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의소기(義疏紀)

제목정보
장소명 의소기(義疏紀)
이명 관음지례기(觀音知禮記), 관음의소기(觀音義疏記)
저자정보
찬자 이름지례(知禮)
이명사명지례(四明知禮), 사명존자(四明尊者), 법지대사(法智大師), 사명법지(四明法智), 약언(約言), 지명(智明)
생몰년960 ~
국적북송(北宋)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義疏紀二卷 科一卷 知禮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安元寫本>: "義䟽紀二卷科一卷 知禮述" [知: <正保寫本>,<元祿刊本>,<大正藏本>,<韓佛全本>에 「智」, 案 「知」].【cf. 朴鎔辰. "『新編諸宗敎藏總錄』의 對校와 校勘 硏究." 『서지학연구』, 67 (2016.09), 177-207.】
형태정보
권수 二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제1-4: 목판본, , 1631. 1631년(崇禎 4)간본, 底本의 중간본, 예산문고(叡山文庫-比叡山延暦寺)
서지정보 3종문헌 합본: 목판본, [不明], 1631. 1631년(崇禎 4) 간본, 국립공문서관(國立公文書館館)
서지정보 권제3-4: 목판본, [不明], 1675. 1675년(延寶 3) 간본, 좌하현립도서관(佐賀縣立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洪武南藏(U219 No.1400) 『觀音義疏記』 4卷, 宋 四明沙門知禮 述 _函次 : 塞 5 (628)-塞 12 (628)
한문대장경 ◎ 永樂南藏( No.1534) 『觀音義疏記』 _部別 : 此方撰述 _函次 : 何(585)
한문대장경 ◎ 永樂北藏(P165 No.1639) 『觀音義疏記』 4卷, 宋知禮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遵-約
한문대장경 ◎ 嘉興藏(J No.1550) 『觀音義疏記』 宋知禮述 _部別 : 此土著述 _法寶總目錄經號:1549 _函次:[正藏] 遵(586)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正藏](3冊 No.67) 『觀音義疏記』 4卷, 宋 知禮述
한문대장경 ◎ 乾隆藏(L115 No.1482) 『觀音義疏記』 3卷, 宋 知禮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振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718) 『觀音義疏記』4卷, 宋知禮述 _部別 : 支那撰述-經疏部 _函次 : 調 5 (31)
한문대장경 ◎ 卍正藏(M63 No.1565) 『觀音義疏記』 4卷, 宋 知禮述 _部別 : 此土著述 _原版第 33
한문대장경 ◎ 大正藏(T34 No.1729) 『觀音義疏記』 4卷, 宋 知禮述 _部別 : 經疏部二 _ 聯關資料:No s.262(25),1728 _【原】明萬曆乙巳歲刊增上寺報恩藏本, 【甲】延寶三年刊宗敎大學藏本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佛教大藏經(G65 No.1897) 『觀音義疏記』 4卷, 宋 知禮述 _部別 : 經疏部七
한문대장경 ◎ 中華藏(C No.1811) 『觀音義疏記』 4卷, 宋四明沙門知禮述 _【底本】明永樂北藏本

[장소해제]

장소찬자

북송北宋의 승려 사명지례(四明知禮, 960~1028)는 천태종의 제17조이다. 사명四明 사람으로 성이 김金씨이다. 7세에 출가하여, 15세에 구족계를 받고 율학을 공부하였다. 20세에 보운의통寶雲義通學에게서 천태교전天台敎典을 배웠는데, 오래지 않아 원돈의 묘지를 깨치고 스승을 대신하여 강설하였다. 36세(995)에 사명산四明山으로 가 보은원保恩院에 머물렀다. 그는 이 곳에서 오로지 사참事懺과 강의로 40여년을 머무르니, 사람들이 사명존자四明尊者라고 불렀다. 송대 천태종 산가파出家派의 중심인물로서, 제자가 매우 많았으며 대표적인 이는 상현尙賢·본여本如·범진梵臻 등이다. 저술로는 『관경소묘종초觀經疏妙宗鈔』·『금광명현의습유기金光明玄義拾遺記』·『금광명문구기金光明文句記』·『관무량수불경융심해觀無量壽佛經融心解』·『관음현의기觀音玄義記』·『관심이백문觀心二百問』·『대비참의大悲懺儀』·『수참요지修懺要旨』 등이 있다.
<천태불교문화연구원 오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