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집성문헌

ABC_NC_02400_0001_T_001

0001_0001_b_01L
간독
[간독]

0001_0001_b_01L簡牘
[簡牘]

0001_0002_a_01L
땅은 떨어져 있고 인편은 드물어 서찰과 만남이 모두 막히다 보니, 슬프고 그리운 한결같은 생각이 새벽부터 저녁까지 풀리지 않습니다. 삼가 불법을 닦으며 지내시는 안부를 살피지 못했는데, 때로 아끼고 소중히 하신다니 멀리서 위안되는 마음 간절하여 나의 정성을 가눌 수가 없습니다.
나는 겨우 색신色身과 사대四大를 보존하고 있으니 이 같은 다행스러움을 어찌 말로 하겠습니까? 다만 아뢰건대 접때 가야산에 있을 때 홀로 얻은 호랑이 가죽으로 만든 전대를 요사이 잃어버리지 않았는지요? 지금 가는 이번 인편에 부쳐 보내는 것이 어떨는지요?

0001_0002_a_01L
1)

0001_0002_a_02L地隔便稀書面俱阻
0001_0002_a_03L仰一念曉夕未解
0001_0002_a_04L謹未審辰下
0001_0002_a_05L法味體度以時珍重遠慰
0001_0002_a_06L區區無任下誠小僧僅保色
0001_0002_a_07L是幸何喩第控向在伽
0001_0002_a_08L以獨所得虎之皮帒間其
0001_0002_a_09L不失乎今去此便付送若

0001_0002_b_01L나머지는 서찰의 예를 갖추지 못합니다.

0001_0002_b_01L
며칠 전에 안부를 여쭙는 서찰을 보냈으니 이미 받아보셨으리라 생각되는데, 그렇지 않은지요? 겨울이 따뜻하기가 옥과 같아 꿈속의 생각이 더욱 긴절緊切합니다.
삼가 형님께서 건강을 잘 지키기를 청하니 그립습니다.
□ … □

0001_0002_b_01L餘不備狀禮

0001_0002_b_02L
2)
0001_0002_b_03L

0001_0002_b_04L日前付候想已
0001_0002_b_05L査照否冬溫如玉
0001_0002_b_06L夢想尤緊謹請
0001_0002_b_07L兄體萬衛得溯
0001_0002_b_08L□ … □

0001_0003_a_01L
붕 대사께 보낸 서간
정 진사鄭進士가 답장을 보냄    (생식근봉省式謹封)


봄 동안에 서찰이 먼지 낀 책상에 멀리 떨어졌습니다. 서찰을 열어 두루 훑어 읽어 보고 삼가 백대百代의 우의友誼를 다했으니 비로소

0001_0003_a_01L
鵬大師 道案 回納

0001_0003_a_02L鄭進士 謝狀     (省式謹封)


0001_0003_a_03L

0001_0003_a_04L春間
0001_0003_a_05L華翰遠落於塵床開緘通
0001_0003_a_06L謹悉百代之誼始識十

0001_0003_b_01L10년의 학문 실력이 다만 불가의 도량에만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간곡한 정에 우러러 탄복했지만 사례할 바가 없습니다.
남한南漢의 조용한 절에서 관장하는 바가 어떤 직임인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객지에서 수련하는 맛이 한결같이 맑고 온화한지 모르겠습니다. 늘 멀리 그리워하는 정성이 간절하였습니다.
저(走)는 7월 20일에 또 인구寅丘(영천)의 작은 아버지 상喪을 만났는데, 몇 년 동안에 상(重制)1)이 연이어 거듭되어 애통하고 슬퍼하는 지극한 마음을 스스로 제어하고 안배하지 못하니 어찌하고 어찌하겠습니까? 고향으로 돌아갈 기일이 꼭 집어 언제인지요?
운산雲山 백련암白蓮菴은 또한 도를 수련하는 좋은 경계이니, 어찌 그리 종남산終南山의 첩 경2)에 오래 지내어 스스로 원숭이와 학3)의 나무람과 꾸짖음을 스스로 초래합니까? 우습고 우습습니다.
보내 준 세 가지 물건은 깊이 감사드린 나머지에 또 잊지 않는 정성에 감탄하였습니다.
마침 안국사安國寺로 가는 인편이 있어 잠시 이렇게 서찰로 대신합니다(替伸).4) 격식을 갖추지 못합니다. 정으로 살펴 주십시오. 답장을 올립니다.

무오년(1738) 8월 초2일 정중직鄭重稷5)이 머리 조아립니다.

0001_0003_b_01L年學力不獨在於
0001_0003_b_02L禪家道場也欽佩
0001_0003_b_03L情曲無以爲謝不審南漢
0001_0003_b_04L靜梵地所掌者奚職
0001_0003_b_05L客中鍊味一向淸溫耶
0001_0003_b_06L切遠戀之忱走七月念日
0001_0003_b_07L遭寅丘仲父喪數年之
0001_0003_b_08L重制鱗疊痛悼之極
0001_0003_b_09L難裁排奈何奈何還鄕之期
0001_0003_b_10L指在那時雲山白蓮菴亦一鍊
0001_0003_b_11L道之好境界何其久居終南捷
0001_0003_b_12L自招猿鶴之誚譏耶好笑好笑3)
0001_0003_b_13L惠來三
0001_0003_b_14L種物深感
0001_0003_b_15L之餘又歎4)
0001_0003_b_16L不忘之眷
0001_0003_b_17L適仍安
0001_0003_b_18L國寺便
0001_0003_b_19L此替伸
0001_0003_b_20L5)
0001_0003_b_21L情管謝上

0001_0003_b_22L

0001_0003_b_23L戊午八月初二日 鄭重稷 頓6)

0001_0004_a_01L
붕 대사께 보낸 서간
현풍玄風 곽 생원郭生員이 서찰을 보냄   (근봉謹封)


선인仙人과 속인이 다름이 있고, 관직은 부여잡기 어렵습니다. 구름을 바라보고 바람을 향하니 생각이 달리고 정신이 달려갑니다. 포산苞山6)의 평범한 새가 남쪽 바다의 큰 날개에 서 머리를 들고 있는 것을 대사가 어찌 알겠습니까?
삼가 생각하건대 송운 대사께서 충절을 떨친 절개와 국난을 구한 자취(紓難之蹟)가 하늘과 땅을 관통하여

0001_0004_a_01L
鵬大師 仙案 入納

0001_0004_a_02L玄風 郭生員 書狀  (謹封)


0001_0004_a_03L

0001_0004_a_04L仙凡有殊冠弁難攀瞻雲向風騁思
0001_0004_a_05L馳神
0001_0004_a_06L大師安知苞山凡鳥矯首於南溟大翼耶
0001_0004_a_07L恭惟
0001_0004_a_08L松雲大師奮忠之節紓難之蹟貫天地而爭

0001_0004_b_01L해와 달과 다툽니다. 후세에서 우러러보고 흠모하여 부러워하는 것이 산속의 스님과 야지野地의 스님이 다르지 않으니, 저(不佞)에게 있어서도 더욱 중요함이 있습니다.
오직 우리 선조 노탄공蘆灘公7)의 유집遺集 가운데 송운 대사가 올린 오언절구가 있으나, 송운대사문집 가운데 또한 이 시가 있는지 알지 못하겠습니다.
당시의 사대부들이 송운 대사를 칭찬하되, 어떤 사람은 서序로써 하고, 어떤 사람은 시로써 한 것이 그 몇 편쯤인지 모르겠는데 아울러 판목에 인쇄(繡榟)한다고 합니다. 우리 선조의 오언 절구시도 홀로 그 가운데에서 누락되어서는 안 되므로 이에 기록하여 올리니 대사께서 헤아려 주시면 매우 다행이겠습니다.
말단末端에 언彦 대사의 절구 한 편을 올리니, 써서 보낼 필요는 없으나 당시의 일을 알게 하고자 하니 일을 마친 뒤에 『송운집松雲集』 한 건을 혹시 인쇄하여 보내 줄 수 있습니까?
나머지는 서찰의 격식을 빠뜨립니다.

무오년(1738) 12월 27일 곽재현郭載玄8)이 쓰다.

0001_0004_b_01L日月後世之景仰而欽艶之者山野無異而在
0001_0004_b_02L不佞尤有最焉惟我先祖蘆灘公遺集中
0001_0004_b_03L贈雲師詩五絶未知雲師集中亦有是
0001_0004_b_04L詩否當時士大夫揄揚雲師或以序或以詩
0001_0004_b_05L不知其幾許篇而並爲繡榟云爾則吾先
0001_0004_b_06L祖五絶詩亦不可獨漏於其中矣玆以錄呈
0001_0004_b_07L惟大師諒之幸甚末端贈彦師一絶不必
0001_0004_b_08L書送而欲使知當時事矣竣事後
0001_0004_b_09L松雲集一件或可印送耶餘欠狀儀

0001_0004_b_10L

0001_0004_b_11L戊午臘月二十七日 郭載玄 書

0001_0005_a_01L
붕 대사께 보낸 답장
관동館洞 이 교리李校理 답장 서간    (함緘)


이별한 뒤에 한결같은 마음으로 그립고 그리워하던 차에 방금 뜻밖에 손수 쓴 서찰을 받아 보고서 비로소 운납雲衲께서

0001_0005_a_01L
鵬上人 回傳

0001_0005_a_02L館洞 李校理 答簡   (緘)


0001_0005_a_03L

0001_0005_a_04L別後一念憧憧卽此意外
0001_0005_a_05L得見手書始知雲衲還

0001_0005_b_01L절에 돌아온 뒤에 연이어 평안하고, 경영하는 일도 장차 공사를 끝마칠 희망이 있음을 알았으니 매우 기쁘고 매우 기쁩니다.
나의 시는 급한 연고가 연이어져 우선 아직 구성하지 못했습니다만, 이 뒤에 마땅히 보낼 것입니다.
나머지는 갖추지 못합니다.

무오년(1738) 12월 23일 낙동駱東에 병들고 못난 사람이.
관동 교리舘洞校理 이정보李鼎輔9)

0001_0005_b_01L寺後連得平安而經營
0001_0005_b_02L亦將有訖工之望深喜深喜
0001_0005_b_03L鄙詩急故連綿姑未構
0001_0005_b_04L從當送呈耳餘不具

0001_0005_b_05L

0001_0005_b_06L戊午臘卄三日 駱東 病拙

0001_0005_b_07L舘洞 校理 李鼎輔

0001_0006_a_01L
붕 대사에게 보낸 답장   (완完)

그대의 서찰을 보고 무사히 내려갔음을 알았으니 매우 기쁘네.
표충사表忠祠 공사의 부역은 이미 다 되었다고 하는데, 이것은 그대의

0001_0006_a_01L
答鵬師  (完)

0001_0006_a_02L

0001_0006_a_03L見汝書知汝無
0001_0006_a_04L事下去可喜
0001_0006_a_05L表忠祠功役
0001_0006_a_06L已就云此汝

0001_0006_b_01L정성스러운 뜻으로 이룬 것이니, 기특하고 기특하네.
요청한 시는 좋은 뜻에서 나왔으니 어찌 바람을 저버리겠는가마는 내가 본래 글재주가 없어 아직 능히 지어 보내지 못했으니 탄식스럽네. 언제 마땅히 서로 보겠는가?
나머지는 언급하지 않겠네.

무戊 자 들어간 해(1738) 12월 24일 초곡草谷 답장 서간.

0001_0006_b_01L誠意之攸致
0001_0006_b_02L奇哉奇哉請詩
0001_0006_b_03L出於好意
0001_0006_b_04L可孤望而余本
0001_0006_b_05L不文未能製
0001_0006_b_06L可歎何當
0001_0006_b_07L相見耶餘不
0001_0006_b_08L

0001_0006_b_09L

0001_0006_b_10L戊臈念四 草谷 答書7)

0001_0007_a_01L
세 분의 대사를 연이어 제향하는(醊食)10) 표충사表忠祠에 지어 보내다.

만약에 부처에게 임금과 신하의 의리가 없다고 말한다면
표충의 충 자가 어찌 말이 되겠는가?
만약에 부처에게 부모와 자식 간의 윤리가 없다고 말한다면

0001_0007_a_01L
寄題表忠三大師醊食
0001_0007_a_02L


0001_0007_a_03L

0001_0007_a_04L若言佛無君臣義
0001_0007_a_05L表忠之忠胡爲言
0001_0007_a_06L言佛無父子倫一堂依

0001_0007_b_01L한 집에 할아버지와 아들과 손자가 의연하겠는가?
하늘을 이마에 이고 땅에 서 있는 절개 굳은 장부는
유자도 아니고 승려도 아니라네
한결같은 연좌蓮座11) 밖의 파도에도 흔들리지 않았으니
우리 스님을 높인 뒤에야 국가도 높아지리라.

무오년(1738) 12월 사천槎川 노인12)이 악재嶽齋에서 쓰다.

0001_0007_b_01L然祖子孫頂天立地
0001_0007_b_02L烈丈夫也非儒者非
0001_0007_b_03L沙門一波不動蓮
0001_0007_b_04L座外尊吾師後
0001_0007_b_05L國家尊

0001_0007_b_06L

0001_0007_b_07L戊午之臘 槎川
0001_0007_b_08L老人 書于嶽齋

0001_0008_a_01L
붕 스님이 참선하시는 곳에 보낸 서간
회리晦里 에서 보낸 답장


이별하고 가니 실제 일산을 기울여(傾蓋)13) 다정히 애기했던 그리움이 있습니다.
뜻밖에 스님이 서찰을 전해 주어

0001_0008_a_01L
鵬上人 禪榻 回傳

0001_0008_a_02L晦里答書


0001_0008_a_03L

0001_0008_a_04L別去實有傾蓋之戀意外
0001_0008_a_05L沙彌傳
0001_0008_a_06L

0001_0008_b_01L산에 돌아가서 별 탈이 없고 일삼는 바도 또한 거의 다 이루어졌다고 하니 진실로 이른바 뜻을 둔 자는 끝내 이룬다는 것이니 기쁨을 알 만합니다.
이곳의 나는 오랜 병환이 근래에 더욱 심해지니 매우 고민스럽습니다. 요청한 시는 병세가 이와 같아 바라시는 뜻에 부응하지 못하니 매우 탄식스럽습니다.
병든 채로 쓰느라 많이 언급하지 않습니다.

무오년(1738) 12월 26일 회리晦里14)에서 병든 서생이.

0001_0008_b_01L還山無擾所事亦垂成
0001_0008_b_02L所謂有志者竟成喜可知
0001_0008_b_03L此間宿患近益甚悶悶
0001_0008_b_04L所求詩病勢如此未副
0001_0008_b_05L勤意殊可歎也病草
0001_0008_b_06L不多及

0001_0008_b_07L

0001_0008_b_08L戊午臘月卄三日 晦里 病生

0001_0009_a_01L
붕 스님 열어 보십시오
이동履洞에서 보낸 답장


이별한 뒤에 그리움이 간절했는데, 방금 보내온 서찰을 보고서 평안하다는 소식을 알았으니, 얼마나 위안되고 얼마나 위안되는지요?
서찰을 보내 말씀하신 것(來示)은 자세히 알았습니다. 지금 가는 인편이 있어서 마땅히

0001_0009_a_01L
鵬上人 開見

0001_0009_a_02L履洞答狀


0001_0009_a_03L

0001_0009_a_04L別後戀切卽見
0001_0009_a_05L來書以悉平報
0001_0009_a_06L何慰何慰來示備
0001_0009_a_07L今有去便

0001_0009_b_01L서찰에 언급하였으니 그것을 듣고서 시행하는 것이 또한 어떻습니까?
보내온 산의 음식은 애써 주신 뜻에 많이 감사합니다. 나머지는 갖추지 못합니다.

