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원찬과(圓贊科)

제목정보
장소명 원찬과(圓贊科)
이명 보문품삼현원찬과문(普門品三玄圓贊科文), 법화원찬과(法華圓贊科)
저자정보
찬자 이름사효(思孝)
이명랑사효(郎思孝), 사공대사(司空大師), 해산대사(海山大師)
생몰년 ~
국적요(遼)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圓贊科一卷 已上 思孝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一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단권: 목판본, [刊經都監], [1462]. 1099년(壽昌 5) 興王寺 원간기, [刊經都監重修本(1461~1463)], 송광사(松廣寺_全南順天)
학술정보
단행본 思孝, 『大藏教諸佛菩薩名号集』
단행본 강순애 외, 『송광사 사천왕상 발굴자료의 종합적 연구』(아세아문화사, 2006) 바로가기
학술논문 정영식,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 보물 제204호)의 내용과 특징(佛敎硏究 No.52, 2020, 한국불교연구원)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
개요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은 구마라집(鳩摩羅什:Kum?raj?va, 334~413?)이 한역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25품인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에 요(遼)나라 승려 사효(思孝)가 주석한 『삼현원찬(三玄圓贊)』 2권을 다시 이해하기 쉽도록 과문(科文)한 저술이다.
체제와 내용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은 저자 사효(思孝)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25품인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에 주석한 『삼현원찬(三玄圓贊)』 2권을 다시 이해하기 쉽도록 과문(科文)한 저술이다. 과문이란 경론을 내용에 따라 여러 단락으로 나누고 각 단락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한 것을 뜻한다.
사효는 『삼현원찬』의 내용을 총(總)으로는 일문(一文)으로 판단하지만 별(別)로는 3단(段)으로 나눌 수 있다고 했다. 처음은 뜻을 서술하여 차례대로 나열한 것이고[初述意敍陳], 다음은 종지를 세워서 널리 연설했고[次建宗弘演], 마지막으로 송(頌)을 사용해 회향하는[後借頌廻向] 구조로 되어있다. 처음의 ‘술의서진(述意敍陳)’은 ‘초인찬문(初引讚文)’과 ‘후귀경송(後歸敬頌)’으로 나누어 다시 9단계까지 세분하여 정리하고 있다. 두 번째 ‘건종홍연(建宗弘演)’은 ‘초총표열(初惣摽列)’과 ‘후별해석(後別解釋)’으로 나누어서 정리하며, 특히 ‘후별해석(後別解釋)’에서 『삼현원찬』의 내용을 6개로 나누어 해석하고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은 내용을 지나치게 세분화하여 번쇄(煩瑣)한 면이 있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현존하지 않는 『삼현원찬』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이 책은 사효(思孝)에 의해 저술된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의 『삼현원찬』에 대한 이해를 위해 작성된 과문으로 권말에는 1099년에 교장도감에서 조조하였다는 ‘壽昌五年己卯歲(1099) 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 원간기가 표시되어 있다. 중수기록은 없지만 서체, 판각기술, 지질 등의 특징들을 미루어 조선 세조 때의 간경도감에서 중수된 것으로 추정된다.
장소찬자

저자인 사효(思孝)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과문(科文)』에서 ‘覺花島 海雲寺 崇祿大夫 守司空 輔國大師 賜紫沙門 思孝’라고 밝히고 있어서, 현재 발해만(渤海灣)에 있는 요동성(遼東城) 각화도의 해운사에 주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대장교제불보살명호집(大藏教諸佛菩薩名号集)』의 서(序)에 의하면 중희(重熙) 22년 조(詔)를 받들어 쓴다고 밝히고 있다. 중희는 요(遼) 흥종(興宗)의 연호로 22년은 1053년에 해당한다. 시기나 지역적으로 봤을 때 사효는 요나라 승려라고 하겠다. 더불어 ‘율중대려명생십엽(律中大呂蓂生十葉)’라고 하여서 율종 관계 승려로 추정된다. 따라서 사효는 요나라 흥종 연간에 요동성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율종 관련 승려로 정리할 수 있다.
저서로는 『교장총록』에 의하면 『화엄경현담초축난과(華嚴經玄談鈔逐難科)』1권, 『화엄경수자분소(華嚴經修慈分疏)』2권, 『대열반경후분절요(大涅槃經後分節要)』1권, 『법화경삼현원찬(法華經三玄圓讚)』2권, 『관무량수경직석(觀無量壽經直釋)』1권 등 경전 주석서와 『발보제심계본(發菩提心戒本)』3권, 『대승참회의(大乘懺悔儀)』4권 등 계율관계 저술이 많지만, 현존하는 것은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이 유일하다.
<고려대장경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