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지관의례(止觀義例)

제목정보
장소명 지관의례(止觀義例)
이명
저자정보
찬자 이름담연(湛然)
이명석담연(釋湛然), 형계(荊溪), 형계존자(荊溪尊者), 원통존자(圓通尊者), 묘악대사(妙樂大師), 기주법사(記主法師), 형계연(荊溪然)
생몰년711 ~ 782.03.27
국적당(唐)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止觀義例一卷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一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단권: 목활자본, 武州江戶, 1620. 1620년(元和 6) 木活字本, 일본국립국회도서관(日本國立國會圖書館)
서지정보 권상,하: 목판본(永樂北藏), [不明], [不明]. 永樂北藏本, 절강도서관(浙江圖書館)
서지정보 단권: 필사본, [不明], [1333]. 鎌創시기(1185~1333) 사본, 금택문고(金澤文庫)
서지정보 단권: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동경도립중앙도서관(東京都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단권: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좌하현립도서관(佐賀縣立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趙城金藏(A No.1542) 『止觀義例』 1卷 _函次 : 俶
한문대장경 ◎ 至元錄( No.1626) 『止觀義例』 1卷, 荊溪沙門湛然述 _函次 : 庸(684)
한문대장경 ◎ 洪武南藏(U217 No.1392) 『止觀義例』 2卷, 天台沙門湛然 述_函次 : 亭 3 (624)-亭 4 (624)
한문대장경 ◎ 永樂南藏( No.1526) 『止觀義例』 _部別 : 此方撰述 _函次 : 踐(581)
한문대장경 ◎ 永樂北藏(P163 No.1621) 『止觀義例』 2卷, 唐湛然述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途
한문대장경 ◎ 嘉興藏(J No.1533) 『止觀義例』 唐湛然述 _部別 : 此土著述 _法寶總目錄經號:1532 _函次:[正藏] 途(578)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正藏](3冊 No.50) 『止觀義例』 2卷, 唐 湛然述

[장소해제]

章疏書名
지관의례止觀義例
개요
당(唐)의 담연(湛然, 711~782)이 천태지관(天台止觀)의 해석법을 서술한 것.
체제와 내용

당(唐)의 담연이 천태지관(天台止觀)의 해석법을 서술한 것으로 2권 『대정신수대장경』권46(N.1913)에 수록되어 있다. 지관의례란 ‘천태지관의 정의(正義)의 범례(範例)’라는 의미로서, 본서는 『마하지관』을 읽을 때 주의해야 할 해석상의 요점을 정리하고 원돈지관(圓頓止觀)의 의의를 명확히 한 책이다. 전체의 구성은 칠례(七例)로 이루어지는데, 칠례란 소전부별례(所傳部別例)·소의정교례(所依正?例)·의정소석례(依正消釋例)·대장총별례(大章總別例)·심경석의례(心境釋疑例)·해행상자례(解行相資例)·유의현정례(?疑顯正例)를 말한다. 소전부별례에서는 남악혜사(南岳慧思)로부터 계승한 지관에는 점차(漸次)·부정(不定)·원돈(圓頓)의 3종이 있는데 『마하지관』은 원돈지관을 설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 소의정교례에서는 천태지관의 소의경전은 『법화경』이 정(正), 『열반경』이 조(助)를 이루고 있다고 설명한다. 또 심경석의례에서는 능관(能觀)의 심(心)과 소관(所觀)의 경(境)에 대해서 20개의 문답을 세워서 천태지관의 바른 이해를 보인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담연(湛然, 711~782)은 형계존자라고도 한다. 속성은 척(戚)씨이며, 상주(常州: 江蘇省) 진릉현(晉陵縣) 형계(荊溪) 출신이다. 유가(儒家)에서 태어났으나, 뒤에 현랑(玄朗)을 스승으로 하여 천태에 입문했다. 율(律) ·선(禪) ·화엄(華嚴) ·유식사상(唯識思想) 등을 깊이 공부하고 강남(江南)에서 천태지의의 저술을 연구하고, 그 선양에 힘썼다. 담연은 천태교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통해 천태교학의 기초를 확립한 인물로, 천태종 제6조로 평가된다. 그가 활약하던 시기, 중국불교계는 화엄종·선종·정토종 등 다양한 종파들이 서로 다투고 있었다. 담연은 지의의 『법화현의』·『법화문구』·『마하지관』의 천태삼대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들 종파불교들과 논쟁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천태교학의 특징을 밝혔다. 저서에 천태대사의 법화삼대부(法華三大部)의 주석을 비롯해 『법화현의석첨(法華玄義釋籤)』·『법화문구기(法華文句記)』·『지관보행전홍결(止觀輔行傳弘訣)』·『지관의례(止觀義例)』·『지관대의(止觀大意)』 등이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