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주(注)

제목정보
장소명 주(注)
이명
저자정보
찬자 이름라집(羅什)
이명집(什), 동수(童壽), 집사(什師), 집공(什公), 라집(羅什), 구마라시바(鳩摩羅時婆), 구마라집(究摩羅什), 구마라집바(鳩摩羅什婆), 구마라기바(究摩羅耆婆), 구마라습(鳩摩羅什), 구마라복(鳩摩羅伏), 라마전사(羅馬轉寫), 구마라지바(Kumārajīva)
생몰년344 ~ 413.05.29
국적후진(後秦)
참고사항바로가기
찬자 이름승조(僧肇)
이명승조(僧肇), 석승조(釋僧肇), 조공(肇公)
생몰년384 ~ 414.02.07-415.01.26
국적동진(東晉)
참고사항바로가기
찬자 이름도생(道生)
이명축도생(竺道生), 생공(生公), 대생(大生), 도생(道生), 생(生), 석도생(釋道生), 립도생(笠道生), 용광(龍光)
생몰년355 ~ 434.11.28
국적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維摩經 注十卷 什肇生三注
찬술방식 주(注)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十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제2-10: 목판본, [不明], 1641. 1641년(寬永18) 간본, 용곡대학도서관(龍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 목판본, [不明], 1686. 1686년(貞享 3) 간본, 대곡대학도서관(大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5: 필사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신연문고(身延文庫_身延山久遠寺)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86. 1686년(貞享 3) 간본, 국립공문서관(國立公文書館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86. 1686년(貞享 3) 간본, 국립공문서관(國立公文書館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86. 1686년(貞享 3) 간본, 대동문화대학도서관(大東文化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86. 1686년(貞享 3) 간본, 대판부립중지도도서관(大阪府立中之島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41. 1641년(寬永18) 중간본, 동경도립중앙도서관(東京都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 필사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동북대학도서관(東北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86. 1686년(貞享 3) 간본, 신석대학도서관(新潟大學圖書館_佐野文庫)
서지정보 권제5-6,9-10: 목판본, [不明], 1641. 1641년(寬永18) 간본, 좌하현립도서관(佐賀縣立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86. 1686년(貞享 3) 간본, 창산여학원대도서관(椙山女學園大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大正藏(T38 No.1775) 『注維摩詰經』 10卷, 僧肇 選 _【原】寬永十八年刊宗敎大學藏本, 【甲】平安時代寫大和多武峯談山神社藏本, 題名維摩經集解, 【乙】貞享三年刊大谷大學藏本. 바로가기
학술정보
학위논문 김덕소, 『維摩經』의 在家菩薩思想 硏究(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18) 바로가기
학위논문 李進, 『注維摩詰經』 性空哲學研究(浙江大學浙江省 211工程院校 985工程院校 教育部直屬院, 박사학위논문) 바로가기
학위논문 陶家駿, 敦煌研究院藏佚本《維摩詰經注》 寫卷研究(蘇州大學江蘇省, 박사학위논문) 바로가기
학술논문 김방룡, 임병권, 注維摩詰經(연구보고서, 2007, 한국연구재단) 바로가기
학술논문 장병한, 僧肇選『注維摩詰經』에 나타난 方便의 理解(佛敎硏究 Vol.47, 2017, 한국불교연구원) 바로가기
