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교의분제(敎義分齊)

제목정보
장소명 교의분제(敎義分齊)
이명 화엄일승오교분제의(華嚴一乘五敎分齊義)
저자정보
찬자 이름법장(法藏)
이명석법장(釋法藏), 현수(賢首), 강장국사(康藏國師), 화엄삼조(華嚴三祖), 향상대사(香象大師), 국일법사십문법장(國一法師十門法藏), 현수국사(賢首國師)
생몰년643 ~ 712.12.20
국적당(唐)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敎義分齊三卷 法藏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三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상-하),: 목판본, 平樂寺, 1651. 1651년(慶安 4) 平樂寺 간본, 북재문고(北齋文庫)
서지정보 권상,중,하: 목판본, 禪尒, 1283. 1283년(弘安 6) 간본, 천리대학도서관(天理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상,중,하: 필사본, [不明], 1283. 1283년(弘安 6) 사본 (1294년(永仁 2) 加點, 대수문고(大須文庫_名古屋市真福寺寶生院)
서지정보 卷中: 목판본, [不明], [1333]. 鎌倉(1185~1333)中期 간본, 경응의예대도서관(慶應義塾大學圖書館)
서지정보 卷上: 필사본, [不明], 1197. 1197년(建久 8) 사본, 고산사(高山寺_京都市栂尾山)
서지정보 卷中: 필사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국문연구자료관(國文學硏究資料館)
서지정보 卷上,中,下: 목판본, 杉田 勘兵衛尉, 1641. 1641년(寬永 18) 간본, 국문연구자료관(國文學硏究資料館)
서지정보 卷下: 목판본, [不明], 1283. 1283년(弘安 6) 간본, 베를린주립도서관
서지정보 卷上,中,下: 목판본, [不明], 1707. 1707년(寶永 4) 간본, 경도대인문과학연구소(京都大人文科學硏究所)
서지정보 卷上,中,下: 목판본, [不明], 1707. 1707년(寶永 4) 간본, 고지대학도서관(高知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51. 1651년(慶安 4) 간본, 대판대학도서관(大阪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2: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좌하현립도서관(佐賀縣立圖書館)
서지정보 卷上,中,下: 목판본, [不明], 1707. 1707년(寶永 4) 간본, 중앙대학도서관(中央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상,중,하: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금택문고(金澤文庫)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洪武南藏(U235 No.1422) 『華嚴一乘教義分齊章』 3卷, 京大薦福寺沙門法藏 述 /_函次 : 藝 6 (662)-藝 8 (662)
한문대장경 ◎ 永樂南藏( No.1576) 『華嚴一乘教義分齊意』 _部別 : 此方撰述 _函次 : 丹(607)
한문대장경 ◎ 永樂北藏(P174 No.1678) 『華嚴一乘教義分齊章』 4卷, 唐法藏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迹
한문대장경 ◎ 嘉興藏(J No.1583) 『華嚴一乘教義分齊章』 唐法藏述 _部別 : 此土著述 _法寶總目錄經號:1582 _函次:[正藏] 跡(612)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正藏](5冊 No.100) 『華嚴一乘教義分齊章』 4卷, 唐 法藏述
한문대장경 ◎ 乾隆藏(L121 No.1518) 『華嚴一乘教義分齊章』 4卷, 唐 法藏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宅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745) 『華嚴一乘教義分齊章』 4卷, 唐法藏述 _部別 : 支那撰述-諸宗部-華嚴宗 _函次 : 陽 2 (32)
한문대장경 ◎ 卍正藏(M66 No.1598) 『華嚴一乘教義分齊章』 4卷, 唐 法藏述 _部別 : 此土著述 _原版第 34
한문대장경 ◎ 大正藏(T45 No.1866) 『華嚴一乘教義分齊章』 4卷, 唐 法藏述 _部別 : 諸宗部二 _ 聯關資料:No s.2337-2345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佛教大藏經(G68 No.1943) 『華嚴一乘教義分齊章』4卷, 唐 法藏述 _部別 : 諸宗部一 華嚴宗
한문대장경 ◎ 中華藏(C95 No.1794) 『華嚴一乘教義分齊章』 4卷, 唐大薦福寺沙門法藏述 _【底本】明永樂北藏本
학술정보
단행본 『高山寺善本圖錄』(高山寺典籍文書綜合調査團, 1988)
학위논문 한민수(서담), 賢首 法藏의 敎判·宗判 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 한국불교융합학과 석사학위논문, 2020) 바로가기
학술논문 박보람, 법장 육상원융설의 새로운 이해(불교학연구 Vol.61, 2019, 불교학연구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박용진, 고려 敎藏의 고려 및 조선시대 유통과 전승(서지학연구 No.83, 2020, 한국서지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조배균, 『화엄오교장』 「심식차별」논의에 대하여(동아시아불교문화 No.19,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조배균, 법장 연기인문육의법의 화엄학적 해명(동아시아불교문화 No.32,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李恵英, 法蔵の釈経方法について(印度學佛教學研究 41巻1号, 1992. 86-88)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화엄일승교의분제장華嚴一乘敎義分齊章
개요
당의 화엄승 법장(法藏, 643~712)이 화엄일승(華嚴一乘)의 교(敎)와 의(義)에 대해 서술한 것.
