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觀自在大悲成就瑜伽蓮華部念誦法門一卷

ABC_IT_K1374_T_001
037_0297_c_01L관자재대비성취유가연화부염송법문(觀自在大悲成就瑜伽蓮華部念誦法門)


당(唐) 천축삼장 불공(不空) 한역
조환기 번역


무릇 이 문(門)에서 수습(修習)하려는 사람은 모름지기 법식(法式)의 순서를 알아야 한다. 미리 의궤(儀軌)를 알고 있지 않으면 공연히 돌아다니면서 힘만 들고 시간만 버리게 된다. 여러 경전과 현상과 이치[事法]에 대한 법문(法門)과 유가문(瑜伽門)을 참구하고 경험하였으므로 이들을 서로 모아 하나로 묶는다.
이러한 초발심으로 출발하여 해탈을 구하는 사람은 단계에 따라 보살지에 오른다. 그리하여 나는 수행을 계속하여서 그 행을 성취하였다. 모든 배우고 익히는 사람은 먼저 정수리에 물을 붓는 관정(灌頂)의 대삼매야(大三昧耶) 단(壇)에 들어가 보살계를 받고 대비심을 일으켜야 한다. 또 몸과 목숨과 재물을 버리고서라도 모든 유정을 이익되게 해야 한다.
마음은 오로지 불ㆍ보살을 희구하는 데 집중하고, 몸은 탐내고 성내는 것에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마음을 용맹스럽게 정근하여 산란하지 않게 모으도록 해야 한다. 자(慈)ㆍ비(悲)ㆍ희(喜)ㆍ사(捨)를 잠시도 멈추지 않고, 무량한 중생을 피안으로 건너가게 하고, 안과 밖을 극히 청정하게 하여 장엄하고 더러움이 전혀 없도록 해야 한다.
나이 많고 경험 많은 여러 화상과 스승[阿闍梨]들을 항상 존중해야 한다. 마음은 아첨하거나 간사하지 않으며 말은 반드시 성심껏 한다. 어떤 걸인이 오더라도 분수에 맞게 보시하며, 빈손으로 보내어서는 안 된다.
4위의(威儀) 및 여러 가지 일을 함에 있어서 이러한 찰나찰나의 시간마다 맑게 하여 진리를 염(念)하고 모든 행이 다 무상하다고 관한다. 간략히 말하자면 일체 모든 법이 거울에 비친 형상과 같다고 해야 한다. 이런 줄을 알았으면 정진(精進)의 갑옷을 입고, 번뇌의 군대를 깨뜨리고, 신비스러운 주문의 검으로 번뇌[蓋纏]들을 자르고 생사(生死)의 바다에서 나와 깨달음의 도량에 이르러 금강좌에 앉는다. 이렇게 결심하고 물러서지 않는다. 이러한 사람은 바야흐로 수습하여 대승의 경계에서 최승의 법문을 일으켜야 한다.
따라서 나는 지금 차례대로 설하고자 한다. 염송(念誦)을 하려는 사람은 먼저 땅을 청정하게 해야 한다. 땅을 청정하게 하는 방법은 너비를 4주(肘)1)나 혹은 8주ㆍ12주ㆍ16주 등으로 능력껏 그 양을 맞게 취하고, 깊이는 무릎까지 또는 1주 정도가 되도록 땅을 판다. 그리고 벌레나 개미ㆍ기왓장ㆍ자갈ㆍ머리카락ㆍ뼛조각ㆍ재ㆍ숯ㆍ겨ㆍ쭉정이ㆍ가시ㆍ나무뿌리에 얽혀 있는 각종 더럽고 나쁜 것들을 찾아서 제거한다. 그러고 나서 청정한 흙으로 가득 메우고 틈새를 견고히 메워 평평하게 다진다. 그런 후에 그 위에 정사(精舍)를 세우고 방을 청정하게 칠한다.
우선 방향을 정하는데 식재법[除災]을 하기를 바라는 자는 방문을 남쪽으로 열고 얼굴을 북쪽으로 향해 앉는다. 앉을 때는 반드시 결가부좌로 앉아야 한다. 만약 증익법을 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문을 서쪽으로 열고, 얼굴은 동쪽을 향해 앉으며 결가부좌를 해야 한다. 항복법[瞋怒法]을 짓는 자는 북쪽으로 문을 열고 얼굴은 남쪽을 향해 앉는데 몸을 쭈그려서 앉으며 두 다리 중에 오른쪽 다리가 왼쪽 위로 가게 한다. 경애법[友愛相親之法]을 도모하는 자는 문을 동쪽으로 열고 서쪽을 향해 앉는다. 앉을 때는 두 다리를 나란히 세우고 두 무릎을 벌려 앉는다. 이것이 ‘정사를 짓는 법’과 ‘일에 따른 앉는 자세’라고 말한다.
인법(印法)도 이와 같다. 먼저 청정한 방이나, 평지나 혹은 바위산 등에 다만 단(壇)을 건립하고 역시 그 구하는 일에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앉는 법에 의해서 앉는다.
방을 세운 후에는 우선 쇠똥으로 여법하게 칠하여 장식한다. 그때 먼저 주문을 송한 후 비로소 사용한다. 처음 땅을 청소할 때 이 주문을 송하여야 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 하라하라 라유아라 하라나 야 사바 하2)
唵一訶囉訶囉二囉儒揭囉二合訶囉拏去夜三娑嚩二合引訶

이 주문을 세 번 송하고 다니면서 땅을 빗자루로 쓴다. 땅을 모두 청소하고 그 흙을 치우고자 할 때는 다시 이 주문을 송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 셰뎨 마하 셰뎨 가다니 사바 하3)
唵一稅諦二摩訶去稅諦三可達尼四莎嚩二合引訶引五

이 주문을 세 번 암송하고 그 흙을 치운다. 흙을 치운 다음 쇠똥을 단에 바르면서 이 주문을 송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 가라리 마하가라리 사바 하4)
唵一羯囉麗二摩訶羯羅麗三莎嚩二合訶

이 주문을 송하면서 칠하고 장식한다. 만약 공양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그릇과 향수(香水) 그릇을 씻을 때라면 반드시 이 주문을 사용해야 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나막시디 예추비 가남 살바다타아다남 옴비라이비라이 마하바절
娜莫悉底二合一曳墜肥二合迦南二薩婆怛他揭多南三唵肥羅耳肥羅耳四摩訶皤折
리 사다사다 사라뎨사라뎨 대례대례 미타마이 삼반사니 다라마디
哩五薩多薩多六娑囉諦娑囉諦七帶㘑帶㘑八尾馱麽你九三伴闍你十多囉摩底十一
싣다예라 디리양 사바 하
悉馱刈囇二合十二底哩養三合十三莎嚩二合引訶

이 주문을 세 번 송하고 모든 공양 도구들을 씻는다. 이 주문을 송하는 이유는 삼마야법에 어긋나는 모든 탁하고 더러운 잘못과 허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공양물을 올리기 전이라면 다 정갈한 장소에 함께 둔다. 그리고 이 명주(明呪)를 송하고 이 인주(印呪)를 결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 시카리 바절리아5)
唵一始佉哩二皤折哩阿引

