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의소주경(義疏注經)

제목정보
장소명 의소주경(義疏注經)
이명
저자정보
찬자 이름자선(子璿)
이명장수자선(長水子璿), 동평(東平), 장수소주능엄대사(長水疏主楞嚴大師), 중미(仲微), 자현(子玄), 장수대사(長水大師), 자예(子睿), 장수자선(長水子璇), 장수선(長水璿), 자준(子濬), 장수법사(長水法師), 장수(長水)
생몰년965.04.12-1038.05.27 ~
국적북송(北宋)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義疏注經二十卷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二十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高師直, 1339. 1339년(暦應 2) 간본, 일본국립국회도서관(日本國立國會圖書館)
서지정보 권제5(1): 목판본, [不明], [1333]. 시기미상, 鎌倉시기(1185~1333) 말기 宋覆刊本, 대동급문고(大東急記念文庫)(五島美術館)
서지정보 권제1(2),2,3(2),4(2),5,6,8,9,10: 목판본(宋版), [不明], [不明]. 시기미상, 정가당문고미술관(靜嘉堂文庫美術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32. 1632년(寬永 9) 간본, 용곡대학도서관(龍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7: 목판본(宋版), [不明], [不明]. 시기미상, 중국국가도서관(中國國家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83. 1683년(天和 3) 간본,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80. 1680년(延寶 8) 간본,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권제4-7,10: 목판본, [不明], 1339. 1339년(暦應 2) 간본[五山版, 覆宋刊本後印], 동양문고(東洋文庫)
서지정보 권제01-10: 목판본, [不明], 1648. 1648년(正保 5) 간본, 동경도립중앙도서관(東京都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권제01-10: 목판본, [不明], 1648. 1648년(正保 5) 간본, 예산문고(叡山文庫-比叡山延暦寺)
서지정보 권제01-10: 목판본, [不明], 1683. 1683년(天和 3) 간본, 경응의예대도서관(慶應義塾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野田 弥兵衞, 1683. 1683년(天和 3) 간본, 국문연구자료관(國文學硏究資料館)
서지정보 권제1-6: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선통사(善通寺)
서지정보 권제4: 목판본, [刊經都監], 1463. 刊經都監 복간본覆刊本(추정), 미상(未詳)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32. 1632년(寬永 9) 간본, 고지대학도서관(高知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55. 1655년(明曆 1) 간본, 구주대학도서관(九州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80. 1680년(延寶 8) 간본, 구주대학도서관(九州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339. 1339년(暦應 2) 간본, 국립공문서관(國立公文書館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339. 1339년(暦應 2) 간본, 국립공문서관(國立公文書館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32. 1632년(寬永 9) 간본, 국립공문서관(國立公文書館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339. 1339년(暦應 2) 간본, 궁내청서릉부(宮內廳書陵部)
서지정보 권제01(1)-10: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권제04(1)),: 필사본, [不明], [1333]. 鎌創시기(1185~1333) 사본,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80. 1680년(延寶 8) 간본, 대곡대학도서관(大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88. 1688년(貞享 5) 간본, 대곡대학도서관(大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대곡대학도서관(大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80. 1680년(延寶 8) 간본, 동경대종합도서관(東京大學總合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32. 1632년(寬永 9) 간본, 동경도립중앙도서관(東京都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706. 1706년(寶永 3) 간본, 동경도립중앙도서관(東京都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48. 1648년(正保 5) 간본, 동북대학도서관(東北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83. 1683년(天和 3) 간본, 동북복지대학도서관(東北福祉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48. 1648년(正保 5) 간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83. 1683년(天和 3) 간본, 명고옥대학도서관(名古屋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3(1):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성궤당문고(成簣堂文庫_東京都千代田区)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32. 1632년(寬永 9) 간본, 시립미택도서관(市立米澤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32. 1632년(寬永 9) 간본, 신석대학도서관(新潟大學圖書館_佐野文庫)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55. 1655년(明曆 1) 간본, 좌하현립도서관(佐賀縣立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천엽현립중앙도서관(千葉縣立中央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續藏](17冊 No.21) 『首楞嚴義疏注經』 20卷, 宋 子璿集
한문대장경 ◎ 大正藏(T39 No.1799) 『首楞嚴義疏注經』 10卷, 宋 子璿集 _部別 : 經疏部七 _ 聯關資料:No.945 /【原】延寶八年刊宗敎大學藏本 【跋】淳祐己酉中和節瑞巖住山比丘德雲跋 , 【甲】大日本續藏經 20卷本, 【乙】貞享五年刊大谷大學藏本, 【宮】曆應二年高師直刊宮內省圖書寮藏本 바로가기
학술정보
학술논문 김미숙, 불교에서 卐의 지칭(指稱)과 심상(心象)의 발전(密敎學報 Vol.19, 2018,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바로가기
학술논문 大澤 邦由, 戒環『楞厳経要解』の釈経特色について-長水子璿『首楞厳義疏注経』との比較を中心として-(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Indogaku Bukkyogaku Kenkyu) 67(1), 249-254, 2018, Japanese Association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바로가기
학술논문 大澤 邦由, 「講経僧」としての鉄眼道光 : 駒澤大学図書館蔵古活字版『首楞厳義疏注経』を手掛かりにして(東アジア仏教研究 (14), 217-231, 2016-05, 東アジア仏教研究会) 바로가기
학술논문 尾崎 正治, 『首楞嚴義疏注經』の訓讀--大谷大學藏師直版と寛永版との比較を中心に(Studies in literature Japanese and Chinese (68), 191-205, 2007-03, 大谷大学文芸学会)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수능엄의소주경首楞嚴義疏注經
개요

