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07_0559_c_01L대방등대집경 제59권
007_0559_c_01L大方等大集經卷第五十九


고제 천축삼장 나련제야사 한역
이진영 번역
007_0559_c_02L高齊天竺三藏那連提耶舍譯


17. 시방보살품(十方菩薩品) ①
007_0559_c_03L十方菩薩品第十三

부처님께서 왕사성[王舍城]의 법 청정한 곳[法淸淨處]에 계실 때, 자연스럽게 사자좌(師子座)에 장막을 마주 달아 두었다.
007_0559_c_04L佛在王舍國法淸淨處時自然師子座交絡帳
때 마침 부처님께서는 앉아서 서른두 가지 모습을 나타내셨는데, 그 광영(光影)이 시방에 널리 나타나자 여러 보살들이 다 와서 뵈옵고는 부처님께 여쭈었다.
“보살은 무슨 인연으로 어리석은 이가 있고, 영리한 이가 있고, 슬기로운 이가 있고, 날아다니는 이가 있고, 능히 앉아서 삼매의 선(禪)을 행하는 이가 있고, 철저히 볼 수 있는 이가 있고, 날아다니지 못하는 이가 있고, 앉아서 선을 행하지 못하거나 삼매를 행하여 선정의 뜻을 얻어도 오래 견디지 못하는 이가 있고, 지혜에 두터움과 엷음이 있는 이가 있고, 똑같은 보살의 수행이면서 무슨 인연으로 두터움과 엷음이 있고, 똑같은 마음․뜻․식별을 지니고 똑같은 눈․귀․코․입․몸을 지니면서 무슨 인연으로 행(行)이 다르게 되나이까?”
007_0559_c_06L佛時坐現三十二相光影表現十方諸菩薩皆來謁問佛菩薩何因緣有癡者有黠者有慧者有能飛者有能坐行三昧禪者有能徹視有不能飛者有不能坐行禪行三昧得定意不能久者智慧有厚薄者同菩薩行何因緣有薄厚同有心意同眼耳鼻口身何因緣得行異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시방의 과거․현재․미래 부처님이 말씀하시기를, 사람은 마음․뜻․식별과 눈․귀․코․입․몸을 계교(計交)할 수 있다고 하셨고, 또 이것이 다 같은 법이 된다고 말씀하셨느니라.”
007_0559_c_13L善哉善哉十方過去佛現在佛當來佛皆說人能計心意識眼耳鼻口身皆說爲同法
부처님께서 또 말씀하셨다.
“사람은 누구든지 다 여섯 가지 정(情)이 일체가 됨을 계교하여 시방 모든 부처님의 지혜를 얻을 수 있느니라.”
부처님께서 여러 보살들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은 그 정도의 두터움과 엷음이 있느니라.”
007_0559_c_16L佛言人能挍計六情爲一切得十方佛智慧佛告諸菩薩言諸菩薩有薄厚
보살들은 부처님께 물었다.
“두텁고 엷음이란 어떤 것이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의 두터움이란 이른바 보살이 도를 행할 때 그 도에 따라 행이 깊어지는 것이며, 보살의 엷음이란 보살이 도를 행할 때 그 도를 따라 행하지 못하거나 행함에 있어서도 도에 따라 많고 적음이 있음을 말함이니, 이것을 보살의 엷음이라 하느니라.”
007_0559_c_18L諸菩薩問佛等爲薄厚佛言菩薩厚者謂菩薩行道隨道行深菩薩薄者行道不能悉隨行謂行有多少隨道少是爲菩薩薄
007_0560_a_01L여러 보살들이 다시 부처님께 물었다.
“어떤 것을 보살이 항상 도를 따라 행을 잃지 않음이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른바 보살이 항상 마음․뜻․식별을 지켜 흔들리지 않게 함으로서 멸진(滅盡)으로 돌아가도의 뿌리[道栽]를 심음이며, 이른바 보살이 눈을 지켜 색에 집착하지 않게 할 수 있어서 멸진으로 돌아가 도의 뿌리를 심음이요, 귀를 지켜 소리에 집착하지 않게 할 수 있어서 멸진으로 돌아가 도의 뿌리를 심음이요, 코를 지켜 냄새에 집착하지 않게 할 수 있어서 멸진으로 돌아가 도의 뿌리를 심음이요, 입을 지켜 맛에 집착하지 않게 할 수 있어서 멸진으로 돌아가 도의 뿌리를 심음이요, 몸을 지켜 거칠고 세밀한 것에 집착하지 않게 할 수 있어서 멸진으로 돌아가 도의 뿌리를 심음이니, 보살이 이와 같이 여섯 가지 정(情)을 잘 지켜 좋고 나쁨에 흔들리지 않을 수 있어서 항상 멸진을 지킨다면, 이것을 두터움이 도에 따라 깊어짐이라 하느니라.”