이 주인(呪印)의 모양은 오른손의 가운뎃손가락 이하 세 손가락으로 엄지손가락을 쥐어 봉우리 모양을 만들고 집게손가락을 곧게 세우면 된다. 이 인을 하고 공양물 위를 오른쪽으로 둥글게 돌려서 모든 향ㆍ꽃ㆍ등(燈)과 음식 등을 방호(防護)한다. 그러고 나서 목욕하는 장소로 간다. 이 법(法)을 지을 때에는 스스로 짓거나 혹은 제자 한 명이 짓게 하여도 모두 성취할 수 있다. 인을 결하고자 할 때는 먼저 삼삼매인(三三昧印)을 결한다. 그러한 후에 바야흐로 결인(結印)할 수 있다. 삼매인의 모양은 첫째, 불부삼매야인(佛部三昧耶印)이다. 먼저 두 손을 나란히 옆으로 하여 가운뎃손가락의 모양을 무언가를 움켜쥔 것처럼 서로 붙이고, 집게손가락을 가운뎃손가락의 윗 지문[上文]에 각각 붙인다. 그 다음 두 개의 엄지손가락으로 집게손가락의 아랫지문에 대는 것이 이 인이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다타아도바바야사바 하6)
唵怛他揭覩婆皤也莎嚩二合引訶引

이 주문을 송하면서 이 인을 정수리 위에 고정시키며, 이 인은 곧 여래의 진신(眞身)과 같아 다르지 않다고 생각해야 한다. 이 인을 보는 것은 곧 세존을 보는 것이다.
다음으로 연화부삼매야인(蓮花部三昧耶印)을 설한다. 두 팔을 서로 붙이고 양손을 세워 열 개의 손가락을 펴서 벌린다. 두 개의 엄지손가락 끝을 나란히 서로 붙인다. 두 개의 새끼손가락도 또한 그러한 모양을 만들면 결인(結印)이 완성된다. 이것을 들어 머리 위 오른쪽 가까이에 대고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 인이 곧 성자재(聖自在)보살이라고 관상해야 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 바다모 바바야사바 하7)
唵一鉢頭慕二婆皤耶莎嚩二合引訶引

다음으로 금강부삼매야인(金剛部三昧耶印)을 설한다. 두 손을 뒤집어서 오른손으로 왼손을 누르고 모양을 반대로 하여서 거듭 반복한다. 그러고 나서 오른쪽 새끼손가락으로 왼쪽 엄지손가락에 깍지 끼운다. 또한 오른쪽 엄지손가락으로 왼쪽 새끼손가락에 깍지 끼우면 이 인이 된다. 이 인의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바절로바바야사바 하8)
唵皤折嚕婆皤耶莎嚩二合引訶

이 인을 들어 머리 위 왼쪽 가까이에 대어야 한다. 이 인이 곧 금강장보살(金剛藏菩薩)이라고 관상해야 한다.
이와 같이 삼삼매야인을 결한 뒤에야 바야흐로 모든 인계를 두루 결할 수 있다. 그 비장(秘藏)의 명주(明呪)를 따르는 자는 반드시 이 순서에 의지하여 그 요점을 설해야 한다.
무릇 수행하는 사람이 첫 새벽이 시작할 때에 아직 한 일이 없이 출입을 하고자 하면 먼저 인을 결하고 명주를 염송한 이후에 비로소 일어나서 행해야 한다. 이 명주는 다음과 같다.

나막라다나디리 야야 나막시젼 다바절라바나예 마하약차셰나바다
娜莫囉怛娜底哩二合夜耶一娜莫室戰二合茶皤折囉波拏曳二摩訶藥叉細娜跋多
예 나막바절라골로타야 등-따 가타배 라바 야 다디타 옴 아마리
曳三娜莫皤折囉骨𡀔馱也四鄧瑟覩二合迦吒倍去囉皤去也五怛地他六唵七阿蜜哩
다군다리 카카카혜카혜 디-따 반다반다 하나하나 예리사예리
多軍茶里八佉佉珂奚珂奚九底瑟吒二合十畔陁畔陁十一訶那那訶十二刈㗚闍刈㗚
사 비시보타야비시보타야 살바미근나미나야가가나바디이미단다가
闍十三肥悉怖吒耶肥悉怖吒耶十四薩婆尾近那微那夜迦誐拏跛底貳尾單多羯
라야 훔패 사바 하9)
囉耶十五吽沛十六莎嚩二合引訶

이 주문의 인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 두 손 각각의 엄지손가락으로 새끼손가락의 첫 마디 위를 붙잡고 나머지 세 손가락은 편다. 오른쪽이 왼쪽을 누르도록 팔을 교차하고서 각각 어깨 위에 붙여서 인을 이룬다. 그리고 심장 한가운데에서도 이 모양을 만들어야 한다. 두 다리는 팔(八)자 모양으로 하고 선다. 그리고 뺨을 불룩하게 해서 오른쪽 입가로 깨물고 눈을 부릅뜬 형상을 하고서 주문을 일곱 번 송한다. 만약 여러 장애를 일으키는 귀신 등을 결박하고자 한다면 양 손으로 권을 쥐고 세 손가락으로 결박한다. 결박할 때는 반다반다(畔陁畔陁:bandha bandha)라고 말해야 한다. 이 작법을 다 마친 후에 방에서 나온다. 만약 탁하고 더러운 장소나 변소 등에 들어가고자 한다면 역시 신체를 보호해야 한다. 이 인의 모양은 두 손의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으로 오른손이 왼손을 누르면서 안을 향하게 하여 서로 교차시킨다. 두 가운뎃손가락은 세워 끝을 서로 붙인다. 두 집게손가락은 가운뎃손가락의 윗지문에 붙이되 손등 쪽으로 점점 가서 한 부분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두 엄지손가락을 나란히 세워 그 가운뎃손가락 가운뎃지문을 붙잡으면 신체를 보호하는 인과 주문을 이룬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바절라기니바라념다야사바 하10)
唵皤折囉祇你鉢囉捻多也莎嚩二合訶

이 인을 사용하여 다섯 가지 부위에 인(印)한다. 다섯 가지 부위란 머리 위ㆍ두 어깨 위ㆍ심장 위ㆍ목 위이다. 이것을 다섯 가지 부위라 한다. 이것을 신체를 보호하는 법이라 한다. 만약 변소에 갈 때라면 손가락을 세 번 탄지하여 경각시킨 후에 가야 한다.
위의 탄지하는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기리기리라바노나라훔패11)
唵枳里枳里囉嚩勞捺囉吽沛

한 번 암송하고 한 번 탄지하는 일을 세 번 한다. 만약 손을 씻을 때라면 심장 한가운데에 군다리(軍茶利) 주문과 형상을 생각한다. 그러고 나서 손을 씻고 양치질을 한다. 양치질하는 인[潄口印]은 오른손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을 굽히고 손바닥에서 엄지손가락⋅집게손가락⋅새끼손가락을 곧게 펴서 물을 받든다. 그리고 세 번 양치질을 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주주리구로구로사바 하12)
唵柱柱麗矩嚧矩嚧莎嚩二合引訶引
이 인과 주문을 사용하여 입을 씻고 양치질을 마친다. 그 후에 몸속에 숨어서 장애를 일으키는 귀신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한다. 인은 두 손으로 권(拳)을 쥐고 즉시 각기 두 집게손가락을 펴고, 오른쪽 집게손가락의 끝은 왼쪽 권(拳) 속에 넣어 쥐고, 왼쪽 집게손가락의 끝도 마찬가지로 오른쪽 권속에 넣는 것이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하나하나아마리뎨훔패13)
唵訶娜訶娜阿蜜哩諦吽沛

이것을 세 번 암송한다. 머리로부터 서서히 쓰다듬으면서 아래를 향하는 것을 세 번 행하면 신체 중의 모든 악귀의 방해를 남김없이 다 소멸시킬 수 있다. 모든 악귀들이 다 도망갔다고 알게 된 뒤에 박제마인(縛諸魔印)을 결한다. 인은 왼손은 바깥쪽을 향하게 하여 그들을 부르고, 오른손은 뒤집어 손등을 왼 손등 위에 놓는다. 그리고 여덟 개의 손가락을 각각 서로 깍지 끼어 왼쪽으로 돌려 심장 쪽으로 향하게 하여 모두 권(拳)의 형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두 엄지손가락을 나란히 세워 심장에 고정시킨다. 다시 오른쪽 팔꿈치를 왼쪽 팔꿈치 속에 놓고 그들을 밖을 향해 내보낸다. 인을 머리 위에 두었다가 그 인을 펴면서 천천히 밑으로 내린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기리기리비로다라바라아리디마하고로타비사야니하린다훔패반다반다
唵枳里枳里鼻勞達囉鉢囉訖㗚底摩訶骨嚧陁肥闍夜你訖口閵多吽沛畔陁畔陁
사바 하14)
莎嚩二合引訶