무戊 자 들어가는 해(1738) 12월 21일 이동履洞15)에서 씀.
추신
책력冊曆 한 건을 보냅니다.
이동履洞 총융대장捴戎大將 김흡金洽

0001_0009_b_01L書及而其聽施
0001_0009_b_02L何如也送來山味
0001_0009_b_03L多謝勤意餘不
0001_0009_b_04L

0001_0009_b_05L

0001_0009_b_06L戊臘月卄一日 履洞 書

0001_0009_b_07L

0001_0009_b_08L曆日一件送之

0001_0009_b_09L履洞 捴戎大將 金洽

0001_0010_a_01L
남붕 스님의 선방에 보낸 서간

진사塵沙에서 한번 헤어진 뒤로 마침내 이미 한 해가 저물었습니다. 남쪽으로 호계虎溪를 바라보니 다만 깨끗한 생각이 깊습니다.
지금 보내 주신 서찰을 받고 사당祠堂을 세우는 여러 가지 일들이

0001_0010_a_01L
南上人 禪房

0001_0010_a_02L

0001_0010_a_03L塵沙一別
0001_0010_a_04L已歲暮南望
0001_0010_a_05L虎溪祗深淨
0001_0010_a_06L今被慧[惠]札
0001_0010_a_07L知立祠諸事

0001_0010_b_01L모두 잘 되어 가고 있음(就緖)을 알았으니 참으로 기쁩니다.
부탁한 사당의 현판(廟額)은 삼생三生의 숙원 사업이었으나, 본래 어조전魚鳥篆을 익히지 않아서 멀리서 한 부탁에 부응하지 못하여 탄식스러우니 양해해 주십시오.

무오년(1738) 12월 22일 명원당 거사明遠堂居士.
장흥長興 방동坊洞의 진사 황경원黃景原

0001_0010_b_01L皆就緖良喜
0001_0010_b_02L屬廟額三生
0001_0010_b_03L宿業本不習魚
0001_0010_b_04L鳥之文未副
0001_0010_b_05L遠托可歎諒之

0001_0010_b_06L

0001_0010_b_07L戊午十二月二十二日 明遠堂居士

0001_0010_b_08L長興 坊洞 進士 黃景原

0001_0011_a_01L
붕 스님께 보낸 답장
            (함緘)


징澄 스님이 와서 서찰을 전하여 스님께서 남쪽으로 돌아가서 무사함을 알았으니 매우 위안됩니다. 이별한 이래 그리워하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기문은 가야산伽倻山으로 옮겨 세운다는 뜻으로 초안을 잡았는데, 지금 듣건대 옮겨 세우 지 않는다고 하니, 마땅히 기문을 고쳐 지어서 내년 초봄에 순영巡營으로 가는 인편에 부칠 것이니 반드시 잊지 않을 것입니다.
나머지는 인편이 바빠서 다만 이렇게만 씁니다.

무戊 자 들어가는 해(1738) 12월 23일 월곡月谷의 병든 사람이.

0001_0011_a_01L
鵬上人 復帖

0001_0011_a_02L       (緘)


0001_0011_a_03L

0001_0011_a_04L澄上人來傳書
0001_0011_a_05L悉錫杖還南無事
0001_0011_a_06L深慰別來戀想
0001_0011_a_07L文以移建伽倻之意
0001_0011_a_08L起草今聞不爲移建
0001_0011_a_09L當改作記文以來春
0001_0011_a_10L付巡營便必不忘
0001_0011_a_11L餘便忙只此

0001_0011_a_12L

0001_0011_a_13L戊十二月二十三日

0001_0011_a_14L月谷 病夫

0001_0011_b_01L
붕 스님에게 보낸 답장

고목告目16)을 보고 스님께서 남쪽으로 잘 돌아갔음을 알았으니, 매우 위안이 됩니다.
제 시를 부지런히 찾아 이런 지경에 이르렀으나 아직 완성하지 못했습니다만, 뒤에 마땅히 신 평해申平海 집안에 보낼 것입니다.
많이 언급하지 않습니다.

무戊 자 들어가는 해(1738) 12월 22일 호동壺洞17) 오吳 대간大諫.

0001_0011_b_01L
鵬禪師答

0001_0011_b_02L

0001_0011_b_03L告目得見知甁錫
0001_0011_b_04L好南歸可慰
0001_0011_b_05L鄙詩
0001_0011_b_06L勤索至此而姑未
0001_0011_b_07L從當送于申
0001_0011_b_08L平海家耳
0001_0011_b_09L多及

0001_0011_b_10L

0001_0011_b_11L戊臈二十二日

0001_0011_b_12L壺洞 吳大諫

0001_0012_a_01L
붕 스님에게 보낸 답장

어제 방문해 주어 지금까지 감사한데, 보내온 서찰로 한가히 지내시는 생활이 편안하심을 알았으니 위안되고 기쁘며 위안되고 기쁩니다.
이달 8, 9일 사이에 마땅히 길을 떠났어야 했는데, 온갖 일이 골치가 아프고 어수선했으니 민망한 일이고 민망한 일입니다.
간청한 일은 여쭈어 보니 다시 만날 수 없다는 뜻으로 이미 첨정댁僉正宅에 답장을 했다고 합니다.
나머지는 매우 바빠서 일일이 말하지 못합니다.

정사년(1737) 9월 25일 장교庄交. 이름은 생략함.
익각益珏

0001_0012_a_01L
答鵬上人書

0001_0012_a_02L

0001_0012_a_03L昨訪迨感來書備審
0001_0012_a_04L閑況爲安慰喜慰喜此八九
0001_0012_a_05L當發程凡百惱撓
0001_0012_a_06L悶事悶事所懇事
0001_0012_a_07L稟達則不能更接之
0001_0012_a_08L已爲回答於僉正宅
0001_0012_a_09L云耳餘忙甚不一

0001_0012_a_10L

0001_0012_a_11L丁巳九月念五 庄交 欠名

0001_0012_a_12L益珏

0001_0012_b_01L
붕 스님에게 보낸 답장

서찰을 보고 지독한 추위에 편안히 지냄을 알았으니, 위로가 됩니다.
세 분 대사大師를 모신 표충사表忠祠를 또한 중수한다고 하니 기쁩니다.
이곳의 나는 어제와 같이 지내는데, 시는 뒤에 마땅히 인쇄할 때에 이르러 부쳐 보내겠습니다.
약藥과 자반(佐飯)은 보내 주신 대로 받았습니다. 한 건의 달력을 보냅니다.
나머지는 많이 언급하지 않습니다.

무戊 자 들어가는 해(1738) 12월 24일 초동椒洞.18)

0001_0012_b_01L
鵬答

0001_0012_b_02L

0001_0012_b_03L見書知極寒安過
0001_0012_b_04L三師表忠祠亦重修
0001_0012_b_05L可喜此間如昨詩則從
0001_0012_b_06L當及刊付送也藥佐飰[飯]
0001_0012_b_07L依領矣一曆送之餘不多
0001_0012_b_08L

0001_0012_b_09L

0001_0012_b_10L戊臘卄四日 椒洞

0001_0013_a_01L
붕 스님께 부침

해가 이미 저물어 가는데 그리운 생각이 더욱 간절합니다.
저물어 가는 겨울(窮陰)에 산에서 지내는 풍미風味가 고요하고 좋으신지 모르겠습니다.
이곳의 나는 여전히 속세의 모습과 같아 나머지는 가히 말할 것이 없습니다.
일찍이 한번 방문하겠다는 약속이 있었으나 지금까지 적막하니 어찌 그리도 심하게 신용이 없습니까?
이번에 가는 일逸 스님은 곧 나의 산방山房 주인主人인데, 마침

0001_0013_a_01L
寄鵬上人

0001_0013_a_02L

0001_0013_a_03L歲色已暮戀思益
0001_0013_a_04L未知窮陰山味
0001_0013_a_05L靜佳否此中尙依
0001_0013_a_06L塵容餘無可言者
0001_0013_a_07L曾有一番來訪約
0001_0013_a_08L尙今寂然何其無信
0001_0013_a_09L之甚也此去逸僧
0001_0013_a_10L吾之山房主人而適

0001_0013_b_01L가는 일이 있으므로 잠시 이에 소식을 부칩니다.
갖추지 못합니다.

무戊 자 들어가는 해(1738) 12월 20일 태촌 산인泰村散人.

0001_0013_b_01L
붕 스님에게 보낸 답장

그리운 생각이 연이어 간절하던 차에 방금 묘행妙行 스님이 온 편에 문안 서찰을 받고서, 요즈음 불법을 닦으며 지내는 안부가 좋고 편안하심을 알았으니, 진실로 위안되고 진실로 위안됩니다.
이곳의 나는 겨우 완악하게 숨을 헐떡이며 버티고 있어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노립蘆笠(갈삿갓)은 인편을 만나면 보내 주겠다는 말씀을 들었으니, 진실로 감사하고 감사합니다.
후추(胡椒)는 이번에 넉넉히 보내 주셨으니, 애써 주시는 뜻을 알겠습니다.
나머지는 우선 격식을 갖추지 못합니다.

서찰을 받은 즉일에 김金상인喪人.
시직侍直 김치만金致萬19)

0001_0013_b_01L有委往之事故暫
0001_0013_b_02L此奇[寄]音不具

0001_0013_b_03L

0001_0013_b_04L戊臘卄日 泰村散人8)

0001_0013_b_05L

0001_0013_b_06L
鵬上人 答疏

0001_0013_b_07L

0001_0013_b_08L戀想連切卽於妙行之來
0001_0013_b_09L問書以審伊時法況佳安良慰良慰
0001_0013_b_10L此間菫支頑喘無足言者蘆苙[笠]承此
0001_0013_b_11L逢便得送之示良感良感胡椒蒙此
0001_0013_b_12L優惠勤意可知餘姑不式

0001_0013_b_13L

0001_0013_b_14L侍直 金致萬 卽 金喪人

0001_0014_a_01L
요사이 소식이 막혀 많이 슬픕니다. 삼가 요사이 기력과 체력을 한결같이 진중히 하시는지 모르겠으니 멀리서 그리워하는 마음 지극하여 가눌 수가 없습니다.
□ … □ 하는 일은 그 사이에 조처하셨는지요? 지금 이번 인편에 부쳐 보냅니다. 이것도 서로 돕는 도리이니, 만반의 생색을 … ■■■.

0001_0014_a_01L
間阻多悵
0001_0014_a_02L謹未審此時
0001_0014_a_03L氣體候一如珍重
0001_0014_a_04L遠溸區區無任
0001_0014_a_05L□ … □
0001_0014_a_06L之事其間調處乎
0001_0014_a_07L今此便付送則此
0001_0014_a_08L亦相扶之道理
0001_0014_a_09L萬般生色
0001_0014_a_10L■■■

0001_0014_b_01L
□ … □
바빠 한가한 틈이 없어서 문장을 연마하는 데 미쳐서는 지금까지 빚으로 남았으니 우선 천천히 하는 것이 어떨는지요?
두 개의 비석에서 찍어 낸 글은 진귀하게 여기며 완상하여 마지않았습니다.
보내 주신 종이묶음과 사찰 음식을 보내 준 대로 받았으니 많이 감사합니다.
이만 줄입니다.

갑술년(1754) 8월 25일 하촌荷村.
이李영상領相

0001_0014_b_01L
□ … □
0001_0014_b_02L汨無閑隙及於筆硯
0001_0014_b_03L今留作宿債姑徐之如何
0001_0014_b_04L兩碑印文珍玩不已惠送
0001_0014_b_05L紙束及禪味依領多荷
0001_0014_b_06L不宣

0001_0014_b_07L

0001_0014_b_08L甲戌八月卄五日 荷村

0001_0014_b_09L李領相

0001_0015_a_01L
이 판서 대감의 옥찰玉札 회신回信이 왔으니, 태허太虛(남붕南鵬) 대사께서 이미 절친한 의리에 계신 것인데, 교창가喬昌家에 무슨 혐의를 두어 갑자기 미친 듯이 달려가 성내며 부르겠습니까.
영정影幀을 우러러보니 흠앙欽仰하는 마음을 지녔음을 상상하겠는데, 게다가 한 고을의 수령이 연대蓮臺에 참여한 것에 원한을 품은 것이 슬픕니다.
아, 이미 이 같은 기氣가 있었으니

0001_0015_a_01L
9)
0001_0015_a_02L李判書大監玉
0001_0015_a_03L札回太虛大師
0001_0015_a_04L在切親之義也
0001_0015_a_05L何嫌於喬昌家
0001_0015_a_06L地狂奔怒號耶
0001_0015_a_07L仰觀影子而想有
0001_0015_a_08L欽仰之心且慨然於
0001_0015_a_09L一縣倅含寃於
0001_0015_a_10L蓮臺之與云矣
0001_0015_a_11L旣有如是氣

0001_0015_b_01L삼보三寶의 힘을 조금 빌려 이와 같은 재난은 없어야 할 것입니다. 비록 후손 가운데 이런 말을 듣는 자들이 심하게 몸을 떨쳐 분통을 일으키겠습니까. 그러나 그 사람의 고기를 먹고 싶은 마음이 무럭무럭 방촌方寸 사이에서 나올 것입니다.
본사本祠가 소장所藏한 시축詩軸과 간독簡牘이 몇 천백 종千百種인데, 우리들이 보고 예사롭게 지나치지만 가슴에 개연慨然한 뜻이 발하는 것을 몇 번이나 헤아려 보았습니다.
삼가 이 서신書信을 보는 사람은 특별히 힘을 써서 수습해 주기를 원합니다.

0001_0015_b_01L而小假三寶之力
0001_0015_b_02L當無如是之禍
0001_0015_b_03L雖後昆聞者
0001_0015_b_04L身起憤之甚乎
0001_0015_b_05L肉食其人之心
0001_0015_b_06L然而出於方寸之間
0001_0015_b_07L本祠所藏詩軸與
0001_0015_b_08L簡牘幾千百種
0001_0015_b_09L吾輩視之尋常
0001_0015_b_10L泛過胸發慨然之意
0001_0015_b_11L度之幾許也
0001_0015_b_12L願看此信者另力收拾焉

0001_0016_a_01L
20)
붕 대사가 조용히 지내는 곳으로 보낸 답장
후려后廬 답장


현풍玄風으로 가는 길의 오른쪽에서 곡하며 헤어진 뒤에 스님의 안부를 들을 방법이 없었습니다. 방금 뜻밖에 스님이 천 리를 와서 방문하여 소매 속에서 서찰을 꺼내어 전해 주었는데, 열어 보고서 많이 위안이 됨을 알았습니다.
다만, 질병이 여전하여 매우 염려가 됩니다. 오직 법력이 미치는 바로 밖으로 풍사風邪21)를 살펴

0001_0016_a_01L
鵬師 靜案 回傳

0001_0016_a_02L后廬答書


0001_0016_a_03L

0001_0016_a_04L玄風路右哭別後無由聞
0001_0016_a_05L甁錫安否卽於料外
0001_0016_a_06L法徒千里來訪袖傳
0001_0016_a_07L惠字披悉多慰
0001_0016_a_08L所愼尙爾殊慮惟以法力所及外伺風邪自可

0001_0016_b_01L스스로 떨쳐 버리기를 바랄 뿐입니다.
또 듣건대 옛날의 분쟁이 다시 일어나 땅을 구획하는 데에 들어갔다는 말을 듣고 매우 놀라 가만히 산에 들어갔으나 오히려 심오하지 않은 뜻을 힘쓸까 염려가 될 뿐입니다. 대사의 자비로운 마음으로 비록 널리 구제하고자 하나, 세상에 오래 머물면서 스스로 세상의 괴로움과 치욕을 면하지 못하니, 어찌 염려가 되지 않겠습니까?
이곳의 나는 아직 한 목숨이 다하지 않았는데, 장례가 어느덧 지나가서 낙동강 근처의 집으로 신주를 모셔오니(返虞),22) 무너지는 마음이 그지없어 더욱 다시 새로운 것 같습니다.
보내 주신 사찰의 음식은 비록 산속의 물건이라고 말하는데, 어찌 반드시 천 리 밖 먼 곳에 이르게 했겠습니까? 한 통의 서찰로 충분하오니, 이 뒤로는 이런 것들의 이런 세계의 일을 염려하지 마십시오.
지난번에 빌려온 경책經冊은 서울에 올라온 지 아직 한 달이 안 되었는데, 상중喪中이라 정신이 황망하고 혼미하여, 아직 눈으로 익숙하게 보지 못했으니, 우선 뒤에 오는 인편을 기다려 완료할 계획입니다.
나머지는 황망하고 혼미하여 두서없이 씁니다.

