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05_0712_a_01L도행반야경 제5권
005_0712_a_01L道行般若經卷第五

후한 월지국 삼장 지루가참 한역
005_0712_a_02L後漢月支國三藏支婁迦讖譯

10. 조명품(照明品)
005_0712_a_03L摩訶般若波羅蜜照明品第十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반야바라밀에는 이와 같이 악마의 장난이 심해서 반야바라밀을 끊으려고 한다.”
005_0712_a_04L佛言於般若波羅蜜中多有起魔因緣者至使得斷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의 말씀대로 보살에게는 위험한 일이 많습니다. 왜냐하면 더없이 크고 존귀한 것은 얻기가 힘들어서 많은 장애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많은 장애가 일어나는 까닭에 이것을 새로 배우려는 이들도 아주 적고 마음속에 큰 법을 받아들이지도 않고 반야바라밀을 읊거나 외우지도 않으니 이러한 사람은 악마에 휘둘린 것입니다.”
005_0712_a_06L須菩提白佛言如天中天所說若有菩薩多有危害所以者何用極大尊爲難得故至使有害般若波羅蜜亦如是天中天多有起因緣者及新學發意者所知甚少心不入大法亦不諷誦般若波羅蜜是人以爲魔所得
005_0712_b_02L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그대가 말한 대로 반야바라밀을 새로 배우려는 이들이 아는 바가 매우 적고 마음속에 대승법(大乘法)을 받아들이지도 않고 반야바라밀을 읊거나 외우지도 않으니 이러한 사람은 이미 악마에게 휘둘린 것이며, 나아가 스스로 악마의 장애를 일으켜서 반야바라밀을 끊도록 한다. 만약에 선남자와 선여인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읽고 외운다면 이것은 모두 부처님의 위신력 덕분이다. 왜냐하면 악마가 반야바라밀을 끊을 수 없도록 지켜 주시기 때문이니 이 사람은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께서 돌보아 주신다. 비유하건대 이것은 자식을 하나하나 낳아서 그 수가 마침내 열 명에 이른 어머니와 같다. 그 어머니가 병이 나자 아이들을 돌볼 수가 없게 되었다. 하지만 어머니가 평안하고 일이 없을 때에는 몸소 아이들을 보살펴서 잘 살도록 하며 춥고 따뜻하고 마르고 습할 때에도 언제나 아이들을 보호해 주었으니 아이들이 세상에 나올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어머니의 덕분인 것이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모든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께서는 반야바라밀을 염두에 두시고, 현재 온 시방에 계시는 모든 부처님들도 항상 반야바라밀을 염두에 두시니, 만약에 이것을 모시면서 읊고 외우고 베껴 쓰면 살운야가 저절로 드러난다. 모든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께서는 한결같이 이로부터 살운야를 얻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아직 부처가 되지 못한 사람이거나 미래에 부처가 될 사람이거나 한결같이 반야바라밀에 의해 스스로 아유삼불과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이 되어 살운야의 지혜를 밝게 비추며 세상의 모든 것 역시 반야바라밀에 의해 드러난다.”
005_0712_a_12L佛語須菩提如若所言新發意者所知甚少其心不入大法亦不諷誦般若波羅蜜是爲魔所得已自起魔因緣至使得斷若善男子·善女人取持學般若波羅蜜誦讀者悉是佛威神何以故弊魔不能制令得斷是者以爲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之所制持譬若母人一一生子從數至于十人其子尚小母而得病不能制護無有視者若母安隱無他便自養長其子令得生活寒溫燥濕將護視之是者卽世閒之示現如是須菩提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念般若波羅蜜其所持者若有諷誦書者復十方現在諸佛常念般若波羅蜜是者卽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於薩芸若而示現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者從是中自致得薩芸若其有以成佛者若未成佛甫當成佛皆從般若波羅蜜致成阿惟三佛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是薩芸若慧之所致照明從般若波羅蜜以是故示現世閒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세상의 모든 것을 밝게 비춘다 하시니, 무엇을 가리켜 반야바라밀이 세상의 모든 것을 밝게 비춘다고 하며, 또 달살아갈께서는 무엇으로 세상의 모든 것을 가지셨습니까?”
005_0712_b_13L菩提白佛言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於般若波羅蜜中照明於世閒何謂般若波羅蜜照明於世閒何所是怛薩阿竭持於世閒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달살아갈께서는 5음(陰)을 가지고 세상의 모든 것을 드러내신다.”
005_0712_b_17L佛語須菩提怛薩阿竭持五陰示現世閒
수보리가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그렇다면 반야바라밀에 의해 5음이 드러난다는 말은 무슨 뜻이며, 또 이 반야바라밀은 5음을 어떻게 나타내 보입니까?”
005_0712_b_18L須菩提云何於般若波羅蜜示現五陰所是般若波羅蜜示現於五陰者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반야바라밀은 5음이 무너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무너짐이 없는 것도 없어 허공처럼 무너짐도 없고 무너질 것도 없음을 나타내 보이며, 또 5음에는 분별도 없고 원하는 것도 없고 무너짐도 없고 무너질 것도 없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세상의 모든 것을 나타내 보인다.”
005_0712_b_20L語須菩提無所壞者以是故得示現亦無無壞而示現空者無壞亦無有亦無想亦無願亦無壞亦無有壞以是故示現於世閒
005_0712_c_02L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의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마음을 달살아갈께서는 다 아신다. 이들은 모두 본래의 성품대로 사는 사람들이며 여래 역시 중생 본래의 성품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의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마음을 알며, 또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세상의 모든 것을 나타내 보이거나 붙잡는다.
005_0712_b_24L佛語須菩提及不可計人不可計心怛薩阿竭悉曉知皆是自然人如是自然人如是須菩提怛薩阿竭以般若波羅蜜曉知不可計人不可計心怛薩阿竭以般若波羅蜜示現持世
005_0713_a_02L또 수보리여, 중생의 마음이 아프거나 어지러울 때도 달살아갈께서는 다 아신다. 어떻게 해서 달살아갈께서는 중생의 마음이 아프거나 어지러울 때도 이를 다 아실까? 모든 대상에는 본래 아프거나 어지러울 것이 없는 까닭에 이것을 다 아신다. 여래께서는 중생의 마음이 가지런하다는 것도 다 아신다. 어떻게 해서 여래께서는 중생의 마음이 가지런하다는 것을 다 아실까? 여래께서는 다한 모양으로써 이것을 아신다.
또 수보리여, 여래께서는 애욕의 마음은 있는 그대로 애욕의 마음이라고 아시고, 성내는 마음은 있는 그대로 성내는 마음이라고 아시며, 어리석은 마음은 있는 그대로 어리석은 마음이라고 아시니, 애욕의 마음에는 본래 애욕의 마음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음을 아시기 때문이며, 성내는 마음에는 본래 성내는 마음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음을 아시기 때문이며, 어리석은 마음에는 본래 어리석은 마음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음을 아시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나는 지금 반야바라밀에 의해 살운야를 얻는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달살아갈께는 애욕의 마음이 없으니 바로 이 애욕이 없는 마음의 작용에 의해 마음의 근본을 다 알아서 다시는 애욕의 마음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까닭에 달살아갈의 마음에는 애욕이 없다.
달살아갈께는 성내는 마음이 없으니 바로 이 성내지 않는 마음의 작용에 의해 마음의 근본을 다 알아서 다시는 성내는 마음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까닭에 달살아갈의 마음에는 성냄이 없다.
달살아갈께는 어리석은 마음이 없으니 바로 이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의 작용에 의해 마음의 근본을 다 알아서 다시는 어리석은 마음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까닭에 달살아갈의 마음에는 어리석음이 없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세상의 모든 것을 나타내 보이거나 붙잡는다.
005_0712_c_07L復次須菩提若疾心亂心怛薩阿竭悉知之何謂怛薩阿竭悉知之疾心亂心其法本者無疾無亂以是故知之何謂知疾知亂其有當盡者以以是故知之其有愛欲心者知是爲愛欲心其有瞋恚心者知是爲瞋恚心其有愚癡心者知是爲愚癡心知愛欲·心之本無愛欲心知瞋恚心之本無瞋恚心知愚癡心之本無愚癡心是者須菩提令我得薩芸若者般若波羅蜜何以故怛薩阿竭無愛欲心用無愛欲心悉知其心之本無愛欲心以是故怛薩阿竭心無有愛欲何以故怛薩阿竭無瞋恚心無瞋恚心悉知其心之本亦無瞋恚以是故怛薩阿竭心無有瞋恚以故怛薩阿竭無愚癡心用無愚癡悉知其心之本亦無愚癡心以是故怛薩阿竭心無有愚癡如是須菩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因般若波羅蜜示現持世閒
또 수보리여,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의 마음이 넓고 크다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신다. 어떻게 해서 달살아갈께서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의 마음이 넓고 크다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시느냐 하면, 마음이란 원래 넓지도 않고 크지도 않고 가는 곳도 없고 오는 곳도 없다. 이러한 까닭에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의 마음이 넓고 크다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신다.
005_0713_a_04L復次須菩提怛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蜜其心廣大無所不知何謂怛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蜜心廣大無所不知其心者亦無廣無大亦無去亦無所至來以是故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蜜其心廣大無所不知
또 수보리여,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의 마음이 넓고 크다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신다. 어떻게 해서 달살아갈께서 반야바라밀에 의한 중생의 마음이 넓고 크다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시느냐 하면, 마음이란 원래 어디로부터 오는 곳도 없고 머무르는 곳도 없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의 마음이 넓고 크다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신다.
005_0713_a_11L復次須菩提怛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蜜廣大其心無所不知何謂怛薩阿竭用人故般若波羅蜜廣大其心無所不知心者無所從來亦無所住如是須菩怛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蜜廣大其心無所不知
또 수보리여,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중생들의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마음을 그대로 다 아신다. 어떻게 해서 달살아갈께서 반야바라밀에 의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중생들의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마음을 그대로 다 아시느냐 하면, 마음이란 원래 머무르는 곳도 없고 어디로부터 오거나 멸하는 곳도 없어서 아무런 흔적도 없는 까닭에 그대로 다 아시며, 또 마음이란 마치 허공과 같아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중생들의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마음을 그대로 다 아신다.
