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약초(略鈔)

제목정보
장소명 약초(略鈔)
이명 대방광원각경약초(大方廣圓覺經略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약초(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鈔)
저자정보
찬자 이름종밀(宗密)
이명정혜선사(定慧禪師), 규산대사(圭山大師), 대지원명자증이타대보살(大智圓明自證利他大菩薩), 규봉종밀(圭峰宗密), 종밀(宗密)
생몰년780 ~ 841.02.05
국적당(唐)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略鈔十二卷(或六卷)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十二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제5(1): 목판본(宋版飜刻), [不明], [不明]. 시기미상, 宋版飜刻本, [五山版], 신연문고(身延文庫_身延山久遠寺)
서지정보 권제1-12: 목판본, [不明], 1648. 1648년(慶安 1) 간본, 용곡대학도서관(龍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6: 목판본(乙亥字飜刻), 能仁庵, 1611. 乙亥字飜刻本(1611년(萬曆 39), 後刷本, 智異山能仁庵, 송광사(松廣寺_全南順天)
서지정보 권제1-3: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송광사(松廣寺_全南順天)
서지정보 권제1-2: 목판본(乙亥字飜刻), [不明], [不明]. 乙亥字飜刻本(17C, 後刷本(19C말-20C초)), 송광사(松廣寺_全南順天)
서지정보 권제5-6: 목판본(乙亥字飜刻), 能仁庵, 1611. 乙亥字飜刻本(1611, 萬曆 39), 能仁庵(智異山), 송광사(松廣寺_全南順天)
서지정보 권제1-6: 목판본, 龍腹寺, 1634. 1634년(崇禎 7) 간본, 地水山龍腹寺,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권제2-5: 금속활자본, [不明], [1400]. 金屬活字本(乙亥字(大,中,小), 15C, 고려대도서관(高麗大圖書館)
서지정보 권제3: 금속활자본, [不明], [1400]. 金屬活字本(乙亥字), 고려대도서관(高麗大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6: 목판본, 靈井寺, 1661. 1661년(順治18) 密陽靈井寺開板本, 원각사(圓覺寺_京畿高陽)
서지정보 권제3: 목판본, [不明], [1600]. 17C末(추정) 간본, 원각사(圓覺寺_京畿高陽)
서지정보 권제1: 금속활자본, [不明], 1455. 金屬活字本(乙亥字, 1455년(世祖 元 )간본추정, 원각사(圓覺寺_京畿高陽)
서지정보 권제1-6: 목판본(乙亥字飜刻), [不明], 1655. 乙亥字 飜刻(中大字, 1655, 順治12년, 선암사간본), 대흥사(大興寺_全南海南)
서지정보 권제3: 목판본(乙亥字飜刻), [不明], 1665. 乙亥字 飜刻[1665년(孝宗 6)간본 추정], 대흥사(大興寺_全南海南)
서지정보 권제3: 목판본, [不明], 1665. 1665년(孝宗 6) 仙岩寺간본(추정), 대흥사(大興寺_全南海南)
서지정보 권제3: 목판본(乙亥字飜刻), [不明], [1600]. 乙亥字 飜刻(17C), 대흥사(大興寺_全南海南)
서지정보 권상: 목판본, [不明], [不明]. , 북재문고(北齋文庫)
서지정보 권제1-11: 목판본, [不明], [1868]. 江戶시기(1603~1868) 간본, 일본국립국회도서관(日本國立國會圖書館)
서지정보 권제04, 05, 06: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48. 1648년(慶安 1) 간본, 동경대종합도서관(東京大學總合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48. 1648년(慶安 1) 간본, 신석대학도서관(新潟大學圖書館_佐野文庫)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永樂北藏(P187 No.1725) 『圓覺經略疏之鈔』 30卷, 唐宗密于大疏略出 _部別 : 大明續入藏諸集 _函次 : 治-於
한문대장경 ◎ 嘉興藏(J No.1622) 『圓覺略疏之鈔』 唐宗密于大疏略出 _部別 : 大明續入藏諸集 _法寶總目錄經號:1621 _函次:[正藏] 治(649)-於(651)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正藏](7冊 No.127) 『圓覺略疏之鈔』 29卷, 唐 宗密述
한문대장경 ◎ 乾隆藏(L134-135 No.1562) 『圓覺經略疏之鈔』 25卷, 唐 宗密於大鈔略出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最精宣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686) 『圓覺經略疏之鈔』 25卷, 唐宗密於大鈔略出 _部別 : 支那撰述-經疏部 _函次 : 律 9 (29)-律 10 (29)
한문대장경 ◎ 佛教大藏經(G62 No.1856) 『圓覺經略疏之鈔』 25卷, 唐 宗密於大鈔略出 _部別 : 經疏部四
한문대장경 ◎ 中華藏(C92 No.1780) 『圓覺經略疏之鈔』 25卷, 圭峯蘭若沙門宗密於大鈔略出 _【底本】明永樂北藏本
한문대장경 ◎ 新纂卍續藏(X9 No.248) 『圓覺經略疏鈔』 12卷, 唐 宗密(於大疏略出) _部別 : 中國撰述 大小乘釋經部七 方等部疏 - 『卍大日本續藏經』 第一編 第 15 - 『卍續藏經』 (新文豐版) 第 15冊 바로가기
학술정보
학술논문 조윤호, 宗密의 『원각경』해석에 보이는 제사상의 수용(범한철학 45, 2007, 범한철학회)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대방광원각경약초大方廣圓覺經略?
개요

