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약소(略疏)

제목정보
장소명 약소(略疏)
이명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약소주(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註), 원각경약소(圓覺經略疏)
저자정보
찬자 이름종밀(宗密)
이명정혜선사(定慧禪師), 규산대사(圭山大師), 대지원명자증이타대보살(大智圓明自證利他大菩薩), 규봉종밀(圭峰宗密), 종밀(宗密)
생몰년780 ~ 841.02.05
국적당(唐)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略疏四卷(或二卷)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四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卷上(1): 목판본(宋版飜刻), [不明], [不明]. 시기미상, 고려시대, 고려사간본, 아단문고(雅丹文庫)
서지정보 卷上(1):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고려시대, 고려사간본,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서지정보 卷上(2):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고려시대, 고려사간본, 기림사(祇林寺_慶北慶州)
서지정보 권상(2):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고려시대, 고려사간본, 불교천태중앙박물관(佛敎天台中央博物館)
서지정보 권하(1): 목판본, [不明], [1300]. 시기미상, 13-14C 고려시대, 고려사간본, 불교천태중앙박물관(佛敎天台中央博物館)
서지정보 권하(2):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고려시대, 고려사간본, 호림박물관(湖林博物館)
서지정보 권하(1)-(2):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고려시대, 고려사간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章閣韓國學硏究院)
서지정보 권상: 목판본, 銀海寺, 1699. 17C(추정) 八公山銀海寺 간본, 원각사(圓覺寺_京畿高陽)
서지정보 卷上: 목판본(宋版), [不明], [不明]. 시기미상, 중국국가도서관(中國國家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4: 목활자본, [不明], 1626. 1626년(寬永 3) 木活字本, 천리대학도서관(天理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4: 목판본, [不明], [1336]. 室町시기(1336~1573)초기, 동양문고(東洋文庫)
서지정보 卷上,下: 필사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대수문고(大須文庫_名古屋市真福寺寶生院)
서지정보 권제1-4: 목판본, [不明], 1644. 1644년(寬永 21) 간본, 동경대종합도서관(東京大學總合圖書館)
서지정보 권제2: 필사본, [不明], [1333]. 鎌創시기(1185~1333) 사본,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권제2: 필사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동대사도서관(東大寺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4: 목판본, 村上平樂寺, 1644. 1644년(寬永 21) 간본, 경응의예대도서관(慶應義塾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상(2):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리움미술관(Leeum美術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44. 1644년(寬永 21) 간본, 경도대인문과학연구소(京都大人文科學硏究所)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26. 1626년(寬永 3) 木活字本, 경도대인문과학연구소(京都大人文科學硏究所)
서지정보 권제1-4: 목판본, [不明], 1644. 1644년(寬永 21) 간본, 고지대학도서관(高知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하: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94. 1694년(元祿 7) 간본, 대판부립중지도도서관(大阪府立中之島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70. 1670년(寬文 10) 간본, 동경대동양문화연구소(東京大東洋文化研究所)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43. 1643년(寬永 20) 간본, 동경도립중앙도서관(東京都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24. 1624년(寬永 1) 간본, 동북대학도서관(東北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44. 1644년(寬永 21) 간본, 동북복지대학도서관(東北福祉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70. 1670년(寬文 10) 간본, 동북복지대학도서관(東北福祉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581. 1581년(萬曆 9) 간본, 봉좌문고(蓬左文庫_名古屋市)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70. 1670년(寬文 10) 간본, 일본국립국회도서관(日本國立國會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좌하현립도서관(佐賀縣立圖書館)
서지정보 권제3-4: 목판본, [不明], 1644. 1644년(寬永 21) 간본, 천엽현립중앙도서관(千葉縣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44. 1644년(寬永 21) 간본, 대곡대학도서관(大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정가당문고미술관(靜嘉堂文庫美術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정가당문고미술관(靜嘉堂文庫美術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毘盧藏( No.1284) 『大方廣圓覺略疏注經』 序唐裴休撰 唐宗密述 _函次 : 衡(536)
한문대장경 ◎ 永樂南藏( No.1609) 『大方廣圓覺經略疏註』 _部別 : 此方撰述 _函次 : 石(636)
한문대장경 ◎ 乾隆藏(L134 No.1561)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 5卷, 唐 宗密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最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685)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 4卷, 唐宗密述 _部別 : 支那撰述-經疏部 _函次 : 律 9 (29)
한문대장경 ◎ 大正藏(T39 No.1795)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 2卷, 唐 宗密述 _部別 : 經疏部七 _ 聯關資料:No.842 _【原】增上寺報恩藏明本, 【甲】寬文十年刊宗敎大學藏本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佛教大藏經(G62 No.1855)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註』 4卷, 唐 宗密述 _部別 : 經疏部四
한문대장경 ◎ 中華藏(C92 No.1777) 『大方廣圓覺經略疏科』 1卷, 唐圭峯蘭若沙門宗密制 _【底本】明永樂北藏本
한문대장경 ◎ 中華藏(C92 No.1778) 『大方廣圓覺經略疏科(別本)』 1卷, 圭峯蘭若沙門宗密制 _【底本】凊藏本
한문대장경 ◎ 中華藏(C92 No.1779)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 2卷, 唐終南山草 寺沙門宗密述 _【底本】明萬曆年間重刊南藏本
한문대장경 ◎ 新纂卍續藏(X9 No.247) 『圓覺經略疏』 4卷, 唐 宗密述 _部別 : 中國撰述 大小乘釋經部七 方等部疏 - 『卍大日本續藏經』 第一編 第 15 - 『卍續藏經』 (新文豐版) 第 15冊
학술정보
단행본 『圓覺經』, 『大正藏』 17
단행본 찬영, 『宋高僧傳』 卷6(北京: 中華書局, 1996)
단행본 지관 편저, 『가산불교대사림』 4(서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1)
단행본 大藏經學術用語硏究會 編, 『佛書解說大辭典』(東京: 大東出版社, 1968)