005_0713_a_17L復次須菩提怛薩阿竭用不可計人不可計心故因般若波羅蜜無所不何謂怛薩阿竭用不可計人不可計心故因般若波羅蜜無所不知心者無所住亦無所從來滅以無餘無所不知其心若空故知不可計不可計心悉知如是須菩提怛薩阿竭以般若波羅蜜知不可計人可計心悉知
005_0713_b_02L또한 수보리여,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의 보지 못하는 마음을 그대로 다 아신다. 어떻게 해서 달살아갈께서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의 보지 못하는 마음을 그대로 다 아느냐 하면, 마음이란 원래 청정하고 아무런 분별이 없는 까닭에 그대로 다 아신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의 보지 못하는 마음을 그대로 다 아신다.
005_0713_b_03L復次須菩提怛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蜜知不可見心悉知何謂怛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蜜知不可見心悉知其心者淨故亦無有想如是須菩提怛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蜜知不可見心悉知
또한 수보리여,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의 보지 못하는 마음을 그대로 다 아신다. 어떻게 해서 달살아갈께서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의 보지 못하는 마음을 그대로 다 아시느냐 하면, 마음이란 원래 그 유래하여 오는 곳을 눈으로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의 보지 못하는 마음을 그대로 다 아신다.
005_0713_b_09L復次須菩提怛薩阿竭用人因般若波羅蜜知不可見心悉知何謂怛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知不可見心悉知其心者不可以眼見如所從來如是須菩提怛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蜜知不可見心悉知
005_0713_c_02L또 수보리여,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들이 생각하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신다. 어떻게 해서 달살아갈께서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들이 생각하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시느냐 하면, 달살아갈께서는 정작 어떤 색도 붙잡을 것이 없지만 이러한 색은 끊임없이 생겨난다는 것을 아시고, 또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붙잡을 것이 없지만 이러한 정신 작용은 끊임없이 생겨난다는 것을 아시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들이 생각하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신다.
그렇다면 중생들은 무엇을 생각하는가? 어떤 것이 죽으면 다른 것도 죽어 없어진다는 생각은 색에 의하고, 어떤 것이 죽어도 다른 것은 죽지 않는다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하고, 어떤 것이 죽지 않으면 다른 것도 죽지 않는다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하고, 죽음이 있음도 아니고 죽음이 없음도 아니라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하며,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사람이 죽으면 함께 죽는다는 생각은 색에 의하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은 사람이 죽어도 함께 죽지 않는다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하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은 사람이 죽지 않으면 함께 죽지 않는다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하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는 죽음이 있음도 아니고 죽음이 없음도 아니라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한다.
중생은 있고 세상은 없다는 생각은 색에 의하고, 중생은 없고 세상은 있다는 생각도 색에 의하며, 무상하든 무상하지 않든 세상은 없다는 생각은 색에 의하고, 무상함이 아니든 무상하지 않음이 아니든 세상은 없다는 생각도 색에 의하고, 나도 없고 세상도 없고 정신 작용도 없고 무상하지 않은 것도 없다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하고, 무상함도 아니고 무상하지 않음도 아니고 정신 작용도 없다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한다.
세상은 끝이 없다는 생각은 색에 의하고, 세상은 끝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하고, 나와 세상은 끝이 있기도 하고 끝이 없기도 하다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하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역시 그러하다.
005_0713_b_15L復次須菩提怛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蜜知欲得是者致是悉知謂怛薩阿竭用人故因般若波羅蜜知欲得是者致是知一切色從不可得獲而生生痛痒思想生死識亦不可得獲而生生如是須菩提怛薩阿云何知欲得是者因致是從死至是卽爲色從死至不死是亦爲色從不死至不死是亦爲色亦不有死亦不無死是亦爲色痛痒思想生死從死至死是亦爲色識者從死至不死是亦爲色識者從不死至不死是亦爲色識者亦不有死亦不無死是亦爲色識有人無我世者是亦爲無人有我世者是亦爲色有望無望無我世者是亦爲色亦不有望不無望亦無我世是亦爲色有望有有世痛痒思想生死識是亦爲色無望無我無世無識是亦爲色亦不無望亦不有望亦無我識是亦爲色得我世與無世是亦爲色我世不可極亦爲色我世有極無極是亦爲色與世亦不有極亦不無極是亦爲色痛痒思想生死識亦爾
005_0714_a_02L나[我]와 통상과 있다는 생각은 색에 의하고, 나와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은 끝이 있기도 하고 끝이 없기도 하다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하고, 나와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은 끝이 있음도 아니고 끝이 없음도 아니라는 생각 역시 색에 의한다.
이 목숨이 곧 이 육신이라는 생각은 색에 의하고 목숨도 아니고 육신도 아니라는 생각은 색에 의하며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역시 그러하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중생들이 생각하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신다. 어떻게 해서 달살아갈께서는 중생들이 생각하는 것을 있는 그대로 아실까?
수보리여, 달살아갈께서는 색이 본래 없다는 것을 알며 마찬가지로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본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어떻게 해서 달살아갈께서는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그대로 다 아시느냐 하면, 여래는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이 본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것이 왜 본래부터 없느냐 하면, 그것을 얻고자 하는 이가 본래 없기 때문이다.
달살아갈께서도 본래부터 없지만 지혜에 의해 이와 같이 진실하게 머무신다. 그것이 왜 본래부터 없느냐 하면, 세상 역시 본래부터 없기 때문이다. 그것이 왜 본래부터 없느냐 하면, 어떤 대상도 본래부터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어떤 대상도 본래부터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다원의 도(道)도 본래부터 없고 사다함의 도도 본래부터 없고 아나함의 도도 본래부터 없고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도 역시 본래부터 없으며 달살아갈께서도 본래부터 없으니 한결같이 본래부터 없고 서로 아무런 차이도 없고 어느 곳에서도 막힘이 없어서 모든 것을 그대로 다 아신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조차도 본래 없기에 달살아갈께서는 정작 반야바라밀에 의해 스스로 아뇩다라삼야삼불을 이루어 온 세상을 붙잡아 밝게 비추어 드러내 보이며,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세상은 본래부터 없고 서로 아무런 차이도 없다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신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달살아갈께서는 본래부터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그대로 다 아신다. 이러한 까닭에 부처님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005_0713_c_16L我與世識亦不可極是亦爲色我與世識有極無是亦爲色我與世識亦不有極不無極是亦爲色是命是身是亦爲非命非身是亦爲色痛痒思想生死識亦爾如是須菩提怛薩阿竭知欲得是者因致是何謂怛薩阿竭知欲得是者因致是怛薩阿竭知色之本無如知色本無痛痒思想生死識亦爾何謂知識知識之本無何所是本無是欲有所得者是亦本無怛薩阿竭亦本無因慧如住何謂所本無世閒亦是本無何所是本無者一切諸法亦本無如諸法本無須陁洹道亦本無斯陁含道亦本無阿那含道亦本無阿羅漢道·辟支佛道亦本無怛薩阿竭亦復本無一本無無有異無所不入悉知一切是者須菩提若波羅蜜卽是本無怛薩阿竭因般若波羅蜜自致成阿耨多羅三耶三照明持世閒是爲示現怛薩阿竭因般若波羅蜜悉知世間本無無有如是須菩提怛薩阿竭悉知本無爾故號字爲佛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본래부터 아무것도 없다는 말씀은 참으로 깊습니다. 이 부처님과 보살마하살이 모든 일을 있는 그대로 남김없이 깨달았다는 것을 뉘라서 믿겠습니까? 오직 아라한의 도를 얻은 이와 아유월치에 오른 보살과 아유삼불을 성취한 달살아갈께서만 이것을 연설하실 수 있을 뿐입니다.”
005_0714_a_16L須菩提白佛言本無甚深天中天是佛·菩薩事悉自曉了誰當信是者獨有得阿羅漢道者阿惟越致·怛薩阿竭成阿惟三佛能說之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본래부터 아무것도 없다는 도리는 다함이 없고 이를 연설하시는 달살아갈의 말씀도 다함이 없다.”
005_0714_a_20L佛語須菩提本無無有盡時怛薩阿竭所說亦無有極盡
그때 석제환인과 욕계천의 1만 천자들과 범가이천의 2만 천자들이 모두 부처님 앞에 나와서 각자 부처님의 발등에 이마를 조아리며 예경하고 나서 한쪽에 앉았다. 욕계천과 범가이천의 모든 천자들이 부처님께 함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부처님의 가르침은 아주 깊습니다. 이 가르침에는 어떤 모양이 있습니까?”
005_0714_a_21L釋提桓因與諸欲萬天子俱梵迦夷天與二萬天子俱前至佛所頭面著佛足卻住一面諸欲梵天子俱白佛言中天所說法者甚深云何作其相
005_0714_b_02L부처님께서 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모양이 있다는 것은 집착일 뿐이다. 이것은 분별도 없고 바람도 없고 나지도 않고 죽지도 않고 있는 것도 없고 머무르는 것도 없는 것으로 그 모양을 삼는다. 그 모양은 마치 허공이 머무르는 것과 같이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이 머무르는 것과 같다. 모든 천인과 아수륜과 용과 귀신이라도 이러한 모양을 무너뜨리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 모양은 손으로 지을 수 없기 때문이니, 색도 이 모양을 만들어낼 수 없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이 모양을 만들어낼 수 없으며 이 모양은 설령 인비인(人非人)이라도 만들어낼 수가 없다.”
005_0714_b_02L語諸天子言且聽作相著已無想·無願·無生死所生·無所有·無所住是者作其相其相者若如空住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所住相諸天·阿須倫·龍·鬼神不能動移何以故是相不可以手作色者不能作相痛痒思想生死識亦不作相是相若人若非人所不能作
부처님께서 다시 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만약에 이 허공을 지은 사람이 있다면 뉘라서 이를 믿겠느냐?”
005_0714_b_10L佛語諸天子言若說是空有作者寧能信不
여러 천자들이 아뢰었다.
“허공을 만든 사람이 있다는 말은 아무도 믿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허공을 만들었다는 것은 있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005_0714_b_11L諸天子白佛言信有作空者何以故無有能作空者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여러 천자들이여, 그 모양은 이와 같이 항상 머물고 부처님께서 계시든 안 계시든 진실하게 머무른다. 이와 같이 머무르는 까닭에 달살아갈께서는 아유삼불을 성취하시고 달살아갈로 불리니 달살아갈이란 본래 없는 것이다.”