이 인과 주문의 힘으로 모든 악귀 등을 속박시킬 수 있다. 또한 자신이 금강 갑옷을 입었다고 생각한다. 이 작법을 행하고 나서 만약 헹구고 씻을 때라면 주문과 율(律) 및 실지(悉地)에 의지하여 세수하고 목욕하는 법을 갖추어야 한다. 만약 단지 군다리소심주(軍茶利小心呪)만을 사용할지라도 스스로 목욕하고 스스로 관정(灌頂)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아마리뎨훔패15)
唵阿蜜哩諦吽沛

3부(部)에 사용하는 인은 다음과 같다.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새끼손가락 손톱 위에 대고 나머지 세 손가락을 곧게 펴며, 이 인과 주문으로 몸과 옷을 씻는다. 주문을 한 물[呪水]로 목욕하고 옷을 입는 것 등도 함께 두루 쓰일 수 있다. 만약 목욕을 할 때라면 일심으로 불보살 등을 염(念)하여 산란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본존과 자신이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면서 씻는다. 처음에는 본존과 3보 등이 눈앞에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목욕에 쓰이는 물을 한 움큼 움켜쥐고 세 번 바친다. 이 인은 두 손으로 항상 움켜쥔 것처럼 해야 한다. 다만 두 엄지손가락과 두 집게손가락은 서로 잡고서 먼저 부처님[佛]께 받들어 올리고 주문을 송한다.세 번 송한다.
옴뎨라뎨라발타야사바 하16)
唵諦囇諦囇勃陁耶莎嚩二合引訶引

다음에 법보[法]를 받들고서 주문을 송한다.세 번 송한다.
옴뎨라뎨라달마야사바 하17)
唵諦囇諦囇達摩耶莎嚩二合引訶

다음으로 승가[僧]를 받들고서 주문을 송한다.세 번 송한다.
옴뎨라뎨라싱가야사바 하18)
唵諦囇諦麗僧伽耶莎嚩二合引訶引

그런 다음 본존을 받들고서 세 번 주문을 송한다.

옴아리감바가반바라디자이만사바하19)
唵遏㗚鉗婆伽伴鉢囉底車伊漫莎 訶

또는 본존의 물[本尊水]을 받들 때 본주(本呪)를 송할 수도 있다. 이 작법을 능력껏 해서 마친다. 목욕한 물에서 본주를 염송하고 천천히 나온다. 옷을 입을 때도 이 주문을 송하는데 물을 옷에 뿌린 다음에 입는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살바다타아다딛-띠다아마지바라사바 하20)
唵薩婆怛他揭多地瑟耻多阿摩至皤囉莎嚩二合引訶

물을 뿌리는 것을 마친 다음에 옷을 입을 때 이 주문을 세 번 송한다.

옴비마라바리바리다바절리훔21)
唵肥摩羅跛哩皤㗚多皤折哩吽

이 주문과 인은 두 손으로 각각 권(拳)을 쥐기만 하면 된다. 만약 모든 종류의 옷과 영락과 머리에 쓰는 관[頭冠]과 팔지[環釧]와 여러 가지 몸을 치장하는 도구 등을 착용할 때에는 모두 이 주문을 송한다.
이 작법을 행할 때는 분노하거나 사악한 생각을 일으키면 안 되고, 더러움과 악(惡)과 모든 상서롭지 못한 것들을 모두 보아서는 안 된다. 만약 목욕을 마치고 정사(精舍)로 향할 때에는 맨발로 가서는 안 된다. 마음으로 8잎의 연꽃이 발밑에 있고, 나와 본존(本尊)의 모양이 같으며 좌ㆍ우에는 천룡8부가 따르고 있고, 앞뒤로는 시중을 드는 자들이 주위를 에워싸고 있다고 관상한다. 다시 본존을 관상하는데 눈앞에 엄연하고 분명히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지나가는 길 가운데 자란 풀과 나무, 여러 가지 형상과 아래로 축생 등의 형상에 이르기까지 말을 타고 밟고 지나가서는 안 된다. 여러 가지 공양물과 여러 가지 탑의 그림자, 존자의 형상[尊像]들, 스승의 그림자 등을 모두 발로 밟아서는 안 된다. 정사(精舍) 앞에 이르렀으면 다시 반드시 법답게 세수하고 입을 닦고서 들어가야 한다.
처음 들어가고자 할 때 출입문 앞에 서면 한 번 훔(吽)소리를 내고서 들어간다. 방에 들어가 부처님 앞에서 다음과 같은 마음을 일으킨다.
‘3세의 모든 불보살과 대법왕 등께서는 진신(眞身)으로 머무시지만 제 육신의 눈으로는 직접 볼 수 없습니다. 도안(道眼)으로 보아서 제가 귀의하기를 원합니다.’
이렇게 생각하고 나서 몸과 입과 뜻으로 5체투지하고 정중하게 예를 드려야 한다. 또한 입으로는 ‘이제 제가 공경하여 예를 드립니다’라고 말해야 한다. 예를 마쳤으면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참회하고 수희하며 선함을 수행하겠다는 등의 큰 서원을 널리 일으킨다. 곧 향을 사르고 이 향기로 모든 사악한 귀신 등을 끝내 없애기 위하여 소향주(燒香呪)를 송한다. 여기서부터는 앞의 법으로써 금강부 등의 모든 부(部)에 사용할 수 있다.

옴바다미니모하야모하야사리모하니사바 하22)
唵鉢頭弥你慕訶耶慕訶耶闍利慕訶你莎嚩二合訶引

이 작법을 행하고 나서 다시 주문을 한 물을 사방에 뿌려 결인[結]을 보호한다.
이 작법의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아로륵사바 하23)
唵阿𡀔力莎嚩二合引訶引