갑술년(1754) 8월 26일 후려后廬. 조趙 진사進士
추신
두 자루의 붓(管城)을 서찰과 같이 보냅니다.

0001_0016_b_01L譴却爲冀耳且聞舊鬧復起至入畫地云
0001_0016_b_02L甚驚而竊以入山猶恐不深之意勉之耳以師
0001_0016_b_03L慈悲之心雖欲普濟久留世間自不免世間苦辱
0001_0016_b_04L何不念之耶此中一息未泯襄禮奄過返虞
0001_0016_b_05L洛第崩隕罔極益復如新
0001_0016_b_06L惠寄禪味雖云山間之物而何必於千里外遠
0001_0016_b_07L及耶一紙書訊足矣此後勿念此等此界
0001_0016_b_08L事也前者借來經冊入洛纔未一月哀疚
0001_0016_b_09L心神荒迷尙未熟眼閱過姑俟後便
0001_0016_b_10L之計耳餘荒迷不次

0001_0016_b_11L

0001_0016_b_12L甲戌八月二十六日 后廬10)

0001_0016_b_13L

0001_0016_b_14L二枝管城伴送

0001_0016_b_15L趙進士

0001_0017_a_01L
붕 스님께 보낸 답장

뜻밖에 서찰을 보고서 편안히 지냄을 알았으니 많이 위안이 되었습니다.
이곳의 나는 지금 삼랑三浪23)의 세금을 거두기 위해 가는데, 이것은 힘든 일이니 답답합니다. 전령傳令에 관한 일은 사연辭緣을 잊어버렸으니 다시 말씀해 주십시오.

0001_0017_a_01L
答鵬上人

0001_0017_a_02L

0001_0017_a_03L料外見書知安過
0001_0017_a_04L多慰此中方三浪
0001_0017_a_05L捧稅之行此是苦
0001_0017_a_06L可悶傳令事
0001_0017_a_07L辭緣忘却更示宜

0001_0017_b_01L도승都僧에 관한 일은 그 한 일족一族을 엄중하게 가둔 지 이미 오래되었는데, 아직도 출두出頭하지 않고, 간 곳을 모른다는 것으로 핑계를 대니 중의 버릇이 진실로 이와 같습니까? 분통스럽고 분통스럽습니다.
보내온 정과正果24)는 진기한 음식이니 많이 기쁩니다. 언제 마땅히 방문하실는지요?
일일이 말하지 않습니다.

3월 11일.
추신
황필黃筆(족제비 꼬리털 붓) 두 자루를 보냅니다.

0001_0017_b_01L都僧事渠之
0001_0017_b_02L一族嚴囚已久
0001_0017_b_03L不來現托以不知去
0001_0017_b_04L僧習固如是乎
0001_0017_b_05L可痛可痛送來正
0001_0017_b_06L此是珍味多喜
0001_0017_b_07L何當來訪不一

0001_0017_b_08L

0001_0017_b_09L三月十一日

0001_0017_b_10L黃筆二柄

0001_0018_a_01L
붕 대사께 보낸 답장

그리운 생각을 하던 차에 손수 쓴 서찰을 받아 보고서 도를 닦으며 편안히 지냄을 알았으니, 매우 위안되어 느긋해집니다.
이곳의 나는 완악하게 숨 쉬며 구차하게 버티고 있는데 부모님이 돌아가신 달(讐月)이 점점 다가오니 애통하고 무너지는 마음 그지없습니다. 경사스런 서찰을 써서 보내니 꼭 직접 가지고 가서 전해 주심이 어떨는지요?
보내온 종이와 초(紙燭)25)는 멀리서 보내 주심에 많이 감사합니다.
나머지는 일부一浮 스님이 바쁘게 돌아가야 돼서, 잠시 이렇게 쓰다 보니 두서가 없습니다.

9월 9일 창동倉洞 여차廬次.26)

0001_0018_a_01L
鵬師 法案 回傳

0001_0018_a_02L

0001_0018_a_03L戀想之中得見
0001_0018_a_04L手字以審
0001_0018_a_05L道況安重區區慰裕此中頑息
0001_0018_a_06L苟支讐月漸近痛殞罔涯
0001_0018_a_07L慶札書送須袖傳如何
0001_0018_a_08L送來紙燭多謝遠遺餘一浮
0001_0018_a_09L師忙歸暫此不次

0001_0018_a_10L

0001_0018_a_11L重陽日 倉洞 廬次

0001_0018_b_01L
붕 스님께 보낸 답장

방금 정겨운 서찰을 보고서, 섣달 추위에 불법佛法을 닦으며 지내는 안부가 맑고 좋으시다 하니, 매우 위안이 됩니다.
이곳의 나는 어제와 같이 지내고 있는데, 산의 음식을 보내 주시니 많이 감사하고 많이 감사합니다. 미역 한 단은 송엽松葉의 맛을 도왔습니다.
갖추지 못합니다.

갑甲 자 들어가는 해(1754) 12월 19일 남강南江27).

0001_0018_b_01L
鵬上人答狀

0001_0018_b_02L

0001_0018_b_03L卽見情札履玆臘
0001_0018_b_04L法況淸勝慰甚
0001_0018_b_05L此間依昨爾山味之
0001_0018_b_06L多謝多謝甘藿一丹
0001_0018_b_07L用助松葉之味
0001_0018_b_08L

0001_0018_b_09L

0001_0018_b_10L甲臘十九 南江

0001_0019_a_01L
붕 대사께 보낸 답장

지난날 스님께서 애써 방문해 주셨는데 지금까지 아쉽습니다. 이때에 연이어 맑고 한가한지요? 달려가는 마음 그지없습니다.
총聰 법주法主가 연이어 5, 6일 머물며, 그 이정사釐正使28)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가 지금 비로소 돌아가니, 가히 모두 무사하다고 할 만합니다. 다음 달 초에 서울로 올라가려고 하나 그 전에 한번 와 주실 수 있을는지요?
나머지는 어수선함이 심하여 우선 많이 언급하지 못합니다.


0001_0019_a_01L
鵬大師 鉢前

0001_0019_a_02L

0001_0019_a_03L頃日甁錫之勤訪迨用依
0001_0019_a_04L此時連得淸閑否馳念
0001_0019_a_05L無已聰法主連留五六日
0001_0019_a_06L待其厘[釐]正使回還今始回去
0001_0019_a_07L可謂都無事矣來初欲
0001_0019_a_08L上洛其前可謀一來耶
0001_0019_a_09L餘撓甚姑不多及


0001_0019_b_01L갑술년(1754) 1월 11일 성산星山(성주) 책방에서 쓰다.
박혁동博赫洞 진사進士 신리申履

0001_0019_b_01L
붕 스님께 보낸 답장

이곳의 나는 도리를 거스른 죄가 깊고 중대하여 스스로 죽어 없어지지 못하였는데, 문득 조부의 상(服制)을 만나 꺾이고 찢기며 슬프고 아픈 나머지에 또 부모님의 상(大故)이 미쳤습니다. 흉악한 재앙의 혹독함이 사람의 도리에 없던 바로, 부여잡고 울부짖으며 울면서 머리를 조아리니 오장 안이 무너지고 찢어졌습니다.
이미 졸곡卒哭29)이 지나고 또 연기練期30)가 임박한데 완고하고 미욱하게 지금까지 이르렀으며, 구차하게 눈 뜨고 살아 있는 목숨(視息)을 보존하고 있으니 오히려 차마 무슨 말을 하겠습니까?
지난겨울에 대사께서 멀리서 스님을 보내 위문 서찰을 전해 준 것도 감사한데 세 가지 부의賻儀까지 곁들여 주니 슬프고도 감사한 마음 다하지 못한 점이 있었습니다. 그때가 뒤의 상(後喪)을 만나 처음 당한 상과 겹쳐 답장을 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또 스님을 거듭 보내어 전과 같이 위문해 주고, 또 목면木棉과 밀랍으로 만든 초를 보내어 부의해 주었으니, 불가의 가난한 재정에 어찌 이렇게까지 해 주었습니까? 정과 의리 모두 받으니, 슬프고도 감사한 마음 끝이 없어 말로 할 바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황망하고 혼미하여 두서없이 씁니다.

갑술년(1754) 8월 29일 고애손孤哀孫31)이 답장을 쓰다.
김 세마金洗馬

0001_0019_b_01L甲戌元月十一日 星山 冊室 書

0001_0019_b_02L博赫洞 進士 申履

0001_0019_b_03L

0001_0019_b_04L
鵬上人 答疏

0001_0019_b_05L

0001_0019_b_06L此中罪逆深重不自死滅奄遭祖父服制摧裂哀痛之餘
0001_0019_b_07L又及大故凶禍之酷人理所無攀呼叫叩五內崩拆旣經卒
0001_0019_b_08L且迫練期頑冥至今苟存視息尙忍何言前冬荷師遠遣
0001_0019_b_09L法徒專書慰問副以三種賻儀哀感有不可極而時値後喪
0001_0019_b_10L之初不得修答矣玆又申遣法徒慰問如前又惠木綿蠟
0001_0019_b_11L燭之賻空門寒計何以及此具領情義哀感萬萬不知所云
0001_0019_b_12L荒迷不次

0001_0019_b_13L

0001_0019_b_14L甲戌八月二十九日 孤哀孫 答疏

0001_0019_b_15L金洗馬

0001_0020_a_01L
붕 대사께 보낸 답장
           (생완省完)


예식은 생략합니다.
현풍玄風 고을에서 곡하며 헤어지니 오히려 회포가 엉겼는데, 뜻밖에 뛰어난 스님이 종이(赫蹏)32)를 소매 속에서 꺼내어 전해 주었습니다. 그래서 빨리 열어 보니 그 모습을 펴는 듯 했으니 슬프고도 위안되는 마음을 어찌 헤아리겠습니까? 하물며 불법을 외우는 것이 저절로 여전하니 그리운 마음이 풀리고 그리운 마음이 풀립니다.
이곳의 나는 장례를 문득 치르고 옛집으로 돌아가 우제虞祭33)를 지내니, 아프고도 찢어지는 그지없는 마음이 더욱 다시 새로운 것 같습니다.
지난번에 듣건대 대사께서 또 토두土頭(화곡禾穀을 뜻함)의 곤경이 있어 매우 염려되었는데, 이미 끝에 가서 얼음이 녹듯 풀리어 보존하고 있다 하니, 매우 기쁩니다.
보내 주신 두 가지의 음식은 받았습니다.
나머지는 도를 닦으며 건강을 진중하시기를 바랍니다. 황망하고 미욱하여 두서없이 씁니다.

갑甲 자 들어가는 해(1754) 8월 26일 후천后川 극인棘人34).
밀양댁 서방주書房主

0001_0020_a_01L
鵬師 梵窓 回傳

0001_0020_a_02L          (省完)


0001_0020_a_03L

0001_0020_a_04L省式玄邑哭別猶凝懷底料外
0001_0020_a_05L高弟袖傳跡[赫]蹏疾披以看如展
0001_0020_a_06L其儀哀慰曷量況爾
0001_0020_a_07L誦曇自如釋戀釋戀此中襄事奄過
0001_0020_a_08L歸虞故第痛割罔極益復如新
0001_0020_a_09L頃聞師又有土頭之困甚慮
0001_0020_a_10L已保末梢之氷釋云可喜可喜
0001_0020_a_11L惠兩種味領之耳餘希
0001_0020_a_12L道體玄重荒迷不次

0001_0020_a_13L

0001_0020_a_14L甲八念六 后川 棘人

0001_0020_a_15L密陽宅 書房主

0001_0020_b_01L
붕 스님께 보낸 답장    (계상稽顙)
답장 서간


이곳의 나는 가문에 흉악한 재앙이 들어 문득 조부께서 돌아가심을 만나 애통하고 괴로우며 꺾이고 찢어지는 마음 스스로 이겨 내며 감당할 수가 없습니다. 장례를 겨우 마쳤는데 또 부친의 상을 당하니, 도리를 거스른 죄가 하늘에 통하였는데 스스로 죽어 없어지지 못하고 거듭 흉악하고 혹독한 일을 만나니 사람의 도리에 없는 것입니다.
머리를 조아리고 울부짖어도 미치지 못하니, 오장이 무너지고 깨져서 어둡고 완고함이 지극하여 실낱같은 목숨이 끊어지지 않았습니다. 연기練期35)가 문득 이미 멀지 않았으니, 애통하고 괴로우며 원통하고 허전한 마음을 오히려 차마 어찌 말하겠습니까?
지난겨울에 따로 스님을 보내어 서찰로써 위안해 주심을 입었는데, 그때가 뒤에 당한 상을 만난 초기라서 답장을 쓰지 못했습니다. 이에 또 거듭 스님을 보내어 전과 같이 위로하고 위문해 주니, 깊이 불가의 자비를 알겠습니다. 슬프고도 감사함이 끝이 없어 사례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보내 준 두 가지 소찬은 또한 정겨운 음식으로 많이 감사합니다. 만나 뵙고 하소연할 방법이 없어 서찰을 쓰려고 종이를 대하니 숨이 끊어질 듯합니다.
황망하고 미욱하여 두서없이 씁니다.