005_0714_b_12L佛言如是諸天子其相者常住有佛無佛相住如故如是住者故怛薩阿竭成阿惟三佛故名怛薩阿竭是本無如來
여러 천자들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 모양은 아주 깊어서 모든 달살아갈께서 이로부터 아유삼불을 얻습니다. 달살아갈께서는 반야바라밀로부터 어디에도 걸림이 없는 지혜를 얻으시니, 이것은 곧 모든 부처님을 낳는 곳간과 같습니다.”
005_0714_b_16L諸天子白佛言是相者甚深怛薩阿竭從是成阿惟三佛怛薩阿竭所知無所罣㝵慧皆從般若波羅蜜是者卽佛之藏
005_0714_c_02L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달살아갈은 반야바라밀에 의해 세상을 나타내 보여 준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달살아갈은 이 가르침을 공경하고 받아들여서 스스로 성취한다. 모든 것이 반야바라밀에서부터 비롯하니 달살아갈은 이러한 까닭에 반야바라밀을 공경하며 이에 의해 부처님이 된다. 이것을 가리켜 은혜를 갚는다고 한다.
무엇을 가리켜 달살아갈이 은혜를 갚는다고 하는가? 달살아갈은 반야바라밀로부터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어 아유삼불을 성취하지만 정작 아무것에도 집착하지 않는다. 이러한 까닭에 제대로 은혜를 갚을 수 있는 것이다.
005_0714_b_19L佛語須菩怛薩阿竭因般若波羅蜜示現持世閒如是須菩提怛薩阿竭恭敬承事是法自致得成皆從般若波羅蜜是故怛薩阿竭之所恭敬因是得佛是爲報恩何謂是怛薩阿竭之所報恩者怛薩阿竭爲從是衍得阿耨多羅三耶三菩成阿惟三佛皆從是爲無所著以是故現於報恩
또 수보리여, 달살아갈은 어떤 대상도 만들어낸 이가 없다는 것을 아시니 이러한 까닭에 아유삼불을 얻으며, 또 만들어낸 것이 없지도 않다는 것을 안다. 그러므로 아유삼불을 얻는다. 이것이 곧 달살아갈이 은혜를 제대로 갚는다는 말이며 반야바라밀은 이로부터 드러난다. 달살아갈은 반야바라밀에 의해 어떤 대상에 대해서도 바라는 것이 없으니, 바로 이러한 까닭에 세상을 붙잡아 그대로 다 나타내 보이신다.”
005_0714_c_04L復次須菩提怛薩阿竭知識法無有作者以是故得阿惟三佛亦不無作成阿惟三佛是爲怛薩阿竭報恩示現般若波羅蜜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於諸法無所望皆從般若波羅蜜以是故示現持世閒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어떤 대상도 알지 않고 보지 않는다면 정작 달살아갈께서는 어떻게 반야바라밀로부터 이 세상을 붙잡아 나타내 보일 수 있습니까?”
005_0714_c_10L須菩提白佛言諸法不可知不可見何謂般若波羅蜜出怛薩阿竭示現持世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말한 그대로 어떤 대상도 알지 않고 보지 않는다. 모든 대상은 허공과 같으며 이러한 까닭에 알지도 않고 붙잡지도 않고 이러한 까닭에 보지도 않는다. 이것은 모두 반야바라밀에 의한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어떤 대상도 알지 않고 보지 않으니 달살아갈은 바로 반야바라밀에 의해 이러한 도리를 알고 아유삼불을 성취하여 세상을 붙잡아 나타내 보인다. 색도 보지 않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보지 않으니 바로 이러한 까닭에 반야바라밀은 모든 세상을 붙잡아 나타내 보인다.”
005_0714_c_13L佛語須菩提所說諸法不可知可見者謂諸法悉空以是故不可知諸法不可獲持以是故不可得見法不可知不可見者皆從般若波羅如是須菩提諸法不可知不可見爲從般若波羅蜜出怛薩阿竭成阿惟三佛示現持世閒故色爲不可見痛痒思想生死識亦不可見是者般若波羅蜜示現持世閒
수보리가 말했다.
“천중천이시여, 무슨 까닭에 색도 보지 않고 무슨 까닭에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보지 않는다고 말합니까?”
005_0714_c_21L須菩提言何謂天中天色不可見謂痛痒思想生死識爲不可見
005_0715_a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만약에 색에 의하지 않고 이로부터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의 정신 작용을 행하면 이를 가리켜 색도 보지 않는다고 하며, 또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 의하지 않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의 정신 작용을 행하면 이를 가리켜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보지 않는다고 하니, 색과 마찬가지로 정신 작용 역시 보는 것이 없다.
또 수보리여, 이 세상 역시 그 모양을 보지 않으니 이와 같이 보지 않는 까닭에 이 세상은 정작 반야바라밀에 의해 모든 대상을 그대로 다 드러내 보여 준다. 반야바라밀이 세상을 그대로 다 드러내 보여 준다는 것은 무슨 말이냐 하면 이 근심스러운 세상도 텅 비어서 미묘하며, 번뇌가 사라져 고요하고 청정하니, 이것을 가리켜 세상을 그대로 드러내 보여 준다고 한다.”
005_0714_c_23L佛言不見色因緣生識是故色爲不可見亦不痛痒思想生死識因緣生識故識爲不可見如色痛痒思想生死識不見是世閒亦不見其相者亦不是世閒示現所有皆從般若波羅何謂是般若波羅蜜示現持世閒其憂世閒是亦爲空其憂世閒是亦爲恍忽其憂世閒是亦爲寂其憂世閒是亦爲淨是者卽爲世閒示現

11. 불가계품(不可計品)
005_0715_a_09L摩訶般若波羅蜜道行經不可計品第十一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반야바라밀은 더없이 커서 끝내 크기를 헤아릴 수가 없고 끝내 그 양(量)을 헤아릴 수가 없고 끝내 이에 견줄 만한 것이 없고 끝내 그 끝에 이를 수가 없습니다.”
005_0715_a_10L須菩提白佛言極大究竟般若波羅不可計究竟不可量究竟無有與等者究竟無有邊究竟
005_0715_b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그대의 말과 같이 반야바라밀은 더없이 커서 끝내 그 크기를 헤아릴 수가 없고 끝내 그 양(量)을 헤아릴 수가 없고 끝내 이에 견줄 만한 것이 없고 끝내 그 끝에 이를 수가 없다.
그렇다면 반야바라밀은 왜 끝내 그 크기를 헤아릴 수 없다고 할까? 달살아갈은 스승도 없이 반야바라밀에 의해 살운야를 얻기 때문이다. 이러한 까닭에 반야바라밀은 끝내 그 크기를 헤아릴 수 없다고 한다.
그렇다면 반야바라밀은 왜 끝내 그 크기를 헤아릴 수 없다고 할까? 여래가 스승도 없이 반야바라밀에 의해 살운야를 얻는 것은 무어라 이름할 수 없고 불가사의해서 그 크기를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까닭에 반야바라밀은 끝내 그 크기를 헤아릴 수 없다고 한다.
그렇다면 반야바라밀은 왜 끝내 이에 견줄 만한 것이 없다고 할까? 달살아갈을 넘어설 수 있는 이가 과연 누구일까? 이러한 까닭에 반야바라밀은 끝내 이에 견줄 만한 것이 없다고 한다.
그렇다면 반야바라밀은 왜 끝내 그 끝을 알 수 없다고 할까? 달살아갈이 스승도 없이 반야바라밀에 의해 살운야를 얻는 것은 그 끝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까닭에 반야바라밀은 끝내 그 끝을 알 수 없다고 한다.”
005_0715_a_13L佛言極大究竟般若波羅蜜不可計究竟不可量究竟無有與等者究竟無有邊究竟安隱般若波羅蜜不可計究竟怛薩阿竭無師薩芸若是故般若波羅蜜不可計究竟何等般若波羅蜜不可量究竟不可量怛薩阿竭無師薩芸不可議不可稱是故般若波羅蜜不可量究竟何等般若波羅蜜安隱究竟無有與等者怛薩阿竭誰能過是故般若波羅蜜無有與等者究何等般若波羅蜜無有邊究竟有邊怛薩阿竭無師薩芸若是故般若波羅蜜無有邊究竟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달살아갈께서 스승도 없이 살운야를 얻는 것은 왜 끝내 크기를 헤아릴 수 없고 양(量)을 헤아릴 수 없으며 이에 견줄 만한 것이 없고 그 끝을 알 수 없습니까?”
005_0715_b_03L須菩提白佛言云何怛薩阿竭無師薩芸若不可計不可量無邊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색도 그렇지만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그 크기를 알 수 없으니 이와 같이 모든 대상은 끝내 그 크기를 알 수 없다. 모든 대상에는 끝내 어떤 대상도 있지 않으니 바로 이것이 그 크기를 알 수 없는 까닭이다.
색도 그렇지만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그 크기를 알 수가 없으니 이와 같이 모든 대상은 끝내 그 크기를 알 수 없다.
색도 그렇지만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그 끝을 알 수가 없으니 이와 같이 모든 대상은 끝내 그 끝을 알 수 없다.
색도 그렇지만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그 끝과 폭을 얻을 수가 없으니 이와 같이 모든 대상은 끝내 그 끝과 폭을 얻을 수 없다. 왜냐하면 색도 그렇지만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는 그 끝과 폭이 없으며 모든 대상에도 역시 그 끝과 폭이 없기 때문이다.
색도 그렇지만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의 끝과 폭은 얻을 수 없고 다하는 곳이 없으니 이와 같이 모든 대상의 끝과 폭은 끝내 얻을 수 없고 다한 곳이 없다. 왜냐하면 색도 그렇지만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는 있는 것이 없으며 모든 대상에도 있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005_0715_b_05L佛言痛痒思想生死識不可計諸法亦不可計諸法了無所法正是中不可計色痛痒思想生死識不可思諸法亦不可量色痛痒思想生死識無有邊諸法亦無有邊色痛痒思想生死識邊幅了不可得諸法邊幅了不可得用何等故色痛痒思想生死識無有邊幅諸法無有邊幅色痛痒思想生死識邊幅了不可得無有盡處諸法邊幅了不可得無有盡處用何等故色痛痒思想生死識諸法了不可得邊幅無有盡處時云何
그런데 수보리여, 허공은 끝까지 헤아릴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005_0715_b_17L佛言空處可計盡不耶
수보리가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허공은 끝까지 헤아릴 수 없습니다.”
須菩提言空不可計盡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어떤 대상도 헤아릴 수 없고 일컬을 수 없으니 그 끝과 폭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까닭에 달살아갈의 가르침도 여기에 비유되어 헤아릴 수 없고 일컬을 수 없으며 그 끝을 알 수 없다고 한다.