이 작법을 마치고 나서 다시 관법(觀法)을 행한다. 먼저 하리(紇哩二合)라는 하나의 글자를 관한다. 무량수여래가 이 글자로부터 신체의 원만한 상(相)을 일으킨다. 여래의 신체로부터 기묘한 향기를 가진 젖과 물이 흘러나와 이내 큰 바다를 이룬다. 이 바다 가운데에서 하나의 바라(鉢囉)라는 글자가 한 마리 거북이로 변화하는 것을 생각한다. 그 모양은 무량한 유순(由旬)만큼 크고 빛깔은 황금과 같다. 거북이 등 위에 한 송이 연꽃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 꽃은 여덟 개의 잎을 가졌고 잎은 세 겹으로 되어 있다. 그 꽃으로부터 하나의 하리(紇哩)라는 글자가 일어난다고 생각한다. 이 꽃 가운데 하나의 소(蘇)라는 글자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자 양쪽 끝에 각각 하나의 훔(吽)이라는 글자가 있으며, 이 모든 글자들이 함께 하나의 수미노산(須弥盧山)을 이룬다고 관상한다.
산은 갖가지 보물로 가득찬 여덟 개의 봉우리를 갖고 있다. 이 산 가운데 다시 다섯 개의 건물[五室]을 관한다. 이 건물은 겉으로는 흡사 다섯 개인 것처럼 보이지만 안으로는 하나의 모양이다.
이 건물 안에 여덟 개의 큰 금강 기둥[金剛柱]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기둥은 기묘한 보석으로 테두리를 모두 두르고, 사이사이에 금장식을 하고 있는데, 진기한 보석으로 치장하고 있다. 위에는 마갈(摩揭)24)이란 고기가 있는데, 머리는 옥으로 되어 있으며 작은 옥을 물고 있고 구슬 목걸이 휘장처럼 금방울을 주위에 매달았으며, 보석 휘장과 깨달음의 꽃[覺花]으로 장엄하였다. 노리개가 달린 망사가 위아래로 서로 엇걸려 연결되어 있고 맑은 광명이 비춘다.
유리 등과 같은 보석을 땅으로 삼고 그 위에 구소마(拘蘇摩) 등의 꽃이 흩어져 있다. 청정한 계율의 도향이 특이한 향을 가득 퍼지게 하고, 해탈의 소향에서 상서로운 기운이 넘쳐 오르며 지혜의 마니 등불에서 광채가 빛난다. 보배로운 나무의 행렬은 향기로운 바람이 살짝만 닿아도 꽃향기를 함께 발산한다. 비단 깃발이 어지러이 섞여있고 보석 받침대가 서로 섞여 있는데, 사이사이에 보석병이 있다.
여러 종류의 무수한 야차ㆍ나찰ㆍ천신들의 무리가 앞뒤로 둘러싸고서 여러 가지 음악을 연주하며 금강무(金剛舞)를 추고 금강가(金剛歌)를 찬탄한다. 상서로운 구름이 두루 넘쳐흐르고, 구름 속에는 비가 허공에 가득 찬 무수한 출세간의 향기로운 꽃에 천천히 떨어진다. 갖가지 향기로운 반찬과 향기로운 음식이 엇갈려 나열되어 있는데, 이것을 안치하여 공양한다. 법을 행하는 사람은 이와 같이 뚜렷하게 관찰하여 마음과 상응하여 분명하게 알아야 한다. 이 관법에 들어갈 때 이 주문을 송해야 한다.이는 3부에 통용되고, 앞의 생각과 작법에 통용되나 약간의 차이는 있다.
나모사만다몯다남 살바타 오예 뎨 시바라 혜만 가가나긍 사바
娜莫三曼多勃陁南一薩婆他二嗢刈入諦三悉頗囉二合呬漫四伽伽那緪五莎嚩二合引
25)
訶引

이 다라니 진언[明呪]을 송하고 모든 삼매에 들어가면 마음이 관(觀)하는 대상마다 모두 다 성취한다. 부처님의 이 참된 말씀은 허망함이 없다. 먼저 이렇게 관하는 이유는 안과 밖의 소연(所緣)을 끊어 청정을 얻게 하기 위함이다. 마치 허공이 모든 것을 집착하지 않는 것과 같다. 또한 의당 몸을 깨끗하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심인(心印)과 함께 이 주문을 송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이는 3부에 통용된다.옴 살바바바슈 다 살바달마 사바바슈 다함26)
唵一薩婆皤婆輸上馱二薩婆達摩三莎皤皤輸上馱含

이 명주를 송하여 신전(身田)을 청정하게 하고 나서 다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무량한 겁(劫) 동안 삶과 죽음의 물결에 휩쓸리고, 번뇌의 수렁에 빠져 어진 벗을 만날 수 없었고, 망령된 마음에 따르고 벗어날 수 없었다. 위없는 도(道)를 간절하게 구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았다. 그러므로 나는 보리심을 일으키도록 해야겠다.’
응당 입으로 가지런히 아(阿)자를 불러야 한다. 이 글자를 부르는 까닭은 이른바 ‘아’라는 글자는 생함이 없다[無生]는 뜻이고, 공적문(空寂門)을 향하게 하기 때문이다. 오직 이 공적문만이 번뇌를 멀리 할 수 있다.
이 법을 따르는 자는 무량겁 속에서 작은 먼지 알갱이 수만큼의 죄를 행한 것을 제거할 수 있다. 비유하면 맑은 하늘에 밝은 해가 널리 비추어 모든 깊은 어둠이 자연히 밝게 열리는 것과 같다. 해[日]란 지혜의 해이고, 하늘[空]이란 주문의 하늘[呪空]이다. 이 지혜의 해로 주문의 하늘의 깊은 번뇌를 비추고 맑고 깨끗한 마음으로 허공계를 관한다.
그 가운데 여래의 형상이 두루 가득 차 있다. 크기는 깨알 같고 상호는 두루 갖추고 있다. 이 모든 여래들은 다 수행자의 앞에 나타나서 탄지하여 경각시키며 수행자에게 말한다.
“선남자여, 만약 그대가 보리심을 발하고자 한다면 자신의 마음을 관해야 한다.”
그때에 수행자는 이 말을 듣게 되면 자리에서 얼른 일어나 모든 여래 한분 한분 앞에 일심으로 공경하여 오체투지하여 절해야 한다. 부처님들께 절할 때 이 주문을 암송해야 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이는 3부에 통용된다.
옴살바다타예다바타반다나가로미27)
唵薩婆怛他刈多婆陁伴達那羯嚧弭

이 주문을 송하고 모든 여래에게 예(禮)를 드리고 나서 곧 자신의 마음을 관한다. 자신의 마음을 관할 때 이 주문을 암송해야 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짇다바라 디볘다가로미28)이는 3부에 통용된다.唵質多鉢囉二合底吠陁羯嚧弭

이 명주를 송하면서 자신의 마음 가운데에 달[月] 하나를 관하되, 모양과 빛깔은 둥글고 흰 빛이며 아직 완전히 뚜렷하지 않다고 관한다. 곧 부처님께 ‘저는 이미 마음을 보았으나 마치 달이 분명하지 않은 것과 같나이다’고 말씀드린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다.
“선남자야, 착하고 착하도다. 그대는 이미 마음을 보았다. 반드시 이 명주를 송하여 그 마음을 아주 밝고 환하게 될 때까지 거듭 관해야 하느니라.”
주문은 이러하다.

옴보리짇다오다바타야미29)
唵菩提質多嗢怛波陁夜弭

이 명주를 송하고 마음의 달이 지극히 청정해졌음을 관한다.
다시 보리심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달에 한 송이 금강연화를 관한다. 이 꽃을 관할 때 이 명주를 송해야 한다.

옴딛-따 바절라 바다마30)
唵底瑟吒二合跋折囉二合鉢陁摩

이 명주를 송하고 꽃을 관한다. 그 꽃 위에 하나의 금강저[金剛]가 있다. 이러한 모습으로 인해 금강연화라 이름한다. 다음과 같이 ‘나의 이 마음과 금강연화는 다르지 않다’라는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점차 꽃이 피어나면서 빛이 가득 차서 다함이 없다. 이 금강연화가 열려 퍼지는 삼매[金剛開敷三昧]에 들어갈 때 다시 이 주문을 송한다.

옴시바라바다마31)
唵悉頗羅鉢陁摩

이 명주를 송하고 이 꽃을 관한다. 꽃의 광명은 항하의 모래 수만큼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모든 부처님과 기묘한 불국토를 비추는데 이 빛 가운데서 활집처럼 빛이 뻗어서 퍼진다. 연화부의 수행자는 이 일을 따라서 지닌다. 천신이 맑고 윤기 있는 음성으로 몸을 굽히고 묻는다. 이와 같은 모든 곳의 여래가 이 꽃 가운데 들어간다. 모든 여래가 이 꽃에 들어가자마자 그 기묘한 꽃은 다시 천천히 오그라들어 예전과 차이가 없다. 능력에 따라 몸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여 그곳에 머무를 수 있다. 검화삼매(劍花三昧)32)를 행할 때 이 주문을 송해야 한다.

