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05_0225_a_01L마하반야바라밀경(摩何般若波羅蜜經) 제1권
005_0225_a_01L摩訶般若波羅蜜經卷第一


후진(後秦) 구자국(龜茲國) 구마라집(鳩摩羅什) 한역
최봉수 번역
김형준 개역
005_0225_a_02L後秦龜茲國三藏鳩摩羅什譯


1. 서품(序品)
005_0225_a_03L序品第一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05_0225_a_04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1)께서는 왕사성2) 기사굴산3)에서 대략의 수효 5천 명[分]4)으로 이루어진 큰5) 비구승과 함께 머무셨다. 그들은 모두 아라한6)으로 모든 누(漏)7)가 이미 다하고8) 다시는 번뇌가 없었다. 마음으로 잘 해탈하였고 지혜로도 잘 해탈하였으며, 마음이 길들여져 유연한 것이 마치 마하나가9) 같았다. 할 일을 이미 다하고 무거운 짐을 버리어 능히 공덕의 짐과 남에게 응하는 짐을 짊어질 수 있으며, 자기의 이득[己利]을 체득하고 모든 유(有)와 결(結)이 다했으며 바른 지혜로 이미 해탈을 얻었다. 오직 아난10)만을 제하니 그는 배움의 경지[學地]11)에서 수다원(須陀洹)12)을 얻었을 뿐이었다.
005_0225_a_05L一時佛住王舍城耆闍崛山中共摩訶比丘僧大數五千分是阿羅漢——諸漏已盡無復煩惱心得好解脫慧得好解脫其心調柔軟摩訶那伽所作已辦棄擔能擔逮得己盡諸有結正智已得解脫——唯阿難在學地得須陁洹
다시 5백 명의 비구니와 우바새13)ㆍ우바이14)가 있었으니, 모두가 성스런 진리15)를 보았다.
다시 보살마하살16)들이 있었으니,17) 모두가 다라니(陀羅尼)18) 및 모든 삼매19)를 얻고 공(空)ㆍ무상(無相)ㆍ무작(無作)20)을 행하여 이미 등(等)과 인(忍)을 얻었다.21) 걸림 없는 다라니를 얻었고, 모두가 5통(通)을 얻었으며22) 그들이 말을 하면 반드시 다 받아 지녔다. 다시는 게을러지는 일이 없었고, 이미 이양과 명예를 버렸으며, 법을 설하되 바라는 바가 없었다. 깊은 법인(法忍)23)을 건너 두려움 없는 힘을 얻고 모든 마사(魔事)를 초월했으며 일체의 업장에서 남김없이 해탈했다.
인연24)의 법을 교묘하게 연설했으며, 아승기겁25) 이래로 대서원을 일으켰다. 얼굴빛이 화열(和悅)하여 항상 먼저 인사하고 말하는 바가 거칠지 않았으며, 대중 가운데서 두려움 없음[無所畏]을 얻었다.
005_0225_a_11L復有五百比丘尼優婆優婆夷等皆得聖諦復有菩薩摩訶薩——皆得陁羅尼及諸三昧行無作已得等忍得無閡陁羅尼是五通言必信受無復懈怠已捨利養名聞說法無所悕望度深法忍得無畏力過諸魔事一切業障悉得解巧說因緣法從阿僧祇劫以來發大誓願顏色和悅常先問訊所語不於大衆中而無所畏
005_0225_b_02L헤아릴 수 없는 억겁 동안 법을 설했으니 교묘히 뛰어났다.
모든 법은 아지랑이[幻]26) 같고 불꽃[焰] 같고, 물속의 달 같고, 허공 같고, 메아리 같고, 건달바의 성27) 같고, 꿈 같고, 그림자 같고, 거울 속의 형상 같고, 변화한 것[化] 같다고 알았다. 마음에 걸림 없고[無礙] 두려움 없음[無所畏]을 얻었으며, 중생28)들의 마음 가는 곳을 모두 알아 미묘한 지혜로써 그들을 제도하여 해탈시켰으니, 뜻에 걸림이 없고 대인(大忍)을 성취하여29) 여실하고도 교묘히 제도했다.
그리고 한량없는 불국토30)를 받아들이기를 서원했으며, 한량없는 불국토의 부처님들의 삼매를 생각하니, 항상 눈앞에 나타나 있었다.
능히 한량없는 부처님들께 청하고, 능히 갖가지 견해와 얽매임[纏]31) 및 모든 번뇌를 끊었으며, 백천 가지 삼매에서 유희하며 삼매를 냈다.
보살들은 이와 같이 갖가지 한량없는 공덕을 성취했으니, 그들의 이름은 발타바라(颰陀婆羅)32)보살ㆍ계나가라(罽那伽羅)33)보살ㆍ도사(導師)34)보살ㆍ나라달(那羅達)35)보살ㆍ성득(星得)36)보살ㆍ수천(水天)37)보살ㆍ주천(主天)38)보살ㆍ대의(大意)39)보살ㆍ익의(益意)40)보살ㆍ증의(增意)41)보살ㆍ불허견(不虛見)42)보살ㆍ선진(善進)43)보살ㆍ세승(勢勝)44)보살ㆍ상근(常懃)45)보살ㆍ불사정진(不捨精進)46)보살ㆍ일장(日藏)47)보살ㆍ불결의(不缺意)48)보살ㆍ관세음(觀世音)49)보살ㆍ문수사리(文殊師利)50)보살ㆍ집보인(執寶印)51)보살ㆍ상거수(常擧手)52)보살ㆍ미륵(彌勒)53)보살이었다.
이와 같이 한량없는 백천만억 나유타의 보살마하살들이 있었으니, 모두가 보처(補處)54)이자 거룩한 지위[尊位]를 이어받은 이들이었다.
005_0225_a_20L無數億劫說法巧出解了諸法如幻如焰如水中如虛空如響如揵闥婆城如夢如鏡中像如化得無閡無所畏知衆生心行所趣以微妙慧而度脫意無罣閡大忍成就如實巧度受無量諸佛國土念無量國土諸佛三昧常現在前能請無量諸佛能斷種種見纏及諸煩惱遊戲出生百千三昧——諸菩薩如是等種種無量功德成就其名曰颰陁婆羅菩薩罽那伽羅菩薩導師菩薩那羅達菩薩星得菩薩水天菩薩主天菩薩大意菩薩益意菩薩增意菩薩不虛見菩薩進菩薩勢勝菩薩常懃菩薩不捨精進菩薩日藏菩薩不缺意菩薩觀世音菩薩文殊師利菩薩執寶印菩薩常擧手菩薩彌勒菩薩如是等無量百千萬億那由他諸菩薩摩訶薩切菩薩皆是補處紹尊位者
005_0225_c_02L여기에서 세존55)께서는 스스로 사자좌56)를 펴셨다. 그리고는 가부좌를 틀어 몸을 곧추시고는 염(念)을 모아 눈앞에 두고 삼매왕삼매(三昧王三昧)57)에 드시니, 모든 삼매가 모두 그 안에 들어갔다.
이때 세존께서는 삼매로부터 편안히 일어나시어 천안58)으로 세계를 관찰하시고 온몸으로 미소 지으셨다.59) 발바닥의 천폭상륜(千輻相輪)60)에서 6백만억의 광명을 놓으셨으며, 열 발가락ㆍ두 복사뼈ㆍ두 발꿈치ㆍ두 무릎ㆍ두 허벅지ㆍ허리ㆍ척추ㆍ배ㆍ등ㆍ배꼽ㆍ가슴ㆍ가슴의 덕자(德字)ㆍ어깨ㆍ팔ㆍ열 손가락ㆍ목ㆍ입ㆍ40개의 치아ㆍ두 콧구멍ㆍ두 눈ㆍ두 귀ㆍ백호상ㆍ육계에서 각각 6백만억의 광명을 놓으셨다.
005_0225_b_18L爾時世尊自敷師子座結跏趺坐直身繫念在前入三昧王三昧一切三昧悉入其中是時世尊從三昧安詳而起天眼觀視世界擧身微笑從足下千輻相輪中放六百萬億光明足十指兩踝兩腨兩膝兩髀腰脊腹脅背臍心胸德字肩臂手十指口四十齒鼻兩孔兩眼兩耳白毫相肉髻各各放六百萬億光明
이 모든 광명으로부터 대광명을 놓아 삼천대천국토(三千大天國土)61)를 두루 비추시고, 삼천대천국토로부터 다시 동방으로 항하의 모래수62)같이 많은 불국토를 두루 비추셨다. 남ㆍ서ㆍ북 방과 네 간방과 위ㆍ아래도 그러하였는데, 어떤 중생63)이라도 이 광명을 만나는 자는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64)를 얻었다. 다시 광명은 동쪽으로 뻗어서 항하사와 같은 불국토를 지났으며, 남ㆍ서ㆍ북 방과 네 간방과 위ㆍ아래에 이르기까지도 그와 같았다.65)
005_0225_c_04L從是諸光出大光遍照三千大千國土從三千大千國土遍照東方如恒河沙等諸佛國南西北方四維上下亦復如是有衆生遇斯光者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光明出過東方如恒河沙等諸佛國土南西北方四維上下亦復如是
여기에서 세존께서는 다시 온몸의 털구멍으로 모두 미소를 지으시고, 광명을 놓아 삼천대천국토를 두루 비추셨다. 그 빛은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세계에까지 이르렀으니, 이 광명을 만난 중생은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
여기에서 세존께서는 상광명(常光明)으로써 삼천대천국토를 두루 비추시니, 또한 동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모든 부처님 국토에까지 이르렀다. 나아가 시방에 이르기까지도 역시 그와 같았으니, 어떤 중생이든지 이 광명을 만나면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
005_0225_c_11L爾時世尊擧身毛孔皆亦微笑而放諸光遍照三千大千國土至十方如恒河沙等諸佛國土若有衆生遇斯光者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爾時世尊以常光明遍照三千大千國土亦至東方如恒河沙等諸佛國土乃至十方亦復如是若有衆生遇斯光者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여기에서 세존께서는 광장설상(廣長舌相)66)을 내시어 삼천대천국토를 두루 덮으시고는 빙그레 미소 지으셨으며, 그 혀뿌리로부터 한량없는 천만억의 광명을 내셨다. 이 낱낱의 광명은 천 잎의 금빛 보배꽃으로 변하고, 그 꽃 위에는 모두 화현한 부처님이 가부좌를 맺고 앉아 6바라밀을 말씀하시니, 중생으로서 듣는 자는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
다시 시방으로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불세계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그와 같았다.
005_0225_c_19L爾時世尊出廣長舌相遍覆三千大千國土熙怡微笑從其舌根放無量千萬億光是一一光化成千葉金色寶花是諸花上皆有化佛跏趺坐說六波羅蜜衆生聞者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復至十方如恒河沙等諸佛國土皆亦如是
005_0226_a_02L여기에서 세존께서 짐짓 사자좌에 계시면서 사자유희삼매(獅子遊戱三昧)67)에 드시어 신통력으로 삼천대천국토를 감동시키시니, 여섯 가지로 진동68)하였다.
곧 동쪽에서 솟아 서쪽으로 잠기고, 서쪽에서 솟아 동쪽으로 잠기고, 남쪽에서 솟아 북쪽으로 잠기고, 북쪽에서 솟아 남쪽으로 잠기고, 가에서 솟아 중간으로 잠기고, 중간에서 솟아 가로 잠겼다. 그리고 다시 땅이 모두 부드러워지니, 중생들로 하여금 화평하고 기쁘게 했다.
이 삼천대천국토 가운데의 지옥ㆍ아귀ㆍ축생과 그리고 여덟 가지 어려운 곳[八難處]69)이 즉시에 해탈을 얻어 천상에 태어났으니, 사천왕천처(天王天處)70)에서 타화자재천에 이르기까지였다.
이 천인(天人)들은 스스로가 숙명을 깨달아 모두가 크게 기뻐하면서 부처님 계신 곳으로 와서는 머리 숙여 부처님 발에 절하고 한쪽으로 물러나 있었다.
이와 같이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국토의 땅이 모두 여섯 가지로 진동하니, 일체의 지옥ㆍ아귀ㆍ축생 및 여덟 가지 어려운 곳에 이르기까지 즉시에 해탈하여 천상에 태어남을 얻어 여섯째 하늘71)에까지 이르렀다.
005_0226_a_02L爾時世尊故在師子座入師子遊戲三昧以神通力感動三千大千國土六種震動東踊西沒西踊東沒南踊北沒北踊南沒邊踊中沒中踊邊沒地皆柔軟令衆生和悅是三千大千國土中地獄餓鬼畜生及八難處卽時解脫得生天上從四天王天處乃至他化自在天處是諸天人自識宿命大歡喜來詣佛所頭面禮佛足卻住一面如是十方如恒河沙等國土地皆六種震動一切地獄餓鬼畜生及八難處卽時解脫得生天上齊第六
그때 이 삼천대천국토의 중생으로서 눈이 먼 이는 보게 되고, 귀먹은 이는 듣게 되고, 벙어리는 말하게 되고, 미친 이는 정신이 돌아오고, 마음이 산란한 이는 안정되고, 벗은 이는 옷을 얻고,72) 주리고 목마른 이는 배부름을 얻고, 병든 이는 치유되고, 모습이 흉하게 무너진 이는 형체가 갖추어졌다.
일체의 중생이 모두가 평등심[等心]을 얻어 서로 대하니, 마치 부모ㆍ형제ㆍ자매와 같았으며 또한 친척 같았고 선지식(善知識) 같았다.
이때 중생들은 10선업도(善業道)73)를 행하고 범행(梵行)을 깨끗이 닦아 티가 없이 담연하고도 즐거워했다. 마치 비구가 제3선(禪)에 든 것과 같았으니, 좋은 지혜를 얻고, 계행을 잘 지니고, 스스로를 지켜 중생들을 괴롭히지 않았다.
005_0226_a_15L爾時三千大千國土衆生盲者得聾者得聽瘂者能言狂者得正者得定裸者得衣飢渴者得飽滿者得愈形殘者得具足一切衆生皆得等心相視如父如母如兄如弟如姊如妹亦如親族及善知識是時衆生等行十善業道淨修梵行無諸瑕恬然快樂譬如比丘入第三禪皆得好慧持戒自守不嬈衆生
005_0226_b_02L여기에서 세존께서는 사자좌에 앉으시니, 삼천대천국토 안에서 그 위덕이 유달리 거룩하셨다.
광명과 모습과 위덕이 높고 높으시어[巍巍]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불국토에 두루 미치니, 마치 수미산왕74)은 광명과 색깔이 뛰어나서 뭇 산들이 미칠 수 없는 것과도 같았다.
여기에서 세존께서는 상신(常身)75)으로써 이 삼천대천국토의 온갖 중생들에게 보이시니, 이때에 수타회천(首陀會天)76)과 범중천(梵衆天)77)과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78)과 화락천(化樂天)79)과 도솔타천(兜率陀天)80)과 야마천(夜摩天)81)과 삼십삼천(三十三天)82)과 사천왕천(四天王天)83) 및 삼천대천국토의 사람인 듯 사람 아닌 듯한 것[人非人]들이 하늘의 꽃ㆍ하늘의 영락ㆍ하늘의 택향(澤香)84)ㆍ하늘의 가루향과 하늘의 청련화ㆍ적련화ㆍ백련화ㆍ홍련화와 하늘의 나뭇잎 향을 가지고 부처님께 다가갔다.
이 모든 하늘 꽃 내지는 하늘의 나뭇잎과 향기로써 부처님 위에 뿌리니, 뿌려진 보배꽃이 이 삼천대천국토 위의 허공 가운데에서 커다란 누대[臺]가 되었다.
005_0226_a_23L爾時世尊在師子座上坐於三千大千國土中其德特尊光明色像威德巍巍至十方如恒河沙等諸佛國土譬如須彌山王光色殊特衆山無能及者爾時世尊以常身示此三千大千國土一切衆生是時首陁會天梵衆天他化自在天化樂天兜率陁天夜摩三十三天四天王天及三千大千國土人與非人以諸天花天瓔珞澤香天末香天靑蓮花赤蓮花白蓮紅蓮花天樹葉香持詣佛所是諸天花乃至天樹葉香以散佛上所散寶花於此三千大千國土上在虛空中化成大臺
이 꽃 누대 주변에는 영락과 갖가지 빛깔의 꽃일산이 드리워지고 오색빛깔로 어지러웠으니, 이런 꽃 일산과 영락이 삼천대천국토를 두루했다.