달살아갈이 마음을 내어 불법을 배우는 것은 헤아릴 수 없고 일컬을 수 없으며 그 끝을 알 수 없나니 본래부터 그러할 마음도 없고 그러할 생각도 없기 때문이다. 비유하자면 이것은 마치 허공에 아무런 마음도 없고 아무런 생각도 없는 것과 같으니 혹시 마음이나 생각이 있으면 삶과 죽음이 끝없이 따르게 된다.
달살아갈의 가르침은 마치 허공과 같아서 그 끝을 알 수 없고 달살아갈의 가르침은 마치 허공과 같아서 헤아릴 수 없으며 이와 같이 설하는 말조차도 헤아릴 수 없고 일컬을 수 없으며 그 끝을 알 수 없다.”
005_0715_b_18L諸法不可計不可稱無有邊幅是故怛薩阿竭法如是比不可計可稱無有邊怛薩阿竭發心起學可計不可稱無有邊本無心無念如空無心無念有心有念因隨是生死無有邊怛薩阿竭法如空無有邊是法如空不可計作是說不可計可稱無有邊
005_0715_c_02L부처님께서 이 경전을 연설하실 때 5백 명의 비구승과 30명의 비구니가 일시에 아라한이 되었고 60명의 우바새(優婆塞)와 30명의 우바이(優婆夷)들은 일시에 수다원의 도(道)를 얻었고 30명의 보살은 일시에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이치를 깨닫고 기뻐하는 가운데 현재의 겁(劫) 안에 모두 부처님이 되리라는 예언을 받았다.
005_0715_c_03L佛說是經時五百比丘僧·三十比丘尼皆得阿羅漢六十優婆塞·三十優婆夷皆得須陁洹道十菩薩皆逮得無所從生法樂皆當於是婆羅劫中受決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아주 깊고 더없이 크고 안온(安穩)하여 끝내 의지할 만합니다.”
005_0715_c_07L須菩提白佛言般若波羅蜜甚深極大安隱究竟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반야바라밀은 아주 깊어서 더없이 크고 안온하여 끝내 의지할 만 하니 살운야와 수다원의 도(道)와 사다함의 도와 아나함의 도와 아라한의 도와 벽지불의 도가 모두 여기에서 나온다.
비유하자면 이것은 마치 한 나라의 왕이 자신에게 속한 고을과 백성에 관한 모든 일을 신하들에게 맡기고 자신은 정작 아무것도 걱정하지 않는 것과 같으니 아라한과 벽지불과 부처의 도(道)도 모두 반야바라밀로부터 나오고 모두 이 경전에 바탕 한다.”
005_0715_c_09L佛言般若波羅蜜甚深極大安隱究竟薩芸若·須陁洹·斯陁含·阿那含·阿羅漢·辟支佛道悉從是經出譬如遮迦越王所當爲者一切傍臣所有郡國人民皆屬王亦無所復憂阿羅漢·辟支佛·佛若諸法皆從般若波羅蜜中出皆是經所立
다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색도 그렇지만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받아들이거나 집착하지 않아야 하며, 수다원과 사다함과 아나함과 아라한과 벽지불과 살운야도 받아들이거나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005_0715_c_15L佛言色痛痒思想生死識不受不入須陁洹·斯陁含·阿那含·阿羅漢·辟支佛·薩芸若道不受不入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살운야는 어떻게 아무것도 받아들이지 않고, 살운야는 어떻게 아무것에도 집착하지 않습니까?”
005_0715_c_18L須菩提問佛言等薩芸若不受何等薩芸若不入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그대는 아라한이 이 법을 받아들이는 것을 보았느냐, 보지 못했느냐?”
005_0715_c_19L云何須菩提見若羅漢所入處不
수보리가 말했다.
“천중천이시여, 보지 못했습니다. 저는 이 법이 제게로 들어오는 것도 보지 못했습니다.”
005_0715_c_20L須菩提言不見天中天不見是法所入處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참으로 훌륭하구나. 나도 달살아갈의 법이 내게로 들어오는 것을 보지 않으니 달살아갈께서도 나와 마찬가지로 아무것도 받아들이지 않으시고 살운야도 나와 마찬가지로 아무것도 받아들이지 않는다.”
005_0715_c_22L佛言善哉須菩提我亦不見怛薩阿竭所入處如我怛薩阿竭無所入薩芸若無所入處
005_0716_a_02L이에 욕망뿐인 욕계천의 모든 천자들과 범천의 모든 천자들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아주 깊어서 어렵기만 합니다. 만약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잘 믿어 아는 이가 있다면 이 사람은 일찍이 과거 세상의 부처님 때에 지은 공덕으로 지금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듣고 믿게 된 것입니다.
부처님이시여, 설령 삼천대천세계의 모든 중생들이 1겁동안 믿음을 닦아 왔다고 해도 어떤 사람이 반야바라밀 가운데에서 하루동안 사색을 즐기는 것의 복덕이 한층 더 크고 깊습니다.”
005_0715_c_24L愛欲天子·梵天子俱白佛言天中天般若波羅蜜甚深難了過去佛時所作功德是輩人於是閒聞深般若波羅蜜信者使三千大千國土人一切所當爲者皆信皆信已來行過一劫於是深般若波羅蜜中樂一日念無量深出彼德有餘
부처님께서 욕계천의 천자들과 범천의 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만약에 어떤 사람이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듣게 되면 바로 부처님이 되리라는 예언을 받을 것이니 설령 누군가가 1겁 동안 기꺼이 믿음을 닦아 왔다고 해도 그 공덕이 여기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다.”
005_0716_a_08L佛語愛欲天子·梵天子正使復有人聞深般若波羅蜜以得證所信樂過一劫其功德不及是輩
이에 욕계천의 모든 천자들과 범천의 모든 천자들은 각자 부처님의 발등에 머리를 조아려 예경을 하고 그 둘레를 세 번 돈 다음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는 노래를 부르며 먼 하늘을 굽이돌아 각각의 하늘 나라로 돌아갔다.
005_0716_a_10L欲天子·梵天子皆前以頭面著佛足繞三帀而去卻行久遠乃旋各歸天歌歎佛說功德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만약에 어떤 보살이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믿는다면 이 보살은 어느 곳으로부터 이 세상에 와서 태어난 것입니까?”
005_0716_a_13L須菩提白佛言若有菩薩信深般若波羅蜜者從何所來而生是閒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믿는 사람의 마음에는 아무런 의심도 없고 싫다거나 좋다는 기색도 없이 이것을 듣고 사색하기를 즐기며 법을 설해주는 사람을 멀리 하려고 하지 않으니, 비유하자면 이것은 마치 갓난아기가 끝내 그 어머니에게서 떨어지지 않으려는 것과 같다. 이 보살은 인간의 세상에서 다시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이니 전세에도 반야바라밀을 배웠고, 금세에도 다시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어서 조금도 멀리하지 않고 믿고 즐긴다.”
005_0716_a_15L佛言如是信者心無有疑不厭不喜樂聞不欲遠離經師譬如新生犢子終不遠離其母是菩薩從人道中來生是閒前世學人今來復得深般若波羅蜜便信樂不遠離也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만약에 어떤 보살이 공덕을 쌓아 다른 부처님의 나라에 태어나서 부처님을 공양하면 그곳에서 죽어 다시 이 세상에 태어납니까?”
005_0716_a_20L須菩提白佛言若有菩薩有時還其功德若復從他方佛剎來若供養佛乃有從彼來生是閒者無
005_0716_b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어떤 보살이 다른 곳의 부처님 나라에 태어나 부처님을 공양하면 다시 이 세상에 태어나며 그곳에서 쌓은 공덕으로 이 세상에서도 문득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는다.
또 수보리여, 어떤 보살은 도솔천에 태어나 미륵보살로부터 이 경전 중의 깊은 지혜를 듣고 이 세상에 다시 태어나며 그곳에서 쌓은 공덕으로 이제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는다.
또 수보리여, 어떤 보살은 전세에 부처님이 이 세상에 계실 때 깊은 반야바라밀을 듣고도 지혜에 관해 묻지 않더니, 이제 다시 이 세상에 태어나서도 반야바라밀을 듣고 마음에 문득 의문이 일어 역시 지혜에 관해 묻지도 않고 이것을 믿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전세의 의문이 아직 남아있기 때문이다.
또 수보리여, 만약에 어떤 보살이 전세에 깊은 반야바라밀을 듣고 하루나 이틀이나 사흘이나 혹은 이레 동안 지혜에 관해서 물었다면 그 공덕으로 이제 다시 이 세상에 태어나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어 항상 즐거이 듣고 기꺼이 물으며 믿고 받아들인다.
또 수보리여, 만약에 보살이 어떤 때는 반야바라밀을 듣고자 하지만 어떤 때는 그렇지 않아서 마음이 어지럽고 변덕이 심하여 마치 저울추가 오르락내리락하듯 한다면, 이 사람은 아직 배우고자 하는 생각을 내지 않아서 믿음도 작고 깊은 반야바라밀을 들어도 즐겁지가 않으며 오히려 이것을 배우기 싫어하여 떠나가 버리니, 이와 같이 끝내 반야바라밀을 성취하지 못하고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道)에 빠지고 만다.”
005_0716_a_23L佛言輩菩薩於他方佛剎供養佛復從彼來生是閒持是功德於是閒便逮得深般若波羅蜜若復有菩薩從兜術天上來生是閒或從彌勒菩薩聞是深經中慧今來生是閒持是功德逮得深般若波羅蜜若復有菩薩前世佛時聞深般若波羅蜜不問中慧來生是閒聞深般若波羅蜜心便有不信樂不問中慧何以故前世有疑故若復有菩薩前世聞深般若波羅蜜問中慧一日·二日·三日·若至七持是功德今復逮得深般若波羅常樂聞喜問信受若復有菩薩有時欲聞般若波羅蜜或不欲聞其心數數轉如稱乍低乍仰是輩人適學未發故使少信不樂得深般若波羅蜜便厭不欲學棄捨去如是終不成就墮羅漢·辟支佛道中

12. 비유품(譬喩品) 
005_0716_b_18L摩訶般若波羅蜜道行經譬喩品第十二
005_0716_c_02L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비유하자면 이것은 마치 배가 바다에서 파괴된 것과 같으니 그 안에 탄 사람들이 모두 물에 빠져 죽어 아무도 물을 건널 수 없게 되었을 때 어떤 힘센 사람이 마침 배 안에 있는 널빤지나 돛대에 올라타고 그 속에서 빠져 나오면 이 사람은 끝내 물에 빠져 죽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이 사람이 널빤지나 돛대를 의지하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보살도 이와 같으니 설령 믿음을 가지고 기꺼이 선정을 닦고 정진에 힘써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더라도 정작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지 않고 구화구사라를 배우지 않으면 이 보살은 문득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道)에 빠지고 만다.