당의 규봉종밀(圭峯宗密, 780~840)이 자저(自著)인 『원각경약소(圓覺經略疏)』를 상세히 해석한 것.
체제와 내용

자저(自著)인 『원각경약소(圓覺經略疏)』를 상세히 해석한 것. "종밀이 자저(自著)인 『원각경약소(圓覺經略疏)』를 상세히 주석한 것으로서, 줄여서 『원각경약소초(圓覺經略疏鈔)』라고도 한다. 6권본과 12권본이 있다. 『만속장경』X9(N. 248)에 수록되어 있다. 본서는 종밀이 자저인 『원각경대소초(圓覺經大疏鈔)』13권을 축약한 것이다. 원래는 6권이었으나, 1090년(元祐5)에 찬술된 의천(義天)의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에 ‘12권 혹 6권’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려에서 처음으로 12권본이 유통된 것으로 보인다. 내용을 보면 처음에 경제(經題)를 해석하는데 먼저 총제(總題)를 해석하고, 다음에 저자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문을 주석함에 있어서는, 먼저 대강(大綱)을 서술하고, 다음으로 장(章)의 하나하나에 대해 주해하며, 끝으로 경찬회향(慶讚廻向)하는 것으로 마치고 있다. 본서에 대한 주석서로서 송대의 청원(淸遠)이 쓴 『원각소초수문요해(圓覺疏鈔隨文要解)』12권이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당의 규봉종밀(圭峯宗密, 780~840)은 중국 화엄종(華嚴宗)의 제5조(祖). 속성은 하(何)씨이며, 시호(諡號)는 정혜대사(定慧大師)이다. 규봉대사(圭峰大師)라 칭하였다. 과주 서충(果州西充: 四川省) 출생. 28세에 도원선사(道圓禪師)를 따라 출가하였고, 후에 화엄종 제4조 청량징관(淸凉澄觀)에게 배우고 화엄경을 공부했다. 또 스스로 선종(禪宗)의 일파인 하택선(荷澤禪)의 법계(法系)를 이어받았다 하나 그 진부는 알 수 없다. 중국에서 지은 『원각경(圓覺經)』을 세상에 반포(頒布)한 공적이 다대하고, 『원각경』의 주석서를 저술한 외에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를 지어 교선(敎禪)일치설을 주장하였다. 중국 사상인 유교 ·도교를 불교의 입장에서 정의하여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한 것이 『원인론(原人論)』인데, 그의 사상은 송학(宋學)의 원류가 되기도 하였다. 저서가 대단히 많은데 화엄관련 저술로는 『화엄경윤관(華嚴經綸貫)』·『화엄경행원품소과(華嚴經行願品疏科)』·『화엄경행원품소초(華嚴經行願品疏抄)』·『주화엄법계관문(注華嚴法界觀門)』·『주화엄법계관과문(註華嚴法界觀科文)』·『화엄심요법문주(華嚴心要法門注)』등이 있고, 원각경 관련저술로는 『원각경과문(圓覺經科文)』·『원각경대소(圓覺經大疏)』·『원각경대소초(圓覺經大疏鈔)』·『원각경도량수증의(圓覺經道場修證儀)』 등이 있다. 우리나라 불교에 큰 영향을 끼쳤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