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별전(別傳)

제목정보
장소명 별전(別傳)
이명 수천태지자대사별전(隋天台智者大師別傳)
저자정보
찬자 이름관정(灌頂)
이명비범(非凡), 장안대사(章安大師), 법운(法雲), 장안존자(章安尊者), 총지존자(總持尊者), 천태오조(天台五祖), 석관정(釋灌頂)
생몰년561 ~ 632.08.30
국적당(唐)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別傳一卷 灌頂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一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上,下: 목판본, [不明], 1669. 1669년(寬文 9) 간본, 동경대종합도서관(東京大學總合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洪武南藏(U207 No.1376) 『天台智者大師別傳』 1卷, 門人灌頂 撰 _函次 : 牧 4 (596)
한문대장경 ◎ 永樂南藏( No.1563) 『天台智者大師別門』 _部別 : 此方撰述 _函次 : 翦(594)
한문대장경 ◎ 永樂北藏(P167 No.1659) 『天臺智者大師別傳』 1卷, 隋灌頂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起
한문대장경 ◎ 嘉興藏(J No.1569) 『天台智者大師別傳』 隋灌頂撰 _部別 : 此土著述 _法寶總目錄經號:1568 _函次:[正藏] 起(593)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正藏](4冊 No.86) 『隋天台智者大師別傳』 1卷, 隋 灌頂撰
한문대장경 ◎ 乾隆藏(L118 No.1498) 『天台智者大師別傳』 1卷, 隋 灌頂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勒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784) 『隋天台智者大師別傳』 1卷, 隋灌頂撰 _部別 : 支那撰述-諸宗部-天台宗 _函次 : 陽 11 (32)
한문대장경 ◎ 卍正藏(M64 No.1584) 『隋天台智者大師別傳』 1卷, 隋 灌頂撰 _部別 : 此土著述 _原版第 33
한문대장경 ◎ 大正藏(T50 No.2050) 『隋天台智者大師別傳』 1卷, 隋 灌頂撰 _部別 : 史傳部二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佛教大藏經(G69 No.1983) 『隋天台智者大師別傳』 1卷, 隋 灌頂撰 _部別 : 諸宗部二 天台宗
한문대장경 ◎ 中華藏(C61 No.1180) 『隋天台智者大師別傳』 1卷, 門人灌頂撰 _【底本】凊藏本
학술정보
학술논문 黄 瑜美, 『隋天台智者大師別傳』から見た『法華玄義』の成立の一考察(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Indogaku Bukkyogaku Kenkyu) 56(2), 691-694, 2008, Japanese Association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바로가기

[장소해제]

장소찬자

당(唐)의 관정(灌頂, 561~632)은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의 장안(章安) 출생이며 장안존자(章安尊者)라고도 한다. 23세 때 천태지의(天台智?)의 문인이 되어 스승이 죽을 때까지 시자(侍者)로서 스승을 섬겼는데, 『법화문구(法華文句)』·『법화현의(法華玄義)』·『마하지관(摩訶止觀)』을 비롯하여 스승의 강설(講說) 대부분을 필사(筆寫)·편집하였다. 또 『지자대사별전(智者大師別傳)』을 쓰고, 스승에 관한 문서를 모아 『국청백록(國淸百錄)』을 엮었으며, 그 밖에도 『열반경소(涅槃經疏)』·『관심론소(觀心論疏)』를 저술함으로써, 후세에 석가에 대한 아난다(阿難陀)로 비유되었으며, 중국 천태종 제2조(祖:또는 제4조)로 일컬어지는 등 천태종을 세우는 데 기초를 굳혔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