수보리여, 보살이 설령 믿음을 가지고 기꺼이 선정을 닦고 정진에 힘써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더라도, 정작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지 않고 구화구사라를 배우지 않으면 이 보살은 끝내 살운야를 얻지 못하고 중도에서 문득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에 빠지고 만다.
005_0716_b_19L佛言譬如大海中舩卒破壞知中人皆當墮水沒死終不能得度是舩中有板若檣有健者得之騎其上順流墮深得出知是人終不沒水中死也何以故用得板檣故菩薩有信樂定行有精進欲逮阿耨多羅三耶三不得深般若波羅蜜不學漚和拘舍羅是菩薩便墮阿羅漢·辟支佛道菩薩有信樂有定行有精進欲逮阿耨多羅三耶三菩得深般若波羅學漚和拘舍羅是菩薩終不中道懈墯過出阿羅漢·辟支佛道去正在阿耨多羅三耶三菩中住
비유하자면 이것은 마치 어떤 사람이 덜 구워진 항아리를 가지고 물을 길러 가는 것과 같으니, 머지않아 이 항아리는 반드시 부서져서 사용할 수가 없음을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이 항아리는 아직 덜 구워졌기 때문이다.
또 수보리여, 만약 어떤 보살이 믿음을 가지고 기꺼이 선정을 닦고 정진에 힘써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할 때 다행히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고 구화구사라를 배운다면, 이 보살은 중도에 물러나지 않고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를 훌쩍 벗어나 마침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머무르게 된다.
비유하자면 이것은 마치 어떤 사람이 잘 구워진 항아리를 가지고 물을 길러 가는 것과 같으니, 이 사람은 반드시 안전하게 물을 길어 돌아간다. 왜냐하면 이 항아리는 잘 구워졌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보살이 믿음을 가지고 기꺼이 선정을 닦고 정진에 힘써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할 때 다행히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고 구화구사라를 배운다면, 이 보살은 중도에 물러나지 않고 교만한 마음도 없어지며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에서 훌쩍 벗어나 마침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게 된다.
005_0716_c_09L譬如有人持坏甁行取水知是甁不能久當道何以故甁未成故若有菩薩有信有定行有精進欲逮阿耨多羅三耶三菩不得深般若波羅蜜不學漚和拘舍羅是菩薩終不能逮薩芸若便中道厭卻墮阿羅漢·辟支佛道中譬若有人持成甁行取水知當安隱持水來歸至也何以故其甁已成故若有菩薩有信樂有定行有精進逮阿耨多羅三耶三菩得深般若波羅蜜學漚和拘舍羅知是菩薩終不中道懈墯休止恣心正上阿耨多羅三耶三菩
005_0717_a_02L비유하자면 이것은 마치 오래되어 낡은 배를 해변에 대놓고 그 안에 재물을 가득 실은 다음 이것을 타고 목적지로 가고자 하는 것과 같으니, 이 배는 항구에 이르기도 전에 가라앉아서 모든 재물을 잃을 것임을 알아야 한다.
수보리여, 어떤 보살이 설령 믿음을 가지고 기꺼이 선정을 닦고 정진에 힘써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더라도 정작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지 않고 구화구사라를 배우지 않으면 이 보살은 중도에서 커다란 보물을 잃을 것이니, 무엇을 가리켜 커다란 보물이라고 하는가? 부처님이 바로 커다란 보물이니, 이 보살은 중도에서 문득 커다란 보물을 잃고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에 빠지고 만다.
비유하자면 이것은 마치 오래되어 낡은 배를 잘 고쳐서 해변에 대놓고 그 안에 재물을 가득 실은 다음 이것을 타고 목적지로 가고자 하는 것과 같으니 이 배는 중도에 가라앉지 않고 무사히 목적지에 이를 것임을 알아야 한다.
또 수보리여, 만약에 어떤 보살이 믿음을 가지고 기꺼이 선정을 닦고 정진에 힘써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할 때 다행히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고 구화구사라를 배운다면 이 사람은 중도에 물러나지 않고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머무를 것임을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이 보살은 믿음을 가지고 기꺼이 선정을 닦고 정진에 힘쓰는 까닭에 끝내 아라한이나 벽지불의 도에 빠지지 않고 불문(佛門)을 향하여 바로 나아가기 때문이다.
비유하자면 이것은 마치 나이가 120살에 이른 어떤 늙은 사람이 온갖 병환과 추위와 더위로 자리에 누워 몸이 편치 않은 것과 같으니 그대 생각엔 이 노인이 스스로 자리에서 일어날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005_0716_c_22L譬若大海中有故壞舩補治之便推著水中取財物置其中欲乘有所至知是舩終不能至便中道壞亡散財物若有菩薩有信樂定行有精進欲逮阿耨多羅三耶三不得深般若波羅蜜不學漚和拘舍羅知是菩薩中道厭便亡失名珍更棄大珍寶去何所爲大珍寶是也是菩薩便中道墮阿羅漢·辟支佛道中譬若有黠人拖張海邊故壞舩補治之以推著水中持財物置其便乘欲有所至知是舩不中道壞必到所至處若有菩薩有信樂有定有精進欲逮阿耨多羅三耶三菩得學深般若波羅蜜·漚和拘舍羅·知是菩薩終不中道懈墯正在阿耨多羅三耶三菩中住何以故是菩薩一心有信樂有定行有精進故終不復墮羅漢·辟支佛道中正向佛門譬若有人年百二十歲老極身體不安病寒熱寢臥牀褥此人寧能自起居
수보리가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일어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 노인은 너무 늙어서 아무런 기력도 없기 때문이니 설령 노인의 병이 모두 낫는다고 해도 스스로 일어나 돌아다닐 수는 없습니다.”
005_0717_a_20L須菩提言不能也何以故是人老極無勢力故正使病愈由不能自起居行步
005_0717_b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보살도 이와 같아서 설령 믿음을 가지고 기꺼이 선정을 닦고 정진에 힘써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더라도 정작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지 못하고 구화구사라를 배우지 않으면 이 보살은 끝내 부처님이 되지 못하고 중도에서 문득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에 빠지고 만다. 왜냐하면 이 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배우지 않고 구화구사라를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005_0717_a_22L佛言菩薩有信樂有定行精進欲逮阿耨多羅三耶三菩不得學深般若波羅蜜·漚和拘舍羅者不能至佛當中道休墮阿羅漢·辟支佛道中何以故不得學深般若波羅蜜·漚和拘舍羅故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만약에 이 노인이 온갖 병환과 추위와 더위에도 불구하고 몸이 건강해져 자리에서 일어나 돌아다니고자 한다면 건강한 두 사람이 이 노인의 양쪽 겨드랑이 아래로 팔을 넣어 부축하면서 말하기를 ‘아무것도 걱정 마십시오. 가시고자 하는 곳까지 부축해 드릴 테니 중도에 저희들이 떠날까 걱정하지 마십시오’라고 하니 이렇게 해서 이 노인은 가고자 하는 곳을 마음대로 갈 수가 있다.
수보리여, 보살도 이와 같아서 믿음을 가지고 기꺼이 선정을 닦고 정진에 힘써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할 때 다행히 깊은 반야바라밀을 얻고 구화구사라를 배운다면 이 보살은 중도에 물러나지 않고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
005_0717_b_04L佛言但是人風寒病愈身體强健意欲起行有兩健人各扶一掖各持一臂徐共持行其人語病者言安意莫恐我自相扶持所至到義不中道相棄如是人能到所欲至處不須菩提言菩薩有信樂有定行有精進欲逮阿耨多羅三耶三菩得深般若波羅蜜學漚和拘舍是菩薩終不中道懈惰能究竟於是中得阿耨多羅三耶三菩

13. 분별품(分別品) 
005_0717_b_13L摩訶般若波羅蜜道行經分別品第十三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아사부보살[阿闍浮菩薩:치지주보살(治地住菩薩)]1)은 반야바라밀을 어떻게 배워야 합니까?”
005_0717_b_14L須菩提白佛言云何阿闍浮菩薩學般若波羅蜜
005_0717_c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선지식(善知識)을 모셔야 하고 반드시 선지식을 기꺼워해야 하며, 반드시 좋은 생각으로 반야바라밀의 가르침을 따라야 한다. 어떻게 하는 것이 반야바라밀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냐 하면 이 보살이 행하는 보시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기 위한 것일 뿐, 색과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는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살운야는 집착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만약에 보살이 지계와 인욕과 정진과 선정과 지혜를 행한다면 이것은 단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기 위한 것일 뿐, 색과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는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살운야는 집착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수보리여,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에서는 즐거움을 얻을 수 없으니 아사부보살은 이렇게 해서 서서히 반야바라밀로 들어간다.”
005_0717_b_16L佛言當與善知識從事當樂善知識當善意隨般若波羅蜜何等爲隨般若波羅蜜教是菩薩所布施當施與作阿耨多羅三耶三莫得著色痛痒思想生死識何以深般若波羅蜜·薩芸若無所著持戒·忍辱·精進·禪·智慧當持是作阿耨多羅三耶三菩莫得著色痛痒思想生死識何以故薩芸若無所著得樂阿羅漢·辟支佛道阿闍浮菩薩稍入般若波羅蜜中如是
수보리가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보살이 괴로움을 싫어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합니다.”
005_0717_c_03L須菩提言菩薩謙苦欲得阿耨多羅三耶三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보살은 괴로움을 싫어하여 세상을 편안히 하고 세상을 보호하고 세상의 의지처가 되고 세상의 집이 되고 세상을 제도하고 세상의 돈대(墩臺)가 되고 세상의 인도자가 되기 위해 어려움을 견뎌낸다.
수보리여, 무슨 까닭에 보살이 세상을 보호해 준다고 하느냐?
수보리여, 보살은 중생들로 하여금 나고 죽는 것과 온갖 고통을 벗어나게 하고 법을 가르쳐서 해탈하도록 한다. 이러한 까닭에 보살이 세상을 보호해 준다고 한다.
