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金剛頂瑜伽護摩儀軌一卷

ABC_IT_K1335_T_001
036_1103_a_01L금강정유가호마의궤(金剛頂瑜伽護摩儀軌)


불공(不空) 한역
김영덕 번역


나는 지금 호마(護摩)를 설한다.
이로 말미암아 빠르게 성취하리라.
호마의 업의(業儀)1)로 말미암아
상응하여 중간에 끊어짐이 없는 까닭이다.

이와 같은 일체의 일을
응당 명(明)에 따라서 해야 한다.
종류에 따라서 호마를 하고
무상의 업을 성취한다.

호마는 여러 종류가 설해진다.
간략하게 설하면 다섯 종류2)가 있고
자세하게 대유가(大瑜伽)를 설하는 것은
비밀교(秘密敎)에서 설한다.

나는 지금 곧 간략하게
지명(持明)의 유희(遊戱)를 설하고자 한다.
호마의 의궤로 말미암아서
족단(族壇)3)을 성취한다.

호마에 다섯 가지 사업이 있으며
낱낱에 여러 종류가 있다.
식재법(息災法)과 증익법(增益法)이며
제3은 항복법(降伏法)이다.

구소법(鉤召法)은 제4이며
제5는 경애법(敬愛法)이다.
이것이 다섯 종류의 호마이니
이 중에서 경애법이 가장 뛰어나다.

나는 지금 군다(軍茶)4)
유가에 의하여 상응(相應)을 설한다.
식재로(息災5)爐)는 바른 원이니
응당 이와 같이 만들어야 한다.

증익(增益)6)은 마땅히 정방형(正方形)으로 해야 한다.
삼각형으로 만드는 것은 항복(降伏)7)이다.
금강형(金剛形)의 군다(軍茶)는
구소(鉤召)8)를 최승(最勝)으로 삼는다.
긴 연꽃 또는 잎 모양으로 만드는 것은
경애(敬愛)9)와 상응(相應)한다.
이미 다섯 종류를 설하였다.
군다의 업은 무상(無上)이다.

식재10)는 초야(初夜)에 행하라.
증익은 초일(初日)의 분(分)에 의하라.
중일(中日)의 분에는 응당
항복맹리(降伏猛利)의 법을 닦아야 한다.

구소는 모든 시간에 하라.
후야(後夜)에는 경애법을 행한다.
이와 같은 다섯 유가는
작업해서 등인(等引)에 들어간다.

북면에는 식재법을 행한다.
증익법은 동방을 향하며
남쪽을 바라보고는 항복법을 행하고
서쪽을 바라보고 앉아야 한다.

모든 방향에 두루 우러러 보라.
이를 구소의 의(儀)라 한다.

또한 경애와 상응하려면
응당 얼굴을 서쪽으로 향하고 머물러야 한다.
식재에는 불인(佛印)을 결한다.11)
증익은 보(寶)의 표치이다.
금강노(金剛怒)는 항복이다.
금강구(金剛鉤)는 구소이다.

불로써 상응하라.
경애법에는 연화부이다.
이와 같은 다섯 유가로써
응당 호마의 사업을 행해야 한다.

식재에는 감목(甘木)을 땐다.12)
증익에는 과목(果木)을 사용하라.
고목(苦木)은 항복의 업(業)이며
자목(刺木)으로서 구소를 행한다.

화목(花木)으로 경애를 설한다.
이와 같이 다섯 종류의 유목(乳木)을
유가자는 사용해야 한다.
식재로(息災爐)에는 윤(輪)을 만든다.

증익에는 삼고저(三股杵)이고
항복에는 일고저(一股杵)를 만들며
구소에는 마땅히 구(鉤)를 만들어야 하고
경애에는 연화를 만든다.

식재로(息災爐)의 적당한 크기는13)
가로는 1주(肘)14)로 하고
세로는 반주(半肘)로 하며
증익에는 양주(兩肘)의 크기로 한다.

세로15)의 길이는 응당 반을 사용해야 한다.
항복의 군다(軍茶)의 상은 삼각형으로서 각 1주이다.
세로의 양은 이를 반으로 해야 한다.
구소에는 길이 1주로 하라.

가로와 깊이는 각각 반을 줄여야 한다.
경애에도 역시 1주로 하라.
가로와 세로는 구소와 같게 하라.
다섯 가지 종류의 군다단(軍茶壇)16) 5불:대일여래ㆍ아촉여래ㆍ보생여래ㆍ미타여래ㆍ석가여래
혜문(慧門)16존
동:금강살타ㆍ금강왕보살ㆍ금강애보살ㆍ금강희보살
남:금강보보살ㆍ금강광보살ㆍ금강당보살ㆍ금강소보살
서:금강법보살ㆍ금강리보살ㆍ금강인보살ㆍ금강어보살
북:금강호보살ㆍ금강업보살ㆍ금강아보살ㆍ금강권보살
정문(定門)16존
4바라밀:금강바라밀보살ㆍ금강보바라밀보살ㆍ금강법바라밀보살ㆍ금강갈마 바라밀보살
8공양:내(內)의 4공양:금강희보살ㆍ금강만보살ㆍ금강가보살ㆍ금강무보살
외(外)의 4공양:금강향보살ㆍ금강화보살ㆍ금강등보살ㆍ금강도보살
12공양[四攝]:금강구보살ㆍ금강삭보살ㆍ금강쇄보살ㆍ금강령보살

응당 세 겹으로 그려서 만들어야 한다.
중원(中院)에는 갈마저(羯磨杵)를 두고
4우(隅)에는 연화를 그린다.
제2원(院)에는 4계(契)를 둔다.

이른바 4바라밀(波羅蜜)이다.
4우(隅)에는 내(內)의 4공양(供養)을 둔다.
제3원(院)에는 마땅히
8방천(方天)의 권속을 그려야 한다.

4우(隅)와 4문(門)에는
외(外)의 4공양(供養)과 4섭(攝)을 둔다.
가운데에는 변조존(遍照尊)을 안치하라.
이것은 식재의 군다(軍茶)이다.

나머지 네 군다의 상도
3원(院)이 있고 모두 이와 같다.
증익에는 중원에 응당
갈마보(羯磨寶)를 그려야 한다.

4우에는 연잎을 그린다.
제2원에는 응당
보생불(寶生佛)의 권속을 그려야 한다.
제3원 및 문에는

역시 앞에서 설한 바와 같이 하라.
항복에는 중원에
독고갈마저(獨股羯磨杵)를 두고
4우에는 연화를 그린다.

제2원에는 응당
항삼세(降三世)의 권속인
4종의 분노의 상을 그려야 한다.
제3원과 문에는 역시 앞에서 설한 바와 같이 하라.

모두 분노의 상이다.
구소에는 중원에
금강구(金剛鉤)를 그려야 한다.
4우에는 연화를 그린다.

제2원에는 부동불(不動佛)의 권속을 그려야 한다.
제3원의 4우와 8방 및 4문은
앞의 군다와 같다고 알라.
경애에는 중원에 연화갈마(蓮華羯磨)를 그린다.

4우에는 삼고저를 두고
제2원에는 응당
무량수(無量壽)의 권속인
4종의 존(尊)을 그려야 한다.

제3원의 4우와 8방과 4문은
앞에서 설한 바와 같이 하라.
이러한 5종 호마(護摩)는
유가경에서 설한 바이다.

수행자는 마땅히 알아야 한다.
4계(契) 및 4섭(攝)과
내외의 8공양을 두루 열거하리라.
단 위에 두는 것은
법의 인계를 마땅히 북면으로 해야 한다.

가(歌)의 인계는 동북간에 두고
무(舞)의 인계는 동남간에 둔다.
소향(燒香)은 희희(嬉戱)와 같고
화공(花供)은 만(鬘)의 방향에 준하라.

등(燈)은 응당 가영(歌詠)과 같게 해야 한다.
도향(塗香)은 무(舞)의 위와 같고
구(鉤)는 금강의 뒤에 있다.
색(索)은 보부(寶部)와 대(對)하라.

쇄(鎖)는 응당 법의 인계에 따라야 한다.
영(鈴)은 갈마와 같다고 알라.
행인(行人)에 따라서 오른쪽으로 돈다.
모든 단은 마땅히 이와 같이 해야 한다.

