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불교문헌

잡지雜誌

ABC_BC_Y0034_0001_R_001
잡지雜誌
朝鮮佛敎月報
雜報 ; 開敎式場
『朝鮮佛敎月報』 5호(1912.6), pp.69-70.
0001_0001_b_01L開敎式塲 慶尙南道釜山府梵魚寺主催로京城寺洞二十八統六戶에布敎堂建築은前報에累揭바어니와工役이就畢으로門牌朝鮮臨濟宗中央布敎堂이라고五月二十六日(陰四月十日)에開敎式을擧行얏其式順은如左더라
一, 開會 下午三時〈p.69〉
一, 歸依三寶 會主發聲大衆隨和
一, 唱歌 私立壺洞學校學生
一, 奏樂 孤兒院音樂
一, 趣旨說明 韓龍雲
一, 入定 三分間 會主打箆三下
一, 說敎 白龍城 三十分
一, 讚演 鄭雲復 李能和
一, 祝辭 古川大航 孫德鳳 尹泰興 崔秉斗 白奭基 李康英 徐光前 玄濟用
一, 奏樂 孤兒院音樂
一, 唱歌 私立壺洞學校學生
一, 佛敎萬歲
一, 閉會
一, 進茶菓〈p.70〉
官報抄 ; 梵魚寺의 法階 授與
『朝鮮佛敎月報』 15호(1913.4), p.65.
梵魚寺의法階授與 慶南釜山府梵魚寺에셔本年三月度에一般이法階試驗을經바吳惺月, 白龍城二師大禪師로昇階고其他各各地位에相當法階을得얏다더라
雜貨舗 ; 布敎區 現狀 一覽表, 朝鮮禪宗 中央布敎堂
『朝鮮佛敎月報』 19호(1913), p.69.
敎堂名稱所在地名設立者機闕設立年月日
朝鮮禪宗 中央布敎堂京城中部大寺洞二十六統八戶梵魚寺通度寺白羊寺大興寺龜岩寺華嚴寺泉隱寺觀音寺龍興寺代表明治四十五年壬子四月十日
海東佛報
兩敎堂에 兩法會
『海東佛報』 2호(1913.12), p.73.
朝鮮佛敎中央布敎堂에 前 釋王寺 住持 金皓應 和尙으로 會主를 推薦야 大華嚴經을 講演며 朝鮮禪宗中央布敎堂에 開敎師長 白龍城和尙이 金剛般若法會를 特設야 通常 敎會外에 特色을發揮다더라
四十九甲 佛誕紀念演論
『海東佛報』 7호(1914.5), p.7.
朝鮮佛敎 中央布敎堂은 大設 千燈佛事야 十方이 雲會고 禪宗 中央布敎堂은 洞開緣門고 八部가 輻輳며 禪宗 法壇上에 曰 龍城禪師가 陞座說法새 以拄杖子으로 畵圓相良久에 曰未離兜率 已降王宮시고 未出母胎에 度人已畢이라 야 拈弄威音那畔 消息니 誰是破顔微笑者-며 誰是得髓 三拜者也
佛日
『佛日』 編輯同人
『佛日』 창간호(1924.7), 권두 속표지.
編輯同人(가나다順)
雲樵金益昇
編輯人解波金世暎
石顚朴渶永
龍城堂白相奎
鼎山白禹鏞
菊如梁建植
尙玄李能和
六堂崔南善
海圓黃義敦
退耕權相老
佛敎
新刊佛敎書籍(白龍城禪師譯述)
『佛敎』 창간호(1924.7)
新刊佛敎書籍
금강경全一冊 定價七十五錢 純鮮文譯
팔상록全一冊 定價壹圓 純鮮文譯
歸源正宗全一冊 定價八十錢 鮮漢文交用
心造萬有論定價一圓十錢 鮮漢文交用
首楞嚴經第一二卷 定價各七十五錢 純鮮文及鮮漢文交譯
金剛經全一冊 定價七十錢 純鮮文及鮮漢文交譯
圓覺經全一冊 定價八十錢 純鮮文及鮮漢文交譯
禪門撮要(附修心正路)全一冊 定價一圓二十錢 純鮮文及鮮漢文交譯
白龍城禪師譯述
發行所京城府鳳翼洞二番地 三藏譯會
佛敎書籍(佛敎社 광고)
『佛敎』 13호(佛敎社, 1925.7)
先生著李能和佛敎通史全二冊定價六圓
禪師編李震海아브트式佛敎全一幅定價七十五錢
팔상록全一冊定價七十五錢
仝譯팔상록全一冊定價一錢
歸源正宗全一冊定價八十錢
仝譯心造萬有論全一冊定價一圓十錢
首楞嚴經第一第二定價各七十五錢
金剛經全一冊定價七十錢
圓覺經全一冊定價八十錢
禪師譯白龍城禪門撮要(附修心正路)全一冊定價一圓二十錢
京城壽松洞八二番地 佛 敎 社 取次販賣
精修別傳禪宗活句參禪萬日結社會宣傳文
『佛敎』 14호(佛敎社, 1925.8), p.45.
大抵末法衆生은如何若何함을不問하고祖關을參究하야決定히透得하기를期約할지라故로本衲이 別記槪則으로萬日禪會結社를豫定하오니本參衲子는決定心과奮發心과大精進心을가지고贊同來臨하시와一大事因緣을了畢하야廣度迷倫하심을 敬要
世尊應化二千九百五十二年乙丑六月日
設立者 龍 城 震 鍾
志 願 書 (例)
本 衲 이
今者萬日禪會에參榜코자함에就하야는目的과規律을遵行함은勿論이오一分定期間內에는萬障을堪忍코遊方出入을아니키로誓盟하옵고戶籍, 僧籍의謄本을添付發願하오니入榜을許容하심을伏望함
若違背할時는如何한處置라도甘受하게삽
年 月 日 (何道何郡何面何山何寺籍) (氏 明㊞)
槪 則
一, 本社의目的은活句參禪見性成佛廣度衆生으로함
一, 萬日을十期로分定하야一期를三年式定하고右期間內는他處에遊方出入을不得함
一, 本社에參榜코자하는者는志願書에戶籍, 僧籍의謄本을添付提出하며衣鉢을携帶할事
一, 前項을具備치안커나梵行이不潔하거나精進에懶怠하거나諸方에서乖角으로認하는者는入榜을 不許함
一, 私財三石以上을所持한者가禪衆에入榜코자하는時는入榜을不許하되但禪粮을入하는者는 此限에不在
一, 禪衆은三十名으로定함
一, 半月마다梵網經四分律을說하고每月一日上堂하야宗乘을擧揚함
一, 陰十月一日부터十月十日까지來參하되右期日以前은禪粮의供이無함
一, 道場은京畿道楊州郡柴屯面道峰山望月寺
一, 右規則에堪當치못할者는當初에不參하심을敬要
一, 本社의細則은別로히制定함〈p.45〉
精修別傳禪宗活句參禪萬日結社會(規則·入會禪衆注意事項)
『佛敎』 15호(佛敎社,1925.9), pp.42-45.
規則
0001_0006_b_01L第一條 本社의 名稱은 精修別傳禪宗活句參禪萬日結社會라하야 位置를 京畿道楊州郡道峰山望月寺에 定함
第二條 本社의 主旨는 活句의 參禪으로 見性成佛하야 廣度衆生함을 目的함
第三條 本社에 結社는 萬日로 定하되 此를 十期로 分하야 一期를 三個年으로 制定함
第四條 本社의 主旨를 充實히 하기 爲하야
一, 每月初 一日에는 宗乘을 擧揚함
二, 半月마다 大小乘律을 說함
三, 每月 二十日에는 看話正路를 開示함
四, 午後不食을 斷行함
五, 平時에는 黙言을 斷行함
但 以上 四, 五項은 外護法班員에게는 此限에 不在함
六, 外護法班員 以外의 禪衆은 期內에 洞口不出을 斷行함
但 父母師長의 重病 又는 死亡時에 限하야 宗主和尙의 許諾이 有할時는 此限에 不在함
七, 禪衆은 社中一切事에 干涉을 不得함
但 宗主和尙의 許諾이 有할 時는 此限에 不在함
第五條 本社에 參榜하는 禪師의 資格은 左와 如함
一, 梵網經 四分律을 特히 遵守하려고 決心한 者
二, 梵行이 淸淨한 者로 精進에 勤勞하는 者
三, 僧籍, 戶籍과 衣鉢을 갓추 携帶한 者
四, 滿 二十歲 以上으로 五十五歲지의 氣力이 健康한 者
但 氣力이 特히 卓越한 者의게는 此限에 不在함
第六條 宗主和尙은 佛祖의 正法을 擧揚하며 社內의 一切事를 指揮하고 首座和尙은 宗主和尙을 補佐하야 社中 一切事務를 總理하며 宗主和尙이 出他할 時는 此를 代理함〈p.42〉
第七條 本社의 目的을 達키 爲하야 內護法班과 外護法班을 置하고 左와 如히 任員을 配定하야 其 任務를 分掌함
內護法班
宗主和尙의 指揮를 承하야 禪室內의 一切事를 掌理함
一, 立繩 一人 禪衆을 統管함
二, 維那 一人 內外護法班員의 件過와 寺中 一切執務를 査察함
三, 侍佛 一人 法要를 執行함
四, 秉法 一人 佛供及 施食을 擔任함
五, 獻食 一人 每日 獻食을 擔任함
六, 司察 二人 五日間式 輪番하야 黙言規則을 嚴히 遵守함
七, 時警 一人 每時에 高聲으로 時를 報하야 禪衆의 道心을 堅固케 함을 擔任함
八, 侍者 一人 宗主和尙室에서 侍奉함
九, 看病 一人 禪衆中에서 病이 發生할 時는 此를 看護함
十, 知客 一人 來客의 接待와 客室規則을 嚴守하야 開起寢과 入放禪規를 大房과 同樣으로 遵行함
十一, 淨桶 二人 每三八日에 大衆浴水를 準備함
十二, 淨頭 二人 每三六日에 大衆의 洗濯水를 準備함
十三, 剃頭 二人 每月 初三日에 大衆을 剃髮함
十四, 磨糊 一人 大衆 所用의 糊造를 擔任함
十五, 鐘頭 一人 法會時에 一般準備를 擔任함
十六, 奉茶 一人 每日 一回의 大衆 飮茶를 擔任함
外護法班
宗主和尙의 指揮를 承하야 社務에 一切事를 掌理함
一, 院主 一人 社務에 一切事를 掌理함
二, 別座 一人 院主를 補佐하야 社務에 從事함
三, 米監 一人 大衆을 詳察하야 供米支給을 擔任함〈p.43〉
四, 書記 一人 社中一切 文簿를 掌理함
五, 園頭 一人 菜田의 耕種培養과 山菜의 採取를 擔任함
六, 菜供 一人 饌需料理를 擔任함
七, 供司 一人 食料料理를 擔任함
八, 負木 二人 柴木供給을 擔任함
第八條 結制中에 戒律 又는 規則을 犯하는 者가 有할 時는 宗主和尙이 此를 輕重에 依하야 處罰함
但 宗主和尙의 命規를 不從할 時는 大衆이 協議하야 山門外로 逐出함
第九條 此 規則中 未備한 點이 有할 時는 宗主和尙이 臨時로 規定하야 發表함
入會禪衆注意事項
0001_0007_b_01L
一, 禪衆은 切心工夫하야 見性通宗으로 最急務라 自認한 者로 一切公議와 一切寺中事에 干涉을 不得함
一, 民籍上에 妻子가 有한 者로 或 妻子가 來往하든지 或 書物이 頻煩하게 來往하야 禪衆의 道心을 紊亂하게 함을 不得함
一, 本結社에 入榜코자 하는 者는 請願書에 戶籍과 僧籍謄本을 添付하야 陰 八月 末日 以內로 提出하되 入榜承諾書는 陰 九月 十日에 發送함
一, 入榜承諾書를 受得한 者는 自 十月 一日로 至 十月 十日 以內에 道峰山 望月寺로 參集함
一, 入榜承諾書를 受得한 者라도 衣鉢坐具等을 携帶하지 않흔 者는 入榜을 不得함
一, 結制中에 梵行이 不潔하거나 精進에 懈怠하거나 社中規則을 遵守치 않커나 諸方에서 乖角으로 共認하는 者에게는 大衆과 同居함을 不得함
一, 私財 三石以上을 所有한 者로 禪粮을 納入하는 者는 入榜을 許하되 此에 不應하는 者는 入榜을 不許함
一, 殺生, 偸盜, 邪淫, 妄語, 綺語, 兩舌, 惡口, 貪, 瞋, 邪見하는 者와 飮酒食肉이 無妨般若라 하는 者는 同居함을 不得함
一, 半月마다 大小乘律을 說할 時에 此를 或 誹謗하는 者는 同居함을 不得함
一, 說法時에 問法決擇을 不許함〈p.44〉
 但 所疑處가 有할 時는 下堂後에 入方丈하야 決擇함이 可함
一, 坐禪時에 無故히 不參하는 者와 規則을 紊亂케하야 大衆을 煩動케하는 者에게 三諫하여도 不從하는 者는 同居를 不得함
一, 病者以外에는 佛供時와 禮佛時에 必히 參席함
一, 師尊과 老宿에게 不敬하며, 惡性으로 凌辱하야 大衆과 和合하지 못하는 者는 同居함을 不得함
一, 定日以外에 沐浴 洗濯 剃髮함을 不得함
一, 粥時에는 二種饌이오 飯時에는 三種饌 以上을 超過함을 不得하되 檀越供이 有할 時와 十齋日에는 此限에 不在함
一, 臺上禪院에서는 長時黙言하되 每月 四回의 說法日에는 少許에 言語를 通하나 高聲大言과 雜談을 不許함
 但 緊要한 事가 有할 時에는 言語者間에 出外通情하되 十五分以上을 超過치 못함
一, 雖 俗人이라도 五辛菜와 酒肉을 此 道場內에 携來하지 못함
一, 檀越이 衣服을 大衆의게 提供코져할 時는 維那가 禪衆에게 衣服 有無를 詳細히 調査하야 分給함.
但 偏信으로 別請施給코자할 時는 衣服을 受取하야 留置하얏다가 檀越去後 三日에 大衆中 衣服이 無한 比丘의게 施給함
京城府 鳳翼洞 二番地
活句參禪萬日結社會臨時事務所 發表〈p.45〉
佛敎消息 ; 活句參禪會의 移轉
『佛敎』 23호(佛敎社,1926.5), p.58.
白龍城禪師의 主唱下에 京畿道 楊州郡 道峰山 望月寺內에 活句參禪萬日結社會를 開催함은 本誌에도 己報한 바이나 道峰山의 森林은 保安林에 編入됨으로 禪衆은 多數하고 燃料는 不足하야 到底히 三年 一期를 充滿하기 難하므로 不得已 慶南 梁山郡 通度寺 內院庵으로 移住하엿스며 兼하야 三藏譯會의 事業도 그리 移轉하야 華嚴經 飜譯에 着手 한다더라(梁山)
朝鮮佛敎의 三時代
『佛敎』 31호(佛敎社, 1927.1), p.11.
三, 朝鮮佛敎의未來時代
朝鮮佛敎過去時代의歷史的知識과過渡時代의經驗的抱負를가지고未來時代의發展을計圖함에對하야는余는그前途의有望함을確信한다웨그러냐하면第一時勢와人物과가相伴並進하는것이다佛道란宗敎가비록늙엇스나원악그理諦가深奧하야諸敎의姆敎라謂할만한데現今歐洲에서도佛敎硏究者가不絶하야將且世界的宗敎로되야가는徵候가보인다朝鮮은本來佛敎國으로久遠한歷史를가젓는터이라이를當하야過去時代의求法高僧의往轍을蹈襲할人物이乘時輩出할時機가되얏다己往東京의佛敎大學의出身者도多大하거니와乃至歐洲及印度留學者가續出하야哲學博士學位지어더朝鮮社會에光彩를放하며將且復設될佛敎專門學校는人材養成의爐鞴가되야엇던훌륭한人物이産出될는지모른다現今敎門에在하야는朴漢永陳震應等師의熱心傳道를보며禪門에在하야는白龍城方寒岩白鶴鳴諸師가宗乘을擧揚함을보니余는朝鮮佛敎가將來有望함을斷言키에躕躇치안는다一般世人은朝鮮佛敎가墮落하얏다批評한다그것은皮相的觀察에不過하고참으로山門의淸規를직히고工課에不怠한實地的內容을모르는닭이다. 去年冬間에余는全羅南道長城郡에在한禪敎兩宗大本山白羊寺를巡禮하야본일이잇다當寺의淸衆은住持宋曼菴和尙의導率下에在하야和合一致되야共同心力으로써一大伽藍法堂寮舍其他을一新建築하야노코그淸規를직힘에는朝夕禮佛·一堂會食만아니라비록小沙彌일지라도法衣를입지안코는朝夕供養에叅與을不許하며工課를함에는晝參夜參의禪風과四敎大敎의講規를嚴格으로行함을보고余는心中에實地所見이表面所聞과相異함을늣겻다그리고朝鮮各寺가이와가튼風規를직히는줄을알겟다佛敎의主人인朝鮮僧侶의現下狀態는上述과如하니이것으로보아서佛敎前途의發展되야가는것을確信한다는一般俗人의佛敎에對한觀念如何를말하면李朝時代의佛敎壓迫하든餘習이얼마콤은存在한此時에僧行을向上식히고佛敎를發展식히는것은그責任이佛敎當局者諸氏에게在하니아모록僧師諸氏의努力前進함을바라는바이다.
佛敎彙報 ; 極北의 瑞光인 大興寺 念佛房
『佛敎』 31호(佛敎社, 1927.1), p.83.
朝鮮 北地의 極端에 잇는 會寧郡 東門外에는 淸信女 金有極 淸信女 鄭氏 博光華 兩氏의 熱誠으로 念佛房 一所를 精構하고 金氏 極樂行의 願力으로 白龍城和尙을 請邀하야 舊曆 八月 初三日에 奉佛式을 擧行하얏는데 信男信女가 千餘名이 出席하엿스며 厥後로는 每日 三百餘名式 集合하야 高聲念佛로 精進함으로 會寧一帶는 於是乎에 佛國으로 化한다하며 該 念佛房은 大興寺라 命名하엿다더라(會寧)
佛敎彙報 ; 三防布敎堂에 白龍城師의 講演
『佛敎』 39호(佛敎社, 1927.9), p.50.
京元線三防驛藥水浦에在한三防布敎堂에서는八月七日에白龍城和尙을請하야講演하얏다더라 (三防)
佛敎彙報 ; 大覺敎堂 奉佛式
『佛敎』 40호(佛敎社, 1927.10), p.52.
佛紀二九五四年 九月 十一日(日曜日) 午前 九時에 間島 龍井市 大覺敎堂에서 奉佛式을 擧行한 바 大盛況을 일우엇다는데 順序는 如左함
一, 右繞三 (大衆一同)
一, 奉安佛像
一, 坐佛偈, 獻供偈, 茶偈 (法要師)
一, 普禮 (大衆一同)
一, 發願 (大衆一同)
一, 普門品 (大衆一同)
一, 四多羅尼 (法要師)
一, 精勤 (釋迦牟尼佛) (大衆一同)
一, 念佛歌 (學生一同)
一, 祝願 (法要師)
一, 中壇三拜 (大衆一同)
一, 施食 (法要師 安寶光)
一, 說敎 (敎授師 鄭時經)
一, 贊演 (信徒中)
一, 閉會 (隨時)
(龍井市)
佛敎彙報 ; 大覺能仁敎堂 放生稧
『佛敎』 41호(佛敎社, 1927.11), p.51.
說法, 放生, 薦導會의 空前絶後한 大盛況
去舊 八月二十三日 午後二時부터 市內 鳳翼洞 大覺能仁敎堂에서 第六會 放生兼薦導會를 開催하야 同月 二十九日까지 布敎師 白龍城禪師가 懸河같은 熱辯을 吐하야 說敎한 바에 一般聽衆은 喜悲의 兩感이 참으로 胸中에 북바처 싸앗다하며 廻向日인 前月 三十日(日曜日)은 푸른 하늘에 一點雲도 끼이지안코 맑은 강우에 一陣風도 불지안는 조흔 날이엿는데 集會場所로 定한 舊龍山江邊에는 定刻前부터 人山人海를 일우어 立錐의 餘地도 업어 午前十一時頃에 秩序잇게 一般會員은 乘船하야 바람이 잠잠하고 물결이 고요한 江우에 三三五五의 船伴을 作하야 흘러가는 물결에 둥실 둥실 揚花渡를 目的삼고 떠나려 가면서 一邊放生! 一邊念佛! 好生惡死는 彼我一般이다! 가는 물결에 일렁일렁 떳다 잠겻다 잠겻다 떳다 하면서 爽快히 살(生)아가는 고기들은 보는 사람으로 하야곰 感謝의 禮를 表하는 듯 뵈인다. 於焉間에 三三五五의 짝을 지엇든 배들은 一齊히 楊花渡에 倒着됨애 한덩어리 배떼를 모와노코 靜肅히 水陸孤魂 薦導式을 擧行함에 一般觀衆은 極樂化의 觀을 일우엇다하며 式을 마치고 다시 舊龍山垾頭를 向하야 雁列을 作하야 도라오는 길에 大衆은 소래를 맛추어 念佛歌를 高唱함에 一時는 水國이 佛國으로 變하야 空前絶後의 늣김속에서 散會하엿다는데 時는 午后 七時頃이라하며 薦導式序는 如左하다고 (京城)