007_0559_c_21L諸菩薩問佛何等爲菩薩常隨道不失行謂菩薩常守心意識令不動歸滅盡種道栽謂菩薩能守眼令色不著滅盡種道栽謂菩薩能守耳令聲不歸滅盡種道栽謂菩薩能守鼻令香不著歸滅盡種道栽謂菩薩能守口令味不著歸滅盡種道栽謂菩薩守身令細滑不著歸滅盡種道栽薩如是能守六情得好惡不動常守滅盡是爲厚隨道深
보살들은 다시 부처님께 물었다.
“보살의 행이 엷음이란 어떤 것이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른바 보살이 행을 잃어버림을 말함이니, 어떤 때는 행을 얻기도 하고 어떤 때는 행을 얻지 못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보살이 마음․뜻․식별을 지켜 도를 따를 수 있으며, 어떤 때는 눈이 지키지 못하여 문득 행을 잃어서 도를 따르지 못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눈은 지키되 귀를 능히 지키지 못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귀는 능히 지키되 코를 능히 지키지 못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코는 지키되 입을 능히 지키지 못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입은 지키되 능히 몸을 지키지 못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몸은 지키되 능히 좌선(坐禪)하지 못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좌선은 하되 능히 교계(校計)하지 못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능히 교계는 하되 능히 행하지 못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능히 행은 하되 능히 분별하지 못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능히 분별은 하되 미세하고 미묘한 뜻은 능히 알지 못하기도 하나니, 이 때문에 보살이 도를 따르면서 행을 잃기도 하고 얻기도 하는 것이며, 이 때문에 보살이 도를 행하면서 엷음과 두터움의 불평등이 있느니라.”
007_0560_a_09L菩薩復問佛等爲菩薩行薄佛言謂菩薩失行時得行有時不得行有時菩薩能守心意識隨道有時眼不能守便失行不隨道有時守眼不能守耳有時能守耳不能守鼻有時守鼻不能守口有時能守口不能守身有時能守身不能坐禪有時能坐禪不能挍計時能挍計不能行有時能行不能分有時能分別不能知細軟微意是故菩薩隨道有失行有得行用是菩薩行道有薄厚不等
보살들은 다시 부처님께 물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행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요약하여 말하건대, 보살 스스로가 교계(校計)를 행해야 하고, 마땅히 스스로 교계 닦는 것과 교계 닦지 않는 것을 알아야 하나니, 교계를 닦는 보살은 영리하게 되고 교계할 줄 모르는 보살은 어리석게 되느니라.”
007_0560_a_20L菩薩問佛如是當作何等行佛言要菩薩當自行挍計當自知墮挍計不墮挍計挍計者菩薩爲黠不知挍計爲癡
007_0560_b_01L보살들은 또 물었다.
“어떤 것이 마땅히 영리함을 교계하는 것이고, 마땅히 어리석음을 교계하는 것입니까?”“이미 어리석음을 교계할 줄 안다면, 문득 영리함을 교계할 수 있느니라.”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사람에겐 백여덟 가지 애착이 있어 어리석게 되나니, 그것을 교계하여 영리하게 되고자 하면 쉰 가지 교계하는 것이 있고, 이 쉰 가지의 교계 가운데 조그마한 죄(罪)까지 알아야만 곧 영리하게 되느니라.”
007_0560_a_23L當挍計黠當挍計癡者云何佛言已挍計癡便能挍計黠佛言人有百八愛令癡欲挍計得黠者有五十挍知五十挍計中細微罪便得黠
여러 보살은 부처님께 물었다.
“어떤 것을 쉰 가지의 교계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쉰 가지 교계라 함은 이른바 마음으로부터 본래 일어남이니라. 이것을 알고자 한다면, 첫째는 백여덟 가지 어리석음을 교계하는 것이고, 둘째는 백여덟 가지의 의심을 교계하는 것이고, 셋째는 백여덟 가지 뒤바뀜을 교계하는 것이고, 넷째는 백여덟 가지 욕심을 교계하는 것이고, 다섯째는 백여덟 가지의 타락됨을 교계하는 것이고, 여섯째는 백여덟 가지 애착을 교계하는 것이고, 일곱째는 백여덟 가지 뿌리[栽]를 교계하는 것이고, 여덟째는 백여덟 가지 식(識)을 교계하는 것이고, 아홉째는 백여덟 가지 인연을 교계하는 것이고, 열째는 백여덟 가지 종성을 교계하는 것이니, 이것을 열 가지 교계라 하느니라.”