이런 꽃일산과 영락으로 장엄스럽게 꾸민 까닭에 이 삼천대천국토는 모두 금빛을 이루고, 나아가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모든 부처님의 세계도 모두 이와 같았다.
여기에서 삼천대천국토와 시방의 중생들은 제각기 생각하기를 ‘부처님은 나만을 위하여 설법하실 뿐 다른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다’라고 여겼다.
005_0226_b_14L是花臺邊垂諸瓔珞色花蓋五色繽紛是諸花蓋瓔珞遍滿三千大千世界以是花蓋瓔珞嚴飾故此三千大千國土皆作金色十方如恒河沙等諸佛國土皆亦如爾時三千大千國土及十方衆生各各自念佛獨爲我說法不爲餘人
005_0226_c_02L그때 세존께서 사자좌에 계시며 빙그레 웃으시니, 광명이 입으로부터 나와85) 삼천대천국토를 두루 비추었다. 이 광명으로 인해서 이 편의 삼천대천국토의 중생들은 모두 동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불승(佛僧)을 뵈었고, 다시 저 편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국토의 중생들도 역시 이 편의 삼천대천국토 안의 석가모니부처님과 대중들을 뵈었다. 남ㆍ서ㆍ북 방과 네 간방과 위ㆍ아래 역시 그와 같았다.
005_0226_b_20L爾時世尊在師子座熙怡微笑光從口出遍照三千大千國土以此光故此閒三千大千國土中衆生皆見東方如恒河沙等諸佛及僧彼間如恒河沙等國土中衆生亦見此閒三千大千國土中釋迦牟尼佛及諸大衆南西北方四維上下亦復如是
이때에 동쪽으로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국토를 지나 그 국토의 가장 끝에 국토가 있으니, 다보(多寶)86)라고 한다. 부처님의 명호를 보적(寶積)87)이라 하는데, 지금도 현존하시면서 보살마하살들을 위해 반야바라밀을 88)말씀하고 계신다.
그런데 그 국토에는 보살이 있었으니, 보명(普明)이라 했다. 그는 이 큰 광명을 보고 땅이 크게 진동함을 보며, 또한 부처님의 몸을 뵈옵고는 곧 보적불(寶積佛)께 가서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지금 무슨 인연으로 이 광명이 온 세상을 비추고 땅덩이가 크게 진동하며, 또한 불신(佛身)89)을 보게 되는지요?”
005_0226_c_04L是時東方過如恒河沙等諸佛國土其國最在邊國名多寶佛號寶積今現在爲諸菩薩摩訶薩說般若波羅蜜國有菩薩名曰普明見大光明見地大動又見佛身到寶積佛所白佛言世尊今何因緣有此光明照於世閒地大震動又見佛身
보적불께서 보명에게 알려주셨다.
“선남자90)야, 서쪽으로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국토를 지나가면 사바(沙婆)91)라는 세계가 있느니라. 거기에 부처님이 계시니, 이름이 석가모니이시다. 지금 현재 보살마하살들을 위해 반야바라밀을 말씀하고 계시는데, 이것은 그 분의 위신력[神力]이니라.”
005_0226_c_11L寶積佛報普明善男子西方度如恒河沙等國世界名娑婆佛號釋迦牟尼今現在欲爲諸菩薩摩訶薩說般若波羅蜜是其神力
이때 보명보살이 보적불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저는 지금 가서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배 공양하며, 나아가 저들 보살마하살로서 거룩한 지위를 이어받은 이를 뵙고 다라니와 모든 삼매를 얻어 삼매 가운데에서 자재함을 얻으신 분들을 친견하겠습니다.”
005_0226_c_15L是時普明菩薩白寶積佛世尊我今當往見釋迦牟尼佛禮拜供養及見彼諸菩薩摩訶薩紹尊位者——皆得陁羅尼及諸三昧於諸三昧而得自在
부처님께서 보명에게 말씀하셨다.
“가려거든 네 뜻대로 하되, 적절히 때를 알거라.”
005_0226_c_19L佛告普明欲往隨意知是時
그리고 보적불께서는 천개의 잎이 달린 금색 연꽃을 보명보살에게 주시면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그대는 이 꽃을 석가모니부처님의 머리 위에 뿌려 드려라. 그 사바세계에 태어난 보살들은 이기기 어렵고 미치기 어려우니, 그대는 한결같은 마음으로 그 세계를 다녀오너라.”
005_0226_c_20L爾時寶積佛以千葉金色蓮花與普明菩薩而告之曰善男子以此花散釋迦牟尼佛上生彼娑婆國中諸菩薩難勝難及汝當一心以遊彼國
005_0227_a_02L그러자 보명보살은 보적불에게서 천 잎새의 금빛 연꽃을 받아들고는 무수한 출가ㆍ재가의 보살 및 동남ㆍ동녀들과 함께 길을 떠났다.
그들은 모두 지나는 길에 동방의 부처님들께 공양하고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면서 온갖 꽃ㆍ향ㆍ영락ㆍ가루향ㆍ물향ㆍ태우는 향ㆍ바르는 향ㆍ의복ㆍ당기ㆍ일산[蓋]을 가지고 석가모니부처님께로 향했다.
도착해서는 머리와 얼굴을 부처님의 발에 대어 예를 올리고는 한쪽에 선 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보적 여래께서 세존께 문안하시기를 ‘세존께서는 번뇌 적으시고 병환 적으시며, 기거에 경쾌하시고 기력 있으시며 안락하신가’ 하십니다. 또한 이 천(千) 잎새의 금빛 연꽃으로 세존께 공양하라 하셨습니다.”
005_0226_c_24L爾時普明菩薩從寶積佛受千葉金色光明蓮花與無數出家家菩薩及諸童男童女俱共發引供養恭敬尊重讚歎東方諸佛持諸花香瓔珞澤香末香塗香衣服幢蓋向釋迦牟尼佛所到已頭面禮佛足一面立白佛言世尊寶積如來致問世尊少惱少患起居輕利氣力安樂又以此千葉金色蓮花供養世尊
여기에서 석가모니부처님께서는 이 천 잎새의 금빛 연꽃을 받으시자 동쪽으로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세계의 부처님께 흩뜨리셨다. 그러자 흩뿌려진 연꽃이 동쪽으로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불국토에 가득했으며, 낱낱 꽃 위에 모두 보살이 가부좌를 맺고 앉아서 6바라밀을 설하니, 이 법을 듣는 이는 마침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
모든 출가ㆍ재가의 보살들과 동남ㆍ동녀들은 머리와 얼굴을 석가모니부처님의 발에 대어 절하고, 제각기 공양구로써 석가모니부처님께 공양하고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했다. 이 출가ㆍ재가의 보살들 및 동남ㆍ동녀들은 제각기 선근92)과 복덕의 힘 때문에 다타아가도(多陀阿伽度)93)ㆍ아라하(阿羅呵)94)ㆍ삼먁삼불타(三藐三佛陀)95)이신 석가모니부처님께 공양드릴 수 있었던 것이다.
005_0227_a_09L爾時釋迦牟尼佛受是千葉金色蓮以散東方如恒河沙等諸國土中佛所散寶花滿東方如恒河沙等諸佛國土一一花上皆有菩薩結跏趺坐說六波羅蜜聞此法者必至阿耨多羅三藐三菩提諸出家在家菩薩及諸童男童女頭面禮釋迦牟尼佛各以供養具供養恭敬尊重讚歎釋迦牟尼佛是諸出家在家菩薩及諸童男童女各各以善根福德力故得供養釋迦牟尼佛多陁阿伽度羅訶三藐三佛陁
005_0227_b_02L남쪽으로 항하의 모래수같이 모든 부처님 국토를 지나서 그 국토의 가장 끝에 있는 나라를 ‘일체의 근심을 여읜 곳[離一切憂]’이라 부른다. 부처님의 명호를 무우덕(無憂德)96)이라 하고, 보살의 이름을 이우(離憂)97)라 한다.
서쪽으로 항하의 모래수같이 모든 부처님 국토를 지나서 그 국토의 가장 끝에 있는 나라를 ‘악을 멸한 곳[滅惡]’이라 부른다. 부처님의 명호를 보산(寶山)98)이라 하고, 보살의 이름을 의의(儀意)99)라 한다.
북쪽으로 항하의 모래수같이 모든 부처님 국토를 지나서 그 국토의 가장 끝에 있는 나라를 ‘뛰어난 곳[勝]’이라 부른다. 부처님의 명호를 승왕(勝王)100)이라 하고, 보살의 이름을 득승(得勝)101)이라 한다.
아랫쪽으로 항하의 모래수같이 모든 부처님 국토를 지나서 그 국토의 가장 끝에 있는 나라를 선(善)이라 부른다. 부처님의 명호는 선덕(善德)이라 하고, 보살의 이름을 화상(華上)102)이라 한다.
윗쪽으로 항하의 모래수같이 모든 부처님 국토를 건너서 그 국토의 가장 끝에 있는 나라를 희(喜)103)라 부른다. 부처님의 명호를 희덕(喜德)104)이라 하고, 보살의 이름을 덕희(得喜)105)라 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일체가 모두 동쪽과 같았다.
005_0227_a_21L南方度如恒河沙等諸佛國土其國最在邊國名離一切憂佛號無憂德菩薩名離憂西方度如恒河沙等諸佛國土其國最在邊國名滅惡佛號寶山菩薩名儀意北方度如恒河沙等諸佛國土其國最在邊國名勝佛號勝王菩薩名德下方度如恒河沙等諸佛國土國最在邊國名善佛號善德菩薩名花上上方度如恒河沙等諸佛國土其國最在邊國名喜佛號喜德菩薩名德喜如是一切皆如東方
그때에 이 삼천대천세계가 보배로 변하고 두루 온 땅을 덮었으며, 비단 번기가 걸리고 향 나무와 꽃 나무로 남김없이 장엄되었다. 비유하건대 화적(花積)세계와 보화(寶花)세계에서 묘덕(妙德)보살과 선주의(善住意)보살 및 그 밖의 큰 위신력 있는 보살들이 그곳에 머무신 것 같았다.
005_0227_b_09L爾時三千大千國土皆成爲寶花遍覆懸繒幡蓋香樹花樹皆悉莊嚴譬如花積世界普花佛國妙德菩薩善住意菩薩及餘大威神諸菩薩皆在彼
그때에 부처님께서는 일체 세계 가운데 혹은 하늘 세계, 혹은 마의 세계, 혹은 범천의 세계, 혹은 사문ㆍ바라문, 혹은 하늘, 혹은 건달바ㆍ인간ㆍ아수라106)들 및 보살마하살들로서 거룩한 지위를 계승한 자들이 모두 모였음을 아셨다.
005_0227_b_14L爾時佛知一切世界若天世界若魔世若梵世界若沙門婆羅門及天若犍闥婆阿修羅等及諸菩薩摩訶薩紹尊位者一切皆集
부처님께서는 대중이 이미 모인 것을 아시고는 사리불107)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이 일체종(一切種)108)으로써 온갖 법을 알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익히고 행해야 하느니라.
005_0227_b_17L佛知衆會已集佛告舍利弗菩薩摩訶薩欲以一切種智知一切法當習行般若波羅蜜
사리불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마하살이 일체종으로써 온갖 법을 알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익히고 행해야만 하는지요?”
005_0227_b_19L舍利弗白佛言世尊菩薩摩訶薩云何欲以一切種智知一切法當習行般若波羅蜜
005_0227_c_02L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머무르지 않는 법으로써109) 반야바라밀 가운데 머무르고, 버릴 바 없는 법으로써110) 단나바라밀을 구족하나니111), 베푸는 이와 받는 이와 베푸는 물건을 모두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또한 죄와 죄 아님을 얻을 수 없는 까닭에 시라바라밀을 구족하며, 마음이 요동치 않음에 의해 찬제바라밀(羼提波羅蜜)을 구족하느니라.
몸과 마음으로 정진하여 게으르거나 쉬지 않는 까닭에 비리야바라밀을 구족하고, 어지럽지 않고 맛들이지 않는 까닭에 선(禪)바라밀을 구족하며, 그리고 일체법에 집착되지 않는 까닭에 반야바라밀을 구족하느니라.
005_0227_b_21L佛告舍利弗菩薩摩訶薩以不住法住般若波羅蜜中以無所捨法應具足檀那波羅蜜施者受者及財物不可得故罪不罪不可得故應具足尸羅波羅蜜心不動故應具足羼提波羅蜜身心精進不懈怠故應具足毘梨耶波羅蜜不亂不味故應具足禪那波羅蜜於一切法不著故應具足般若波羅蜜
이처럼 보살마하살은 머무르지 않는 법으로써 반야바라밀 가운데 머무르되 머문다는 생각을 내지 않는 까닭에 4념처(念處)112)와 4정근(正勤)과 4여의족(如意足)과 5근(根)과 5력(力)과 7각분(覺分)과 8성도분(聖道分)과 공(空)삼매ㆍ무상(無相)삼매ㆍ무작(無作)삼매와 4선(禪)과 4무량심(無量心)과 4무색정(無色定)과 8배사(背捨)113)와 8승처(勝處)114)와 9차제정(次第定)115)과 10일체처(一切處)116)를 구족하며, 9상(相) 곧 창상(脹相)ㆍ괴상(壞相)ㆍ혈도상(血途相)ㆍ농란상(膿爛相)ㆍ청상(靑相)ㆍ담상(噉相)ㆍ산상(散相)ㆍ골상(骨相)ㆍ소상(燒相)과 염불(念佛)ㆍ염법(念法)ㆍ염승(念僧)ㆍ염계(念戒)ㆍ염사(念捨)ㆍ염천(念天)ㆍ염입출식(念入出息)ㆍ염사(念死)를 구족해야 하느니라.
10상(想), 곧 무상상(無常想)ㆍ고상(苦想)ㆍ무아상(無我想)ㆍ식부정상(食不淨想)ㆍ일체세간불가락상(一切世間不可樂想)ㆍ사상(死想)ㆍ부정상(不淨想)ㆍ단상(斷想)ㆍ이욕상(離欲想)ㆍ진상(盡想)을 구족해야 하느니라.
11지(智), 곧 법지(法智)ㆍ비지(比智)ㆍ타심지(他心智)ㆍ세지(世智)ㆍ고지(苦智)ㆍ집지(集智)ㆍ멸지(滅智)ㆍ도지(道智)ㆍ진지(盡智)ㆍ무생지(無生智)ㆍ여실지(如實智)를 구족해야만 하느니라.
3삼매, 곧 유각유관삼매(有覺有觀三昧)117)ㆍ무각유관삼매(無覺有觀三昧)ㆍ무각무관삼매(無覺無觀三昧)를 구족해야만 하느니라.
3근(根), 곧 미지욕지근(未知欲知根)ㆍ지근(知根)ㆍ지이근(知已根)을 구족해야만 하느니라.
005_0227_c_07L菩薩摩訶薩以不住法住般若波羅蜜中不生故應具足四念處四正懃四如意足五根五力覺分八聖道分空三昧無相三昧作三昧四禪四無量心四無色定背捨八勝處九次第定十一切處相——脹相壞相血塗相膿爛相靑相散相骨相燒相念佛念法念僧念捨念天念入出息念死十想——無常想苦想無我想食不淨想一切世閒不可樂想死想不淨想斷想離欲盡想十一智——法智比智他心智苦智集智滅智道智盡智無生智如實智三三昧——有覺有觀三昧無覺有觀三昧無覺無觀三昧三根——未知欲知根知根知已根
005_0228_a_02L나아가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부처님의 10력(力)118)ㆍ4무소외(無所畏)119)ㆍ4무애지(無礙智)ㆍ18불공법(不共法)120)과 대자대비를 두루 알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익히고 행해야 하느니라.