一, 開式 (午後 二時)
一, 三頂禮 (大衆一同)
一, 誦呪 (全上)
一, 獻供 (法要師)
一, 薦導儀式 (證明師 白龍城大禪師)
        (法要師 李鍾震師)
一, 大衆供養
一, 閉式 (午後 五時)
之一生, 조선글 華嚴經을 보고
『佛敎』 43호(佛敎社,1928.1), pp.16-20.
0001_0011_b_01L一切衆生으로하야곰 모다成佛케하는것이 如來의本願이오 一切衆生의根機를따라 가지가지로說하신 것이 法藏의眞義인즉 아모쪼록一切衆生의게示敎利喜하야사 이것이이른바衆生敎化이며 時代順應이며 永刼流通이다
그럼으로 佛敎는어느民族어느國土를勿論하고그所到處에는반듯이同化하고 또는同化시키나니 이것이다른宗敎보다佛敎의長處이며 다른文學보다佛經의特點이다
그러나 그特點과長處를發揮하야 一切衆生으로하야곰 各各根機를따라此를信仰하고 此를悟入케하는 것은 오즉翻譯이그러하나니 佛敎가支那에처음傳來하엿슬때에 一切의經論을翻譯지안코 오즉梵文學者만이 內典을能讀하게되엿든들 佛敎가어찌 그流通을廣히하며 그感化를深케할ㅅ수잇섯스랴
支那에잇서서는 言語, 文學, 地理의三種의關係로써 切實히一切經을翻譯할必要잇슴을感하고 佛法이始入하던 漢永平十年으로始하야 元의至元二十二年까지 約一千三百餘年의長時間과 一百九十四人의勢力에依하야 무릇千四百四十部五千五百八十六卷을繹成한 것이 東洋뿐아니라 世界藏經中에가장豐富完全한優勝의地位를占領한漢子藏經이오其他에蒙古, 西藏, 暹羅, 錫蘭等佛敎의流通되는곧에는 各各自己의文子로써一切經을翻譯하야 此를流通하기에專力하얏스니 무릇文子가다른곧에는 各各히一部의藏經이繹成된바인즉 朝鮮에잇서서도朝鮮文子가製作되기前에잇서서는 支那와同文의圈內에잇섯스니 大하야는藏經의開刊과 小하야는散經의流布가 依例히漢子로될ㅅ것은 다시말할ㅅ것도업지마는 朝鮮의文子가따로히成立된已上에는 무엇보다도먼저 一切經을朝鮮文으로翻譯하는것이 가장必要하며 眞擊할ㅅ바가아니랴〈p.16〉
그럼으로世宗朝께서 訓民正音을頒布한後에 即時刊經都監을置하고 一切經翻譯에着手하야 楞嚴法華·圓覺等經과 月印千江曲等을 彫造하얏지마는 華嚴經까지는翻譯하지못하얏스며 그後에個人的으로 行願品·地藏經·彌陀經等單行本을譯行한적도 種種잇섯지마는 일즉이華嚴經全部를翻譯한적은업섯더니 이제白龍城禪師가 大心大願을다하야 華嚴經全部를 純朝鮮文으로譯出하고 일흠을「조선글화음경」이라하얏다
眞實로朝鮮佛敎의 有史以來에처음잇는 破天荒의大事業이다 前에말한바와가치 國力或은個人의事業으로 얼마의翻譯이잇는것도 大槪는漢文을本位로한것이니 다시말하면漢字經文그대로 글ㅅ자의音이나朝鮮文으로쓰든지 좀더잘한것이라야經文은經文대로音을달고 그색임은小註로써 그뜯을簡略히通해주엇슬뿐이거늘 이제經의正文을字字하釋辭하야 누구나朝鮮文을아는사람이면 것침업시읽을수잇게되며 읽을뿐만아니라 深奧微妙한旨趣를 了解하게되엿슨즉 이로부터는如來의衆生을爲하사苦口叮嚀하시든本懷를 餘蘊업시畢露하며 衆生으로하야곰 佛門에곧留心하는者이면 비록知解宗匠을 親近치몯할ㅅ지라도 넉넉히如來의無上法門을 스사로悟入하고證得하게되엿슨즉 末世衆生을爲하야大利益을지어줌이眞實로莫大하도다
朝鮮人으로서 華嚴經에功勞잇는者는 新羅의元曉國師가䟽를撰述하야 海東䟽, 海東䟽하고 當時의 中外䟽鈔家들이 만히師表를삼을뿐만아니라 海東에華嚴初祖가되여서 華嚴宗의異稱을 海東宗·芬皇宗·元曉宗이라하기까지에이르럿지마는 華嚴經全部䟽를述하지몯하고 十廻向品에서그첫슬뿐이며 高麗에均如法師가 漢文이 深奧難解함으로 世人이普遍的了解치몯함을근심하야 朝鮮의方言으로 鄕歌를지은일이잇지마는 오즉行願品十願만이 至今에流傳될뿐이오(華嚴全部를方言即史讀로써解釋하야敎分記圓通鈔, 三寶圓通鈔, 十句圓通鈔, 上句圓通鈔, 等이잇섯스나 그後에그門人들이純漢文으로곤첫다함) 義湘祖師의一乘法界圖記, 明晶法師의 海印三昧論, 表員法師의文義要決問答, 見登之法師의一乘成佛義와近代諸法師私記, 隱科等이잇지마는 具軆的으로全部를譯成하야 一般의게利益을주재된〈p.17〉것은 이번으로써처음이라하지아니할ㅅ수업도다
或者는 그翻譯이多少의失當이잇서서 盡善盡美를 得치몯하엿다고 批評하는者도업지안타 그러나 筆者로서는 그批評도그르지아니하고 그失當도업지몯할事實이라하노라 그것은여러가지理由가잇슬ㅅ것이니 첫재 如來의所說은一字中에도無量의義를包含하엿거늘 朝鮮文으로翻譯한後에는單調롭게 한가지말로치우처질ㅅ것이며 둘 漢文은 語勢兩通으로된곧이種種할뿐만아니라 그것이漢文의特色이라하야도可할만한것인데 朝鮮語로翻譯된것은그릴수가업는것이며 셋재 原文에用語가朝鮮語로는그形容을그리지몯할ㅅ것이잇는까닭이니 이것이아즉朝鮮에는 文藝又文學的用語가不足한까닭이라하야 佛書翻譯이아니라 비록 日文, 英文을直譯하는者로도 恒常同感이잇는바여던 하물며梵文을漢文으로 漢文을다시朝鮮文으로 二重의翻譯이되는마당에 그原語와느팔팔결로틀릴 것도 免不得의 事實이며 廣할ㅅ것이略해진다거나 重複할ㅅ것이 單純해진다거나하는것도 免不得의事實일ㅅ것이니어世代가遙遠하고 俗尙·風土은갓것이 逈異한今日에 一個人의譯筆이 一點一畫이라도得當치아니한곧이업는 即이른바盡善盡美를求할ㅅ수잇스며 또한人各一心·心心不同의衆生界에서 甲一人의所作이乙乃至癸까지에 同異가업기를바라랴
더욱이近代의乖異한習尙한가지가잇는 것은 如何한事件을勿論하고 棄短取長하는 것이人道에當然한바임에不拘하고 人이一分의短이잇스면 그一分을가저서 九千九百九十九分의長을棄하려하나니 이것을일러서 勝己者厭이라할는지 或은末法의風氣라할는지는알ㅅ수업스나 이로말미암아 사라이나지안코 書籍이되지몯하고 敎法이發展은새로이漸漸더욱衰退해지는 原因이라하지아니치몯할事實이니 筆者는日常에이것을慨歎하야마지안는바이다
華嚴經을漢文으로翻譯하기도 무릇세번이엿섯스니 첫재에는 東晉佛馱跋陀羅의譯出한六十卷華嚴經이니 이것을 晋華嚴或은六十華嚴 晋經又는舊經이라하는者이오 둘재는 唐朝實又難陀의譯出한八十卷華嚴經이니 이것을八十華嚴或은 唐經又는新經이라하는者이오 셋재는 唐朝般若의譯出한四十卷華嚴經이니 이것을四十華嚴이라고도或稱하는者〈p.18〉이라 그런즉 後譯者로서前譯者의벌서譯出한것을알지몯하고 다시譯出하엿다고는할수업는것이니前者가벌서譯出한줄을알면서도 此를 再譯三譯한것은반 듯이理由가잇슬 것이다 이제六十華嚴과八十華嚴을가저 서로比較하야보면 그終始는大同하지마는具와略이相違하는點을보아도 前後譯者에잇서서어한생각을가지엇든것을 可히推想하기에어렵지안흘ㅅ것이며 더욱이 四十華嚴으로말하면 다만前二種華嚴中에 入法界一品만을詳說한 것을 보아서더욱明若觀火의일이라할ㅅ수잇다 그런즉 當時의譯者들로말을하면 모다聖僧일ㅅ것은擬議도할ㅅ바아니지마는 더욱이梵文의原典을가지고 訂義、潤文의모든巨匠을 一傷에會合하며 더욱이奉詔譯出한것이로대 往往에梵語의 楚夏와 漢字의誤置가생겻거던하물며 二重의譯이될뿐아니라 梵文도모르고 訂義、潤文도가추지아니한現傷에서 龍城和尙의片手單拳으로此를譯成한 것은 그야말로「功不在禹下」의讚辭를드리지아니할수가업다 그翻譯에對한 異議를가진者여 前에말한바와가치 如來의經典은아모쪼록 一切衆生에게開示悟入케하기를本旨로한것이오 惡魔의蠱毒이나外道의符呪처럼 但只執行하는者만이알뿐이오 他人의게는 極秘極諱하는者가아닌즉 他人의事業에批判을내리는것보다 차라리自己도發願奮力하야 精益精、完益完으로再譯三譯을 圖成하는 것이可치아니한가한다
說話가조곰冗長하야질지라도 어느尊師의言을 此에附論코자하노라 그尊師는말하기를「經典을朝鮮文으로翻譯하야 人人易曉케하는 것이 美則美矣오善則善矣지마는 文字를稍解하는이들이 譯本에依하야幾卷經이나讀過하고 幾句話나得聞하야 佛敎의術語나무엇인줄을分揀하게되면 於是乎에自慢心들이增長하야法師·講師에게尊重瞻仰하는觀念이減退하야저서 比丘를尊重視치아니하여 究竟에三寶를信仰치아니하는蔽害가發生한다」한다 그럴分도업는것은아닐ㅅ것이다마는 經偈를듯지몯하고 文字를알지몯하는者의게만 瞻望과信仰을 博得하고 조곰아는者의게는얻지몯한다하면 그信望과瞻慕라는것은 眞所謂不直一文의것일ㅅ것이며 그것이墮落될ㅅ가하야 經敎를一般에普及케하기를躊躇한다하면 그것은그立地와그宅心을무엇으로形容할수업는 鄙陋〈p.19〉齷齪愚痴한者이라아니할ㅅ수업다 佛敎는少數人比丘로하야곰 多數한民衆의게盲目的信仰尊重을밤기爲하야發生한것이아니오 一切衆生으로하야곰如來의大圓覺海에同入하기를願한것이다 佛菩薩의本願이이러할뿐이다 萬一佛敎의始通하든그때로부터모다그것에趦趄하고그것에 顧慮하야 한사람도經典을翻譯하지아니하고 梵文의原典을그대로두고 오즉梵文·梵語를工夫한者以外에는 如來의法門을알지못하게되엿든들 佛法을아는者의權威와信望이 世界에더욱놉하젓슬는지는알ㅅ수업지마는 如來의本懷에違反됨을因緣하야 佛敎라는 것은世界에絶滅된지가발서오래엿슬 것이다 低聲低聲하라 鼎鐺나니라 佛敎에아모 素養이업고 佛敎界에아모名望이업은 一個野僧으로서 그런말을한다면 筆者는 오히려 한귀로흘리려한다 그러나 素養이오래고造詣가깁고 名望이놉흔 尊師로서는 이러한語句가 發諸口하고보니 筆者로서는果然尊師의게 平日素望하든바가아니다 尊師여아모것도모르는者의게向하야 千千萬萬의瞻仰을받으랴하지말고 조곰識法하는者의게서 一個半個의承事라도받는 것이 그得失經重이엇더한가를스사로 比較하야볼ㅅ지어다
朝鮮佛敎對朝鮮社會 朝鮮民衆에는온갓것이모다緊切치아니한것이업지마는 時代에順應하고民衆에普及케하랴면 오즉書籍의一門을除하고는 何等의 妙術이업는것은 巧智를기대리지안코알ㅅ바이라或은純漢文그대로 或은鮮漢文交用으로 或은純朝鮮文으로 或은解釋으로 或은講義로 或은通俗으로 或은意譯으로 人與人이此에 湊心力하며 日復日로此가 雲興泉湧하야 全朝鮮民族으로하야곰各各自己의根機에따라就讀하여서 一夫一婦라도佛敎의經典을보지못한者가업고 알지못하는者가업게되야사於是乎에朝鮮佛敎는다시佛敎다와질ㅅ것이오 朝鮮佛敎徒의信仰이다시隆高하리라 愚者의讀美를받느니보다 智者의呵責을받는것이나흐리라
最後로朝鮮佛敎를爲하야 朝鮮社會를爲하야 朝鮮民族을爲하야龍城和尙을祝賀하노니 朝鮮佛敎界에龍城和尙一人이잇는것을祝賀함이아니라 이어서第二第三乃至無數한 龍城和尙이出世하기를祝하노라〈p.20〉
佛敎彙報 ; 三藏譯會에서 朝鮮文 華嚴經 刊行
『佛敎』 43호(佛敎社, 1928.1), p.69.
白龍城禪師의 後半生(必死的 努力의 結晶體)
朝鮮佛敎의 經典은 漢文藏經뿐임으로 佛敎眞理를 硏究하랴는 義學之徒에게는 難澁汪洋의 嘆이 不無하고 發展 또는 向上에 莫大한 支障이 不無한 故로 이에 깁히 늑기고 痛歎히 역인 (市內 鳳翼洞 二番地에 居住) 白龍城禪師는 六旬有四의 高齡임도 不顧하고 老當益壯의 那羅延力으로 모든 周圍에 難關과 環境의 複雜한 것을 勇敢하게 突破하고 丙寅 四月十七日부터 華嚴經 飜譯에 着手하야 爾來 一年 八個月 동안 幾多의 魔障을 무릅쓰고 不斷의 誠力을 專注한 結果 去 十一月 十三日에 飜譯의 終畢을 告하게 되엿스며 因하야 卽時 一面으로 印刷에 着手하야 적어도 陰曆 今年 歲前으로는 全部가 完成이 되리라는대 支那佛敎가 朝鮮에 輸入된 以來에 朝鮮文으로 華嚴經을 飜譯하기는 禪師가 처음인 것만큼 將來 朝鮮佛敎界에 잇서 無價의 寶藏인 것만은 一般이 한가지 깁버하게 되엿더라
佛敎彙報 ; 조선글 화엄경 講義會
『佛敎』 48호(佛敎社, 1928.6), p.96.
京城府 鳳翼洞 二番地 大覺敎堂 白龍城老師의 組織인 三藏譯會에서는 從來에 幾多의 經典을 譯出하얏스며 華嚴大經을 純朝鮮文으로 譯出하는 것은 一般이 早知하는 바인데 陰 二月 二十日부터 同 三月 十七日까지 該敎堂에 「조선글 화엄경 講義會」를 開催하고 講師 白龍城·李春城·李根雨 三師의 講義와 講演으로 一般 聽衆은 未曾有를 得하얏스며 그 回向 卽 三月 十七日 夜에는 該敎堂에는 日曜學校의 生徒의 祝賀와 餘興까지 잇섯더라
佛敎彙報 ; 大覺日曜學校 設立
『佛敎』 48호(佛敎社, 1928.6), p.97.
京城府 鳳翼洞 二番地 大覺敎會內에는 去 四月 十五日부터 大覺日曜學校를 設立하고 現在 男女學生 八十餘人을 敎授하는데 顧問은 白龍城, 李仁杓, 李萬升, 高鳳雲, 崔昌雲, 校長은 李根雨, 敎師는 李春城, 安壽吉 諸氏이며, 五月 六日에 第一回 學藝會까지 開催하야 하모니(獨奏), 자수노래(獨唱), 동화(五色사심이), 유희(밝은달 獨唱), 딴쓰, 뻬니쓰, 요술, 연극 等을 觀衆의 喝采裡에 興行하엿다더라
退耕, 朝鮮의 律宗
『佛敎』 56호(佛敎社, 1929.2), pp.13-14.
0001_0015_b_01L그러나인제부터는 正論格으로된 朝鮮現代에堂堂하게 相傳하야나려오는 朝鮮自立의律宗인 大隱律師의戒脉을 쓰랴한다.
大隱禪師는 元來에全南月出山에서出家하야 錦潭禪師의게剃染하고는 蓮潭·白蓮·義菴·朗巖·玩虎·蓮坡·모든大德을遍叅하고 도라와서는錦潭禪師의게拈香하야 開堂提接을만히하였다. 그리다가는敎를捨하고 禪을硏究하기爲하야 師資가한가지 智異山七佛禪院에安居하다가 夏安居를마치고는 本那의戒脉이模糊함을歎息할뿐아니라 慈藏·眞表의聖莂受戒를羨慕하야 佛前瑞應이古人의게만 專美할理가업다하야 師資한가지 祈禱를始作하야 感應을求하되 누구나感應을먼저빋는이가 戒師되기를相約하고 七日이圓滿함애 一道의祥光이 大隱禪師의頂上에來燭함으로 本來에師傳이던錦潭禪師는 도리여 그弟資인大隱禪師의게 戒를받게되엿스니 마치前에말한바 新羅의朗智大師가 도리어智通沙彌의게 禮한것과一般이다. 그리하야於是乎에 朝鮮自立의戒脉이儼立하야 至今까지相傳하야왓스니 그戒脉을紹介하건대
大隱 錦潭 艸衣 梵海 霽山 虎隱 錦海 曼庵
翠雲 大蓮 起龍
錦峰 寶潭 冠城
龍城 震應 ─
應海 外數十人
南泉
外四十餘人 〈p.13〉