갑술년(1754) 8월 28일 고자孤子36)가 답장을 씀.
김 진사金進士

0001_0020_b_01L
鵬上人 法座 答疏  (稽顙)

0001_0020_b_02L答疏


0001_0020_b_03L

0001_0020_b_04L此中家門凶禍奄遭祖考捐背痛苦
0001_0020_b_05L摧裂不自勝堪而襄禮甫畢又及大
0001_0020_b_06L罪逆通天不自死滅洊罹凶酷人理
0001_0020_b_07L所無叩叫靡及五情崩潰冥頑之極
0001_0020_b_08L喘未絶練期忽已不遠痛苦寃隕尙忍
0001_0020_b_09L何言前冬蒙專送法徒以書慰問
0001_0020_b_10L時在後喪之初不得修答矣玆又申送
0001_0020_b_11L法徒慰問如前深認禪慈哀感無極
0001_0020_b_12L不知所以爲謝惠餽二種素饌亦多感
0001_0020_b_13L情味無由面訴臨書隕絶荒迷不次

0001_0020_b_14L

0001_0020_b_15L甲戌八月二十八日 孤子 答疏

0001_0020_b_16L金進士

0001_0021_a_01L
(함緘) 붕 대사가 참선하며 지내는 곳에 답장을 쓰다
                   (생봉省封)


지난번에 만났다가 허둥지둥 헤어져 지금까지 그립고도 서글픕니다.
방금 손수 쓴 서찰을 받아 열어 보니 해가 바뀌도록 뵙지 못했던 얼굴을 마주한 것 같아 위안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겸하여 참선하며 지내는 안부가 새해를 맞이하여 아름답고 좋음을 알았으니, 얼마나 기쁘고 다행이겠습니까?
이곳의 나는 어제와 같은 모습으로 그럭저럭 지내고 있습니다만, 다른 고을에서 맞이하고 보내는

0001_0021_a_01L
(緘) 鵬師 禪案 回復

0001_0021_a_02L            (省封)


0001_0021_a_03L

0001_0021_a_04L頃逢草草迨用戀悵卽獲
0001_0021_a_05L手字披慰如對隔歲顔面而兼
0001_0021_a_06L認禪況迓新佳吉何等欣
0001_0021_a_07L此中粗依宿狀而異鄕迎

0001_0021_b_01L감회가 한갓 나이만 더할 뿐만은 아니니 어찌하겠습니까?
지난날 부탁한 일은 여러 차례 제기하고 아뢰었습니다. 갇힌 사람들을 한 해의 끝이 가까워 온 탓으로 엄하게 신칙하여 놓아 보내고 초6일에 와서 출두하도록 했습니다.
나머지는 오래지 않아 서로 만나 복명復命함이 있을 것 같습니다.
잠시 이렇게만 쓰고 격식을 갖추지 못합니다.

갑술년(1754) 1월 초3일 밤에 반선半禪.
낭청郞廳 조우명趙遇命

0001_0021_b_01L送之感非徒添齒而已奈何
0001_0021_b_02L日所托事屢次提告而所囚諸
0001_0021_b_03L以臨歲之故嚴飭放送以爲
0001_0021_b_04L初六日來現之地而餘非久
0001_0021_b_05L似有相逢之復暫此不究式

0001_0021_b_06L

0001_0021_b_07L甲戌元月初三夜 半禪

0001_0021_b_08L郞廳 趙遇命

0001_0022_a_01L
붕 스님에게 답장을 보내다

지난번에 소식이 막힌 나머지에 만났는데, 온화하게 토의하지 못하여 지금까지 저로 하여금 서글프고 암담하게 합니다.
이런 즈음에 스님이 소매 속에서

0001_0022_a_01L
答 鵬禪師

0001_0022_a_02L

0001_0022_a_03L頃逢於阻餘而未得穩討迨令
0001_0022_a_04L我悵黯此際沙彌袖傳

0001_0022_b_01L손수 쓴 서찰을 꺼내어 전해 주었는데, 마치 다하지 못한 속의 회포를 다시 이야기하는 것과 같았으니, 위안되고 후련한 마음을 어떻게 헤아리겠습니까? 하물며 참선하며 지내시는 안부가 편안하고 좋다는 데야 더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이곳의 나는 뜻밖에 제 조카의 상을 만나 산 너머에서 부고를 들으니, 애통하고 슬퍼하며 애통하고 슬퍼하였습니다. 선전관宣傳官37)이 비국랑備局郞38)으로 기용起用되어 밤낮으로 바삐 뛰어다니느라 거의 틈이 없다고 들었습니다.
또 예물로 주는 무명은 급히 찾아야 하니, 매우 고민스럽습니다. 서울의 노비는 마땅히 모레 행장을 꾸려 보내겠습니다.
보내는 서찰 및 신물贐物(먼 길 가는 사람에게 주는 선물) 한 동銅을 부쳐 보낼 계획입니다. 그리고 이것으로써 가히 대사의 정성을 상상할 수 있으니, 깊이 감사하고 깊이 감사합니다.
스님이 전하는 말을 들어 보니 장차 승천僧泉으로 거처를 옮겨 가려고 한다고 했는데, 과연 그렇게 할 것인지요? 만약 그렇다면 슬프고 서운함을 이루 다 말할 수 있겠습니까? 거처를 옮겨 갈 길에 방문해 주시기를 이에 바랍니다.
나머지는 다 말씀드리지 못합니다.

갑술년(1754) 윤달 17일 약락재約樂齋 주인이 씀.

0001_0022_b_01L手筆如得更討未盡底懷
0001_0022_b_02L沃何量況且
0001_0022_b_03L禪況安勝者乎此間意外遭舍
0001_0022_b_04L姪喪聞訃於嶺外慟悼慟悼宣傳
0001_0022_b_05L甄復於備局郎晝夜驅馳
0001_0022_b_06L無暇隙云且禮木急索之是悶是悶
0001_0022_b_07L京奴當於再明治送耳送書及
0001_0022_b_08L贐物一銅付送計之而以此可想
0001_0022_b_09L師之情誠深感深感聞沙彌所
0001_0022_b_10L傳言將欲移居僧泉云果否
0001_0022_b_11L若然則悵缺可勝言哉
0001_0022_b_12L移居路惠訪是企耳餘不能
0001_0022_b_13L盡悉耳11)

0001_0022_b_14L

0001_0022_b_15L甲戌閏月十七日 約樂齋 主人書12)

0001_0023_a_01L
붕 대사 기하丌下39)에 보낸 답장
  (봉封)


몇 해 전에 여행 중에 만났다 이별했는데, 문득 지금까지 사람으로 하여금 자꾸 바라보며 간절히 그리워하게 했습니다. 그런데 방금 매우 뜻밖에 보내온 서찰을 받고서 새해 정월의 정황이 맑고 좋게 누리심을 알았으니, 멀리서 달려가 축하드리는 마음이 끝이 없습니다.
이곳의 나는 대궐에서 하직하고 시골에서 살며 궁색한 집에서 숨어 살지만, 나의 구구하게 한결같은 생각은 한양을 그리워하지 않은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비록 지난 몇 해 전부터 질병에 걸리는 일이 거듭됨으로 인하여 근심스럽게 □ … □

0001_0023_a_01L
鵬大師 丌下 回納   (封)

0001_0023_a_02L

0001_0023_a_03L年前逆旅中逢別而乍迄令人向慕殷殷
0001_0023_a_04L於萬萬匪表獲得來翰備諗新正
0001_0023_a_05L況味膺納淸勝遠爲之馳賀無已此間一自
0001_0023_a_06L辭闕鄕居蟄伏窮閭區區一念未嘗不
0001_0023_a_07L懸戀於洛下而雖緣年來病故疊鱗悄然
0001_0023_a_08L□ … □

0001_0023_b_01L□ … □
참혹한 화변禍變이 벌어졌으니, 어찌 우리 집과 같은 경우가 있겠습니까? 처참하고 애통한 심정을 차마 말할 수가 없습니다.
나도 오랜 근심으로 인해 건강이 손상되었는데, 상위喪威(喪事)와 노병까지 서로 더해지니 스스로 가련하고 스스로 가련합니다.
보내온 산의 음식은 모두 그대로 받았으니, 정겨운 뜻에 매우 감사드립니다. 새 달력 세 건을 보냅니다.
우선 갖추지 못합니다.

12월 11일 소동昭洞 기복인朞服人.

0001_0023_b_01L□ … □
0001_0023_b_02L出禍變之酷寧有如吾家
0001_0023_b_03L者乎慘慟不忍言身亦積傷
0001_0023_b_04L威老病相加自憐自憐所送山味
0001_0023_b_05L並依受可感情意新曆
0001_0023_b_06L三件送之姑不具

0001_0023_b_07L

0001_0023_b_08L十二月 十一日 昭洞 朞服人

0001_0024_a_01L
붕 대사에게 답장을 부치다

서찰이 도착하여 그리워할 즈음에 새로 지은 집에서 편안하게 잘 지냄을 알았으니 위안되고 후련함이 많습니다.
나는 병이 상쾌하게 회복되지 않아 끙끙 앓으며 날을 보냅니다. 객지에서 새해를 맞이하니 마음속 생각이 더욱 좋지 않지만

0001_0024_a_01L
鵬師答付

0001_0024_a_02L

0001_0024_a_03L書到戀際審新居安吉
0001_0024_a_04L瀉多矣吾病未快蘇呻吟
0001_0024_a_05L度日客中逢歲心緖益不

0001_0024_b_01L어쩌겠습니까?
재악사載嶽寺40)가 장차 폐사가 되려고 하다가 대사의 주선에 힘입어 능히 소생하여 회복하는 지경에 이르렀으니 매우 기쁩니다.
다만 지금 절의 누대를 짓는 데 일의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부역을 마칠 기약이 없습니다. 부디 가까운 절에 머물며 지휘하여 완전하게 세우도록 해 주시는 것이 어떨는지요? 깊이 바랍니다.
나머지는 일일이 말하지 않습니다.

1월 5일 동각東閣41)에서.
밀양 부사密陽府使 이덕선李德先

0001_0024_b_01L奈何載嶽將成廢寺
0001_0024_b_02L賴師周旋得至蘇復之境
0001_0024_b_03L可喜第今營建寺樓功費
0001_0024_b_04L甚廣訖役無期須留住近
0001_0024_b_05L刹指揮俾得完建如何
0001_0024_b_06L深望餘不一一

0001_0024_b_07L

0001_0024_b_08L正月 五日 東閣

0001_0024_b_09L密陽府使 李德先

0001_0025_a_01L
붕 대사에게 답장을 보내다

천 리 밖에서 서찰을 보내 주고 부의와 조문까지 겸하여 해 주셨으니 그 정을 알 수 있습니다. 얼마나 감사한지요?
이곳의 나는 완악하게 참아 가며 구차하게 살고 있는데, 또 한 해가 저물어 감을 당하여 사정이 더욱더 끝이 없으니, 오히려 다시 무슨 말을 말하겠습니까?
나머지는 병이 심하여 일일이 말하지 못합니다.

계유년(1753) 12월 14일 미천尾泉에서 답장을 씀.
미동尾洞 정 정승鄭政丞 우량羽良42)

0001_0025_a_01L
붕 스님께 답장을 부치다


0001_0025_a_01L
答鵬師

0001_0025_a_02L

0001_0025_a_03L千里委札兼致賻問其情
0001_0025_a_04L可知何感如之此間頑忍
0001_0025_a_05L苟存又當歲暮情事
0001_0025_a_06L轉益罔極尙復何言
0001_0025_a_07L病甚不一

0001_0025_a_08L

0001_0025_a_09L癸酉 臘月 十四日 尾泉 答疏

0001_0025_a_10L尾洞 鄭政丞 羽良

0001_0025_a_11L

0001_0025_a_12L
答寄 鵬上人

0001_0025_b_01L천 리 밖에서 온 한 통의 서찰로 도를 닦으며 편안히 지냄을 알았으니 진실로 위안되는 마음을 헤아릴 수가 없습니다.
이곳의 나는 병으로 신음하며 날을 보내니, 나머지는 말할 것이 없습니다.
멀리서 보내온 산의 음식은 많이 감사합니다. 새 달력 두 건을 보내드립니다.
많이 언급하지 않습니다.

계癸 자 들어가는 해(1753) 12월 13일 황교黃橋.
참판參判 이익보李益輔
황교 참판黃橋參判 이익보李益輔43)

0001_0025_b_01L千里
0001_0025_b_02L一札可悉
0001_0025_b_03L道味之安良慰不可量此中
0001_0025_b_04L吟病度日餘無可言
0001_0025_b_05L遠來山味多謝新曆二件
0001_0025_b_06L送去耳不多及

0001_0025_b_07L

0001_0025_b_08L參判 李益輔

0001_0025_b_09L癸臘十三 黃橋

0001_0025_b_10L黃橋參判 李益輔

0001_0026_a_01L
붕 대사에게 보낸 답장    (돈頓)

맑고 깨끗한 산사가 속세의 연기와 멀리 떨어져 있으니, 늘

0001_0026_a_01L
鵬上人 道案 回呈  (頓)

0001_0026_a_02L

0001_0026_a_03L淸淨法界塵煙隔
0001_0026_a_04L每想

0001_0026_b_01L도를 닦는 모습을 생각하며 회포에 빠져들곤 합니다.
방금 뜻밖에 나이가 어린 스님이 대사의 정겨운 서찰을 소매 속에서 꺼내어 전하였고, 겸하여 두 권의 기이한 기록까지 전해 주어, 펼쳐서 보니 나도 모르게 세속적인 마음이 밝아졌습니다. 하물며 단풍이 물드는 때(楓辰)44)에 도를 닦으며 몸을 진중히 하심을 알았으니 더 말해 무엇하겠습니까?
이곳의 나는 병이 몸에서 떠나지 않아 고통을 호소하며 날을 보내니 근심스럽고 답답한 심정이 어떻겠습니까?
운산雲山이 비록 다른 곳이나, 한번 지팡이를 짚고 이르러 이런 고요하고 쓸쓸한 회포를 풀어 주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병이 만약에 조금 낫는다면 나도 장차 한번 나아갈 것을 도모해 보겠습니다.
붓과 먹 각각 한 개씩을 부쳐 올리니, 웃으며 받아 주시면 좋겠습니다.
바쁘고 어수선하여 서찰의 격식을 갖추지 못했습니다.

계유년(1753) 9월 16일 죽관竹舘의 병든 나그네가.

0001_0026_b_01L道儀有懷冲冲卽此
0001_0026_b_02L不圖年少沙門袖傳
0001_0026_b_03L師席情牘兼致二卷
0001_0026_b_04L奇錄披來不覺塵襟
0001_0026_b_05L之朗然也況諦楓辰
0001_0026_b_06L道履珍重者乎此間病
0001_0026_b_07L不離身呌痛度日愁悶
0001_0026_b_08L奈何雲山雖異一者
0001_0026_b_09L携笻而至以慰此寂寞
0001_0026_b_10L之懷如何病若少間則此
0001_0026_b_11L亦方謀一進耳筆墨各
0001_0026_b_12L一付呈笑領爲妙忩撓
0001_0026_b_13L不宣狀例13)

0001_0026_b_14L

0001_0026_b_15L癸酉 九月 旣望 竹舘 病客

0001_0027_a_01L
답장을 올림    (완完)

뜻밖에 서찰을 받아 보고서 요사이 모든 일이 편안하고 좋음을 알았으니 위안되고 기쁜 마음이 어찌 그침이 있겠습니까? 이곳의 나는 어제와 같이 지내고 있으니, 이밖에 무슨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보내 준 채소와 과일은 

0001_0027_a_01L
答奉  (完)

0001_0027_a_02L

0001_0027_a_03L意外得見書以知
0001_0027_a_04L近日凡百安勝
0001_0027_a_05L喜何已此間如昨
0001_0027_a_06L外何可言送惠蔬

0001_0027_b_01L정겨운 맛에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 일은 즉시 북성北城의 총섭總攝에게 말했는데 그 고목告目을 보니 말씀하신 대로 두둔하여 보호하겠다고 했습니다.
새 달력 한 건을 보냅니다. 나머지는 일일이 말하지 않습니다.