수보리여, 어떤 까닭에 보살이 세상의 의지처가 된다고 하느냐?
수보리여, 보살은 중생들로 하여금 나고 죽는 것과 온갖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고 법을 가르쳐서 해탈하도록 한다. 이러한 까닭에 보살이 세상의 의지처가 된다고 한다.
수보리여, 무슨 까닭에 보살이 세상의 집이 된다고 하느냐?
수보리여, 보살은 아뇩다라삼야삼보와 아유삼불을 얻고 비로소 달살아갈이라고 불리며, 이때 세상을 위하여 경전은 집착의 대상이 아니라고 설한다. 이러한 까닭에 보살은 세상의 집이 된다고 한다.
수보리여, 무슨 까닭에 집착이 없다고 하느냐?
수보리여, 색에는 아무런 집착도 없고 묶여 있는 곳도 없다. 색은 의지하여 생겨나는 것도 없고 의지하여 멸하는 것도 없으며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그러하다. 이와 같이 모든 대상에는 아무런 집착도 없고 묶여 있지도 않다.
수보리여, 무슨 까닭에 보살이 세상을 제도한다고 하느냐?
수보리여, 보살은 그것이 색이든 색이 아니든 모두 제도하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 속하든 아니든 모든 대상을 제도한다. 이러한 까닭에 보살이 세상을 제도한다고 한다.”
005_0717_c_05L佛言菩薩謙苦安隱於世閒護爲世閒自歸爲世閒舍爲世閒爲世閒臺爲世閒導何等爲菩薩爲世閒護死生勤苦悉護教度·脫爲世閒護何等爲世閒自歸生老病死悉度之是爲世閒自歸何等爲世閒舍菩薩得阿耨多羅三耶三菩·阿惟三佛得怛薩阿竭名時爲世閒經無所著是爲世閒舍何等爲無所色無著無縛是色無所從生無所從滅痛痒思想生死識亦爾諸法亦無著無縛如是何等爲世閒度是色非色爲度痛痒思想生死識是識非識爲度度爲諸法
수보리가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보살은 모든 대상을 제도하고 아유삼불을 얻습니다. 왜냐하면 정작 아무것에도 집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005_0717_c_18L須菩提言如佛所度爲諸法得阿惟三佛何以故所著耶
005_0718_a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보살은 괴로움을 싫어하여 아무것에도 집착하지 않는 것으로 가리켜 어려움을 견뎌낸다고 한다. 이 보살은 마음속으로 끊임없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되새겨서 마침내 아뇩다라삼야삼보와 아유삼불을 얻고 이로부터 경전을 설하니 이러한 것 역시 보살이 세상을 제도한다고 한다.
수보리여, 무슨 까닭에 보살이 세상의 돈대가 된다고 하겠느냐? 비유하자면 이것은 마치 물 가운데에 돈대가 솟아있어서 물이 양쪽으로 갈라져 흐르는 것과 같다.
수보리여, 보살도 이와 같아서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모든 색과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둘로 자르며 다른 모든 대상도 이와 같이 잘라버린다. 모든 대상을 잘라버리는 것이 곧 선정이고 감로(甘露)이고 열반(涅槃)이니 보살은 이와 같이 마음속으로 끊임없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되새겨서 마침내 아유삼불을 얻는다. 이러한 까닭에 부처님은 세상의 돈대가 된다고 한다.
수보리여, 무슨 까닭에 보살이 세상의 인도자가 된다고 하겠느냐?
수보리여, 보살이 마침내 아유삼불을 얻고 나면 색과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의 행위는 텅 비었다고 설하고, 다른 모든 대상 역시 텅 비었다고 설하며 이들은 의지하여 생겨나는 것도 없고 의지하여 멸하는 것도 없고, 어떤 대상도 분별하지 않고 어떤 대상도 있는 곳이 없고 어떤 대상도 정신 작용을 행하지 않고 어떤 대상도 꿈과 같고 어떤 대상도 하나와 같고 어떤 대상도 허깨비와 같고 어떤 대상도 끝이 없되 정작 어떤 대상도 이와 같지 않으니 모든 것이 똑같이 아무런 차이도 없다.”
005_0717_c_20L佛言如是無所著菩薩爲謙念法不懈得阿耨多羅三耶三菩阿惟三佛因說經是亦爲世閒度等爲世閒臺譬若水中臺其水兩避色痛痒思想生死識過去·當來·今現在兩斷如是斷者諸法亦斷設使諸法斷者是爲定是爲甘露是爲泥菩薩念法不懈得阿惟三佛是爲世閒臺何等爲世閒導菩薩得阿惟三佛便說色痛痒思想生死識空諸法空是亦無所從來亦無所從去諸法空諸法無有想諸法無有處法無有識諸法無所從生諸法空法如夢諸法如一諸法如幻諸法無有邊諸法無有是皆等無有異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이와 같이 아주 깊으니 뉘라서 이것을 분명히 깨달을 수 있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만약 보살이 과거세에 부처님 계신 곳에서 오랫동안 수행하여 공덕을 쌓았다면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분명히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005_0718_a_11L須菩提白佛言般若波羅蜜甚深當了是耶佛言菩薩求以來大久遠乃從過去佛時於其所作功德以來如是輩人乃曉知深般若波羅蜜耳
수보리가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이 보살은 과거세에 부처님 계신 곳에서 어떻게 닦았습니까?”
005_0718_a_15L須菩提言何謂求以來大久遠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 보살은 색과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멀리 여의어서 다시는 이를 가까이 하지 않고 마침내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분명히 깨달았다.”
005_0718_a_16L佛言去離於色痛痒思想生死識無復有爾乃曉知是深般若波羅蜜
수보리가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이 보살은 세간의 인도자입니까?”
005_0718_a_18L須菩提是菩薩爲·世閒導耶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 보살은 이와 같이 아유삼불을 얻고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세상 사람들을 위해 인도자가 된다.”
005_0718_a_19L佛言如是薩得阿惟三佛爲不可計阿僧祇人作導
수보리가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보살은 괴로움을 싫어하여 마하승나승녈을 세워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세상 사람들을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도록 합니다.”
005_0718_a_21L須菩提言菩薩爲謙苦是爲摩訶僧那僧涅爲般泥洹不可計阿僧祇人
005_0718_b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보살은 이와 같이 괴로움을 싫어하여 마하승나승녈을 세운다. 이러한 까닭에 승나승녈 그 자체에도 묶여 있지 않고, 색과 통상과 사상과 식에도 묶여 있지 않으니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는 물론 살운야에도 묶여 있지 않고, 그 외의 어떤 대상에도 묶여 있지 않다. 이러한 까닭에 승나승녈[僧那僧涅:서원(誓願)]이라고 한다.”
005_0718_a_23L佛言如是菩薩爲謙苦是爲摩訶僧那僧涅是故爲僧那僧涅無縛色痛痒思想生死識無縛亦不於阿羅漢·辟支佛亦不於薩芸若諸法無是故爲僧那僧涅
수보리가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구할 때는 구하는 대상과 구하는 행위와 구하는 사람 이 세 가지를 분별하면 온당치 않습니다.”
005_0718_b_04L須菩提言菩薩求深般若波羅蜜當索三處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무슨 까닭에 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구할 때 세 가지를 분별하면 온당치 않다고 말하는가?”
005_0718_b_06L佛言何因緣菩薩求深般若波羅蜜不當索三處
수보리가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아주 깊어서 이것을 쉽게 지킬 수는 없지만 전혀 지킬 수 없는 것도 아닙니다. 반야바라밀로부터는 어떤 대상도 생겨 나오지 않으니 반야바라밀을 지키는 것은 마치 허공을 지키는 것과 같고, 반야바라밀을 지키는 것은 마치 한량없는 대상을 지키는 것과 같고, 반야바라밀을 지키는 것은 마치 있지도 않은 것을 지키는 것과 같고, 반야바라밀을 지키는 것은 마치 아무런 집착도 없는 것을 지키는 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005_0718_b_07L須菩提言若波羅蜜甚深亦不可有守者亦不無守者從般若波羅蜜中爲無所出守般若波羅蜜爲守空守般若波羅蜜爲守諸法守般若波羅蜜爲守無所有守般若波羅蜜爲守無所著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반야바라밀 안에 있는 사람은 아유월치의 지위에 있는 보살임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깊은 반야바라밀 안에서 아무런 집착도 없는 사람은 끝내 다른 사람의 말을 따르지 않고, 다른 도를 좇지 않으며 어떤 두려움도 없고 게으름도 없다. 이 사람은 과거세에 이 깊은 경전에서 가르치는 지혜에 대하여 부처님께 여쭌 적이 있어서 이제 다시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듣고도 마음에 아무런 두려움도 없고 게으름도 없다.”
005_0718_b_12L在般若波羅蜜中者當知是阿惟越致菩薩於深般若波羅蜜中無所適著終不隨他人語不信餘道心不恐畏不懈怠從過去佛問是深經中今聞深般若波羅蜜心續不恐畏不懈怠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이 보살은 어떻게 관찰하기에 깊은 반야바라밀을 듣고도 마음에 아무런 두려움도 없고 게으름도 없습니까?”
005_0718_b_18L須菩提白佛言若有菩薩聞深般若波羅蜜心不恐畏不懈怠何因緣念般若波羅蜜中觀視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 보살은 마음이 살운야를 향해 있으며 이로써 반야바라밀을 관찰한다.”
005_0718_b_21L佛言心向薩芸若是爲觀視般若波羅蜜
수보리가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이 보살의 마음이 살운야를 향해 있다는 것은 어떤 뜻입니까”?
005_0718_b_22L須菩提何謂心向薩芸若
005_0718_c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 보살의 마음은 공(空)을 향해 있으며 이로써 반야바라밀을 관찰한다.
수보리여, 살운야로 대상을 관찰한다는 것은 정작 바른 관찰이 아니다. 살운야는 이루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색도 역시 이루 헤아릴 수 없으니 이것은 더 이상 색이 아니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이루 헤아릴 수 없으니, 이것은 더 이상 정신 작용이 아니라 받아들이는 것도 없고 나오는 것도 없고 얻는 것도 없고 아는 것도 없고, 또한 아는 것이 있지도 않고 아는 것이 없지도 않고 생겨나는 것도 없고 짓는 것도 없고 패배하는 것도 없고 집착하는 것도 없고 의지하여 유래하는 것도 없고 의지하여 멸하는 것도 없고 보는 것도 없고 있는 것도 없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공(空)은 한량이 없고 살운야는 이루 헤아릴 수 없어서 부처가 된다는 것도 있을 수 없고 부처를 얻는다는 것도 있을 수 없으니, 색과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 의지하여 부처를 얻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고, 또한 단바라밀(檀波羅蜜:보시바라밀)과 시바라밀(尸波羅蜜:지계바라밀)과 찬제바라밀(羼提波羅蜜:인욕바라밀)과 유체바라밀(惟逮波羅蜜:정진바라밀)과 선바라밀(禪波羅蜜:선정바라밀)과 반야바라밀에 의지하여 부처가 된다는 것도 있을 수 없다.”