007_0560_b_04L菩薩問佛何等爲五十挍計佛言十挍計者謂從心本起欲知者第一當挍計百八癡第二當挍計百八疑第三當挍計百八顚倒第四當挍計百八欲第五當挍計百八墮第六當挍計百八愛第七當挍計百八栽第八當挍計百八識第九當挍計百八因緣著第十當挍計百八種是爲十挍計
부처님께서 또 말씀하셨다.
“보살은 다시 열 가지 교계할 것이 있으니, 첫째는 백여덟 가지의 관생(關生)을 교계하는 것이고, 둘째는 백여덟 가지 바른 행을 교계하는 것이고, 셋째는 백여덟 가지 생사를 끊음을 교계하는 것이고, 넷째는 백여덟 가지 멸하면서 멸하지 않음을 교계하는 것이고, 다섯째는 백여덟 가지 죄가 허공에 들어가 보이지 않음을 교계하는 것이고, 여섯째는 백여덟 가지 버려서 다하지 못함을 교계하는 것이고, 일곱째는 백여덟 가지 깨끗함을 버리지 않고 깨끗함에 들어감을 교계하는 것이고, 여덟째는 백여덟 가지 계율에 정진함을 교계하는 것이고, 아홉째는 백여덟 가지 정진하여 도에 들어감을 교계하는 것이고, 열째는 백여덟 가지 인욕의 계율을 교계하는 것이니라. 이것을 보살의 열 가지 교계라 하느니라.
007_0560_b_13L佛言菩薩復有十挍計第一當挍計百八閞生第二當挍計百八止行三當挍計百八斷生死第四當挍計百八滅不滅第五當挍計百八罪入空不見第六當挍計百八不捨盡七當挍計百八不捨淨入淨第八當挍計百八精還戒第九當挍計百八進入道第十當挍計百八忍戒是爲菩薩十挍計
007_0560_c_01L보살은 또 열 가지 교계할 것이 있으니, 첫째는 백여덟 가지 인욕의 길을 교계하는 것이고, 둘째는 백여덟 가지 도에 합하는 염원을 교계하는 것이고, 셋째는백여덟 가지 근본 신심으로 도에 들어감을 교계하는 것이고, 넷째는 백여덟 가지 어리석음을 벗어나 지혜에 들어감을 교계하는 것이고, 다섯째는 백여덟 가지 기쁨의 멸함을 교계하는 것이고, 여섯째는 백여덟 가지 아직 부처가 되지 못한 슬픔을 교계하는 것이고, 일곱째는 백여덟 가지 아직 부처가 되지 못한 근심을 교계하는 것이고, 여덟째는 백여덟 가지 아직 부처가 되지 못한 괴로움을 교계하는 것이고, 아홉째는 백여덟 가지 아직 부처님 경전의 이치를 얻지 못함과 부처님 열반의 법을 얻지 못함을 교계하는 것이고, 열째는 백여덟 가지 죄를 벗어나는 요체와 아직 열반에 드는 요체를 얻지 못함을 교계하는 것이니, 이것을 보살의 열 가지 교계라 하느니라.”
007_0560_b_22L菩薩復有十挍計第一當挍計百八辱道第二當挍計百八合道願第三當挍計百八本信入道第四當挍計百八出癡入慧第五當挍計百八歡喜滅第六當挍計百八未得佛悲七當挍計百八未得佛愁第八當挍計百八未得佛惱第九當挍計百八未得佛經黠未得佛泥洹要第十當挍計百八出罪要未得入泥洹要爲菩薩十挍計
부처님께서 또 말씀하셨다.