師資相承하야 멀리優婆離尊者를 宗祖로하는데 어떠한門下라도一般이겟지마는 작고작고여러百年을 사람과사람으로傳해오니보다는 聖像의瑞應을갓가히받은것이 얼마나神聖하며 더욱이朝鮮佛敎의自軆로서는 萬般을朝鮮佛敎가스사로釀出한 것이 얼마나한朝鮮佛敎다운氣分이랴 그리멀지도아니한갓가운過去에서 大隱律師가能히 慈藏·眞表의餘烈을이어서 朝鮮의律宗을 儼然히自立케된것을 이朝鮮佛敎의自立임을 힘잇게말하야 正論을삼는바이다.〈p.14〉
백성욱, 譯經의 必要는?
『佛敎』 58호(佛敎社, 1929.4), p.20.
近者에잇서서 大衆的으로 宣傳할機關인즉 出判이엿나니 文化의輸入도이길을通하엿고 眞理의宣傳도 이길을通하는것이다. 出版의利器를 아직使用치못할時機를 暗黑時機라하고 이의反對를文明期라함도 有理한判斷이다. 이와가튼例로 佛敎界를 視察한다면 出版에對하야 全然沒交涉한듯하다. 이에對하야 늣긴바잇서서 一二의譯經會가譯經을發起하고 他方面에서 佛敎總著述集을 刊行하고저 發起한일도업지아니하다. 그러나 今日에잇서서 그들의成績을 推究한다면 三藏譯會에서 自慢할만한卷數를 내인以外에는 다른곳에는 亦是痕跡을 보이지못하엿다. 이와가튼活動의反面에잇서서는 不少한金錢을 消費하엿나니 亦是遺憾千萬이다. 이와가튼 先轍이잇슴으로 뒤를繼續할勇氣가損傷된것으로 말하면 倡道者가 如干한設備가 업서가지고는 大衆의信望을 받을수업슬만치되여잇는 現狀이다.
錦繡山人, 拾遺錄
『佛敎』 61호(佛敎社, 1929.7), p.58.
說戒
去六月七日부터 九日까지三日間을亘하야 平南平壤府倉田里楡岾寺布敎堂에서는 金東宣, 白龍城, 朴寶潭三師를爲始하야七證師를 招請하야모시고 金剛戒壇을設立하얏다. 그리고優婆塞戒로부터沙彌戒比丘戒比丘尼戒를說한바 受戒弟子가無慮三百餘名에達하엿다한다. 此는平南佛敎界의初有盛事라고하겟다. 月前에奉先寺에서도說戒하고 海印寺에서도說戒하고 通度寺에서도說戒한지라 平壤에서說戒함이何等의希有事리요마는 또는知而不行이罪莫甚焉이라 澆季末世에行치도못하는 戒만說하면무엇하느냐고하겟지마는 佛敎의戒가무엇인지듯지도못하든 平壤人士의게戒를說함은 希有한中에도希有한일이라하겟스며 더욱히異敎徒가 一大勢力을잡고 佛敎를餘地업시 抑伏하려는곳에 十大法師가出席하야 嚴淨한毗尼를說하야 邪魔를降伏케함은 意義잇는가운데더욱이價値잇는일이라고생각한다. 平壤敎堂에서說戒하게됨은 全혀當地布敎師金寶蓮和尙의周旋이며努力인데 說戒의動機를말할것가트면 異敎徒가와서 매양말하기를 우리는洗禮法이잇고 十戒銘이잇지마는 너히는무엇이잇느냐고무럿다한다. 그래서우리는五戒와十戒와二百五十戒와菩薩大戒等의入道儀式이잇다고對答한즉 그러면그것을엇지實施하지아니하느냐고하며 더욱히佛敎信徒側에서 이러한受戒式을 實現하야보자고 벗석들고이러나는지라 寶蓮和尙은此에感動되야 戒를說하기로決心하고 東奔西走하며 百千가지의辛苦로써 十法師를請하고 受戒弟子를募集하야 그와가티盛大하게受戒式을行하야 平南佛敎界에一大瑞光을노케한것이라고한다.〈p.58〉
八日佛事와 設戒大會
『佛敎』 61호(佛敎社, 1929.7), pp.66-67.
海印寺 一沙門
0001_0017_b_01L去四月八日을爲期하야 佛弟子된우리로서 이날을紀念祝賀한것은 當然한일인지라 各其誠心誠意로佛事를마춘것은 更論할것이업거니와 特別히말할것은 이번佛事를機會로本寺에서 開催한說戒大會에對한일이다.
이時代가 聖人을맛난지때오랫고 世態가또한洶洶하야 이末世에處한昏迷한衆生들이 各其갈바를찻지못하고 彷徨하게된이지음에 이風潮ㅣ또한우리佛敎界에波及하게되매 僧侶들은道德的觀念을全然이이저버리고自行自止함이恰似히 宗敎人의本旨까지일흔듯하며 衆人의압혜서戒行을破하고도忌憚한바업시泰然自若하야 甚한데에는破戒함을도로혀自慢하여 이로써僧侶界에豪傑인듯自處하게되는惡風이날로盛行하야우리僧侶들은오히려 反省할줄까지忘却한것가튼感이不無하게되엿다. 그리하야反其也宗敎로써가장붓그러운일로알 當局에서그戒行을監視하게까지 悲境에이르러서도 아즉껏이것이侮辱인줄을깨닷지못하니 이엇지槪歎할일이아니랴 모름즉이 우리는압흐게反省을아니치못할지니라 僧侶에게戒行이잇슴은 太陽에熱이잇슴과가트니 만약太陽에熱과光明이업다할진대 엇지太陽의存在한價値가잇슬것이랴 그와가티僧侶에게信心과戒行이업다할진대 世間에헤매이는 俗人에다름이잇스랴
그리하야 희미한우리僧侶의 存在를밝히기爲하야即佛敎의宗敎的實際가날로頹廢하여감을 憂慮하야戒行을떠나서 別로히眞理를求하기어려운情神을알리고 律宗의再興을公圖하야써 斯界에萬分의一이라도도음이될가하야 우리海印寺에서는이번佛事를利用하야 說戒大會를開催하엿든것이엿다.〈p.66〉
說戒和尙은 龍城大禪師를모시여 大乘戒와具足戒를說하야 受戒大衆이合二百餘名에達하얏섯다. 說戒和尙의至極한法門과 受戒大衆의至誠스러운精進은본者로하여금 이로부터우리佛敎界의一大革新이 이러나리라는期待가 저절로마음가운대에늣기게하엿다 實로預期한以上의好果를얻엇다아니할수업다. 이로부터 本寺에서는每年說戒大會를開催할豫定이며 이로써將來律宗의後繼를永續케하려는計劃을세웟다 넓이또한기리이微意를알리워함께 우리佛敎界의淸淨을期하자.〈p.67〉
宗報 ; 大覺敎堂의 禪會
『佛敎』 62호(佛敎社, 1929.8), pp.76-77.
市內 鳳翼洞 二番地 大覺敎堂에서는 去 四月부터 七月지 夏安居 禪會를 開하고 多數한 信者와 가치 坐禪을 行한다는데 그 安居 修禪은 左와 如하다더라
午前部
四時 起寢, 五時 禮佛入禪, 六時 放禪, 七時 進供, 十時 入禪, 十一時 放禪 十二時 供養
午後部
三時 入禪, 四時 放禪,〈p.76〉五時 說敎, 六時 夕供, 八時 禮佛入禪, 九時 放禪就寢〈p.77〉
宗報 ; 조선글 화엄경 廉價提供
『佛敎』 62호(佛敎社, 1929.8), p.77.
市內鳳翼洞二番地大覺敎堂에서는 白龍城禪師가一生의心力을다하야 飜譯한조선글화엄경(十二卷으로된一秩)을發刊하야 從來定價十七圓五十錢에 提供하든것을今後부터殘部을整理하기爲하야 半額도못되는八圓에提供하야讀書界의 福音을傳한다더라 (但送料는請求者의負擔)
광고 ; 삼장역회에서 『팔상록』 개정판 광고
『佛敎』 75호(佛敎社, 1930.9)
訂正再版
白龍城 譯 八팔 相상 錄록 壹冊 定價 壹圓 送料四錢
滿天下信男信女의 愛讀하시든 八相錄이 絶品된지 오래도록 다시 出世치 아니함으로 渴한듯 狂한듯 求하는 者- 四遠에 沓至하더니 이제야 再版이 되야 다시 여러분의 法欲을 채어드리게 되엿슴니다
發行所 京城府 鳳翼洞 二番地 三藏譯會
김태흡, 國境沿岸의 傳道行脚記
『佛敎』 88호(佛敎社, 1931.10), pp.60-61.
0001_0020_a_01L지난일은 如何하엿든지 講座準備나하자하고 張君과가티邑으로나려가서 場所交涉과 宣傳廣告를한後에 婦人會의幹部되는분을 차저보앗음니다 鐘城佛敎婦人會는 새로組織된이만치 그熱誠이 如干이아님니다 그래서 이날의 午後一時에는普通學校에서 修養講話를하고夕에는 公會堂에서 「佛敎의因緣觀」이라는題로 講座를열게되엿는데 司會는 當地佛敎婦人會長인 申喜子先生이 마타하고, 開會辭까지하여 주엇음니다 그래서 聽講者도 佛敎會員이半數以上이나되고 따라서 熱心히 드러주엇슴니다
七月十四日 이날午前에는 鐘城一邑을 巡覽하고 間島땅인 豆滿江건너對岸을 갓다와서 會員의家庭訪問을하고 여러가지로 信仰談話를 논앗음니다 그리고저녁에는 다시 公會堂에서 「轉迷開悟」라는 講題로 第二回의佛敎講座를열고 佛敎敎理에關한 講義를 論述하엿음니다 聽衆은昨夜보다 倍나부러서 三百五十名 가량은 되는것갓햇음니다 그런데 三峰驛에잇는 佛敎婦人會에서 우리곳에도 와서 講座를 하여달라는 招請이잇음으로 十五日저녁에는 三峰서 講演을 하게되엿음니다 이곳에서는公立普通學校에서 婦女會와 合同하야 特別히 婦人會員만 모와서 「修養의三心」이라는題로 講演을 하엿음니다 이때에 마침北間島龍井村大覺敎堂의 幹部로잇는 成舜基氏가 와서보고 이곳가지 왓다가 우리大覺敎堂을아니보는것은 甚히遺感되는 일이라하며 同行을要求함니다 그래〈p.60〉서不得已하야 龍井까지가기로하얏음니다
七月十六日 이날아침에는 鐘城佛敎婦人會員과 三峰婦女會員을作別하고 北間島龍井村으로 드러갓음니다 그래서 光明女學校에잇는 張英俊君을邂逅하야 龍井의市街를 一巡하고龍井公園과海蘭江과 普照寺까지 巡覽한後 夕에는 大覺敎堂에서 「大覺의意義」라는 題로 講演한바 會員만 모왓다고 하는데 聽衆이 二百名以上이나 되는것 갓탯음니다 龍井滯在時에는 張君과成氏와金重權氏及李氏의도음이 만앗음니다
七月十七日 이날은 龍井서 떠나서 會寧으로드러갓음니다 會寧驛에 나린즉 白泉寺住持全東植氏와 會寧敎堂의李世用氏가 여러婦人信徒와가티 나와서 迎接하야줌니다 夕飯을 마친뒤에 講演場所로 引導함으로 八九時間을휘둘려온몸이지마는 豫定이豫定인故로 「佛敎의內的生命觀」이라는題로 講演을 하엿음니다 聽衆은 아마三百名以上이나超過한것갓음니다
七月十八日 이날은 期於히 說法會라도 더한번 여러주고 가라고 懇請함으로 乾鳳寺出張布敎堂으로 모혀서 地藏說法會를여럿음니다 事實이이와 가티된故로淸津과羅南에기신분의게는 如干한 未安을 드리지안케되엿음니다 그래서날자가임의틀녀진故로하로밧비白頭山이나 올라가자하야 十九日에는三人一行이 鷄林行車를타고 北鮮炭鑛을 求景하고 豆滿江沿岸을끼고도라서甫乙下山城을 차저드러 圓覺寺에서 一宿하엿음니다 그리고 二十日에 圓覺寺를 떠나서 徒步로八十里를거러서 茂山豊溪面 松鶴洞에서宿泊하고二十一日은 松鶴洞서떠나서 徒步로 泰山俊嶺을 두셋이나 넘어서八十里를 經過하야 茂山邑으로 드러왓음니다〈p.61〉
김태흡, 北鮮一帶 傳道 巡講記
『佛敎』 89호(佛敎社, 1931.11), pp.47-48.
0001_0021_a_01L八日二十二日 오날은 咸興서여러先生의뜨거운 餞別속에서 섭々히 辭別하고 京城行車를타고 元山을 向 하야감니다 元山驛에나려서 山祭洞에잇는敎堂을차저가니 이곳에는 釋時鏡和尙이잇어서반갑게마저줌니다 師는 亂麻狀態로잇든 敎堂의모든일을 整理하고 새로운抱負와새로운信徒組織 으로써 理想的傳道를하고잇음니다 師는龍井敎堂에서 六七年동안을 奮鬪努力한이만치經驗도만코 修養도만은분이라 布敎師로는 相當한 抱負와 實力을 가지고잇음〈p.47〉니다 이곳서 一宿한後二十三日夕에는 「佛敎와現實生活」이라는問題로 講演을 하엿음니다 이곳에도 청중이 無慮四百五十名은 모힌것갓음니다 二十四日은釋王寺로 드러가서 小納의일에對하야궁금하게녁이든 諸位尊師의게 白頭山이얘기와 傳道하는 狀況을 詳細하게들녀드렷음니다 그리고 一夜를 經過하엿음니다〈p.48〉
朝鮮佛敎
僧侶肉喰妻帶の可否
『朝鮮佛敎』 26호(朝鮮佛敎社, 1926.6), p.23.
-歡迎投稿-
半島の佛敎界にも、時代思潮の大濤が押し寄せて來た。現下朝鮮に於て、從前三十本山の住職たる者は、戒律を嚴持する淸僧で無けれならぬも云ふこもが、寺法の明文に規定されて거たのであるが、近來追タ內地留學出身の靑年僧侶が歸來して、それく故山に入る者が多くなつた事も近因をなし、內密に婦女を蓄へ、僧戒を紊る者が增加するので、寧ろ寺法を更改して肉喰妻帶を公許すべしも主張する者尠なからず。本山側から、當局の諒解を求むる運動をなすに至り、之に對し禪界の有力者なる白龍城師を中心もする百餘名の僧侶は、奮然蹶起して、是が反對運動を試みるも云ふ狀態にまで立ち至つたのである。
僧侶に肉喰妻帶を公許するが、果して是乎、せざるが、非乎。乞ふ、滿天下の僧俗諸賢、各位の抱懷せらるゝ處を、堂タ本紙上に披瀝論議せられよ!
□ 投稿は左記へ御發送あれ(當分期限を定めず)
京城長谷川町一七 朝鮮佛敎編輯局
大海一瀾 ; 參禪萬日結社會移轉
『朝鮮佛敎』 26호(朝鮮佛敎社, 1926.6), p.60.
京畿道楊州郡道峯山望月寺內に道場を設けてあつた、活句參禪萬日結社會は、本誌旣報の如くであるが今般事情により慶南梁山郡通道寺內院庵に移轉することとなり、隨つて三藏譯會も移轉した。
朝鮮僧侶肉喰妻帶問題批判
『朝鮮佛敎』 27호(朝鮮佛敎社, 1926.7), pp.2-6, p.11.
朝鮮僧侶肉喰妻帶問題批判
半島精神界の大波瀾 朝鮮佛敎興廢の危機
0001_0023_a_01L朝鮮の僧侶肉喰妻帶問題-本末寺法を更改して、妻帶者をも一寺の住職ごなり得るこごゝなつたに就いて、僧俗間に可否の論續出して互に下らず、白龍城師一派の如き、猛烈な反對運動さへ見るに至り、半島精神界近來の大波瀾な卷き起した。是れ實に朝鮮佛敎興廢の危機であるごさへ觀られて居る。此の秋に當りて、その贊否兩者の主張及び屇外中立の立場に在る內地側各宗名家の所感、並に宗敎行政當局の方針等な載錄紹介するこごは、決して無益にあらざるべきな信ずるものである。(記者識)