계유년(1753) 12월 20일 수교水橋.
수각교水閣橋45) 구具 대장大將 선행善行46)

0001_0027_b_01L情味可感所示
0001_0027_b_02L卽言於北城摠
0001_0027_b_03L而見其告目則依
0001_0027_b_04L示斗護云耳新曆
0001_0027_b_05L一件送去耳餘不
0001_0027_b_06L

0001_0027_b_07L

0001_0027_b_08L癸酉 十二月 卄 水橋 水閣橋 具大將 善行

0001_0028_a_01L
붕 대사에게 보낸 답장

며칠 전에 스님이 와서 방문했으니 거의 잊을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뜻밖에 손수 쓰신 서찰을 받아 보고 산에 돌아간 뒤에 참선하시며 지내는 생활이 편안함을 알았으니 얼마나 기쁘던지요?
이곳의 나는 우선 어제와 같은 모습으로 지내고 있지만, 한 해가

0001_0028_a_01L
鵬師 禪案 回傳

0001_0028_a_02L

0001_0028_a_03L日前甁錫之來訪
0001_0028_a_04L殆不能忘而且於意外得見
0001_0028_a_05L手筆以知還山後
0001_0028_a_06L況佳安何喜如之此中
0001_0028_a_07L姑依昨日樣子而歲

0001_0028_b_01L저물어 가는 남쪽 변방은 조금도 아름다운 흥취가 없습니다. 과거시험 소식(槐黃)은 머지않아 있을 것이고, 또 마부가 서울로 가는데(西去) 탐진당探眞堂 위에서 대사와 더불어 『능엄경楞嚴經』의 심오한 뜻을 강론할 방법이 없으니 스스로 우습습니다. 앵앵거리며 종이를 뚫는 파리와 같이 분주하니 가련히 여기고 탄식한들 무엇하겠습니까?
말씀하신 일은 마땅히 주선해야 하지만, 다만 대사의 속된 생각을 아직 없애지 않았으니, 이에 산에 들어간 것이 깊지 않아서 그런 것이 아닙니까? 우습습니다.
우선 일일이 말하지 않습니다. 오직 참선의 오묘한 맛을 보존하며 수련하기를 바랍니다.

계癸 자 들어가는 해(1753) 12월 17일 남주南州의 병든 나그네가.
조趙 진사進士 밀양密陽 책방冊房

0001_0028_b_01L暮南徼少無佳趣
0001_0028_b_02L而槐黃消息匪久
0001_0028_b_03L驅人西去無由於探眞
0001_0028_b_04L堂上與師講楞嚴
0001_0028_b_05L奧旨自笑營營鑽紙
0001_0028_b_06L之蠅憐歎奈何示事
0001_0028_b_07L當爲周旋第師之俗念
0001_0028_b_08L尙未刪去無乃入山之
0001_0028_b_09L不深而然耶可呵姑不
0001_0028_b_10L惟希禪味保鍊

0001_0028_b_11L

0001_0028_b_12L癸臘旬七 南州 病客

0001_0028_b_13L趙 進士 密陽 冊房14)

0001_0029_a_01L
붕 스님에게 보낸 답장
이 낭청李郞廳이 답장을 쓰다


접때 한번 만났는데, 정말로 마음에서 잊혀지지 않습니다. 방금 보내 준 서찰을 받고서 지내는 생활이 맑고 좋음을 알았으니, 매우 위안되고 매우 위안됩니다.
이곳의 나는 한결같이 근심스럽고 번거로워 말할 것이 없습니다.
부탁한 일은 어찌 주선하려고 하지 않습니까마는 현재 소견을

0001_0029_a_01L
鵬上人 禪案

0001_0029_a_02L李郞廳 答狀


0001_0029_a_03L

0001_0029_a_04L向來一面政用耿耿
0001_0029_a_05L承惠狀以審
0001_0029_a_06L啓居淸勝慰甚慰甚
0001_0029_a_07L間一味憂冗無可言
0001_0029_a_08L所托事豈不欲爲之
0001_0029_a_09L周旋而目下所見實難

0001_0029_b_01L문자의 사이에 미칠 겨를을 내기가 어렵습니다. 뒤에 마땅히 유념하겠다고 하신 말씀도 틈을 타서 제기하여 아뢸 것이니, 다만 부디 조금 기다려 주십시오.
보내온 산의 음식은 멀리 보낸 정으로 매우 잘 받았습니다. 한 건의 달력을 부쳐 보냅니다. 오직 참선하며 지내는 생활이 아름답고 좋기를 바랍니다.
이만 줄입니다.

계癸 자 들어가는 해(1753) 12월 14일 연졸蓮拙.
이윤보李玧輔

0001_0029_b_01L暇及於文字間從當留
0001_0029_b_02L意爲敎此亦乘隙提
0001_0029_b_03L第須少待之也
0001_0029_b_04L送來山味深領
0001_0029_b_05L遠情耳一曆送似
0001_0029_b_06L唯希禪況休
0001_0029_b_07L不宣

0001_0029_b_08L

0001_0029_b_09L癸臘十四日 蓮拙

0001_0029_b_10L李玧輔

0001_0030_a_01L누락

0001_0030_a_01L누락

0001_0030_b_01L누락

0001_0030_b_01L누락

0001_0031_a_01L
병발과 석장 잡고 표연히 바다를 지척처럼 바라보더니
애오라지 한 손으로 긴 고래를 꺾어 버렸네
부처님의 자비를 일찍이 받아 비록 살생은 없었으나
지혜의 칼 멀리 휘둘러 백성들을 구제했네
소매 속에 푸른 산과 흰 구름이 있고
가슴속에 삼보三寶와

0001_0031_a_01L
甁錫飄然尺視溟聊將隻手挫脩
0001_0031_a_02L佛悲早受雖無殺慧劒遙揮爲
0001_0031_a_03L濟靈袖裏靑山白雲在胸中三寶

0001_0031_b_01L육도六鞱47)를 아울렀네
수염 보존한 초상은 오히려 생기가 넘치니
사당에 대순과 채소로 제향하는데 어찌 날고기를 바치리.

무오년(1738) 3월 당성唐城48)에서 홍구행洪九行.

0001_0031_b_01L六鞱幷存髥遺像猶生氣祠享
0001_0031_b_02L筍蔬豈薦腥

0001_0031_b_03L

0001_0031_b_04L戊午季春 唐城 洪九行

0001_0032_a_01L
붕 대사에게 보낸 답장

뜻밖에 심부름꾼(專伻)을 통해 보낸 서찰을 받고서 요사이 편안히 지냄을 알았으니, 진실로 위안이 됩니다.
이곳의 나는 집안의 재앙이 거듭 혹독했습니다. 큰아버님이 문득 돌아가시어 장례를 겨우 치렀는데, 사촌(哀從)이 이어서 죽었습니다. 인정과 도리가 참혹하고 혹독함을 세상에 함께 견줄 바가 없으니, 애통하고 괴로우며 꺾이고 찢어지는 마음을 오히려 어찌 감내堪耐하겠습니까? 전동典洞49)의 판부사判府事50)인 당숙과 시동匙洞51)의 연안延安 당숙의 상환喪患이 

0001_0032_a_01L
答鵬上人

0001_0032_a_02L

0001_0032_a_03L料外承專伻之書審近日安遣
0001_0032_a_04L良慰此間家禍荐酷伯父奄
0001_0032_a_05L忽棄背襄禮甫過哀從繼
0001_0032_a_06L歿情理慘毒世無與比慟苦
0001_0032_a_07L摧裂尙何堪忍典洞判府事
0001_0032_a_08L堂叔及匙洞延安堂叔喪患

0001_0032_b_01L또 이즈음에 났으니, 슬프고도 무너지는 마음을 더욱 스스로 이길 수가 없었습니다. 부모님의 안부도 상으로 인한 근심으로 상심이 쌓여 기력이 쇠함이 날로 심하여 편안한 때가 항상 적으니, 애가 타고 답답한 마음을 또한 형언할 수가 없습니다.
보낸 상이桑耳(뽕나무 버섯)와 정과正果는 보낸 대로 받았으니 정겨운 뜻에 심히 감사드립니다. 내가 현재 존숭도감尊崇都監52)에 차임差任되어 날마다 부역에 나가 집에 있을 때가 없습니다. 그래서 찾아온 스님이 두 차례나 이르렀지만 끝내 서로 보지 못했으니 매우 서글픕니다. 밤에 서찰을 써서 노비들에게 맡겨 두고서 다음 날을 기다려 와서 찾게 했습니다. 두 건 의 달력을 서찰과 같이 보냅니다. 우선 격식을 갖추지 못합니다. 동생이 현재 춘천의 부임지에 있으니 온 서찰은 마땅히 전하겠습니다.

계유년(1753) 12월 11일 소동昭洞 기복인朞服人.
소계동昭溪洞 충주 목사忠州牧使 김치일金致一53)

0001_0032_b_01L又出此際悲隕益不自勝
0001_0032_b_02L候積傷於喪憂澌敗日甚
0001_0032_b_03L時常少煎悶亦不可狀所送桑
0001_0032_b_04L耳及正果依受甚感情意服人
0001_0032_b_05L方差尊崇都監之任逐日往
0001_0032_b_06L無在家之時故來僧兩次尋
0001_0032_b_07L終未相見可悵夜書此留付奴
0001_0032_b_08L以待明日來索二曆伴簡
0001_0032_b_09L姑不具式
0001_0032_b_10L舍弟方在春川任所來書當傳之耳15)

0001_0032_b_11L

0001_0032_b_12L癸酉臘月十一日 昭洞 朞服人 照[昭]溪洞 忠州牧使 金致一

0001_0033_a_01L
붕 대사에게 보낸 답장
매당梅堂 유객留客이 짓다      (함緘)


달포 전에 서찰을 받고서 삼가 도를 닦으며 지내는 생활이 맑고 넉넉하며 넓은 정자를 빌려 잘 지냄을 알았습니다. 병든 나그네는 예전의 병이 여전하니 어찌하겠습니까?
보내온 『준제경准提經』54)은 여러 번 반복하여 읽어서(圭復)55), 공경함과 사랑에 마음을 두어 오래도록 버릴 수 없었고, 지금에야 비로소 재앙과 복을 완전히 받들었으니 심히 다행입니다. 언제 마땅히 서로 볼 수 있을는지요? 그리운 회포를 이길 수가 없습니다. 이에 서툰 시구를 말미에 쓰니,

0001_0033_a_01L
奉副鵬上人

0001_0033_a_02L梅堂 留客 題  (緘)


0001_0033_a_03L

0001_0033_a_04L月前承書謹審
0001_0033_a_05L道履淸裕宏借亭套病客
0001_0033_a_06L昔疾尙爾奈何送來准提經
0001_0033_a_07L圭復再三心乎敬愛久不能捨
0001_0033_a_08L今始奉完休咎幸甚何當相見
0001_0033_a_09L耿懷難勝玆以拙句書尾

0001_0033_b_01L한번 웃고 불가하다고 하지 마십시오.

앙상한 몸이 가볍고 맑으니 도의 기운이 짙은데
고요할 때에 석장 날려 북풍을 울리네
법조法祖를 아름답게 드날려 큰 공덕에 보태었고
유가瑜伽56)를 모두 말하여 묘한 솜씨에 들었네
섬주贍洲도 이미 싫증나고 소겁小劫57)에 바쁘니
총령葱嶺58)에 의탁하여 돌아가 원통圓通59)을 얻었네
잠시 삿갓을 들고 하산河山으로 가니
구름 속 달 같은 가슴속 품은 회포가 한 순간에 있네.

병영 책실兵營冊室 [심 병사沈兵使 때에]
계해년(1743) 납월 초5일 학성鶴城에서 노니는 사람 짓다. 병영 책실 심

0001_0033_b_01L一笑未爲不可
0001_0033_b_02L瘦骨輕淸道氣濃靜時
0001_0033_b_03L飛錫響北風休揚法祖扶危
0001_0033_b_04L備說瑜伽入妙工已厭贍
0001_0033_b_05L洲忙小劫依歸葱嶺得圓通
0001_0033_b_06L須臾挈笠河山去雲月襟
0001_0033_b_07L期一刹中

0001_0033_b_08L

0001_0033_b_09L兵營冊室 沈兵使 時

0001_0033_b_10L癸亥臘月初五日 鶴城遊人 題

0001_0033_b_11L兵營冊室 沈

0001_0034_a_01L
붕 대사에게 보낸 답장

지난번에 도주道州 관아 가운데에서 언뜻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지금까지 기쁩니다. 그때 서로 약속한 가화假花를 많이 만들어서 보내 주었으니 흡족하다 할 만합니다. 더욱 기쁩니다.
□ … □

계癸 자 들어가는 해(1743) 12월 초8일 낙재주옹樂齋主翁이 쓰다.

0001_0034_a_01L
寄鵬上人書

0001_0034_a_02L

0001_0034_a_03L頃者道州衙中睒然而話
0001_0034_a_04L迨以爲喜其時相約之假花
0001_0034_a_05L多造送可謂洽矣尤喜
0001_0034_a_06L□ … □

0001_0034_a_07L

0001_0034_a_08L癸之臘月初八 樂齋主翁 書

0001_0034_b_01L
□ … □ 서찰을 받고 비로소 스님이 성안에 머물며 사람들을 기쁘게 함을 알았는데, 마침 깊은 산골에 있어 서로 볼 방법이 없으니 매우 슬픕니다.
이곳의 나는 비록 다행히 따뜻한 방에서 병을 조섭하여 다스리지만, 부모님의 병이 깊어 근심이 연달아 이어지니 고민스럽고 절박한 심정을 어찌 형언하겠습니까?
보내 준 두 책은 한가한 가운데 소일하며 보내는 자료로 삼습니다. 대사의 정성과 애써 줌을 또한 볼 수 있으니, 매우 기쁩니다.
병들어 대략 이렇게만 쓰고 이만 줄입니다. 갖추지 못합니다.

기미년(1739, 영조 15) 섣달 16일(旣望)에 영성寧城(영월) 병객病客.
추신
한 건의 달력을 보냅니다.
시직侍直 김치만金致萬60)

0001_0034_b_01L
□ … □

0001_0034_b_02L始知住錫城裏令人忻
0001_0034_b_03L而適在窮峽無由相見
0001_0034_b_04L可悵此間雖幸燠室養痾
0001_0034_b_05L親癠沈淹憂患連仍種種
0001_0034_b_06L悶迫曷狀送示兩冊之爲閒
0001_0034_b_07L中消遣之資師之誠勤
0001_0034_b_08L可見也可喜可喜病艸只此
0001_0034_b_09L不具

0001_0034_b_10L

0001_0034_b_11L己[未] 臘之旣望 寧城 病客

0001_0034_b_12L一曆送之

0001_0034_b_13L侍直 金致萬

0001_0035_a_01L
붕 스님에게 답장을 쓰다    (봉封)

서찰이 멀리서 이르러 어슴푸레 더부룩한 눈썹(尨眉)을 접한 듯하니 위안되고 그리워하는 마음 너무나 심합니다. 하물며 이 두 서책은 도리어 병든 회포를 시원하게 해 주는 데서야 더 말해 무엇 하겠습니까? 한가한 가운데 자세하게 반복해서 보며 예전 사람의 위대한 발자취와 뒷사람의 정성과 근면에 더욱 감탄했습니다. 다만 성곽에 머문 지 이미 여러 날이 되었다고 들었는데 마침

0001_0035_a_01L
答鵬上人 (封)

0001_0035_a_02L

0001_0035_a_03L尺素遠至怳接尨眉
0001_0035_a_04L已甚慰戀況此二冊
0001_0035_a_05L却使病懷洒然者
0001_0035_a_06L中細繙益感前人之
0001_0035_a_07L偉躅後人之誠勤也
0001_0035_a_08L但住郭聞已有日而適

0001_0035_b_01L궁벽한 산골에 머물러 함께 다소간의 심정을 토로할 방도가 없으니, 이것이 매우 한스럽습니다.
이곳의 나는 부모님의 병환에 약시중을 들며 근심하는데도 오랫동안 낫지 않으니 너무나 애가 타고 답답하며, 나 자신도 건강하지 못하여 날마다 신음하여 한숨을 일삼으니, 매우 시름겹고 심란합니다.
베개에 기대어 간신히 쓰느라 뜻을 다하지 못합니다.

