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전(傳)

제목정보
장소명 전(傳)
이명
저자정보
찬자 이름혜상(慧詳)
이명혜상(惠詳)
생몰년 ~
국적당(唐)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傳十卷 慧詳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十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제1-10: 필사본, [不明], 1120. 1120년(保安 1) 사본, 동대사도서관(東大寺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新纂卍續藏(X77 No.1537) 『弘贊法華傳』 10卷, 唐 慧詳撰 _部別 : 中國撰述 史傳部三 天台宗
한문대장경 ◎ 大正藏(T51 No.2067) 『弘贊法華傳』 10卷, 唐 惠詳撰 _【原】保安元年寫東大寺藏本, 【甲】大日本續藏經 - 『卍大日本續藏經』 第二編乙.第 22 - 『卍續藏經』 (新文豐版) 第 149冊 바로가기
학술정보
단행본 佛光大辭典編修委員會, 『佛光大辭典』(台灣: 불광출판사,1989)
학위논문 구미진, 法華靈驗傳의 서사문학적 특성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바로가기
학술논문 김승호, 당승(唐僧) 혜상(惠詳)의 채록으로 본 신라 불교설화(한국문학연구 No.52, 2016,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바로가기
학술논문 南權熙(남권희), 13세기 天台宗 관련 高麗佛經 3종의 書誌的 考察 - 圓覺類解, 弘贊法華傳, 法華文句幷記節要 - = 13세기 천태종 관련 고려불경 3종의 서지적 고찰 - 원각류해, 홍찬법화전, 법화문구병기절요 -(서지학보 No.19, 1997, 한국서지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류희승, 한일법화영험집의 출전수용양상 -『법화경집험기』와 『탄요홋케겐키』를 중심으로-(일본언어문화 Vol.9, 2006, 일본언어문화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심보경, 麗末鮮初 國語史 資料 一考(인문과학연구 No.34, 2012,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바로가기
학술논문 퇴휴스님(문순회), 『법화영험전』 판본의 서지적 특징 고찰(한국선학 No.55, 2020, 한국선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佐藤 辰雄, 『今昔物語集』と大蔵経版『弘賛法華伝』(歌子 17, 11-27, 2009-03-20, Jissen Women's University)
학술논문 的場 慶雅, 中国における法華経の信仰形態-2-「法華伝記」と「弘賛法華伝」における法華経の読誦と霊験説話について (高野山大学における第34回〔日本印度学仏教学会〕学術大会紀要-2-)(印度学仏教学研究 32(2), p933-935, 1984-03, 日本印度学仏教学会) 바로가기
학술논문 宮田 尚, 今昔物語集出典研究の点検-3-弘賛法華伝のばあい(Studies in Japanese literature (13), p67-76, 1977-11, Baiko Gakuin University) 바로가기
학술논문 平林 盛得, 「弘賛法華伝」保安元年初伝説存疑(Bulletin,study on the Japanese culture in relation to the imperial family and court (20), 39-53, 1968-11, 宮内庁書陵部)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홍찬법화전弘贊法華傳
개요

『홍찬법화전弘贊法華傳』은 전체 10권이며, 당대唐代 감곡사문藍谷沙門 혜상惠詳의 찬술이다. 약칭 『법화전法華傳』이라고도 하며, 『대정장大正藏』제51책에 수록되어 있다. 중국의 동진東晉으로부터 중당中唐시기, 『법화경法華經』의 유전流傳과 연학硏學 그리고 『법화경』을 지송持誦한 이들이 얻은 영험靈驗 내용을 기록한 저술이다.
체제와 내용

동진東晉으로부터 중당中唐시기에 『법화경法華經』의 유전流傳이나 연구에 관한 내용과 『법화경』을 지송持誦한 이들이 얻은 영험靈驗을 전기체傳記體로 기록한 저술이다. 내용은 도상圖像․번역翻譯․강해講解․수관修觀․유신遺身․송지誦持․전독轉讀․서사書寫 등 여덟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권 도상 부분에는 『법화경』을 설하는 상像이나 그림, 법화 관련 사원, 다보탑이나 법화탑 등의 보탑寶塔을 조성하게 된 인연에 관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제2권 번역 부분에서는 법화 계통의 경전[眞經]을 번역한 10인人과 법화 계통 위경僞經과 관련된 4인 그리고 법화경론을 번역한 2인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제3권 강해에서는 길장吉藏·관정灌頂·연광緣光 등 13인을 소개하고 다시 33인의 이름을 들어 보였다. 제4권 수관修觀에서는 혜사慧思·지의智顗·지조智璪의 3인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제6권부터 8권에는 법화경을 외워 지닌 이들 80인에 대하여 기술하고, 다시 28인의 이름을 기록하였다. 제9권에서는 경전을 거듭 읽은 이들 12명을 소개하고, 제10권에서는 베껴 쓴 이들 19명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는 부록으로 「천태법화소서天台法華疏序」를 덧붙였다. 본서는 법화관련 영험록의 대표적 찬술로서, 여기에 의거하여 『법화경』이 중국에 전래되어 번역·연구·강설·신행되어온 자취와 더불어 중국불교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천태불교문화연구원 오지연>
장소찬자

혜상惠詳 : 생애 미상
<천태불교문화연구원 오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