학술논문 장병한, 僧肇 選 『注維摩詰經』, 「弟子品」에 대한 연구 = 승조의 老莊 思想의 攝用 및 小乘 批判과 大乘 讚揚論을 중심으로(道敎文化硏究 Vol.47, 2017, 한국도교문화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장병한, 승조(僧肇)의 ‘범부(凡夫)의 육신(肉身)과 대승(大乘) 불(佛)ㆍ보살(菩薩)의 법신(法身)’론(論)에 관한 연구(硏究) - 승조 선(選)『주유마힐경(注維摩詰經)』의 주해(註解) 분석(分析)을 중심(中心)으로 -(한국사상사학 No.57, 2017, 한국사상사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장병한, 신성현, 僧肇의 佛·儒·道家의 連繫 認識과 淨土論에 대한 일고찰(동양한문학연구 Vol.48, 2017, 동양한문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야마구치 히로에, 중국의 <유마경>해석 변천에 관한 일고찰 ― 수나라 3대법사의 ‘유마힐’해석을 중심으로(大同哲學(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Vol.51, 2010, 대동철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위하나(Wi, Ha-na), 박문기(Bark, Mun-gi), 유마 연좌관이 신회의 사상에 미친 영향 고찰(佛敎學報 No.81, 2017,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원) 바로가기
학술논문 竹林 遊, 僧肇の仏身観と『大智度論』の二身説(大谷大学大学院研究紀要 = RESEARCH REPORT OF THE GRADUATE SCHOOL OF OTANI UNIVERSITY (32), 1-30, 2015-12-01, 大谷大学大学院)
학술논문 西野 翠, 羅什訳『衆経撰雑譬喩』を読む : 『維摩詰所説経』の注釈理解のために(1), A Study on 『注維摩詰経』through『衆経撰雑譬喩』(1)(大正大学綜合佛教研究所年報 (36), 395-419, 2014-03, 大正大学綜合佛教研究所) 바로가기
학술논문 高城 梓, 僧肇の十地思想--『注維摩詰経』を中心として(集刊東洋学 (91), 21-39, 2004, 中国文史哲研究会) 바로가기
학술논문 前田 崇, 梵本写本『維摩経』と『注維摩詰経』 (平成14年度 天台宗教學大會記念號)(天台学報 (45), 1-9, 2002, 天台学会) 바로가기
학술논문 池 麗梅, 敦煌写本『維摩詰経解』(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Indogaku Bukkyogaku Kenkyu) 50(1), 294-292, 2001, The Japanese Association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바로가기
학술논문 加治 洋一, クマーラジーヴァ講述『注維摩詰経』解読研究--仏国品(下)(Studies in literature Japanese and Chinese (55), 70-92, 2000-09, 大谷大学文芸学会) 바로가기
학술논문 工藤 雅也, 『注維摩』道生注における経典注釈法(印度学仏教学研究 48(2), 643-645, 2000-03, 日本印度学仏教学会) 바로가기
학술논문 工藤 雅也, 『注維摩』における注釈形式の問題について(天台学報 (42), 150-154, 1999, 大正大学) 바로가기
학술논문 注維摩詰経研究会, 対訳注維摩詰経(19)(Annual of the Institute for Comprehensive Studies of Buddhism,Taisho Univesity (20), 70-89, 1998-03, 大正大学) 바로가기
학술논문 加治 洋一, クマーラジーヴァ講述『注維摩詰経』解読の試み--「仏国品」(1)(Buddhist seminar (66), 28-40,1997-10, 大谷大学佛教学会)
학술논문 注維摩詰経研究会, 対訳注維摩詰経(18)(共同研究 綜合仏教研究所研究助成中間報告)(Annual of the Institute for Comprehensive Studies of Buddhism, Taisho Univesity (19), 176-207,1997-03, 大正大学, 1~18까지 cinii) 바로가기
학술논문 平井 宥慶, 敦煌本・注維摩詰経の原形について(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Indogaku Bukkyogaku Kenkyu) 31(2), 812-817,1983, Japanese Association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바로가기
학술논문 池田 宗譲, 「注維摩詰経」肇注の縁起論をめぐって (昭和五十六年度天台宗教学大会記念号)(天台学報 (24), p144-148, 1982-11, 大正大学) 바로가기
