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소(疏)

제목정보
장소명 소(疏)
이명
저자정보
찬자 이름종밀(宗密)
이명정혜선사(定慧禪師), 규산대사(圭山大師), 대지원명자증이타대보살(大智圓明自證利他大菩薩), 규봉종밀(圭峰宗密), 종밀(宗密)
생몰년780 ~ 041.02.05
국적당(唐)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疏四卷(或三卷或二卷 宗密將藏疏注於論文之下)
찬술방식 장(將)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四卷(三卷/二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卷上,下: 목판본, [不明], 1642. 1642년(寬永 19) 간본, 용곡대학도서관(龍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卷上,下: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1612년(慶長 17)간본의 번각추정, 경도대학도서관(京都大學圖書館)
서지정보 卷上,下: 목판본, [飯田勝家], 1612. 1612년(慶長 17) 간본, 경도대학도서관(京都大學圖書館)
서지정보 卷上,下: 목판본, [不明], [1868]. 江戶시기(1603~1868) 중기추정, 法蔵述, 경도대학도서관(京都大學圖書館)
서지정보 卷上,下: 목판본, [不明], 1669. 1669년(寬文 9) 간본, 경도대학도서관(京都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하: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송광사(松廣寺_全南順天)
서지정보 卷上, 卷下: 목판본, 修甑寺, 1616. 1616년(萬曆44년, 光海 8) 修甑寺간본,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卷上-卷下: 목판본, [不明], 1676. 1676년(延寶 4) 간본, 고야산대학도서관(高野山大學圖書館)
서지정보 卷上: 목판본, [不明], 1636. 1636년(崇禎 9) 간본[仁祖14년, 대흥사개판본], 대흥사(大興寺_全南海南)
서지정보 卷上,下: 금속활자본, [不明], 1457. 1457년(天順元年, 世祖 3) 甲寅字本, 북재문고(北齋文庫)
서지정보 卷上-卷下: 목판본, 身安寺, 1528. 1528년(中宗23년, 嘉靖7년, 身安寺개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章閣韓國學硏究院)
서지정보 卷上,下: 목판본, 山口忠右衞門, 1696. 1696년(元祿 9) 간본, 일본국립국회도서관(日本國立國會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不明]. 朝鮮 간본, 경도대인문과학연구소(京都大人文科學硏究所)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12. 1612년(慶長 17) 간본, 경도대인문과학연구소(京都大人文科學硏究所)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구주대학도서관(九州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77. 1677년(延寶 5) 간본, 대판대학도서관(大阪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69. 1669년(寬文 9) 간본, 도근현립도서관(島根縣立圖書館)
서지정보 卷上, 卷下: 목판본, [不明], 1642. 1642년(寬永 19) 간본, 동경대종합도서관(東京大學總合圖書館)
서지정보 卷上, 卷下: 목판본, [不明], 1669. 1669년(寬文 9) 간본, 동경대종합도서관(東京大學總合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79. 1679년(延寶 7) 간본, 동경도립중앙도서관(東京都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79. 1679년(延寶 7) 간본, 동경도립중앙도서관(東京都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89. 1689년(元祿 2) 간본, 동북대학도서관(東北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868]. 江戶시기(1603~1868) 간본, 동북복지대학도서관(東北福祉大學圖書館)

[장소해제]

章疏書名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개요

당의 종밀宗密(780~840)이 법장法藏의 『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를 요약하고 자설自說을 부가한 것.
체제와 내용

『주소注疏』라고도 부른다. 2권본·3권본·4권본 등이 있다. 『대승기신론의기』와 비교하면 다른 점이 많을 뿐 아니라, 특히 현담懸譚에 있어서는 『의기』의 2/3가량을 삭제하였다. 그 중 교의분제敎義分齊에 있어서, 『의기』에는 수상법집종隨相法執宗·진공무상종眞空無相宗·유식법상종唯識法相宗·여래장연기종如來藏緣起宗의 사종교판四宗敎判을 세우고 있는데 반하여, 본서에서는 소승교小乘敎·대승시교大乘始敎·대승종교大乘終敎·돈교頓敎·원교圓敎의 오교판五敎判을 세우고, 『대승기신론』을 종교와 돈교에 모두 속한다고 주장하였다. 본서는 문장이 간략하고 배우기 쉬울 뿐만 아니라, ‘법장술法藏述’이라고 되어있기 때문에 옛날부터 강해講解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며 주석서도 많이 저술되었다. 장수자선長水子璿의 『기신론소과문起信論疏科文』은 본서를 과문科文한 것이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종밀宗密(780~840)은 중국 화엄종華嚴宗의 제5조祖. 속성은 하何씨이며, 시호諡號는 정혜대사定慧大師이다. 규봉대사圭峰大師라 칭하였다. 과주 서충果州西充(四川省) 출생. 28세에 도원선사道圓禪師를 따라 출가하였고, 후에 화엄종 제4조 청량징관淸凉澄觀에게 배우고 화엄경을 공부했다. 또 스스로 선종禪宗의 일파인 하택선荷澤禪의 법계法系를 이어받았다 하나 그 진부는 알 수 없다. 중국에서 지은 『원각경圓覺經』을 세상에 반포頒布한 공적이 다대하고, 『원각경』의 주석서를 저술한 외에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를 지어 교선敎禪일치설을 주장하였다. 중국 사상인 유교 ·도교를 불교의 입장에서 정의하여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한 것이 『원인론原人論』인데, 그의 사상은 송학宋學의 원류가 되기도 하였다. 저서가 대단히 많은데 화엄관련 저술로는 『화엄경윤관華嚴經綸貫』·『화엄경행원품소과華嚴經行願品疏科』·『화엄경행원품소초華嚴經行願品疏抄』·『주화엄법계관문注華嚴法界觀門』·『주화엄법계관과문註華嚴法界觀科文』·『화엄심요법문주華嚴心要法門注』등이 있고, 『원각경』 관련저술로는 『원각경과문圓覺經科文』·『원각경대소圓覺經大疏』·『원각경대소초圓覺經大疏鈔』·『원각경도량수증의圓覺經道場修證儀』 등이 있다. 우리나라 불교에 큰 영향을 끼쳤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