다시 보살마하살이 도혜(道慧)를 얻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익히고 행해야 하며, 보살마하살이 도혜로써 도종혜(道種慧)121)를 구족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익히고 행해야 하느니라. 도종혜로써 일체지(一切智)122)를 구족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익히고 행해야 하며, 일체지로써 일체종지(一切種智)123)를 구족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익히고 행해야 하느니라. 일체종지로써 번뇌의 습(習)124)을 끊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익히고 행해야만 하느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7_c_22L舍利弗菩薩摩訶薩欲遍知佛十力四無所畏四無閡智十八不共法大慈大悲當習行般若波羅蜜菩薩摩訶薩欲具足道當習行般若波羅蜜菩薩摩訶薩欲以道慧具足道種慧當習行般若波羅蜜欲以道種慧具足一切智習行般若波羅蜜欲以一切智具足一切種智當習行般若波羅蜜欲以一切種智斷煩惱習當習行般若波羅蜜舍利弗菩薩摩訶薩應如是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보살의 지위에 오르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고, 성문과 벽지불125)의 경지를 지나서 아유월치(阿惟越致)126)의 지위에 머무르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그리고 보살마하살이 6신통(神通)127)에 머무르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고, 온갖 중생들의 뜻이 가는 데를 알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또한 보살마하살이 온갖 성문128)과 벽지불의 지혜보다 뛰어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고, 모든 다라니문(陀羅尼門)129)과 모든 삼매문을 얻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8_a_10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上菩薩位當學般若波羅蜜過聲聞辟支佛地住阿惟越致地學般若波羅蜜菩薩摩訶薩欲住六神通當學般若波羅蜜欲知一切衆生意所趣向當學般若波羅蜜菩薩摩訶薩欲勝一切聲聞辟支佛智慧當學般若波羅蜜欲得諸陁羅尼門諸三昧門當學般若波羅蜜
005_0228_b_02L온갖 성문이나 벽지불을 구하는 사람이 보시(布施)할 때, 더불어 기뻐하는[隨喜] 마음으로써 그보다 더 뛰어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온갖 성문이나 벽지불을 구하는 사람이 계율을 지닐(持戒) 때, 더불어 기뻐하는 마음으로써 그보다 더 뛰어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온갖 성문이나 벽지불을 구하는 사람의 삼매(三昧)와 지혜(智慧)와 해탈(解脫)과 해탈지견(解脫知見)130)에 대하여 더불어 기뻐하는 마음으로써 그보다 더 뛰어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온갖 성문이나 벽지불을 구하는 사람의 모든 선정(禪定)과 해탈(解脫)과 삼매(三昧)에 대하여 더불어 기뻐하는 마음[隨喜心]131)으로써 그보다 더 뛰어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이 조그마한 보시[少施]와 조그마한 계율[少戒]과 조그마한 인욕[少忍]과 조그마한 정진[少進]과 조그마한 선정[少禪]과 조그마한 지혜[少智]를 행하면서도 방편132)의 힘으로써 회향하여 한량없고 끝없는 공덕을 얻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8_a_18L一切求聲聞辟支佛人布施時欲以隨喜心過其上者當學般若波羅蜜一切求聲聞辟支佛人持戒時欲以隨喜心過其上者當學般若波羅蜜一切求聲聞辟支佛人三昧智慧解脫解脫知見欲以隨喜心過其上者當學般若波羅蜜一切求聲聞辟支佛人諸禪定解脫三昧欲以隨喜心過其上當學般若波羅蜜菩薩摩訶薩行少施少戒少忍少進少禪少智欲以方便力迴向故而得無量無邊功德當學般若波羅蜜
보살마하살이 단나바라밀133)ㆍ시라바라밀134)ㆍ찬제바라밀135)ㆍ비리야바라밀136)ㆍ선나바라밀137)을 행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이 세상마다 몸이 부처님과 같고자 하거나 32상(相)138)과 80수형호(隨形好)139)를 구족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만 하느니라. 그리고 보살의 집에 태어나려 하고 동진(童眞)의 지위140)를 얻고자 하며 모든 부처님을 여의지 않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만 하느니라.
그리고 모든 선근 공양으로써 모든 부처님을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면서 뜻대로 성취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 온갖 중생141)들이 원하는 음식ㆍ의복ㆍ침구ㆍ바르는 향ㆍ탈것ㆍ방사ㆍ평상 및 등촉 등을 채워주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8_b_07L菩薩摩訶薩欲行檀那波羅蜜尸羅波羅蜜羼提波羅蜜毘梨耶波羅蜜禪那波羅蜜學般若波羅蜜菩薩摩訶薩欲使世世身體與佛相似欲具足三十二相八十隨形好當學般若波羅蜜欲生菩薩家欲得童眞地欲得不離諸佛當學般若波羅蜜欲以諸善根供養諸佛恭敬尊重讚歎隨意成就學般若波羅蜜欲滿一切衆生所願飮食衣服臥具塗香車乘房舍牀㩉燈燭等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국토의 중생을 단나바라밀 가운데 세우고자 하고, 시라ㆍ찬체ㆍ비리야ㆍ선나바라밀 가운데 세우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그리고 어느 한 선근을 부처님의 복전(福田)142)에 심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기까지 다하지 않게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8_b_18L復次舍利菩薩摩訶薩欲使如恒河沙等國土衆生立於檀那波羅蜜立於尸羅羼提毘梨耶禪那般若波羅蜜當學般若波羅蜜欲植一善根於佛福田至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不盡當學般若波羅蜜
005_0228_c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그의 이름을 칭찬해 주시기를 원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8_b_24L復次舍利弗薩摩訶薩欲令十方諸佛稱讚其名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한 번 뜻을 일으켜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모든 부처님 국토에 도달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한다.
005_0228_c_03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一發意到十方如恒河沙等諸佛國土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한 음성을 내어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여러 부처님 국토로 하여금 그 음성을 듣게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8_c_05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發一音使十方如恒河沙等諸佛國土聞聲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이 모든 부처님의 국토가 끊어지지 않게 하려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8_c_08L復次舍利弗菩薩欲使諸佛國土不斷者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내공(內空)ㆍ외공(外空)ㆍ내외공ㆍ공공(空空)ㆍ대공(大空)ㆍ제일의공(第一義空)143)ㆍ유위공(有爲空)ㆍ무위공(無爲空)ㆍ필경공(畢竟空)ㆍ무시공(無始空)ㆍ산공(散空)ㆍ성공(性空)ㆍ자상공(自相蚣)ㆍ제법공(諸法空)ㆍ불가득공(不可得空)144)ㆍ무법공(無法空)ㆍ유법공(有法空) 및 무법유법공에 머무르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 보살마하살이 모든 법의 인연(因緣)145)ㆍ차제연(次第緣)146)ㆍ연연(緣緣)ㆍ증상연(增上緣)147)을 알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8_c_09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住內空外空內外空空空大空第一義空爲空無爲空畢竟空無始空散空自相空諸法空不可得空無法空有法空無法有法空當學般若波羅菩薩摩訶薩欲知諸法因緣次第緣緣增上緣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온갖 법들의 여(如)ㆍ법성148)ㆍ실제(實際)149)를 알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에 머물러야 하느니라.
005_0228_c_16L舍利弗菩薩摩訶薩欲知諸法如法性實際當學般若波羅蜜舍利弗菩薩摩訶薩應如是住般若波羅蜜
005_0229_a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삼천대천국토 안의 대지와 모든 산과 작은 티끌을 헤아려 알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이 하나의 털을 쪼개어 백 개로 나누고 그 쪼개진 하나의 털로써 삼천대천국토 안의 큰 바다와 강과 못과 샘의 물을 모조리 들어 올리면서도 그 물의 성품이 흔들리지 않게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삼천대천세계 안의 모든 불이 모두 한꺼번에 일어나서 마치 겁(劫)150)이 다하듯 타오를 때 보살마하살이 한 번 입으로 불어서 꺼지게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삼천대천세계 안의 모든 큰 바람이 일어나서 삼천대천세계와 모든 수미산을 마치 썩은 풀을 꺾듯이 불어 무너뜨리고자 할 때 보살마하살이 한 손가락으로 그 바람의 힘을 막아 일어나지 않게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8_c_19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數知三千大千國土中大地諸山微塵當學般若波羅蜜菩薩摩訶薩扸一毛爲百分欲以一分毛盡擧三千大千國土中大海江河池泉諸水而不嬈水當學般若波羅蜜三千大千國土中諸火一時皆然譬如劫盡燒時薩摩訶薩欲一吹令滅者當學般若波羅蜜三千大千國土中諸大風起欲吹破三千大千國土及諸須彌山如摧腐草菩薩摩訶薩欲以一指障其風力令不起者當學般若波羅蜜
보살마하살이 한 번 결가부좌하여 삼천대천국토 안의 허공에 두루 차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 보살마하살이 한 개의 털로써 삼천대천국토 안의 모든 수미산[須彌山王]을 들어서 다른 방향의 한량없고 셀 수 없는 모든 부처님 국토에 던지면서도 중생들이 흔들리지 않게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한 그릇 밥으로 시방으로 각각 항하의 모래수같이 모든 부처님과 승가[僧]에게 공양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 한 벌의 옷과 꽃ㆍ향ㆍ영락ㆍ가루 향ㆍ바르는 향ㆍ사르는 향ㆍ등촉ㆍ당기ㆍ번기 및 꽃 일산 등으로 모든 부처님과 승가에게 공양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9_a_08L菩薩摩訶薩欲一結跏趺坐遍滿三千大千國土虛空當學般若波羅蜜菩薩摩訶薩欲以一毛擧三千大千國土中諸須彌山王擲過他方無量阿僧祇諸佛國土不嬈衆生欲以一食供養十方各如恒河沙等諸佛及當學般若波羅蜜欲以一衣花香瓔珞末香塗香燒香燈燭幢幡花蓋等供養諸佛及僧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시방으로 각각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국토 안의 중생으로 하여금 모두가 계율ㆍ삼매ㆍ지혜ㆍ해탈ㆍ해탈지견을 갖추게 하고, 수다원의 과위[須陀洹果]151)ㆍ사다함의 과위[斯陀含果]152)ㆍ아나함의 과위[阿那含果]153)ㆍ아라한의 과위[阿羅漢果] 내지 무여열반(無餘涅槃)154)을 얻게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9_a_17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使十方各如恒河沙等國土中衆生悉具於三昧智慧解脫解脫知見令得須陁洹果斯陁含果阿那含果阿羅漢乃至令得無餘涅槃當學般若波羅蜜
005_0229_b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보시할 때에는 “이와 같이 보시는 큰 과보를 얻는다. 이와 같이 보시에 의해 찰리(刹利)의 큰 성바지와 바라문(婆羅門)의 큰 성바지와 거사(居士)의 큰 집안에 태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시에 의해 사천왕천(四天王天)155)ㆍ삼십삼천(三十三天)ㆍ야마천(夜摩天)156)ㆍ도솔타천(兜率陀天)157)ㆍ화락천(化樂天)158)ㆍ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159)에 나게 된다. 이 보시로 인하여 초선(初禪)ㆍ2선(禪)ㆍ3선(禪)ㆍ4선(禪)ㆍ무변공처(無邊空處)160)ㆍ무변식처(無邊識處)161)ㆍ무소유처(無所有處)162)ㆍ비유상비무상처(非有想非無想處)163)에 들게 되고, 이 보시로 인하여 능히 8성도분(聖道分)을 내며, 이 같은 보시로 인하여 능히 수다원의 도에서 부처님의 도에 이르기까지를 얻는다. 그러니 반야바라밀을 배워야만 한다”고 이처럼 분별해야 하느니라.
005_0229_a_23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布施時應如是分別如是布施得大果報如是布施得生剎利大姓婆羅門大姓居士大家如是布施得生四天王天處三十三天夜摩兜率陁天化樂天他化自在天是布施得入初禪二禪三禪四禪邊空處無邊識處無所有處非有想非無想處因是布施得生八聖道分因是布施能得須陁洹道乃至佛道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며 보시를 할 때 지혜의 방편의 힘 때문에 능히 단나바라밀ㆍ시라바라밀ㆍ찬제바라밀ㆍ비리야바라밀ㆍ선나바라밀ㆍ반야바라밀을 구족하게 되느니라.”
005_0229_b_10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布施時以慧方便力故能具足檀那波羅蜜尸羅波羅蜜羼提波羅蜜毘梨耶波羅蜜禪那波羅蜜般若波羅蜜
사리불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이 보시할 때 어떻게 해야 지혜의 방편의 힘 때문에 단나바라밀에서 반야바라밀까지를 구족하는지요?”
005_0229_b_14L舍利弗白佛言世尊菩薩摩訶薩云何布施時以慧方便力故具足檀那波羅蜜乃至般若波羅蜜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베푸는 이[施人]와 받는 이[受人]와 재물(財物)은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능히 단나바라밀을 구족하느니라. 죄가 됨과 죄가 되지 않음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시라바라밀을 구족하게 되고, 마음이 동요하지 않기 때문에 찬제바라밀을 구족하게 되며, 몸과 마음이 정진하면서 게으르거나 쉬지 않기 때문에 비리야바라밀을 구족하게 되고, 어지럽지도 않고 어둡지도 않기 때문에 선나바라밀을 구족하게 되며, 온갖 법은 얻을 수 없음을 알기 때문에 반야바라밀을 구족하게 되느니라.”
005_0229_b_17L佛告舍利弗施人財物不可得故能具足檀那波羅不罪不可得故具足尸羅波羅心不動故具足羼提波羅蜜身心精進不懈怠故具足毘梨耶波羅蜜不亂不味故具足禪那波羅蜜知一切法不可得故具足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부처님의 공덕을 얻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9_b_23L舍利弗菩薩摩訶薩欲得過去未來現在諸佛功德當學般若波羅蜜
005_0229_c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유위ㆍ무위의 법의 저 언덕[彼岸]164)에 이르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 보살마하살이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법의 여(如)165)와 법상(法相)과 무생제(無生際)을 알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9_c_02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到有爲無爲法彼岸當學般若波羅蜜菩薩摩訶薩欲知過去未來現在諸法如法相無生際者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온갖 성문이나 벽지불 앞에 있고자 하거나, 모든 부처님을 곁에서 모시고자 하거나, 모든 부처님의 안의 권속[內眷屬]이 되고자 하거나, 큰 권속을 얻고자 하거나, 보살의 권속을 얻고자 하거나, 청정한 과보를 받는 큰 보시를 얻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9_c_06L舍利弗菩薩摩訶薩欲在一切聲辟支佛前欲給侍諸佛欲爲諸佛內眷屬欲得大眷屬欲得菩薩眷屬欲淨報大施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간탐하는 마음ㆍ파계(破戒)하는 마음ㆍ성내는 마음ㆍ게으른 마음ㆍ산란한 마음ㆍ어리석은 마음을 일으키지 않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9_c_10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不起慳心戒心瞋恚心懈怠心亂心癡心者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온갖 중생으로 하여금 보시의 복처와 지계의 복처와 수정(修定)의 복저와 권도(勸道)의 복처에 서게 하려 하거나, 중생으로 하여금 재물의 복과 법의 복의 처소에 서게 하려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9_c_13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使一切衆生立於布施福處持戒福處修定福處勸導福處欲令衆生立於財福法福者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다섯 가지 눈을 얻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무엇이 다섯 가지 눈인가? 곧 육안(肉眼)과 천안(天眼)과 혜안(慧眼)과 법안(法眼)과 불안(佛眼)166)이니라.