순환해서 안립하라.
식재의 제2원17)
4바라밀(波羅蜜)의 인(印)를 말하면
금강(金剛)18)에는 삼고저를 하라.
보(寶)의 인계는 보(寶)의 모습과 같게 하고
법(法)은 독고저(獨股杵)와 같게 해서
위에 개부연(開敷蓮)을 실어라.

갈마(羯磨)에는 갈마저(羯磨杵)
희희(嬉戱)에는 삼고저(三股杵)
만(鬘)은 보관의 모습과 같게 하고
가(歌)는 응당 공후(箜篌)를 그려야 한다.

무(舞)는 독고(獨股)의 갈마를
구(鉤)는 금강구(金剛鉤)를 삼으라.
색(索)은 반색(盤索)의 세(勢)와 같게 해서
한쪽 머리는 절반의 독고(獨股)로써
중심에 둔다.

쇄(鎖)는 양 환(環)을 나란하게 한 것처럼 하라.
그 중간은 연환(連環)과 같이 하라.
영(鈴)은 금강령을 만들라.
등(燈)은 납촉(蠟燭)의 상으로 만들라.

도향(塗香)에는 향기(香器)를 그린다.
소향(燒香)에는 향로를 만든다.
산화(散花)에는 화반(華盤)을 둔다.
증익의 제2원의
보생존(寶生尊)의 권속을 말하면
보(寶)에는 여의보(如意寶)를 그리고
광(光)의 상은 일(日)의 모습과 같고
소(笑)는 가로의 삼고와 같게 해서
그 중간에 치(齒)를 두어라.

당(幢)은 보당(寶幢)을 세우는 것처럼 하라.
항복의 4분노(忿怒)를 말하면
살타(薩埵)에는 삼고저
왕(王)은 2구(鉤)가 나란한 것처럼 하라.

선재(善哉)19)는 두 손을 나란히 하여
탄지(彈指)20)의 상을 만든다.
애(愛)는 궁전(弓箭)21)을 세로로 세운 것처럼 하라.
구소의 제2원은 역시
항복의 단과 같게 해서 증멸함이 없다.

경애의 제2원의
무량수의 권속을 말하면
법은 법바라(法波羅)와 같고
이(利)는 마땅히 검형(劍形)으로 삼아야 한다.

어(語)에는 응당 혀의 모습을 그려야 한다.
인(因)은 일륜(日輪)의 모습으로 만들고
가운데에 독고갈마(獨股羯磨)를 두며
연명(延命)은 증익과 같게 해서

화로의 밖에는 갑옷[甲冑]을 그리는데
사람이 갑옷을 입은 모습과 같게 해서
양 소매를 늘어뜨리게 하라.
소매는 세 독고(獨股)와 같고
아래는 훈룡(熏籠)을 덮은 것과 같다.
위에는 세 봉우리의 모습으로 만들고
세 독고저와 같게 하라.

내외의 8공양(供養)과
4호(護)22) 등과 더불어
모든 화로가 모두 하나와 같게 하라.
낱낱이 그리는 바의 인계는
모두 연화 위에 자리한다.
이로써 불꽃과 빛이 있게 하라.

8방천(方天)23)의 권속은
또한 모든 인계 등과 같고
모두 수행하는 사람의 자리에 따라서
동방으로부터 일어나라.

제석에는 독고저로 하고
증(繒)을 좌우로 묶어서
날아가는 것처럼 하라.
화천(火天)에는 군지(軍持)24)를 그리고
연좌(蓮座)의 위에 화염(火焰)이 있다.
염마(焰魔)에는 양고(兩股)의 차(叉)를 두고
그 가운데에 사람머리를 안치하고
증(繒)의 날아가는 것이 제석과 같게 하라.

나찰주(羅刹主)에는 도(刀)를 그린다.
자리의 염(焰)은 화천과 같고
수천(水天)에는 견색(羂索)을 그리고
양 머리는 마치 독고의 머리와 같고
풍천(風天)에는 번기(幡旗)를 만들어
연화 가운데에 앉는다.

비사문(毘沙門)에는 봉(棒)을 만들어
증(繒)을 묶는 것을 역시 위와 같게 하라.
사나(舍那)에는 반의 삼고(三股)를 만든다.
연좌로 하여금 불꽃의 광명이 있게 하라.
지혜로운 자는 잘 알아야 한다.
세심하게 관찰하여 착오를 저지르지 말라.

그 화로[爐]의 연(緣)25)은 높이가 2지(指)이다. 넓이는 4지(指)이다. 연의 내부 화로 입구의 본지(本地)는 넓이를 2지로 하라. 중앙의 계인(契印)의 높이는 2지로 하라. 그 화로에 몸26)을 가까이 하여 수항(竪項)을 열고, 넓이는 4지(指)를, 길이는 2지로 하라. 다음에 가로의 길이는 10지, 세로의 넓이는 4지로 하라. 다음은 연꽃 잎 모양의 모습으로 만들어 큰 것과 작은 것이 서로 대칭하게 하라. 수항(竪項)으로부터 잎의 끝까지는 모두 12지이다. 위와 아래가 함께 연과 나란하게 하라. 다섯 종류의 화로가 모두 같다. 그 지(地)를 다스리는 법은 대만다라의 법과 같게 하라. 지(地)를 파는데27) 사용하는 가래 등을 가지하는 인(印)은 2우(羽)28)를 금강박(金剛縛)29)으로 하여 선(禪)ㆍ지(智)ㆍ진(進)ㆍ역(力)을 각각 서로 나란히 세워서, 진언하기를 21번 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니가나 바소 뎨 사바 하30)
唵 儞佉那 嚩蘇上提 薩嚩二合引訶

니(泥) 및 구마이(瞿摩夷)31)와 도향(塗香) 등을 가지하는 인(印)은 2우(羽)를 합장해서 진(進)ㆍ역(力)ㆍ계(戒)ㆍ방(方)의 두 마디를 굽혀서 서로 합하고, 선(禪)ㆍ지(智)를 나란히 세우고 진(進)ㆍ역(力)을 빼서 입 모양과 같게 하라. 진언하기를 21번 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밀리 도납바 바야 훔 발타 사바 하32)
唵 阿上蜜哩二合都納婆上二合嚩野 吽 癹吒 薩嚩二合訶

5색분(色粉)을 가지하는 인계 및 진언은 모두 유가경에서 설한 바와 같다. 소(酥)ㆍ꿀ㆍ낙(酪)ㆍ우유 및 유목(乳木)ㆍ5곡(穀)ㆍ향ㆍ꽃 등을 가지할 때에는 나란히 금강갈마보살(金剛羯磨菩薩)33)의 진언으로 가지하기를 각 7번 하라. 인계는 두 손 각각의 선(禪)ㆍ지(智)로써 단(壇)ㆍ혜(慧)의 손톱에 붙이고, 다른 세 손가락은 갈라서 열고, 수직으로 금강저의 모습과 같게 해서 곧 서로 교차하여 오른쪽은 왼쪽을 누르며,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갈마 검34)
唵 嚩日囉二合羯磨 撿

태우는 바35)의 호마의 지(支)는 모두 오른쪽에 두어라. 소(酥)는 연잎의 대 위에 꿀ㆍ낙(酪)ㆍ우유[乳]ㆍ우유의 미반(糜飯) 등은 화로에 가까이하여 오른쪽에 두어라. 왼쪽에 두 그릇을 두어서 향수를 채우며[그릇은 금ㆍ은ㆍ동ㆍ백자(白瓷)ㆍ상가(商佉) 등을 사용하되, 아울러 통용해야 하며, 향은 백단(白檀)ㆍ울금(鬱金)ㆍ용뇌(龍腦) 등을 사용한다.]두 그릇36)이란 하나는 화(火) 및 공양물 등을 씻어 정화[灑淨]하는데 사용하고, 또 하나는 성중과 화천의 수구(漱口)에 사용하라. 쇄정인(灑淨印)이란 선(禪)으로써 단(壇)의 손톱에 붙이고 다른 세 손가락은 열어 세우며 삼고저의 모습과 같게 해서 물을 뿌리고 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밀리 뎨 훔 바타37)
唵 阿蜜哩二合諦 吽 癹吒

수구인(漱口印)은 오른손 금강권(金剛拳)38)으로서 진도(進度)39)를 펴고, 물을 휘저어 가지하기를 7번 하여 마친다. 문득 4도(度)40)를 굽혀서 움켜쥐고 물을 떠서 드리운 손바닥으로서 몸에 향하게 하여 오른쪽으로 돌아서 화(火)에 뿌리고,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라나 바아라 담41)
唵 嚩囉娜 嚩日囉二合引曇

