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묘종초(妙宗鈔)

제목정보
장소명 묘종초(妙宗鈔)
이명 관무량수불경소묘종초(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저자정보
찬자 이름지례(知禮)
이명사명지례(四明知禮), 사명존자(四明尊者), 법지대사(法智大師), 사명법지(四明法智), 약언(約言), 지명(智明)
생몰년960 ~
국적북송(北宋)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妙宗鈔三卷 科一卷 知禮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安元寫本>: "妙宗鈔三卷科一卷 智禮述" [智: <正保寫本>에 「智」, <元祿刊本>,<大正藏本>에 「智」, <韓佛全本>에 「智」, 案 「知」].【cf. 朴鎔辰. "『新編諸宗敎藏總錄』의 對校와 校勘 硏究." 『서지학연구』, 67 (2016.09), 177-207.】
형태정보
권수 三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上,中,下: 목판본, 田中淸左衛門, 1659. 1659년(萬治 2) 간본, 신연산대학도서관(身延山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59. 1659년(萬治 2) 간본, 대곡대학도서관(大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59. 1659년(萬治 2) 간본, 대정대학도서관(大阪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90. 1690년(元祿 3) 간본, 대정대학도서관(大阪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59. 1659년(萬治 2) 간본, 동북대학도서관(東北大學圖書館)
서지정보 상,하: 목판본, [不明], 1659. 1659년(萬治 2) 간본, 불교대학도서관(佛敎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59. 1659년(萬治 2) 간본, 신석대학도서관(新潟大學圖書館_佐野文庫)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洪武南藏(U221 No.1407)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6卷, 四明沙門知禮 述 _函次 : 城 1 (632)-城 6 (632)
한문대장경 ◎ 永樂南藏( No.1542)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_部別 : 此方撰述 _函次 : 韓(589)
한문대장경 ◎ 永樂北藏(P165-166 No.1641)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6卷, 宋知禮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約
한문대장경 ◎ 嘉興藏(J No.1552)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宋知禮述 _部別 : 此土著述 _法寶總目錄經號:1551_函次:[正藏] 約(587)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正藏]( No.69)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6卷, 隋 智顗疏
한문대장경 ◎ 乾隆藏(L119 No.1503)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6卷, 宋 知禮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刻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689)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6卷, 宋知禮述 _部別 : 支那撰述-經疏部 _函次 : 呂 1 (30)
한문대장경 ◎ 卍正藏(M63 No.1567)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6卷, 宋 知禮述 _部別 : 此土著述 _原版第 33
한문대장경 ◎ 大正藏(T37 No.1751)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6卷, 宋 知禮述 _部別 : 經疏部五 相關經典:縮-呂1,卍-33.3 _ 聯關資料:No s.365,1750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佛教大藏經(G63 No.1866)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6卷, 宋 知禮述 _部別 : 經疏部五 _冊19 6卷
한문대장경 ◎ 中華藏(C96 No.1814)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6卷, 宋四明沙門知禮述 冊706 6卷, _【底本】明永樂北藏本
한문대장경 ◎ 新纂卍續藏(X22 No.407) 『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5卷, 隋 智顗說 宋 知禮述 日本 實觀分會 _部別 : 中國撰述 大小乘釋經部二十 方等部疏 _22冊269 5卷 - 『卍大日本續藏經』 第一編 第 32 - 『卍續藏經』 (新文豐版) 第 32冊 바로가기
학술정보
학위논문 김은희, 四明知禮의 天台淨土觀 硏究 : 『觀無量壽經疏妙宗초』 中心으로(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1998)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관무량수불경소묘종초觀無量壽佛經疏妙宗鈔
개요

송의 천태승 사명지례(四明知禮, 960~1028)가 천태지의(天台智顗)의 『관무량수경소(觀無量壽經疏)』를 주석한 것.
체제와 내용

사명지례가 천태지의(天台智顗)의 『관무량수경소(觀無量壽經疏)』를 주석한 것으로 천태지의의 찬술이라고 전해지는 『관무량수경소』 1권을 상세하게 주석한 6권으로 대정장 37(N.1751)에 수록되어 있다. 1021(天禧5)에 저술되었다. ‘묘종(妙宗)’이란 『관무량수경소』에 설해진 ‘심관위종(心觀爲宗)’을 가리킨다. 『관무량수경』에 나오는 십육관(十六觀)에 대해서 지의의 『관무량수경소』에서는 그것을 자기내심(自己內心)의 관법(觀法)으로서, 심관(心觀)을 기초에 두고 해석하고 있다. 이 의미를 지례는 약심관불설(約心觀佛說)로서 제창하였다. 즉, 정토(淨土)의 외경(外境)을 관하는 것은 그 외경에 의탁해서 자신의 심성(心性)을 관하는 것이고, 정토의 외경을 자심의 입장에서 마음속의 불(佛)의 경계를 관하는 것이 『관무량수경』이 설하는 관법이라고 주장하였다. 지례의 이러한 해석은 지의의 교리를 기초로 한 것이지만, 불(佛)을 관하는 것에 의해 중생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진불(眞佛)을 현현시킨다고 하는 주장은 독창적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북송北宋의 승려 사명지례(四明知禮, 960~1028)는 천태종의 제17조이다. 사명四明 사람으로 성이 김金씨이다. 7세에 출가하여, 15세에 구족계를 받고 율학을 공부하였다. 20세에 보운의통寶雲義通學에게서 천태교전天台敎典을 배웠는데, 오래지 않아 원돈의 묘지를 깨치고 스승을 대신하여 강설하였다. 36세(995)에 사명산四明山으로 가 보은원保恩院에 머물렀다. 그는 이 곳에서 오로지 사참事懺과 강의로 40여년을 머무르니, 사람들이 사명존자四明尊者라고 불렀다. 송대 천태종 산가파出家派의 중심인물로서, 제자가 매우 많았으며 대표적인 이는 상현尙賢·본여本如·범진梵臻 등이다. 저술로는 『관경소묘종초觀經疏妙宗鈔』·『금광명현의습유기金光明玄義拾遺記』·『금광명문구기金光明文句記』·『관무량수불경융심해觀無量壽佛經融心解』·『관음현의기觀音玄義記』·『관심이백문觀心二百問』·『대비참의大悲懺儀』·『수참요지修懺要旨』 등이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