보살마하살이 천안으로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국토에 안의 모든 부처님을 뵙고자 하거나, 천이(天耳)167)로써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법을 듣고자 하거나, 모든 부처님의 마음을 알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시방의 모든 부처님이 말씀하신 법을 듣고 들은 뒤에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 잊지 않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29_c_17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得五眼當學般若波羅蜜何等五眼肉眼天眼慧眼法眼佛眼菩薩摩訶薩欲以天眼見十方如恒河沙等國土中諸佛欲以天耳聞十方諸佛所說法欲知諸佛心當學般若波羅蜜欲聞十方諸佛所說法聞已乃至阿耨多羅三藐三菩提不忘者當學般若波羅蜜
005_0230_a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과거와 미래의 모든 부처님의 국토를 보고, 나아가 현재 시방의 부처님의 국토를 보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30_a_02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見過去未來諸佛國土及見現在十方諸佛國土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12부경(部經)168)인 수다라(修多羅)169)ㆍ기야(祇夜)170)ㆍ수기경(受記經)171)ㆍ가타(伽陀)172)ㆍ우타나(憂陀那)173)ㆍ인연경174)ㆍ아파타나(阿波陀那)175)ㆍ여시어경(如是語經)176)ㆍ본생경(本生經)177)ㆍ방광경(方廣經)178)ㆍ미증유경(未曾有經)179)ㆍ논의경(論議經)180)을 듣고, 또한 모든 성문들이 들었거나 듣지 못한 것을 모두 다 외우고 받아 지니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세계 안의 모든 부처님이 말씀하신 법에 대하여 이미 말씀하셨고 지금 말씀하시며 장차 말씀하실 법을 들은 뒤에 일체를 믿고 지니면서 스스로가 행하고 또한 남을 위해 설해주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30_a_04L舍利弗菩薩摩訶薩欲聞十方諸佛所說十二部經——修多羅祇夜受記伽陁憂陁那因緣經阿波陁那是語經本生經方廣經未曾有經論議諸聲聞等聞與不聞盡欲誦受持當學般若波羅蜜十方如恒河沙等世界中諸佛所說法已說今說聞已欲一切信持自行亦爲他人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과거의 모든 부처님께서 말씀하여 마쳤거나 미래의 모든 부처님께서 장차 말씀하실 것을 듣고 들은 뒤에는 스스로를 이롭게 하고 다른 이를 이롭게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모든 세계 중간의 어두운 곳과 해와 달이 비추지 않는 곳을 광명을 가지고 두루 비추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그리고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세계 안에 부처님이라는 이름과 법이라는 이름과 승가(僧伽)라는 이름이 없을 때에 온갖 중생들로 하여금 모두가 바른 견해[正見]을 얻고 3보(寶)라는 음성을 듣게 하려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또한 보살마하살이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세계안의 중생으로 하여금 나의 힘으로 눈먼 이는 볼 수 있고 귀먹은 이는 들을 수 있으며, 미친 자는 정신을 찾고 벌거벗은 이는 옷을 얻으며, 베고프고 목마른 이는 충분히 먹고 마시게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30_a_13L復次舍利弗薩摩訶薩過去諸佛已說未來諸佛當說欲聞聞已自利亦利他人當學般若波羅蜜十方如恒河沙等諸世界中閒闇處日月所不照處欲持光明普照者當學般若波羅蜜十方如恒河沙等世界中無有佛名法名僧名欲使一切衆生皆得正見聞三寶名當學般若波羅蜜菩薩摩訶薩欲令十方如恒河沙等諸世界中衆生以我力故盲者得視聾者得聽狂者得念裸者得衣飢渴者得飽滿當學般若波羅蜜
005_0230_b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만일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세계 안의 중생으로서 3악취(惡趣)에 있는 모든 이들로 하여금 나의 힘으로 모두가 사람의 몸을 얻게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세계 안의 중생으로 하여금 나의 힘으로 계율[戒]ㆍ삼매(三昧)ㆍ지혜(智慧)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에 서게 하고 수다원(須陀洹)의 과위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까지를 얻게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30_b_02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若欲令十方如恒河沙等世界中衆生諸在三惡趣者以我力故皆得人身當學般若波羅蜜欲令十方如恒河沙等世界中衆生以我力故於戒三昧智慧解脫解脫知見令得須陁洹果乃至阿耨多羅三藐三菩當學般若波羅蜜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모든 부처님의 위의(威儀)181)를 배우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 보살마하살이 마치 코끼리[象王]가 바라보듯 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그리고 보살이 이러한 서원을 세우되 “나로 하여금 나아갈 때에는 땅에서 네 손가락만큼 떨어지면서 발로 땅을 밟지 않게 되고, 나는 장차 사천왕천(四天王天)에서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에 이르기까지의 한량없는 천만억의 모든 하늘들에 둘러싸여 공경 받으면서 보리수(菩提樹)182) 아래에 이르겠노라”고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그리고 “내가 장차 보리수 아래 앉을 때 사천왕천에서 아가니타천에 이르기까지의 하늘옷으로 자리가 되게 하리라”고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할 때 가고 서고 앉고 눕는 곳이 모두 금강(金剛)이 되게 하리라”고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30_b_09L復次舍利弗薩摩訶薩欲學諸佛威儀者當學般若波羅蜜菩薩摩訶薩欲得如象王視觀當學般若波羅蜜菩薩作是願使我行時離地四指足不蹈地我當共四天王天乃至阿迦尼咤天無量千萬億諸天衆圍遶恭敬至菩提樹當學般若波羅蜜我當於菩提樹下坐四天王天乃至阿迦尼咤天天衣爲座當學般若波羅蜜我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時行住坐臥處欲使悉爲金剛當學般若波羅蜜
005_0230_c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출가한 바로 그날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고, 바로 그날에 법륜(法輪)을 굴리며, 법륜을 굴릴 때에 헤아릴 수 없고 셀 수도 없는 중생이 티끌을 멀리하고 때를 여의어 모든 법 가운데서 법안(法眼)이 청정하게 되며, 헤아릴 수 없고 셀 수도 없는 중생이 온갖 법을 받지 않기 때문에 모든 번뇌 있는 마음이 해탈을 얻으며, 헤아릴 수 없고 셀 수도 없는 중생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불퇴전(不退轉)을 얻게 하려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그리고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때 헤아릴 수 없고 셀 수도 없는 성문(聲聞)으로 승가[僧]를 삼겠으며, 내가 한 번 설법할 때에는 자리에 있는 이를 모두 아라한이 되게 하리라”고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30_b_20L舍利弗菩薩摩訶薩欲出家日卽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卽是日轉法輪轉法輪時無量阿僧祇衆生遠塵離垢諸法中得法眼淨無量阿僧祇衆生一切法不受故諸漏心得解無量阿僧祇衆生於阿耨多羅三藐三菩提得不退轉當學般若波羅我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時無量阿僧祇聲聞爲僧我一說法時便於座上盡得阿羅漢當學般若波羅蜜
또한 ‘나는 한량없는 아승기 보살마하살로써 승가를 삼겠으며, 내가 한 번 설법할 때 헤아릴 수 없고 셀 수도 없는 보살이 모두 아유월치를 얻으며, 수명(壽命)은 한량없고 광명을 구족하게 하리라”고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때 그 세계 안에는 음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없고 또한 3독(毒)이라는 이름이 없으며, 온갖 중생들이 그 같은 지혜가 있어 선한 보시ㆍ선한 지계ㆍ선한 선정ㆍ선한 범행과 중생을 어지럽히지 않는 선한 법을 성취하게 하리라”고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만 하느니라.
“내가 완전히 열반183)에 든 뒤에 법으로 하여금 소멸하여 다함[滅盡]이 없게 하고 또한 소멸하여 다한다는 말조차 없게 하리라”고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때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세계 안에 있는 중생으로서 나의 이름을 듣는 이면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하리라”고 하는 등의 이와 같은 공덕을 얻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005_0230_c_08L我當以無量阿僧祇菩薩摩訶薩爲僧我一說法時無量阿僧祇菩薩皆得阿惟越致欲得壽命無量光明具足當學般若波羅蜜我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時世界中無婬欲瞋恚愚癡亦無三毒之名一切衆生成就如是智慧善施善戒善定善行善不嬈衆生當學般若波羅蜜使我般涅槃後法無滅盡亦無滅盡之當學般若波羅蜜我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時十方如恒河沙等世界中衆生聞我名者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欲得如是等功德者學般若波羅蜜

2. 봉발품(奉鉢品)
005_0230_c_21L摩訶般若波羅蜜經奉鉢品第二
005_0231_a_02L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여 능히 이런 공덕을 짓는다면, 이때에 사천왕(四天王)이 모두 크게 기뻐하면서 생각하기를 ‘우리들이 네 개의 발우를 보살에게 바쳐 올림은 마치 먼저의 천왕들이 먼저의 부처님께 발우를 바치듯 해야만 한다’고 하느니라. 삼십삼천에서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에 이르기까지도 역시 모두 환희하며 생각하기를 ‘우리들은 보살을 받들어 모시고 공양하여 아수라의 종족을 줄이고 모든 하늘은 더욱 불어나게 하리라’고 하며, 삼천대천국토의 사천왕천에서 아가니타천(牙迦尼吒天)에 이르기까지도 모두가 크게 환희하며 생각하기를 ‘우리들은 장차 이 보살에게 법륜을 굴리도록 청하리라’고 하느니라.
사리불아, 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6바라밀을 더욱 늘려갈 때에 모든 선남자와 선여인은 저마다 환희하며 생각하기를 ‘우리들은 이 사람을 위해 부모ㆍ처자ㆍ친족이 되고 벗이 되어 주어야만 한다’고 하느니라.
005_0230_c_22L佛告舍利弗若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能作是功德是時四天王皆大歡喜意念言我等當以四鉢奉上菩薩如前天王奉先佛鉢三十三天乃至他化自在天亦皆歡喜意念言我等當給侍供養菩薩減損阿修羅增益諸天衆三千大千國土四天王天乃至阿迦尼咤天皆大歡喜念言我等當請是菩薩轉法輪舍利是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增益六波羅蜜時諸善男子善女人各各歡喜念言我等當爲是人作父母妻子親族知識
이때 사천왕에서 아가니타천에 이르기까지 모두 크게 환희하며 저마다 생각하기를 ‘우리들은 방편을 지어서 이 보살로 하여금 음욕을 여의게 하여 처음 발심할 때부터 항상 동진(童眞)184)이 되게 하고, 색욕과는 함께하지 못하게 하리라. 설령 5욕을 받아도 범천에 나는 데에 장애가 되거늘 하물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이랴’고 하느니라. 이 때문에 사리불아, 보살마하살로서 음욕을 끊고 출가한 이는 응당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테지만 끊지 못한 자는 그렇지 않느니라.
005_0231_a_12L爾時四天王天乃至阿迦尼咤天皆大歡喜各自念言等當作方便令是菩薩離於婬欲初發意常作童眞莫使與色欲共會若受五欲障生梵天何況阿耨多羅三藐三菩提以是故舍利弗菩薩摩訶薩斷婬欲出家者應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非不斷
사리불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에게는 반드시 부모ㆍ처자와 친족이며 벗이 있어야 하는지요?”
005_0231_a_19L舍利弗白佛言世尊菩薩摩訶薩要當有父母妻子親族知識耶
005_0231_b_02L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어떤 보살은 부모ㆍ처자ㆍ친족과 아는 이가 있기도 하고, 어떤 보살은 처음 발심해서부터 음욕을 끊고 동진의 행을 닦으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기에 이르기까지 색욕을 범하지 않기도 하며, 어떤 보살은 방편의 힘 때문에 5욕을 받은 뒤에 출가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기도 하느니라. 비유하건대 마치 환술사나 환술사의 제자가 환술의 법을 잘 알므로 환술로써 5욕을 만들어서는 그 가운데에서 서로 즐기는 것과 같으니라. 그렇다면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은 이 5욕을 실제로 받고 있는 것이더냐?”
005_0231_a_21L佛告舍利弗或有菩薩有父母妻子親族知識或有菩薩從初發心斷婬欲修童眞行乃至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不犯色欲或有菩薩方便力故受五欲已出家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譬如幻師若幻弟子善知幻法幻作五欲於中共相娛樂於汝意云何是人於此五欲頗有實受不
사리불이 말씀드렸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舍利弗言不也世尊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방편의 힘으로써 변화로 5욕을 만들어 그 가운데서 즐거움을 받느니라. 중생을 성취하는 일도 역시 그와 같나니, 이 보살마하살은 욕망에 물들지 않은 채 갖가지 인연으로 5욕을 꾸짖으니, 곧 욕망은 활활 타는 불이고, 욕망은 더럽고 추하며, 욕망은 헐어 부서지며, 욕망은 마치 원수와 같다고 여기느니라. 이 때문에 사리불아, 보살은 중생을 위하는 까닭에 5욕락을 받는 줄 알야야 하느니라.”
005_0231_b_06L佛告舍利弗菩薩摩訶薩以方便力故化作五欲於中受樂成就衆生亦復如是菩薩摩訶薩不染於欲種種因緣毀呰五欲欲爲熾然欲爲穢惡爲毀壞欲爲如怨是故舍利弗當知菩薩爲衆生故受五欲
사리불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보살마하살은 어떻게 반야바라밀을 행해야만 하는지요?”
005_0231_b_12L舍利弗白佛菩薩摩訶薩云何應行般若波羅
005_0231_c_02L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보살을 보지 못하고, 보살의 이름을 보지 못하며, 반야바라밀을 보지 못하느니라. 내가 반야바라밀을 행함을 보지 못하고 또한 내가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음도 보지 못하느니라. 왜냐하면 보살과 보살이란 이름의 성품이 공하기 때문이니라.
공한 가운데서는 물질[色]이 없고 느낌[受]ㆍ생각[想]ㆍ지어감[行]ㆍ의식[識]도 없으며, 물질을 여의고도 공함이 없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을 여의고도 또한 공함이 없나니, 물질이 바로 공이요 공이 곧 물질이며,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이 바로 빈 것이요 빈 것이 바로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이니라.
왜냐하면 사리불아, 다만 이름이 있기 때문에 보리라 할 뿐이요 다만 이름이 있기 때문에 보살이라 할 뿐이며, 다만 이름이 있기 때문에 공이라 할 뿐이니라. 그것은 왜냐하면 모든 법의 진실한 성품[實性]은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으며 더러움도 없고 깨끗함도 없기 때문이니라.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행하면서도 역시 생하는 것을 보지 못하고 멸하는 것도 보지 못하며, 더러운 것도 보지 못하고 깨끗한 것도 보지 못하느니라. 왜냐하면 이름이란 곧 인연(因緣)이 화합하여 지어진 법이요 다만 분별하고 기억하고 생각하는 일에 임시로 이름 붙여 말하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온갖 이름을 보지 못하며 보지 못한 까닭에 집착하지 않느니라.”
005_0231_b_14L佛告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不見菩薩不見菩薩字見般若波羅蜜亦不見我行般若波羅蜜亦不見我不行般若波羅蜜以故菩薩菩薩字性空空中無色受想行識離色亦無空離受想行識亦無空色卽是空空卽是色受想行識卽是空空卽是識何以故舍利弗但有名字故謂爲菩提但有名字故謂爲菩薩但有名字故謂爲空所以者何諸法實性無生無滅無垢無淨菩薩摩訶薩如是行亦不見生亦不見滅亦不見垢亦不見淨何以故名字是因緣和合作法但分別憶想假名說是故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不見一切名字不見故不著

3. 습응품(習應品)거란본에는 습상응품(習相應品)으로 되어 있음
005_0231_c_06L摩訶般若波羅蜜經習應品第三丹本名爲習相應品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보살은 다만 이름만이 있을 뿐이고 부처도 다만 이름만이 있을 뿐이다. 반야바라밀도 다만 이름만이 있을 뿐이고 물질도 다만 이름만이 있을 뿐이며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도 역시 이름만이 있을 뿐이다’라고 이와 같이 생각해야 하느니라.
사리불아, 마치 나[我]가 다만 이름만이 있고 일체의 나는 항상 얻을 수 없듯이 중생(衆生)과 영혼[壽者]과 목숨[命者]과 나는 이[生者]와 기르는 이[養育]와 중수(衆數)와 사람[人]과 짓는 이[作者]와 짓게 하는 이[使作者]와 일어나는 이[起者]와 일어나게 하는 이[使起者]와 받는 이[受者]와 받게 하는 이[使受者]와 아는 이[知者]와 보는 이[見者] 등의 이 모두를 다 얻을 수 없으며 얻을 수 없고 공하기 때문에 다만 이름으로써 말할 뿐이니라.