식재(息災)42)에는 본존과 화천 및 호마로ㆍ의복ㆍ반식(飯食)ㆍ향ㆍ꽃 모두 백색을 사용하라. 길상좌(吉祥坐)로 앉아서 자심(慈心)과 상응하라두 다리를 교차하여 무릎을 수직으로 하여 좌우를 누른다. 증익에는 모두 황색을 사용하며, 전가좌(全跏坐)43)로 하라. 항복에는 모두 흑색을 사용하며, 준거좌(蹲踞坐)로 하라. 구소에는 모두 적색을 사용하며, 반가좌로 하라. 경애는 색이 구소와 같으며, 현좌(賢坐)44)로 하라. 물건에 기대어 다리를 내리고 앉아서 우러러 청한다[仰請].
곧 삼매야로부터 우러러 청함[仰請]에 이르기까지 모두 본법에 의거한다. 혹은 5종의 호마에 따라서, 또는 각 부의 주(主)에 따라서 5상성신(相成身)하고, 우러러 청하고 나서 찬탄을 송하고, 4섭으로써 성중을 안립해서 노단(爐壇)을 위요(圍遶)하게 한 후에 알가(閼伽)를 바치라. 각각 본 갈마(本羯磨)45)의 인계를 결하여 안립(安立)해서 본 삼매야(三昧耶)를 보이고 호마의 진언 암송하기를 108번 하라. 그런 연후46)에 한 송이의 꽃을 취하여 화천(火天)의 진언으로 가지하는 것을 3번 혹은 7번 해서 화(火) 속에 던져라. 그러한 연후에 화천인(火天印)47)을 결하라. 왼손으로 오른손의 손목을 잡는다. 오른손을 펴고 손바닥이 밖을 향하게 하며 선도(禪度)48)를 굽혀 가로로 손바닥 안에 있게 한다. 진도(進度)49)는 구(鉤)처럼 오고가게 하라. 불러 우러러 청하고 바치고 나서 선(禪)으로써 진도를 붙잡으라. 곧 발견(發遣)50)이 성취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이혜이히 마하부다 니 바리사 니미 야살치마알리 혜다바
唵 翳呬翳呬 摩訶部多 泥上嚩哩使二合儞尾二合 惹薩哆摩蘗哩二合 呬怛嚩二合
호뎨마하라마실지 산니히도사바아아나 예하미야 가미야 바하나야
虎帝摩訶囉麽悉紙平 珊儞呬都娑嚩阿誐那二合曳訶微也二合迦微也二合嚩訶娜耶
사바 하51)
娑嚩二合訶引

맞이하고 나서 향수로서 세 번 뿌리고 세 번 수구(漱口)하고, 그런 후에 본 진언을 사용하여 큰 국자로써 세 번 가득하게 소(酥)를 따르고 불에 던져라. 화천의 입 가운데에 던져서 심연화(心蓮華)에 이른다고 관상한다. 진언으로 송한다꽃을 가지 함에도 역시 이를 사용하라.
옴 아아나 예 사바 하52)
唵 阿誐那二合曳 娑嚩二合引訶

곧 이 진언으로서 작은 국자로 세 번 꿀ㆍ낙(酪)ㆍ우유를 던져라. 그리고 유목 내지 향과 꽃 등도 던져라. 화천은 팔이 넷이다. 오른손은 무외(無畏)이다. 제2의 손에는 구슬을 지녔다. 왼손에는 선장(仙杖), 제2의 손에는 군지(軍持)를 집고 있다고 관상하라. 심장으로부터 몸 가운데에 두루 무량의 도향운(塗香雲)ㆍ화운(華雲)ㆍ소향운(燒香雲)ㆍ반식(飯食)ㆍ등명(燈明) 등의 각종 공양을 유출해서 모든 불보살과 연각ㆍ성문 및 일체의 세천(世天)을 공양한다고 관상하라. 화천의 진언의 사바하(娑嚩訶)의 위에 구하는 바의 일53)을 말하고 이를 던져라. 그러한 후에 대표로써 세 번 가득 던져서 공양하라. 한 송이 꽃을 가지하여 본방(本方)의 좌처(坐處)에 두어서 화로로부터 청하고 나와서 본 좌에 돌아오시게 하라. 그러한 후54)에 세 번 화(火)를 정화하여 네 글자의 명(明)으로써 불보살을 우러러 청하여 각각 본좌에 앉게 하고 세 번 수구(漱口)를 받들어서 세 번 큰 국자로 소(酥)를 채워 바치라. 그런 다음 다시 작은 국자로써 세 번 꿀ㆍ낙ㆍ우유ㆍ유미반을 따르고, 내지 유목ㆍ5곡ㆍ화ㆍ향 등을 각각 세 번씩 던져라. 성존의 입 가운데에 던져서 심장에 이른다고 관상하라. 만약 식재법55)을 하고자 하면 5곡은 반드시 10배하고 유마(油麻)를 더해야 한다. 유목56)은 108매(枚), 혹은 54매, 혹은 21매를 사용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파파나아나 바아라 야 사바 하57)
唵 薩嚩播波娜訶那 嚩日囉二合耶 婆嚩二合引訶引

혹 어떤 가르침 가운데에서 설하길, 본부모(本部母)의 진언을 사용하여 식재를 하려면, 혹은 본존의 진언이나, 혹은 비로자나의 진언이더라도 모두 사바하(婆嚩訶)58)의 위에 하고자 하는 바와, 나와 남에게 ‘원컨대 일체의 재난을 없애주소서’라는 말을 덧붙이라. 마음을 화로 가운데의 성중에 오로지 집중하라. 성중이 모두 마음을 따라서 외변신(外遍身)의 털구멍으로부터 공양의 구름바다를 유출해서 가없는 세계에 이르러 일체의 부처를 공양하며, 내지 일체의 3악취의 고뇌를 제거한다고 관상하라. 호마를 하고 나면 세 번 대표로 소(酥)를 가득 떠서 성중에 바친다. 남은 5곡ㆍ화향 등은 한 그릇 속에 모아서 시방의 세천(世天)에 바친다. 나머지의 화로[爐]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증익(增益)을 하려면59)우선 앞과 같이 화천을 우러러 청하고, 곧 성중께 세 번 대표로서 유목 및 향과 꽃 등을 바쳐라. 아울러 앞과 같이 갱미(粳米)를 태우라. 혹은 연명을 원하면 굴루초(屈蔞草)60)를 태워라. 그 연명의 화로는 앞의 증익의 화로와 같게 해서 밖은 갑옷[甲冑]의 모습으로 만들고 나머지 향과 꽃 등은 모두 앞과 같게 하라. 오직 갱미(粳米)ㆍ굴루초는 나머지 물건에 더하기를 10배하라.
증익의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보사타 예 사바 하61)
唵 嚩日囉二合引 補瑟吒二合曳平 婆嚩二合引訶

연명계(延命契)62)는 두 손을 각각 금강권으로 해서 진(進)ㆍ역(力)을 펴서 상구(相鉤)하여 정수리 위에 두고 몸은 항삼세(降三世)로 된다고 관상한다. 인계 위에 비로자나불을 관상하고 몸 가운데에서부터 하늘의 감로를 유출해서 수행하는 사람의 몸에 부어진다고 관상한다.
연명(延命)의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유쇄 사바 하63)
唵 嚩日囉二合 喩曬師皆反 娑嚩二合引訶

사바하의 위에 나와 남을 위하여 증익 혹은 연명을 바란다는 말을 더하라. 혹은 당시의 마음의 원하는 바 등과 같은 말을 하여라. 마음을 화로 가운데의 성중에 집중하라. 관상하기를, 성중의 마음에서 외변신(外遍身)의 털구멍으로부터 공양의 구름바다를 유출해서 가없는 세계에 이르러 일체의 불보살을 공양하고 내지 광명이 일체의 유정과 육도사생(六道四生)을 비추어서 모두 영화와 부귀 및 수명을 연장하는 것을 획득하게 하라. 곧 이 광명으로 자신의 집 가운데에 7보 및 자재로 쓰는 물건들을 비 뿌린다고 관상한다. 또한 하늘의 감로가 자신에게 부어져서 털구멍에 두루 한다고 관상한다. 만약 항복의 법64)을 행할 때에는 앞과 같이 화천을 우러러 청하라. 혹은 만청(蔓菁)65)을 사용하고, 혹은 개자(芥子) 등의 기름을 사용하고, 혹은 물소의 소(酥)로써 하고, 혹은 노지라(嚕地囉)66)를 사용하라. 우선 성중에 세 번 큰 국자로 바치고 나서, 향기 나는 꽃과 냄새 좋은 꽃ㆍ안실향(安悉香)ㆍ소금ㆍ독약 등을 사용하라. 혹은 오직 철말(鐵末)을 사용하며, 혹은 저 모습67)을 만들어서 층층으로 잘라서 이를 던져라.개자ㆍ납(蠟)ㆍ소금ㆍ독약 등으로 만든다. 화천에 던질 때에는 화천의 마음으로부터 외부와 신체에 두루하게 기장(器杖)을 유출해서 저 몸 위에 던진다고 관상하라. 화천 및 본존을 관상하여 모두 분노의 모습으로 만들고, 진언으로 송한다.

