판, [不明], [不明]. 고려각판(S.008, 총2판 중 1판), 해인사(海印寺_慶南陜川)
서지정보 권제1-41: 목판본, [不明], 1332. [1094년(大安 10) 興王寺간행(추정)], 1332년(正慶 1) 일본重刊本, 동대사도서관(東大寺圖書館)
서지정보 권제5(하): 필사본, [不明], 1104. 1094년(大安 10) 興王寺간행, 1104년(長治 1) 일본 사본, 동대사도서관(東大寺圖書館)
서지정보 권제8(상): 필사본, [不明], 1103. 1095년(壽昌 1) 興王寺간행, 1103년(康和 5) 일본 사본, 동대사도서관(東大寺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4: 필사본, [不明], [1333]. 鎌創시기(1185~1333) 사본,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권제01,02(상),03: 필사본, [不明], [1333]. 鎌創시기(1185~1333) 사본,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권제01-03, 04(하), 06(상), 07(하)-09, 10(하)-12(상), 13-15(상), 16-20: 필사본, 浄光明寺 慈光院, 1344. 南北朝시기[1343년(康永 2)-1344년(康永 3)外] 사본,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권제01, 02, 03(상1-2,하), 04(상): 목판본, 理覺, 1332. 1332년(正慶 1) , 理覺版,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不明]. 朝鮮版 간본, 대곡대학도서관(大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28-30,34, 35(上), 37, 41-43, 53-60, 66-74, 78-80: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좌하현립도서관(佐賀縣立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趙城金藏(A No.1519) 『華嚴經隨疏演義鈔』 60卷, _函次 : 池-洞
한문대장경 ◎ 至元錄( No.1585)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60卷, 清涼國師澄觀造 , _函次 : 邈(644)-治(649)
한문대장경 ◎ 洪武南藏(U231-235 No.1421) 『華嚴經隨疏演義鈔』 60卷, 清涼山大華嚴寺沙門澄觀 述 _函次 : 稼 1 (655)-藝 4 (662)
한문대장경 ◎ 永樂南藏( No.1574) 『華嚴隨疏演義鈔』 _部別 : 此方撰述 _函次 : 精(600)-丹(607)
한문대장경 ◎ 永樂北藏(P171-174 No.1674)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90卷, 唐澄觀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沙-禹
한문대장경 ◎ 嘉興藏(J No.1582) 『大方廣佛華嚴經演義鈔』 唐澄觀述 _部別 : 此土著述 _法寶總目錄經號:1581 _函次:[正藏] 沙(603)-禹(611)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正藏](5冊 No.99)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90卷, 唐 澄觀述
한문대장경 ◎ 乾隆藏(L130-133 No.1557) 『大方廣佛華嚴經疏鈔會本』 220卷, 唐 實叉難陀譯 澄觀撰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困-牧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681)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90卷, 唐澄觀述 _部別 : 支那撰述-經疏部 _函次 : 歲 5 (28)-歲 10 (28)
한문대장경 ◎ 趙城金藏(A No.1519) 『華嚴經隨疏演義鈔』 60卷 _函次 : 池-洞
한문대장경 ◎ 至元錄( No.1585)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60卷, 清涼國師澄觀造 _函次 : 邈(644)-治(649)
한문대장경 ◎ 洪武南藏(U231-235 No.1421) 『華嚴經隨疏演義鈔』 60卷, 清涼山大華嚴寺沙門澄觀 述 _函次 : 稼 1 (655)-藝 4 (662)
한문대장경 ◎ 永樂南藏( No.1574) 『華嚴隨疏演義鈔』 _部別 : 此方撰述 _函次 : 精(600)-丹(607)
한문대장경 ◎ 永樂北藏(P No.1674)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90卷, 唐澄觀述 _部別 : 此土著述 _171-174冊203 _函次 : 沙-禹
한문대장경 ◎ 嘉興藏(J No.1582) 『大方廣佛華嚴經演義鈔』 唐澄觀述 _部別 : 此土著述 _法寶總目錄經號:1581 _函次:[正藏] 沙(603)-禹(611)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正藏](5冊 No.99)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90卷, 唐 澄觀述
한문대장경 ◎ 乾隆藏(L130-133 No.1557) 『大方廣佛華嚴經疏鈔會本』 220卷, 唐 實叉難陀譯 澄觀撰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困-牧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681)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90卷, 唐澄觀述 _部別 : 支那撰述-經疏部 _函次 : 歲 5 (28)-歲 10 (28)
한문대장경 ◎ 卍正藏(M65-66 No.1597)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90卷, 唐 澄觀述 _部別 : 此土著述 _原版第 34
한문대장경 ◎ 大正藏(T36 No.1736)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90卷, 唐 澄觀述 _部別 : 經疏部四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佛教大藏經(G59-60 No.1843)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90卷, 唐 澄觀述 _部別 : 經疏部一
한문대장경 ◎ 中華藏(C86-87 No.1766)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90卷, 唐清涼山大華嚴寺沙門澄觀述 _【底本】明永樂北藏本
한문대장경 ◎ 中華藏(C87 No.1767) 『華嚴經隨疏演義鈔(別本)』 60卷, 清涼山大華嚴寺沙門澄觀述 _【底本】明永樂南藏本
한문대장경 ◎ 中華藏(C88-89 No.1768) 『大方廣佛華嚴經疏鈔會本』 80卷, 唐于闐國三藏沙門實叉難陀譯,唐清涼山大華嚴寺沙門澄觀撰述 _【底本】凊藏本
한문대장경 ◎ 新纂卍續藏(X6-7 No.233) 『華嚴經疏演義鈔』 80卷, 唐 澄觀撰述 _部別 : 中國撰述 大小乘釋經部四 華嚴部疏 - 『卍大日本續藏經』 第一編 第 11 - 『卍續藏經』 (新文豐版) (11冊 No.1597)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90卷, 唐 澄觀述 _部別 : 此土著述 _原版第 34 - 『卍續藏經』 (新文豐版) 第 11冊
학술정보
단행본 청량징관 저; 석반산 역주, 『화엄경청량소』1-30. (서울: 담앤북스, 2018-2020)
단행본 文化廳文化財部美術學藝課, 『稱名寺聖敎目錄』([東京]: 文化廳文化財部美術學藝課報告書, 2006)
단행본 宋 元敬·元復 同述, 『武林西湖高僧事略』(杭州: 杭州出版社, 2006)
단행본 李翥, 『慧因寺志』(杭州: 杭州佛教文獻叢刊, 2007)
단행본 贊寧, 「澄觀傳」, 『宋高僧傳』 卷5(北京: 中華書局, 1996)
단행본 山西省文物局中國歷史博物館編, 『應縣木塔遼代秘藏』(중국: 文物出版社, 1991) 바로가기
학술논문 遠藤 純一郎, 澄観と密教 : 『大方廣佛華嚴經随疏演義鈔』に見られる密教的要素(遠藤祐純先生吉田宏晢先生古稀記念論文集 慈悲と智慧の世界)(智山学報 54巻, 2005) 바로가기
학술논문 喻春勇, 澄觀本覺思想研究——以《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為中心(五臺山研究, 2019.03) 바로가기
학술논문 釋法幢, 宋代賢首中興教主淨源之生平探討—兼談大覺國師義天與慧因高麗寺(臺灣, 『第二十屆全國佛學論文聯合發表會論文集』, 2011)