옴싱가라바절라바다마33)
唵僧褐囉皤折囉鉢陁摩

이 다라니 진언을 암송하여 꽃이 오그라들 때 능력에 따라 몸이 크거나 작거나 하여 머물고 나서 다시 금강연화의 몸으로 금강삼매에 든다. 이 연꽃으로 나의 몸을 이루고 이 관에 들어갈 때 다시 이 주문을 암송한다.

옴바절라바타마구함삼마유함마하삼마유함34)
唵皤折囉鉢陁摩句含三摩庾含摩訶三摩庾含
이 금강연화의 몸이 이루어짐을 관하고 나서 문득 몸을 관하는데 자신이 저 천신의 모양과 같음을 관한다. 먼저 관음(觀音)에 들어가는 것은 속히 견고한 금강의 몸을 이루려 하기 때문이다. 또한 태어날 때마다 반드시 성자의 몸을 얻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관상에 들어가 주를 인하려면 두 손의 집게손가락 이하의 세 손가락을 밖을 향해서 서로 교차시켜야 한다. 두 집게손가락의 끝부분으로 연꽃잎처럼 만들고 두 엄지손가락을 나란히 곧게 펴고 주문을 송한다.이는 앞의 3부에 통용된다.
옴하리 살바가리아디-따 사만하리35)
唵紇哩二合薩婆迦哩阿地瑟侘二合莎漫紇哩二合

이 인과 주문으로 심장 위와 미간과 목 위와 정수리 위의 네 곳에 인(印)하고 이 네 곳에 주문을 송한다. 그 다음 스스로 관정(灌頂)하는 작법을 행하여 수행하는 자가 속히 삼매의 몸을 다 갖추어 성취할 수 있게 한다. 이 인의 모습은 항상 두 손을 합장하듯 해야 한다. 즉, 집게손가락을 서로 깍지 끼고 나머지 네 손가락의 손끝은 하늘로 향하게 한 다음에 그 손가락을 뒤로 눕혀 보련화 모양을 만든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디리마니바다마아비션자만하리36)
唵地哩摩你鉢頭摩阿鼻詵者漫紇哩二合

이 주문을 송하고 그 인을 들어 올려 이마 위에서 떠받친 다음에 곧 손을 풀어 나누어서 머리를 에워싸고, 정수리 뒤에까지 이른다. 몸을 더듬으면서 천천히 아래로 심장에 이를 때까지 내려온다. 그리하여 심장 앞에 멈춘 다음에 다시 손으로 금강권(金剛拳)을 결하고 각각 집게손가락을 곧게 편다. 오른쪽 집게손가락 안쪽에 옴(唵)자 하나가 있다고 생각하고, 왼쪽 집게손가락 위에 악(惡)자 하나가 있다고 관상하며 즉시 두 손으로 몸을 에워싸는 환갑법(擐甲法)을 행한다. 이 작법을 마치면 모든 천신ㆍ용ㆍ인(人)ㆍ비인(非人) 등은 모두 수행자를 곧 금강갑옷을 입은 금강신(金剛身)으로 볼 것이다. 모든 악귀와 삿된 무리들은 감히 바로 보지 못하고, 흩어져 달아나서 해를 입힐 수 없다.
이 작법을 마치고 나서 다음에는 다시 눈앞에서 본법(本法)의 형상을 관하고 자신이 언제나 상호와 같다고 여긴다. 또한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묘고산(妙高山)에 다섯 가지 보석으로 만든 방을 관한다. 방 한가운데에서 일심으로 여러 가지 상호를 갖추고 광명이 눈부시게 빛나는 무량수여래를 자세히 관한다. 부처님 오른쪽에는 관세음자재보살이 있고 왼쪽에는 대세지보살이 있다. 만약 다시 그 부(部) 중에 다른 보살들이 있다면 반드시 이 보살을 조금 더 가깝게 오른쪽 앞으로 모셔야 한다. 본법(本法)에서 설한 것과 같이 모든 천신과 사자와 보살 등은 모두 내키는 곳에 따라 안치한다.
이 관법을 마치고 나서 곧 소지하는 명주(明呪)의 글자대로 머리에서 발끝까지 한 자 한 자 펼친다고 관상하고, 또한 그 뜻과 이치와 방편에 따라 관상한다.
포자(布字)하여 관상하는 것을 마쳤으면 곧 일어나서 보거인(寶車印)을 결하고 성자(聖者)를 맞이한다. 앞서 관한 것은 법신상(法身相)이라 이름하며 이제 초청받은 분은 혜신(慧身)이라 한다. 그 혜신이 물러나고 법체(法體)가 따라온다. 이러한 뜻이기에 먼저 관하고 나중에 청한다.
이 인의 상(相)은 먼저 두 손을 평평하게 세워 받들고 안을 향해 서로 교차시킨다. 두 집게손가락의 손끝으로 서로 옆으로 맞대며 버틴다. 엄지손가락은 안을 향하게 하고 가운뎃손가락 끝을 벌린다. 이것을 보거인이라 한다. 이 보배 수레에 다섯 가지 색깔의 구름을 싣고 묘한 불국토[妙刹]에 가서 성자를 맞이한다고 관상한다. 이 인의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도로도로훔37)
唵都嚕都嚕吽

이 명주를 송하고 앞의 인을 결하면서 관상하며 간 다음에 다시 본부(本部)의 심진언[心]과 인으로 성자가 내려와 이르기를 청한다. 심인(心印)은 두손의 열 손가락을 안을 향해 서로 교차시켜 권을 쥐고,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빼서 안을 향해 부르는 것처럼 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아로륵사바 하38)
唵阿𡀔力莎嚩二合訶引

앞의 보배 수레를 사용하여 가서 맞이한 다음에 법으로 도달하기를 청한다. 보배 수레와 함께 수행자가 공양하는 장소까지 오시게 한 다음에 이 장소에 이르면 수레에서 내려서 방 안으로 들어가시게 한다. 다시 구인(鉤印)과 주문을 써서 그를 부른다. 다음에 몸을 굽혀 방에 들어간다. 들어가서 환희인(歡喜印)과 작법을 행하여 모든 성자들을 기쁘게 한다. 기쁘게 했으면 즉시 자리를 마련하여 앉힌다. 앉히는 인은 연화삼매인(蓮花三昧印)이며,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미라미라야사바 하39)
唵弥囉弥囉耶莎嚩二合引訶引

자리를 마련하여 마쳤으면 곧 알가수를 올려 공양한다. 이때 본존의 주문과 인을 써서 그것을 올린다. 다 올렸다고 생각되면 곧 결계(結界)를 한다. 먼저 지계인(地界印)을 결하고, 다음으로 사방계(四方界)를 결하며, 다시 허공계(虛空界)를 결한다. 이것은 모든 부(部)가 동일하다.
결계를 마쳤으면 곧 모든 공양법 등을 결한다. 다시 향기로운 꽃과 음식으로 공양한다. 공양을 먹을 때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살바다타예다라바라바우로다라 보사삼마예훔40)
唵薩婆怛他刈多囉婆囉婆愚嚧怛囉二合布闍三摩曳吽

이 공양을 마쳤으면 곧바로 성자 앞에서 참회하고 발원하고 회향 등을 해야 하는데 앞의 것과 같으므로 알 수 있을 것이다. 적당한 숫자를 택해 편안한 마음으로 염송한다. 염주를 잡고 이 주문을 송한다.