훔 바아라 사다바 야 바타68)
吽 嚩日囉二合 薩怛嚩二合耶 癹吒半音

발타(癹吒)69) 위에 그 명호를 가(加)하여라. 혹은 본존법을 사용하고 혹은 부동존의 진언ㆍ혹은 항삼세의 진언ㆍ혹은 문수사리(文殊師利)ㆍ육족존(六足尊)70)의 진언을 사용하라. 분노존(忿怒尊)의 몸 가운데에서 구름바다처럼 많은 기장(器杖)을 유출해서 모든 허공의 온갖 분노존을 공양한다. 곧 이 기장은 저 위 및 집에 떨어진다고 관상하라.
만약 구소의 법71)을 할 때에는 화천을 앙청하고 내지 사용되는 유목과 꽃 등의 물건을 모두 증익과 같게 하라. 오직 꽃은 가시가 있는 나무[刺木]의 붉은 꽃을 사용하라. 혹은 본존법 가운데에 태우는 물건을 사용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갈리쇄 야 야72)
唵 嚩日囉二合 羯哩灑二合耶 弱

야(弱)의 위에 그 사람의 이름을 가(加)하라. 곧 본존의 마음으로부터 외부와 신체에 두루하여 무량의 금강구(金剛鉤)를 유출해서 모든 허공의 일체의 불보살과 현성께 음식을 공양한다고 관상한다. 곧 이 수많은 구(鉤)가 3악취의 유정을 구소해서 사람과 하늘의 좋은 곳에 안치한다고 관상한다. 또한 이 수많은 구(鉤)로써 그 사람의 마음에 들어가 불러온다고 관상한다.
만약 경애의 법73)을 함에는 앙청 및 사용되는 물건이 모두 위와 같다. 오직 꽃은 적색의 꽃을 사용하라. 혹은 본존법 가운데 쓰이는 물건을 사용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훔 바아라 물사야 야74)
吽 嚩日囉二合 勿捨野 弱

야(弱)의 위에 그 명호를 가(加)하라. 곧 본존의 몸 가운데에서부터 화전(花箭)75)을 유출해서 무량의 세계에 두루하여 일체의 부처와 현성에 공양하고, 내지 성문ㆍ연각ㆍ염리의 마음 및 육도사생의 서로 미워하는 마음을 쏜다. 곧 이 수많은 화살로써 저 사람의 다섯 군데를 쏘아라[이른바 이마와 두 젖과 심장 및 아랫부분이다]. 무릇 모든 화로에 만일 소(酥)가 없으면 우유를 사용해도 된다. 만약 소요하는 사람76)을 가지하면 혹은 이름을 베끼고, 혹은 앞사람의 옷을 취하며 마음을 표(標)해서 가지 하라. 성중을 공양하고 나면 대표를 사용하여 세 번 표에 채워서 성중에 바치고, 아울러 세 번 뿌리고 세 번 헹구고, 곧 소표를 취하여 멸삼악취(滅三惡趣)의 진언으로써 일체유정을 위하여 호마하는 것을 7번, 혹은 27번, 혹은 37번 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파니미살보 타야살바파야 만타나니발라 모걸사 야살바파
唵 嚩日囉二合 波尼尾薩普 吒耶薩嚩跛耶 滿陀娜儞鉢囉 謀訖灑二合 耶薩嚩跛
야 아뎨비약 살바살다만 살바다타아다 바아라 삼마야 훔 다라타77)
耶 誐帝毘藥二合 薩嚩薩怛挽 薩嚩怛他誐多 嚩日囉二合 三麽耶 吽 怛羅吒半聲

곧 마음으로 성중을 봉송해서 본좌에 돌아가시게 하고, 곧바로 4자의 명(明)78)으로서 시방의 세천(世天)을 이끌어 화로의 가운데에 들이고, 앞에 의거하여 세 번 뿌리고 씻는다. 곧 남아 있는 향ㆍ꽃ㆍ5곡ㆍ소ㆍ꿀 등을 화(火)에 던져라. 각 본 진언 1번 혹은 3번을 송하여 각 사바하(婆嚩訶)의 위에 바라는 것을 덧붙여라. 곧 성중의 갈마 및 삼매야의 인계를 결하고, 찬탄을 송하고 발원하고 항삼세의 인계를 결하여 왼쪽으로 돌려서 해계(解界)하고 곧 봉송하는 것을 염송법과 같게 하라.
곧 도량을 나와서79) 도량 밖의 8방(方)에서 띠풀, 혹은 연잎, 혹은 모든 나머지의 푸른 풀로 묶는다. 혹은 원단(圓壇)을 바르고 10위(位)를 만든다. 제석의 좌우에 범천과 지천의 위(位)를 둔다. 8방과 합하면 10이다. 만약 도량 밖에 위를 둘만한 곳이 없으면 곧 도량 앞의 한적하고 고요한 곳에 따로 방계(方界)를 삼고 가운데에 8방을 두고 중앙을 양위(兩位)로 나누어서 범천과 지천을 둔다. 이로서 시방의 천(天)에 시여한다.
음식은 잡죽(雜粥)을 사용해야 한다. 이른바 갱미ㆍ기름ㆍ마ㆍ녹두를 서로 섞고 삶아서 극히 청정하고 향기로우며 맛있게 만들어서 한 그릇 가운데에 가득 채우고, 자리마다 우선 하나의 맑은 잎을 두어 순환해서 위에 가득하게 둔다. 우선 정병에 향수를 채우고 곧 향수를 잎 위에 조금 뿌려서 이로써 바친다. 다음에 오른손의 중지와 약지의 두 손가락으로 약간 튀겨서 도향을 바친다. 다음에 한 송이 꽃을 바쳐서 이를 자리에 둔다. 다음에 소향을 바쳐라. 화로에서 향을 자리 앞에서 태운다. 모든 좌(座)에 바치는 것은 이 하나의 화로[爐]로서 동일하게 하라. 다음에 1국자의 죽(粥)을 가득하게 채워 잎의 위에 두어서 바쳐라. 다음에 작은 납촉(蠟燭) 혹은 지촉(紙燭)을 사용하여 이로써 바쳐라. 다시 국의 위에 꽂아서 향수로부터 촉(燭)에 이르기까지 각각 본 진언으로써 가지하기를 3번 하라. 위(位) 마다 수(水)로부터 촉(燭)에 이르기까지 바치고 마친다. 그렇지만 그 다음을 향해서는 그 촉을 작의(作意)해서 바쳐라. 모든 위(位)에 아직 두루하지 않았는데도 사용하여 다 없어지면 안 된다. 조반(助伴) 혹은 구사(驅使)를 사용하라. 몇 사람이 각각 하나의 물건을 집고서 이로서 공사(供事)하라. 만약 낱낱에서 각자 취하면 곧 촉으로 틀림없이 일을 마치지 못할 것이다. 매 위(位) 마다 사바하의 위에 소원하는 말을 가(加)하라. 동방 천제석(天帝釋)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인날라 야 사바 하80)
南莫 三曼多 沒馱南引 印捺囉二合耶 娑嚩二合引訶引

동남방 화천(火天)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아아나 예 사바 하81)
南莫 三滿多 沒馱南 阿誐那二合曳 娑嚩二合訶

남방 염마천(焰摩天)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염마야 사바 하82)
南莫 三曼多 沒馱南 焰摩耶 娑嚩二合訶引