005_0231_c_07L佛告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應如是思惟菩薩但有名字佛亦但有字般若波羅蜜亦但有字色但有字受想行識亦但有字舍利如我但有字一切我常不可得壽者命者生者養育衆數人者使作者起者使起者受者使受者知者見者是一切皆不可得不可得空故但以名字說
005_0232_a_02L보살마하살도 역시 그러하여서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나를 보지 못하고 중생을 보지 못하며 나아가 아는 이와 보는 이에 이르기까지를 보지 못하나니, 말한 바의 이름 역시 볼 수 없느니라.”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 부처님을 제외하고는 그 지혜가 일체의 성문이나 벽지불을 지나게 되니, 불가득공(不可得空)에 의하기 때문이니라. 그것은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모든 이름과 법의 이름과 집착하는 곳도 역시 얻을 수 없는 까닭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능히 이와 같이 행해 반야바라밀을 행하느니라. 비유하건대 마치 염부제(閻浮提)에 가득 찬 대나무나 삼ㆍ벼ㆍ갈대의 수만큼의 비구들이 있고, 그 지혜가 모두 사리불이나 목건련과 같다 하여도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보살의 지혜에 비한다면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고 천분ㆍ백천억분의 일 내지는 산수(算數)의 비유(譬喩)로써는 미칠 수 없느니라. 왜냐하면 보살마하살은 지혜에 의지해 온갖 중생을 제도하고 벗어나게 하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염부제 안에 가득 찬 사리불과 목건련 같은 이들은 그만두고,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찬 사리불과 목건련 같은 이들도 다시 그만두고, 시방의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세계에 가득 찬 사리불과 목건련 같은 이들의 지혜로써도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보살의 지혜에 비한다면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고, 천분의 일ㆍ백천분의 일 내지는 산수와 비유로써도 미칠 수 없느니라.
005_0231_c_16L菩薩摩訶薩亦如是行般若波羅蜜不見我不見衆生乃至不見知者見者所說名字亦不可見菩薩摩訶薩作如是行般若波羅蜜除佛智慧過一切聲聞辟支佛用不可得空故所以者何是菩薩摩訶薩諸名字法名字所著處亦不可得故舍利弗菩薩摩訶薩能如是爲行般若波羅蜜譬如滿閻浮提竹麻稻茅諸比丘其數如是智慧如舍利弗目揵連等欲比菩薩行般若波羅蜜智慧百分不及一千分百千億分乃至算數譬喩所不能及何以菩薩摩訶薩用智慧度脫一切衆生故舍利弗置滿閻浮提如舍利弗目揵連等若滿三千大千國土如舍利弗目揵連等復置是事若滿十方如恒河沙等國土如舍利弗目揵連等智慧欲比菩薩行般若波羅蜜智慧百分不及一千分百千億分乃至算譬喩所不能及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하루 동안 지혜를 닦아도 온갖 성문이나 벽지불보다 뛰어나느니라.”
005_0232_a_13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一日修智慧出過一切聲聞辟支佛上
사리불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성문이 지닌 지혜는 수다원ㆍ사다함ㆍ아나함ㆍ아라한 및 벽지불의 지혜와 부처님의 지혜 등 이 모든 뭇 지혜와는 차별이 없고 서로 어긋나지도 않으며, 나는 것이 없으면서[無生] 성품이 공[性空]합니다. 만일 법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무생이고 성품이 공하다면 이 법에는 차별이 없는데 어떻게 세존께서는 말씀하시기를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하루 동안 닦은 지혜도 성문이나 벽지불보다 뛰어나다’ 하시는지요?”
005_0232_a_15L舍利弗白佛言世尊聲聞所有智慧若須陁洹斯陁含阿那含阿羅漢辟支佛智慧佛智慧是諸衆智無有差別不相違背無生性空若法不相違背無生性是法無有別異云何世尊言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一日修智慧出過聲聞辟支佛上
005_0232_b_02L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며 하루 동안 지혜를 닦으면서 생각하기를 ‘나는 도의 지혜를 행해 일체 중생을 이익되게 하며 일체종지(一切種智)로써 온갖 법을 알고 온갖 중생을 제도해야 한다’고 하나니, 모든 성문이나 벽지불의 지혜에서도 이러한 일이 있겠느냐?”
005_0232_a_22L佛告舍利弗汝意云何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一日修智慧心念我行道慧益一切衆生當以一切種智知一切法一切衆生諸聲聞辟支佛智慧爲有是事不
사리불이 말씀드렸다.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舍利弗言不也世尊
“사리불아,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모든 성문이나 벽지불에게 ‘우리들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 온갖 중생을 제도하여 무여열반(無餘涅槃)을 얻게 해야만 한다’고 하는 이런 생각이 행여 있겠느냐?”
005_0232_b_04L舍利弗於汝意云何諸聲聞辟支佛頗有是我等當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一切衆生令得無餘涅槃不
사리불이 말씀드렸다.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005_0232_b_07L舍利弗言不也世尊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이러한 인연 때문에 알아야 하나니, 모든 성문이나 벽지불의 지혜는 보살마하살의 지혜에 비한다면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고, 천분의 일 또는 백천억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나아가 산수와 비유로써도 미치지 못하느니라.
사리불아,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모든 성문이나 벽지불에게 ‘우리는 6바라밀을 행하여 중생을 성취시키고 세계를 장엄하며 부처님의 10력(力)과 4무소외(無所畏)와 4무애지(無礙智)와 18불공법(不共法)을 갖추어서 헤아릴 수 없고 셀 수도 없는 중생들을 제도하며 열반을 얻게 하겠노라’고 하는 이런 생각이 행여 있겠느냐?”
005_0232_b_08L佛告舍利弗以是因緣故當知諸聲聞辟支佛智慧欲比菩薩摩訶薩智慧百分不及一千分百千億分乃至算數譬喩所不能及舍利弗於汝意云何諸聲聞辟支佛頗有是念我行六波羅蜜成就衆生莊嚴國土具佛十力四無所畏四無閡智十八不共法度脫無量阿僧祇衆生令得涅槃不
사리불이 말씀드렸다.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005_0232_b_16L舍利弗言不也
005_0232_c_02L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능히 생각하기를 ‘나는 6바라밀을 행하고 나아가 18불공법을 구족하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해 헤아릴 수 없고 셀 수도 없는 중생을 제도하고 열반을 얻게 하리라’고 하느니라.
하지만 마치 개똥벌레는 ‘나의 힘으로 능히 염부제를 두루 비추어서 크게 밝히겠다’고 하는 이런 생각은 하지 못하듯이 모든 아라한의 과위 벽지불도 역시 그와 같아서 ‘우리들은 6바라밀을 행하고 나아가 18불공법을 구족하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어서 헤아릴 수 없고 셀 수도 없는 중생을 제도하며 열반을 얻게 하리라’고 하는 이런 생각을 하지 못하느니라.”
사리불아, 비유하건대 마치 해가 나왔을 때에는 광명이 염부제를 두루 비추어서 그 광명을 받지 않는 이가 없듯이,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6바라밀을 행하고 나아가 18불공법을 구족하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어 한량없는 아승기의 중생을 제도하여 열반을 얻게 하느니라.
005_0232_b_17L佛告舍利弗菩薩摩訶薩能作是我當行六波羅蜜乃至十八不共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脫無量阿僧祇衆生令得涅槃譬如螢火虫不作是念我力能照閻浮提普令大明諸阿羅漢辟支佛亦如是不作是念我等行六波羅蜜乃至十八不共法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脫無量阿僧祇衆生令得涅槃舍利弗譬如日出時光明遍照閻浮提無不蒙明者菩薩摩訶薩亦如是行六波羅蜜乃至十八不共法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脫無量阿僧祇衆生令得涅槃
사리불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어떻게 보살마하살은 성문이나 벽지불의 경지를 지나 아유월치의 지위[阿惟越致地]에 머물러 부처님의 길을 청정하게 하는지요?”
005_0232_c_07L舍利弗白佛言云何菩薩摩訶薩過聲聞辟支佛地住阿惟越致淨於佛道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처음 뜻을 내면서부터 6바라밀을 행하고 공(空)ㆍ무상(無相)ㆍ무작(無作)의 법에 머무르며 온갖 성문과 벽지불의 지위를 지나 아유월치의 지위에 머무르면서 부처님의 길을 청정히 하느니라.”
005_0232_c_09L佛告舍利弗菩薩摩訶薩從初發意行六波羅蜜住空無相無作法能過一切聲聞辟支佛地住阿惟越致地淨於佛道
사리불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보살마하살은 어떠한 자리에 머물러서 모든 성문과 벽지불을 위하여 복전을 짓는지요?”
005_0232_c_12L舍利弗白佛言菩薩摩訶薩住何等地能爲諸聲聞辟支佛作福田
005_0233_a_02L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처음 뜻을 낼 때부터 6바라밀을 행하면서 도량(道場)에 앉기에 이르기까지 그 중간에 언제나 모든 성문과 벽지불을 위하여 복전을 짓느니라. 왜냐하면 보살마하살의 인연이 있기 때문에 세간에는 모든 착한 법이 생기느니라.
무엇이 착한 법인가? 이른바 10선도(善道)와 5계(戒)와 8분성취재(分成就齋)와 4선(禪)과 4무량심(無量心)과 4무색정(無色定)과 4념처(念處)와 4정근(正勤)과 4여의족(如意足)과 5근(根)과 5력(力)과 7각분(覺分)과 8성도분(聖道分)이 모두 세간에 나타나는 것이니라.
또 보살의 인연 때문에 6바라밀(波羅蜜)과 18공(空)과 부처님의 10력(力)과 4무소외(無所畏)와 4무애지(無礙智)와 18불공법(不共法)과 대자대비(大慈大悲)와 일체종지(一切種智)가 모두 세간에 나타나고, 보살의 인연 때문에 찰리(刹利)의 큰 성바지와 바라문의 큰 성바지와 거사의 대가와 사천왕천 내지는 비유상비무상천(非有想非無想天)까지가 모두 세간에 나타나며, 보살의 인연 때문에 수다원(須陀洹)과 사다함(斯陀含)과 아나함(阿那含)과 아라한(阿羅漢)과 벽지불(辟支佛)이 모두 세간에 나타나는 것이니라.”
005_0232_c_14L佛告舍利弗菩薩摩訶薩從初發意行六波羅蜜乃至坐道場於其中間常爲諸聲聞辟支佛作福田何以故以有菩薩摩訶薩因緣世閒諸善法生何等是善法所謂十善道五戒八分成就齋四禪四無量心四無色定四念處四正勤四如意五根五力七覺分八聖道分盡現於世以菩薩因緣故六波羅蜜十八佛十力四無所畏四無閡智十八不共法大慈大悲一切種智盡現於世以菩薩因緣故有剎利大姓婆羅門大姓居士大家四天王天乃至非有想非無想天皆現於世以菩薩因緣故有須陁洹斯陁含阿那含阿羅漢支佛皆現於世
사리불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보살마하살은 청정해지고 난 후에 복을 베푸는지요?”
005_0233_a_06L舍利弗白佛言薩摩訶薩淨畢施福不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니니라. 왜냐하면 본래부터 청정하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큰 시주(施主)가 되어서 무엇을 베푸느냐 하면, 모든 착한 법을 베푸느니라. 착한 법이란 곧 10선도와 5계 내지는 18불공법과 일체종지이니, 이러한 것으로써 베풀어 주느니라.”
005_0233_a_07L佛言不也以故本已淨畢故舍利弗菩薩摩訶薩爲大施主施何等施諸善法何等善法十善道五戒乃至十八不共法一切種智以是施與
사리불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이 어떻게 반야바라밀을 익히고 응(應)하면 반야바라밀과 상응(相應)하는지요?”
005_0233_a_11L舍利弗白佛言菩薩摩訶薩云何習應般若波羅蜜與般若波羅蜜相應
005_0233_b_02L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이 물질[色]이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고, 느낌[受]ㆍ생각[想]ㆍ지어감[行]ㆍ의식[識]이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눈[眼]이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며, 귀[耳]ㆍ코[鼻]ㆍ혀[舌]ㆍ몸[身]ㆍ마음[心]이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빛깔[色]이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며, 소리[聲]ㆍ냄새[香]ㆍ맛[味]ㆍ닿임[觸]ㆍ법(法)이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안계(眼界)의 공함ㆍ색계(色界)의 공함ㆍ안식계(眼識界)의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며, 이계(耳界)ㆍ성계(聲界)ㆍ이식계(耳識界)와 비계(鼻界)ㆍ향계(香界)ㆍ비식계(鼻識界)와 설계(舌界)ㆍ미계(味界)ㆍ설식계(舌識界)와 신계(身界)ㆍ촉계(觸界)ㆍ신식계(身識界)와 의계(意界)ㆍ법계(法界)ㆍ의식계(意識界)의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괴로움[苦]이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며, 쌓임[集]ㆍ사라짐[滅]ㆍ도(道)의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3_a_13L佛告舍利弗菩薩摩訶薩習應色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習應受想行識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復次舍利弗薩摩訶薩習應眼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習應耳鼻舌身心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習應色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習應聲香味觸法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習應眼界色界空眼識界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習應耳聲識鼻香識舌味身觸識意法識界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習應苦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習應集滅道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무명(無明)이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며, 지어감[行]ㆍ의식[識]ㆍ이름과 모양[名色]ㆍ여섯 감관[六處]ㆍ닿임[觸]ㆍ느낌[受]ㆍ욕망[愛]ㆍ집착[取]ㆍ존재[有]ㆍ남[生]과 늙어 죽음[老死]이 공함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온갖 법이 공하여 혹은 유위(有爲)이고 혹은 무위(無爲)임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성공(性空)185)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이와 같이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7공(空), 이른바 성공(性空)ㆍ자상공(自相空)ㆍ제법공(諸法空)ㆍ불가득공(不可得空)ㆍ무법공(無法空)ㆍ유법공(有法空)ㆍ무법유법공(無法有法空)을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3_b_04L習應無明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習應行名色六入老死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習應一切諸法空有爲若無爲是名與般若波羅蜜相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習應性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如是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習應七空所謂性空自相空諸法空所得空無法空有法空無法有法空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005_0233_c_02L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7공(空)을 익히고 응할 때는 물질이 상응한다거나 상응하지 않는다 함을 보지 않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이 상응한다거나 상응하지 않는다 함을 보지 않으며, 물질의 나는 모양과 멸하는 모양을 보지 않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나는 모양이나 멸하는 모양을 보지 않으며, 물질의 더러운 모양이나 깨끗한 모양을 보지 않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더러운 모양이나 청정한 모양을 보지 않느니라.”
물질[色]과 느낌[受]이 합한 것을 보지 않고 느낌과 생각(想)이 합함을 보지 않으며, 생각과 지어감[行]이 합한 것을 보지 않고 지어감과 의식[識]이 합한 것도 보지 못하나니, 왜냐하면 법과 법이 합하는 일이 없고 그 성품이 공하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물질이 공한 가운데는 물질이 없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이 공한 가운데에는 느낌ㆍ생각ㆍ지어감과 의식이 없느니라.
사리불아, 물질이 공하기 때문에 괴롭히고 무너지는 모양[惱壞相]이 없고, 느낌이 공하기 때문에 느끼는 모양[受相]이 없으며, 생각이 공하기 때문에 아는 모양[知相]이 없고, 지어감이 공하기 때문에 짓는 모양[作相]이 없으며, 의식이 공하기 때문에 깨닫는 모양[覺相]이 없느니라.
왜냐하면 사리불아, 물질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물질과 다르지 않으며 물질이 곧 공이요 공이 곧 물질이기 때문이며, 느낌과 생각과 지어감과 의식도 또한 그러하느니라.
005_0233_b_14L佛告舍利菩薩摩訶薩習應七空時不見色若相應若不相應不見受想行識若相若不相應不見色若生相若滅相不見受想行識若生相若滅相不見色若垢相若淨相不見受想行識若垢相若淨相不見色與受合不見受與想合不見想與行合不見行與識合何以故無有法與法合者其性空故舍利弗色空中無有色受想行識空中無有識舍利弗色空故無惱壞相空故無受相想空故無知相行空故無作相識空故無覺相何以故舍利弗色不異空空不異色色卽是空空卽是色受想行識亦如是
사리불아, 이 모든 법은 공한 모양이어서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않고 줄지도 않으며, 이 공한 법은 과거도 아니요 미래도 아니며 현재도 아니니라.
그러므로 공 가운데는 물질도 없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도 없으며, 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뜻도 없고 빛깔ㆍ소리ㆍ냄새ㆍ맛ㆍ닿임ㆍ법도 없으며, 눈의 경계도 없고 나아가 의식의 경계에 이르기까지도 없으며, 무명도 없고 또한 무명이 다함도 없으며, 늙고 죽음에 이르기까지도 없고 늙고 죽음이 다함도 없으며, 괴로움ㆍ괴로움의 원인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을 없애는 길도 없으며, 또한 지혜도 없고 얻음도 없느니라.