기己 자 들어가는 해 12월 18일 김金서생.
종후鍾厚61)

0001_0035_b_01L淹窮峽末由共討多
0001_0035_b_02L是殊可恨此間湯憂
0001_0035_b_03L彌留已極焦悶而身亦
0001_0035_b_04L不健日事呻喟愁撓
0001_0035_b_05L愁撓伏枕艱屮[艸]不能盡
0001_0035_b_06L

0001_0035_b_07L

0001_0035_b_08L己臘十八 金生 鍾厚

0001_0036_a_01L
붕 대사에게 보낸 답장
하동河東의 유배인이 답장을 씀


한 해가 저물어 가는 깊은 산에서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이 참으로 괴롭던 즈음에 손수 쓴 서찰이 문득 책상머리에 떨어져

0001_0036_a_01L
鵬大師 禪案 回示

0001_0036_a_02L河東纍人 答書


0001_0036_a_03L

0001_0036_a_04L歲暮窮山思人政苦
0001_0036_a_05L是際手筆忽落案頭

0001_0036_b_01L펼쳐 보니 위안되는 마음 끝이 없었습니다.
귀양 온 나는 한결같이 병으로 신음하니, 답답하고 가련한들 어찌하겠습니까? 말씀하신 뜻은 이미 알았으니 다시 마땅히 서찰에 언급할 계획입니다.
보내 준 밤(栗子)은 그대로 받았습니다.
나머지는 병으로 갖추지 못합니다. 정으로 살펴주십시오.

기己 자 들어가는 해 12월 28일 귀양 온 사람(纍人).
추신
태성太性 스님에게는 바빠서 아직 답장을 못했으니, 이 서찰을 같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좌부승지左副承旨 정홍제鄭弘濟62)

0001_0036_b_01L披慰無已纍人一味吟
0001_0036_b_02L悶憐奈何示意已悉
0001_0036_b_03L更當書及計耳所送
0001_0036_b_04L栗子依受耳餘病不具
0001_0036_b_05L情照

0001_0036_b_06L

0001_0036_b_07L己臘月卄八日 纍人

0001_0036_b_08L

0001_0036_b_09L太性處忙未答此紙同
0001_0036_b_10L可也

0001_0036_b_11L左副承旨 鄭弘濟

0001_0037_a_01L
붕 스님에게 답장을 부치다

서봉西峰의 달을 보니 정말로 그리운 생각이 들었는데, 뜻밖에 서찰을 보고 질병이 있는 것을 알았으니 매우 염려가 됩니다.
다만 오래도록 모시면서 왔다 갔다 하지 못했는데, 이 같은 사정을 들으니 그림자를 붙잡고 회포를 이야기하는 듯이 황홀하고 깊이 다행스럽게 생각됩니다.
이곳의 나는 새해 전후로 연이어 감기로 신음하며 앓고 있습니다. 다만 부모님의 건강(庭候)이 그럭저럭 편안하니 다행입니다.
삼덕三德의 진귀한 음식이 마침 이르렀으니, 정겨운 음식에 감사드립니다.
조만간에 한번 방문해 주기를 미리 우두커니 서서 기다리겠습니다.
바쁘고 소란스러워 갖추지 못합니다.

기사년(1749) 1월 ■■■

0001_0037_a_01L
鵬上人 答寄

0001_0037_a_02L

0001_0037_a_03L西峯之月政入思想意外見
0001_0037_a_04L知有所愼爲慮爲慮第久
0001_0037_a_05L不奉往復而得此情跡則怳
0001_0037_a_06L如係影討懷爲幸則深矣
0001_0037_a_07L此中歲前後連以感氣呻
0001_0037_a_08L但幸庭候之粗安耳
0001_0037_a_09L三德珍饌適及可感情味
0001_0037_a_10L早晩一訪預此凝竚忙撓
0001_0037_a_11L不具

0001_0037_a_12L

0001_0037_a_13L己巳元月■■■

0001_0037_b_01L
□ … □
보내 준 소찬 및 연간죽煙間竹63)은 그대로 받았으니 멀리서 생각해 주는 정에 많이 감사합니다.
바쁜 가운데 대략 이렇게만 씁니다. 다하지 못합니다.

기사년(1749) 1월 16일 소곡小谷 병든 서생.
추신
한 건의 달력을 보냅니다. 비록 늦었지만 산속에 없는 것보다는 낫겟지요. 변변치 못한 붓도 같이 보냅니다.
시직侍直 김치만金致萬64)

0001_0037_b_01L
□ … □

0001_0037_b_02L■■■■■送饋素
0001_0037_b_03L饌及煙間竹依領多謝
0001_0037_b_04L遠念之情忙艸只此
0001_0037_b_05L不究

0001_0037_b_06L

0001_0037_b_07L己巳正月旣望

0001_0037_b_08L小谷 病生

0001_0037_b_09L

0001_0037_b_10L一曆送去雖晩猶勝於
0001_0037_b_11L山中之無耶劣筆
0001_0037_b_12L亦伴之

0001_0037_b_13L侍直 金致萬

0001_0038_a_01L
붕 스님에게 답장을 보내다

방금 백족白足(스님)이 와서 산속의 집 소식을 전해 주니, 오래도록 소식이 막힌 끝에 위안되고 기쁜 마음을

0001_0038_a_01L
鵬山人 寄答

0001_0038_a_02L

0001_0038_a_03L卽者白足來傳山家
0001_0038_a_04L消息久阻之餘慰喜

0001_0038_b_01L말할 수가 없습니다.
이곳의 나는 우선 예전처럼 지내고 있으니 다른 것은 말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보내온 두 가지 음식은 그대의 정을 볼 수 있고 또 칭찬할 만합니다.
바쁘고 어수선하여 일일이 말하지 못합니다.

기사년(1749) 1월 20일 전곡磚谷.
이조 판서吏曹判書 신만申晩65)

0001_0038_b_01L不可言此中姑依遣
0001_0038_b_02L他無可布送來兩味
0001_0038_b_03L可見爾情亦得可揚
0001_0038_b_04L忙擾不一

0001_0038_b_05L

0001_0038_b_06L己巳 元月 卄日

0001_0038_b_07L磚谷

0001_0038_b_08L吏曹判書 申晩

0001_0039_a_01L
붕 스님에게 답장을 보내다

* 후반부에 황칠한 부분이 많아 해독이 불가능하여 번역을 생략한다.

0001_0039_a_01L
16)
0001_0039_a_02L答鵬上人

0001_0039_a_03L

0001_0039_a_04L隔歲未聞聲息
0001_0039_a_05L足來傳遠札新年
0001_0039_a_06L未■■■已得千里

0001_0039_b_01L

0001_0039_b_01L此間凡百粗安可幸
0001_0039_b_02L曺生員前書
0001_0039_b_03L相從留處之言
0001_0039_b_04L此則■■有不便
0001_0039_b_05L■■■渠之言
0001_0039_b_06L若來未見豈不
0001_0039_b_07L觀上人顔面
0001_0039_b_08L■■■乎但姑不
0001_0039_b_09L■■■宿昔
0001_0039_b_10L之■不可先自相
0001_0039_b_11L■理勢然也山椒五味丸
0001_0039_b_12L■珍貺烟竹生本不吸之17)
0001_0039_b_13L劫然豈無用
0001_0039_b_14L處乎家弟18)
0001_0039_b_15L適在他處耳■■
0001_0039_b_16L不一一

0001_0039_b_17L

0001_0039_b_18L己巳正月旣望 貞谷 病生

0001_0039_b_19L崔進士 弘簡19)

0001_0040_a_01L
밀양 표충사의 붕 대사에게 보낸 답장

스님이 와서 손수 쓴 서찰을 전해 주어 지난 몇 해 동안에 참선하며 지내는 정황이 맑고 좋음을 알았으니 매우 기쁩니다.
설송당雪松堂66)이 가까이 석곡石谷에 사는데 귀가 먹은 것이

0001_0040_a_01L
密陽 表忠寺

0001_0040_a_02L鵬大師 禪案 回示


0001_0040_a_03L

0001_0040_a_04L闍黎來傳手書以悉年
0001_0040_a_05L來禪況淸勝可喜
0001_0040_a_06L雪松堂近住石谷而耳聾

0001_0040_b_01L점점 심해진다고 들었으니 매 우 염려가 됩니다.
이곳의 나는 작년과 새해 초부터 거듭 위험한 질병을 얻었는데, 아직 상쾌하게 회복되지 않아 고민스럽습니다. 근래에 서재西宰가 되어 서로 만나보기가 쉽지 않으니 매우 슬픕니다.
보내온 한 개의 반죽斑竹과 오미환五味丸은 그대로 받았습니다.
우선 이렇게만 씁니다.

기사년(1749) 1월 18일 수동壽洞.67)
한림翰林 이중李中

0001_0040_b_01L轉甚云馳念此間自前年歲
0001_0040_b_02L重得危疾尙未夬[快]復可悶
0001_0040_b_03L近作西宰相見未易可悵
0001_0040_b_04L來一斑竹五味丸依受耳
0001_0040_b_05L姑只此

0001_0040_b_06L

0001_0040_b_07L己巳 元月 十八日 壽洞 翰林 李中

0001_0041_a_01L
붕 대사에게 보낸 서간    (함緘)

뜻밖에 스님이 와서 한 통의 서찰을 전해 주어 참선하며 지내는 상황이 편안함을 알았으니 위안되어 근심이 풀리는 것을 말할 수가 없습니다.
이곳의 나는

0001_0041_a_01L
鵬師禪榻    (緘)

0001_0041_a_02L

0001_0041_a_03L謂外沙彌來
0001_0041_a_04L致一札以審
0001_0041_a_05L禪況之安
0001_0041_a_06L釋不可言此間

0001_0041_b_01L근심과 질병이 집에 가득하니 답답하고 답답한 심정을 어찌 말하겠습니까?
보내 준 세 가지 물건은 잊지 못하는 뜻을 알 수 있습니다. 산에 계시는 사람이 서로 문안하는데, 어찌 반드시 물건이 있어야 합니까? 도리어 편치 않습니다.
나머지는 바쁜 가운데 써서 일일이 말하지 못합니다.

기사년(1749) 1월 20일 담와澹窩68).

0001_0041_b_01L憂病滿室悶悶
0001_0041_b_02L何言所惠三
0001_0041_b_03L有以知不
0001_0041_b_04L忘之意而山人
0001_0041_b_05L相問何必有物
0001_0041_b_06L還用不安耳
0001_0041_b_07L餘忙草不一

0001_0041_b_08L

0001_0041_b_09L己巳 正月 卄日 澹窩

0001_0042_a_01L
붕 스님에게 답장을 부치다    (완完)

오래도록 소식이 막혀 항상 서글프고 그리워하는 마음 깊습니다. 멀리서 보내 주신 스님의 서찰로 또 산에서 지내시는 정황이 아름답고 좋음을 알았으니 만남을 대신한 기쁨을 헤아릴 수 없을 정도입니다.
이곳의 나는 부모님을 모시며 그럭저럭 지내고 있는데 부모님이 연로하여 기쁘고도 두려운 사사로운 마음69)이 새해를 맞이하여 더욱 깊습니다.

0001_0042_a_01L
鵬上人 答寄   (完)

0001_0042_a_02L

0001_0042_a_03L久阻音信恒深悵戀遠辱
0001_0042_a_04L禪札且悉山況佳勝替面之喜
0001_0042_a_05L有不可量此間侍奉粗遣
0001_0042_a_06L而喜惧[懼]之私逢新益深耳

0001_0042_b_01L말씀하신 뜻은 어찌 주선하려고 하지 않겠습니까마는 새로 온 관찰사는 본래 서찰을 주고받는 일이 없으니 어찌하겠습니까? 또 산에 계시는 사람이 영문營門에 달려가 뵙는 것도 끝내 본색本色이 아니니, 어찌 공空과 색色의 경계에 힘쓰고, 육정六情의 근원을 맑게 하지 않겠습니까? 우습고 우습습니다.
보내온 네 가지 물건은 정情은 볼 수 있지만 곶감에 이르러서는 산의 맛과 다르니, 받아도 편치 않아 이에 돌려보내니 헤아려 주심이 어떻겠습니까?
무환자無患子는 미리 약속해 둔 지가 이미 오래되었는데, 어찌 그것을 실천하지 않습니까?
나머지는 서찰에 다 쓰지 못합니다. 갖추지 못합니다.

기사년(1749) 2월 20일 소계 산인昭溪散人.
충주 목사忠州牧使 김치일金致一70)

0001_0042_b_01L示意豈不欲周章而新使本
0001_0042_b_02L無書尺往來之事奈何
0001_0042_b_03L山人之趍[趨]謁營門終非本色
0001_0042_b_04L不勉空色之戒而淸六情之根
0001_0042_b_05L好笑好笑惠來四種情則
0001_0042_b_06L可見而至於乾柿異於山味
0001_0042_b_07L受之未安玆以還送諒之
0001_0042_b_08L如何無患子留約已久
0001_0042_b_09L不踐之餘非書可盡不具

0001_0042_b_10L

0001_0042_b_11L己巳二月卄日 昭溪散人20)

0001_0042_b_12L忠州牧使 金致一

0001_0043_a_01L
붕 스님에게 답장을 쓰다

스님의 장삼을 보면 때때로 그리워하는 마음이 있었습니다. 문득 새해에 스님의 서찰이 멀리서 이르러, 절에서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여 복을 증진시키는 것을 알았으니, 기쁘고 위안되는 나머지 진실로 감사하여 잊을 수 없습니다.
담뱃대(烟竹)와 약찬藥饌을 보내 준 것에서 더욱 정겨운 맛을 보았으니 깊이 감사하고 깊이 감사합니다.
이곳의 나는 질병으로 몹시 바빠서 말할 것이 없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기사년(1749) 1월 16일 공곡公谷에서 속되고 졸렬한 사람이.

0001_0043_a_01L
復鵬上人

0001_0043_a_02L

0001_0043_a_03L瞻住錫衲時有憧憧忽此新
0001_0043_a_04L年淸札遠至以審山門
0001_0043_a_05L餞迎增福欣慰之餘良謝
0001_0043_a_06L弗忘烟竹藥饌之惠
0001_0043_a_07L見情味深感深感此間病
0001_0043_a_08L憂袞[滾]汨無足言者不宣

0001_0043_a_09L

0001_0043_a_10L己巳正月十六日 公谷 俗拙

0001_0043_b_01L공조 참판工曹參判 김희로金熙[希]魯71)
추신
붓과 먹으로 마음을 표합니다.

0001_0043_b_01L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72) 권지일卷之一.
이 책의 이 권은 전질 가운데 누락된 것입니다. 듣건대 판본이 동화사桐華寺에 있는데 대사가 마침 그곳으로 간다고 하니, 만약에 찾아서 대조해 보고 인쇄해서 보내 준다면 이 뒤에 마땅히 백지白紙로 기준하여 들어가는 수량을 보내 갚겠습니다.

