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관음품현의(觀音品玄義)

제목정보
장소명 관음품현의(觀音品玄義)
이명 관음경현의(觀音經玄義)
저자정보
찬자 이름지자(智者)
이명지의(智顗), 지자대사(智者大師), 천태대사(天台大師), 불롱(佛隴), 의공(顗公), 태최(台崔), 천태지자대사(天台智者大師), 덕안(德安), 혜의(慧顗), 지자(智者), 법공보각존자(法空寶覺尊者), 령혜대사(靈慧大師), 령혜대선사(靈慧大禪師), 복호(伏虎), 석지의(釋智顗)
생몰년539 ~ 598.01.09
국적수(隋)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觀音品玄義二卷 已上 智者說
찬술방식 설(說)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二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상,하: 목판본(永樂北藏), [不明], 1440. 1440년(正統 5), 永樂北藏本, 절강도서관(浙江圖書館)
서지정보 상,하: 목활자본, , [不明]. 시기미상, 목활자본), 예산문고(叡山文庫-比叡山延暦寺)
서지정보 권상,하 합철본 觀音諸品經 第一至第八: 필사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경도대학도서관(京都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상,하: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좌하현립도서관(佐賀縣立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趙城金藏(A No.1531) 『觀音經玄義』 1卷 _函次 : 稼
한문대장경 ◎ 至元錄( No.1615) 『觀音經玄義』 2卷, 天台智者大師說 _函次 : 幾(682)
한문대장경 ◎ 洪武南藏(U219 No.1397) 『觀音玄義』 2卷, 天台智者大師 說 弟子灌頂 _函次 : 塞 1 (628)-塞 2 (628)
한문대장경 ◎ 永樂南藏( No.1531) 『觀音玄義』 _部別 : 此方撰述 _函次 : 何(585)
한문대장경 ◎ 永樂北藏(P165 No.1636) 『觀音玄義』 2卷, 隋智顗說-灌頂記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遵
한문대장경 ◎ 嘉興藏(J No.1547) 『觀音玄義』 隋智顗說-灌頂記 _部別 : 此土著述 _法寶總目錄經號:1546 _函次:[正藏] 遵(586)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正藏](3冊 No.64) 『觀音玄義』 2卷, 隋 智顗說
한문대장경 ◎ 乾隆藏(L115 No.1485) 『觀音玄義』 2卷, 隋 智者說 灌頂記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纓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715) 『觀音玄義』 2卷, 隋智者大師說 門人灌頂記 _部別 : 支那撰述-經疏部 _函次 : 縮-調 5 (31)
한문대장경 ◎ 卍正藏(M63 No.1562) 『觀音玄義』 2卷, 隋 智者大師說 _部別 : 此土著述 _原版第 33.2
한문대장경 ◎ 大正藏(T34 No.1726) 『觀音玄義』 2卷, 隋 智顗說.灌頂記 _部別 : 經疏部二 _ 聯關資料:No s.262(25),1727 _【原】明萬曆甲辰歲刊增上寺報恩藏本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佛教大藏經(G65 No.1894) 『觀音玄義』 2卷, 隋 智顗說.灌頂記 _部別 : 經疏部七 _
한문대장경 ◎ 中華藏(C96 No.1809) 『觀音玄義』 2卷, 隋天台大師智顗說,門人灌頂記 冊 冊567 _【底本】明永樂北藏本
학술정보
단행본 佛光大辭典編修委員會, 『佛光大辭典』(台灣: 佛光出版社, 1989)
학위논문 이봉우, 天台의 觀音思想 硏究 : 천태지의와 사명지례를 중심으로(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불교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바로가기
학위논문 이태영, 천태지의의 관음신앙 연구(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바로가기
학술논문 김성철, 『觀音玄義』의 如來性惡說에 대한 비판적 검토(불교학연구 Vol.43, 2015, 불교학연구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日比 宣仁, 智顗の教学における観音菩薩の階位説:-吉蔵との比較を中心として-(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Indogaku Bukkyogaku Kenkyu) 63(2), 764-767, 2015, Japanese Association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바로가기
학술논문 小山 昌純, 『観音玄義』の教判について--『法華玄義』 教相段との比較を通して(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47(2), 534-536, 1999-03, The Japanese Association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바로가기
학술논문 大窪 康充, 如来性悪思想(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Indogaku Bukkyogaku Kenkyu) 40(1), 71-73, 1991, Japanese Association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바로가기
학술논문 若杉 見龍, 觀音玄義の研究(第九回日蓮宗教学研究大会紀要)(棲神/THE SEISHIN (32), 144-146, 1958-03-08, 身延山短期大学)