서남방 나찰주천(羅刹主天)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내리뎨예 사바 하83)
南莫 三曼多 沒馱南引 乃哩底曳 娑嚩二合訶引

서방 수천(水天)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바로나 야 사바 하84)
南莫 三曼多 沒馱南引 嚩嚕拏引野 娑嚩二合訶引

서북방 풍천(風天)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바야볘 사바 하
南莫 三曼多 沒馱南引 嚩耶吠微洗反 娑嚩二合訶85)

북방 비사문천(毘沙門天)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볘실라 바나 사바 하
南莫 三曼多 沒馱南引 吠室囉二合嚩拏 娑嚩二合引訶引86)
동북방 이사나천(伊舍那天)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이사나야 사바 하
南莫 三曼多 沒馱南引 伊舍那耶 娑嚩二合訶引87)

상방 범천(梵天)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몰라 감 마녕 사바 하
南莫 三曼多 沒馱南引 沒囉二合㕉憨上麽寧尼奚反 娑嚩二合引訶88)

하방 지천(地天)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필리 체 미예 사바 하
南莫 三曼多 沒馱南引 畢哩二合體地以反微曳二合 娑嚩二合引訶引89)

7요(曜)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알라 혜습바 리야발라 파다 이투 뎨 마
南莫 三曼多 沒馱南引 蘖囉二合醯濕嚩二合哩耶鉢羅二合跛多 而渝二合底丁巳反麽
야 사바 하
耶 娑嚩二合訶引90)

28수(宿)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남 락걸쇄 다라 녜 나구예 사바 하
南莫 三曼多 沒馱南引 諾乞灑二合怛囉二合涅寧吉反那佉曳 娑縛二合訶91)
[이와 같이 동방으로부터 여기에 이르는 귀명이 모두 같다.]

8방 가운데에 양위(兩位)를 더하여 상하의 천(天)과 대(對)하라. 요(曜)는 동(東), 숙(宿)은 서(西)로 하라. 제헌(諸獻)은 모두 같다. 만약 따로 원하는 바가 있으면 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호마단의 가운데에 각 본방에 의하여 심을 표해서 주하게 하려면 역시 위(位)를 설치하지 말라.
다음에 삼마파다(三摩波多)92)의 호마의 법을 설한다.
성취하는 바의 공물을 소기(酥器)의 앞에 두어라. 만일 공물이 크면 오른쪽이나 왼쪽에 두어라. 수행하는 사람 자신과 소기(酥器)와 공양물과 아울러 화로와 성중, 이와 같은 것을 5집(集)이라 한다. 순환해서 차제로 안립해야 한다. 작은 국자를 취하여 국자에 소를 채우고, 가득 채운 공물 위에 가지 하여 진언을 송하며 사바(薩嚩)의 글자에 이르러 곧 표를 들어서 불에 던지고 하(訶)의 소리와 함께 내려라. 길게 하의 소리를 끌어서 표를 공물의 윗부분에 이르게 하고, 하의 소리를 바야흐로 끊어라. 편(遍)마다 따로 이와 같이 하라. 만약 사람을 가지하려면 곧 표를 머리 위에 두어라. 만약 본존의 진언을 사용하는데 사바하(薩嚩訶)의 글자가 없다면, 마땅히 이를 덧붙여 송해야 한다. 나머지는 위에서 설한 바와 같다.
다음에 표상의궤(杓相儀軌)를 설한다.

나는 지금 다음에
주표(注杓)와 사표(瀉杓)93)의 상(相)을 설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성취를 이루면
지송자는 속히 획득하게 된다.
주표(注杓)는 1주량(肘量)이다.
법목(法木)은 견밀(堅密)하게 하며
구멍이 없게 만들어야 한다.
입구는 뛰어나게 단엄해야 하며
가로는 4지(指) 정도이어야 한다.

깊이의 정도는 1지(指)가 되게 하라.
모습은 길상(吉祥)의 글자와 같게 해서
가운데에 삼고저(三股杵)를 새기고
극히 단엄하게 해야 한다.

병(柄)의 둘레는 사람들이 잡기에 충분해야 한다.
입구 주변과 병의 끝 부분에
연화의 문양을 새겨야 한다.
사표(寫杓)의 길이 및 둘레
그리고 각루(刻鏤)의 문양은
모두 주표(注杓)의 상과 같게 하라.

유목(乳木)도 역시 앞의 말과 같다.
혹은 가타라(佉陀羅)94)를 사용하라.
입구는 선(禪)의 상절(上節)95)을 사용하여
선잡(旋匝)해서 그 크기로 하라.

가로는 1촌(寸) 보다 커야 한다.
깊이는 마땅히 이에 반으로 해야 한다.
가운데에 연화를 새기거나
또는 금강저를 새겨야 한다.

