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삼성원융관(三聖圓融觀)

제목정보
장소명 삼성원융관(三聖圓融觀)
이명 삼성원융관(三聖圓融觀), 화엄삼성원융관(華嚴三聖圓融觀)
저자정보
찬자 이름징관(澄觀)
이명화엄징관(華嚴澄觀), 석징관(釋澄觀), 청량(清涼), 대휴(大休), 화엄소주(華嚴疏主), 청량국사(清涼國師), 화엄보살(華嚴菩薩), 진국대사(鎮國大師), 대통국사(大統國師), 대조국사(大照國師), 화엄관(華嚴觀)
생몰년738.01.29-739.02.16 ~ 839.04.27
국적당(唐)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三聖圓融觀一卷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安元寫本>: "三聖圓融觀一卷" [觀: <正保寫本>에 「觀」, <元祿刊本>,<大正藏本>,<韓佛全本>에 「觀」, 案 「觀」].【cf. 朴鎔辰. "『新編諸宗敎藏總錄』의 對校와 校勘 硏究." 『서지학연구』, 67 (2016.09), 177-207.】
형태정보
권수 一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단권: 목판본, [南都邸舍], 1685. 1685년(貞享 2) 간본, 용곡대학도서관(龍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단권: 필사본, [不明], [1333]. 鎌創시기(1185~1333) 사본, 금택문고(金澤文庫)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大正藏(T45 No.1882) 『三聖圓融觀門』 1卷, 唐 澄觀述 _部別 : 諸宗部二 _【原】德川時代刊大谷大學藏本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新纂卍續藏(X58 No.1003) 『三聖圓融觀門』 1卷, 唐 澄觀述 _部別 : 中國撰述 諸宗著述部五 華嚴宗 - 『卍大日本續藏經』 第二編 第 8 - 『卍續藏經』 (新文豐版) 第 103冊
학술정보
학술논문 寿山 光知, 澄観『三聖円融観門』考(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Volume 40 Issue 1, 1991) 바로가기
학술논문 韓煥忠, 清涼澄觀的三圣圓融觀(五臺山研究, 2007年01期)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삼성원융관문三聖圓融觀門
개요
당의 화엄승 징관澄觀(738~839)이 화엄의 관법觀法인 삼성원융관三聖圓融觀에 대해서 설한 것.
체제와 내용

본서는 화엄의 독자적인 관법인 삼성원융관三聖圓融觀에 대해서 설한 것이다. 삼성원융관이란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과 문수보살文殊菩薩·보현보살普賢菩薩의 삼성三聖이 원융상즉圓融相卽한 것을 관觀하는 것이다. 보현보살의 이체理體와 문수보살의 지용智用이 상즉相即해서 비로자나불의 덕德이 성립하며, 비로자나불의 과果는 두 보살의 인因을 떠나지 않기 때문에 인과불이因果不二이고 삼성원융三聖圓融이라고 한다. 게다가 이 삼성은 자기의 심상心上에 존재하므로, 만약 이것을 안다면 언제나 인因이 원만하고〔因圓〕언제나 과가 이루어져 있다는 것〔果滿〕을 관하라고 주장한다. 또한 이 삼성원융관의 사상에 기초해서 조상造像된 것이 화엄삼성상華嚴三聖像이다. 일본의 교넨(凝然, 1240~1321)은 『법계의경法界義鏡』가운데에서 ‘화엄의 관문의 정수精髓는 유식관唯識觀과 삼성원융관三聖圓融觀이다’고 하였다. 1권. 『대정신수대장경』권45(No.1882)에 수록되어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징관澄觀(738~839)은 청량대사淸凉大師 ․ 화엄보살華嚴菩薩로 호칭된다. 월주越州(현재의 浙江省)에서 태어나 체진體眞에게 사사하고 11세에 출가하였다. 『화엄경소華嚴經疏』 · 『수소연의초隨疏演義鈔』 · 『사십화엄소四十華嚴疏』 · 『행원품소行願品疏』 · 『법계현경法界玄鏡』등 많은 저서를 지었으며, 두순杜順(557~640)→지엄智儼(602~668)→법장法藏(643~712)을 이어 화엄종 제4조로 추앙된다. 사상적으로는 혜원慧苑(673?~743?)의 주장을 비판하고 법장을 조술하였다고 말해진다. 하지만 교판론敎判論에서 화엄을 돈돈頓頓, 법화法華를 점돈漸頓이라 하고 선종을 돈교頓敎로 정의하였으며, 법상종法相宗을 삼론종三論宗의 아래에 두는 등 법장이 융화적인 데 비해 그는 비판적이었다. 또 그는 교敎와 선禪의 통로를 제시하기도 하였고, 실천을 중히 여겨 『오온관五蘊觀』 · 『십이인연관十二因緣觀』 · 『삼성원융관三聖圓融觀』등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제자로는 종밀宗密(780~841) 등이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