[장소해제]

章疏書名
관음현의觀音玄義
개요

『관음현의觀音玄義』는 『법화경』의 제25「관세음보살보문품」에 대한 천태지의의 주석서이며, 천태오소부天台五小部의 하나이다.
체제와 내용

본서는 천태지의가 강설하고 장안관정이 기록한 것이며, 2권으로 되어 있다. 『관음경현의觀音經玄義』 또는 『별행현의別行玄義』 『별행현別行玄』이라고도 한다. 『법화경』의 제25「관세음보살보문품」은 다른 품들과는 별도로 『관세음경觀世音經』『관음경觀音經』 등이라는 명칭으로 별행別行되었으므로 그에 대한 강설 또한 많았다. 본서는 현존하는 「관음품」의 주석서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설해진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내용 가운데 일심一心․삼관三觀․십계十界․백계百界․천여千如 등은 설해져 있지만 일념삼천一念三千까지는 설해져있지 않으므로, 일념삼천을 설한 『마하지관』보다는 먼저 강설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문은 석명釋名·변체辨體·명종明宗·논용論用·판교判敎라는 오중현의五重玄義의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첫 번째 석명에서는 품의 명칭에서 ‘관세음’이라는 사람[人]과 ‘보문普門’이라는 법法을 합하여 해석 하는가 별도로 하는가에 따라, 통석通釋과 별석別釋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통석의 내용 가운데 성선성악性善性惡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모두 갖춘다[具]’고 답하는 부분은 천태교학의 성악설性惡說에 대한 근본 입장을 확인할 수 중요한 자료가 된다. 그리고 별석에서 ‘관세음’에 대하여 경지境智․관지觀智․관심觀心으로 해설하는 것은, 천태의 교학이 문자해석에만 그치지 않고 항상 마음을 관찰하는 수행의 측면을 병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천태불교문화연구원 오지연>
장소찬자

지의(智顗, 538-597)는 수대隋代의 승려이며, 호는 천태대사天台大師 또는 지자대사智者大師이다. 자字는 덕안德安이고, 속성은 진陳씨이다. 18세에 출가하여 율과 대승을 익히고, 23세에 광주光州의 대소산大蘇山에서 남악혜사(南嶽慧思, 515-577) 문하에 들어가 법화안락행法華安樂行과 보현도량普賢道場을 익혔다. 38세(575)에 천태산으로 들어가 11년간 정진하였다. 48세(585)에 천태산에서 내려온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법화경』을 중심으로 한 사상으로 교화를 펼쳤다. 저술로는 『법화문구』『법화현의』『마하지관』『유마경소』 등 현존하는 것이 46부 188권에 이른다.

관정(灌頂, 561-632)은 당나라 때 승려이며, 속성은 오吳씨이고 자는 법운法雲이다. 임해臨海의 장안章安에 거주하였으므로 장안대사章安大師라고도 한다. 7세에 출가하여, 23세(583) 때 지의의 문하에 들어가 삼대부를 청강하고, 후에 스승의 강의를 정리하고 편찬하였다. 지의 입적 후에도 천태산의 국청사國淸寺를 창건하고 저술과 교화에 힘쓰다가, 세수 72세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 『열반경현의涅槃經玄義』2권, 『열반경소』2권, 『수천태지자대사별전隋天台智者大師別傳』1권, 『국청백록國淸百祿』4권 등이 있다.
<천태불교문화연구원 오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