나는 지금 이미 간략하게
주사이표(注瀉二杓)의 상을 설하였다.
이는 대선(大仙)96)께서 설하신 바이다.
지송(持誦)하고 수행하는 사람들이여
마땅히 실지(悉地)를 구해야 한다.
036_1103_a_01L金剛頂瑜伽護摩儀軌一卷開府儀同三司特進試鴻臚卿肅國公食邑三千戶賜紫贈司空謚大鑑正號大廣智大興善寺三藏沙門不空奉詔譯我今說護摩 由此速成就 由護摩業儀相應不閒斷 如是一切事 隨明當應作隨類作護摩 無上成就業 護摩說多種略說有五類 廣說大瑜伽 於秘密教說我今則略說 持明之遊戲 由護摩儀軌成就於族壇 護摩五種事 一一有多種息災及增益 第三爲降伏 鉤召爲第四第五是敬愛 如是五護摩 敬愛爲最勝我今說軍茶 依瑜伽相應 息災爐正圓應當如是作 增益應正方 三角作降伏金剛形軍茶 鉤召爲最勝 長作蓮花形敬愛爲相應 已說五種類 軍茶業無上息災初夜起 增益初日分 中日分應作降伏猛利法 鉤召一切時 於夜作敬愛如是五瑜伽 作業而等引 面北作息災增益向東方 面南作降伏 應面西而住仰視遍諸方 是爲鉤召儀 若敬愛相應應住面向西 息災結佛印 增益寶幖幟金剛怒降伏 金剛鉤鉤召 大召而相應敬愛蓮花部 如是五瑜伽 應作護摩事息災燒甘木 增益用果木 苦木降伏業刺木爲鉤召 花木說敬愛 如是五種木瑜伽者應用 息災爐作輪 增益三股杵降伏一股作 鉤召應作鉤 敬愛作蓮花息災爐應量 撗全豎半肘 增益兩肘量豎量應用半 降伏軍茶相 三角各一肘豎量應半之 鉤召長一肘 撗豎各減半敬愛亦一肘 撗豎如鉤召 五種軍茶壇應畫作三重 中院羯磨杵 四隅畫蓮葉第二院四契 謂四波羅蜜 四隅內供養第三院應畫 八方天眷屬 四隅於四門外供養四攝 中安遍照尊 此息災軍茶餘四軍茶相 三院皆如是 增益於中院應畫羯磨寶 四隅畫蓮葉 第二院應畫寶生佛眷屬 第三院及門 亦如前所說降伏於中院 獨股羯磨杵 四隅畫蓮葉第二院應畫 降三世眷屬 四種忿怒相第三院及門 亦如前所說 而皆忿怒相鉤召於中院 應畫金剛鉤 四隅畫蓮華第二院應畫 不動佛眷屬 第三院四隅八方及四門 如初軍茶知 敬愛於中院畫蓮花羯磨 四隅三股杵 第二院應畫無量壽眷屬 應畫四種尊 第三院四隅八方及四門 所說亦如前 此是五護摩瑜伽經所說 修行者應知 四契及四攝內外八供養 布列在壇位 阿闍梨今說行人南方坐 金剛應在南 寶部而在西法契當北面 羯磨在東方 嬉戲西南隅鬘應西北角 歌契處東北 舞印在東南燒香如嬉戲 花供准鬘方 燈應如歌詠塗香如舞位 鉤在金剛後 索與寶部對鎖應隨法契 鈴如羯磨知 隨行人右旋諸壇當如是 循環而安立 息災第二院四波羅蜜契 金剛三股杵 寶契如寶形法如獨股杵 上戴開敷蓮 羯磨羯磨杵嬉戲三股杵 鬘如寶冠形 歌應畫箜篌舞獨股羯磨 鉤爲金剛鉤 索如盤索勢一頭半獨股 而在於中心 鎖如竝兩環其中如連環 鈴作金剛鈴 燈作蠟燭相塗香畫香器 燒香作香爐 散花爲花盤增益第二院 寶生尊眷屬 光相如日形笑如撗三股 其中閒安齒 幢如豎寶幢降伏四忿怒 薩埵二股杵 王如竝二鉤善哉竝雙手 以作彈指相 愛如豎弓箭鉤召第二院 亦如降伏壇 而無有增減敬愛第二院 無量壽眷屬 法如法波羅利當爲劍形 語應畫舌相 因作日輪形中獨股羯磨 延命如增益 爐外畫甲冑如人被甲形 而令雙袖垂 袖如三獨股下如覆熏籠 上作三峯形 如三獨股杵內外八供養 及與四護等 諸爐皆如一一一所畫契 皆坐蓮花上 而有火焰光八方天眷屬 亦如諸契等 皆隨行人座而起於東方 帝釋獨股杵 繒繫左右飛火天畫軍持 蓮座上火焰 焰摩兩股叉其中安人頭 繒飛如帝釋 羅剎主畫萬座焰如火天 水天畫羂索 兩頭獨股頭風天作幡旗 而坐蓮花中 毘沙門作棒繒繫亦如上 舍那半三股 蓮座火焰光智者應善知審諦無錯謬其爐緣高兩指闊四指緣內爐口本闊兩指於中契印高兩指其爐近開豎項闊四指長兩指次撗長十豎闊四指次作蓮花葉形令大小相稱從豎項至葉末都十二指高下竝與緣齊五種爐竝同其治地法如大曼茶羅掘地加持所用鍬等印羽金剛縛禪智進力各相竝豎眞言二十一遍眞言曰唵你佉那嚩蘇上提薩嚩二合引加持泥及瞿摩夷塗香等印二羽合掌屈進力戒方二莭相合禪智竝豎進力令如口形眞言二十一遍眞言曰唵阿上蜜哩二合都納婆上二合嚩野吽癹咤薩嚩二合加持五色粉印及眞言竝如瑜伽經所說加持酥蜜酪乳及木五穀香花竝以金剛羯磨菩薩眞言加持各七遍印二羽各以禪智捻檀慧甲三度磔開豎如金剛杵形卽相叉右押左眞言曰唵嚩日囉二合羯磨撿所燒護摩支皆安右邊酥於蓮葉臺蜜酪乳乳糜飯等近爐右邊安邊置二器盛香水器用金銀銅白瓷商佉等竝通用香用白檀鬱金龍腦等二器一用灑淨火及供養物等一用聖衆火天漱口灑淨印捻檀甲餘三度磔開豎如三股杵以灑水眞言曰唵阿蜜哩二合諦吽癹咤漱口印右羽金剛拳舒進度攪水持七遍訖便屈四度作掬抄水垂臂合掌向身右旋灑火眞言曰唵嚩囉娜嚩日囉二合引息災本尊火天及爐衣服香花皆用白作吉祥坐與慈心相應交兩腳豎膝右壓左增益皆用黃全跏坐 降伏皆用黑蹲踞坐鉤召皆用赤半跏坐敬愛色同鉤召賢坐跂物垂腳迎請從三昧耶至迎請皆依本法隨五種護摩隨部部主五相成身迎請誦讚歎以四攝安立聖衆圍遶爐然後獻閼伽各結本羯磨印安立本三昧耶誦護摩眞言一百八遍後取一花以火天眞言加持三遍七遍擲火中然後結火天印以左羽握右羽腕右羽舒掌向外屈禪度撗在掌中進度如鉤來去招以迎請獻已以禪捻進度卽成發遣眞言曰唵翳呬翳呬摩訶部多泥上嚩哩使二合你尾二合惹薩哆摩孽哩二合呬怛嚩二合虎帝摩訶囉麽悉紙珊你呬都婆嚩阿誐那二合曳訶微也二合迦微也二合嚩訶娜耶娑嚩二合迎已以香水三灑三漱口然後用本眞言以大杓三滿酌酥投火想投火天口中至於心蓮花眞言曰加持花亦用此唵阿誐那二合曳娑嚩二合引卽以此眞言小杓三投蜜酪乳及木乃至香花等想火天四臂右手無畏第二手持珠左手仙杖第二手執軍想從心遍身中流出無量塗香雲花雲燒香雲飮食燈明種種供養供養一切佛菩薩緣覺聲聞及一切世天火天眞言娑嚩訶上稱所求事投之然以大杓三滿投供養加持一花置本方坐處請出爐還本座然後三淨以四字明迎請佛菩薩各坐本座三獻漱口以滿三大杓酥獻然後復以杓三酌蜜酪乳乳糜飯及木五穀香等各三投想投聖尊口中至心作息災法五穀中須十倍加油麻木用一百八枚或五十四或二十一眞言曰唵薩嚩播波娜訶那嚩日囉二合耶娑二合引或有教中說用本部母眞言爲息災或本尊眞言或毘盧遮那眞言皆娑嚩訶上加所爲自他願除一切災心專注於爐中聖衆想聖衆皆從心遍身毛孔流出供養雲海至無邊世界供養一切佛及除一切三惡趣苦惱護摩已以滿三大杓酥獻聖衆殘五穀香花等聚一器中獻十方世餘爐竝同若作增益如前迎火天卽獻聖衆三大杓木及香花等竝如前燒粳米或欲延命燒屈蔞草其延命爐如前增益爐外作甲冑形餘香花等竝如前唯粳米屈蔞草加餘物十倍增益眞言曰唵嚩日囉二合引補瑟咤二合娑嚩二合引延命契二羽各金剛拳舒進力相鉤置頂上想身爲降三世於印上想毘盧遮那佛從身中流出天甘露灌注行人身延命眞言曰唵嚩日囉二合喩曬師皆反娑嚩二合引於娑嚩訶上加爲自他願增益或延命語或當時心所願安如是語心專注於爐中聖衆想從聖衆心外遍身毛孔中流出供養雲海至無邊世界供養一切佛及光明照觸一切有情六道四生皆獲榮盛富貴及延壽命卽以此光明想自宅中雨七寶及所資用物又想天甘露灌注自身周遍毛孔若作降伏法如前迎火天或用蔓菁或芥子等油或水牛酥或用嚕地囉先獻聖衆三大杓已用無香花及臭花安悉香鹽毒藥等或用鐵末或作彼形段段截投之芥子蠟鹽毒藥等作投火天時卽想從火天心外遍身中流出器仗投彼身上想火天及本尊皆作忿怒形眞言曰吽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耶癹咤半音於癹上加彼名號或用本尊法或用不動尊眞言或降三世眞言或文殊師利六足尊眞言想忿怒尊身中出器仗雲海供養盡虛空一切忿怒卽此器仗落彼上及家若作鉤召迎請火天及所用木花等物皆如增益唯花用有刺木赤花或用本尊法中所燒物眞言曰吽嚩日囉二合羯哩灑二合耶弱於弱上加彼人名卽想從本尊心外遍身流出無量金剛鉤供養盡虛空一切佛菩薩賢聖卽想比鉤鉤召三惡趣有情安置人天善處卽以此衆入彼心召來若作敬愛法迎請及所用物竝同上唯花用赤色花或用本尊法中所用眞言曰吽嚩日囉二合勿捨野弱於弱上加彼名號卽想本尊身中流出花箭遍無量世界供養一切佛賢聖射聲聞緣覺厭離心及六道四生互增恚心卽以此衆箭射彼人五處所謂額兩乳心及下分處凡諸爐若無酥用乳亦得若遙加持人或抄名或取前人衣標心而加持供養聖衆已用大杓三滿杓獻聖衆幷三灑三漱卽取小杓以滅三惡趣眞言爲一切有情護摩七遍或二七或三七眞言曰唵嚩日囉二合波尼尾薩普咤耶薩嚩跛耶滿陁娜你鉢囉謀訖灑二合耶薩