중국 송대의 장수자선(長水子璿, 965~1038)이 『능엄경(楞嚴經)』을 주석한 것.
체제와 내용

본서는 장수자선이 『능엄경』의 경문에 기존의 주석서(疏)를 배대시킨 것이다. 따라서 자선이 직접 주석한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수사문자선집’(長水沙門子璿集)이라고 되어 있다. 자선이 의용한 소(疏)가 무엇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숭복사(崇福寺) 유의(惟懿)와 자중홍연(資中弘沇)의 소 등이 거론되고 있다. 20권. 『대정신수대장경』권39(N. 1799)에 수록되어 있다. 전체 십문(十門)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십문이란 1.교기인연(敎起因緣) 2.장승분섭(藏乘分攝) 3.교의분제(敎義分齊) 4.소피기의(所被機宜) 5.능전체성(能詮體性) 6.소전종취(所詮宗趣) 7.교적전후(敎迹前後) 8. 전역시년(傳譯時年) 9. 통석명제(通釋名題) 10. 별해문의(別解文義)를 말한다. 먼저 교기인연에서는 진정(眞定)을 보여서 망집(妄執)을 부수고, 묘심(妙心)을 드러내어 의심(疑心)을 끊으며, 사정(邪正)을 구별하는 등의 십종(十種)의 인연을 설한다. 장승분섭에서는 『능엄경』이 삼장(三藏) 중의 수다라장(修多羅藏)이며, 제승(諸乘) 중의 일승(一乘)임을 설한다. 교의분제에서는 『능엄경』은 오직 종교(終敎)이고, 또 돈교(頓敎)에 통함을 설한다. 소피기의에서는 정정취(正定聚)·사정취(邪定聚)·부정취(不定聚)의 삼정취(三定聚)를 설한다. 능전체성에서는 의(義)를 드러내는 공덕에 대해서 사문(四門)을 들어 해석한다. 소전종취에서는 ‘여래장의 성품은 원만하여 범부와 성인이 차이가 없음’을 경의 근본취지로 함을 설한다. 교적전후에서는 『능엄경』을 설한 시기를 법화(法華)의 후, 열반(涅槃)의 앞이라고 설한다. 전역시년에서는 번역(飜譯)의 연대 등을 서술하다. 통석명제에서는 경제(經題)를 해석하고, 별해문의에서는 『능엄경』을 문장에 따라 하나하나 해석해 간다. 이상에 의해 『능엄경』의 근본사상인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를 밝힌다. 본서는 『능엄경』의 해석서로서 널리 유행하여 많은 주석서를 낳았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중국 송대의 장수자선(長水子璿, 965~1038)은 항주(杭州)의 전당(錢唐) 사람이다. 성은 정(鄭)씨이며, 호는 동평(東平)이다. 장수(長水)에서 주로 활동하였으므로, 장수대사(長水大師)라고도 부른다. 9세에 계종(契宗)에게 출가하여 『능엄경』을 배우고, 13세에 구족계를 받았다. 태평흥국(太平興國, 976~984) 년중에 홍민(洪敏)에게 나아가 『능엄경』 강의를 들었다. 그 후 화엄을 공부하였으며, 가흥(嘉興)의 능엄사(楞嚴寺)에서 법석을 열었다. 선승(禪僧)인 낭야혜각(瑯琊慧覺) 하에서 깨친 후 선의 종지를 펴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낭야에게서 『능엄경』을 선양할 것을 부탁받았다. 장수(長水)에 거주하여 제자들을 가르쳤는데, 『행원초(行願鈔)』·『법계관(法界觀)』·『원각경(圓覺經)』·『십육관(十六觀)』 등을 강의하기를 수십회에 미쳤다. 1013년(大中祥符 6)에 자의(紫衣)를 하사받고, 장수소주능엄대사(長水疏主楞嚴大師)라는 법호를 받았다. 저술에 『수능엄의소주경(首楞嚴義疏注經)』20권·『수능엄경과(首楞嚴經科)』2권·『수능엄경단과(首楞嚴經單科)』1권·『금강반야경찬요과(金剛般若經纂要科)』1권·『금강반야경찬요간정기(金剛般若經纂要刊定記)』6권·『대승기신론필삭기(大乘起信論筆削記)』20권·『대승기신론과문(大乘起信論科文)』1권 등이 있다. 제자로는 진수정원(晋水淨源)이 유명하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