수다원도 없고 수다원의 과위도 없으며, 사다함도 없고 사다함의 과위도 없으며, 아나함도 없고 아나함의 과위도 없으며, 아라한도 없고 아라한의 과위도 없으며, 벽지불도 없고 벽지불의 도(道)도 없으며, 부처님도 없고 부처님의 길도 없느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3_c_05L舍利弗是諸法空相不生不滅不垢不淨不增不是空法非過去非未來非現在故空中無色無受想行識無眼耳鼻舌身意無色聲香味觸法無眼界乃至無意識界亦無無明亦無無明盡乃至亦無老死亦無老死盡無苦集滅道亦無智亦無得亦無須陁洹無須陁洹果無斯陁含無斯陁含果阿那含無阿那含果無阿羅漢無阿羅漢果無辟支佛無辟支佛道無佛亦無佛道舍利弗菩薩摩訶薩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005_0234_a_02L사리불아,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거나 상응하지 않음을 보지 않으며, 단나(檀那)바라밀ㆍ시(尸)바라밀ㆍ찬제(羼提)바라밀ㆍ비리야(毘梨耶)바라밀ㆍ선나(禪那)바라밀과 상응한다거나 상응하지 않는다 함을 보지 않느니라.
또한 물질[色]과 상응한다거나 상응하지 않는다 함도 보지 않고 느낌[受]ㆍ생각[想]ㆍ지어감[行]ㆍ의식[識]과 상응한다거나 상응하지 않는다 함도 보지 않으며, 눈[眼]으로부터 뜻[意]에 이르기까지와 빛깔[色]로부터 법(法)에 이르기까지와 눈ㆍ빛깔ㆍ안식계(眼識界)로부터 뜻ㆍ법ㆍ의식계(意識界)에 이르기까지 상응한다거나 상응하지 않는다 함도 보지 않으며, 4념처(念處)로부터 8성도분(聖道分)에 이르기까지와 부처님의 10력(力)에서 일체종지(一切種智)에 이르기까지 상응한다거나 상응하지 않는다 함을 보지 않느니라.
이와 같이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과 상응함을 알아야 하느니라.
005_0233_c_17L舍利是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見般若波羅蜜若相應若不相應見檀那波羅蜜尸羅波羅蜜羼提波羅蜜毘梨耶波羅蜜禪那波羅蜜若相應若不相應亦不見色若相應若不相應不見受想行識若相應若不相應不見眼乃至意色乃至法眼色識界乃至意法識界若相應若不相不見四念處乃至八聖道分佛十力乃至一切種智若相應若不相應如是舍利弗當知菩薩摩訶薩與般若波羅蜜相應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는 공과 공이 합하지 않고, 무상(無相)과 무상이 합하지 않으며, 무작(無作)과 무작이 합하지 않나니, 왜냐하면 공ㆍ무상ㆍ무작에는 합함과 합하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4_a_06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空不與空合無相不與無相合無作不與無作合何以故無相無作無有合與不合舍利弗菩薩摩訶薩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모든 법의 자상공(自相空)에 들어가느니라. 들어간 뒤에는 물질과 합하려 하지 않고 합하지 않으려 하지도 않으며,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과 합하려 하지 않고 합하지 않으려 하지도 않느니라.
물질은 전제(前際)와 합하지 않나니, 왜냐하면 전제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니라. 물질은 후제(後際)와 합하지 않나니, 왜냐하면 후제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니라. 물질은 현재와 합하지 않나니, 왜냐하면 현재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니라.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도 역시 그러하느니라.
005_0234_a_11L復次舍利弗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入諸法自相空入已色不作合不作不合想行識不作合不作不合色不與前際合何以故不見前際故色不與後際合何以故不見後際故色不與現在合何以故不見現在故受想行識亦如是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전제는 후제와 합하지 않고 후제는 전제와 합하지 않으며, 현재는 전제ㆍ후제와도 합하지 않고 전제ㆍ후제도 역시 현재와 합하지 않나니, 3제(際)의 이름이 공한 까닭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4_a_18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前際不與後際合後際不與前際合現在不與前際後際合前際後際亦不與現在合三際名空舍利弗菩薩摩訶薩如是習應者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005_0234_b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살바야(薩婆若)는 과거의 세상과 합하지 않나니, 왜냐하면 과거의 세상조차 볼 수 없는데 하물며 살바야가 과거의 세상과 합하겠느냐. 살바야는 미래의 세상과 합하지 않나니, 왜냐하면 미래의 세상은 볼 수조차도 없는데 하물며 살바야가 미래의 세상과 합하겠느냐. 살바야는 현재의 세상과 합하지 않나니, 왜냐하면 현재의 세상은 볼 수조차도 없는데 하물며 살바야가 현재의 세상과 합하겠느냐.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4_a_23L復次舍利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薩婆若不與過去世合何以故過去世不可見何況薩婆若與過去世合薩婆若不與未來世合何以故未來世不可見何況薩婆若與未來世合薩婆若不與現在世合何以故現在世不可見何況薩婆若與現在世合舍利菩薩摩訶薩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물질[色]은 살바야와 합하지 않나니, 물질은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니라.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도 그와 같으니라. 눈은 살바야와 합하지 않나니, 눈은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니라. 귀ㆍ코ㆍ혀ㆍ몸ㆍ뜻도 그와 같으니라. 빛깔은 살바야와 합하지 않나니, 빛깔은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니라. 소리ㆍ냄새ㆍ맛ㆍ닿임ㆍ법도 역시 그와 같으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4_b_09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色不與薩婆若色不可見故受想行識亦如是不與薩婆若合眼不可見故耳鼻舌身意亦如是色不與薩婆若合色不可見故聲香味觸法亦如是舍利弗菩薩摩訶薩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단나(檀那)바라밀은 살바야와 합하지 않느니라. 단나바라밀은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니, 반야바라밀에 이르기까지 역시 그와 같으니라. 4념처(念處)는 살바야와 합하지 않으니, 4념처는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니라. 8성도분(聖道分)에 이르기까지도 역시 그와 같으니라.
부처님의 10력(力) 내지 18불공법(不共法)은 살바야와 합하지 않나니, 부처님의 10력 내지 18불공법은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4_b_16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檀那波羅蜜不與薩婆若合檀那波羅蜜不可見故至般若波羅蜜亦如是四念處不與薩婆若合四念處不可見故乃至八聖道分亦如是佛十力乃至十八不共法不與薩婆若合佛十力乃至十八不共法不可見故舍利弗菩薩摩訶薩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005_0234_c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부처님은 살바야와 합하지 않고 살바야는 부처님과 합하지 않으며, 보리는 살바야와 합하지 않고 살바야는 보리와 합하지 않느니라.
왜냐하면 부처님이 곧 살바야이고 살바야가 곧 부처님이며, 보리가 살바야이고 살바야가 곧 보리이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4_c_02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佛不與薩婆若合薩婆若不與佛合菩提不與薩婆若合薩婆若不與菩提合何以故佛卽是薩婆薩婆若卽是佛菩提卽是薩婆若薩婆若卽是菩提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물질[色]은 있는[有] 것이라고 익히지 않고 물질은 없는[無] 것이라고도 익히지 않나니, 느낌[受]ㆍ생각[想]ㆍ지어감[行]ㆍ의식[識]도 또한 그러하느니라. 물질은 항상한 것[有常]이라고 익히지 않고 물질은 무상(無常)한 것이라고도 익히지 않나니,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 또한 그러하느니라.
물질은 괴로운[苦] 것이라고 익히지 않고 물질은 즐거운[樂] 것이라고도 익히지 않나니,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도 또한 그러하느니라. 물질은 나[我]라고 익히지 않고 물질은 나가 아니라[非我]고도 익히지 않나니,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도 또한 그러하느니라.
물질은 고요히 사라지는[寂滅] 것이라고 익히지 않고 물질은 고요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고도 익히지 않나니,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도 또한 그러하느니라.
물질은 공(空)한 것이라고 익히지 않고 물질은 공한 것이 아니라고도 익히지 않나니,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도 또한 그러하느니라.
물질은 모양이 있는[有相] 것이라고 익히지 않고 물질은 모양이 없는 것이라고도 익히지 않나니,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도 또한 그러하느니라.
물질은 조작이 있는[有作] 것이라고 익히지 않고 물질은 조작이 없는 것이라고도 익히지 않나니,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도 또한 그러하느니라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나는 반야바라밀을 행한다”거나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는다”거나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도 아니고 행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라고 생각하지 않느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4_c_09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不習色有不習色無受想行識亦如是不習色有常不習色無常受想行識亦如是習色苦不習色樂受想行識亦如是不習色我不習色非我受想行識亦如是不習色寂滅不習色不寂滅想行識亦如是不習色空不習色非受想行識亦如是不習色有相不習色無相受想行識亦如是不習色有作不習色無作受想行識亦如是是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不作是念我行般若波羅蜜不行般若波羅蜜非行非不行般若波羅蜜利弗菩薩摩訶薩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005_0235_a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으며, 단나(檀那)바라밀ㆍ시라(尸羅)바라밀ㆍ찬제(羼提)바라밀ㆍ비리야(毘梨耶)바라밀ㆍ선나(禪那)바라밀을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느니라.
아유월치(阿惟越致)의 지위를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고, 중생을 성취시키기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으며, 부처님 세계를 청정하게 하기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고 부처님의 10력(力)ㆍ4무소외(無所畏)ㆍ4무애지(無碍智)ㆍ18불공법(不共法)을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느니라.
내공(內空)을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으며 외공(外空)ㆍ내외공(內外空)ㆍ공공(空空)ㆍ대공(大空)ㆍ제일의공(第一義空)ㆍ유위공(有爲空)ㆍ무위공(無爲空)ㆍ필경공(畢竟空)ㆍ무시공(無始空)ㆍ산공(散空)ㆍ성공(性空)ㆍ제법공(諸法空)ㆍ자상공(自相空)ㆍ불가득공(不可得空)ㆍ무법공(無法空)ㆍ유법공(有法空) 및 무법유법공(無法有法空)을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으며, 여(如)ㆍ법성(法性)ㆍ실제(實際)를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느니라.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모든 법의 모양을 무너뜨리지 않기 때문이니,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4_c_24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不爲般若波羅蜜故行般若波羅蜜不爲檀那波羅蜜尸羅波羅羼提波羅蜜毘梨耶波羅蜜禪那波羅蜜故行般若波羅蜜不爲阿惟越致地故行般若波羅蜜不爲成就衆生故行般若波羅蜜不爲淨佛國土故行般若波羅蜜不爲佛十力無所畏四無閡智十八不共法故行般若波羅蜜不爲內空故行般若波羅蜜不爲外空內外空空空大空一義空有爲空無爲空畢竟空無始散空性空諸法空自相空不可得無法空有法空無法有法空故行般若波羅蜜不爲如法性實際故行般若波羅蜜何以故是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不壞諸法相故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005_0235_b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여의신통(如意神通)을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고 천이(天耳)를 위하여 행하지 않으며, 타심지(他心智)를 위하여 행하지 않으며, 숙명지(宿命智)를 위하여 행하지 않으며, 천안(天眼)을 위하여 행하지 않으며, 누진신통(漏盡神通)을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느니라. 왜냐하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오히려 반야바라밀조차도 보지 않기 때문이니라. 그런데 하물며 보살의 신통을 보겠느냐.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행하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5_a_18L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不爲如意神通故行般若波羅蜜不爲天耳故不爲他心智故不爲宿命智故不爲天眼故不爲漏盡神通故行般若波羅蜜何以故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尚不見般若波羅何況見菩薩神通舍利弗菩薩摩訶薩如是行是名與般若波羅蜜相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나는 여의신통으로써 동방으로 날아가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모든 부처님께 공양하고 공경하겠다”는 생각을 내지 않으며 남쪽ㆍ서쪽ㆍ북쪽과 네 간방과 위와 아래도 또한 그러하느니라.
005_0235_b_04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不作是念我以如意神通飛到東方供養恭敬如恒河沙等諸佛南西北方四維上下亦如是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나는 천이로써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설하시는 법을 듣겠다”고 생각하지 않고 “나는 타심지로써 시방의 중생들이 마음으로 생각하는 바를 알아야겠다”고도 생각하지 않으며, “나는 숙명지로써 시방의 중생들이 전생에 지었던 일들을 알겠다”고도 생각하지 않으며, “나는 천안으로써 시방의 중생들이 여기서 죽어 저기서 나는 것을 보겠다”고도 생각하지 않느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행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나니, 역시 한량없는 아승기의 중생을 제도하게 되느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 악마도 그 틈을 얻을 수 없고 세간의 모든 일들이 바라는 대로 되느니라. 시방으로 각각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모든 부처님께서 이 보살을 옹호하면서 성문이나 벽지불의 지위에 떨어지지 않게 하고 사천왕천(四天王天)에서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역시 이 보살을 옹호해 장애가 없게 하느니라. 이 보살에게 있는 중한 죄는 금생에 가벼이 받게 되나니,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두루한 사랑[慈]으로써 중생에게 가(加)하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행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5_b_07L復次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作是念我以天耳聞十方諸佛所說不作是念我以他心智知十方衆生心所念不作是念我以宿命通知十方衆生宿命所作不作是念我以天眼見十方衆生死此生彼舍利弗菩薩摩訶薩如是行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亦能度無量阿僧祇衆生舍利弗菩薩摩訶薩能如是行般若波羅蜜惡魔不能得其便世閒衆事所欲隨意十方各如恒河沙等諸佛皆悉擁護是菩薩令不墮聲聞辟支佛地四天王天乃至阿迦尼咤天皆亦擁護是菩薩不令有閡是菩薩所有重罪現世輕受何以故是菩薩摩訶薩用普慈加衆生故舍利弗菩薩摩訶薩如是行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005_0235_c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신속히 모든 다라니(陀羅尼) 문과 모든 삼매(三昧)문을 얻고, 태어나는 곳마다 항상 모든 부처님을 만나게 되며, 나아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기까지 처음부터 부처님 뵙는 일을 여의지 않느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렇게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5_c_02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疾得諸陁羅尼門諸三昧門所生處常値諸佛乃至阿耨多羅三藐三菩提初不離見佛舍利弗菩薩摩訶薩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법과 법이 합한다거나 합하지 않는다거나 동등하다거나 동등하지 않다”고 생각하지 않느니라.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이 법과 다른 법이 합한다거나 합하지 않는다거나 동등하다거나 동등하지 않음을 보지 않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5_c_07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不作是念有法與法若合若不合若等若不等何以是菩薩摩訶薩不見是法與餘法若合若不合若等若不等舍利弗薩摩訶薩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나는 신속히 법성(法性)을 얻겠다”거나 “얻지 않겠다”고 생각하지 않나니, 왜냐하면 법성이란 얻는 모양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5_c_13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不作是念我當疾得法性若不得何以故法性非得相故舍利弗菩薩摩訶薩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어떤 법이 있어 법성에서 벗어나는 것을 보지 못하나니,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5_c_17L復次舍利弗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不見有法出法性者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법성은 모든 법을 분별한다”고 생각하지 않나니,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5_c_20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不作是念法性分別諸法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005_0236_a_02L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이 법으로 법성을 얻는다”거나 “얻지 못한다”고 생각하지 않느니라. 왜냐하면 이 보살은 이 법으로써 법성을 얻거나 얻지 못함을 보지 않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5_c_23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不作是念是法能得法性若不得何以故是菩薩不見用是法能得法性若不得舍利弗薩摩訶薩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법성이 공과 합하지 않고 공이 법성과 합하지 않나니, 이와 같이 익히고 응한다면 이것을 반야바라밀과 상응한다 하느니라.
005_0236_a_05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法性不與空合不與法性合如是習應是名與般若波羅蜜相應
다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눈의 경계[眼界]가 공과 합하지 않고 공이 눈의 경계와 합하지 않으며, 빛깔의 경계[色界]가 공과 합하지 않고 공이 빛깔의 경계와 합하지 않으며, 안식의 경계[眼識界]가 공과 합하지 않고 공이 안식의 경계와 합하지 않느니라.
