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略示七支念...
ABC_IT_K1364_T_001
-
037_0257_c_01L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략시칠지염송수행법
(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略示七支念誦隨行法)
불공(不空) 한역
김진철 번역
무애지(無礙智)와 비밀한 가르침과
의생자(意生子)1)께 머리 숙이오니
저 소다라(蘇多羅)2)에 의지하시어
이 수행법(隨行法) 거두시었나이다.
진언을 수행하는 보살은
먼저 무등(無等)의 서원3)에 머물러
어밀(語密)과 신밀(身密)을 다 갖춘 후에
상응행(相應行)4)을 행하라.
삼매야(三昧耶)의 진언5)으로 송한다.
나모 사만다 몯다 남 옴 아 삼 명 디리 명 삼 마 예
娜莫 三滿多 母馱引南引一唵引阿上聲三去聲銘二底哩二合三去聲銘三三去聲麽鼻音曳
사바 하6)
引四娑嚩二合引賀引
인계[契]는 이른바 모든 윤(輪:손가락)7)을 가지런하게
밀합(密合)하되 두 공지[空:엄지손가락]를 세우고
몸의 다섯 군데[五處]8), 즉 정수리와 양 어깨와 심장과
마지막으로 목[咽位]에 가지(加持)하라.
다음에 법계생(法界生)9)의
비밀스런 지혜의 표치(標幟)를 결하여
몸과 입과 뜻의 업(業)을 깨끗이 하며
그 몸에 골고루 미치게 하라.
법계생진언(法界生眞言)으로 송한다.
나모사 만다모다 남 달마 다 도사바 바 바구 함10)
娜莫三去聲滿多母馱引南引一達磨上聲馱引日者娑嚩二合引婆去聲引嚩句引憾二
반야(般若)와 삼매(三昧)의 손11)으로
모두 금강권(金剛拳)을 한 다음
서로 좁혀 풍당(風幢) 세우되
곧바로 세워서 서로 합하게 하라.
이를 이름하여 법계(法界)의
청정한 밀인(密印)이라 한다.
법계의 자성(自性)과 같다고
자기의 몸을 관찰하라.
더러움 없는 것이 허공과 같으니
진언(眞言)과 인(印)의 위력이로다.
이어 법륜(法輪)을 굴리는
금강살타(金剛薩埵)의 인을 결하라.
이 수승한 [인계와 진언]으로 가지하여12)
저들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라.
지(止)⋅관(觀)13)의 두 손을 서로 등진 다음
지(地)ㆍ수(水)ㆍ화(火)ㆍ풍(風)의 손가락으로
좌우가 서로 버티게 하고
두 공지[空]를 각각 둥글게 돌리어
오른손[慧] 손바닥 안쪽에 대면
[이 인계를] 최승법륜(最勝法輪)이라 이름한다.
금강살타(金剛薩埵)의 진언14)으로 송한다.
나모사 만다바아라 남 바아라 달마 구 함15)
娜莫三去聲滿多嚩日囉二合引喃引一嚩日囉二合引怛麽二合句引憾
이 밀언(密言)을 올바로 염송하고
반드시 등인(等引)에 머물러야 한다.
자신의 형상이 바로 집금강(執金剛)이라고
자세하게 관찰하라.
한량없이 많은 대마(大魔)를
본 모든 사람들을
금강살타와 같게 하니
[이러한 사실에] 의심하지 말라.
이어 무동성(無動聖)16)으로써
장애를 없애고17) 더러움 없애어
능히 모든 일을 청정히 하고
결호(結護)함에 따라서 상응해야 한다.
부동존(不動尊)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사 만다바아라 남 전나마하 노 쇄나 사파 타야훔 다라
娜莫三去聲滿多嚩日囉二合引喃一戰拏摩賀引嚧引灑拏鼻音颯頗二合引吒耶吽引怛囉
타 함 맘18)
二合吒半音呼憾引𤚥引
왼손의 공륜[空]19)을 지륜[地]과 수륜[水]에 붙이고
풍륜[風]과 화륜[火]을 심장 앞에서 세워라.
오른손의 검(劍) 역시 이와 같이 하면
칼집에서 나와 모든 일 이루어 마치리라.
이어서 여래구(如來鉤)로써
존(尊)과 성중(聖衆)께 청하라.
그리하여 비밀한 [삼밀의] 방편과 상응하면
근본 서원에 의하여 강림하시리라.
여래구(如來鉤)의 진언20)으로 송한다.