진사進士 김종후金鍾厚73)

0001_0043_b_01L筆墨表意

0001_0043_b_02L工曹參判 金熙[希]魯

0001_0043_b_03L

0001_0043_b_04L
儀禮經傳通解 卷之一

0001_0043_b_05L此冊此卷於全秩中見落聞板
0001_0043_b_06L本在桐華寺而師適住彼
0001_0043_b_07L如得搜考印惠則從當
0001_0043_b_08L以白紙準容入數送償也

0001_0043_b_09L進士 金鍾厚

0001_0044_a_01L
붕 스님께 보냄

뜻밖에 손수 쓴 문안서찰을 보고서 요사이 도를 닦는 형편이 평온함을 알았으니 매우 위안되고 매우 위안됩니다.
나는 우선 그럭저럭 편안하나 질병이 연이어져서 □… □

0001_0044_a_01L
鵬上人 法案

0001_0044_a_02L

0001_0044_a_03L料外得見
0001_0044_a_04L手問以悉近年
0001_0044_a_05L道味平穩深慰深慰
0001_0044_a_06L身姑粗安而病憂連綿
0001_0044_a_07L□…□

0001_0044_b_01L서찰을 주고받는 일이 있으니 마땅히 안부를 여쭙는 뜻으로 부탁합니다.
보내온 산의 음식은 보낸 대로 받았으니 많이 감사합니다. 참먹 한 정丁을 보냅니다.
많이 언급하지 않습니다.

기己 자 들어가는 해 1월 20일 병들어 못난 사람.

0001_0044_b_01L有書札往復事當以
0001_0044_b_02L存問之意奉托耳
0001_0044_b_03L送貺山味依受多感
0001_0044_b_04L眞玄一丁送去耳
0001_0044_b_05L多及

0001_0044_b_06L

0001_0044_b_07L己 正 卄 病拙

0001_0045_a_01L
붕 스님께 답장을 부침

새해 초에 서찰을 부쳤는데 지금까지 답장이 없어 마음이 남몰래 의아하고 우울했는데, 지금 스님이 비로소 답장서찰을 전하여 참선하며 지내는 상황이 무사함을 알았으니 위안되고 기쁜 마음을 형언할 수 없습니다.
작년 가을에 만났다 헤어질 때, 가까운 시일 내에 다시 방문하겠다는 약속이 간곡하였습니다. 오히려 소식이 적막했던 것은

0001_0045_a_01L
答寄鵬上人

0001_0045_a_02L

0001_0045_a_03L歲初寄書而訖無答心竊
0001_0045_a_04L訝鬱今此沙彌始傳答
0001_0045_a_05L知禪況無事慰喜
0001_0045_a_06L不可狀昨秋逢別時從近更
0001_0045_a_07L訪之約丁寧矣尙寂音有

0001_0045_b_01L무슨 까닭이 있어서 그러한 것입니까?
산 맛의 음식이 마침 막 구하려던 즈음에 이르렀습니다. 이것으로써 대사의 정성을 상상할 수 있으니, 많이 감사합니다.
이곳의 나는 환갑을 만나 온갖 병이 이처럼 서로 공격하니, 어찌 이승에서의 흥취가 있겠습니까? 참으로 괴롭고 참으로 괴롭습니다.
나머지는 일일이 말하지 못합니다.

기사년(1749) 1월 26일 태촌泰村에 머물고 있는 나그네가 답하다.

0001_0045_b_01L甚故而然耶山味之饌
0001_0045_b_02L及於方求之際以此可想
0001_0045_b_03L師之精誠多感此間逢
0001_0045_b_04L此周甲百病交攻如此
0001_0045_b_05L豈有陽界之興良苦良苦
0001_0045_b_06L不能一一

0001_0045_b_07L

0001_0045_b_08L己巳元月卄六

0001_0045_b_09L泰村 寓客 答

0001_0046_a_01L
붕 스님의 선방에 보낸 답장
연양현延暘縣 재실에서 씀


작년 여름에 서로 본 뒤에 지금까지 거주하는 곳을 알지 못하였습니다. 그런데 방금 백족白足이 서찰을 전해 주어 비로소 서울에 갔다 돌아온 나머지에 연이어 표충사에 주석하여

0001_0046_a_01L
鵬上人 禪房 回傳

0001_0046_a_02L延暘縣齋書


0001_0046_a_03L

0001_0046_a_04L昨夏相見後至今不知所住處
0001_0046_a_05L此白足傳書始聞京洛往還之
0001_0046_a_06L連住表忠寺

0001_0046_b_01L불법을 닦으며 맑고 넉넉하게 지냄을 들었으니, 기쁘고 위안되며 기쁘고 위안됩니다.
이곳의 나의 상황은 지난 가을에 질병을 얻어 석 달 동안 거의 죽을 뻔하다가 다행히 귀신의 명부 기록(鬼錄)에서 벗어났으나 한 관직에서 지루하게 지내어 여러 번 사양했어도 관직을 면하지 못했고, 아직도 빈 관아에 빌붙어 앉아 있으니, 부끄럽고 분한 마음을 어찌 말하겠습니까?
보관하고 있는 시축은 병석에서 일어난 날에 공무로 인하여 분주하여 비록 시평詩評에 미칠 겨를이 없었으나 거듭 애써 간청한 뜻에 어긋났습니다. 때때로 눈으로 보니 과연 한 편에 한 구절도 감상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만약 하자를 지적하여 마음대로 먹으로 지운다면 뜻에 따라 먹으로 쓰겠으나 아마도 크게 매몰되는 데에 이를까 염려되므로 이에 그냥 돌려보냅니다. 부디 나의 정이 야박해서 그런 것이라고 말하지 마십시오. 속인의 소견이 이미 이와 같으니 어찌하고 어찌하겠습니까?
나머지 회포는 서찰로 다하지 못합니다. 다만 스님께서 탈이 없기를 바랄 뿐입니다. 이만 줄입니다.

기사년(1749) 2월 초8일 청천 노생靑泉老生.
연일(영일) 현감延日縣監 신유한申維翰74)

0001_0046_b_01L法況淸裕欣慰欣慰此狀前秋得病
0001_0046_b_02L三朔幾死幸脫鬼錄而支離一官
0001_0046_b_03L累辭不免尙今寄坐空衙慙憤
0001_0046_b_04L何言所留詩軸病起之日因公奔
0001_0046_b_05L雖不暇及於詩評而重違
0001_0046_b_06L勤請時時目擊則果無一篇一句可
0001_0046_b_07L賞者若使指摘瑕疵隨意墨
0001_0046_b_08L恐至於太埋沒矣玆以空還
0001_0046_b_09L勿謂我情薄而然也俗眼所見旣如
0001_0046_b_10L奈何奈何餘懷非書可悉只冀
0001_0046_b_11L錫鉢無恙不宣

0001_0046_b_12L

0001_0046_b_13L己巳二月初八日 靑泉老生21)

0001_0046_b_14L延日縣監 申維翰

0001_0047_a_01L
붕 대사에게 답장을 보냄
수월정受月亭에 머문 나그네가 답장을 씀   (돈頓)


응천凝川(밀양)에서 잠시 만났다가 행차 기일이 바빠 서두르다 온화하게 토론하지 못했으니, 선禪을 닦는 산과 구름 위의 달이 지금까지 아쉬움이 느껴집니다.

0001_0047_a_01L
鵬大師 法案 回傳

0001_0047_a_02L受月亭 留客 謝帖   (頓)


0001_0047_a_03L

0001_0047_a_04L凝川霎面行期艸艸穩討
0001_0047_a_05L未得禪山雲月迨覺依依

0001_0047_b_01L지금 이렇게 상좌를 보내고 겸하여 서찰로 문안까지 해 주니 위안되고 후련한 마음이 지극합니다. 하물며 산속에서 경전을 공부하며 지내는 생활이 연이어 좋다는 것을 알았는데야 더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이곳의 나는 우선 예전과 같은 형편으로 지내고 있는데 티끌 세상과 스님이 떨어져 있어 서로 만날 길이 없으니 어찌하겠습니까?
다섯 가지 음식을 보냈는데, 이것은 신선의 음식이니 더욱 감사함을 느낍니다. 언제 마땅히 다정하게 대화하며 오묘함을 이야기할는지요? 매우 바라고 매우 바랍니다.
말씀하신 일은 관아에서 묵고 있는 손님이 주선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마땅히 틈을 내어 눈앞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루어질지 이루어지지 않을지를 어찌 미리 헤아릴 수 있겠습니까?
대사의 상좌는 함께 말할 수 있는 충분한 사람이니 매우 사랑하며 어여쁩니다.
나머지는 우선 격식을 갖추지 못합니다.

기사년(1749) 4월 그믐날에 자진子珍.

0001_0047_b_01L此委送上佐兼爲
0001_0047_b_02L書問慰豁極矣矧知山中
0001_0047_b_03L經味之連佳者乎此中姑
0001_0047_b_04L依前狀塵山落落相逢無路
0001_0047_b_05L奈何五味之惠此是仙
0001_0047_b_06L尤覺感謝何當穩對談
0001_0047_b_07L竗耶深企深企示事非衙
0001_0047_b_08L客所可周章而當乘隙禀白
0001_0047_b_09L眼前而成不成何可預度耶
0001_0047_b_10L師之上佐足可與言者甚可愛
0001_0047_b_11L餘姑不具式22)

0001_0047_b_12L

0001_0047_b_13L己巳 四月 晦日 子珍23)

0001_0048_a_01L
붕 스님에게 답장을 씀
달성達城에서 쓰다


서찰을 보고서 이에 요사이 참선하며 지내는 생활이 편안하고 좋다는 것을 알았으니 위안되고 기쁜 마음 말할 수 없습니다.
□ … □

기己 자 들어가는 해(1749) 4월 14일 달성 판관이.
이하 박락

0001_0048_a_01L
鵬上人答

0001_0048_a_02L達城書


0001_0048_a_03L

0001_0048_a_04L卽見書仍悉近間
0001_0048_a_05L禪況安吉慰喜不可言
0001_0048_a_06L□ … □
0001_0048_a_07L