옴바절라바미다라삼매야훔41)
唵皤折囉鉢蜜怛囉三昧耶吽

일곱 번 송하는데 염주를 잡고 염송한다. 염송을 다했으면 다시 참회한다. 참회를 마친 후 발원한다. 발원이 끝나면 여러 가지 찬송을 송하는데 여래와 3보와 본존 등의 무량한 공덕을 노래한다. 다시 여러 가지 공양인 등의 방편을 결하고 알가수 공양을 올린다. 공양을 마쳤으면 계(界)를 푼다. 계를 다 풀었으면 다음의 주문을 마치고 발견(發遣)해 드린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하리도바살바살타아리타싣디나다예타노가예자도함발타비새암보나라
唵訖㗚覩皤薩婆薩埵遏㗚他悉地捺多曳他努伽刈車都含勃陁肥灑焰布娜囉
가마나야옴바다마목42)
伽摩娜耶唵鉢頭摩穆

이 다라니 진언을 송하고 합연화인(合蓮花印)을 결하며 머리 위로 들어 올려 그 인을 푼다. 다시 앞에서와 같이 보배 수레로 발견해드린다. 발견해드릴 때 인과 주문은 밖을 향해 벌린다. 이 주문을 송할 때도 역시 자신의 몸에 포자(布字)한다고 관상한다. 법을 행하고 난 다음에는 부처님께 절하고 물러난다. 염송문을 마친다.