“보살은 다시 열 가지 교계할 것이 있으니, 첫째는 백여덟 가지 지혜에 들어 죄를 벗어나는 법 구하기를 교계하는 것이고, 둘째는 백여덟 가지 공한 법도(法度)에 들어가 공에 벗어나는 법 구하기를 교계하는 것이며, 셋째는 백여덟 가지 죄와 법이 일어날 때 공하므로 사라질 때도 공으로 돌아감을 마땅히 안다는 걸 교계하는 것이며, 넷째는 백여덟 가지 공을 지니는 법과 이해가 다하는 법[持空法解盡法]을 교계하는 것이고, 다섯째는 백여덟 가지 다한 법은 다시 생기지 않음을 교계하는 것이고, 여섯째는 백여덟 가지 열반이란 길이 살아서 없어지지 않는다는 걸 교계하는 것이고, 일곱째는 백여덟 가지 생각에 상응함을 교계하는 것이고, 여덟째는 백여덟 가지 모습에 대한 생각을 버림을 교계하는 것이고, 아홉째는 백여덟 가지 잡된 모습에 대한 생각은 잡된 모습임을 알아야 함을 교계하는 것이고, 열째는 백여덟 가지 느낌[受]의 모습이 길이 사라지지 않는 것임을 교계하는 것이니, 이것을 보살의 열 가지 교계라 하느니라.”
007_0560_c_09L佛言菩薩復有十挍計第一當挍計百八求入慧出罪法第二當挍計百八求入空法度出空第三當挍計百八罪法起空時當知滅時歸空第四當挍計百八持空法解盡法第五當挍計百八盡法不復生第六當挍計百八泥洹長生不滅第七當挍計百八應相念第八當挍計百八捨相念第九當挍計百八雜相念當知雜相第十當挍計百八受相長生不滅爲菩薩十挍計
007_0561_a_01L부처님께서 또 말씀하셨다.
“보살은 다시 열 가지 교계할 것이 있으니, 첫째는 백여덟 가지 시방 중생의 나고 죽음과 만물의 본말(本末)․성패(成敗)를 교계하는 것이고, 둘째는 백여덟 가지 시방의 나고 죽음과 만물의 성패를 증명할 것을 교계하는 것이고, 셋째는 백여덟 가지 시방 사람의 모든 어리석음을 다 교계하는 것이고, 넷째는 백여덟 가지 시방을 이끄는 어리석음을 다 작증(作證)하는 것을 교계하는 것이고, 다섯째는 백여덟 가지 시방의 아라한(阿羅漢)이 열반에 가도 작증할 바가 없음을 교계하는 것이니라.
007_0560_c_20L佛言菩薩復有十挍計第一當挍計百八十方生死萬物本末成敗第二當挍計百八十方成敗作證第三當挍計百八十方人所有皆癡第四當挍計百八牽十方癡作證第五當挍計百八十方阿羅漢泥洹去無所有作證
여섯째는 백여덟 가지 시방을 이끄는 벽지불(辟支佛)이 열반에 갔음을 작증함을 교계하는 것이고, 일곱째는 백여덟 가지 시방을 이끄는 과거의 어떤 스승님이 열반에 갔음을 마땅히 작증해야 함을 교계하는 것이고, 여덟째는 백여덟 가지 시방의 지금 현재의 부처님도 열반에 갈 수 있고, 나도 이제 석가모니부처님처럼 천지의 자재로운 변화를 주재해서 마땅히 다시 열반에 갈 수 있거나 나의 쓰임을 이끄는 걸 작증함을 교계하는 것이고, 아홉째는 백여덟 가지 미래의 시방 부처님도 마땅히 열반에 가고 마땅히 이끌어 작증함을 교계하는 것이고, 열째는 백여덟 가지 욕심을 물리치고 힘을 다하여 부처님 되기를 구함이 마치 나도 열반에 가야함과 같음을 계교하는 것이니, 이것을 합하여 보살의 쉰 가지 교계라 하느니라.”
여러 보살들은 다 머리를 조아리면서 가르침을 받았다.
007_0561_a_04L第六當挍計百八牽十方辟支佛泥洹去作證第七當挍計百八牽十方過去若師泥洹去當牽作證八當挍計百八十方今現在佛亦當泥洹去今我作釋迦文佛所主天地自在變化要當復泥洹去若當牽我用作證第九當挍計百八十方當來佛亦當泥洹去當牽作證第十當挍計百八盡力卻貪求佛如我亦當般泥洹去是爲合菩薩五十挍計諸菩薩皆稽首受教
그리고 보살들은 다시 부처님께 물었다.
“어떤 것을 백여덟 가지 어리석음이 마음으로부터 본래 일어난 것이라고 교계해야 합니까?”
007_0561_a_14L諸菩薩問佛言當挍計百八癡從心本起者云何
부처님께서 보살들에게 말씀하셨다.