나아가 뜻의 경계[意界]가 공과 합하지 않고 공이 뜻의 경계와 합하지 않으며, 법의 경계[法界]가 공과 합하지 않고 공이 법의 경계와 합하지 않으며, 의식의 경계[意識界]가 공과 합하지 않고 공이 의식의 경계와 합하지 않느니라. 그러므로 사리불아, 이 공과 상응함을 일컬어 으뜸가는 상응[第一相應]이라 하느니라.
005_0236_a_08L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眼界不與空合空不與眼界合色界不與空合空不與色界合眼識界不與空合空不與眼識界合乃至意界不與空合空不與意界合法界不與空合空不與法界合意識界不與空合空不與意識界合是故舍利弗是空相應名爲第一相應
005_0236_b_02L사리불아, 공으로써 행하는 보살마하살은 성문이나 벽지불의 지위에 떨어지지 않고 능히 부처님 국토를 맑히며 중생을 성취시키면서 신속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느니라.
사리불아, 모든 상응한 가운데서 반야바라밀의 상응이 가장 으뜸이며 가장 높고 가장 수승하고 가장 묘하여 보다 위의 것이 없느니라.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이 행하는 반야바라밀의 상응은 이른바 공(空)ㆍ무상(無相)ㆍ무작(無作)이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이 보살마하살은 수기(授記)를 받은 것과 다름이 없으며, 혹은 머지않아 수기를 받을 줄 알아야 하느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상응하면 헤아릴 수 없고 셀 수도 없는 중생을 위하여 이익을 지음이 두터울 것이며 이 보살마하살은 또한 “나는 반야바라밀과 상응하니, 모든 부처님께서 나에게 수기를 주셔야 한다”거나 “나는 머지않아 수기를 받을 것이다”거나 “나는 부처님 국토를 맑혀야 한다”거나 “나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여 법륜(法輪)을 굴려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느니라.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법성(法性)에서 벗어나는 어떠한 법도 보지 않고 또한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어떠한 법도 보지 않으며, 또한 모든 부처님께서 수기를 주시는 어떠한 법도 보지 않고 또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는 어떠한 법도 보지 않기 때문이니라.
005_0236_a_16L舍利弗空行菩薩摩訶薩不墮聲聞辟支佛地能淨佛土成就衆疾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舍利諸相應中般若波羅蜜相應爲最第一最尊最勝最妙爲無有上何以是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相所謂空無相無作故當知是菩薩如受記無異若近受記舍利弗菩薩摩訶薩如是相應者能爲無量阿僧祇衆生作益厚是菩薩摩訶薩亦不作是念我與般若波羅蜜相應諸佛當授我記我當近受記我當淨佛土我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當轉法何以故是菩薩摩訶薩不見有法出法性者亦不見有法行般若波羅亦不見有法諸佛授記亦不見有法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왜냐하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나라는 모양[我相]과 중생이란 모양[衆生相] 내지는 아는 이[知者]ㆍ보는 이[見者]라는 모양을 보지 않기 때문이니라. 왜냐하면 중생은 마침내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기 때문에 중생은 나는 것도 없고 멸하는 것도 없느니라. 만일 법에 나는 모양[生相]이나 멸하는 모양[滅相]도 없다면 어떻게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법이 있겠느냐.
그와 같아서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은 중생을 보지 않기 때문에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 되며, 중생은 받지 않기 때문에, 중생은 공하기 때문에, 중생은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중생은 여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 되느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의 모든 상응 가운데서 가장 으뜸가는 상응은 이른바 공과의 상응[空相應]이니, 이 공과의 상응이야말로 그 밖의 상응보다 수승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공을 익혀 능히 대자대비(大慈大悲)를 내며, 보살마하살은 이과 같이 상응을 익혀 인색한 마음을 내지 않고 계율을 범하는 마음을 내지 않으며, 성내는 마음을 내지 않고 게으른 마음을 내지 않으며, 산란한 마음을 내지 않고 지혜 없는 마음을 내지 않느니라.”
005_0236_b_09L何以故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時不生我相衆生相乃至知者見者相何以衆生畢竟不生不滅故衆生無有生無有滅若法無有生相無有滅相云何有法當行般若波羅蜜如是利弗菩薩摩訶薩不見衆生故爲行般若波羅蜜衆生不受故衆生空故衆生不可得故衆生離故爲行般若波羅蜜舍利弗菩薩摩訶薩於諸相應中爲最第一相應所謂空相應空相應勝餘相應菩薩摩訶薩如是習空能生大慈大悲菩薩摩訶薩如是習相應不生慳心不生犯戒心生瞋心不生懈怠心不生亂心不生無智心
摩訶般若經卷第一
戊戌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
005_0236_c_02L
  1. 1)범본에서는 Bhagavān.
  2. 2)범어로는 Rājagṛha.
  3. 3)범어로는 Gṛdhrakūṭa-parvata. “이 산의 머리가 새매를 닮았는데, 왕사성 사람들이 그 새매 같음을 보고 서로 전하기를 취두산이라 했으며, 그로 인하여 취두산이라 불렀다. 또 왕사성 남쪽의 시다림(屍陀林)에는 시체가 많은데, 온갖 새매들이 항상 와서 쪼아 먹고는 다시 산꼭대기로 모여들기 때문에 사람들이 취두산이라 부르게 되었다.”(『대지도론』, 「초품」 제3~5권)
  4. 4)분(分)에 해당하는 범어는 matrā로서, 한량이나 범주를 나타내는 말이다.
  5. 5)범어로는 mahā. ‘크다,’ ‘위대하다’의 의미를 지니는 형용사이다. “어찌하여 크다 하는가? 모든 무리 가운데서 가장 높기 때문이며, 모든 장애가 끊겼기 때문이며, 천왕(天王) 등 큰 사람들이 모두 공경하기 때문이니라.”(『대지도론』 제3~6권)
  6. 6)범어로는 arhat. 응(應)ㆍ응공(應供)ㆍ불생(不生)ㆍ살적(殺賊) 등으로 의역하거나, 나한(羅漢)ㆍ아라하(阿羅訶) 등으로 음역하기도 한다. “아라(阿羅)는 도적이요, 한(漢)은 깨뜨림[破]이니, 곧 모든 번뇌의 도적을 깨뜨리기 때문에 아라한이라 한다.”(『대지도론』 제3~6권)
  7. 7)범어로는 āsrava. 곧 번뇌의 다른 명칭이다.
  8. 8)범어로는 kṣīṇāsrava. 곧 삼계 가운데 욕루(慾漏)ㆍ유루(有漏)ㆍ무명루(無明漏)의 세 가지 누가 다한 것을 말한다.
  9. 9)범어로는 mahānaga. 용(龍)이나 코끼리를 가리킨다.
  10. 10)범어로는 Ānanda.
  11. 11)범어로는 śaikṣabhūmi. 곧 아라한의 경지에 이르지 못한 이를 말한다.
  12. 12)범어로는 śrota āpanna. 예류과(預流果)라고도 한다. 깨달음의 흐름에 드는 경지로, 이른바 성자의 초입에 드는 경지이다.
  13. 13)범어로는 upāsaka. 優婆塞. 재가의 남자신도. 원래는 출가자를 받드는 사람들을 의미하던 말이다.
  14. 14)범어로는 upāsikā. 재가의 여성신도를 가리킨다.
  15. 15)곧 고ㆍ집ㆍ멸ㆍ도의 4성제(聖諦)를 가리킨다.
  16. 16)범어로는 Bodhisattva Mahāsattva.
  17. 17)범본에 의하면, bodhisattvakoṭīniyutaśatasahasraiḥ. 곧 ‘꼬띠 니유타의 보살이 있었으니.’
  18. 18)범어로는 dhāraṇī. 총지(摠持)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19. 19)범어로는 samādhi. 대상에 집중된 상태를 말한다.
  20. 20)범어로는 각각 sūnyatā, ānimitta, apraṇihita.
  21. 21)일체중생에 대해 등등한 마음을 얻고 온갖 법상에 대해서 치우침이 없는 경계[不二實相]에 드는 것을 말한다.
  22. 22)여의(如意)ㆍ천안(天眼)ㆍ천이(天耳)ㆍ타심지(他心智)ㆍ자식숙명(自識宿命)을 얻은 것을 말한다.
  23. 23)범어로는 dharma-kṣānti. 법의 지혜를 얻기 전에 일어나는 결정된 마음을 가리킨다.
  24. 24)범어로는 hetu-pratyaya. 인(因)은 직접적인 원인, 연(緣)은 간접적인 조건을 가리킨다.
  25. 25)범어로는 asaṃkhyeyakalpa.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먼 시간’을 가리킨다.
  26. 26)범어로는 māya. 실체가 없는 빈 껍질을 의미한다. 인연에 의해 성립되어 그 자체의 성품을 지니지 않는 존재를 환유(幻有)라고 한다.
  27. 27)범어로는 Gandharva-nagara. 해가 뜰 때 보이는 일종의 신기루 현상을 말한다. 심향(尋香)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28. 28)범어로는 sattva. ‘생명을 지닌 존재’라는 뜻으로, 감정이나 의식을 지니는 일체 생류를 통칭하는 말이다. 유정(有情)이라고도 한다.
  29. 29)이른바 등인(等忍)ㆍ법인(法忍)ㆍ무생법인(無生法忍)을 얻은 것을 말한다.
  30. 30)범어로는 buddha-kṣetra. 불찰(佛刹)이라고도 한다.
  31. 31)범어로는 paryavasthāna. 10전(纏) 혹은 500전이 있다.
  32. 32)범어로는 Bhadrapāla. 선수(善守), 현호(賢護)라고도 한다.
  33. 33)범어로는 Ratnākara. 보적(寶積), 보생(寶生)이라고도 한다.
  34. 34)범어로는 Sārthavāha.
  35. 35)범어로는 Nāradatta.
  36. 36)범어로는 Varṇadatta.
  37. 37)범어로는 Śubhagupta.
  38. 38)범어로는 Intradatta.
  39. 39)범어로는 Uttaramatin.
  40. 40)범어로는 Viśeśamati. 최상의(最上意)라고도 한다.
  41. 41)범어로는 Vardhamānamati.
  42. 42)범어로는 Amoghadarśin.
  43. 43)범어로는 Susaṁprasthita.
  44. 44)범어로는 Subikrāntavikramin.
  45. 45)범어로는 Nityodyukata. 상정전(常精進).
  46. 46)범어로는 Anikṣiptadhura. 불휴식(不休息).
  47. 47)범어로는 Śūryagarbha.
  48. 48)범어로는 Anupanacintī.
  49. 49)범어로는 Avalokiteśvara.
  50. 50)범어로는 Mañjuśiriya. 문수시리(文殊尸利).
  51. 51)범어로는 Ratnamudrāhasta.
  52. 52)범어로는 Nityotkṣiptahasta.
  53. 53)범어로는 Maitreya. 아일(阿逸, Ajita), 자시(慈氏)보살이라고도 한다.
  54. 54)곧 일생보처(一生補處, eka-jāti-pratibaddha)를 가리킨다. ‘이 한 번의 생에서만 생존이 결정되어 있는 자’라는 뜻으로, 다음 생에는 부처가 될 것이 약속된 자를 말한다. 특히 미륵보살을 칭하는 말이기도 하다.
  55. 55)범어로는 Bhagavat. 여래 10호 가운데 하나로, 부처님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그 뜻은 ‘지극한 복을 지니시는 분,’ ‘세상에서 존경받아 마땅하신 분’ 등의 의미가 있다. 어원적으로 보면, ‘행복(bhaga)’을 ‘지니시는 분(vat)’이 된다. 바가바(婆伽婆)라고 음역하기도 한다.
  56. 56)범어로는 siṁhāsana. 부처님의 자리를 의미한다. 원래 인도에서는 국왕 등이 앉는 자리를 가리킨다. 사자란 부처님을 백수의 왕인 사자(獅子)에 비유한 것이다.
  57. 57)범어로는 samādhirājasamādhi. 모든 삼매 가운데 최상의 삼매를 말한다.
  58. 58)범어로는 divyacakṣus.
  59. 59)擧身微笑. 온몸의 털구멍에서 미소를 내는 것을 말한다.
  60. 60)범어로는 cakrāńgapāda.
  61. 61)범어로는 tri-sāhasra-mahāsāhasra loka-dhātuḥ. 천을 삼승한 만큼의 세계이다. 한편, 백억의 수미산과 백억의 일월을 삼천대천국토라고도 한다.(百億須彌山百億日月名爲三千大千世界. 『대지도론』 「초품」 15)
  62. 62)항하의 모래[恒河沙]란 갠지스강(Gaṅgānadī)의 모래수에 비유되는, 곧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수를 가리킨다.
  63. 63)범어로는 sattva. ‘생명을 지닌 존재’라는 뜻으로, 감정이나 의식을 지니는 일체 생류를 통칭하는 말이다. 유정(有情)이라고도 한다.
  64. 64)범어로는 anuttarā samyaksaṃbodhiḥ. ‘위없는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을 뜻한다. 곧 부처님의 깨달음의 지혜를 이르는 말이다.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이라고도 한다. 원시불교에서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불도수행의 긍극의 목적인 깨달음을 의미하는 말이다.
  65. 65)『대지도론』에서는 光明出過東方如恒河沙等世界, 乃至十方亦復如是.
  66. 66)범어로는 prabhūtajihva. 부처님의 혀가 길어서 얼굴을 덮고 머리칼이 난 곳 까지 이르는 모습. 대설상(大舌相)이라고도 한다.
  67. 67)범어로는 siṃhavirīḍita-samādhi. 여덟 가지 삼매[八三昧] 가운데 하나. 마치 사자가 사슴을 잡아 유희하는 듯한 삼매라는 뜻. “사자유희라 함은 비유하건대 마치 사자가 유희하는 날엔 모든 짐승이 편안한 것과 같으니, 부처님도 또한 그와 같아서 이 삼매에 드시어 삼천대천세계를 진동하면 능히 3악도의 중생으로 하여금 일시에 모두 쉬게 해서 모두 안온을 얻게 만든다.”(『대지도론』, 「초품」 제7~14권)
  68. 68)여섯 가지 진동이란, 곧 땅이 움직이고[動, kampita], 일어나고[起, calita], 솟아오르며[湧, vedhita], 크게 부딪쳐 소리내고[擊, garjita], 은은히 소리내고[震, kṣubhita], 포효하듯 소리를 내는 것[吼, raṇita]을 말한다.
  69. 69)범어로는 aṣṭa akṣaṇāḥ. 부처님을 못 보고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 여덟가지 경우를 말한다. 여덟 가지란, 지옥ㆍ아귀ㆍ축생의 존재를 받는 경우와 수명이 너무 길어 괴로움을 모르는 장수천(長壽天)에 태어나는 경우, 변방[邊地]에 태어나는 경우, 보고 말함에 있어서 장애가 있는 경우, 세속적 지혜가 지나치게 뛰어난 경우, 부처님이 세상에 안 계실 때 태어나는 경우이다.
  70. 70)범어로는 Catvāra-lokapālā. 수미산 중복(中腹)에 있는 사왕천(四王天)의 주인으로, 제석천을 떠받들고 불법의 수호를 염원해 불법에 귀의하는 이들을 지켜주는 호법신이다. 사왕천이란, 동방의 지국천(持國天), 남방의 증장천(增長天), 서방의 광목천(廣目天), 북방의 다문천(多聞天)을 말한다.
  71. 71)곧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Paranirmitavaśavartin)을 가리킨다.
  72. 72)광란으로 옷을 벗어버린 자, 곧 나체고행자가 제 정신을 찾고 다시 옷을 입게 된다는 것이다.
  73. 73)열 가지 선한 행위로서, 불살생(不殺生)ㆍ불투도(不偸盜)ㆍ불망어(不妄語)ㆍ불기어(不綺語)ㆍ불사음(不邪淫)ㆍ불악구(不惡口)ㆍ불양설(不兩舌)ㆍ불탐욕(不貪慾)ㆍ불진에(不瞋恚)ㆍ불사견(不邪見)을 말한다.
  74. 74)범어로는 Sumerupravarta-rāja.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세계의 중심에 서 있는 산으로 주변을 9산(山) 팔(海)가 둘러싸고 있으며, 그 높이가 8만 요자나(yojana)라고 한다.