나모사 만다몯다 남 아 살바다라 바라 디 하뎨다타 가당
娜莫三去聲滿多母馱引喃引惡引薩嚩怛囉二合引鉢囉二合底丁以反賀帝怛他去聲引蘖黨
구사모 디치리야 파리포 라가사바 하21)
引矩捨冒引地拶哩耶二合跛哩布引囉迦娑嚩二合引賀引
지・관[의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교차시켜
견고히 합한 다음 지(智)와 풍(風)을 세우고
첫 마디를 약간 구부리되
나머지 손가락[輪]은 고리 모양으로 하라.
성자(聖者)께서 비원력(悲願力)으로
청하는 대로 모두 내려오시리라.
시삼매야(示三昧耶)22) 받들고
진언[明]과 인계[契]는 앞에서 말한 대로 하라.
근본 서원을 드리고 나면
결정코 상응23)하리니
이어 반드시 힘닿는 대로
공양하여서 성심(誠心)을 표하라.
알가(閼伽)나 향이나 음식이나 등(燈)이나
심지어는 한 송이 꽃에 물을 뿌리는 데까지 [성심으로써 하라.]
혹은 단지 심상(心想)을 움직여라.
수승하여 정말 헤아리기 어려우니라.
반드시 보통인(普通印)을 결하고
관행(觀行)을 하며 진언을 염송해야 한다.
그리하면 유표(有表)와 무표(無表)를
모두 다 성취하리라.
보통진언(普通眞言)24)으로 송한다.
나모사 만다못다 남 살바타 캄 온나아뎨 사파 라혜 함
娜莫三去滿多母馱引喃引薩嚩他去聲引欠平聲二嗢娜蘖帝二合颯頗二合囉呬聲異切𤚥引
가가나검 사바 하25)
誐誐曩劍平聲娑嚩二合引賀
정(定)과 혜(慧)의 두 손을 가지런히 합하고
오른손이 위가 되게 교차시키며
운심(運心)하여 두루하게 하라.
생각하는 대로 모든 것이 앞에 나타나리라.
공양을 이미 베풀었으면
항상 지송(持誦)하여 수행하되
먼저 금강갑옷26)을 두르고
결호(結護)하여서 불사(佛事)와 상응하게 하라.
금강갑주(金剛甲冑)의 진언으로 송한다.
나모사 만다바아라 남 바아라 가바차훔27)
娜莫三去聲滿多嚩日囉二合引喃引嚩日囉二合迦嚩左吽引
먼저 허심(虛心)합장한 다음
풍륜(風輪)으로 화륜[火]을 엮어 잡고
대공(大空)을 화륜의 밑동[火本]에 붙이며
두루 접촉한 뒤에 심장 앞에 두어라.
이어 방우계(方隅界)를 결하는 데에는
앞에서처럼 부동존(不動尊)[의 인과 진언을] 사용하여
왼쪽으로 돌려 벽제(辟除)하고
오른쪽으로 돌려 올리고 내리며
몸의 각 부분에 대고
결호(結護)하여서 모두 견고하게 하라.
진언[眞語]과 모다라(母陀羅)28)는
이미 앞에서 분별한 것과 같게 하라.
곧 엄숙히 갖추고 나서
근본계(根本契)를 보여야 하며
다시 5처(處)에 가지(加持)하되
일곱 번 [진언을] 송하거나 거듭 세 번 송하라.
인(印)을 정수리 위에서 푼 다음
반가부좌로 앉아 몸과 뜻을 바르게 하거나29)
상응좌(相應坐)로 앉으며
방위에 따라 가르침대로 하라.
얼굴을 바르게 해서 몸 앞에 두고30)
하나의 둥글고 밝은 모습31)을 관하라.
티 없이 청정하여
마치 보름달[滿月輪]과 같으리라.
가운데에 본존의 형상 있으시니
오묘하신 모습, 삼계를 초월하시고
가는 비단으로 몸을 장엄하셨으며
보관(寶冠)에는 감색 머리카락 드리우셨도다.
고요히 삼마지(三摩地)에 드시어
휘황한 불꽃 뭇 번개보다 더하시니
마치 맑은 거울 속같이
그윽이 진실한 모습 나타내시도다.
기쁨과 노여움의 형상32) 나타내시고
여원인(與願印) 등의 인계를 결하시며
정수(正受)와 상응하시는 몸에
명료하신 마음은 산란함이 없으시도다.