“만약에 어떤 보살이 마음에 염(念)하는 것이 있는 데도 마음이 나고 멸함을 스스로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陰)이 있고 습기[習]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 뜻에 전입(轉入)하여 뜻에 염(念)하는 바가 있는데도 뜻의 나고 멸함을 스스로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스스로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 식(識)에 전입하여 다시 식(識)에 식(識)하는 바가 있는데도 식의 나고 멸함을 스스로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니라.
007_0561_a_16L佛告諸菩薩言若有菩薩心有所念不自知心生心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癡轉入意意有所念不自知意生意滅中有五陰有習不自知爲癡轉入識識有所識不自知識生識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癡
007_0561_b_01L눈에 전입하여 눈이 좋은 색을 보는데도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 또 눈으로 본 색인데도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 눈으로 본 바의 나쁜 색인데도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니라.
007_0561_a_22L轉入眼眼見好色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癡眼所見中色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癡眼所見惡色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中有習不知爲癡
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가 좋은 소리를 듣는데도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 또 귀가 듣는 바의 소리가 스스로 집착을 알지도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 또 귀로 들은 바의 나쁜 소리가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니라.
007_0561_b_04L轉入耳耳聞好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有習不知爲癡耳所聞中聲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癡耳所聞惡聲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癡
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로 좋은 냄새를 맡는데도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 또 코로 맡은 냄새가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 또 코로 맡은 나쁜 냄새가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니라.
007_0561_b_09L轉入鼻所聞好香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癡鼻所聞中香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癡鼻所聞惡臭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習知爲癡
다시 입에 전입하여 입으로 아름다운 맛과 좋은 말을 하는데도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 또 입으로 얻은 맛과 언어가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 또 입으로 얻은 나쁜 맛과 나쁜 말이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니라.
007_0561_b_15L轉入口口所得美味好語言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不知爲癡口所得中味中語言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癡口所得惡味惡語言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習知爲癡
007_0561_c_01L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이 정밀하고 부드럽고 좋은 몸을 얻는데도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 또 몸이 얻은 미세함과 부드러움이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며,또 몸이 얻은 나쁘고 견고하고 고통스럽고 좋지 못한 몸이 스스로 집착을 알지 못하고 스스로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다면, 알지 못하는 그것이 어리석음이 되느니라. 그러므로 보살이 도를 행할 때는 반드시 수식(數息)하면서 이와 같이 교계해야 하느니라.”
보살들은 곧 머리를 조아리고 받들어 행하였다.
007_0561_b_21L轉入身身所得好細軟可身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不知爲癡身所得中細軟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癡身所得惡堅苦痛不可身不自知著不自知滅中有五陰中有習知爲癡菩薩行道要當數息挍計如菩薩卽稽首受行
여러 보살들은 또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비록 저희들에게 어리석음을 말씀하여 주셨지만, 저희들은 아직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설령 저희들이 백여덟 가지의 어리석음을 안다 할지라도 그 집착을 알고 멸함을 아는 것이 응당 어리석음이 되고 영리함이 되어야 합니다.”
부처님께서 보살들에게 대답하셨다.
“비록 집착을 알고 멸함을 알지라도 그것만으로는 여전히 어리석음을 아직 이해하지 못한 것이니라.”
007_0561_c_05L諸菩薩言佛雖爲我說癡我未解菩薩問佛言設我知百八癡著知滅當爲癡爲黠佛報諸菩薩言雖知著知滅續尚癡未解
보살들은 또 부처님께 물었다.
“저희들이 아직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수식(數息)할 때의 어리석음을 듣지 못하였습니다. 이제 부처님 말씀을 듣고 나서 알기는 하였으나 과연 무엇 때문에 어리석음이라 합니까?”
부처님께서 보살들에게 대답하셨다.
“마치 처음 배우는 보살은 날아다니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라. 다만 시방 부처님을 귀로 듣고서 가고자 염원하지만 날아다니지 못한다면, 시방 부처님을 볼 수 있겠는가?”
007_0561_c_09L諸菩薩復問佛我未聞佛說數息時癡我聞佛說已何以故爲癡佛告諸菩薩譬喩如新學菩薩未能飛但耳聞十方佛欲願往要未能飛如是爲見十方佛未
“그러하옵니다. 다만 가기를 원할 뿐이요 시방 부처님을 볼 수는 없겠습니다.”