[장소해제]

章疏書名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개요
당의 화엄승 청량 징관淸涼澄觀(738~839)이 자저自著의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를 주석한 것.
체제와 내용

이 책은 징관이 『신역화엄경新譯華嚴經』(80권본)을 주석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大疏로 약칭)을 다시 해석한 것이다. 화엄경수소연의초華嚴經隨疏演義鈔 ․ 수소연의초隨疏演義鈔 또는 화엄대소초華嚴大疏鈔이라고 한다. 실제적인 화엄종의 창시자인 청량 징관(737~838)은 기존의 『화엄경』 주석서에 한계를 느끼고 새로운 주석을 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4년(784~787) 만에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20권)를 썼으며 후에 다시 『연의초』(90권)를 썼다. 이 두 가지를 합간한 것이 『화엄경소초(華嚴經疏鈔)』(80권)로, 여러 『화엄경』 주석서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정받는다. 그로 인해 징관을 ‘화엄소주’라고 부르게 되었다.
징관의 『연의초』에 대한 주석서로는 요(遼)의 승려 사적(思積, 생몰미상)의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현경기(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玄鏡記)』가 있다. 또 요의 선연(鮮演, 1049~1118)도 『대방광불화엄경담현결택(大方廣佛華嚴經談玄決擇)』(6권)을 통해 징관의 『화엄경소』와 『연의초』 일부의 중요문구를 해석하고 그 뜻을 밝혔다. 소(疏)란 경론의 주석서를 가리키는 말로, 경전의 뜻이 심오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 때 그것을 쉽게 풀이하는 것으로 ‘의소(義疏)’라고도 한다. ‘소(疎)’, ‘통(通)’과도 같은 뜻이다. 또한 ‘초(鈔)’는 ‘(초)抄’의 약자이다. <동국대학교 계미향>
내용은 1.총서명의總序名意 2.귀경청가歸敬請加 3.개장석문開章釋文 4.겸찬회향謙讚回向의 4단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 총서명의에서는 대소大疏의 자서自序을 해석하고, 제2 귀경청가에서는 대소의 귀경서歸敬序를 해석하였으며, 제 3 개장석문 이하에서는 대소의 본문에 따라서 경의 뜻을 해석하여 차례대로 해석하여 10문을 설명開十門以釋經義 한다. 제 4 겸찬회향에서는 대소 마지막인 회향回向의 유통게流通偈를 해석하였다. 한 ․ 중 ․ 일에 걸쳐서 대단히 많이 읽혀진 화엄경 주석서이며, 간본으로는 40권본 ․ 60권본 ․ 80권본 ․ 90권본이 있다. 40권본은 예부터 20권을 다시 상하로 나눈 형태가 많으며,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것은 40권본이 대부분이다. 반면 『대정장』제36권(No.1736)에 들어있는 것은 90권본이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당의 화엄승 징관澄觀은 청량대사淸凉大師·화엄보살華嚴菩薩로 호칭된다. 월주越州(현재의 浙江省)에서 태어나 체진體眞에게 사사하고, 11세에 출가하였다. 『화엄경소華嚴經疏』·『수소연의초隨疏演義鈔』·『사십화엄소四十華嚴疏』·『행원품소行願品疏』·『법계현경法界玄鏡』등 많은 저서를 지었으며, 두순杜順(557~640)→지엄智儼(602~668)→법장法藏(643~712)을 이어 화엄종 제4조로 추앙된다. 사상적으로는 혜원慧苑(673?~743?)의 주장을 비판하고 법장을 조술하였다고 말해진다. 하지만 교판론敎判論에서 화엄을 돈돈頓頓, 법화法華을 점돈漸頓이라 하고 선종을 돈교頓敎로 정의하였으며, 법상종法相宗을 삼론종三論宗의 아래에 두는 등 법장이 융화적인 데 비해 그는 비판적이었다. 또 그는 교敎와 선禪의 통로를 제시하기도 하였고, 실천을 중히 여겨 『오온관五蘊觀』·『십이인연관十二因緣觀』·『삼성원융관三聖圓融觀』등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제자로는 종밀宗密 (780~841) 등이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