朝鮮僧侶の肉喰妻帶に就て
主幹中 村 三 笑


現代の世界思潮は、滔タごして我が半島にも押し寄せ來りて、別天地の感ありし朝鮮佛敎界も亦將に此の怒濤のために飜弄せられんごする勢を示すに至つた。近來朝鮮僧侶の間に起つた肉喰妻帶問題の如きは、卽ち其の一例であらねばならぬ。此の 〈p.2〉問題は、三十一本山の要望に依りて、其筋に於ても旣に之を認め、言論界も亦人間自然の要求なりごして、之に贊成の論を揭ぐるものもあるに至り、今や朝鮮僧侶も、公タ然肉喰妻帶御免ごならむごするの觀がある。蓋しその要求の起りたる動機に就て之を聞くに、三十一本山の一たる某寺の住持に、內地に留學して歸來したる某靑年僧侶を推薦したるが、其の靑年僧侶は、妻帶者であつて、朝鮮寺法の『肉喰妻帶者は住持たるこごを得ざる』法規に抵觸し、爲めに此の靑年僧侶の住持就任問題が、非常に行惱んだのであつた。是に於て乎、朝鮮の僧侶も時世の要求に隨つて、肉喰妻帶を認めざれば、將來有爲の人物を以て、本山の住持に擬するこごが出來ぬであらうごいふこごが、其の動機ごなつたのであつた樣である。然るに今日の住持は、事實肉を喰み女を畜へざるものは甚だ稀にして、旣に戒法を犯してるる、然るに正式に依り妻帶したる者も、寺法のために住持の資格を認めず、而も內密に蓄妾肉食をなすものは、住持就任毫も差支なしごあつては、不合理も甚だしごいふ靑年の主張が勝を制し、斯くて其筋にても公然之を認めらねんこごを要望したのであつた。然るに之に對して一部僧侶の間に反對說を唱へたり、または總督に陳情するものがあつたので、玆に朝鮮僧侶の肉喰妻帶可否の論に花を眹かすに至つたのである。今日肉喰妻帶可否論を上下するは甚だ無用の如きも、朝鮮佛敎界ごしては、信仰上多大の影響ある問題にして、相當重要視べきこごなるを以て、玆に禿筆を柯して一言を䩀さんごするもである。


吾人は、此の問題を大局高處より觀察するために、肉喰妻帶の本家本元たる內地の佛敎に就て、其の現狀を少しく考察するの必要があるご思ふ。旣に讀者の承知せるが如く、內地の佛敎中淨土眞宗に於ては、宗祖親鸞上人が、公然肉喰妻帶を主張せられ實行せられたのであつた。卽ち此の宗門に屬するものは、肉喰妻帶を以て、民衆本位に立てる此の宗門の特色ごしてるのである。是れは親鸞上人獨特の宗敎的權威に依るものであつて、人間生活を離れては佛敎なく、佛敎を離れては人間生活なしごいふ核心を攫んでるるのである。是れ淨土眞宗が民衆本位に立てる宗門ごしては、特に隆盛を極むるに至つた素因の一で 〈p.3〉あるが、其の他の宗派に至りては、戒律を嚴守するを以て、宗門の特色ごなし、亦之に依りて古來崇高なる信仰生活が行はれ、其の崇高なる信仰生活が、また偉大なる人格の表徵ごして尊崇敬拜されて來たのであつて、聖道門の特に誇りごするに足るごころのものであつた。然るに內地に於ても、明治維新以後歐米思想の影響を受け、今や眞宗以外の各宗派に於ても、淨土眞宗のそれに傚つて、肉喰妻帶をなすもの益タ多きな加ふるに至り、今や滔タごして其の風をなし、戒律を尤も喧ましく云ふごころの眞言宗の如き宗門が、寧ろ盛に之に做ふに至り、其の行特の他の宗門に比して尤も勝れたりご稱せられた臨濟宗の如きらへ、近來漸く其風を見んごする傾向あるに至つた。是は實に聖道門の衰退を意味するものにして、誠に遺憾のこごゝ云はねばならぬが、最近に至り注目に値すべき一の新現像が、內地の佛敎界に起つて來た。其れは、古來戒律を嚴守するを以て、其の生命ごした聖道門の各宗門が、滔タごして其の戒律を破りて眞宗に傚はんごする反面に於て、淨土眞宗の如き肉喰妻帶御免の宗門に於ては、反對に近來戒律を論ぜんごする傾向を見るに至つたこごである。戒律を喧しく言ふ宗門が淨土眞宗に眞似んごし、眞宗の如き戒律に餘り重きを置かなかつた宗旨が、却つて戒律を論ずるに至りたるは、甚だ興味ある問題ごして、吾人の大に注視しなければならぬごころである。蓋し是れは時代思想の要求から來たものであらう。卽ち時勢が、今や宣傳的理論の時代を過ぎて、實踐躬行の時代に這入つて來た。口先の議論や文書の上の宣傅位では、最早や何等の效果も無くなつたのである。只だ力あるものは實踐躬行のみである。言ひ換ふれば、百の說法よりも一の實行が必要で、卽ち實踐躬行でなければならなくなつた。是れは善いこごにも惡いごこにも其の傾向がある。淨土眞宗が、近來戒律を論じ、また之を其の生活の上に實現せんご努めつゝあるのは、只だ口先や文書だけの敎化では、畢竟效果がない。ごうしても僧侶自身の行から正して置かねばならぬ。卽ち實踐躬行による實際敎化でなけれぱならぬこごに氣付いた結果であらう。卽ち肉喰妻帶の如きは、宗祖の權識より公然實行された淨土眞宗の生命ごして誇るべきこごも、僧侶自らの生活を顧り見て、其の世間衆俗ご何等異ならない生活が、一般をして尊崇の念を溥からしめ、然かも辨說や文書やに依りて敎化せんごするこごの、餘りに矛盾せるごころ多きを感じた爲 〈p.4〉であらう。卽ち其の缺陷を戒律に依りて補はんごするのである。然るに其他の宗門に於ては、却つて眞宗のそれに傚はんごしてをる。是れは道心の廢頹低下せるご同時に、從來の禁慾主義は、人間生活ご矛盾するものである。人間生活を離れて佛敎なく、佛敎を離れて人間生活なきに、徒ちに禁慾主義を固守するは、寧ろ眞理に悖るものである。時代に目醒めたる宗敎家は、寧ろ人間生活を營むを以て眞理にかなつたものであり、自ら人間生活を營んでこそ、眞に一般民衆を敎化するこごが出來るごいふのである。かくて極端なる禁慾主義の反動ごして此の現象が現はれて來たのである。斯く觀察し來れば、淨土眞宗の如きが戒律を論ずるやうになり、其他の宗派が從來の禁慾主義の舊殼より脫出して人間生活の眞只中の飛込まんごする、此の奇異なる現象は、內地佛敎の一進展ごして、吾人の大に興味を感ずるごころである。何ごなれば兩者は共に舊殼より脫却して、玆に一新生命を打出し、之を發揮して以て斯道の擧揚闡明に努力せんごする曙光であるからである。


然らば朝鮮の佛敎を、內地の佛敎ご同一にして論ずるこごが出來るであらう乎。是れは吾人の大に疑問ごするものである。內地の佛敎ご朝鮮の佛敎ごは、其の發達の事情を異にし、現狀に於て特に同一に之を論ずるこごの出來ない種タの事情が橫つてるるのである。故に此の肉喰妻帶問題の如きも、內地のそれを以て直ちに朝鮮に適用するこごは出來ない。朝鮮の佛敎界は朝鮮の佛敎界ごして、之を論究しなければならぬ。吾人が佛敎僧侶の肉喰妻帶の可否を論ずる所以は何處にある乎。此の問題に就て、當局は旣に其の必要を認められ、從來一の障害ごなつてるた寺法の一部改正を認め、妻帶者の本山住持たるこごを得るに至つたご傳へられたのである。隨つて朝鮮僧侶の肉喰妻帶は、今や法規の上に於ても、全く差支なきものごなつたのである。然れごも玆に一考を煩すべきこごは、當局者も、操觚者も共に之れは僧侶でないごいふこごである。殊に言論界に至りては、佛敎界の門外漢にして、肉喰妻帶を可ごするも不可ごするも、何等痛痒を感じないのである。只だ門外漢ごしては僧侶の禁慾生活なるものが、如何にも人間生活を離れたる一種の矛盾を認めなくてはならないし、時勢は一種の要求をなしつゝあるので 〈p.5〉あるから、批評家ごしての立場より、禁慾生活を駁論し、肉喰妻帶に贊意を表するは、毫も怪むに足らぬこごである。また當局者は、信敎の自由を認め、宣敎の自由を與ふるのみで、世道人心に有益なる宗敎が行はれさへすれば、佛敎家の肉喰妻帶の如き問題は、何等關する必要さへもなきこごである。隨つて當局者が、此の要望に對して取つた處置は何等非難すべき點を認めないのである。寧ろ總督府當局者の立場ごしては、朝鮮の佛敎界が、事實上肉食畜妾等行はれて、破戒の風は滔タごして底此する處を知らざる今日に於て、此の法規を存續するの徒勞たるのみならず、公然之が改正を容認して、各自の自由に任せ、其間より眞實の人格者を發見して、他日の準備ごする便宜もあるのであるから、當局者の處置は寧ろ行詰まれる朝鮮佛敎界に一の活路を與へたるものごも謂ふこごが出來る。要するに此の問題は僧侶自身の問題であつて、旣に法規が之を許し、言論界が之に賛成したからごて、肉喰妻帶勝手たるべしごいふ譯には行かぬ。重ねて言ふまでもなく、持戒も破戒も、實に僧侶自身に限られたる問題であつて、當局者の問題でもなければ、操觚界の問題てもない。只佛弟子たる僧侶自身の良心に問ふべき問題である。此の機會に於て吾人は朝鮮の僧侶諸師に聞きたいこごがある、新政に依りて諸師の生活は開放せられ、諸師の地位は與へられた。然かも僧侶諸師は、果して此の開放されたる生活を有意義にし、其の與へられたる地位の向上を圖りつゝありや。吾人の觀る處によれば開放されたる僧侶の生活は、只だ山を下りて野に出で、卑屈生活より、世俗生活の模倣に過ぎないではないかご。また其の與へられたる地位も、某本山住持ごして官報に發表され、または大德又は禪師の肩書を有するも、眞に佛弟子ごしての使命に向つて活動しつゝあるやごいへば、吾人寡聞にして未だ之を聞く能はぬのを遺憾ごする、彼の法衣を脫して洋服や絹布に身を裏んで、大道を濶步するが如きは、未だ以て地位の向上ご云ふこごは出來ない。或は寧ろ世人の嗤笑を招がんごも限らないのである。此の時に當りて、肉喰妻帶の如き問題を提起するは、其の芳しからざる生活の上に泥を塗るも同然にして、佛弟子たるものゝ寧ろ愕然戰慄すべきこごではあるまい乎。囊に新聞紙上に報道されたる百餘の反對者の如きは、或は此の愕然戰慄の輩にはあらざる乎。試みに思へ、眞宗の開祖親鸞上人が肉喰妻帶を高調されたのは、今回問題ごなれ 〈p.6〉
(pp.7-10 누락)
條文を削除して公然ご肉喰妻帶を認めた所に當局の誤があり、又條文の意義を解せず、現實問題を離れて輕擧した所に白氏一派の誤りがあるご思ふ。
要するに此の問題は、我が朝鮮の佛敎界に於いて輿論の價値もなく、重大なる意義もない。僧侶其のものの持戒は個人の絶對自由にある。若し寺法に於いて該條文を削除した所で決して僧侶の破戒ではない。僧侶一般の修養が墮落して破戒を恣にしたごすれば、其れは朝鮮佛敎の頹敗であり、又佛敎精神の根本的背信であるけれごも、一つの條文改正によつて、其の影響の及ぶべきてはない。若し此の問題の解決を切望するならば今後は靑年比丘僧の養成に全力を盡すべきである。(談) 〈p.11〉
大海一瀾 ; 龍城大禪師 入京
『朝鮮佛敎』 29호(朝鮮佛敎社, 1926.9), p.62.
慶尙南道梁山郡千聖山內院庵 「參禪萬日結社會」會主籌室龍城大禪師は夏安居を解制終了して去七日夜入京した。
大海一瀾 ; 龍城師の放生會
『朝鮮佛敎』 30호(朝鮮佛敎社, 1926.10), pp.60-61.
0001_0026_b_01L龍城禪師主管の放生會では、每年秋期に一回つゝの放生を施したるが、今年も京城府鳳翼洞二番地の自宅に放生會を開〈p.60〉き、去九月二十二日より開壇して說法を初め、同二十八日には數百貫目の生き魚を買ひ集めて、舊龍山の漢江に放生を施しながら、同時に薦度齋を設けて午後六時頃に解散したご。〈p.61〉
會寧にて金剛戒を施す
『朝鮮佛敎』 30호(朝鮮佛敎社, 1926.10), p.62.
今より五年前に咸鏡北道會寧の金極樂心と云ふ信女は、世事を去りて佛敎に發心し、鄕里を出でて慶尙北道の巨刹海印寺に留り、景霞老和尙の下に四個星霜を費し、法華經七卷全部を暗誦して佛樣の加被之力によりて、北邊鄕里の佛敎を知らぬ境地を敎ふが爲、因地に說法會を初めたるが、今に至りては二百餘の信者を得、三百餘坪の田地を買入れ二千餘圓の金額を集めて會堂を建て、去る五日に落成式を擧げ名を大興寺と定めたが、今月十三日には奉佛式を行ひ十五日より一週日間は菩薩戒を授けると。尙金剛戒壇の傳戒和尙は慶尙南道梁山郡千聖山內院庵の活句參禪萬日結社會宗主和尙龍城大禪師であります。
間島 大覺敎堂 奉佛式
『朝鮮佛敎』 43호(朝鮮佛敎社, 1927.11), p.45.
間島龍井村に建立中の大覺敎堂竣成に付九月十一日午前九時
嚴肅なる奉佛式を擧行し多數善男善女の參詣ぁり盛況を呈したる由。
鮮文華嚴經の刊行
『朝鮮佛敎』 47호(朝鮮佛敎社, 1928.3), p.10.
白龍城和尙奉仕的事業
朝鮮に佛敎が傳來してから、旣に數千年の歲月を閱し、朝鮮文字の出來てからも、五百年近くになる。朝鮮の家庭にも佛敎が這入つて、佛敎を信仰しないものと、知らず識らずの內に、佛敎の影響を受けて、日常生活の上に、之に對する習慣や傳統を行ふものが、幾百萬名に上るかも知れない。然かも今日に至るまで、佛敎の一卷も、朝鮮語に譯して、一般に學問のない人でも佛敎を信仰するものならば、その敎の敎義を學び、眞理を求むるもの、參考に供するものがなくて遺憾にしてをつた人も多かつた。特に最近に至りては、朝鮮人が朝鮮文字を尊ぶやうになつて、漢文の方は却つて尊ばなくなつた結果、漢文の佛典を讀むものが次第に減少するに至つた。此の時に當つて、佛經を朝鮮語で飜譯し、何人にても讀み得るやうにすることは、誠に必要なことであつたが。
この事業を決行して見やうといふ人が出て來た。白龍城和尙その人である。和尙は、禪僧として可なり著名な方で大正八年の萬歲事件に關聯して、獄裡に呻吟したことがある。和尙は從來、その必要を感じ、種種の佛經を飜譯し、一昨年から昨年まで、二ケ年間寢食を忘れて、四十餘卷の華嚴經を飜譯し、私財を投じて出版し、實費を以て一般に頒與することとした。朝鮮佛敎界の劃時期的事業と謂はねばならぬ。
華嚴經は, 釋迦牟尼世尊が、その高弟に思想の極めて圓熟せる時に說法されたものであるから、佛經中最も尊ぶべき最高文學である。故に世宗の朝にもは、刊經都監を設置して、これを朝鮮文に譯しやうとしたが目的を達しなかつた。一國の力を以てしても成し遂け難かつたものを、一和尙の力を以て刊行したのは, 立派な社會奉仕と謂はねばならぬ。 「朝鮮日報」より
沈斗燮, 白龍城師を訪れて
『朝鮮佛敎』 89호(朝鮮佛敎社, 1933.6), p.31.
沈斗爕
◊ 初夏の雨は街塵を浥し、靑々たる草木は新錄を誇る晴快な或日曜日の夕方、禪界の一人者龍城堂白相奎老師を鳳翼洞の大覺敎本部に訪れた。大覺敎本部と大きな橫看板がある、裏から迥つて大きな本堂があり、その後に客室があつた。溫突部屋はピカく光る程掃除がよく行屆いて居た。
◊ 暫くしてお對ちとうさまと老師が見えたので御挨拶を申し上げた。老師は今年七十歲の老體とは云はれめ程血色がよい。
◊ 『今を距る六年前慶南咸陽郡白陽山に行つて、山林、荒蕪地等數萬坪を買入れ、それを開墾し、果樹野菜馬鈴薯等を栽培し、自給自足の精神で働き、傍ら村落の貧民兒童を集めて、敎育して居る。かくして自然と共に餘生を樂むつもりである。現代世相が、非常にせちがらくなつて居るせいか、人心は紊れ勝であつて、信者には信念が薄く、あらゆる仕事をなす上に困難を感ずるのみならず、大槪は失敗するのが常である。從つて今後は信徒の力に賴つて生活して行かうなんて考へたら到底馱目である。今後の僧侶は須く自ら働き自ら食ふ所謂自らの力に食む精神を鼓吹せんとするのである』と强く語られた。
◊ 大覺敎と申すと儀式は如何でごぎいませうかと漠然と質問した。老師曰く、大覺敎と云ふのは結局は佛敎と變りはない。釋迦牟尼佛を大覺能に寂默覺と云ふし又佛者是大覺也と云ふ言葉から大覺敎と云つたのである。つまり一般民衆に適合すべく方針を改めて見た。一般に適すれば良し適しなければ適しないまゝでいゝ。儀式になると佛敎の儀式は一切止めて御袈裟等も着ず白い周衣のまゝである。讀經坐禪等はあが佛樣を安置したり等はしない。お經は法華經華嚴經涅槃經の如きを中心經典とし坐禪は臨濟禪を取つて居る。但し京城は在來の信者が多く佛樣を安置しないと何となく心細く感ずる傾向があるのと信者からの要求とに依つて從來通り佛樣を安置してあるが白陽山は小さな家だけで何もない。
◊ 何か大覺敎に關する書物があるでせうか、若しあつたら一册拜見させて頂きたうございますと願つたら、老師早速立上り隣の部屋から「歸源正宗全」と云ふ本を一册持つて來られた。記憶がぼんやりするので大覺何と云ふ本があるでせうと問くと「覺海日輪」と云ふ本かと云はれた。若し餘分がありましたらと云ふと、再ひ立ち上り、隣の部屋から惜げもなく持つて來て二册新聞に包んでくれた。暇を利用して老師の所へ參華嚴經の如きお經でも講釋して戴けばとも思ひますがと云ふと、暇があつたら何時でもよいから遊びに來るやうにとのことであつた。
◊ 老師は全南南原の前身龍城の裕福な家庭に生れ、父母の信佛が因緣となり、剃髮得度以來五十餘年間、今は設令形こそは變へて居るものの終始一貫佛說を以て懊惱に苦しむ人心に慈愛の潤を、情意渴盡せる世相に大悲の念を以てし、新時代に適合すべき大菩薩行を敢て辭せざりしは朝鮮佛敎界の爲特記すべき一人であると思ふ。幸に御健康で、益々精進せられるやうお祈りする次第である。(五月二十五日記)
金剛杵
本誌에 對한 諸山의 同情
『金剛杵』 19호(1931.11), p.76.
白龍城 金 二圓也
開闢
智之端
『開闢』 16호(1921.10), p.84.
近日 白相圭氏의 經營에 係한 三藏譯會는 그 事業이 실로 宜를 得한 것인 동시에 그 業이 成하면 조선불교의 闡明에 그 功이 적지 아니할 것이다. 一般이 아는 바와 가티 佛敎와 朝鮮文化의 關係가 그러케 깁고 또 佛敎슝經典이 그 數 - 八萬을 算한다 하되 아즉것 이를 우리 글로 化한 것이 업기 때문에 一般은 그를 硏究할 便宜를 가지지 못하얏스면 딸아 佛敎의 敎旨는 심히 普遍的이 되지 못하얏다. 이를 생각하야 그 會를 經營하는 白氏의 생각은 실로 아름답다 할 것이다.
禪苑
禪學院日記抄要
『禪苑』 창간호(1931.10), pp.28-29.
0001_0030_b_01L老姿
京城禪學院은 禪學을 表闡하기爲하야 創設된바多少한 拘碍로서 十餘年間 根本目的을達치못하고 沈滯中에잇서서 一般僧侶信徒와 創設한 諸大德은 實로히 만흔遺感으로 녁여섯다.
그러자 客年冬에 金尙昊氏 周旋으로서 全錦明院主로부터 金寂音和尙이 引繼하얏스니 時는 一月二十一日이엇다.
引繼卽時로 大房을 居處로하고 李炭翁和尙의 立繩으로 參禪을 始作케되니 衲者及信徒二十餘名에 達하얏다.
二月一日 韓龍雲, 李炭翁, 柳葉諸和尙의 說法이잇섯다. 仝十一日은 韓龍雲, 李炭翁說法.
二月十五日 講話 柳葉, 韓龍雲.
二月十六日 午後換歲齋, 夜間擲柶大會.
二月十七日(陰辛未元旦) 午前四時 觀音佛供을擧行, 午後 金南泉和尙座談.
二月十八日 雪耘, 龍雲, 炭翁, 寂音, 一指者和尙이 白龍城和尙許 換歲人事 往返.
二月二十二日 說法, 禪에對하야 李炭翁, 發心 金寂音.
二月二十三日 七日祈禱開始 同時 二炭翁和尙이 維摩經을說하다. 優婆荑戒를設하야 徐成浩, 金水先, 鄭福桂, 朴斗理, 受戒한바 設戒師李炭翁.
三月一日 祈禱釋經은 如法히回問, 男女禪友會가 組織된바 會員總合이 七十餘人. 午後八時 都鎭鎬和尙이 朝鮮의 禪과敎에對한 講話.
三月八日 講話 韓龍雲和尙.
三月十四日 全鮮首座大會 召集文發送.
三月十五日 首座會件으로 金寂音이 警察署에交涉하다. 講話 韓龍雲和尙.
三月二十一日 婦人禪友會總會 正樂傳習所의〈p.28〉祝賀音樂이잇고 午後 韓龍雲和尙說法.
三月二十三日 午後七時 本院大房에서 全鮮首座大會를開하고 建議案을作成하다.
三月二十五日 敎務院宗會에 建議案을提出하고 金寂音和尙이 說明하다.
三月二十七日 宗會에서 中央禪院設置建議에 對해서 贊意는表하엿스나 豫算不足으로 否決되다.
三月二十九日 般若說法 趙郞應和尙.
四月五日 韓龍雲和尙講話.
四月十二日 講話 韓龍雲和尙.
四月十九日 講話 金敬注氏.
四月二十日 婦人禪友會總會 說法 金寂音和尙.
四月二十六日 金泰洽 和尙講話.
五月三日午後八時 正樂傳習所員이 奏樂, 宋滿空和尙의 說法이 有하다.
五月十日 法文 金泰洽和尙.
五月十七日 講話 金敬注氏.
五月二十日 婦人禪友會時에 趙錦圃和尙이 說法하다.
五月二十三日 禪苑雜誌 原稿紙를 刊布하다.
五月二十四日 趙錦圃和尙, 說法.
五月二十五日(四月八日) 奏樂供養. 白龍城和尙說法後에 柳鍾烈, 金澤東 両氏入道式擧行하다.
五月三十一日 圓覺經講話 金泰洽和尙.
六月一日(陰四月十五日) 結制 韓龍雲和尙의 結制에 對한 講演이 有하다.
立繩 金石下, 禪德 韓龍雲, 知客 都鎭鎬,
會主 金寂音等 十餘人이오 信徒合하야 三十餘名.
六月七日 講話 都鎭鎬和尙.
七月十四日 男女禪友會主催로 漢江에船遊하다.
八月二十七日(七月白衆) 解制하다. 說法 韓龍雲和尙.
九月十二日(八月二日) 李炭翁和尙의 慈悲讖法釋辭를 始作하고 同時에 一週日彌勒祈禱를 始作하다.
以上
佛紀二九四八年九月一六日〈p.29〉
禪學院日記要抄
『禪苑』 2호(1932.2), pp.85-86.
0001_0031_b_01L九月十四日(八月三日) 白衆日에 禪房重修에對한 喜捨金記錄이 잇섯든바 本日로부터 現金募集이施行되다.
九月二十七日(八月十六日)大房과 各房溫突修繕을爲始하다.
十月三日(八月二十二日)溫突修繕을畢하다.
十月四日(八月二十三日)塗壁을 爲始하다.
十月十三日(九月三日)塗壁을 畢役하고 法堂草席과 障子硝子를 改設하다.
十一月八日(九月二十九日) 梵魚寺本山總會에 本院補助費件提議次로 寂音和尙이 同寺向發하다.
十一月十二日(十月三日) 婦人禪友會의 定期會가有하고 幹部禹風雲氏가 發論한바 本會主催로 在滿同胞救濟에對하야 一致可決되여 現金七圓餘와 衣服八十餘点을 收集하여 在滿同胞救濟會에 送致하다.
十一月十六日(十月七日) 本山總會에 每年六百圓本禪院經費補助를 請求한바 本山經濟困難으로因하야 每年二百圓이 可決되다.
十一月十八日(十月九日) 七日地藏祈禱를 施行中 金泰洽和尙이 涅槃經을說하다.
十一月二十四日(十月十五日) 地藏祈禱가 回向되고 冬期結制佛供을 兼行하고 午後七時에 首座로부터 次例法門이有하다.

