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차

해제 닫기

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

간략정보
  • 妙法蓮華經要解 / 鳩摩羅什(後秦) 譯 ; 戒環(宋) 解. -- 木板本 -- 高山 : 安心社, [1405年(太宗 5)]跋.
  • 卷4-7(全7卷), 變相, 上下單邊 半郭 21.2(세로) cm , 無界, 10行20字, 白口, 無魚尾 ; 26.1×15.7 cm.
  • 소장자 : 용연사

제목정보
책명 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
권수제 妙法蓮華經
표제
이제
서제
판심제
분류정보
자료구분 고서
주제분류 경장-법화부
저자정보
저역자 鳩摩羅什(後秦) 譯 ; 戒環(宋) 解
판사항
판종 木板本
저본
발행정보
발행지 高山
발행자 안심사(安心社)
발행년 [1405年(太宗 5)]跋
형태정보
장정 線裝
권사항 卷4-7(全7卷)
장수 208張
결락중복
도표 變相
광곽형태 上下單邊
광곽종류 半郭
광곽크기 21.2(세로)
계선 無界
행자수 10行20字
주표기
판구 白口
어미 無魚尾
책크기 26.1×15.7
기록정보
서문
발문 冊末: 永樂三年(1405)春三月下澣陽村權近 跋
간기
간행질 冊末: 兌山郡夫人 金氏 등 다수
기타판각인명정보 變相(第3張 左面): 特爲亡耦王?仙駕超生淨土之?倩畵變相鋟梓流通者施主鄭氏
인출유통묵서기
주기정보
지질 楮紙
표지첨기
합본사항
현토표점방점
인장
주기상세 1. 張數: 변상: 3장 / 권4: 60장 / 권5: 37장 / 권6: 57장 / 권7: 54장
2. 권4 제34장 좌면, 권5 제29장 우면, 권6 제28장 좌면, 권7 제29장 우면 인쇄되어 있지 않음
3. 缺落: 앞뒤표지 없음
4. 冊末장(권7 제54장) 훼손 심함
5. 선장 해체
6. 書背: ????
7. 보물 961호와 같은 판본, 대구 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의 묘법연화경 권4-7(보물 1607호)와 같은 판본
10. 발행년은 발문에 의함
내용주기
형태주기
소장정보
소장자 용연사
소재처 동화사
소재처관리번호
연계정보
출처정보
-
참고정보
이력과정 四敎科

[책차해제]

※ 변상도해제
대자암(大慈庵)간 법화경(1422) 변상도 계열의 번각본이다. 변상도는 2매의 판에 새겨진 것이다. 제1판에는 산화(散華)와 위태천(韋馱天)이 새겨져 있다. 산화는 뾰족한 꽃잎과 줄기가 사방으로 뻗어서 큼직한 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독특한 모습인데 작고 도안적인 연꽃모양의 산화와는 확연히 구별되는 모양이다. 위태천은 갑옷을 입은 무장형이고 합장한 팔 위에 보검을 얹어 놓았고, 새깃털을 꽂은 투구와 그 주위를 화염이 둘러싼 형상이다. 위태천의 크기와 형태, 얼굴 표정, 갑옷의 구성과 천의(天衣)의 흐름, 화염광배 등 세부 표현이 안심사본(1405년)의 위태천과 동일한 형상이다.
제2판은 석가삼존도를 중심으로 한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이다. 삼존은 원형의 두광과 신광에 싸여 대좌 위에 앉아 있고 그 주위에 십대제자, 보살중, 제석천, 사천왕, 팔부중 등의 권속들이 배치된 구도이다. 존상들은 3단으로 배치되는데 가장 위쪽에는 천개(天蓋)와 보수(寶樹), 그 아래에 팔부중 중 6위의 신중과 천자 등이 일렬로 늘어서 있다. 중단에는 석가모니불과 좌우 협시 사이에 사천왕, 십대제자, 보살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대좌 좌우에 서있는 가섭과 아난 그리고 보살들이 일렬로 늘어서 있다. 본존과 협시보살은 화면의 중심부에 원형 두광 속에 나란히 않아 있는데 본존은 설법인(說法印)을 짓고 있으며 좌우협시보살은 합장하며 설법을 듣고 있는 형상이다. 주위에는 서광(瑞光)과 구름으로 설법을 장엄하고 있으며 전체 도상은 넝쿨무늬를 넣은 변란(邊欄)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영산회상도는 대자암계 변상도의 번각본이다. 새김은 유연하고 각선도 깔끔하지만 대자암본에 비해 존상의 얼굴이 넓적하고 존상의 얼굴이 사각형에 가깝고 각선에서 유연함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 책에는 권1 말에 시주질과 연화질이 새겨진 간기가 1매 붙어 있으나 간행연대와 간행지는 없다.그러나 화주가 혜명(惠明)이고 각수는 극림(克林)과 숭우(崇雨)인데, 이들은 모두 경주 불국사간 법화경(1570년) 권2-3중 권3말 간기에 등장한다. 시주질의 세 번째에 ‘變相大施主比丘克林,’이라는 표기가 있고, 연화질에서 각수는 숭우(崇雨), 혜전(惠全), 공양주 성천(性天), 募緣 惠明이라 기록되어 있다. 간기 마지막에 ‘隆慶四年庚午四月日 慶尙道慶州地含月山佛國寺開板’이라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변상도는 1570년 불국사간 법화경의 변상도임을 알 수 있다.
문화재청 박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