이 미묘한 법문이 이어지기를 소망하나니
좇아 수행하는 자는 속히 성취하기를 바랍니다.
이 법을 사용하여 미약한 선(善)함이나마 법계에 두루하면
3세의 이익과 즐거움은 다함이 없으리다.
037_0297_c_01L觀自在大悲成就瑜伽蓮華部念誦法門一卷開府儀同三司特進試鴻臚卿肅國公食邑三千戶賜紫贈司空謚大鑑正號大廣智大興善寺三藏沙門 不空奉 詔譯凡於此門中欲修習者須知法式次若不備解儀軌徒而爲功推棄時由是參驗諸經事法法門及瑜伽門相會紐成一部爲彼初心求解脫者得階地位故我修緝成就彼行諸習學者先應入於灌頂大三昧耶壇菩薩戒行起大悲意捨身命財饒益有情專心希於佛菩薩身不著貪恚勤心勇猛攝心不亂捨未嘗暫息令無量衆生度於彼岸內外淸淨極令嚴潔於諸長宿和上阿闍梨等處常應尊重心不諂曲語必誠言有乞人來隨分布施不應空遣於四威儀及營諸務如是剎那剎那時分澄念諦觀諸行悉皆無常略而言之一切諸法猶如鏡像旣知是已當須被精進甲持壞煩惱軍秘明呪劍破蓋纏出生死妄海至菩提道場坐金剛座決作是心不令退轉如是之人方應修習此大乘界中發最勝法門是故我今次第而說諸欲念誦者淨於地淨地之法其地或四肘或八或十二肘或十六肘等於是量中隨力取之掘深至膝或深一肘探去虫蟻及諸瓦礫髮骨灰炭糠粃棘刺木根之屬諸穢惡等物已塡滿淨土堅塞平治後當於上起其精舍淨塗其室先定方面若求除災者其室應南向開門也面向北坐時當交兩腳脛坐若作求增益法者當開西門面向東坐作結跏趺坐若作瞋怒法當開北門面向南坐蹲踞坐唯以二足左押右上若作友愛相親之法當開東門面向西坐坐時竝兩腳豎開二膝而坐此名造精舍法及求事坐印法如是先有淨室或於露地或在石山等上但作其壇亦得隨所求事依前坐法而坐起是室已先以牛糞如法塗飾先以呪呪之然後方初掃地時當誦是呪呪曰訶囉訶囉囉儒揭囉二合囉拏娑嚩二合引誦是呪三遍而掃於地掃地已欲除掃地之時復誦是呪呪曰稅諦摩訶稅諦可達尼莎嚩二合引引五誦是呪三遍以除其土除土已用牛糞塗壇誦是呪呪曰羯囉麗摩訶羯羅麗莎嚩二合誦是呪用爲塗飾若洗諸供養器及香水器時當用是呪呪曰娜莫悉底二合一曳墜肥二合迦南薩婆怛他揭多南唵肥羅耳肥羅摩訶皤折哩薩多薩多囉諦娑囉諦帶㘑帶㘑尾馱麽三伴闍你多囉摩底十一馱刈囇二合十二底哩養三合十三莎嚩二合引誦是呪三遍洗諸供具所以誦是呪爲欲淨除犯三麽耶法一切觸穢之過咎也若其供養之物未供養中閒摠置一淨處誦是明呪作是印呪呪曰始佉哩皤折哩阿是呪印相者當以右手中指已下三握於大指爲峯直豎其頭指卽成以此印印於其物上右轉揮之爲防護一切香花燈及飮食等然後往於浴其作是法時或自作或令一第子作之俱得若欲結印之時先結三三昧印已然後方得結印三昧相者一佛部三昧耶印先以二手竝側指相著如常掬物以頭指各附中指上文次以二大指捻頭指下文卽是是印呪曰唵怛他揭睹婆皤也莎嚩二合引誦是呪以是印安頂上當想是印卽是如來眞身等無有異見此印者卽爲見佛次說蓮花部三昧耶印以二腕本相著豎兩手散開十指二大指竝頭相著復以二小指亦然卽成結印是以擧安頭上如近右邊當作是想此印卽是菩薩聖自在呪鉢頭慕婆皤耶莎嚩二合引次說金剛部三昧耶印當以二手背押左逆相重已後以右小指叉於左大指又以右大指叉於左小指卽是印呪呪曰唵皤折嚕婆皤耶莎嚩二合引當以是印擧於頭上如近左邊想是印卽是金剛藏菩薩作是三三昧耶印然後方通結於諸印遵其祕藏明呪者當依是次第卽說其要凡修行初晨朝之時未有所爲將欲出入應先結印念誦明呪已後方起行明呪呪曰娜莫囉怛娜底哩二合 夜耶娜莫室戰二合茶皤折囉波拏曳摩訶藥叉細娜跛多曳娜莫皤折囉骨馱也鄧瑟睹二合 迦咤倍囉皤怛地他阿蜜哩多軍茶里佉佉珂奚珂奚底瑟咤二合畔陁畔陁十一 訶那訶那十二 㗚闍刈㗚闍十三肥悉怖咤耶肥悉怖咤耶十四 薩婆尾近那微那夜迦誐拏跛底貳尾單多羯囉耶十五吽沛莎嚩二合引是呪印相者應以兩手各用大母指捻小母指甲上舒餘三指已卽交臂右押左各附膊上印成心中應作是兩腳如八字立脹其腮咬右邊脣作其瞋狀誦呪七遍若欲縛諸作障礙鬼神等者卽作拳其兩手三指卽縛縛時應言畔陁畔陁作是法已然後出房若欲入諸觸穢處及上廁等亦應護身是印相者以二手二小指二無名指右押左向內相叉二中指豎頭相二頭指附二中指上文背稍去一分許竝豎二大指捻其中指中文卽成護身印呪呪曰唵皤折囉祇你鉢囉捻多也莎嚩二合用此印印於五處五處者頭上二肩上心上及喉上是名五處此名護身法若往廁時應彈指三度警覺然後上之彈指呪曰唵枳里枳里囉嚩勞捺囉吽沛一誦一彈指乃至三遍若洗手時心存想軍茶利呪及形然後洗手手已漱口漱口印以右手中指無名指屈於掌中大指頭指小指直申承水用三度漱之呪曰唵柱柱麗矩嚧矩嚧莎嚩二合引用是印呪洗漱口已後作淨除身中隱形作障鬼神等法印者以二手爲卽各舒二頭指以右頭指頭內於左拳中握之左頭指頭內於右拳然呪曰唵訶娜訶娜阿密哩諦吽沛誦三遍用從頭徐徐摩之向下三度爲之能令身中一切魔障悉皆消滅想知諸魔等出已後作縛諸魔印以左手向外招之卽以右手翻背左手背上以八指各相叉已卽左戾翻向心上摠爲拳已竝豎二大指當心安之復以右肘內於左肘中外出之以印安頭上已卽開其印徐徐下之卽成呪曰唵枳里枳里鼻勞達囉鉢囉訖㗚底摩訶骨嚧陁肥闍夜你訖𡃦多吽沛畔陁畔陁莎嚩二合引以是印呪力故能令一切魔等被縛復想自身被金剛甲作是法已若澡洗時應依呪律及悉地中洗浴法事當知若但唯用軍茶利小心呪用自浴及自灌頂亦得呪曰唵阿蜜哩諦吽沛三部用印者以右手大指捻小指甲餘三指直舒卽是以是印呪灑身衣水澡浴及著衣等竝得通用若浴之時當一心憶佛菩薩等勿令散亂想於本尊與自身無異而浴初想本尊及三寶等如在目前用所浴水三掬而是印當以二手如常爲掬但以二大指與二頭指頭相捻先奉於佛通三唵諦囇諦囇勃陁耶莎嚩二合引次奉於法呪之通三唵諦囇諦囇達摩耶莎嚩二合引次奉於僧呪曰通三唵諦囇諦麗僧伽耶莎嚩二合引次奉本尊呪之通三呪曰唵遏㗚鉗婆伽伴鉢囉底車伊漫莎其奉本尊水時或誦本呪亦得是法已隨力於所浴河水之中念於本呪徐徐出取衣著時誦是呪以水灑衣然後取著呪曰唵薩婆怛他揭多地瑟恥多阿摩至皤囉莎嚩二合引灑水已次欲著衣時誦是呪曰通 唵肥摩羅跛哩皤㗚多皤折哩吽是呪印者但以二手各爲拳卽是若著一切衣服瓔珞頭冠環釧及諸嚴身具等皆誦是呪作是法時不應起瞋及邪思惟穢惡及一切不吉祥等不應視若澡浴了趣精舍時不應跣足而往心想有八葉蓮花以承其足身與本尊形同左右皆備天龍八部前後圍遶侍從行者復觀本尊想在面前儼然分明所經路中生草木諸形像下至畜生形等不應騎上而諸供養物及諸塔影尊像等影師僧影皆不應踏至精舍前更須洗漱如法已而入初欲入時臨開其戶一吽聲而便入之入室佛前作如是心三世諸佛菩薩大法王等常住眞身我之肉眼不親知見願以道眼見我歸依作是心已當以三業五體投地殷重而禮亦當口言我今敬禮禮已如常懺悔隨喜廣發大願誓修善等卽便燒香以是香氣遂除諸惡鬼神等燒香呪曰從是以前法金剛等一切部用之唵鉢頭彌你慕訶耶慕訶耶闍利慕訶你莎嚩二合作是法已復呪水散四方以爲護結是法呪曰唵阿力莎嚩二合引作是法竟復作觀法先觀一紇哩字無量壽如來從是字起身相圓滿從如來身流出妙香乳水乃成大海於是海中想一鉢囉字化成一龜其形縱廣無量由旬色如黃金於龜上想一蓮花其花八葉葉有三重其花想從一紇哩字起於是花中想一蘇字是字兩邊各想有一吽字是諸字等共作成一須彌盧山山有八峯衆寶合成於此山中復觀五室是室外似有五而內是一相是室中而想有於八大金剛柱妙寶共成廁鈿閒錯珍奇瑩飾上有摩揭魚首玉銜寶瑣以金鈴周垂瓔珞帳以寶帳覺花莊䋿佩網帶萎蕤交連淨光相映頗黎等寶以爲其地而於其上散布名花拘蘇摩等淨戒塗香郁馥殊特解脫燒香氛氳超昇智摩尼燈光彩昱耀寶樹行列香風微觸芳莟俱發綺幡繽紛寶盤相雜間以寶甁種種無量夜叉羅剎諸天等類前後圍遶奏諸音樂及舞金剛舞讚金剛歌瑞雲彌而於雲中雨於無量出世香花滿虛空中歷亂徐墜種種芳饌香飮交安置而爲供養行法之人應當如是澄渟諦觀與心相應皎如分明是觀時應誦此呪此通三部用及前想法亦通然有少別娜莫三曼多勃陁南薩婆他刈入諦悉頗囉二合呬漫伽伽那緪莎嚩二合引誦是明呪入諸三昧隨心所觀皆悉成就是佛誠言不應妄也所以先作是觀者爲欲離於內外所緣令得淸猶如虛空不著一切復當淨於身又誦是呪與心印俱呪曰此明通三部用薩婆皤婆輸薩婆達摩莎皤皤輸馱含誦是明呪淨身由已復作是言無量劫來淪流生死溺煩惱泥不逢良友而隨妄心不能出離於無上道不起祈求是故令我發菩提心當口稱列阿所以稱此字者謂阿字者是無生趣空寂門唯獨此門能遠塵垢斯法者能除行者無量劫中微塵數譬如淨空明日普照一切幽暗自然開日者慧日空者呪空以斯慧日照於呪空深煩惱暗以澄淨心觀於空遍滿其中有如來形大如胡麻好周備是諸如來皆悉在於行者之彈指警覺謂行者言善男子汝若欲發菩提心者應自觀心爾時行者得斯言已應當踊躍從座而起一一於諸如來之前五體投地一心敬禮禮諸佛時應誦是呪呪曰通三部用唵薩婆怛他刈多婆陁伴達那羯嚧弭誦此呪想禮諸如來已卽自觀心自心時當誦是呪呪曰唵質多鉢囉二合底吠陁羯嚧弭三部誦斯明呪於自心中觀於一月形色圓素未全分明卽白佛言我已見心猶如於月而未分明佛言善男子善哉汝已見心應當誦是明呪觀其心極令明淨呪曰唵菩提質多嗢怛波陁夜弭誦是明呪觀於心月極淸淨已復爲堅固菩提心故於其月上觀一金剛蓮花觀是花時應誦是明呪呪曰唵底瑟咤二合跋折囉二合鉢陁摩誦此明呪用觀於花於其花上有一金剛以是相故名曰金剛蓮花當作是心卽我此心與金剛蓮花非異漸開敷光熾盛滿無盡入是金剛蓮花開敷三昧之時復誦是呪曰唵悉頗羅鉢陁摩誦是明呪觀於是花花之光明照於無量恒河沙數諸佛妙剎於是光中衍蓮花部中隨修行者所持是事天淸潤音聲諮屈如是一切方土如來入是花中是諸如來入斯花已卽復徐徐縮斯妙花如舊無異隨力能現是身大小而住之作是劍花三