結制大衆芳啣錄
籌室 白龍城
立繩 金石下
禪德 申法海
說敎 金大隱
持殿 金宗協
秉法 尹貫霞
献食 全德眞
知客 尹大吼〈p.85〉
看病 朴可喜
鍾頭 李喆悟
茶角 柳普漢
淨桶 徐萬福
磨糊 徐無量功
掃除 李普賢月
米監 方玩山
別座 盧釋俊
書務 秦柄鎬
接賓 鄭貴寅 鄭智慧月
供司 李春信
火臺 金應化
院主 金靈雲
化主 金寂音

結制中禪規
入禪 午前四時 午前九時 午後二時 午後七時
放禪 午前七時 午前十一時 午後四時 午後九時

法堂과 男女両禪院內에 結制中에는 長時黙言하고 特別한事故가 有한時는 禪友待合室에서 談話할事
入禪中에는 道場內에는 何處에서든지 諠譁를嚴禁함
十二月十一日(十一月三日) 婦人禪友會定期會가 잇고 白龍城和尙의 說法이有한바 大衆이 約七十條名이러라.
十二月十七日(十一月九日) 大衆으로부터 七日不眠加行勇猛精進하자는 動議가되여 即時決議한바 可決되여 施行하니 芳啣은 柳普漢, 李普賢月, 徐萬福, 金宗協, 李喆悟, 尹大吼, 申法海, 盧釋俊 諸氏러라.〈p.86〉
朝鮮佛敎界의 禪院과 衲子數의 統計
『禪苑』 3호(1932.8), p.72.
禪室의 名稱宗主의 軒號禪室의 定員隣近寺庵의修禪衲子過冬安居衲子禪院維持의 經過摘要
金龍寺管內大乘寺禪院白龍城二五一一當寺固有財産中
禪學院日記抄要(第二號續)
『禪苑』 3호(1932.8), pp.73-74.
0001_0033_a_01L十二月二十三日 七日加行정진을如法히마쳣다.
今日이冬至임으로 雲峴宮에서 豆粥供養이잇섯다.
午後二時에 白龍城和尙의說法이잇섯는데 大衆이六十餘名이러라.
一月十日에 婦人禪友會의定期總會와 白龍城和尙의說法이有하엿는데 大衆이七十餘名이러라.
二月一日에 雜誌「禪院」第二號를發行하다.
二月六日 舊曆除夕임으로 本院大衆과信徒數十人이 會合換歲하다.
二月九日 本院主催로 擲柶大會가有한바 會員이六十餘名이오 十分歡樂하다.
二月十四日 七日觀音祈禱를 設始하엿는데 祈禱中每日年后八時 白龍城和尙의達磨四行論의 講釋이有하다.
二月二十日(舊曆正月十五日) 七日祈禱와講說을如法回向하고 觧齊하다.
三月九日 婦人禪友會의定期總會와 白龍城和尙의說法이有하다.
三月二十日年后二時에 薛石友和尙의說法이有한바 聽衆이七十餘名이러라.
四月八日 婦人禪友會定期總會에서 袈裟佛事義發紀가되다. 奇石虎和尙의 說法이有하다.〈p.73〉
四月二十日 李氏大光雲의 袈裟佛事設辦金二百圓을爲始하야 各檀信中同參金二百七十圓의喜捨가有하니 合이四百七十圓이라 錦領袈裟十一襲을作成하고 그殘金으로 釋迦如來略傳二千部를發行하기로하다. 袈裟作成中 每日午前에는 石友和尙, 午后에는 石虎和尙의說法이有한바 聽衆이 번번이百餘名에達한다.
四月二十八日 袈裟作成이如法回向하게된바 當日同參聽法大衆이 二百餘名에達하다. 同參大衆에게 釋迦如來畧傳을 頒布하다.
五月八日 婦人禪友會의 定期總會에서 石友和尙의說法과 石虎和尙의講道가有한바 聽衆이大歡喜하다.
五月二十日(舊曆四月十五日) 結齊하니 祖室에는 石友和尙이오 立繩에는 眞空和尙이라 當日同參大衆이七十餘名에達하다.
六月六日 婦人禪友會의定期總會에서 石友石虎両和尙의說法이有하다.
六月八日(舊曆五月端午) 男女禪友會主催로 漢江船遊를開하니 會衆이八十餘名이러라.
六月十八日定期總會에서 奇石虎의說法이有하다.
七月六日 婦人禪友會의定期總會에 石友和尙이說法하다.
七月十八日 定期法會
佛紀二九四九年七月三十一日〈p.74〉
弘法友
釋雲涯, 現代에는 半農半禪이라야 한다
『弘法友』 창간호(1938.3), pp.39-41.
釋雲涯
0001_0034_a_01L首題의問題는 내가처음主唱한것이아니다. 數年前에先輩인 白龍城和尙이 主唱한것을 再認識시킬뿐이다. 禪에所證이없고 農에所習이薄한내가 半農半禪佛敎라는 커다란問題를 論說한다는 것이 矛盾일는지모르나 나는管見이나마 나의意思를四海法友께 通할뿐이다.
農은天下의大本業이며 禪은人生의根源事이다. 農은肉身를기르는元素요 禪은精神을기르는 元素임으로 大本業과根本事라고斷言한다. 人生은農이아니면 肉身을保全할수없고 禪이아니면 精神을安定할수없다. 肉身과精神兩方面을雙으로修養하여야 無缺圓滿한人生의 生活이되겠기에 半農半禪이 必要하다는것이다. 보라人生은本來부터 農으로肉身의滿足을얻은外에 或은文學에 或은哲學에 或은宗敎에 惑은藝術에 各目의精神滿足을求하기에 汲汲하지안는가 이것이本來부터 具足한半農半禪의 宗敎思想이며 佛菩薩의말삼하신 一切衆生이本來常住하야 入於涅槃菩提之法이란眞理다. 告子의말과같이 食色이性이라면 自性인食色即肉身滿足外에 무엇을求할것이며 農으로써 食色만解決한다면 그以上무슨滿足을求하겠는가 우리人生은 確實히食色만이 自性이아님으로 食色之樂外에 無形의眞樂을求하기에 各方面으로 汲汲하고있으니 그求하는樂이곧無上涅槃寂靜樂이며 그樂을찾일려고 各方面으로 汲汲한것이 生死苦를厭惡하고 涅槃樂을求하는禪이다.
그렇다면 本來具足한半農半禪을 새삼스럽게 떠들것이 있는가하는疑問이 生할는지도모른다. 그러나이疑問은 現〈p.39〉在朝鮮佛敎를 正確하게 認識못한이에게만 잇을것이다. 何故오하면 人生의根本問題를 解決하야 自利利他의大業을 成就하겠다는 禪子即僧侶는마땅히 人生의根本事業인農과禪을雙修하야 圓融無碍한 大道를 成就할것이어늘 그렇지못하야 禪子가農을兼行하면 精神이갈려안된다는 잘못된主張과 每日黃金萬兩을 消費하야도 罪惡이아니라는망녕된自信下에 農은不願하고 禪만偏修하야 或은 靜坐黙照하고 危跪看經하야 取骨頭爲工課하고 鑽故紙作生涯하는것만이 禪인줄알며 行亦禪住亦禪坐臥語默動靜取捨와 載花種樹春耕秋穫이 無非禪인줄을 모르기 때문에 半農半禪을再認識기키는것이다.
天下의禪子가 다 杖錫禪師와같이 一味喫土한다면 農이不必要할는지도모르나 現下禪子에 一生은姑捨하고 一日이라도먹지안는이 그누구며먹으되 穀類外다른것을먹는이누구인가 一時不可缺의 人生必需品인 穀類는農以外에別도 産出하는 方法이없는것은 共許의事實이아닌가 그러므로禪子도 自己의生命을 維持키爲하야 食物의 供給方法인農을 兼行하여야한다. 農으로써 肉身의生을 完全保障한後라야 精神의生인禪의本旨를 達할수있을것이며 禪에農을兼하지않으면 肉身의 保障을爲하야 精神의生을犧牲하야 禪을商品化시켜 賣禪資生의欺瞞的邪禪을 修行且宣傳하야 人生의本來具足한 半農半禪의 自然的事業까지 阻害하고만다.
肉身保障에서만 半農半禪이必要하다는것이아니라 農卽禪임으로써 半農半禪이더욱 必要하다는 것이다. 무엇이農即禪인고하면 벼씨를뿌리면 벼싹이나서 벼열매를結成하며 콩을심으면 콩이結實하는것은 因果의必然을 如實히證明하고 아모리좋은 種子를심었드라도 耕耘肥培의 管理가不充分하면 劣等의 結果를보게되고 조곰나쁜種子를 심었드라도 耕耘肥培의充分으로 優等한結果를보는것은 過去所作善惡諸業을 今生의修行如何로 能히廻因轉果할수있다는것을 分明指摘하고 經과幹이나根과葉은 一年中에春生秋死의 生滅이있으나 그種子는永世存續하는것은 우리에게 肉身은無常하야 一生의生滅이있으나 精神은眞常하야 捨生趣生의不生不滅이 있다는것을 明確히顯示하는것이 農即禪이아니고무엇이랴.
우리는生活保障을 自作自給하면서 禪에精進하자는 意味에서 半農半禪이 必要하다는것보다 因果의必然과廻因轉果의 可能과不生不滅의眞理를 日常生活과關係가먼데서 찾는이보다 日常生活과 直接關係를가진 問題에서찾는것이 容易하기때문이며 隱然한經典에서 求하는이보다 顯著한實業에서 求하는것이 捷徑이기때문에 半農半禪의佛敎라야 된다는것이다. 〈p.40〉
오! 四海의學人法友여 朝鮮佛敎存亡之秋에선 우리學人의責任과 使命이果然어떠한가 爲法亡軀의굳은覺悟와信念下에同心協力하여 半農半禪의革新佛敎를 建設하야 三千里江上에 佛日이 再輝케하자
(禪은敎를兼한禪이란것을 附言하여둔다)
二九六五年을맞으면서
思想界
이청담, 나의 入山五十年 ; 속가를 버리다
『思想界』 154호(1965.12), pp.185-186.
0001_0036_a_01L공부는 더 한층 열중하려 했고, 집안 일에도 힘을 아끼지 않으면서 나는 중이 되고 싶어졌다. 중이 되려고 별다른 각오를 한바는 없었다. 나는 어느날 海印寺로 떠났다. 지금 같으면 무전여행 하기였다. 진주와 해인사 사이지마는 그때 사람들은 여행에 대한 생각이 지금처럼 간단하지 않다. 해인사 바깥의 여관에서 한상 二십전을 지불하고 상밥을 사먹으면서 중이 되려고 왔노라고 말했어도 누구 하나 내 말을 진지하게 받아주지 않았다. 海印寺 큰 법당에 들어가서 절을 했는데 남부끄러워 남들이 미쳐 보지 않는 사이에 얼른 절 하고 일어나는 나이기도 했다. 이때 나는 농업학교 一학년생이었다.
그 다음 해 二학년 때의 겨울 나는 또 한번 중이 되기 위하여 전라도 長城 白羊寺로 갔다. 맵고 따가운 추위였다. 三十三인 가운데 한 분인 白龍城 스님이 거기서 많〈p.185〉은 會衆을 거느리고 계시다고 들었다. 그러나 가던 날이 장날. 龍城스님은 서울 가고 없었고 일체 인원 수를 늘이지 못하도록 당부하고 가셨다고 말한다. 나는 거기서 나흘쯤 묵었는데 한 가지 괴이한 일을 보았다. 함경도 출신의 어떤 늙은 스님이 한분 병을 앓고 있었는데, 그 늙은 스님은 방금 죽어가고 있었다. 딴 스님들이 放禪 때마다 더러 문병와서도 하는 말이 「스님 이제는 단념하시오」 하는 것이었다. 곧 죽을 때가 되었으니 어서 죽어 가라는 말이다. 어떻게 들으면 몰인정하기 이를 데 없는 말이나, 조금도 생사에 거리낌 없는 사람들의 인사 말투로 나에게는 실감되었다. 말하는 측이나 말을 듣는 측이나 무심하고 솔직 담백하고 一眞理를 긍정하고 하는 말 같았다. 일반 세간의 俗風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인사말이다. 나는 허심이 되어 이 말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 스님은 일어나서 자기의 걸망을 뒤지면서 정리하고 난 다음 죽어갔는데 나는 거기서 불교의 하나의 靈骨을 볼 수 있었다.〈p.186〉
法輪
李鍾益, 33인 민족대표, 두 분 스님의 일화 ; 白龍城 스님
『법륜』 22집(1970.3), pp. 28-29.
•龍城스님의 가담
韓龍雲 先生과 崔麟씨 등이 거족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키로 합의하고 天道敎를 비롯한 기독교, 佛敎의 교인으로 민족대표를 정하기로 하여 서로 그 동지를 구하는데 韓龍雲先生은 佛敎측에서 이에 가담할 동지를 구하여 金警雲·李晦光·姜大蓮·朴漢永 등 여러분을 찾아보고 이야기 하였으나 중으로서 그런 일에 참여할 것이 아니라 하면서 모두 거절당하자 先生은 당황하였다. 최후로 白龍城 스님을 찾아보고 먼저 그 속을 떠보느라고,
『이런 일을 하는데 天道敎, 기독교에서는 다 많은 대표가 나오는데 佛敎에는 나 하나 밖에 없으니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어떤 분과 상의하면 좋겠오?』
라고 하자 龍城스님은 두 말 않고,
『아, 그런 일이라면 나도 마땅히 참여하겠오』
라고 쾌히 승낙하였다 한다. 韓先生의 公判 취조문에는
問 『피고는 白龍城에 대해서 어떤 방법으로 조선독립의 의사를 발표한다고 하였는가?』
答 『천도교, 야소교가 독립운동을 같이 하기로 하였으니 불교측에서도 가담하자고 하여 찬동을 얻고 돌아왔다. 선언서와 기타 정부에 제출하는 문서에 인장이 필요하다고 하였더니 白龍城은 나에게 인장을 맡겨주고 갔었다.』
라고 하였고 白龍城스님의 취조문에는,
問 『그대는 금번 孫병희 이하 三十一인과 같이 조선독립에 대한 선언서라고 하는 것을 비밀히 인쇄하여 각지에 배포한 것은…… 그 목적이 무엇인가?』
答 『大正 八年 二十七日 오후 八시경에 경성 계동 韓龍雲이란 사람이 나에게 와서 「금번 구주 전쟁의 결과 강화회의에서 각국은 독립을 하려고 하기에 우리 조선도 독립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며, 「금·명일 내로 선언할려고 하니 그대 생각은 어떤가?」 하므로 그런 일이라면 마땅히 찬성한다고 하였다.』
問 『그후 어떻게 하였는가?』
答 『韓龍雲 제의에 찬성하고 같이 일하려고 하였다. 어느 때든지 통지하면 어는 곳이든지 가기로 약정하고 한용운은 돌아갔다. 그리고 나는 어제 밤에 한용운의 집에 가서 언제 선언하느냐고 물으니 내일 仁沙洞 명월관 지점에서 동지 일동이 집합하여 선언서를 발표한다기에 나는 「그러면 내일 오겠다」 하고 당일 오후 二시경 명월관 지점에 갔었다. 그런데 그곳에는 내가 아는 孫병희·오세창·권동진·한용운 외 二十四명과 나 합하여 二十九명이 있었다.』
問 『당일 선언서를 시중에 배포한 것은 누구인가?』
答 『나는 다만 명월관 지점에 갔다가 곧 경찰에 연행되었으므로 그 외의 일을 잘 모르겠다.』
問 『당일 명월관 지점에서 그대 등 二十九명이 집합하여 무슨 협의를 하였는가?』
答 『내가 갔을 때 이미 식사를 하고 나서 상담하고 있었는데 내가 들어가자 곧 경찰이 와서 나는 무엇인지 보고 들을 여가가 없었다. 이상 말한 외에는 나는 아무 것도 모르니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면 알 것이다.』
이것이 己未年 三月 一日 龍城스님이 경찰에 연행되어 취조받은 내용의 대강이다.
그러면 龍城스님은 二月 二十七日 그 운동에 가담하였고 다음 三日째 되던 三月 一日에 경찰에 체포된 것이다.
이러한 전말을 보아서도 스님의 그 솔직하고 고결한 性格과 순진한 愛國心과 진정한 義奮心을 잘 엿볼 수 있다.
그해 二月 二十七日 비로소 韓龍雲先生을 만나서 단 한 마디에 쾌히 生命을 내걸고 그 운동에 가담하였다는 것, 그것이 어찌 용렬한 丈夫로서 될 수 있는 일이냐!
그때에 韓龍雲先生 한 분으로서 다른 불교인 열이나 百 맞잡이가 되었지만 龍城스님 한 분이 더 참가하였다는 것은 더욱 빛나는 일이었다.〈p.28〉
•龍城禪師의 略歷
禪師의 俗性은 水原白氏, 이름은 相奎이며 法號는 龍城(成은 誤記)이다. 一八六四年 五月 八日에 全南 南原郡 磻岩面 竹林里에서 白南賢氏의 長男으로 태어났다. 그 어머니 孫氏는 꿈에 한 스님이 法服을 입고 집에 들어온 것을 보고 잉태하여서 났다고 한다. 어려서 입에 말이 없고 비리고 냄새나는 것을 싫어했다. 여섯 살 적에 그 아버지가 냇가에서 고기를 낚아 오면 산 것이 있으면 물에 놓아 주었다.
八歲에 어떤 선비가 말하기를,
『太白山에 어떤 道僧이 있는데 그 나이도 알 수 없고 그가 심은 소나무가 열 아름이나 된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당장 그 道僧을 찾아가보겠다고 하였다.
그리고 어려서부터 남에게 베풀어 주기를 좋아하며 배고픈 사람을 보면 가만히 집에 식량을 떠내어 갔다 주기도 하였다.
五, 六歲부터 글 공부를 하여서 아홉 살 될 적에 漢詩를 제법 잘 지었다.