007_0561_c_13L諸菩薩報言如是爲但有願要爲不見十方佛
“너희들이 이제 내가 말한 백여덟 가지 어리석음의 집착과 멸함을 들었지만, 마치 처음 배우는 보살이 시방 부처님의 국토에 가기를 원하여도 날아 갈 수 없는 것과 같으니라.”
007_0561_c_15L佛告諸菩薩言若曹今雖聞我說百八癡著滅譬如新學菩薩但願欲到十方佛國不能飛往
부처님께서 도로 여러 보살들에게 물으셨다.
“처음 배우는 보살이 시방 부처님 국토에 가기를 원하여도 날아가지 못하는 것은 무엇 때문이겠는가.”
보살들이 대답하였다.
“어리석음을 파괴하지 못하고, 또 그 죄업을 없애지 못하였기 때문에 시방 부처님 국토에 날아갈 수 없습니다.”
007_0561_c_17L佛復問諸菩薩言新學菩薩何以故願到十方佛國不能飛往諸菩薩報佛言不能壞癡未滅罪故未能飛行至十方佛國
부처님께서 또 말씀하셨다.
“마치 여러 보살이 다만 집착을 설하고 멸함을 설할 수는 있어도 실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리석음이라 하는 것과 같으니라.”
“어떻게 하여야 영리할 수 있겠습니까?”
“집착으로 어리석음이 된 것을 마땅히 없애야 하리니, 집착하지 않음으로써 어리석음을 없앨 수 있지만, 그러나 아직 영리함이 되지는 못하리라.”
007_0561_c_21L佛言譬喩諸菩薩但能說著說滅但說不行名爲癡諸菩薩問佛何從當得黠佛告諸菩薩言所著爲癡要當滅不著乃爲不癡要未爲黠
007_0562_a_01L“무엇 때문에 영리하게 되지 못합니까?”
“다시 백여덟 가지의 의심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니라.”
007_0562_a_01L諸菩薩問佛言何以故復未爲黠告諸菩薩言復有百八疑不解故
“어떤 것을 백여덟 가지의 의심이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이 마음의 나고 멸함을 스스로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며, 뜻의 나고 멸함을 스스로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며, 식(識)의 나고 멸함을 스스로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2_a_03L菩薩問佛言何等爲百八疑佛言薩不自知心生心滅中有五陰中有不知爲疑不自知意生意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疑不自知識生識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疑
다시 눈에 전입하여 눈으로 본 좋은 색이 나고 멸함은 스스로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고, 또 눈으로 본 색이 나고 멸함을 스스로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고, 또 눈으로 본 나쁜 색이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2_a_08L入眼眼所見好色不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疑眼所見中色不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疑眼所見惡色不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疑
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로 좋은 소리를 들어도 나고 멸함을 스스로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고 , 또 귀가 듣는 바의 소리가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고, 또 귀로 듣는 나쁜 소리가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2_a_13L轉入耳耳所聞好聲不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不知爲疑耳所聞中聲不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疑耳所聞惡聲不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不知爲疑
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로 좋은 냄새를 맡는데도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느니라.또 코가 맡는 바의 냄새가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고, 또 코로 맡는 나쁜 냄새가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2_a_18L轉入鼻鼻所聞好香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鼻所聞中香不自知生滅中有五中有習不知爲疑鼻所聞惡臭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習不自知爲疑
007_0562_b_01L다시 입에 전입하여 입으로 맛난 음식을 먹고 좋은 말을 하는데도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느니라.또 입으로 얻은 맛과 말이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며, 입으로 얻은 나쁜 맛과 나쁜 말이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2_a_23L轉入口口所得美味好語言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口所得中味中語言不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疑口所得惡味惡語言不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疑
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이 얻은 바의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운 몸이라도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느니라.또 몸이 얻은 정밀함과 부드러움이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며, 또 몸이 얻은 추악하고 딱딱하고 고통스러운 좋지 못한 몸이라도 스스로 나고 멸함을 알지 못한 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알지 못하는 그것을 의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2_b_05L轉入身身所得好細軟可身不自知生滅中有五陰有習不知爲疑身所得中細軟不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疑身所得惡麤堅苦痛不可身不自知生滅中有五陰中有習不知爲疑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이 이 의심을 버리지 못한다면, 아직은 보살이라 할 수 없느니라.”
보살들이 다시 부처님께 물었다.
“무엇 때문에 보살이라 할 수 없나이까?”
“안반(安般)으로 뜻을 지키지 못하고 백여덟 가지 뒤바뀜을 교계(校計)하지 못하기 때문이니라.”