모습 없는 청정한 법체(法體)로서
서원에 응하시어 뭇 중생 구제하시니
온 마음을 기울여 염지(念持)하되
한정된 수만큼 이미 다 마쳤으면
긴장을 푼 후에 비로소 쉬고
다시 보통인33)을 결하여
경건하고 정성스럽게 서원 등을 말씀드리고
은근하고 정중하게 성존(聖尊)께 예배드려라.
무동력(無動力)께서 왼쪽으로 도시면
앞에서 결호(結護)한 것 풀고 나서
다시 본존(本尊)의 인계를 결하고
정수리 위에서 풀어라.
마음으로 성천(聖天)을 전송하며
5륜(輪)을 땅에 대고 예배드린 다음
일어나서 뭇 선(善)을 따를지니
나중의 회(會)34)도 다시 처음과 같이 하라.
한 때나 두세 때나
혹 네 때에 모두 이와 같이 하되
그 밖의 시간에는 탑을 돌고
상(像)을 목욕시키며 대승경전을 독송하라.
만다라(曼茶羅)를 칠하여 장식한 다음
꽃을 뿌려 부처님 덕을 찬탄하고
혹은 다시 잡념 없이
온 마음 기울여 등인(等引)을 닦아라.
이로써 3업(業)을 깨끗이 하면
실지(悉地)가 속히 앞에 나타나리니
성스러운 힘에 가지(加持)되어
행원(行願)과 상응하기 때문이니라.
즐겨 닦고 익히는 모든 사람들
스승 따라 배울지니
진언을 지니고 본존의 가르침을 전수받고
삼매야35)를 어기지 말라.
끊임없이 부지런히 채찍질하여
5개(蓋)36)와 오신채(五辛菜)37)⋅술에 취하는 것을 멀리하고
모든 학처(學處)에 수순하여 행하면
실지(悉地)가 힘닿는 대로 이루어지리라.
내가38) 대일경(大日經)에 의거하여
유가행(瑜伽行)39)을 대략 보였으니
수승한 복을 닦고 증득하여서
두루 모든 유정(有情)들을 윤택하게 하라. - 037_0257_c_01L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略示七支念誦隨行法開府儀同三司特進試鴻臚卿肅國公食邑三千戶賜紫贈司空謚大鑑正號大廣智大興善寺三藏沙門 不空奉 詔譯稽首無礙智 密教意生子 依彼蘇多羅攝此隨行法。 眞言行菩薩 無住無等誓語密身俱密 後作相應行。三昧耶眞言曰:娜謨三滿多沒馱引南引唵引阿上三去銘底哩二合三去銘三去麽鼻音曳引娑縛二合引賀引契謂齊諸輪 密合建二空 五處頂肩心最後加胭位。 次結法界生 密慧之幖幟淨身口意業 遍轉於其身。法界生眞言曰:娜謨三去滿多母馱引南引達磨上引馱暏娑嚩二合引婆去引嚩句引憾般若三昧手 俱作金剛拳 相逼建風幢端直令相合。 是名爲法界 淸淨之密印如法界自性 而觀於己身。 無垢同虛空眞言印威力 次結轉法輪 金剛薩埵印。此殊勝加持 令彼獲堅固 止觀手相背地水火風輪。 左右互相持 二空各旋轉合於慧掌內 名最勝法輪。金剛薩埵眞言曰:娜謨三去滿多嚩日囉二合引喃引嚩日囉二合怛麽二合句引憾正誦此密言 當住於等引 諦觀自身像卽是執金剛。 無量衆大魔 諸有親見者如金剛薩埵 勿生疑惑心。 次以無動聖辟障及除垢 而能淨衆事 結護隨相應。不動尊眞言曰:娜莫三去滿多嚩日囉二合引喃戰拏摩賀引嚧引灑拏鼻音颯頗二合引咤耶吽引怛囉二合咤半音呼憾引𤚥引定空加地水 風火豎於心 慧劍亦如是出韜能成辦。 次以如來鉤 請尊及聖衆密方便相應 依本誓而降。如來鉤眞言曰:娜莫三去滿多母馱引南引惡引薩嚩怛囉二合引鉢囉二合底丁以反賀帝怛他去引孽黨引矩捨冒引地拶哩耶二合跛哩布引囉迦娑嚩二合賀引止觀內相叉 豎合智風豎 纔屈於初分餘輪狀若環。 聖者悲願力 隨請咸來降奉現三昧耶 明契如前說。 旣呈本誓日決定相應故 次當隨力分 供養表誠心。閼伽香食燈 下至一花水 或但運心想殊勝最難量。 當以普通印 觀行及眞言有表無表俱 一切皆成就。普通眞言曰:娜莫三去滿多母馱引喃引薩嚩他去引欠平嗢娜孽二合帝二合引颯頗二合囉呬聲異反𤚥引誐誐曩釰平娑嚩二引賀定慧手齊合 右交於上節 運心普周遍所念皆現前。 