체제와 내용

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오교장(五敎章) 또는 화엄일승교분기(華嚴一乘敎分記)라고도 부른다. 법장 30세경의 저술로서, 법장이 화엄일승(華嚴一乘)의 교(敎)와 의(義)를 서술하고, 삼승교(三乘敎)보다 화엄이 뛰어나다는 것을 보인 것이다. 4권. 『대정신수대장경』권45(N. 1866)에 수록되어 있다.
제명(題名)인 화엄일승교의분제장(華嚴一乘敎義分齊章)이란 ‘『화엄경』에 설해진 동(同)·별(別) 일승과 오교(五敎)의 차이〔分齊〕에 대해 기록한 것’이란 의미이다. 전체는 십문(十門)으로 구성되는데, 제1 건립승(建立乘)에서는 삼승교의 외에 일승교가 존재하는 이유를 밝혔으며 제2 교의섭익(敎義攝益)은 삼승교와 일승교의 이익의 심천(深淺)을 보인 것이다. 제3 서고금입교(敍古今立敎) 이하의 3장에서는 법장의 오교십종(五敎十宗)의 교판이 보여지고 있는데, 그 전제로서 제3에서 고금의 승려 십인(十人)의 교판을 열거하고, 제4 분교개종(分敎開宗)에서는 오교십종의 교판이 보여진다. 제5 승교개합(乘敎開合)에서는 일승삼승(一乘三乘)·오교십종(五敎十宗)의 승(乘)과 교(敎)의 관계를 개합(開合)의 입장에서 논한다. 제6 교기전후(敎起前後)·제7 결택전후의(決擇前後意)·제8 시설이상(施設異相)은 본말분제(本末分齊) 즉, ‘일승과 삼승의 차이’를 설한 것이다. 제 9 의리분제(義理分齊)에서는 별교일승의 사사무애(事事無礙)를 밝히고 있는데, 본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제10 소전차별(所詮差別)에서는 오교판에 대해서 리(理)·행(行)·과(果)의 여러 가지 차별을 십문(十門)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법장(法藏, 643~712)은 중국 초당初唐대의 승려로서, 화엄종의 제 3조이며 화엄교학의 대성자이다. 자는 현수賢首. 태백산太白山에서 수행한 뒤 화엄종 제2조인 지엄智儼(602~668)의 제자가 되었다. 695년 실차난타實叉難陀가 신역新譯『화엄경』(80권)을 한역할 때에는 필수筆受의 역할을 하였고, 의정義淨·일조日照·보리류지菩提流志 등의 역장에도 참여하였다. 교판敎判에 있어서는 오교판五敎判(小乘敎·大乘始敎·大乘終敎·頓敎·圓敎)을 세웠는데, 화엄학이 가장 우수하다고 하여 원교에 배정하였다. 법장은 화엄교학의 대성자로서 동아시아 화엄학에 미친 영향이 절대적이다. 특히 신라시대의 의상義相(625~702)과는 지엄문하에서 같이 수학하였으며, 법장이 의상에게 보낸 편지인 「기해동서寄海東書」가 현존한다. 화엄학 관련저서로는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화엄료간華嚴料簡』·『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화엄강목華嚴綱目』·『화엄현의장華嚴玄義章』등이 있다. 제자로는 화엄종 제4조인 징관澄觀과 혜원慧苑·문초文超 등이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