「大搖八竹扇
借來洞庭風
여덟쪽 대 부채를 휘두르니
洞庭湖 맑은 바람 오누나!」

또는 아기가 꽃 따는 것을 보고,

「摘花手裏動春心
꽃을 따니 손 바닥에 봄 마음이 움직이네!」

라고 하는 재치있는 詩句를 읊어냈다.
十四歲 되든 때에 南原 蛟龍山城 德密庵에 가서 중이 되려 하는 것을 父母가 알고 다시 다려 왔더니 十六歲에 海印寺에 들어가서 華月和尙을 스승으로 머리를 깎고 중이 되었다.
그 뒤에 義城 孤雲寺에 가서 水月禪師에게 참선법을 묻자 千手呪를 지성으로 외우라고 지시했다. 그리고 「天地 萬物이 다 근원이 있는데 사람의 근원은 무엇인가?」를 一念으로 의심하다가 第六日만에 그 의심이 탁 트이기도 하였다. 그 뒤로 여러 名山을 순례하며 유명한 禪師를 찾아 法을 묻고 二十一歲에 通度寺에서 比丘戒를 받고 또 佛敎의 초중·고등과를 다 修了하였다.
二十一歲 이후 三十七歲까지는 때로는 敎學, 때로는 禪學을 끊임없이 修練하여 큰 善知識이 되었다.
그 뒤로는 國內 名勝地를 순례하면서 스스로 닦고 남을 지도 교화하기에 心力을 기울였다. 三大五歲에 서울 大覺寺를 設立하였다.
五十六歲 되든 해에 三·一운동에 가담하였다. 그리하여 징역 一年 六個月을 치르게 되었다.
五十八歲 八月에 出監한 뒤에는 서울 鳳翼洞 大覺寺에 머물면서 楞嚴經, 華嚴經, 梵網經 등 數百卷의 經典을 번역하고 또 佛敎를 새로 혁신하는 운동으로 「大覺敎」로 고치고 스님이란 말을 先生으로 바꾸어 부르게 하는 등의 지난날의 껍질을 벗기려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六十三歲 되든 해에는 그 때에 僧侶가 帶妻食肉이 公許되었으므로 당시 齋藤實總督에게 二回나 그 帶妻制의 금지령을 내리기를 탄원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慶南 咸陽 白雲山에는 三十餘 町步의 林野를 사서 修道院인 花果院을 설립하고 밤나무, 감나무를 심어 修道者의 自給自足을 계획하였고 또 間島 延吉 明月村에 數萬坪의 田地를 사서 敎堂을 세우고 僧侶의 生活改革을 꾀하며 이르기를 「禪農主義」, 곧 半은 농사일, 半은 參禪하는 일을 겸하면서 修道하는 새로운 修道生活을 제창하였다.
그런 것이 다 革新的이고 개척적인 創案이었다. 그리고 禪師는 해방되기 六年 前인 一九三九年에 入寂하였다.
그 저술로서 「歸源正宗, 覺海日輪, 修心論, 晴空圓日」 등이 있고 語錄 一卷도 있으며, 佛敎의 大衆化를 위하여 능엄, 起信, 般若, 圓覺, 華嚴, 梵網經論 등의 번역 주석에 힘을 기울였다.
그는 과연 韓末 佛敎界에 큰 業績을 남긴 한 혜성이었으며 그 門孫은 지금 國內에 數百千을 헤아리고 있다.〈p.29〉
佛敎
김관호, 三·一運動과 卍海 선생
『佛敎』 2호(1970.7), p.42
0001_0038_a_01L그후 만해선생이 말씀하시기를 『서울 양반의 인물됨이 자신의 보호와 개인의 이익만 알았지, 국가 민족은 염두에도 두지 않는 군상들이었다.』고 하셨다.
뿐만 아니라, 불교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거성(巨星)으로 불리우던 큰스님들도 독립선언의 참가를 종용하는 만해의 뜻에 주저할 뿐이었다.
그래서 불교계 대표는 자기 하나 뿐인 것이 너무 딱해서 마지막으로 「白龍城」에게로 찾아갔다. 그의 뜻을 알기 위해 『불교계 대표를 하나 더 누구를 넣었으면 좋을까요?』 하고 물었는데 「용성」 스님 대번에 선뜻 『내가 해야지』 하고 자진 참가했다. 그래서 三十三인에 겨우 二인이나마 우리 불교의 대표가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때의 '독립선언서' 작성은 물론이고 파고다공원에서의 낭독도 만해가 하기로 되어 있었는데 시간관계 불가능했고 태화관에서의 三十三인이 모인 선언식에서만 만해가 낭독했었다. '독립선언서'보다 더 높게 평가되는 만해가 옥중에서 쓴 '조선독립에 대한 답변서'가 있다.
佛光
조용명, 老師의 雲水시절 ; 寒巖 龍城 회하에 가다
『佛光』 59호(1979.9), pp.43-44.
0001_0039_a_01L나는 이렇게 하여 을축년 가을에 한암스님을 찾아 뵈워 그 동안에 지나온 이야기를 소상히 말씀드리고 인도해 주실 것을 간절히 청하였다. 첫 느낌에 위풍당당하시고 위엄이 있어 보이는 한암스님은 또한 춘풍과 같은 인자한 기운을 발하고 있었다. 내 말을 듣고 나시더니 여러말 하지 않으시고 「선재동자는 五三선지식을 찾아갔었다. 너는 이제 봉익동으로 용성스님을 뵙고 오너라」 하신다. 용성스님이 당대의 선지식이고 납자를 잘 인도하신다는 말을 익히 들어왔던 터이라 나는 지체없이 곧 봉익동 대각사로 갔다.
대각사에는 선방에는 선객들이 많이 있었고 또한 공부를 묻는 신도들도 수없이 출입하고 있었다. 내가 갔을 때는 김경성 표회암 최기종스님이 모시고 있었던 것을 기억한다. 용성스님을 뵈워 한암스님 회하에서 왔다는 뜻을 말하고 공부길을 가르쳐줄 것을 청하였다. 용성스님은 그 동안 내가 공부하던 것을 듣고 나시더니 일구흡진(一口吸盡)은 그만두고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화두를 하라고 하시며 자세히 말씀해 주셨다.
이 무자화두를 하는데 조주는 어찌하여 불성이 없다고 하였는고. 조주는 인심도무(因甚道無)오? 이렇게 지어가라고 가르쳐 주셨다. 나는 대각사에 七일 동안 머물면서 법문을 듣고 참선하다가 봉은사로 돌아왔다. 그때에 삼일암스님의 허가를 받아 한암스님을 은사(친교사)로 정하게 되었는데 그때 한암스님께서 주신 이름이 성관(性觀)이었다. 그해 十월달에 용성스님이 계단을 개설하셨는데 거기서 보살계와 비구계를 받았다. 그리고 동시에 만일 결사도 하였는데 그때에 계단에 참례하였던 영광을 길이 간직하고 싶다.
이렇게 하여 나는 결국 한암스님과 용성스님이라 하는 당대 최고봉 선지식 밑에서 배우게 되었으니 고기로 말하면 도랑의 고기가 큰 강물에 나온 것만은 분명했다. 서당에서 장난만 일삼으며 반항하던 악동시절이나 맹자를 읽다가 어떻게 흩어진 마음을 수습하여 거둬 들이느냐 들어대다가 쫓겨난 일이나 그 끝에 선문에 찾아오게 되어 마침내 이제 대선지식 회하에 이르게 되었으니 생각할수록 감개무량했다.
나는 한암스님을 모시고 지내고 또 제방에 다니며 참선하였지만 내 마음의 스승은 한암, 용성 두 스님이었다. 한암스님에게서 배우고 용성스님에게서 물어서 공부해갔던 것이다. 지금에 돌이켜 보아, 두 큰스님에 비하면 나는 비록 미미한 존재이긴 하지만 두 선지식 스님을 마음에 모신 영광을 길이 새기며 영광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계속)
조용명, 老師의 雲水시절 ; 봉은사 판전선원 시절
『佛光』 60호(1979.10), pp.54-55.
0001_0040_a_01L망월사 계단에서 인례(引禮)를 맡은 스님은 지금의 조계종 종정이신 고암(古庵)스님이다. 당시는 이름을 상언(尙彦)스님이라 했었다. 그해 삼동 결제는 봉은사 판전선원이었는데 역시 쟁쟁한 선객들이 운집하였다. 정금오(鄭金烏) 이단암(李檀庵) 이탄옹(李呑翁) 이백우(李白牛) 설석우(薛石友) 하정광(河淨光) 정운봉(鄭雲峰) 그밖에 여러 스님이 계셨는데 과연 눈푸른 납자들뿐이었다. 정진도 짬지게 계속하였지만 당시 외호도 훌륭했다. 당시에 대중들의 이름을 보면 다들 짐작이 갈 것이다. 설석우스님은 한때 정화운동 과정에서 비구승종단의 종정을 지내셨고 그밖에 스님들 모두가 견성한 스님으로 오늘의 한국불교를 형성해간 주된 산맥인 것으로 알 것이다. 금오스님은 그 당시 이름을 운정(雲頂)이라 하였었다. 그때 외호는 을축년 장마 때 78명의 인명을 구한 것으로 너무나 유명한 나청호(羅晴湖) 주지를 잊을 수 없다. 그때에 여러 사중소임을 맡은 스님들이 선방대중을 극진하게 외호하였었다. 워낙 한암 조실스님이 생불(生佛)이라는 호가 널리 퍼져 있기도 하였고 유상궁 백상궁 등을 통한 궁중공양도 종종 있었다. 봉은사 판전선원에서는 비록 한 철을 지냈지만 선방을 중심한 사중파 사부대중의 협동단결은 나의 기억에서 길이 잊혀지지 않는다.
조용명, 老師의 雲水시절 ; 잊지 못할 상원사 선방 시절
『佛光』 60호(1979.10), pp.57-59.
0001_0041_b_01L오대산에 들어간 그때는 내 나이도 젊은 때였지만 정말 바쁘게 설쳐 댔다. 선방의 잔일은 도맡았고 물론 조실스님 시봉은 나의 본직이다. 선방 다각(차 공양을 맡은 책임)·정통(목욕물 데우는 책임)·청소, 그리고 웬 바느질 할 일은 그렇게도 많았는지…… 오늘날 화학섬유로 된 옷을 입으시는 스님들은 짐작도 못할 것이다. 누더기 옷이니 틈만 있으면 바느질을 해야 했다. 조실스님 빨래, 푸대리…… 푸대리는 풀먹여 다리미질 한다는 말이다. 이런 속에서 나는 화두를 들었고 참선시간을 거르는 때가 없었다. 앞서도 말한 바이지만 나의 공부는 용성 조실스님으로부터 받은 화두다. 『조주는 인심도무오?(趙州因甚道無: 조주는 어찌하여 없다 하였을꼬?)』 하는 무자화두였는데 하여튼 화두를 들고 내딴에는 애를 썼다.
그해 여름안거의 상원사 선방대중도 정말 쟁쟁한 납자들로 채웠다. 하동산(河東山)스님 장설봉스님 이탄옹스님 …… 정금오스님 마경선(馬鏡禪)스님…… 지금 기억에 남는 분만 해도 이런 눈푸른 납자들이었고 그밖에 쟁쟁한 발심납자들이 약 20명 가량 모였다. 그런데 금오스님은 2년 전에 만주까지 가서 수월(水月)스님을 뵙고 왔었다.
그때는 아침공양 후 조실스님께서 매일 법문이 있었는데 선문촬요를 중심으로 법문하셨었다. 5월 단오날 금오스님의 발기로 용맹정진을 시작했다. 용성 조실스님께서 나에게 가르쳐 주시기를 『조주는 어찌하여 없다 하였는고?』 하며 공부를 지어가되 만약 잠이 오거든 왜 없다 하였나?하며 그 이유가 무엇인가를 마음의 눈[心眼]으로 보도록 하라고 일러 주셨었다. 나는 용맹정진하면서 줄곧 『조주는 인심도무오』 하며 공부하다가 오월 단오날 밤에는 더욱 분발심을 내어 용성 조실스님 말씀대로 조주는 왜 없다 하였는가? 그 이유가 무엇인가를 뚫어지게 보려고 하면서 참구해 나아갔다. 이렇게 애쓰면서 오직 『이 도리』를 명백하게 보려고만 발버둥치며 애쓰고 있는데 그러는 중에 내 정신은 불이 타오르는 듯 활활했었고 눈은 감고 있었는 듯했다. 그렇게 애쓰고 있던 어느 순간에 눈감고 있는 내가 번개치는 듯한 충격적인 느낌이 온 몸을 뒤흔들었다. 나는 눈을 떠서 자기를 돌이키니 정말 어두운 밤중에 밝은 달을 본 것으로 비유가 안되었다. 나는 여전히 제자리에 앉아서 다시 화두를 살피니 치밀어 오르는 팔팔한 기운과 자신을 억누를 수가 없었다. 나는 참을 수가 없어 벌떡 일어나며 손뼉을 쳐댔다. 그리고 외쳤다. 『몰현금(沒鉉琴: 줄이 끊어진 거문고)을 들어라. 몰현금을 들어라.』 소리치고 손뼉치며 다음의 게송을 외어댔다.
오대오월오경야에 홀오대천몰현금이로다 약인문아조주의인대 지언임하호액백이라 하리라(오대산 오월날 밤인데, 문득 깨달으니 대천세계가 줄끊인 거문고일러라. 누가 와서 나에게 조주의 뜻을 묻는다면 다만 말하기를 숲아래 여우 겨드랑이 희다 하리라.)
나는 손뼉을 치며 펄쩍펄쩍 뛰었다. 그때 금오스님이 입승이었는데 나에게 달려들어 『이놈이 또 미쳤나?』 하며 뺨을 세 번이나 후려쳤다. 나는 치밀어 오르는 기운을 이기지 못하여 역시 펄쩍펄쩍 뛰면서 대꾸하였다. 『네가 미쳤다. 네가 미쳤다. 너는 조실이 아니다. 네가 몰현금을 아느냐? 몰현금을 아느냐?』 하며 외쳐댔다. 내가 이러는 통에 대중들이 모두 일어서 저절로 방선이 되었다. 그리고 제각기 하는 말이 『망상 끓이지 말고 공부나 착실히 하라』 했다. 그때가 밤 아홉 시경이었는데 나로 인하여 그대로 방선하였다.
이 사건은 실로 나의 3년 각고의 일단의 수확이 아닐 수 없다. 삼일암에서 선을 만나고 용성 조실스님에게 화두법을 배워 이제 참선공부가 결코 허망치 않다는 것을, 바로 됐든 모로 됐든 나로서는 확증을 잡은 셈이다. (계속)
조용명, 老師의 雲水시절 ; 용성화상의 방망이
『佛光』 62호(1979.12), pp.40-43.
① 용성화상의 방망이
0001_0042_b_01L금강산 신계사 미륵선원에서 정묘년(二二세) 여름안거를 마치자 나는 또 서울 봉익동 대각사(大覺寺)를 찾아갔다. 용성(龍城) 조실스님을 뵙기 위해서다. 용성 조실스님은 그 무렵 화엄경 번역을 하고 계셨고 대중에게 매일 화엄경 법문을 하고 계셨다. 나는 그밖에 조실스님께 청하여 능엄경 법문을 따로 들었다. 경을 배우지 않았던 나는 경을 배우면서 새로운 것을 많이 배웠고 경의 말씀을 통하여 나의 믿음을 바닥부터 점검하는 계기도 되었다. 봉익동 대각사에서 봄 한 철을 지내면서 법문을 많이 들을 수 있었다. 나는 화두를 분명하게 타파하느냐 못하느냐가 유일한 생의 목적이었으므로 용성 조실스님을 뵙자 그동안 내가 얻은 경계를 드러내놓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나의 그동안의 경과를 자세히 들으신 용성 조실스님께서는 마침내 나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아직 멀었어요. 그런 것은 공부가 아니예요. 전부가 식(識)놀음이요. 그런 것은 모두가 참 공부가 아니니 모든 소견 다 버리고 화두만 힘써 드시요』 하셨다. 사실 그때까지 오대산에서 얻은 약간의 경계를 소득으로 삼고 그것을 가지고 천지를 돌아쳤던 것이다. 용성 조실스님의 말씀을 듣고보니 과연 부끄러운 점이 많았다. 말이나 행은 탕탕 걸림이 없어도 사실 자신감이 없고 세밀한 점에 분명하지가 않았다. 용성 조실스님의 법문을 한동안 듣고 나서 나는 다시 마음을 고쳐 먹었다. 『그러자. 조실스님 말씀대로 오대산에 가서 다시 차분히 화두만 들자』 하고 오대산을 향하였다.
나는 오대산에서 다시 一년을 지냈다. 화두에 전념하고자 힘을 썼었는데 역시 공부는 순일하지 못하였다. 약간의 경계를 통하여 얻은 경지가 앞에 드러나 화두가 순일하지 않았던 것이다. 원래 화두는 아는 것이 아니고 오직 알지 못할 곳을 향하여 명백하게 차고 들어가는 것인데 그 무렵에 나의 공부는 그러하지 못하였다. 이런 것을 아는 장애[所知障]라 일러왔던 것이다. 약간 아는 것이 알음알이가 되어 화두에 대한 힘찬 의정(疑情)을 가로막은 것이다.
② 통도 강원으로 가다
0001_0043_a_01L오대산에서 무진(서기 一九二八)년 여름까지 지내고 난 그때는 나에게 딴 생각이 일고 있었다. 『세상에 이 법보다 좋은 법이 어디 있는가? 이것을 모르고 허둥대는 사람들이 불쌍하기 짝이 없다. 저 사람들을 포교하여 불법을 알게 하여야 하겠다. 그렇지만 나는 아직 경을 배우지 않았으니 경을 배워야 할 것이 아니겠는가? 이 좋은 법을 널리 펴기 위해서 경을 배우러 가자』
나는 이런 생각이 가득했다. 생각해보면 그 당시 나는 확철대오하였다고 거침없이 큰소리치기에는 자신이 없었어도 그래도 불법 본분일사에 있어서는 무엇인가 후련한 것을 분명히 가지고 있었다. 그때 선지식의 말씀을 따라 계속 화두를 들어 공부하여 최후 뇌관(牢關)을 타파할 생각을 뒤로 미루고 선방을 떠나온 것은 두고두고 유감이다. 나는 그 후 경도 배우고 포교도 하고 종단운영에도 참여하였지만 끝내 조사관을 타파하는 일은 오늘날까지 밀려온 것이다. 내 이 나이에 다시 이 문제와 맞부딪혀야 하니 생각할수록 안타까운 노릇이다. 저때에 나의 경계는 분명 한때의 바람이었다. 나는 그 바람을 타고 뿌리를 뺄 것을 놓쳤던 것이니 어찌 유감일 뿐이랴!