007_0562_b_10L菩薩不去是未應爲菩薩諸菩薩問佛何以故不應爲菩薩佛言用不行安般守意不挍計百八顚倒故
“어떤 것을 백여덟 가지의 뒤바뀜이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른바 보살의 마음에 생각함이 많아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劫)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느니라.
007_0562_b_13L菩薩問佛何等爲百八顚倒佛言菩薩心所多念爲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爲顚倒
다시 뜻을 짓는데 전입하여 그 뜻에 생각함이 많아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며, 다시 식(識) 짓는데 전입하여 식(識)에 생각함이 많아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느니라.
007_0562_b_17L轉作意意所多念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罪是生死無數劫顚倒意轉作識所多識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爲顚
007_0562_c_01L다시 눈에 전입하여 눈으로 좋은 색을 많이 보아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고, 또 눈으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색을 많이 보아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며, 또 눈으로 나쁜 색을 많이 보아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느니라.
007_0562_b_21L倒轉入眼所多視好色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爲顚倒眼所多視中色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爲顚倒眼所多視惡色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罪是生死無數劫爲顚倒
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로 좋은 소리를 많이 들어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고, 또 귀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소리를 많이 들어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고, 또 귀로 나쁜 소리를 많이 들어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느니라.
007_0562_c_05L轉入耳耳所多聞好聲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爲顚倒耳所多聞中聲生死罪中有五陰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爲顚倒耳所多聞惡聲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是爲顚倒
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로 좋은 냄새를 많이 맡아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고, 또 코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를 많이 맡아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며, 또 코로 나쁜 냄새를 많이 맡아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느니라.
007_0562_c_12L轉入鼻鼻所多聞好香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是爲顚倒鼻所多聞中香生死罪中有五陰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是爲顚倒鼻所多聞惡臭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是爲顚倒
007_0563_a_01L다시 입에 전입하여 입으로 많이 얻는 맛있는 맛과 좋은 말들이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고, 또 입으로 맛있지도 없지도 않은 음식을 먹고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말을 해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고,또 입으로 나쁜 음식을 많이 먹고 나쁜 말을 많이 해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느니라.
007_0562_c_19L轉入口口所多得美味好語言生死罪中有五陰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是爲顚倒口所多得中味中語言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如是生死無數劫是爲顚倒口所多得惡味惡語言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是爲顚倒
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이 많이 얻는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운 몸이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고, 또 몸이 편안하지도 괴롭지도 않아서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고, 또 몸이 많이 얻은 추악하고 딱딱하고 고통스러움으로 불가(不可)의 몸이 생사의 죄를 짓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나는 죄 없다’고 말하니, 이와 같이 무수한 겁에 생사를 거듭하므로 이것을 뒤바뀜이라 하나니, 이러한 백여덟 가지의 뒤바뀜을 보살들이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니라.”
007_0563_a_04L轉入身身所多得好細軟可身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是爲顚身所多得中細軟生死罪中有五中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是爲顚倒身所多得惡麤堅苦不可身生死罪中有五陰中有習自言我無罪如是生死無數劫是爲顚倒
여러 보살들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저희들이 생사에 뒤바뀌기는 하지만, 그러나 저희들은 경법(經法)에 의지하여 사람을 제도하고자 합니다.”
007_0563_a_12L佛言是爲百八顚倒如是菩薩爲不解諸菩薩報佛言我雖生死顚我欲依經法度人
“너희들이 사람을 제도할 때 어떤 도(道)로써 사람을 제도하려고 하는가.”
“저희들은 사람으로 하여금 죄다 부처님 도를 얻게 하려고 합니다.”
007_0563_a_14L佛問諸菩薩言汝度人欲求使人作何等道諸菩薩報佛言我欲使人悉得佛道
“너희들 같은 무리가 매우 많도다. 왜냐하면 제 자신도 부처님 도를 갖지 못하면서 사람들을 서로 따르게 하려는 구나.”
“저희들이 비록 사람들을 서로 따르게 할지라도 경법을 떠나서 행동하지는 않겠습니다.”
007_0563_a_16L佛言曹輩衆多何以故不自取佛但群輩相隨諸菩薩言我雖相隨不離經行
“너희들이 어찌 하루에 함께 부처님이 되겠느냐?”
“저희들이 함께 부처님이 될 수는 없습니다.”
007_0563_a_18L佛問諸菩薩言若曹輩寧能一日俱得佛不諸菩薩報佛言我不能俱得
“그 까닭은 무엇인가.”