[장소해제]

章疏書名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약소주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註
개요

당의 규봉종밀(圭峯宗密, 780~840)이 자저(自著)인 『원각경대소(圓覺經大疏)』의 요점을 축약한 것.
체제와 내용

종밀은 다시 『대방광원각경대소』의 정수를 모아 주석하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략소주』를 찬술하였는데 그것을 『대방광원각경소주경(大方廣圓覺經疏註經)』·『대방광원각경약소주(大方廣圓覺經略疏註)』·『대방광원각경소(大方廣圓覺經疏)』·『원각경약소주(圓覺經略疏註)』·『원각약소주경(圓覺略疏註經)』이라고도 하며 2권본과 4권본이 있으나, 4권본은 2권본을 一, 二로 나눈 것이며『대정장』39권(N. 1795)에 수록되어 있다.
본서의 내용은 교선일치(敎禪一致)의 입장에서 『원각경』의 오의(奧義)를 드러내고 그 근본의미를 선양한 것이다. 특히 『원각경』의 가르침을 법성종(法性宗)에 위치하며 부분적으로는 화엄(華嚴)과 같다고 한다. 『원각경약소』는 『대소』에 비하면 경론의 인용이 대단히 적다. 말미에는 징관(澄觀)에게 보낸 종밀의 서한과 이에 대한 징관의 답서가 실려 있다. 본서에 대한 주석서로는, 종밀자신의 『원각경약소초(圓覺經略疏鈔)』와 일본 호우탄(鳳潭)의 『원각경집주일본결(圓覺經集註日本訣)』등이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규봉 종밀(圭峰宗密, 780~841)은 당 대의 승려로 과주 서충(果州 西充, 현 四川省 西充縣) 출신이다. 그의 속성은 하씨(何氏)이고 이름은 형(炯),호가 종밀이며 화엄종 5조(祖)이다. 오랫동안 섬서성(陝西省) 호현(戶縣)의 규봉 초당사(圭峰草堂寺)에서 좌선하였으므로 규봉선사, 규산대사(圭山大師), 초당화상(草堂和尚)이라고도 하며 선종(宣宗, 810~859)으로부터 받은 시호는 정혜선사(定慧禪師)이다. 그는 집안이 유복하여 어려서부터 유교경전을 읽었으며 20세에 불교학을 접하였다. 28세이던 원화(元和) 2年(807)에 과거에 응시하러 가다가 수주(遂州, 현 四川省 遂寧市)의 대운사(大雲寺)에서 도원선사(道圓禪師)를 만난 것이 계기가 되어 출가하였다. 또한 같은 해에 증율사(拯律師)에게서 구족계를 받았다.
어느 날 종밀은 『원각경』을 읽고 깨달음을 얻어 도원선사에게서 인가를 받았다. 한편 도원은 그에게 두순(杜順)의 『화엄법요관문(華嚴法界觀門)』한 권을 주며 각처에서 참학(參學)할 것을 명하였다. 『송고승전(宋高僧傳)』권 6에 의하면 종밀은 원화 5년에 징관(澄觀)의 『화엄경소(華嚴經疏)』를 읽고 곧바로 장안(長安)으로 찾아가 가르침을 받았다. 종밀은 사천 양한(四川 襄漢, 현 湖北省 荊州襄陽一帶)의 회각사(恢覺寺)에서 징규(澄規)의 변령봉(辯靈峰)을 우연히 만났는데 峰은 그에게 징관의 『화엄경소』와 『수소연의초(隨疏演義鈔)』를 주었고 그것을 밤낮으로 공부하던 종밀이 장안의 징관에게 편지를 써서 제자임을 자청하고 그 책의 내용을 마음으로 체득하였음을 서술하고 있다.