나는 무진년 가을(서기 一九二八) 통도사로 내려왔다. 통도사에는 나의 사형이신 오해련(吳海蓮)스님이 강원 강주로 계셨고 또한 그곳에는 우리 은사스님이신 한암 조실스님의 법답(法畓)이 열여섯 마지기가 있었다. 은사스님의 허락을 받아 학비는 법답 수확으로 충당하기로 하고 통도사 강원으로 갔던 것이다.
지금 돌이켜 생각해도 부끄러운 일이지만 그 당시 내 생각에는 다분히 범부심정이 크게 움직이고 있었다. 경을 배워 포교하자는 생각도 있었지만 한편에는 그동안 산중에만 살다가 이제는 사회대중과 접촉하고 싶었고 자기가 아는 것을 자랑도 하고 싶었고 남들보다 우월하게 잘되어 보고도 싶었다. 그때 나이 二三세이니 나이로 보아 그럴만도 하겠지만 젊은 독자 가운데 참선하시는 분들은 이 늙은이의 젊은 시절의 잘못을 참고로 삼았으면 한다.
통도사 강원에서는 신미년 여름까지 三년을 지냈다. 강원에서 글을 배우는 동안 나의 공부는 많이 퇴실하였다. 공부는 원래 문자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실답게 참구하여 실답게 보는 것인데 강원에서 이력 본다고 문자나 해석하고 이론이나 희롱하고 세월을 보냈으니 이런 문자나 이론 공부가 어찌 본분실지를 닦는데 상관이 있을까? 강원 三년에서 얻은 것은 많았지만 그것은 잡동사니 뿐이요 자기본분을 빛낼 공부는 정말 멀어졌던 것이다. 나는 마침내 다시 선방으로 뛰어 나왔으니 그때는 二六세 되는 서기 一九三一년 신미년 여름이다.
③ 다시 대승사 선원으로
나는 신미년 여름을 지금은 경북이지만 당시 강원도 울진 불영사(佛影寺)에서 지내고 겨울철은 문경(聞慶) 대승사(大乘寺)로 왔다. 그때 대승사에는 조실스님이 박금봉스님이었고 박인곡(麟谷)·권석집·정혼해(混海)·정금오·이백우(白牛)·정전강(田岡)·박승순[東庵]스님 등 쟁쟁한 납자가 모였었다. 전강스님은 그때 영신(永信)이라고 하였다. 그때 용성스님께서 내려 오시어 보살계와 비구계 산림을 하였고 또한 화엄경 산림을 한 달 동안 계속하였다. 그때는 수좌는 오로지 화두 한가지가 있을 뿐이요 문자 배우는 것을 무시하는 경향이었지만 용성 조실스님의 설법이라면 선방수좌든 누구든 모두가 열심히 경청하였다. 용성화상과 같이 깨달은 분에 있어서는 모두가 본분 한 물건을 밝힐 뿐이요 거기에 따로 선이니 교니 하는 분별의 여지가 없었던 것이다. 그때 지금의 전관응(觀應)스님이 경을 보러 왔었는데 그때의 이름은 지수(智首)라고 하였었다.
그때 대중들은 제각기 한마디 이를 만한 공부 실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래도 정진은 모두가 알뜰하게 하였다. 나는 선방에 돌아와서 정말 고기가 제가 살던 물로 돌아온 것 같은 심정이었다. 강원에서는 문자를 배우고 격한 토론도 해보았지만 모두가 마음에 차지 않아 흡사 탁한 공기 속에 있는 것 같았지만 선방에 나와 앉아 있으니 정말 사는 것 같았다. 나는 용성화상의 법문을 듣고 나름대로 애는 써보았다. 용성화상께는 강원에서 선방으로 나올 때 찾아 뵈옵기도 하였지만 대승사에서 뵈올 때는 각별히 친근할 수 있었다.
조용명, 老師의 雲水시절 ; 풋내기 호법행각의 시절
『佛光』 63호(1980.1), pp.97-99.
① 화과원 싸움
0001_0044_b_01L문경 대승사에서 용성스님을 모시고 화엄경 산림을 마친 후 삼동을 분란 속에서도 애써 공부하고 봉익동 대각사로 올라왔다. 용성 조실스님은 아무래도 내가 의지할 마음의 스님이었다. 그런데 용성스님은 함양 화과원으로 가시면서 같이 가겠냐고 물으셨다. 노스님 역시 나에 대한 기대와 사랑이 적지 않으셨던 것이다. 그런데 나는 가는 곳마다 싸움을 하게 되었다. 죽비 밑에서 화두하고나 씨름을 하면 좋았을 터인데 어쩐지 주먹다짐을 하고 싸울 일이 연달아 일어났다. 이런 이야기를 쓸 필요는 없지만 나의 젊은 시절을 회고하는 한 토막은 되는 것이기에 한두 가지만 말해 본다.
우선 화과원에서의 일인데 화과원은 여순반란중에 불타고 지금은 없다 한다. 용성스님이 새로운 총림을 개혁하고 과일나무를 심고 임야를 개발하며 총림을 구상하셨던 곳이다. 그곳에서 여름을 지내는데 나에게 배당된 소임이 산을 지키는 산지기였다. 그런데 산에 풀 베러 들어오는 초군을 막는 것이 여간 큰일이 아니였다. 밤에는 정진하고 조실스님의 법문을 들으며 애는 썼지마는 역시 내 생각에는 초군 말리는 일이 정말 버거웠다. 하도 초군들이 억세고 말을 안 듣기에 무단정치를 할 작정을 하였다. 나는 몽둥이를 들고 산 아래 길목에 서 있으려니 역시 초군들이 떼를 지어 올라온다. 나는 소리치기를 『일초일목이라도 베어 가면 도적이다』 하였지만 그 사람들은 웬 봄바람이냐 하는 식으로 허허 웃고 산에 들어와 마구 풀을 벤다. 자기들의 군세를 믿는 것이다. 나는 사정없이 덤벼들어 지게를 부수고 붙잡으며 낫을 뺏었다. 이러지 않고는 산을 지켜낼 재간이 없었다. 내가 한 번 길을 들여 놓고 떠나면 앞으로는 산이 온전하겠지 하는 심산에서였다.
그러나 사태는 달랐다. 이러기를 두 주일쯤 지나서 하루는 산 아래 마을에 사는 노처사님들이 밤중에 헐레벌떡 올라왔다. 하는 말이 『백전(그곳이 백전면 백운리였다) 초군들이 모여서 내일은 절 산지기를 죽여서 불태우고 절도 불지른다』고 모의하였던 것이다. 나는 이 말을 듣고 분개하였으나 절에 화가 닥치면 조실스님께도 죄송스럽고 이것은 작은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면서 내가 떠나고 없으면 그만 아니겠는가 하는 생각이 났다. 그때 경성스님이 원주였는데 역시 떠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었다.
이렇게 해서 나는 안거(安居)를 채우지 못하고 화과원에서 三十六계를 놓았다.
② 통도사로 돌아오다
0001_0045_a_01L화과원에서 나와 대구 화원에 있는 극락선원에 잠시 있다가 동화사 금당선원에서 한동안 머물렀다. 그리고 경주 불국사, 백율사를 두루 돌아보았는데 가는 곳마다 평화스럽지 못했다. 화원에서 나를 불량배로 밀고하였고 금당에서는 원주의 살림살이를 두고 볼 수 없었으며 불국사나 백율사에 와서는 절 형세를 보고 탄식하고 눈물도 많이 흘렸다. 그때 불국사로 말하면 주지 노장 한 분이 자기 가족과 어린 상좌 한 사람과 살고 있었는데 법당 안이나 부처님 탁자는 먼지가 한 치는 쌓였었다. 세상에 부처님을 어찌 이렇게 하고 살까보냐 하는 비분이 치밀어 올라와 함께 갔던 백우스님과 눈물을 흘렸다. 그리고 三일인가 걸려서 법당 안팎을 말끔히 청소하였다. 주지 노장에게 단단히 주의를 주고 나왔는데 백율사에서도 매 한가지였다.
장경 열람을 할 생각으로 통도사로 돌아오는 길에 울산 학성교당에 들렀다. 이곳은 나의 사형이신 박동산스님이 강사를 하시다가 쉰다고 잠시 와 계셨다. 여기에는 마침 땡초 五-六명이 몰려 와서 우리 사형을 애먹이고 있었다. 땡초라 하면 경도 글도 법도 수행도 없는 부랑배 중들인데 이들이 와서 절에 있는 것은 모두 가져가고 주지를 애먹여 내쫓고자 하고 있었다.
이 말을 듣고 분개하고 있는데 마침 이들이 몰려와 대들었다. 나는 준비하고 있던 자그마한 몽둥이를 휘둘러 모두 내쫓았다. 그날 땡초들이 보복하러 올 것이라고 해서 나도 급히 울산 포교당으로 도망쳐 왔다.
다음날 통도사에 돌아와서 가만히 생각했다. 『가는 곳마다 이래서는 안 되겠다』 하고 있으면서 보광전 구하(九河) 스님을 뵈오니 『그만 돌아다니고 여기 가만히 있게』 하신다. 나도 지친 터라 보광전 뒷방에 있으면서 차분히 장경 열람을 하기로 하였다. 그때 상해 빙가정사 장경이 사중에 있었다.
조용명, 老師의 雲水시절 ; 남방 선방의 기풍
『佛光』 66호(1980.4), pp.29-31.
0001_0046_a_01L이번에는 기왕 말이 나왔으니 나의 운수시절의 승풍 한구석을 말해 보고자 한다. 그때 당시는 누구든지 중이 되면 경을 배워야 하는 것으로 알았고 그 다음에는 선을 해야 한다는 사상이 꽉 배겨 있었다. 그러므로 경을 배우지 않은 중이라면 중 가운데서는 하지하(下之下)요 선을 하지 않은 교학자는 반쪽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니 중이 되면 반드시 먼저 글을 익혔다.
내가 송광사 갔을 때 일이다. 나는 이미 말한 바와 같이 한문을 얼마간 배우고 절에 왔다. 내가 선방에서 참선을 하겠다고 하니 다들 말렸다. 뜻은 좋으나 먼저 경을 배우라는 것이었다. 말하기를 글은 거미줄과 같은 것이다. 줄이 있기 때문에 허공에다 줄을 쳐 놓고 거미 행세를 한다. 중도 마찬가지여서 진리를 알면 자기 구제는 할 수 있겠지만 글을 모르고서는 남을 돕는 이타(利他)는 못하게 된다. 만약 이타를 못하게 되면 그것이 무슨 종교인이냐. 종교인으로서는 반쪽밖에 안 된다. 그러니 너는 총명하고 영리하니까 불경을 읽어라 하였다.
나는 이런 말을 많이 들었지만 끝내 강원은 가지 않고 먼저 선방에 뛰어들었고 뒤에 강원에 간 것은 앞서 말한 바이다. 하여튼 당시는 교를 배우고 마침내는 선을 해야 진짜 중이라는 사교입선론(捨敎入禪論)이 철칙이 되어 있었다. 그래서 많은 경학자들도 애써 선지식을 찾아 참선을 했던 것이다.
송광사에서는 삼일암(三日庵)이 선방이고 큰절에서 강원을 했다. 선암사(仙岩寺)에서는 칠전(七殿)이 선방이고 서전(西殿)이 강원이었다. 선암사는 유명한 강사 도량이다. 경운스님 밑에 강맥이 이어져 7대로 이어졌는데 경운스님이 5대 강사이고 그의 제자 장기림스님이 유명했다. 강사이고 문장가로서 그 당시 우리 진진응스님 다음가는 대강사라고 했었는데 아깝게도 일찍 죽었다. 그 밑에 제자 조종현(趙宗玄)스님이 났는데 이로써 七대 강사가 된다. 이런데서 선암사는 선보다 강을 많이 주장했다.
선암사 칠전 선방은 이선파스님이 개설하였다. 선암사 출신인 선파스님은 용성 조실스님에게 가서 참선을 하고 선지를 얻어 가지고 선방을 차린 것이다. 그러나 많은 수좌는 없었다.
송광사에서는 강보다는 선을 위주해야 한다는 생각이 성하였다. 이것은 보조스님 이래의 가풍이다. 지금도 그런 것으로 안다. 그 당시의 선방 조실은 조예운스님이었고 또한 김석암스님이 계셔서 선을 크게 고취하였다. 석암스님은 용성스님의 제자인데 지견이 크게 통투해서 예운스님과 함께 쌍벽을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수좌들이 많이 지냈다. 지금의 채회암스님은 그때 이름이 현문인데 처음 거기서 만났고 김야허스님도 마찬가지다. 그 당시 용성 조실스님은 백양사 운문암에 계셨는데 수좌들이 벌통처럼 연이어 드나들며 공부를 물었었다.
송광사가 강보다 선을 위주한 것은 앞서도 말했다. 지금도 그런 것이 있겠지만 그때 송광사 대중들 중에 학인들은 강을 주장했고 수좌들은 선을 해서 견성해야지 강이 다 뭐냐고 했다. 그런 속에서 잊을 수 없는 것은 이대우스님이다. 대우스님은 경도 마쳤고 다시 선방에 나가 수십년 동안 화두 공부를 했다. 그중에 어떻게나 깔끔히 선방을 외호하였는지 제방 선원에서 유명했다.
곡성(谷城) 동리사에도 최풍하스님이 계셔서 선방을 했다. 풍하스님은 점잖고 글도 잘했고 선에서도 열심이었다. 선방 외호를 잘했는데 부족한 것이 없었다.
조용명, 老師의 雲水시절 ; 화두와 염불
『佛光』 67호(1980.5), pp.40-42.
0001_0047_b_01L이제까지 몇 번인가 우리 스님 한암 조실스님에 대하여 언급한 때가 있었지만 여기서 좀 더 노장스님에 관한 기억을 더듬어 보고자 한다. 나는 한암스님과 같은 선지식을 뵈었지만 오늘의 불광 독자들은 뵈온 분이 적을 것 같아서 우리 스님을 추모하는 마음으로 몇 자 더 적는 것이다.
우리 노장님은 항상 오똑하게 앉아만 계셨다. 뒤에도 말하지만 화두하는 것만을 오직 일로 삼았다. 그런데 손에는 언제나 염주를 쥐고 계셨다. 그렇다고 염불하는 것을 보진 못했다. 남에게 하라고 권하지도 않으신다. 염불을 해도 말리지 않으셨다. 하루는 내가 묻기를,
『스님, 스님은 염주를 무엇 때문에 돌립니까? 염주 돌리며 화두 하십니까?』
스님은 아무 말씀 않으시고 염주를 번쩍 들어 보이셨다. 우리 스님이 염주 돌리는 것을 보고 그때 수좌들이 뒤에서 수군대기를 글 잘하던 분이라 글 생각이 일어나는 것을 막느라고 염주 돌린다고도 했고, 화두가 안되니까 염주를 돌린다고도 했고, 조실이 주력한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스님은 좌선할 때를 빼놓고는 언제나 그 반들반들한 염주를 돌리고 계셨는데 그 뜻을 누가 알까.
이에 생각나는 것은 용성스님의 경우다. 용성스님은 염주를 든 것을 본 적이 없다. 그렇지만 염불은 간혹 하신 것으로 안다. 한 번은 이런 일이 있었다. 나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여러 차례 간도(間島)를 왕래하지만 무사히 다녔다. 나는 차중에서 수상한 것을 느낄 때면 관세음보살을 염한다.』
하셨다. 그 당시에는 국경, 변경을 출입하다 보면 여러 불안한 일이 있었던 것이다.
『참선 수좌라도 어려울 때는 관세음보살을 염하도록 하라.』
나는 이 말을 듣고 곧 대꾸했다.
『노스님, 스님이 삼매 중에 계시면 일체 재난이 침입하지 못할 게 아닙니까. 염불한다는 것은 밖으로 구하는 것이 아닌가요?』
선 하는 사람이 밖으로 무엇을 구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나는 그것만을 알고 들이댔다. 스님은 대답하였다.
『아, 너희들이 아직 모르는구나. 관세음을 부른 놈과 삼매에 든 놈이 둘이 아니여. 둘이 아니지만 힘은 두 가지가 나타나느니라.』
내가 대꾸했다.
『둘이 아니고 하나라면 뭐 부를 필요가 있습니까. 화두나 할 것이지요.』
스님이 웃으시면서 말씀하셨다.
『관세음보살을 많이 부르면 이해할 때가 있어. 지금 너희들은 아직 이해를 못한다만…… 관음묘지력(觀音妙智力)이 능구세간고(能球世間苦)라 하였느니라.』
선지식으로서 관세음과 화두가 둘이 아니라는 말을 하는 것은 용성스님뿐이었다. 아무도 그런 말 하는 사람을 나는 못 보았다. 이 점에 있어 용성스님은 사뭇 원융한 종사라는 느낌이다. 망월사에서 천일기도할 때에도 그랬다. 아침에 참선하고 공양할 때에 발우를 펴고 천수물을 돌리고 나서 대중이 일제히 천수다라니를 3편 외었다. 수좌들이 반대하여 구지렁대니까,
『다 이치가 있어서 하는 일이다. 그래야 성중이 가호하고 도량이 장엄하며 불사에 장애가 없는 것이다.』
하시니 대중은 아무 말 없이 순종할 뿐이었다. 화과원에서 모시고 지낼 때도 말씀하시기를,
『근기가 약한 사람은 천수를 지속하면 퇴전하지 않는 도리가 있느니라.』
하신 것을 기억한다.
조용명, 老師의 雲水시절 ; 수좌들과의 문답
『佛光』 69호(1980.7), pp.37-38.
0001_0049_a_01L내가 산에서 내려온 후에 먼지 속을 밤낮으로 뛰어다니면서도 밤이면 종종 스님 모시던 시절 일이 꿈에 나타나기도 하였다. 스님 시봉하던 일이라든가, 상원사에서 마지를 지어 들고 법당에 가는 일이라든가 등등……. 그러나 이제는 그런 일도 까마득히 잊고 지낸다. 그렇지만 한 가지 역력한 것은 선방에 있을 때에 스님에게 묻고 대답하던 일들이다. 지금 몇몇 당시의 세간 납자들이 스님께 묻던 것을 몇 개 적어두고자 한다.

