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

제목정보
장소명 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
이명
저자정보
찬자 이름혜림(惠琳)
이명석혜림(釋慧琳)
생몰년737 ~ 820.01.23-820.02.17
국적당(唐)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一切經音義一百卷 惠琳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一百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제1-100: 목판본, [大藏都監], [不明]. 시기미상, 월정사(月精寺_江原平昌)
서지정보 권제1-100: 목판, [大藏都監], [不明]. 간기미상, 해인사(海印寺_慶南陜川)
서지정보 권제1-100: 목판본, [不明], 1737-1738. 1737-1738년(元文2- 3) 간본[高麗大藏經本의 重刊本], 동경대종합도서관(東京大學總合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00: 목판본, [不明], 1737-1738. 1737-1738년(元文2- 3) 간본[高麗大藏經本의 重刊本], 동경대종합도서관(東京大學總合圖書館)
서지정보 卷第53,54: 목판본, [不明], [不明]. , 早稲田大學圖書館学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高麗藏(K42 No.1498) 『一切經音義』 100卷, 翻經沙門慧琳撰 _部別 : 宋續入藏經 _函次 : 田-洞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至元錄( No.1566) 『一切經音義』 100卷, 沙門慧林撰 _函次 : 翦(594)-沙(603)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879) 『一切經音義』 唐慧琳撰 _部別 : 支那撰述-音義部 _函次 : 為 8 (39)-為 10 (39)
한문대장경 ◎ 卍正藏(M67 No.1612) 『一切經音義』 25卷, 唐 玄應撰 _部別 : 此土著述 _原版第 35
한문대장경 ◎ 大正藏(T54 No.2128) 『一切經音義』 100卷, 唐 慧琳撰 _部別 : 事彙部下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佛教大藏經(G82 No.2070) 『一切經音義』 100卷, 唐 慧琳撰 _部別 : 音義部
한문대장경 ◎ 中華藏(C57-59 No.1165) 『一切經音義』 100卷, 翻經沙門慧琳撰 _【底本】麗藏本

[장소해제]

章疏書名
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
개요
당(唐)의 혜림(慧琳, 737~820)이 경전에 나오는 범어(梵語)나 자구(字句)를 주석한 것.
체제와 내용

『대정신수대장경』권54(N.2128), 『고려대장경』 K.1063, K.1498에 100권으로 수록되어 있다. 혜림음의(慧琳音義)라고도 한다. 본서는 혜림이 기존의 7가(家)의 자서(字書)를 참고하여 1225부의 경·율 등에 대해서 범어를 번역하고, 난해한 자구를 주석한 것이다. 구과(九科)로 분류되는데, 그것은 대승경(大乘經) 646부·대승률(大乘律) 27부·석경론(釋經論) 22부·집의론(集義論) 74부·소승경(小乘經) 236부·소승률(小乘律) 56부·소승론(小乘論) 36부·집전(集傳) 80부·집록(集錄) 48부이다. 그런데 이 가운데는 현응(玄應)의 『일체경음의』337부와 혜원(慧苑)의 『화엄경음의(華嚴經音義)』를 그대로 싣고 있고,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에 대해서는 운공(雲公)의 것을, 『법화경(法華經)』은 규기(窺基)의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146부는 서명(書名)뿐이고 음의가 없으므로 혜림 자신의 음의는 736부라고 말할 수 있다. 대개 종래의 음의는 방유(傍紐)를 쌍성(雙聲)으로 삼고, 오음(吳音)과 진음(秦音)을 구별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청탁(淸濁)의 운(韻)이 분명하지 않았으므로 본서는 그것을 고치는데 힘썼다. 따라서 본서를 음의 중에서 가장 정교한 것이라고 평가한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혜림(慧琳, 737~820)은 당대(唐代) 소륵국(疏勒國, Khāsa) 출신이다. 속성은 배(裵)씨이며, 어릴 때 유학을 공부하였으나 오래지 않아 출가하였다. 불공삼장(不空三藏)을 사사하여 인도의 성명(聲明)을 배우고 중국의 훈고(訓詁)에 정통하였다. 당 건중년간(建中年間: 780~783)에서 원화이년(元和二年: 807)사이에 자림(字林)·자통(字統)·성류(聲類)·삼창(三蒼)·절운(切韻)·옥편(玉篇)·제경(諸經)·잡사(雜史)를 참조하여 『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를 편찬하였는데, 『일체경음의』는 851년(大中5)에 대장경에 입장되었다. 장안(長安)의 서명사(西明寺)에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 『일체경음의』외에도 『신집욕상의궤(新集浴像儀軌)』·『건립만다라급간택지법(建立曼茶羅及揀擇地法)』등이 있다. 『송고승전(宋高僧傳)』권5, 『육학승전(六學僧傳)』권14 등에 전기가 실려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