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법계차제(法界次第)

제목정보
장소명 법계차제(法界次第)
이명
저자정보
찬자 이름천태(天台)
이명지의(智顗), 지자대사(智者大師), 천태대사(天台大師), 불롱(佛隴), 의공(顗公), 태최(台崔), 천태지자대사(天台智者大師), 덕안(德安), 혜의(慧顗), 지자(智者), 법공보각존자(法空寶覺尊者), 령혜대사(靈慧大師), 령혜대선사(靈慧大禪師), 복호(伏虎), 석지의(釋智顗)
생몰년539 ~ 598.01.09
국적수(隋)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法界次第三卷 天台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三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상,하: 목활자본, [不明], [1603]. 零本, 시기미상, 江戶시기(1603~1868) 초기, 목활자본, 신연산대학도서관(身延山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상,중,하: 목판본(永樂北藏), [不明], 1440. 永樂北藏本[牌記:1440년(正統 5)], 수도도서관(首都圖書館)
서지정보 권상,중,하: 목판본, [不明], 寬永연간. 寬永연간 간본, 동경대종합도서관(東京大學總合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3: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구주대학도서관(九州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不明], 1682. 1682년(天和 2) 간본, 동북복지대학도서관(東北福祉大學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趙城金藏(A No.1541) 『法界次第初門』 3卷, _函次 : 俶
한문대장경 ◎ 至元錄( No.1625) 『法界次第初門』 卷3, 天台智者大師說 _函次 : 庸(684)
한문대장경 ◎ 洪武南藏(U207 No.1375) 『法界次等初門』 3卷, 陳隋 國師智者大師 撰 _函次 : 牧 1 (596)-牧 3 (596)
한문대장경 ◎ 永樂南藏( No.1562) 『法界次第初門』 _部別 : 此方撰述 _函次 : 翦(594)
한문대장경 ◎ 永樂北藏(P167 No.1654) 『法界次第初門』 3卷, 隋智顗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刑
한문대장경 ◎ 嘉興藏(J No.1564) 『法界次第初門』 隋智顗撰 _部別 : 此土著述 _法寶總目錄經號:1563_函次:[正藏] 刑(592)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正藏]( No.81) 『法界次第初門』 3卷, 隋 智顗撰
한문대장경 ◎ 乾隆藏(L No.1483) 『法界次第初門』 3卷, 陳隋 智者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振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773) 『法界次第初門』 6卷, 隋智者大師撰 _部別 : 支那撰述-諸宗部-天台宗 _函次 : 陽 8 (32)
한문대장경 ◎ 卍正藏(M64 No.1579) 『法界次第初門』 3卷, 陳隋 智者大師撰 _部別 : 此土著述 _原版第 33
한문대장경 ◎ 大正藏(T46 No.1925) 『法界次第初門』 3卷, 隋 智顗撰 _部別 : 諸宗部三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佛教大藏經(G69 No.1972) 『法界次第初門』 6卷, 隋 智顗撰 _部別 : 諸宗部二 天台宗
한문대장경 ◎ 中華藏(C97 No.1846) 『法界次第初門』 3卷, 陳隋國師智者大師撰 _【底本】明永樂北藏本 金藏廣勝寺本

[장소해제]

장소찬자

천태대사(天台大師)·지자대사(智者大師)라고도 한다. 속성은 진(陳)씨이며, 천태교학(天台敎學)의 대성자이다. 18세에 법서(法緖)에서 출가하여 560년 광주(光州) 대소산(大蘇山)의 혜사(慧思)에게 사사하였다. 568년 이후 7년간 금릉(金陵: 지금의 南京)의 와관사(瓦官寺)에서 『법화경(法華經)』과 『대지도론(大智度論)』을 강의하였다. 575년 이후는 천태산에 머물면서 천태교학을 확립하였다. 진제(陳帝)와 그의 후계자들로부터 신임이 두터웠는데, 칙명으로 10년 후에는 다시 금릉으로 나와 광택사(光宅寺)에서 『법화문구(法華文句)』를 강의하였다. 진(陳)나라의 병란을 여산(廬山)에서 피하고, 591년에는 진왕(晉王) 양광(楊廣)의 간청에 따라 왕에게 보살계(菩薩戒)를 베풀고 왕으로부터 지자대사의 호를 하사받았다. 그 후 형주(荊州)의 옥천사(玉泉寺)를 개창하고 『법화현의(法華玄義)』·『법화문구(法華文句)』·『마하지관(摩訶止觀)』을 강의하였는데, 이 세 저서는 천태 3대부(天台三大部)로 불리었다. 그 밖에 『관음현의(觀音玄義)』·『관음의소(觀音義疏)』·『금광명현의(金光明玄義)』등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방생회(放生會)를 최초로 시행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