嚩跛耶誐帝毘藥二合薩嚩薩怛挽薩嚩怛他誐多嚩日囉二合三麽耶吽怛羅咤半聲卽心奉送聖衆還本座卽以四字明引十方世天入爐中依前三灑漱以所殘香花五穀酥蜜等投火各誦本眞言一遍或三遍各於薩嚩訶上所求事卽結聖衆羯磨及三昧耶契誦讚歎發願結降三世左旋解界奉送如念誦法卽出道場於道場外八方敷茅草或蓮葉或諸餘靑草塗圓壇爲十位於帝釋右左置梵天地天位與八方而十若道場外無置位處卽於道場前閑靜處爲方界中布八方於中央布兩位置梵天地以施十方天食應用雜粥所謂粳油麻菉豆相和煮令極淸淨香羙盛一器中每座先置一淨葉偱環㪻置葉上先以淨甁盛香水卽瀉少香水於葉上以獻次以右手中無名二指彈少塗香以獻次獻一花置之於座獻燒香以爐焚香於座前獻諸座同此一爐次㪻一杓粥置葉上以獻次用小蠟燭或紙燭以獻便插粥上從香水至燭各以本眞言加持三遍每位從水至燭獻畢然向其次其燭作意諸位未遍已來不用令滅須助伴或驅使數人各執一物以供事若一一自取卽燭必不終事每位於薩嚩訶上加所求願語東方天帝釋眞言南莫三曼多沒馱南印捺囉二合娑嚩二合引東南方火天眞言曰南莫三滿多沒馱南阿誐那二合曳娑二合南方焰摩天眞言曰南莫三曼多沒馱南焰摩耶娑嚩二合西南方羅剎主天眞言曰南莫三曼多沒馱南乃哩底曳娑嚩二合西方水天眞言曰南莫三曼多沒馱南嚩嚕拏娑嚩二合西北方風天眞言曰南莫三曼多沒馱南嚩耶吠微洗反娑嚩二合北方毘沙門天眞言曰南莫三曼多沒馱南吠室囉二合拏娑嚩二合引東北方伊舍那天眞言曰南莫三曼多沒馱南伊舍那耶娑 嚩二合上方梵天眞言曰南莫三曼多沒馱南沒囉二合憨上麽寧尼奚反娑嚩二合引下方地天眞言曰南莫三曼多沒馱南畢哩二合地以微曳二合娑嚩二合引七曜眞言曰南莫三曼多沒馱南孽囉二合醯濕二合哩耶鉢羅二合跛多而渝二合丁巳麽耶娑嚩二合二十八宿眞言曰南莫三曼多沒馱南諾乞灑二合二合寧吉反那佉曳娑縛二合如是從東方至此歸命竝同於八方中加兩位與上下天對曜東宿西諸獻竝同若須別祀獨用亦得若護摩壇中各依本方標心令住不設位次說三波多護摩法安所成就物於酥器前或物大卽安於右邊或左邊行人自身酥器及物幷爐聖衆如是爲五集偱環次第應安立取小杓滿杓酥加於所成物上誦眞言至薩嚩字卽擧杓投火與訶聲俱下便長引訶聲令杓卻至物上訶聲方絕遍別如此若加持人卽安杓頭上若用本尊眞言無薩嚩訶字當加之而誦餘如上所說次說杓相儀軌我今次應說 注杓瀉杓相 於此住成就持誦者速疾 注杓一肘量 法木令堅密無孔穴應作 口應妙端嚴 撗當四指量深量用一指 形如吉祥字 於中三股杵應令極端嚴 柄圍足人把 近口與柄末應作蓮花文 瀉杓長及圓 幷及刻鏤文皆如注杓相 木亦如前說 或用佉陁羅口用禪上莭 旋帀爲其量 撗應一寸餘深量當半之 於中作蓮花 亦或金剛杵我今已略說 注瀉二杓相 是大仙所說求悉地應作 持誦修行人金剛頂瑜伽護摩儀軌一卷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사업의칙(事業儀則)의 뜻. 호마(護摩)에 소용되는 도구들은 온갖 인연의 뜻으로 이 인연의 사업으로써 무상(無上)의 불과(佛果)를 성취하는 것이다.
  2. 2)식재(息災)ㆍ증익(增益)ㆍ경애(敬愛)ㆍ항복(降伏)ㆍ구소(鉤召)의 다섯 종류이다.
  3. 3)식재부족단(息災部族壇)ㆍ증익부족단(增益部族壇)ㆍ경애부족단(敬愛部族壇) 등을 말한다.
  4. 4)호마를 피우는 화로이다.
  5. 5)재액을 그치게 하는 기도법으로 적재(寂災)라고도 한다. 북쪽은 원적(圓寂)의 뜻이 있기에 북쪽을 향한다.
  6. 6)동방 아자(阿字)의 형으로서 봄에 해당한다. 봄은 양기가 발생해서 만물이 생장하는 때로 축복을 늘리는 증익법과 상응하는 뜻이다.
  7. 7)항복은 남방ㆍ화대(火大)ㆍ적색으로서 능히 모든 만물을 태워 없애는 뜻이다.
  8. 8)독고(獨股) 또는 3고(股)이다. 구소는 3악의 중생을 불러모으는 것으로써 시방으로 향하여 이를 행하므로 일정한 방향이 없고 또한 모든 때에 수행한다.
  9. 9)경애는 서방으로 연화부의 대비를 나타내는 적색이다.
  10. 10)이하 다섯 종류의 호마를 수행하는 시(時)의 시분을 설한다. 식재는 초야에 시작한다. 초야는 지금의 오후 6시경에서 바로 적정에 드는 때이며 식재와 상응한다. 다음에 중일(中日)이란 해가 한가운데에 있는 때로서 일중은 맹리(猛利)의 시이며 항복의 뜻과 상응하고 뒤의 후야(後夜)는 지금의 오전 4시경으로 바로 음기가 극하여 양기가 일어나려고 하는 때이며 경애와 상응한다.
  11. 11)이하는 5종법의 인(印)을 설한다. 불인(佛印)이란 5고저(鈷杵)의 인이고 보주(寶珠)의 인이다.
  12. 12)이하에서 5종 호마를 할 때 태우는 나무[木]를 설한다.
  13. 13)이하에서 호마로(護摩爐)의 크기를 설한다.
  14. 14)1주(肘)란 자루의 길이를 말한다. 1주의 길이는 1척 5촌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기준은 팔꿈치의 관절부터 가운데 중지의 끝까지의 길이이다.
  15. 15)일설에는 깊이라고 한다.
  16. 16)이하에서 5종호마의 노단 각각에 중원ㆍ제2원ㆍ제3원의 3겹의 만다라를 만드는 것을 설한다. 이 세 겹의 각처에 부처님의 존형을 그리는 것으로, 부처님의 존형이란 금강계의 37존 및 제천이다. 37존이란 아래와 같다.
  17. 17)식재의 제2원이란 제2원의 삼마야형을 밝힌다.
  18. 18)금강이란 금강바라밀보살(金剛波羅蜜菩薩)이다. 보(寶)는 금강보보살(金剛寶菩薩), 법(法)은 금강법보살(金剛法菩薩), 갈마는 금강갈마보살(金剛羯磨菩薩) 또는 금강업보살(金剛業菩薩), 곧 4바라밀보살이다. 또 다음에 희희(嬉戱)는 금강희희보살(金剛嬉戱菩薩), 만(鬘)은 금강만보살(金剛鬘菩薩), 가(歌)는 금강가보살(金剛歌菩薩), 무(舞)는 금강무보살(金剛舞菩薩)의 내4공양불이다.
  19. 19)금강희보살(金剛喜菩薩)을 말한다.
  20. 20)오른손의 대지(大指)를 밖으로 내어서 손가락 끝을 퉁겨서 소리를 내게 하는 상이다. 이는 제불을 경각한다고 보통 말해지지만 지금은 환희의 뜻을 나타낸다. 인도에서는 집을 방문할 때 문 앞에서 행하는 노크의 의미이다. 밀교에서는 이것을 환희ㆍ경각ㆍ승락의 뜻으로서 도량에 들어갈 때, 3번 탄지하고, 훔자(吽字)를 3번 창하고 법계도량의 문을 연다고 관념한다. 또한 불보살을 발견(撥遣)함에는 꽃을 사용하지만, 천부(天部) 등에는 탄지를 사용한다.
  21. 21)활의 화살을 말한다.
  22. 22)4섭보살(攝菩薩)을 말한다. 4문에서 중생을 이끌어들여 섭수 보호하므로 4호라 한다.
  23. 23)제3원의 8방천의 권속을 설한다.
  24. 24)군지란 수병(水甁)으로서 곧 두 개의 입이 있는데, 위의 큰 입구에 물을 넣으면 옆의 작은 입구로 물이 나온다.
  25. 25)이하에서 5종의 화로 만드는 법을 설한다. 양지(兩指)는 1촌(寸), 4지(指)는 2촌 높이로 장작을 쌓는 것을 말한다.
  26. 26)몸이란 화천(火天)으로서 곧 화로를 화천의 몸으로 삼는다. 수항(竪項)은 화천의 목을 나타낸다.
  27. 27)이하에서 땅을 파서 사용하는 가래[鍬] 등을 가지하는 인과 진언을 설한다.
  28. 28)좌우의 양손.
  29. 29)좌우 양손의 손가락을 밖으로 내어서 서로 박(縛)하는 것을 외박(外駁)이라 하고, 손가락을 안으로 들여서 박하는 것을 내박(內縛)이라 한다.
  30. 30)oṃ nikhana vasudhe svāhā.
  31. 31)소의 분뇨로서 인도에서 아주 신성한 것으로 한다. 밀교에서 수법을 할 때 토단을 만드는데 이를 사용하여 바른다. 또 호마를 할 때 가지공물(加持供物)로서 화로 가운데에 던진다.