단암(壇庵)스님은 용성스님 제자다. 선방에서 성정이 알뜰하고 덕이 후한 납자로 알려지고 존경을 받았다. 그때가 병인년 여름이니까 一九二六년이다. 상원사에서 지내는데 그 해는 유난히 비가 많이 왔었다. 밖에 비가 주룩주룩 내리는 소리를 들으면서 역시 공양 후 차를 마셨다. 그런데 단암스님이 조실(한암)스님께 여쭈었다.
『스님, 능엄경에 제가환자(諸可還者)는 비여(非汝)어니와(가히 보낼 수 있는 모든 것은 내가 아니거니와), 불가환자(不可還者)는 비여이수(非汝而誰)오?(가히 보내지 못할 자는 이것이 내가 아니고 무엇이오?)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뜻입니까?』
조실스님이 가만히 앉아 계시더니,
『호손(猢猻)이 도상수(倒上樹)니라.(원숭이가 거꾸로 나무에 올라가느니라.)』
하였다. 단암스님은 그 말을 알아듣기에 아직 지견이 열리지 않았음인지 눈을 꿈벅꿈벅하고 의아해 했다. 그러더니,
『무슨 말씀이신지 얼른 이해가 안 가네요.』
이렇게 말했다. 우리 스님이 대답하였다.
『내일 이 시간에 다시 물어 오너라.』
이 말 안에 모든 것이 들어 있었고 우리 스님의 간곡한 뜻도 함께 있었다. 그렇지만 그때 대중이 얼마나 그 뜻을 알고 있었는지……. 대중은 다만 묵연히 차만 마시고 있었다.
조용명, 老師의 雲水시절 ; 그리워라 우리 스님
『佛光』 71호(1980.9), pp.68-69.
0001_0050_a_01L비록 내가 신통을 얻는 뜻은 못 이루었지만 내가 다시 마음먹고 스님의 선상(蟬床) 밑에 있었던들 나는 달랐을 것이다. 적어도 우리 스님께서 입적하실 때까지만 스님의 방망이 밑에서 지났더라면 나는 불법의 한 모퉁이는 당당히 맡을 만했을 것으로 생각이 된다.
내가 불교의 인연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조금만 더 견디었으면 크게 깨쳐 자리(自利)를 끝내고 대중에 이익을 줄 수 있었는데 인연이 좀 박해서 가볍게 통하여 허송세월을 하였다.
저때에 중대(中臺)에서 스님 모시고 지내면서 금강경을 배우고 한 생각이 동하니 그때의 시원하고 상쾌하기는 정말 날을 것 같아 어찌 이런 숭고한 도리를 썩힐까보냐, 세상을 이롭게 하자는 자그마한 생각에서 날뛴 것이 그릇 깨지는 시작이 된 것이다.
생각할수록 탄식할 뿐이다. 내가 우리 스님 입적 때까지만 모시고 지냈으면 어쨌든 현세에서는 선의 왕이 됐을 것이다. 그런데 이 꼴로 용두사미가 되었다. 이제는 후회 막급이다. 금생은 이렇게 노력하다가 몸을 바꾸기로 하고 뜻만은 변치 않아 결코 뜻을 이룰 것을 거듭 생각한다. 내생에 몸을 받아 다시 시작한다는 것은 시간적으로 좀 지연될 뿐일 터이니까…… 나는 금생을 허술하게 살기는 하였지만 미래에 이 법의 왕이 될 종자는 분명히 심었다고 확신한다.
용성 조실스님은 대처승 때문에 불법이 망한다고 많은 걱정을 하셨고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신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마침내는 독립된 선방을 만들어서 불법정맥이 끊어지지 않게 하여야겠다고 극력 노력하셨다. 그래서 가는 곳마다 선회(禪會)를 열고, 서울이고 산중이고 총림을 구상하였다.
그러나 한암 조실스님은 일체 그런 것에 관심을 표시하지 않으셨다. 오직 당신 공부만을 알뜰하게 지키시는 것으로 보였다. 남의 잘잘못에 대하여는 조금도 입밖에 내지 않으셨다. 다만 잘한 것은 간혹 말씀하셨다. 제산(濟山)스님이 장하다, 만공(滿空)스님이 호걸이고 법이 높은 훌륭한 스님이다. 용성스님이 경·율·론 三장에는 당대에 박통제일이다. 혜월스님이 혜(慧)가 밝기는 비수 같다 등등 하는 말이었다. 그 당시 공부인으로 꼽히던 스님 중 수월(水月)스님이 계셨는데 스님은 얼굴이 검고 초췌하고 몸이 작아 볼품이 없었지만 자비와 인욕은 당할 이 없으리만치 장한 것으로 통해 있었다. 거듭 말하지만 우리 노장님은 일상에 무심하고 내가 혹 방정맞고 불경스러운 말을 여러 번 드려도 거목(巨木)처럼, 호수처럼 잠잠히 계셨다. 일상이 정말 중[僧] 그대로 정결하셨다. 그밖에 방에 계시어선 항상 오똑하니 앉아 계시어 일상시에 일체 생각이 끊어진 삼매로 계신 듯하였다. 실지 분별심이 끊인 듯한 일들을 나는 여러 번 보았다.
운성, 나의 대원강원 시절 (1)
『佛光』 81호(1981.7), pp.68-69.
0001_0051_a_01L우리나라 불교 교육은 예나 지금이나 불교강원과 사찰 내 생활이 그 중심임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런데 1920년대는 우리나라 불교가 기나긴 동안 사회적 활동이 억압되어 있다가 그것이 풀리고 나서 왕성하게 자기복귀를 시도하던 때라고 보여진다. 승려의 서울 입성 금지가 해제된 것이 1875년 4월이었고 한국 불교를 총괄하는 원흥사가 출발한 것이 1902년이니 그때 이후 불교연구회 등 불교개화를 위한 왕성한 운동을 시작한 것이 10년간이고, 20년대부터는 이것이 불교계 내에 큰 조류를 형성하여 자체 내의 교육기관의 확충과 대외적 불교포교의 적극화를 위하여 왕성한 활동이 싹트던 시기였다.
1910년 나라를 일본에게 빼앗긴 이후는 불교 교육과 사회활동의 강화가 조국을 찾는 길이라는 신앙 운동이 물결쳐 불교 교육기관과 포교당의 설립, 각종 불교단체의 결성 등 운동이 활발했던 것이다. 동국대학의 전신인 명진학교가 설립된 것은 1906년이지만 일본조동종과의 합병을 반대하여 임제종 운동을 일으켜 한국 불교를 지켜나간 것은 합방되던 해로부터 2, 3년 사이에 일어난 큰 사건이다. 서울에 각황사를 세워 중앙포교당을 삼고 전국 각 지역에 불교진흥회를 결성하였고 각 본산 내에서는 불교청년회를 결성하는가 하면 각 지방에 순회포교 야학 강습 등 활발히 벌여갔던 것이다.
그 당시를 조사해 보면 불교포교를 위한 월간지 발행도 꾸준히 계속되었다. 조선불교월보(발행인 권상노), 또는 해동불보(발행인 박한영), 불교진흥회월보(발행인 이능화), 조선불교총보(발행인 이능화), 불교(발행인 권상노) 그 밖에 여럿을 헤아릴 수 있다. 중앙에 있는 불교 교육기관으로서는 앞서 설립한 명진학교를 불교사범학교로 개칭하였다가 불교고등강숙으로 이름을 바꾸어 우리 스님 박한영 스님이 숙사가 되었고 또한 불교중앙학림을 설립하고 그 후에 중앙불교전문학교로 발전하였다. 한편에 참선납자의 중앙기관이라 할 기구로는 오늘의 선학원의 전신인 선우공제회가 있었고 이것은 사단법인으로 인가가 되었다.
그 무렵에 선포교와 함께 선원을 경영하고 또한 삼장(三藏)학회를 설립하여 역경을 시작하고 한때 기관지까지 발행한 것은 백용성(白龍城)스님이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설립한 것이 개운사 불교 전문강원이다. 그것은 1926년 10월달인데 물론 강주는 우리 스님이시다. 개운사 강원은 그 당시 오랜 동안의 압박을 헤치고 일어서 사회교화에 깊이 침투하고자 하는 불교 내의 젊은 기운과 나라를 잃은 백성들이 나라를 지키고 되찾겠다 하는 울분의 격류가 불교 내에 흐르면서 이것의 한 표현으로 성립된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막중한 의도를 구체적으로 출범시킨 분들이 있다. 나는 강원 이야기 들어가기 전에 강원을 출범시키고 유지해 온 배후 세력을 한마디 해야겠다.
불교와 문화
이동호, 온몸으로 개혁불교를 실현한 현공 윤주일 거사
『불교와 문화』 12호(1999.12), pp.73-74.
0001_0053_a_01L그러는 중에 당시 서울 인사동 소재의 범어사 포교당에서 용성(龍城)선사의 설교를 듣고 발심하게 된다. 그는 “본인이 처음 불문(佛門)에 들어가기는 18세 되던 해인가 생각이 된다. ……용성스님의 설교를 들었는데 참으로 재미있었다. ……심조만유(心造萬有)의 원리와 화엄법계관(華嚴法界觀)의 불사의도리(佛思議道理)는 참으로 어린 정신을 도취시켜 버리고 말았다. 그 후 한용운(韓龍雲) 선생과 만났는데 민족의식이 강렬하였고, 송만공스님의 설교를 많이 들었는데……”라 술회하고 있다.
불법의 심오함에 심취한 그는 드디어 서울 봉익동 대각사에서 용성선사를 은사로 출가 득도하고, 금강산 유점사에 들어가 2년간 장좌불와 용맹정진하여 24세(1918)에 한 소식을 얻게 된다. 그러나 한 개인의 해탈 낙에 빠져 겨레의 고통을 외면하기에는 선생의 타고난 겨레사랑의 마음이 너무 깊었다. 하산한 그는 고당 조만식(趙晩植)-만해 한용운(韓龍雲)-용성선사의 뜻을 받들어 불교를 통한 항일운동을 전개한다.
[빈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