昧之應誦是呪曰唵僧褐囉皤折囉鉢陁摩誦此明呪斂花隨其大小住已復入金剛蓮花之身三昧金剛此蓮花以成我身入是觀時復誦是呪唵皤折囉鉢陁摩句含三摩庾含摩訶三摩庾含觀是金剛蓮花身已卽便觀身自同於彼天狀所以先入觀音者謂欲堅固速發金剛之身復願生生必得聖者之身入觀呪印者當以二手頭指以下三指向外相叉以二頭指以頭相拄如蓮花葉竝伸豎二大指呪曰以前共三部用唵紇哩二合薩婆迦哩阿地瑟侘莎漫紇哩二合以是印呪印於四處心上眉閒喉上頂上呪是爲四處次作自灌頂法令行者速得三昧之身具足成就印相者當以二手如常合掌已卽蹙頭指已下四指頭拄偃其指背作寶蓮花形呪曰唵地哩摩你鉢頭摩阿鼻詵者漫紇哩二合誦此呪擧其印拄於額上便散分手遶頭至頂後已尋身徐下乃至於心住於心上復以手爲金剛拳各伸頭指令於右頭指面想有一唵字於左頭指上想一惡字卽以二手遶身爲擐甲作是法已一切天非人等見行者是金剛身被金剛甲諸魔邪不敢正視退散馳走不能爲害是法已次復於其面前觀本法像爲其狀如常相好又如前說妙高山觀五寶室中於中室內一心諦觀無量壽如來具諸相好光明熾盛於佛右邊有觀世音自在菩薩左邊大勢至菩薩若更持部中餘菩薩等應安是菩薩稍近前右畔如本法所說一切天神使者及一切菩薩等皆隨所樂安置作是觀已卽用隨所持明呪字想從頭至足一一安布亦隨其義理方便而取想布字竟卽立作寶車印迎聖者前所觀者名爲法身相今所請者名爲慧身屈彼慧身來就法體由是義故先觀後請是印相者先以二手平仰向內相叉以二頭指頭側相用以大指向內撥其中指頭是名寶車印想是寶車乘五色雲往於妙剎而迎聖者是印呪曰唵都嚕都嚕吽誦此明呪以前印想往已復以本部心及印請聖者降赴心印者以二手十指向內相叉爲拳卽抽出右大指向內招之呪曰唵阿力莎嚩二合前用寶車往迎次以法請至相與寶車俱來就行者所供養處臨至是處捨車就室復用鉤印呪召之次屈入室入已作歡喜印法令諸聖者歡喜歡喜已卽設座令坐坐印是蓮花三昧印呪曰唵彌囉彌囉耶莎嚩二合引設坐竟卽上遏伽水而供養用本尊呪印上之上了尋便結界先地界印次四方結界復結虛空界是與諸部結界已卽結諸供養法等復以香花飮食供養供養食呪曰唵薩婆怛他刈多囉娑囉娑愚嚧怛二合布闍三摩曳吽作是供養已卽對聖者前懺悔發願迴向等如常可知卽取數子安心念執珠呪曰唵皤折囉鉢蜜怛囉三昧耶吽誦七遍執珠念誦念誦竟復懺悔悔已發願發願了卽誦諸讚頌歌詠如來及三寶本尊等無量功德復結諸供養印等方便上遏伽供養供養已卽解界解界了卽是呪了發遣呪曰唵訖㗚睹皤薩婆薩埵遏㗚他悉地捺多曳他努伽刈車都含勃陁肥灑焰布娜囉伽摩娜耶唵鉢頭摩穆誦是明呪結合蓮花印擧安頭上散復如前以寶車發遣印呪發遣時向外撥之誦斯呪時亦憶解自身所想布字及用法已然後禮佛而退念誦門竟願我傳斯妙法門遵修之者幸速成用此微善周法界三世利樂無窮盡觀自在大悲成就瑜伽蓮華部念誦法門一卷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Skt. hasta. 고대인도에서 사용하던 길이의 단위. 1주란 자루의 길이를 말한다. 그 기준은 팔꿈치의 관절에서부터 가운데 중지의 끝까지의 길이이다. 『구사론(俱舍論)』 12권에는 7맥(麥)이 1지절(指節)이고, 3지절이 1지(指)이며, 가로로 나열한 24지가 1주(肘)이고 세로로 세운 4주가 1궁(弓)이라 한다. 『서역기(西域記)』 2권에서는 7숙맥(宿麥)이 1지절(指節)이고 24지가 1주(肘)이며 4주가 1궁(弓)이다. 다만 사람마다 손가락의 길이에 차이가 있어서 1주의 길이도 일정하지 않으므로 대략 18촌(吋)으로 하며, 일설에는 1척(尺)8촌(寸), 1척 5촌, 또는 1척 6촌이라고도 하며 그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2. 2)oṃ hara hara jokra haranali svāhā.
  3. 3)oṃ sudhi mahāsudhi ghanani svāhā.
  4. 4)oṃ karali mahākarali svāhā.
  5. 5)oṃ śikhari vajri āḥ.
  6. 6)oṃ tathāgatodbhavaye svāhā.
  7. 7)oṃ padmodbhavabaye svāhā.
  8. 8)oṃ vajrodbhavaye svāhā.
  9. 9)namo ratnatrayāya namaḥ caṇṭavajra pāṇaye mahāyakṣasenāpataye nama vajrakrodhāya daṃṣṭotakaṭa bhairabāya tad yathā oṃ amṛta- kuṇṭali khakha khahi khahi tiṣṭha bandha bandha garja garja darja darja bisphoṭaya bisphoṭaya sarvabighnan binayakaṃ gaṇapati jipita antakarāya hūṃ phaṭ svāhā.
  10. 10)oṃ vajra jriṃ prañjapataya svāhā.
  11. 11)oṃ kīli kīli vajra hūṃ phaṭ.
  12. 12)oṃ cucu li kuru kuru svāhā.
  13. 13)oṃ hana hana amrite hūṃ phaṭ.
  14. 14)oṃ kili kili vajra bhīmaraudripatrita mahākrodhabijaya nikṛṃta hūṃ phaṭ bandha bandha svāhā.
  15. 15)oṃ amrite hūṃ phaṭ.
  16. 16)oṃ tṛribuddha svāhā.
  17. 17)oṃ tṛridharmaya svāhā.
  18. 18)oṃ tṛrisaṅghaya svāhā.
  19. 19)oṃ arghaṃ bhagavati praticcha svāhā.
  20. 20)oṃ sarvatathāgata adhiṣṭhana daṃjivara svāhā.
  21. 21)oṃ bimara parivarta vajri hūṃ.
  22. 22)oṃ padmani mohaya mohaya canimoheni svāhā.
  23. 23)oṃ arolik svāhā.
  24. 24)범어 makara. 인도신화에 나오는 물고기의 이름. 마가라(摩伽羅)⋅마가라(摩迦羅)라고 음역하고 경어(鯨魚)⋅거오어(巨鼇魚)라 번역한다. 물고기의 왕을 뜻한다. 큰 바다에 살며 머리와 앞다리는 영양(羚羊)을 닮았고, 몸체와 꼬리는 물고기의 형상을 한 괴어(怪魚)로 두 눈은 태양과 같고 코는 태산과 같으며, 붉은 골짜기와 같은 입을 벌려 물을 마시면 분류(奔流)를 일으켜 배도 삼킨다고 한다.
  25. 25)namo samantabudhanaṃ sarva artha atiṣṭhatiśvarahimi gagana- kaṃ svāhā.
  26. 26)oṃ svabhāvaśuddhā sarvadharmaḥ svabhāvaśuddhohaṃ.
  27. 27)oṃ sarvatathāgata banta bandha naṃ karomi.
  28. 28)oṃ citta pratibidhaṃ karomi.
  29. 29)oṃ bodhicitta udpadayami.
  30. 30)oṃ tiṣṭa vajra padme.
  31. 31)oṃ sphara padme.
  32. 32)칼이 서로 부딪힐 때 나는 불꽃처럼 연꽃이 오그라드는 모습에 정신집중하는 삼매이다.
  33. 33)oṃ saṃhara vajra padme.
  34. 34)oṃ vajra padme koñhaṃ samayahaṃ mahāsamayahaṃ.
  35. 35)oṃ hrīḥ sarvakari atiṣṭhite sarva hriḥ.
  36. 36)oṃ diri maṇi padma abhiṣīñca mām hriḥ.
  37. 37)oṃ dhuru dhuru hūṃ.
  38. 38)oṃ arolik svāhā.
  39. 39)oṃ birabiraya svāhā.
  40. 40)oṃ sarvatathāgata cittara babhitra puja samaya hūṃ.
  41. 41)oṃ vajra babhitra samaya hūṃ.
  42. 42)oṃ kritva sarva satva artha siddhi nata yatha anuga bidatabaṃ bhuta biśayaṃ punara kamanayatu oṃ vajra padma mu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