  75. 75)부처님의 진정한 몸[眞身]을 가리킨다. ātmabhāvaṃ.
  76. 76)범어로는 Śuddhāvāsa.
  77. 77)범어로는 Brahamakāyika.
  78. 78)범어로는 Paranirmitavaśavartin.
  79. 79)범어로는 Nirmāṇarati.
  80. 80)범어로는 Tuṣita. 욕계(欲界) 6천 가운데 네 번째 천. 미래불이 되는 보살의 주처로서, 미륵보살이 법을 설하고 있다고 한다.
  81. 81)범어로는 yāma. 6욕천의 제3천에 해당한다. 시분(時分)을 알고 5욕락을 즐기는 천으로 수명은 2천 세를 누린다고 한다. 이 하늘의 1주야는 인간의 2백 년에 해당한다.
  82. 82)범어로는 trāyastriṃṣa. 욕계 6욕천(欲天) 가운데 두 번째인 도리천을 말한다. 수미산 꼭대기에 있으며, 중앙에 제석천이 있고, 사방에 각각 여덟 명의 신들이 있어 모두 서른셋이 되기에 삼십삼천이라고 한다.
  83. 83)범어로는 Catvāra-lokapālā. 수미산 중복(中腹)에 있는 사왕천(四王天)의 주인으로, 제석천을 떠받들고 불법의 수호를 염원해 불법에 귀의하는 이들을 지켜주는 호법신이다. 사왕천이란, 동방의 지국천(持國天)ㆍ남방의 증장천(增長天)ㆍ서방의 광목천(廣目天)ㆍ북방의 다문천(多聞天)을 말한다.
  84. 84)땅에 뿌리는 물향의 일종이다.
  85. 85)이에 해당하는 범어 원문은 smita-avabhāsena. 곧 ‘미소의 광휘로써’이다.
  86. 86)범어로는 Prabhūtaratna. 법화경의 진실 된 뜻을 증명하기 위해 땅에서 솟아 드러난 보탑 가운데 머무는 부처이다.
  87. 87)자나가라(剌那伽羅)라고도 음역한다.
  88. 88)범어로는 Prajñā-Pāramitā.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을 약칭해서 부르는 말이다. 지도(智度)라고도 한다.
  89. 89)범어로는 buddhakāya.
  90. 90)범어로는 kula-putra. ‘훌륭한 가문의 젊은이’를 의미한다. 대승불교에서는 나이에 관계없이 ‘바른 믿음을 지닌 사람’을 가리키며, 통상 보살에 대한 호칭으로 쓰인다.
  91. 91)범어로는 sabhā. 우리가 사는 이 세계를 가리킨다. 어의적으로는 ‘인내하다ㆍ견디다’를 의미한다.
  92. 92)범어로는 kuśala-mūla. 선근이란 그것이 근간이 되어서 덕성을 낳고 행복한 결과를 낳게 하느니라.
  93. 93)범어 Tathāgata의 음역어.
  94. 94)범어 Arhat의 음역어.
  95. 95)범어 Samyaksaṃbuddha의 음역어.
  96. 96)범어로는 Aśoka.
  97. 97)범어로는 vigataśoka.
  98. 98)범어로는 ratnārcis.
  99. 99)범어로는 Cāritramati.
  100. 100)범어로는 Jayendra.
  101. 101)범어로는 Jayadatta.
  102. 102)범어로는 Padmottara.
  103. 103)범어로는 Nandā.
  104. 104)범어로는 Nandaśrī.
  105. 105)범어로는 Nandadatta.
  106. 106)범어로는 asura. 수라(修羅)ㆍ아소라(阿素羅)ㆍ아소락(阿素洛)ㆍ아소라(阿素羅)ㆍ아수라(阿須羅)ㆍ아수륜(阿修輪)ㆍ아수륜(阿須倫) 등의 다양한 음역어가 있다.
  107. 107)범어로는 Śāriputra.
  108. 108)해당하는 범어는 sarvākāraṁ. 곧 sarvākāra(a.)의 부사형태이다. 곧 ‘온갖 방법으로,’ ‘온갖 행상에 대해서’ 등의 의미가 된다.
  109. 109)해당하는 범어는 asthānayogena이다. 곧 ‘머물지 않는 노력에 의해’이다.
  110. 110)해당하는 범어는 aparityāgayogena이다. 곧 ‘버림 없는 노력에 의해’이다.
  111. 111)범어로는 paripūrayati. ‘완전하게 성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112. 112)범어로는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몸[身]ㆍ느낌[受]ㆍ마음[心]ㆍ법(法)에 염을 집중하는 관법. 사념주(四念住)라고도 한다.
  113. 113)초선(初禪)ㆍ제2선ㆍ제4선ㆍ4무색정ㆍ멸진정(滅盡定)으로 이루어진 8단계의 선정법을 말한다.
  114. 114)범어로는 aṭṭha abhibhāyatanāni. 8해탈(解脫)을 닦은 뒤 숙달된 관상법(觀想法)으로 자유롭게 정ㆍ부정의 경지를 관찰 하는 것을 말한다. 승처(勝處, abhibhāyatanāni)란 ‘뛰어난 지(知)와 견(見)을 일으키는 곳’이란 뜻이다.
  115. 115)범어로는 nava-anupūrvavihāra-samāpatti. 4선ㆍ4무색정의 8등지에 멸진정을 더한 선정으로, 이른바 아홉 단계로 상승해 가면서 머무는 선정수습법이다.
  116. 116)10변처(遍處)라고도 한다. 청ㆍ황ㆍ적ㆍ백의 색깔과 물질의 네 가지 특성인 지ㆍ수ㆍ화ㆍ풍과 허공ㆍ분별[識] 등의 열 가지 특성을 관찰하며, 그 하나하나의 상태를 모든 곳에 두루 채우는 관법이다.
  117. 117)범어로는 각각 Vitarka, Vicāra.
  118. 118)범어로는 daśa-bala. 부처님만이 지니는 열 가지 지적인 힘을 말한다.
  119. 119)범어로는 catur vaiśāradya. 법을 설함에 있어서 흔들림 없는 네 가지 자신감을 말한다.
  120. 120)범어로는 aṣtādaśa āveṇika buddha-dharma. 부처님에게만 있는 열여덟 가지 뛰어난 특징으로, 곧 10력(力)ㆍ4무외(無畏)ㆍ3념주(念住)ㆍ대비(大悲)의 열여덟 가지를 말한다.
  121. 121)범어로는 mārgākārajñatā.
  122. 122)범어로는 sarvajña. ‘일체를 아는 자’라는 뜻으로, 부처님을 달리 부르는 말이다.
  123. 123)범어로는 sarva-ākārajñtā. 온갖 법의 행상(行狀)을 아는 지혜를 말한다. 곧 부처님의 지혜이다.
  124. 124)범어로는 vāsanā. 훈습(bhāvanā)으로 남겨진 업의 잠재적인상. 종자(種子)와 같은 의미이다.
  125. 125)범어로는 pratyekabuddha. 벽지불(辟支佛)이란 홀로 수행해 부처가 되고자 하는 수행자를 말한다. ‘인연법 혹은 12연기를 관해 깨달음을 얻는 자’라는 의미에서 연각(緣覺)이라고도 한다.
  126. 126)범어로는 Avaivarti. 불퇴전(不退轉)을 의미한다. 아비발치(阿鞞跋致)라고 음역하기도 한다.
  127. 127)원하는 곳에 몸을 드러내는 신족통(神足通, ṛddhi-prātihārya)ㆍ미래를 보는 천안통(天眼通, divya-cakṣus)ㆍ범부가 듣지 못하는 소리를 듣는 천이통(天耳通, divya-śrotra-abhijñā)ㆍ남의 마음을 읽는 타심통(他心通, parijaya- jñāna)ㆍ나와 남의 과거를 읽는 숙명통(宿命通, purvenivāsa-jñāna)ㆍ번뇌가 다하는 누진통(漏盡通, āsrava-kṣayābhijñā)을 말한다.
  128. 128)범어로는 śravaka. 원래는 출가와 재가를 막론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직접 듣고 따르던 불제자를 뜻하던 말이다.
  129. 129)범어로는 dhāraṇī. 총지(摠持)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130. 130)범어로는 vimuktijñānadarśana.
  131. 131)범어로는 anumodanācitta. 함께 따라 기뻐하는 마음을 말한다.
  132. 132)범어로는 upāya-kauśalya. 방편(方便). 수단과 방법을 의미하는 말로, 상대의 능력과 소질 등에 맞추어 법을 가르치는 불보살의 인도방법을 뜻한다.
  133. 133)범어 dāna-pāramita의 음역어.
  134. 134)범어 śīla-pāramita의 음역어.
  135. 135)범어 kṣānti-pāramita의 음역어.
  136. 136)범어 vīrya-pāramita의 음역어.
  137. 137)범어 dhyāna pāramita의 음역어.
  138. 138)범어로는 dvatriṃśa-lakṣaṇa. 32상이란 부처님과 같은 위대한 인간이 지니는 상서로운 서른두 가지 신체적 특징을 말한다. 원래 인도에서 전륜성왕이 지닌 특징으로 알려졌던 것이 부처님에게 전용되었다고 한다. 32대인상(大人相)이라고도 한다.
  139. 139)범어로는 aśityanuvyañjana. 32상과 마찬가지로 위대한 이들이 지니는 여든 가지 상서로운 신체적 특징을 가리킨다.
  140. 140)범어로는 kumārabhūmi. 보살지(菩薩地)의 총칭으로, 동자지(童子地) 또는 동상지(童相地)라고도 한다. 구마라가지(鳩摩羅伽地).
  141. 141)범어로는 sattva. 생명을 지닌 모든 존재를 가리킨다.
  142. 142)범어로는 puṇyakṣetra
  143. 143)범어로는 paramārtha. 궁극의 의미. 궁극의 진리를 제일의제(第一義諦, paramārtha-satya)라고 한다.
  144. 144)범어로는 anupalambhaśūnyatā. 무소득공(無所得空)이라고도 한다.
  145. 145)범어로는 ālambana-pratyaya. 가깝거나 먼 대상이 연이 되는 것을 말한다.
  146. 146)범어로는 samanantarana-pratyaya. 등무간연(等無間緣)이라고도 한다. 앞의 찰라심이 뒤의 찰라심의 원인이 된다고 간주되는 연을 말한다.
  147. 147)범어로는 adhipati-pratyaya. 일체의 간접인을 증상연으로 삼는다. 일체의 간접적인 연을 말한다.
  148. 148)범어로는 dharmatā.
  149. 149)범어로는 bhūta-koṭi. 진리의 경계를 의미한다.
  150. 150)범어로는 kalpa.
  151. 151)범어로는 srota āpatti-phala. 성자의 초입에 드는 경지로서, 예류과(預流果) 또는 수다원도(須陀洹道)라고도 한다.
  152. 152)범어로는 sakṛd-āgāmin. 죽어서 천계(天界)에 태어나며, 다시 한 번 인간계에 와서 깨달음을 얻어 니르바나에 이르는 경지이다. 일래과(一來果)라고도 한다.
  153. 153)범어로는 anāgāmin. 두 번 다시 욕계에 태어나지 않는 경지로, 불환(不還)이라고도 한다.
  154. 154)범어로는 nirupadhiśeṣa-nirvāṇa. 생존의 근원을 단절시킨 경지. 한편 육신의 근거만을 남기는 경지를 유여열반(有餘涅槃, sopadhiśeṣa-nirvāṇa)이라고 한다.
  155. 155)범어로는 Catvāra-lokapālā. 수미산 중복(中腹)에 있는 사왕천(四王天)의 주인으로, 제석천을 떠받들고 불법의 수호를 염원해 불법에 귀의하는 이들을 지켜주는 호법신이다. 사왕천이란, 동방의 지국천(持國天)ㆍ남방의 증장천(增長天)ㆍ서방의 광목천(廣目天)ㆍ북방의 다문천(多聞天)을 말한다.
  156. 156)범어로는 yāma. 6욕천의 제3천에 해당한다. 시분(時分)을 알고 5욕락을 즐기는 천으로 수명은 2천 세를 누린다고 한다. 이 하늘의 일주야는 인간의 2백 년에 해당한다.
  157. 157)범어로는 Tuṣita. 욕계(欲界) 육천 가운데 네 번째 천이다. 미래불이 되는 보살의 주처로서, 미륵보살이 법을 설하고 있다고 한다.
  158. 158)범어로는 Nirmāṇarati.
  159. 159)범어로는 Paranirmitavaśavartin.
  160. 160)범어로는 ākāṡānantyāyatana. 무한한 공간을 관찰하는 선정법으로, 4무색정중 첫 번째 단계이다. 공처(空處) 또는 공무변처(空無邊處)라고도 한다.
  161. 161)범어로는 vijñānantyāyatana. 의식이 무한히 전개됨을 관찰하는 선정법. 4무색정 중 두 번째 단계로, 식무변처(識無邊處)라고도 한다.
  162. 162)범어로는 ākiñcanyāyatanaṃ.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음을 관찰해 얻는 경지’를 말한다. 4무색정(無色定) 중 세 번째 단계이다.
  163. 163)범어로는 naivasaṃjñānâsaṃjñāyatanaṃ. 무색정의 마지막 경지로,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생각이 없는 것도 아닌 경지’라는 뜻이다. 비유상비무상처(非有想非無想處) 라고도 한다.
  164. 164)범어로는 pāra. 팔리어로는 pārimaṃ tīraṃ. ‘저편 언덕’이라는 말로서, 번뇌가 그친 상태나 열반의 경지를 가리킨다. 곧 불도수행에 있어서 도달의 목표가 되는 ‘이상의 경지’ 혹은 ‘이상 세계’를 의미한다.
  165. 165)범어로는 tathatā. 있는 그대로의 모습, 진리. 진여(眞如)와 같은 말이다.
  166. 166)이 다섯을 5안(眼)이라고 한다.
  167. 167)범어로는 divya- śrotra. 범부가 듣지 못하는 소리를 듣는 능력을 말한다.
  168. 168)범어로는 dvādaśāńga-dharmapravacana. 부처님의 가르침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12분교(分敎) 혹은 12분성교(分聖敎)라고도 한다. 전승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다.
  169. 169)범어로는 sūtra. 산문형식의 경설을 말한다.
  170. 170)범어로는 geya. 산문형식에 교설에 운문의 게송을 붙여 그 내용을 거듭 나타낸 형식이다.
  171. 171)범어로는 vyākaraṇa. 기별(記別), 문답체에 의한 교설을 말한다.
  172. 172)범어로는 gāthā. 게(偈). 산문이 없이 운문, 곧 시구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가타(伽他)ㆍ가타(迦陀)로 음역하기도 한다.
  173. 173)범어로는 udāna. 스스로의 감흥에 의해 설해진 교설이다.
  174. 174)범어로는 nidāna. 경과 율들이 설해지게 된 배경이나 이유에 대한 설명이다.
  175. 175)범어로는 avādana. 주로 부처님 이외의 인물들에 대한 전생이야기이다.
  176. 176)범어로는 ityuktaka.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라는 문구로 시작하는 교설이다.
  177. 177)범어로는 jātaka. 부처님의 전생이야기.
  178. 178)범어로는 vaipulya. 제자들이 환희를 거듭하면서 질문을 거듭해 가는 일종의 교리문답이다.
  179. 179)범어로는 adbhutadharma. 부처님 및 불제자들의 뛰어난 덕상을 찬탄하는 교설을 말한다.
  180. 180)범어로는 upadeśa. 부처님이나 불제자들이 간략한 경설을 자세히 해석한 것을 말한다.
  181. 181)곧 행ㆍ주ㆍ좌ㆍ와의 4위의를 말한다.
  182. 182)범어로는 bodhivṛkṣa.
  183. 183)범어로는 parinirvāṇa. ‘완전한 열반’이라는 뜻. 般涅槃
  184. 184)범어로는 kumārabhūmi. 보살지(菩薩地)의 총칭으로 동자지(童子地) 또는 동상지(童相地)라고도 한다.
  185. 185)범어로는 prakṛtiśūnyatā. 성공(性空)이라 함은, 모든 법의 성품은 항상 공하지만 임시의 업[假業]이 상속하는 까닭에 마치 공하지 않은 듯한 것이다.(『대지도론』 제31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