005_0718_b_23L佛言心向空爲觀薩芸若觀薩芸若是爲不觀不可計薩芸若如不可計色爲非色不可計痛痒思想生死識爲非識不入亦不出亦不得亦不知亦不有知亦不無知亦無所生亦無所敗無所作者亦無所從來亦無所從去亦無所見亦無所在如是不可限不可計薩芸若不可計無有作佛者無有得佛者無有從色痛痒思想生死識中得佛者亦不從檀波羅蜜·尸波羅蜜·羼提波羅蜜惟逮波羅蜜·禪波羅蜜·般若波羅蜜得佛也
이에 욕계천의 모든 천자들과 범천의 모든 천자들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아주 깊어서 알기도 어렵고 깨닫기도 힘듭니다.”
005_0718_c_12L愛欲天子·梵天子白佛言般若波羅蜜甚深難曉難了難知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천자들이여, 이 반야바라밀은 아주 깊어서 알기도 어렵고 깨닫기도 힘들다. 이러한 까닭에 달살아갈은 이 깊은 경전을 설하지 않으려 하였던 것이고 아유삼불에 이르고자 하지 않았던 것이니, 아유삼불이란 원래 있지도 않고 이 경전은 마치 허공과 같아서 아주 깊고 똑같은 것이 없으며 다른 모든 대상과 마찬가지로 의지하여 오는 것도 없고 의지하여 가는 것도 없다.”
욕계천의 모든 천자들과 범천의 모든 천자들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세상의 많은 사람들 가운데 이 깊은 경전을 믿는 이들은 아주 적습니다. 세상 사람들은 한결같이 집착이 강하니 여래는 단지 이들을 가엾게 여겨서 이 경전을 그들에게 설하실 뿐입니다.”
005_0718_c_14L佛語諸天子深般若波羅蜜甚深難曉難了難知怛薩阿竭安隱甚深是經悉知阿惟三佛有作阿惟三佛亦無有阿惟三佛是如空甚深無有與等者如諸法無所從來無所從去愛欲天子·梵天子等白佛言諸世閒人希有信是深經世閒人所欲皆著愍念之故當爲說是深經耳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천자들이여, 옳고도 옳은 말이다. 세상의 많은 사람들 가운데 이 깊은 경전을 믿는 이들은 아주 적다.
세상 사람들은 한결같이 집착이 강하니 여래는 단지 이들을 가엾게 여겨서 이 경전을 설할 뿐이다.”
005_0718_c_22L佛言如是諸天子世閒人希有信是深經者所欲皆著憫念是世閒人故當爲說深經耳

14. 본무품(本無品)
005_0718_c_24L摩訶般若波羅蜜道行經本無品第十四
005_0719_a_02L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어떤 대상도 서로간에 집착함이 없으며, 허공처럼 아무런 분별이 없기 때문입니다.
부처님이시여, 이 경(經)은 의지하여 생겨나는 것이 없으니, 어떤 대상도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005_0719_a_02L須菩提白佛言諸法隨次無所著法無有想如空是經無所從生諸法索無所得
욕계천의 모든 천자들과 범천의 모든 천자들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수보리님의 모든 말씀은 공(空)의 지혜를 설하는 달살아갈의 가르침만을 따릅니다.”
005_0719_a_05L愛欲天子·梵天子白佛言弟子須菩提所說如是怛薩阿竭教但說空慧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천자들이여, 옳고도 옳은 말이다. 수보리의 말은 모두 달살아갈의 가르침을 따른다.”
005_0719_a_07L佛言如是諸天子隨怛薩阿竭教
천자들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무슨 까닭에 어떤 대상도 의지하여 생겨나는 것이 없다는 수보리의 말이 달살아갈의 가르침을 따른다고 합니까?”
005_0719_a_08L諸天子問佛何謂怛薩阿竭如法無所從生爲隨怛薩阿竭教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천자들이여, 어떤 대상도 의지하여 생겨나는 것이 없다는 수보리의 말은 달살아갈의 가르침을 따르니, 달살아갈의 이러한 가르침조차도 본래 없고 또한 의지하여 생겨나는 것도 없고 의지하여 돌아가는 것도 없다.
달살아갈이 본래 없으니 모든 대상도 본래 없고 모든 대상이 본래 없으니 달살아갈도 본래 없으며 본래 없다는 것에는 서로 차이가 없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는 달살아갈의 본래 없다는 가르침을 따르며 달살아갈도 본래 없다고 한다.
달살아갈은 본래 아무 곳에도 머무르지 않으며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는 달살아갈의 가르침을 따라 머무른다.
005_0719_a_10L佛言如是諸天子諸法無所從生爲隨怛薩阿竭教隨怛薩阿竭教是爲本無本無亦無所從來亦無所從怛薩阿竭本無諸法亦本無諸法亦本無怛薩阿竭亦本無無異本無如是須菩提隨本無是爲怛薩阿竭本無怛薩阿竭本無住如是須菩提住隨怛薩阿竭教
005_0719_b_02L달살아갈이 본래 없다는 것에는 아무런 차이도 없고 어떤 대상도 본래 없다는 것에 아무런 차이가 없다. 달살아갈은 본래 없으니 아무 데에도 걸림이 없고 어떤 대상도 본래 없으니 아무 데에도 걸림이 없다. 모든 대상은 본래 하나이고 같지도 않고 다르지도 않고 본래 없으며 지은이도 없다. 모든 것이 본래 없지만 또한 본래 없는 것도 아니다. 달살아갈은 이와 같이 본래 없기에 무너지지도 않고 흩어지지도 않는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는 달살아갈의 가르침을 따른다.
달살아갈은 본래 없으니 과거에도 없고 미래에도 없고 현재에도 없다. 모든 대상도 본래 없으니 과거에도 없고 미래에도 없고 현재에도 없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는 달살아갈의 가르침을 따른다고 한다.
달살아갈은 본래 없으니 과거에도 본래 없고 미래에도 본래 없고 달살아갈은 현재에도 본래 없으니 여기에는 아무런 차이도 없다. 이와 같이 서로 똑같아서 아무런 차이도 없는 것을 가리켜 참으로 본래 없다고 한다. 보살이 이와 같이 참으로 본래 없음을 얻으면 이를 일컬어 달살아갈이라고 한다.”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설하실 때 대지(大地)가 여섯 가지 모양으로 진동하였으니, 곧 수보리가 달살아갈의 가르침을 따른 까닭이고 수보리가 색과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받아들이지 않고 수다원ㆍ사다함ㆍ아나함ㆍ아라한ㆍ벽지불의 도(道)도 받아들이지 않고 달살아갈의 가르침을 따랐기 때문이었다.
005_0719_a_17L怛薩阿竭本無無本無無異也諸法是無異無異怛薩阿竭本無無所罣㝵諸法本無所罣㝵怛薩阿竭本無諸法本無㝵一本無等無異本無無有作者一切皆本無亦復無本無如是怛薩阿竭本無不壞亦不腐諸法不可得須菩隨諸法教怛薩阿竭本無諸法本無等無異於眞法中本無須菩提怛薩阿竭教怛薩阿竭本無無有過去·當來·今現在諸法本無過去·當來·今現在須菩提隨怛薩阿竭教怛薩阿竭本無過去本無當來本無今現怛薩阿竭本無等無異是等無異爲眞本無菩薩得是眞本無如來名地爲六反震動怛薩阿竭說本無菩提隨怛薩阿竭教須菩提不受色·痛痒·思想·生死識不受須陁洹·斯陁含·阿那含·阿羅漢·辟支佛如是須菩爲隨怛薩阿竭教
사리불이 말했다.
“천중천이시여, 본래 없다는 것은 아주 깊습니다.”
005_0719_b_13L舍利弗言是本無甚深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리불이여, 본래 없다는 것은 깊고도 깊다.”
005_0719_b_14L佛言是本無甚深甚
이와 같이 본래 없다는 설법을 듣고 2백 명의 비구승들이 그 자리에서 모두 아라한이 되었고, 5백 명의 비구니들은 모두 수다원의 도를 얻었고, 5백 명의 천인들은 모두 나고 죽음이 없는 평안한 진리를 얻었고, 처음으로 불법을 배우는 60명의 보살들은 모두 아라한의 도를 얻었다.
005_0719_b_15L當說本無時二百比丘僧皆得阿羅漢五百比丘尼皆得須陁洹道百諸天人皆逮無所從生法樂於中立六十新學菩薩皆得阿羅漢道
005_0719_c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리불이여, 60명의 보살들은 과거세에 각기 5백 분의 부처님을 공양하고 보시와 지계와 인욕과 정진과 선정을 닦았으나 정작 공(空)의 도리를 알지 못하고 반야바라밀의 구화구사라를 얻지 못한 까닭에 아라한의 도만을 얻었을 뿐이다.
사리불이여, 보살이 비록 도(道)를 얻고 공(空)을 얻고 대상을 초월함을 얻고 바람이 없음을 얻었더라도, 정작 반야바라밀의 구화구사라를 얻지 못하면 중도에서 문득 아라한의 도에 빠져 다시는 돌아오지 못한다.
비유하자면 이것은 마치 몸의 크기가 8천 리(里)에서 2만 리나 되고 날개가 아직 돋지 않은 커다란 새가 도리천 위에서 몸을 던져 염부리의 지상에 내려오고자 하는 것과 같으니 사리불이여, 그대 생각엔 이 새가 중간에서 후회하는 마음이 들어 도리천으로 다시 돌아가고 싶다고 해서 다시 돌아갈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005_0719_b_18L是六十菩薩過去世時各各供養五百佛布施求色持戒·忍辱·精進求禪不知空離空不得般若波羅蜜漚和拘舍羅今皆取阿羅漢道菩薩有道得空得無色得無願是菩薩不得般若波羅蜜漚和拘舍羅便中道得阿羅漢道不復還譬若有大鳥身長八千里若二萬里復無有翅從忉利天上自投來下至閻浮利地未至是鳥悔欲中道還上忉利天寧能復還不耶
사리불이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다시 돌아갈 수 없습니다.”