卽施供養已 修常作持誦先擐金剛鎧 結護事相應。金剛甲冑眞言曰:娜莫三去滿多嚩日囉二合引喃引嚩日囉二合引迦嚩左吽引先作虛心合 風輪糾持火 大空依火本遍觸後居心。 次結方隅界 用前不動尊左轉成辟除 右旋及上下。 備觸身支分結護悉堅牢 眞語母陁羅 如前已分別。旣爲嚴備訖 當示根本契 還加於五處七轉或再三。 散印頂上開 半跏正身意或作相應坐 隨方如教說。 正面住身前睹一圓明像 淸淨無瑕玷 猶如滿月輪。中有本尊形 妙色超三界 紗縠嚴身服寶冠紺髮垂。 寂然三摩地 輝焰過衆電猶如淨鏡內 幽邃現眞容。 喜怒顯形色操持與願等 正受相應身 明了心無亂。無相淨法體 應願濟群生 專注而念持限數旣終畢。 懈極後方息 復結普通印虔誠啓願等 殷重禮聖尊。 左轉無動力解前所結護 還呈本尊契 頂上散開之。心送於聖天 五輪投地禮 然起隨衆善後會復如初。 一時與二三 或四皆如此餘分旋遶塔 浴像轉大乘。 塗飾曼茶羅布花讚佛德 或復無雜念 專注於等引。以此淨三業 悉地速現前 聖力所加持行願相應故。 諸有樂修習 隨師而受學持明傳本教 無越三昧耶。 勤策無間修離蓋及薰醉 順行諸學處 悉地隨力成。我依大日經 略示瑜伽行 修證殊勝福普潤諸有情。大毘盧遮那經略示七支念誦儀軌法一卷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 1)무애지는 불보(佛寶), 비밀한 가르침은 법보(法寶), 의생자는 승보(僧寶)로서 삼보에 귀명함을 의미한다.
- 2)소다라는 sūtra로서 『대일경』을 가리킨다.
- 3)무등의 서원이란 중생과 부처가 평등하여 하나라는 이념에 머무는 것을 말한다.
- 4)상응행이란 수행자가 인연 있는 부처를 본존으로 하여 그 본존의 삼밀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 5)삼매야의 진언이란 7지(支) 중에서 제1의 입불삼매야(入佛三昧耶)를 가리킨다.
- 6)Namaḥ samanta-buddhānaṃ asame trisame samaye svāhā.
-
7)손가락을 윤(輪)이라 하며 각 손가락을 5대(大) 등에 배대한 예는 다음과 같다.
五蘊 五佛頂 五根 十度 十度 五字 五大 五大 右엄지 識 輪 慧 智 禪 khaṃ kha 空 두지 行 蓋 定 力 進 hūṃ ha 風 중지 想 光 念 願 忍 ra ra 火 무명지 受 高 進 方 戒 vi va 水 소지 色 勝 信 慧 壇 a a 地 左소지 色 勝 信 壇 慧 a a 地 무명지 受 高 進 戒 方 vi va 水 중지 想 光 念 忍 願 ra ra 火 두지 行 蓋 定 進 力 hūṃ ha 風 엄지 識 輪 慧 禪 智 khaṃ kha 空 - 8)오처가지(五處加持)를 의미한다. 신체의 다섯 군데 즉 이마⋅오른쪽 어깨⋅왼쪽 어깨⋅심장⋅목을 가지하는 것. 가지하는 데에는 인계나 금강저를 사용한다. 각각의 신체부위는 상징하는 바가 다르다. 이마→대일여래⋅오른쪽 어깨→보생여래⋅왼쪽 어깨→불공성취여래⋅심장→아촉여래⋅목→아미타여래이다. 이것에 의하여 자신에게서 5불⋅5지를 현현하는 것이다.
- 9)7지 중에서 제2 법계생(法界生)을 가리킨다.
- 10)Namaḥ samanta-buddhānaṃ dharma-dhātu-svabhavako'ham.
- 11)반야는 오른손, 삼매는 왼손이다.
- 12)전법륜의 수승한 인계와 진언의 가지를 통하여 수행자로 하여금 금강살타의 지신(智身)을 얻게 함을 말한다.
- 13)왼손은 지(止), 오른손은 관(觀)이다.