학술논문 花塚 久義, 注維摩詰経の編纂者をめぐって(Journal of Buddhist studies (13), p201-214, 1982-10, Komazawa University) 바로가기
학술논문 平井 宥慶, 敦煌本・注維摩詰経序注釈書(Journal of the Graduate School, Taisho University 3, 153-165, 1979-03, 大正大学)
학술논문 臼田 淳三, 注維摩詰経の研究 (日本大学における第二十八回〔日本印度学仏教学会〕学術大会紀要-1-)(印度学仏教学研究 26(1), p262-265, 1977-12, 日本印度学仏教学会) 바로가기
학술논문 丘山 新, 『注維摩詰経』所引の「別本」について (日本大学における第二十八回〔日本印度学仏教学会〕学術大会紀要-1-)(印度学仏教学研究 26(1), p154-155, 1977-12, 日本印度学仏教学会) 바로가기
학술논문 陶家駿, 苗昱, 敦煌研究院藏佚本《維摩詰經注》 寫卷再探——兼及“子母注”問題(敦煌研究. 2012年03期, 敦煌研究院)
학술논문 袁德領, 敦煌研究院藏《佚本〈維摩詰經注〉》 的幾個問題(敦煌研究. 2008年03期, 敦煌研究院) 바로가기
학술논문 王新水, 從《注維摩詰經》看竺道生和僧肇佛學思想的差異(蘭州學刊. 2005年05期, 蘭州市社科院 蘭州市社科聯) 바로가기
학술논문 楊曾文, 鳩摩羅什的“諸法實相”論──據僧肇《注維摩詰經》的羅什譯語(世界宗教研究. 1994年02期, 中國社會科學院世界宗教研究所)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주유마힐경注維摩詰經
개요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에 대한 구마라집(鳩摩羅什)·승조(僧肇)·축도생(竺道生) 등의 주석을 모은 것.
체제와 내용

『주유마경(注維摩經)』·『정명집해(淨名集解)』라고도 한다. 10권. 『대정신수대장경』권38(n. 1775)에 수록되어 있다. 본서는 종래 승조(僧肇)의 진찬(眞纂)이라고 간주되었는데, 그것은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승조의 주석이 차지하고 있고, 나아가 승조가 서문을 썼기 때문이다. 하지만 승조의 진찬은 아니며,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에 대해 역자인 구마라집과 그 문하인 승조(僧肇)·축도생(竺道生)·도융(道融) 등의 해석을 모아서 편집한 것이다. 편자는 알 수 없다. 주석자의 경향을 보면, 구마라집은 번역자의 입장에서 경전 중의 용어의 의의에 대해서 간절하게 설명을 가하고 있고, 승조와 축도생의 주석에는 이미 중국인에 의한 주체적인 불교이해를 엿볼 수가 있다. 본서는 『유마경』의 주석서로서는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것이고, 게다가 경전의 번역자 자신에 의한 주석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에 있어서 『유마경』의 지침서로서 존중되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구마라집(Kumārajīva, 344~413)은 중국 4대 역경가의 한 사람으로서, 구자국(龜玆國) 출신이다. 수많은 경전을 번역하였는데, 그 중의 하나가 406년에 번역한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이다. 『유마경주(維摩經注)』라는 저술이 있었다고 하지만 전해지지 않으며, 『주유마힐경(注維摩詰經)』속에 그 내용이 전해진다. 3천명에 이르는 제자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도융(道融)·승예(僧叡)·승조(僧肇)·축도생(竺道生)은 사걸(四傑)이라 불린다. 한편 승조(僧肇, 384~414)는 장안(長安) 출신으로서, 처음에는 노장(老莊)에 기울어졌으나 『유마경』을 읽고 감동하여 출가하였다. 구마라집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부진공론(不眞空論)』·『물불천론(物不遷論)』·『열반무명론(涅槃無名論)』등을 저술하였다. 도생(道生, ?~434)은 중국 동진(東晋)의 승려로서, 남방에서 축법태(竺法汰)에게 출가하여 도를 배웠으므로 축도생(竺道生)이라고도 한다. 돈오성불설(頓悟成佛說)·천제성불설(闡提成佛說) 등을 주창하였으며, 교상판석(敎相判釋)의 선구인 사종법륜설(四種法輪說)을 설법하는 등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저서에 『법화의소(法華義疏)』·『불성당유론(佛性當有論)』·『법신무색론(法身無色論)』등이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