005_0719_c_06L舍利弗言不能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리불이여, 다시 이 새가 염부리의 지상에 닿을 때 아무런 고통도 없기를 바란다면 과연 그러한 일이 있을 수 있겠느냐?”
005_0719_c_07L佛言是鳥來下至閻浮利地上使其身不痛寧能使不痛不耶
사리불이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그러한 일은 있을 수 없습니다. 이 새에게 고통이 없다는 것은 있을 수 없으며 심지어는 고통이 심해서 죽을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몸이 너무 큰데다가 날개마저 없기 때문입니다.”
005_0719_c_08L舍利弗言不能也是鳥來其身不得不痛若當悶極若死何以故其身長大無有翅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리불이여, 보살도 이와 마찬가지이니 설령 항하의 모래알처럼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세월 동안 보시와 지계와 인욕과 정진과 선정을 닦더라도 정작 공(空)의 도리에 들어가지 못하고 반야바라밀의 구화구사라를 얻지 못한 채 불도를 구하고자 하고 부처가 되고자 한다면 중도에 문득 아라한의 도와 벽지불의 도에 빠지고 만다.
사리불이여, 보살이 비록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부처님이 계신 곳에서 계율(戒律)과 정진(精進)과 삼매(三昧)와 지혜(智慧)의 공덕을 닦고 부처님의 살운야를 듣더라도 정작 마음속으로 색을 좇으면, 여래의 계율과 정진과 삼매의 지혜 공덕을 얻을 수도 없고 부처님의 살운야도 깨달을 수 없으며, 단지 모든 대상이 공하다는 말만을 알아듣고 문득 이로부터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얻고자 해도 끝내 얻지 못하고, 중도에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에 빠지고 만다. 왜냐하면 이 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의 구화구사라를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005_0719_c_11L佛言正使是菩薩如恒中沙劫布施求色持戒·忍辱·精進求色亦不入空不得深般若波羅蜜漚和拘舍羅起心欲索佛道一切欲作佛中道得阿羅漢·辟支佛道是菩薩於過去·當來·今現在佛所持戒·精進·三昧智慧聞佛薩芸若皆念求色是爲不持怛薩阿竭戒·精進·三昧智慧曉知薩芸若但想如聞聲耳便欲從是作阿耨多羅三耶三菩會不能得便中道得阿羅漢辟支佛道何以故不得深般若波羅蜜漚和拘舍羅故
005_0720_a_02L사리불이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부처님의 말씀대로 보살은 반야바라밀의 구화구사라를 여의는 까닭에 문득 아라한과 벽지불의 도에 빠지고 맙니다.
부처님이시여, 만약 어떤 보살이 아뇩다라삼야삼보와 아유삼불을 얻고자 한다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의 구화구사라를 잘 배워야만 합니다.”
005_0719_c_22L舍利弗言如佛所說念中慧菩薩離般若波羅蜜漚和拘舍羅故便得阿羅漢·辟支佛道若有菩薩莊嚴事欲得阿耨多羅三耶三菩阿惟三佛者黠學般若波羅蜜漚和拘舍羅
욕망뿐인 욕계천의 모든 천자들과 범천의 모든 천자들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알기 어렵고 깨닫기 힘들며 아뇩다라삼야삼보는 얻기 힘듭니다.”
005_0720_a_04L愛欲天子·梵天子白佛言般若波羅蜜難難了難知欲求阿耨多羅三耶三菩難得也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아주 깊어서 알기도 어렵고 깨닫기도 힘듭니다. 하지만 제가 생각하기로는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얻기란 아주 쉽습니다. 왜냐하면 어떤 대상에도 있는 것이 없으니 어디에서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얻을 수 있겠습니까? 모든 대상은 공(空)해서 얻을 수 없으니 아유삼불을 얻고자 해도 그 대상을 얻을 수 없고, 아뇩다라삼야삼보 역시 그 대상을 붙잡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까닭에 단지 모든 대상이 공(空)한 것만 알면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005_0720_a_07L須菩提白佛言般若波羅蜜甚深難曉難了難知如我念是中慧求阿耨多羅三耶三菩易得耳以故無所有當何從得阿耨多羅三耶三菩諸法皆空索之了不可得作阿惟三佛索法無所得無有作惟三佛亦無有得阿惟三佛者若有聞諸法空求阿耨多羅三耶三菩易得耳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말했다.
“수보리여, 그대의 말씀대로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얻기 쉽다고 한다면 항하의 모래알처럼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보살들이 결코 이로부터 물러서지 않았을 것이니, 이러한 까닭에 아뇩다라삼야삼보는 얻기 힘들다는 것을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005_0720_a_15L舍利弗謂須菩提如須菩提所說者阿耨多羅三耶三菩難得也以故空不念我當作阿耨多羅三耶三菩是法空設易得者何以故如恒沙菩薩悉皆逮
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그렇다면 그대 생각에 색은 이로부터 물러서겠습니까, 물러서지 않겠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물러서지 않습니다.”
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그렇다면 그대 생각에 색을 여읜 것은 이로부터 물러서겠습니까, 물러서지 않겠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물러서지 않습니다.”
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그렇다면 그대 생각엔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은 이로부터 물러서겠습니까, 물러서지 않겠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물러서지 않습니다.”
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그렇다면 그대 생각엔 색이 본래 없는 것은 이로부터 물러서겠습니까, 물러서지 않겠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물러서지 않습니다.”
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그렇다면 그대 생각엔 색이 본래 없는 다른 대상은 이로부터 물러서겠습니까, 물러서지 않겠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물러서지 않습니다.”
005_0720_a_19L須菩提言云何舍利用色逮乎不也離色法逮乎不也痛痒·思想·生死識逮乎不也色本無寧逮不不也色本無有法逮不不也
005_0720_b_03L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그렇다면 그대 생각엔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본래 여읜 것은 이로부터 물러서겠습니까, 물러서지 않겠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물러서지 않습니다.”
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그렇다면 그대 생각엔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이 본래 없는 다른 대상은 이로부터 물러서겠습니까, 물러서지 않겠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물러서지 않습니다.”
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그렇다면 그대 생각엔 본래 없는 것은 이로부터 물러서도록 하겠습니까, 물러서도록 하지 않겠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물러서도록 하지 않습니다.”
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그렇다면 그대 생각엔 본래 없는 것을 여읜 다른 대상은 이로부터 물러서도록 하겠습니까, 물러서도록 하지 않겠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물러서도록 하지 않습니다.
수보리가 말했다.
“이 법은 붙잡을 수 없으니 다시 어떤 법이 이로부터 물러서도록 하겠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그대의 말씀대로라면 어떤 보살도 이로부터 물러서는 일이 없으니 그렇다면 아라한과 벽지불과 부처님의 도를 구하는 보살은 각기 다르지 않으니 수보리의 말씀대로 오직 하나의 도(道)만이 있을 뿐입니다.”
005_0720_a_22L痛痒·思想·生死識本無寧逮不不也離識本無有法逮不不也是本無使逮不不也離本無有法使逮不不也設是法不可得何所法使逮者
이에 분만타니불(分漫陀尼弗:부루나)이 사리불에게 말했다.
“그렇다면 오직 하나의 가르침만이 있는지를 수보리님에게 물어야 할 것입니다.”
005_0720_b_02L舍利弗言如須菩提所說法無有菩薩逮佛所說三有德之人求阿羅漢·辟支佛佛是三不計三如須菩提所說爲一道耳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말했다.
“수보리여, 오직 하나의 도만이 있습니까?”
005_0720_b_06L分漫陁尼弗謂舍利弗菩提說一道當問
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본래 없는 것 안에서 과연 서로 다른 세 가지 가르침을 볼 수 있습니까, 없습니까?”
005_0720_b_07L舍利弗謂須菩提須菩提所說一道我用是故問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본래 없는 것에서 이들 세 가지를 붙잡을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005_0720_b_08L須菩提言云何於本無中見三道不
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그렇다면 본래 없는 것에서 한 가지를 붙잡을 수는 있을까요?”
사리불이 말했다.
“수보리여, 붙잡을 수 없습니다.”
수보리가 말했다.
“사리불이여, 이와 같이 실제로 이것을 찾더라도 붙잡을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그대는 왜 굳이 성문이니 벽지불이니 부처니 하고 분별합니까? 이 셋은 본래 없는 것이니 여기에는 서로 아무런 차이도 없습니다. 만약에 보살이 본래 없다는 말을 듣고 마음에 게으름이 없으면 이 보살은 반드시 불법을 얻을 것입니다.”
005_0720_b_09L舍利弗言不見也何以故從本無中不可得三事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그대의 말은 모두 부처님의 위신력에 의한 것이니 만약에 보살이 이 셋은 본래 없으며 서로 같아서 아무런 차이도 없다는 말을 듣고 마음에 게으름이 없으면 반드시 불법을 얻을 것이다.”
005_0720_b_11L須菩提言本無一事得乎云何於本無中可得一道不不也設是諦不可得者故復說阿羅漢·辟支佛佛爲如是說道本無無有異菩薩聞本無心不懈怠是菩薩會當得佛也
이에 사리불이 말했다.
“부처님이시여, 어떻게 해야 보살이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성취할 수 있습니까?”
005_0720_b_16L佛言如須菩提所說皆持佛威神使若說是耳菩薩聞本無等異心不懈怠會當得佛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어떻게 해야 보살의 도를 성취할 수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모든 사람들에게 말할 때는 모두를 평등하게 보아야 하고 마음을 선하게 하여 해를 입히려는 생각을 갖지 말아야 하며, 항상 자비로운 마음으로 함께 이야기하고 성내지 말 것이며 마음 속으로 모든 중생을 어여삐 여겨야 한다.
보살은 반드시 이렇게 머물러야 한다.”
005_0720_b_18L舍利弗言等爲菩薩成阿耨多羅三耶三菩者
005_0720_b_19L須菩提白佛言何等爲成就於菩薩佛言一切人皆等視中與共語言善心不得有害意向常當慈心與語不得瞋恚皆當好心中心菩薩當作是住
道行般若經卷第五
己亥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
  1. 1)보살의 10주(住) 가운데 제2주로서 치지주(治地住) 보살을 말한다. 『보살십주행도품(菩薩十住行道品)』에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