또 종밀은 양한에서 형남장(荊南張)을 우연히 만났는데, 장은 종밀을 칭찬하여 말하기를, “(종밀은) 교를 전하는 사람이다. 마땅히 장안으로 가 선도하여야 할 것이다.(傳敎人也,當宣導於帝都)”라 하였다. 또한 종밀은 원화 11년(816) 봄부터 종남산(終南山) 지거사(智炬寺)에서 3년간 경전을 열람하였으며 『원각경소(圓覺經疏)』를 쓰기 시작하였다. 장경원년(長慶元年, 821)에 청량산(清涼山)에 갔다가 호현(鄠縣, 현 陝西省 戶縣)으로 돌아온 후 종남산 초당사에서 홀로 수행하였다. 그 후 풍덕사(豐德寺)로 옮겨 전법(傳法)과 저술에 전념하다가 초당사 남쪽의 규봉난야(圭峰蘭若)로 가면서부터는 선송(禪誦)에 힘을 다 하였다. 그를 따르는 자는 각계각층에서 많이 있었는데 특히 재상(宰相) 배휴(裴休)는 대표적인 제자의 하나로 늘 그의 법요(法要)를 받았다.
대화연중(大和年中)에 당 문종 이앙(文宗 李?)이 자주 내전(內殿)에 들게 하여 불법(佛法)의 대의(大義)를 묻고 자방포(紫方袍, 보라색 가사)를 하사하며 대덕(大德)이라 하였다. 종밀은 회창 원년(會昌元年, 841)에 흥복사(興福寺) 탑원(塔院)에서 62세의 나이로 앉은 채 입적하였다. 규봉선사는 선종어록과 선종 문헌을 최초로 정리한 선구자로 ‘교선일치(敎禪一致)’를 제창하였으며 『원각경』을 널리 알렸다. 종밀의 저술로는 『원인론(原人論)』(1권)·『선원제전집(禪源諸詮集)』(100권)·『원각경대소석의초(圓覺經大疏釋義抄)』(13권)·『기신론주(起信論注)』(4권)·『화엄경행원품소초(華嚴經行願品疏鈔)』(6권)·『주화엄법계관문(注華嚴法界觀門)』(1권)·『화엄경법계관과문주(華嚴經法界觀科文注)』(1권)·『화엄심요법문주(華嚴心要法門注)』(1권)·『원각경대소(圓覺經大疏)』(12권)·『원각경대소석의초(圓覺經大疏釋義鈔)』(13권)·『원각경약소(圓覺經略疏)』(4권)·『금강경소론찬요(金剛經疏論纂要)』(2권)·『기신론주소(起信論注疏)』(4권)·『중화전심지선문사자승습도(中華傳心地禪門師資承襲圖)』(1권) 등 200여 권이 있다.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략소주(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註)』(26권)는 당(唐)의 종밀(宗密, 784~841)이 자신이 쓴 『원각경』에 대한 주석서의 하나인 『대방광원각경대소(大方廣圓覺經大疏)』(12권)의 골자를 뽑아 요약한 것이다. "불타다라(佛陀多羅, 覺救, [범] Buddhatrāta)가 693년에 번역한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범]Mahāvaipulyapūrṇabuddhasūtraprasannārtha sūtra)』은 『원각경』·『원각수다라요의경』·『원각요의경』이라고도 하며 『고려장』13권과 『大正藏』17권에 수록되어 있다. ‘원각’이란 ‘원만(圓滿)한 영각(靈覺)’, ‘수다라(修多羅)’는 음사어로서 ‘경전(經典)’이란 뜻이며, ‘요의(了義)’란 ‘명료(明了)하게 설(說)한다’는 뜻이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