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觀摠相論頌一卷

ABC_IT_K0635_T_001
017_0782_c_01L관총상론송(觀總相論頌)


진나(陳那) 지음
의정(義淨) 한역
김철수 번역


온갖 즐거움을 간략히 하면
그것은 그 모양[方隅]을 드러냈으며
만약 애착하고 번민하는 모습이 있으면
그를 위해 총상(總相)을 설하네.

성지(聲智)와 의지(義智)를 말미암은 것을
세속의 말에 근본이 되네.
이를 총상을 관조(觀照)한다고 말하는 것이니
이것은 성지와 의지를 칭송한 것이다.

이른바 성(聲)과 의(義)를 말한 것으로
이 가운데 두 가지 지(智)가 있으니
성지와 의지라고 하나니
이것이 근본이 된다.

인의(因義)에 합한다고 말하는 것은
모든 세간의 언설을 따른 것이요
성과 의지를 근본으로 삼나니
그러므로 게송[頌]으로 새긴 것이다.

성의(聲義)와 지의(智義)가 있기 때문에
대략 이 논을 지은 것이니
명칭의 뜻[義]이 연속되면
세속의 언설이 이를 바탕으로 삼는 것이다.

무엇 때문에 지금은 다만
소리[聲]와 뜻[義]만을 분별하는가?
대답하되 그와 같은 것은 아니니
설령 연속적인 소리가 있더라도

오직 명칭[名]과 뜻[義] 두 가지만 있으니
모든 존재는 공상(共相)을 인정하네.
소전(所詮)1)과 능전(能詮)2)
이 가운데서 이치를 인지(印持)하네

모두 다 거두어 여기에 들어가니
서로 떨어지지 않는 성품[不相離性]이라 하나니
비로소 상(相)이 연속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지금 분별하여 말하지 않는다.

능전인 명칭 등은
오직 연속적인 문(門)에 국한되어
저 소전의 뜻을 헤아리므로
총상성(總相性)이라 하네.

비로소 깨달아 헤아리는 것을
후에 마땅히 널리 설하리니
그러므로 오직 성(聲)과 의지(義智)는
연속(連屬)의 도리가 성립하네.

그 밖에 또다시 마음의 즐거움이 있으면
이 가운데 명칭과 뜻의 두 가지에는
세 가지의 차별이 존재하니
성(聲)과 아울러 뜻 두 가지이네.
017_0782_c_01L觀摠相論頌一卷陳那菩薩造三藏法師義淨奉 制譯諸有樂略者 彼已顯方隅 若有愛煩文爲彼說摠相 由聲及義智 俗言爲本者是觀摠相言 此頌聲及義 謂聲幷義二此中二種智 名聲兼義智 彼爲根本者謂卽於因義 由諸世閒說 以聲義智本是故勒爲頌 聲義及智義 故略造斯論問名義連屬 是俗說爲本 何以故今云但唯辨聲義 答曰不如此 縱有連屬聲唯名與義二 諸有許共相 所詮及能詮此中理印持 咸攝入於此 謂不相離性方許相連屬 故今不別說 由能詮名等唯局連屬門 了彼所詮義 故以摠相性方得解了者 後當以廣說 故唯聲義智連屬道理成 有餘復意樂 此中名義二有三種差別 謂聲幷義二觀摠相論頌一卷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교법(敎法)이나 경문(經文)의 어구(語句)에 담긴 내용을 통해 드러나는 이치를 말한다.
  2. 2)경문이나 교법을 지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