  32. 32)oṃ amrtodbhava hūṃ phat svāhā.
  33. 33)금강업보살(金剛業菩薩)이다.
  34. 34)oṃ vajra karma kam.
  35. 35)이하에서 통틀어 호마를 수행하는 방법 등을 설하는 중 처음으로 주로 호마에 사용하는 갖가지 공양물을 설한다.
  36. 36)쇄정기(灑淨器)와 수구기(漱口器)이다. 쇄정기는 화천ㆍ공물ㆍ화로 내부 등을 깨끗하게 하는 데 사용한다. 수구기는 공양을 받는 성중이나 화천의 입을 헹구는데 사용한다. 쇄정은 삼고(三股)의 인, 수구는 독고(獨股)의 인이다.
  37. 37)oṃ amrte hūṃ chat.
  38. 38)금강권이란 엄지를 손바닥 가운데에 넣고 네 손가락으로써 붙잡는 것이다.
  39. 39)오른손 검지이다.
  40. 40)오른손에서 검지를 뺀 나머지 네 손가락이다.
  41. 41)oṃ varada-vajra dham.
  42. 42)여기에서 5종의 호마법을 수행하는 데에 상응하는 색과 그 좌법을 설한다. 길상좌(吉祥坐)란 반가좌를 말하지만 지금은 양다리를 교차하여 무릎을 세워서 좌우를 누르는 것을 말한다.
  43. 43)결가부좌(結跏趺坐)를 말한다.
  44. 44)현좌(賢坐)란 물건에 기대어 다리를 늘어뜨려 앉는 것이다.
  45. 45)갈마(karma)를 사업이라 번역한다. 갈마인(羯磨印)이란 그 존의 사업작용을 결하여 드러냄을 갈마인이라 한다. 이 인을 결하여 본서(本誓)를 억념하고 속히 실지를 내려주시기를 기원한다.
  46. 46)화천단(火天段)을 밝힌다.
  47. 47)화천인이란 왼손으로 오른쪽의 손목을 잡는 것이다.
  48. 48)오른손 엄지를 말한다.
  49. 49)오른손 검지를 말한다.
  50. 50)발견(發遣)이란 한번 소섭(召攝)한 화천을 다시 본래의 곳으로 돌아가게 하는 작법이다.
  51. 51)oṃ ehyehi mahā-bhūta devarṣi dvija-sattamāgrya hitvā āhutim āhāram asmin sannihito bhava agnaye havya-kavya-vāhanāya svāhā.
  52. 52)oṃ agnaye svāhā.
  53. 53)식재법을 할 때는 식재연명(息災延命)이나, 언제나 병환 등이 치유됨 등을 말하고, 증익법을 할 때에는 부귀와 풍요, 또는 뜻에 맞도록 만족하게 되기를 원하는 말을 한다.
  54. 54)여기에서부터 본존단(本尊段)을 설한다.
  55. 55)이하에서 식재법을 설한다.
  56. 56)호마의 로 가운데에 던지는 나무로서 이것은 공양할 때마다 우유ㆍ소ㆍ꿀 등을 먼저 던지고 로 가운데에 던지는 까닭에 언제나 유목(乳木)이라고 한다.
  57. 57)oṃ sarva-pāpa-dahana-vajrāya svāhā.
  58. 58)Svāhā. 제존의 진언의 끝에 붙이는 말로 여래의 본서(本誓)가 공하지 않고 결정코 원하는 바를 성취하게 한다는 뜻이다.
  59. 59)증익법에 연명법(延命法)을 합하여 설한다.
  60. 60)새발톱처럼 생긴 일종의 식물로써, 이것은 덩굴이 길면 수명을 길게 연속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연법(延法)의 호마에 사용한다.
  61. 61)oṃ vajra-puṣtaye svāhā.
  62. 62)보현연명보살(普賢延命菩薩)의 인계이다.
  63. 63)oṃ vajr‘āyuṣe svāhā.
  64. 64)이하 항복법을 설한다.
  65. 65)순무이다.
  66. 66)혈액(血液)이다.
  67. 67)자기에게 원한이 있는 사람의 모습을 말한다.
  68. 68)hūṃ vajrasatvāya phat.
  69. 69)Phat는 파괴의 뜻을 가지며 항복의 호마법에는 반드시 진언의 끝에 사용한다.
  70. 70)대위덕명왕(大威德明王)이다. 여섯의 얼굴과 여섯 팔을 가졌으므로 6족존이라 이름된다.
  71. 71)이하에서 구소법을 밝힌다.
  72. 72)oṃ vajr'ākarṣaya jaḥ.
  73. 73)이하 경애법을 설한다.
  74. 74)hūṃ vajr'āvesaya jaḥ.
  75. 75)화전(花箭)이란 화살의 아랫부분에 연꽃을 붙인 것이다.
  76. 76)본래는 호마를 수행하는 사람을 들여야 하지만 만약 멀거나 또는 부녀 등의 경우에는 그 사람의 이름을 베낀다든가 또는 그 사람의 옷을 행자의 오른쪽에 두고 진언을 칭하게 한다.
  77. 77)oṃ vajra-pāni visphoytaya sarvāpāya-bandhanāni pramokṣaya sarvāpāya-gatibhyaḥ sarva-satvān sarva-tathāgata-vajra-samaya hūm trat.
  78. 78)이하 세천단(世天段)을 설한다. 곧 시방의 세천을 불러서 공양하는 법이다.
  79. 79)이하는 신공법(神供法)이라 한다. 호마의 수법을 마친 후에 다시 도량 이외의 곳에서 제천에 공양하는 일종의 수법이다.
  80. 80)namaḥ samanta buddhānām indrāya svāhā.
  81. 81)namaḥ samanta buddhānām agnaye svāhā.
  82. 82)namaḥ samanta buddhānām yamāya svāhā.
  83. 83)namaḥ samanta buddhānām nirrtye svāhā.
  84. 84)namaḥ samanta buddhānām varunāya svāhā.
  85. 85)namaḥ samanta buddhānām vāyave svāhā.
  86. 86)namaḥ samanta buddhānām vaisravanāya svāhā.
  87. 87)namaḥ samanta buddhānām īsānāya svāhā.
  88. 88)namaḥ samanta buddhānām brahmane svāhā.
  89. 89)namaḥ samanta buddhānām prthivye svāhā.
  90. 90)namaḥ samanta buddhānām grahesvarya-prapāta jyotir-maya svāhā
  91. 91)namaḥ samanta buddhānām nakṣatra-nirnādaniye svāhā.
  92. 92)삼마파다법(Samāpata)은 구경성취의 법이라 한다. 호마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사람의 신체나 공물을 가지 하여 구하는 바의 목적을 완전하게 성취하게 하는 법이다.
  93. 93)주표(注杓)는 큰 국자[大杓], 사표(瀉杓)는 작은 국자[小杓]이다.
  94. 94)가타라(佉陀羅,Khadira). 또는 가제라가(佉提羅迦)라고도 하며 식목(植木)의 일종이다.
  95. 95)오른손 엄지손가락의 첫째 마디를 말한다.
  96. 96)불세존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