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율초상집기(律鈔詳集記)

제목정보
장소명 율초상집기(律鈔詳集記)
이명
저자정보
찬자 이름징연(澄淵)
이명징연(澄淵), 원융국사(圓融國師), 원융대사(圓融大師)
생몰년 ~
국적요(遼)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律鈔評集記十四卷 科三卷 澄淵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安元寫本>: "律鈔口集口口口口 科三卷 澄淵述" [口集口口口口: <正保寫本>에 「詳集記十四卷」, <元祿刊本>,<大正藏本>에 「評集記十四卷」, <韓佛全本>에 「評集口口口口」, 案 「詳集記十四卷」].【cf. 朴鎔辰. "『新編諸宗敎藏總錄』의 對校와 校勘 硏究." 『서지학연구』, 67 (2016.09), 177-207.】
형태정보
권수 十四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제1-14: 목판본, 刊經都監, 1463. 1463년(天順 7), 刊經都監重刊本 상주목(尙州牧) 조조본, 동국대도서관(東國大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4,9-12: 목판본, 刊經都監, 1463. 1463년(天順 7), 刊經都監重刊本 상주목(尙州牧) 조조본, 동국대도서관(東國大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4: 목판본, 刊經都監, 1463. 1463년(天順 7), 刊經都監重刊本 상주목(尙州牧) 조조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章閣韓國學硏究院)
서지정보 권제1-14: 목판본, 刊經都監, 1463. 1463년(天順 7), 刊經都監重刊本 상주목(尙州牧) 조조본,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 刊經都監, 1463. 1463년(天順 7), 刊經都監重刊本 상주목(尙州牧) 조조본, 해인사(海印寺_慶南陜川)
학술정보
단행본 厉鹗, 『遼史拾遺』 권16 『四庫全書』
단행본 이지관, 한국불교소의경전연구(서울: 보련각, 1969) 바로가기
단행본 지관 편저, (伽山)佛敎大辭林 권12(서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10) 바로가기
단행본 吉田睿禮, 遼朝佛教與其周邊(佛敎硏究, 北京: 佛学研究杂志编辑部, 2008) 바로가기
학술논문 溫金玉, 中國律學源流(中華佛學學報 第12期, 132-145, 1999(臺北:中華佛學研究所, 民國88年)) 바로가기

[장소해제]

장소찬자

징연의 생몰년대나 속가의 배경, 출가 후의 활동 등을 직접적으로 전하는 자료는 없다. 그러나 『요사습유(遼史拾遺)』권 16의 「봉복사존승다라니석당기(奉福寺尊勝陀羅尼石幢記)」와 『상집기』의 권두 서명 아래에 ‘연대 봉복사 특진 수태사겸시중 국사 원융대사 사자사문 징연 집(燕臺 奉福寺 特進 守太師兼侍中 國師 圓融大師 賜紫沙門 澄淵 集)’이라는 그의 관직명으로 보아 그가 연경(燕京)에서 황실의 존경을 받으며 활동했던 승려였음을 알 수 있다.
요의 성종(聖宗, 982~1031)·흥종(興宗, 1031~1055)·도종(道宗, 1055~1101) 대는 요 불교의 전성기인데, 특히 징연과 관련하여 흥종과 도종 대의 고찰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선 흥종 대부터 『요장(遼藏)』의 판각이 적극 추진되었고 그것을 저본으로 방산석경(房山石經)이 속각(續刻)되었다. 이 시기에 활동했던 대표적인 승려가 징연, 비탁(非濁, 혹은 非獨), 사효(思孝) 등이다. 징연의 저술로는 남산율종의 창시자인 도선의 『행사초』의 주석서인 『상집기』(14권) 외에 『과(科)』(3권)가 있었다고 하나 전하지 않는다.
징연의 제자로는 비탁(/독)과 사효가 대표적이다. 비탁(/독)의 이름은 율문(律聞)으로 그는 『요장』의 조조(雕造)에도 참여하였으며 『수능엄경현찬과(首楞嚴經玄贊科)』(3권) 등의 여러 저술을 남겼다. 그리고 사효는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이하 『의천록』)에 『십송률』과 관련한 가장 많은 저술을 남긴 승려이다.
흥종을 이은 도종 대에는 『요장』의 조인의 기본이 완성되었을 뿐 아니라, 요나라 불교의 전성기라고 불릴 만큼 불교계의 활동은 활발하였다. 특히 율학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화엄학이 뒤를 이었다. 밀교계통의 저술도 대량으로 나타났으며, 당·송 이래로 별 관심을 끌지 못하던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이 칙명으로 번역·주석되었다.
『요사』의 본기(本紀)에 의하면 도종은 즉위 후, 정치보다는 불교연구에 깊이 천착하였는데, 특히 화엄과 밀교에 정통하여 직접 『화엄찬(華嚴贊)』·『화엄경오송(華嚴經五頌)』 등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또한 도종은 의천과도 교류하였는데 『의천록』에 있는 어제(禦制)『수품찬(隨品贊)』(10권, 『원종문류』권 22에 수록)은 도종이 의천에 대한 경의의 표시로 찬한 것이다. (『요사』에 보이는 『화엄수품찬』이 곧 『수품찬』이다.)
도종 대의 승려인 지연(志延)은 『사분율니계략석과(四分律尼戒略釋科)』(1권, 逸),『반야심경과(般若心經科)』(1권, 逸)를 저술하였는데 『의천록』에 제목만 남아 있다. 원통오리대사 선연(?~1118, 圓通悟理大師 鮮演, 70여세에 입적)은 도종 대의 화엄학의 일인자였다. 그의 저술이 『의천록』에는 없지만 『대각국사외집(大覺國師外集)』권 8의 야율사제(耶律思齊)의 글 중에 『화엄경현담결택(華嚴經玄談決擇)』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것이 의천에 의해 고려로 도입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필(道弼, 생몰년 미상)의 『연의집현기(演義集玄記)』(6권, 逸), 『연의축기난과(演義逐機難科)』(1권, 逸), 『제종지관(諸宗止觀)』(3권, 逸),『科』(1권, 逸) 등의 저술도 『의천록』에 남아있다.
<동국대학교 계미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