- 14)7지 가운데 제3 전법륜(轉法輪)이다.
- 15)Namaḥ samanta-vajranāṃ vajrātmako'ham.
- 16)무동존(無動尊), 즉 부동존(不動尊)을 가리킨다. 7지 중에서 제4이다.
- 17)장애를 없앤다는 것은 비나야가 등의 악마귀신들이 진언수행자에게 달라붙어서 갖가지 장애를 일으키는데 이들을 부동존의 진언과 인계로써 가지하여 비나야가 등의 장애를 부순다는 것을 말한다.
- 18)Namaḥ samanta-vajrānaṃ caṇḍa-mahā-roṣaṇa sphāṭaya hūṃ traka hāṃ māṃ.
- 19)부동존의 검인(劍印)을 결하는 것으로서 곧 좌우의 엄지손가락으로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의 손톱을 누르는 것이다. 이때 오른손을 검, 왼손을 칼집으로 관상한다. 심장에 세우라는 것은 왼쪽 젖꼭지 위에 대라는 것이다.
- 20)7지 중에서 제5 대구소(大鉤召)이다. 부처님의 평등한 지혜로 성스러운 대중과 악마를 모두 부르는 것을 말한다.
- 21)namaḥ samantabuddhanāṃ sarva apratihata tathāgata aṃkuśa bodhicarya paribūraga svāhā.
- 22)시삼매야는 최초의 입불삼매야의 진언과 인계를 다시 사용하는 것이다.
- 23)결정코 상응한다는 것은 모든 불보살의 본서가 헛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수행자의 원에 따라 상응한다는 것이다.
- 24)7지 중에서 제6 허공장전명비(虛空藏轉明妃)를 가리킨다.
- 25)nama samantabuddhanāṃ oṃ sarvathakhaṃ udgati spharanahe- maṃ gagana khaṃ svāhā
- 26)금강갑옷이란 7지 중에서 제7 금강갑옷을 걸치는 것이다. 무릇 결계하는 데에는 먼저 자기 몸을 보호하고 모든 장애를 없애야 하므로 먼저 금강갑옷의 인계와 진언으로 가지하여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다.
- 27)Namaḥ samanta-vajr'ānaṃ vajra-kavaca hūṃ.
- 28)산스크리트 mudrā의 음사로 인계를 말한다.
- 29)반가부좌로 앉으면 몸이 곧게 되며, 따라서 마음까지 바르게 되는 것을 말한다.
- 30)얼굴을 바르게 하고 수행자는 마음 밖의 보름달 가운데에서 본존을 관한다. 본존은 수행자의 의지에 따라 그 모습을 나타내게 된다.
- 31)본존을 가리킨다. 이하에서 본존을 보름달 속에서 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32)기쁨의 형상은 인자한 얼굴의 불보살로 일반적인 본존의 형상이고, 노여움의 형상은 부동명왕 등의 분노존을 가리킨다.
- 33)수법할 때에 본존가지한 다음에 다시 육종공양(六種供養)을 하는 것을 말한다.
- 34)나중의 회(會)란 개백(開白) 이후의 때를 말한다.
- 35)삼매야계를 깨뜨리는 것을 말한다. 삼매야계(三昧耶戒)는 부처와 중생의 삼밀이 절대적으로 평등하다고 하는 이치로서 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청정한 보리심을 계체(戒體)로 하는 밀교의 계이다.
- 36)심성을 가려 선법(善法)을 낼 수 없게 하는 다섯 가지 법. ① 탐욕개(貪欲蓋): 5욕에 집착함으로써 심성을 가림. ② 진에개(瞋恚蓋):성냄으로써 심성을 가림. ③ 수면개(睡眠蓋):마음이 흐리고 몸이 무거움으로써 심성을 가림. ④ 도회개(掉悔蓋):마음이 흔들리고 근심함으로써 심성을 가림. ⑤ 의법개(疑法蓋):법에 대하여 결단성이 없이 의심하고 미룸으로써 심성을 가림.
- 37)불교에서 출가자에게 금하는 다섯 가지 야채. 냄새가 많이 나는 다섯 가지 야채로서 고기류와 함께 승려들이 먹지 못하도록 금지된 식품이다. 오신채는 부추⋅파⋅마늘⋅흥거(興渠; 형상은 마치 꾸불꾸불한 부추와 비슷하고 냄새와 맛은 마늘과 비슷한 야채의 일종)⋅생강의 다섯 가지이다.
- 38)이하는 유통분(流通分)이다.
- 39)삼밀행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