0001_0048_a_08L己四月十四日 達判

0001_0048_a_09L이하 박락
  1. 1) 중제重制 : 중복重服. 사촌이나 고모 또는 고종사촌 등 대공친大功親의 상사喪事 때에 9달 동안 입던 복제服制.
  2. 2) 종남산의 첩경(終南捷經) : 종남산終南山이 지름길이라는 뜻으로, 쉽게 벼슬하는 길을 이르는 말. 또는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한 편법적인 수단을 비유하는 말. 당나라 때의 노장용盧藏用이 전시殿試에 낙방한 뒤 궁성 가까이 있는 종남산에서 지조가 높은 체하고 은거하고 있으니, 허명이 세상에 나서 임금의 부름을 받아 벼슬하게 되었다고 함.
  3. 3) 원숭이와 학 : 남제南齊의 공치규孔稚圭가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에 “혜초 장막은 텅 비어 밤 학이 원망하고, 산중 사람이 떠나가매 새벽 원숭이가 놀란다.(蕙帳空兮夜鶴怨。 山人去兮曉猿驚。)”라고 한 데서 따온 것으로, 흔히 은사가 사는 곳의 배경을 묘사하는 말로 쓰인다.
  4. 4) 체신替伸 : 서찰로 대신함. 체신替申이라고도 씀. 직접 가서 인사하지 못하고 서찰로 대신하여 마음을 전한다는 말이다.
  5. 5) 정중직鄭重稷(1694∼1765) : 조선 중기의 유학자. 권1 서간 20번 참조.
  6. 6) 포산苞山 : ①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과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옥포면·유가면에 걸쳐 있는 산. ② 지금의 대구 달성군 현풍면·논공면·구지면·유가면 일대의 옛 별호. 현풍현. 여기서는 발신자가 현풍 곽씨임을 뜻한다.
  7. 7) 노탄공蘆灘公 : 곽삼길郭三吉. 홍의장군으로 널리 알려진 함경도 관찰사 충익공 망우당 곽재우郭再祐와 종형제 간이다. 학봉 김성일, 한강 정구, 동강 김우옹, 여헌 장현광 등의 당대 영남 인사들과 매우 가까웠던 학자로 청송 부사를 지낸 대암 박성은 공의 처남이다. 공과 함께 임진왜란의 의병으로 참여한 정헌 곽주는 아들이다.
  8. 8) 곽재현郭載玄(1670~1742) : 본관은 현풍, 자는 태초泰初, 호는 구은龜隱.
  9. 9) * 이정보李鼎輔(1693∼1766)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 자는 사수士受, 호는 삼주三洲 또는 보객정報客亭. 1732년(영조 8)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검열·대교를 거쳐 1734년 봉교가 되었다. 1736년 지평으로 있을 때 탕평책을 반대하는 시무십일조時務十一條를 상소했다가 면책을 받고 사직하였다. 1737년 부수찬·교리가 되고 이조 좌랑·교서관 교리에 전임되었으며, 1738년 이조 정랑·응교·형조 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10. 10) 철식醊食 : 모든 신神의 자리를 연결하여 이어서 제사지내는 것. 
  11. 11) 연좌蓮座 : 부처님과 보살이 앉는 연화의 대좌. 연화는 진흙 속에서 피어났어도 물들지 않는 덕이 있으므로 불보살이 앉는 자리를 만든다. 연대蓮臺·연화대·화대華臺·연화좌蓮花座.
  12. 12) * 이병연李秉淵(1671~1751) :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한산. 자는 일원一源, 호는 사천槎川·백악하白嶽下. 김창흡金昌翕의 문인이며, 벼슬은 음보蔭補로 부사府使에 이르렀다. 시에 뛰어나 영조 시대 최고의 시인으로 일컬어졌다. 현재 시집에 전하는 그의 시는 대부분 산수·영물시다. 특히 매화를 소재로 55수나 되는 시를 지었는데, 이는 대개 은일적인 기분을 표현한 것으로, 중국의 자연시인 도연명陶淵明의 의경을 흠모하였던 것 같다. 저서로 『사천시초槎川詩抄』 2책이 전한다.
  13. 13) 경개傾蓋 : 길거리에서 우연히 만나 수레의 지붕을 마주 대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와 같이 한 번 보고 친 해짐. 『사기』 권83 「추양전鄒陽傳」에 “속담에 흰머리가 되도록 사귀어도 새사람 같고 경개를 하여도 옛친구와 같다는 말이 있는데, 그 이유는 서로의 마음을 알고 모르는 차이 때문이다.(諺曰。 有白頭如新。 傾蓋如故。 何則。 知與不知也。)”라는 기록이 있다.
  14. 14) 회리晦里 : 경상북도 영덕군의 지명인 듯하다.
  15. 15) 이동履洞 : 서울 중구 을지로3가·저동2가·초동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신을 파는 가게가 있어 신전골이라 하였는데, 이를 한자명으로 표기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16. 16) 고목告目 : 각 관청에서 공적인 일을 보고하거나 문안할 때 사용하는 간단한 양식의 문서. 권3의 각주 9번 참조.
  17. 17) 호동壺洞 : 서울 종로구 원남동에 있던 마을로서, 황참의 다리 동북쪽에 있는데 모양이 호리병과 같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18. 18) 초동椒洞 : 서울 중구 을지로3가·초동·충무로3가에 걸쳐 있던 마을. 앞의 주 13번 참조.
  19. 19) * 김치만金致萬(1697∼1753) : 조선 후기의 문신. 권1 서간 33번 참조.
  20. 20) * 상단 낙서는 번역하지 않는다.
  21. 21) 풍사風邪 : 바람이 병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을 이르는 말.
  22. 22) 반우返虞 : 장사 치른 뒤에 신주神主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오는 일. 또는 그 절차. 유교식 상례의 반곡返哭과 우제虞祭. 반곡返哭은 시체를 매장하고 나서 집에 돌아와 곡을 하는 것이고, 우제虞祭는 땅속에 묻힌 시신의 혼령을 편안히 하기 위해 지내는 제사임.
  23. 23) 삼랑三浪 : 경남 밀양密陽의 삼랑三浪, 즉 오늘날의 삼랑진三浪津을 가리키는데, 조선 시대에 이곳에 조창漕倉인 삼랑창三浪倉이 있었다.
  24. 24) 정과正果 : 온갖 과실·새앙·연근·인삼 등을 꿀이나 설탕물에 졸여 만든 과자.
  25. 25) 지촉紙燭 : 흔히 상가에 부의賻儀하는 종이와 밀초.
  26. 26) 여차廬次 : 상중喪中에 상주가 거처하기 위해 초가집으로 만든 막차幕次.
  27. 27) 남강南江 : 지명도 있지만 여기서는 발신인의 호로 추정된다.
  28. 28) 이정사釐正使 : 이정청釐正廳의 관리. 이정청은 1703년(숙종29)에 군제의 문란을 정리하고 군정을 쇄신하기 위해 설치한 기관이다.
  29. 29) 졸곡卒哭 : 삼우제三虞祭를 지낸 뒤에 곡을 끝낸다는 뜻으로 지내는 제사. 사람이 죽은 지 석 달 만에 오는 첫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택하여 지낸다.
  30. 30) 연기練期 : 소상小祥을 지내는 시기. 즉 3년상이면 13개월, 기년상이면 11개월 만에 지내는 제사인 연제練祭가 되었음을 말한다.
  31. 31) 고애손孤哀孫 :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모두 여읜 장손이 아버지 없이 상제가 될 때 자기를 이르는 1인칭 대명사.
  32. 32) 혁제赫蹏 : 옛날에 글씨를 쓰는 데 썼던 폭이 좁은 비단을 말하는데, 종이를 칭하는 말로 전용되었다.
  33. 33) 우제虞祭 : 장례식을 마친 뒤, 집으로 돌아와 지내는 초우初虞, 재우再虞, 삼우三虞의 제사.
  34. 34) 극인棘人 : 상제喪制. 부모나 조부모가 세상을 떠나서 거상 중에 있는 사람.
  35. 35) 연기練期 : 소상小祥을 지내는 시기. 즉 3년상이면 13개월, 기년상이면 11개월 만에 지내는 제사인 연제練祭가 되었음을 말한다. 
  36. 36) 고자孤子 :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만 모시고 있던 사람이 상중에 있을 때 자기를 일컫는 말.
  37. 37) 선전관宣傳官 : 조선 시대 선전관청宣傳官廳에 둔 서반 무관직으로 정삼품正三品 당상관堂上官부터 종구품從九品까지 있었다. 왕의 시위侍衛·전령傳令·부신符信의 출납과 사졸士卒의 진퇴를 호령하는 형명 등을 맡아본 일종의 무직승지武職承旨의 구실을 하였다.
  38. 38) 비국랑備局郞 : 조선 시대 비변사의 종6품 벼슬.
  39. 39) 기하丌下 : 책상 아래. 상대방을 높여 이르는 말.
  40. 40) 재악사載嶽寺 : 표충사. 표충사가 위치한 산을 재악산載嶽山 또는 재약산載藥山이라고 하였다.
  41. 41) 동각東閣 : 지방 수령의 관아를 뜻한다. 남조南朝 양梁나라 하손何遜이 건안왕建安王의 수조관水曹官으로 양주楊州에 있을 때 관청 뜰에 매화 한 그루가 있어서 매일같이 그 나무 아래서 시를 읊곤 하였다. 뒤에 낙양洛陽에 돌아갔다가 그 매화가 그리워서 다시 양주로 발령해 주길 청하여 양주에 당도하니 매화가 한창 피었기에 매화나무 아래서 종일토록 서성거렸다. 두보杜甫의 〈화배적등촉주동정 송객봉조매 상억견기和裴迪登蜀州東亭 送客逢早梅 相憶見記〉에 “동각의 관청 매화가 시흥을 돋우니, 도리어 하손이 양주에 있을 때 같구나.(東閣官梅動詩興。 還如何遜在楊州。)”라고 하였다.
  42. 42) * 정우량鄭羽良(1692∼1754) : 조선 후기의 문신. 권1 서간 9번 참조.
  43. 43) * 이익보李益輔(1708∼1767)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 자는 사겸士謙. 1749년에 충청도관찰사로 나가 치적을 남겼다. 1752년에 좌승지에 임명되고, 그 뒤 고성 군수·예조 참의·공조 참판·도승지·예조 참판·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44. 44) 풍신楓辰 : 단풍이 한창 물드는 시기인 늦가을을 뜻하는 말로 음력9 월을 달리 부르는 말.
  45. 45) 수각교水閣橋 : 서울 중구 남대문로4가 1번지 청계천 지류인 창동천에 있던 다리로 현 신한은행 남대문 지점 앞이다. 『한경지략』에 의하면 ‘이 다리에는 필시 수각水閣이 있었을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수각으로 인해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수각다리 혹은 수교水橋라고도 하는데, 『교량조배절목橋梁造排節目』에 의하면 수각교의 너비가 약 37척이었다고 한다.
  46. 46) * 구선행具善行(1709∼1775)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능성. 1753년 훈련도정訓鍊都正·금군별장禁軍別將, 1754년 금위대장, 1755년 좌변포도대장左邊捕盜大將 등을 거쳐 1756년 다시 금위대장이 되었다. 그 시절에 무인武人들이 무술을 연마하는 데는 뜻을 두지 않고 벼슬을 구하는 데만 급급하는 폐단을 지적하였다.
  47. 47) 육도六鞱 : 고대 중국의 병법서의 하나.
  48. 48) 당성唐城 : 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의 옛 지명.
  49. 49) 전동典洞 : 서울 종로구 견지동·종로2가동·공평동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현재 종로구 견지동 39번지, 즉 지난날 우정국 자리에 궁중에서 사용하는 의약과 왕이 하사하는 의약을 제조 공납하는 관아인 전의감典醫監이 있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50. 50) 판부사判府事 :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조선 시대에 둔 중추부의 으뜸 벼슬
  51. 51) 시동匙洞 : 이 마을은 옛날 바닷물이 출입하여 배를 대던 곳을 외포外浦, 그 주위에 살구나무 몇 그루가 있던 곳을 행촌杏村이라 했는데, 그 마을 형국이 마치 숟가락과 흡사하다고 하여 시리匙里란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52. 52) 존숭도감尊崇都監 : 왕·왕후·대비 또는 선왕·선왕후 등에게 시호·휘호 등을 올리기 위해 임시로 설치한 의례 담당 기구. 상호도감上號都監·존호도감尊號都監·가상존호도감加上尊號都監·추상존호도감追上尊號都監이라고도 한다.
  53. 53) * 김치일金致一(1700~1759) : 1721년 증광增廣 진사進士에 합격하고 경릉 참봉參奉·봉사奉事·직장 直長 등을 역임한 후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호조戶曹 및 공조工曹 좌랑佐郞·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 등 내직內職을 역임하였고, 충주忠州 목사·장악원정掌樂院正 등을 역임하였다.
  54. 54) 『준제경准提經』 : 다라니의 염송법과 그 공덕을 설명한 경으로 원래 이름은 『불설칠구지불모준제대명다라니경佛說七俱胝佛母准提大明陀羅尼經』이다. 『칠구지불모소설준제다라니경七俱胝佛母所說准提陀羅尼經』이라 약칭하기도 한다. 준제准提는 산스크리트어로는 춘디(cundi)라 하는데 혹은 준니准尼로 음역된다. 이는 청정의 뜻을 가지고 있다.
  55. 55) 규복圭復 : 삼복백규三復白圭에서 나온 말로 받은 서찰을 여러 번 되풀이하여 읽음을 이른다. 공자의 제자 남용南容이 백규白圭라는 내용의 시를 여러 번 되풀이하여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56. 56) 유가瑜伽 : 마음을 다잡고 정신을 집중하는 것. 또는 『유가경瑜伽經』을 가리킨다.
  57. 57) 소겁小劫 : 사람의 목숨이 8만 살부터 100년마다 한 살씩 줄어서 열 살이 되기까지의 동안. 또는 열 살에서 100년마다 한 살씩 늘어서 8만 살에 이르는 동안.
  58. 58) 총령蔥嶺 : 돈황敦煌에서 서쪽으로 8천 리 떨어져 있고 신강성新彊省 서남 경境에 있는 산령으로서 곤륜산崑崙山·천산天山의 산맥이 시작되는 곳이다. 당唐의 현장玄奘, 혜초慧超 등 여러 선사들이 일찍이 이곳을 경유하여 서역으로 왕래하였다. 지금의 파미르 고원이라고 한다.
  59. 59) 원통圓通 : 지혜로써 진여眞如의 이치를 깨달은 상태에 있음. 또는 그 이치. 그 본질이 원만하여 널리 모든 존재에 두루 통하고 그 작용은 자재하여 거리낌이 없이 모든 존재에 작용한다.
  60. 60) * 김치만金致萬(1697∼1753) : 조선 후기의 문신. 권1 서간 33번 참조.
  61. 61) * 김종후金鍾厚(1721∼1780)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 자는 자정子靜, 호는 본암本庵 또는 진재眞齋. 어려서부터 사부詞賦에 능하여 문명이 있었고, 1741년(영조 17) 생원이 된 뒤부터는 성리학자로 이름을 얻었다. 저서로는 『본암집』이 있고, 편저로 『가례집고家禮集考』·『청풍세고淸風世稿』가 있다.
  62. 62) * 정홍제鄭弘濟(1682~?)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영일. 자는 여즙汝楫. 1727년(영조 3)에 삼사三司에서 합계合啓한 일이 잘못되어 관원들이 모두 교체되었는데, 이 일을 계기로 그 또한 관직에서 파면을 당하였다. 1736년(영조 12)에 사면이 되어 정언正言에 재차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후 남양 군수南陽郡守로 재직할 때 백성들의 원망을 샀던 일과 거짓으로 문서를 조작했던 일이 어사에 의해 발각되어 유배를 당하였다.
  63. 63) 간죽間竹 : 담배통과 물부리 사이에 끼워 맞추는 가는 대. 간죽竿竹, 간죽簡竹이라 한다.
  64. 64) * 김치만金致萬(1697∼1753) : 조선 후기의 문신. 권1 서간 33번 참조.
  65. 65) * 신만申晩(1703∼1765) : 조선 후기의 문신. 권2의 서간 18번 참조.
  66. 66) 설송당雪松堂 : 연초 대사演初大師(1676~1750). 최근에 공개된 『종정안록』에는 표충사 주지를 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종정안록』은 표충사가 봄·가을로 지낸 제향과 소임을 담은 자료 중 하나로, 영조 14년(1738)부터 고종 10년(1873)까지 136년간 팔도도총섭을 맡은 136명의 종정 명단이 수록된 표충사 부임 기록이다.
  67. 67) 수동壽洞 : 서울 종로구 수송동·청진동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이곳에 수진궁壽進宮이 있어 수진방이라 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수진동壽進洞.
  68. 68) * 홍계희洪啓禧(1703∼1771)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 자는 순보純甫, 호는 담와淡窩. 이재 李縡의 문인이다. 좌의정 송인명宋寅明의 추천으로 공조 참의가 되었다. 1749년 충청도관찰사 때 시무 능력을 인정받아 다음 해 병조 판서로 발탁되었다. 이때 영의정 조현명과 함께 균역법 제정을 주관해 「균역사목均役事目」을 작성, 시행하였다. 글씨에 능했으며, 저서로는 『삼운성휘三韻聲彙』가 있다.
  69. 69) 부모님이 … 마음 : 부모의 연세를 떠올리면 기쁜 한편으로 두려운 생각이 든다는 뜻이다. 『논어』 「이인里仁」에 “부모의 연세에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나니, 한편으로는 오래 사셔서 기쁘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살아 계실 날이 얼마 남아 있지 않을까 두렵기 때문이다.(父母之年不可不知也。 一則以喜。一則以懼。)”라고 하였다.
  70. 70) * 김치일金致一 : 앞의 서간 31번 참조.
  71. 71) * 김희로金希魯(1673~1753) : 앞의 권1의 서간 3번 참조.
  72. 72)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 : 송대 성리학자 주희朱熹가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고 기타 예에 대한 고전을 전傳으로 삼아 편집한 예서禮書.
  73. 73) * 김종후金鍾厚(1721∼1780) : 조선 후기의 문신. 앞의 서간 34번 참조.
  74. 74) * 신유한申維翰(1681~1752) : 조선 후기의 문신·문장가. 본관은 영해. 자는 주백周伯, 호는 청천靑泉. 출생지는 경상도 밀양, 거주지는 경상도 고령. 1705년(숙종 31) 진사시에 합격하고, 1713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19년 제술관製述官으로서 통신사 홍치중洪致中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으며, 봉상시첨정에 이르렀다. 문장으로 이름이 났으며, 특히 시에 걸작품이 많고 사詞에도 능하였다. 저서로는 『해유록』·『청천집』·『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등이 있다.
  1. 1) 이 서간은 속지에 있다. 후대에 누군가가 연습 삼아 쓴 것이다.
  2. 2) 이 서간도 속지에 있다. 후대에 누군가가 연습 삼아 쓴 것이다.
  3. 3) 원본에는 ‘指在’이하 ‘好笑’까지가 ‘0003_b’의 상단에 있음.
  4. 4) 원본에는 ‘惠來三’이하 ‘又歎’까지가 ‘0003_b’의 상단에 있음.
  5. 5) 원본에는 ‘不忘’이하 ‘式’까지가 ‘0003_a’의 상단에 있음.
  6. 6) 원본에는 ‘情管’이하 ‘頓’까지가 ‘0003_a’에 있음.
  7. 7) 원본에는 ‘戊’이하 ‘答書’까지가 ‘0006_b’의 상단에 있음.
  8. 8) 원본에는 ‘戊’이하 ‘散人’까지가 ‘00013_a’에 있음.
  9. 9) 원래 아래 서간의 위쪽에 후대에 별도로 적은 글인데, 아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판서 대감의 서간은 유실되었다. 내용으로 보아 이 판서가 태허太虛 남붕南鵬 대사와 친밀한 관계임을 말하고, 당시의 억울한 사정을 적었으나 자세한 정황은 미상이다. 끝에는 표충사가 소장한 수천 백 종의 시축詩軸과 간독簡牘을 잘 수습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10. 10) 원본에는 ‘甲戌’이하 ‘后廬’까지가 ‘00016_a’에 있음.
  11. 11) 원본에는 ‘傳言’이하 ‘盡悉耳’까지가 ‘00022_b’의 상단에 있음.
  12. 12) 원본에는 ‘甲戌’이하 ‘書’까지가 ‘00022_a’에 있음.
  13. 13) 원본에는 ‘一付呈’이하 ‘狀例’까지가 ‘00026_b’의 상단에 있음.
  14. 14) 원본에는 ‘癸’이하 ‘冊房’까지가 ‘00028_a’에 있음.
  15. 15) 원본에는 ‘舍弟’이하 ‘耳’까지가 ‘00032_b’의 상단에 있음.
  16. 16) 이 글은 속지에 있다.
  17. 17) 원본에는 ‘■理勢’이하 ‘不吸之’까지가 ‘00039_b’의 상단에 있음.
  18. 18) 원본에는 ‘劫然’이하 ‘家弟’까지가 ‘00039_a’의 상단에 있음.
  19. 19) 원본에는 ‘適在’이하 ‘弘簡’까지가 ‘00039_a’에 있음.
  20. 20) 원본에는 ‘己巳’이하 ‘散人’까지가 ‘00042_a’에 있음.
  21. 21) 원본에는 ‘己巳’이하 ‘老生’까지가 ‘00046_a’에 있음.
  22. 22) 원본에는 ‘客所可’이하 ‘具式’까지가 ‘00047_b’의 상단에 있음.
  23. 23) 원본에는 ‘己巳’이하 ‘子珍’까지가 ‘00047_a’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