“저희들 무리 중에는 아직 모습[相]을 갖추지 못한 자가 있고, 저희들 무리 중에는 공덕이 아직 원만치 못한 자도 있고, 저희들 무리 중에는 생사의 죄를 아직 다하지 않은 자도 있기 때문입니다.”
007_0563_a_21L佛問諸菩薩何以故諸菩薩報佛我輩中有相未具者我曹輩中有功德未滿者我曹輩有生死罪未盡
007_0563_b_01L“너희들의 말처럼 모습을 아직 갖추지 못한 자가 있고 공덕이 원만치 못한 자도 있고 생사의 죄가 다하지 않은 자가 있다면,모습을 갖추지 못한 자는 제 자신도 부처님이 되지 못하거늘 어떻게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부처님이 되게 할 것이며, 공덕이 모자란 자는 제 자신도 부처님이 되지 못하거늘 어떻게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부처님이 되게 할 것이며, 생사의 죄가 다하지 않은 자는 제 자신도 부처님이 되지 못하거늘 어떻게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부처님이 되게 하겠느냐.”
여러 보살들은 다 머리를 조아리면서 부끄러워하였다.
007_0563_a_24L佛告諸菩薩若曹輩有相未具者有功德未滿者有罪未盡者如若曹相未具者自不能得佛何能使他人得佛若曹功德未滿不能自得佛何能使他人得佛佛言若曹生死罪意未盡不能自得佛何能使他人得佛諸菩薩皆稽首慚
보살들이 다시 부처님께 물었다.
“그러하옵니다마는, 저희들은 무슨 인연으로 부처님이 되지 못합니까?”
“너희들이 앉아서 안반(安般)을 행하여 뜻을 지키지 못하고, 백여덟 가지의 욕심을 교계(校計)하느라 그 욕심이 버려지지 않기 때문이니라.”
007_0563_b_06L諸菩薩復問佛言如是我何因緣不得佛佛報諸菩薩言若曹坐不行安若守意挍計百八欲欲不捨故
“안반을 행하여 뜻을 지키고, 백여덟 가지의 욕심을 교계하여 버려야 한다는 그 욕심이란 어떠한 것이나이까?”
부처님께서 보살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 심소(心所)의 생각이 생각을 거듭하여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3_b_09L菩薩言行安般守意挍計捨百八欲欲者云何佛報諸菩薩言若曹心所念念復念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是爲欲欲
다시 뜻에 전입하여 그 뜻이 생각을 거듭하여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며, 다시 식(識)에 전입하여 식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3_b_13L轉入意意復念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轉入識識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
다시 눈에 전입하여 눈으로 좋은 색을 보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고, 또 눈으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색을 보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고, 또 눈으로 나쁜 색을 보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3_b_15L轉入眼所見好色爲欲欲中有五陰有習爲欲欲眼所見中色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眼所見惡色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
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로 좋은 소리를 듣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고, 또 눈으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소리를 듣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고, 또 귀로 나쁜 소리를 듣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3_b_19L轉入耳所聞好聲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欲欲耳所聞中聲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耳所聞惡聲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
007_0563_c_01L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로 좋은 냄새를 맡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고, 또 코로 나쁜 냄새를 맡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3_b_23L轉入鼻所聞好香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鼻所聞中香爲欲欲中有五中有習爲欲欲鼻所聞惡臭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
다시 입에 전입하여 입으로 맛난 음식을 먹고 좋은 말을 하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고, 또 입으로 맛있지도 없지도 않은 음식을 먹고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말을 하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고, 또 입으로 나쁜 음식을 먹고 나쁜 말을 하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욕심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느니라.
007_0563_c_04L轉入口口所得美味語言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口所得中味語言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口所得惡味惡語言爲欲欲中有五陰有習爲欲欲
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이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운 몸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몸의 욕심이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고, 또 몸이 중간 정도로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운 몸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몸의 욕심이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고, 몸이 추악하고 딱딱하고 고통스러워서 몸이라 할 수 없는 것이 욕심이 되면서 그 몸의 욕심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나니라. 너희들은 다만 앉아 있을 뿐 이 욕심의 욕심을 이해하지 못하느니라.”
007_0563_c_09L轉入身身所得好細軟可身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身所得中細軟可身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身所得惡麤堅痛不可身爲欲欲中有五陰中有習爲欲欲
보살들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저희들은 욕심의 욕심이 없습니다.”
007_0563_c_14L佛言諸菩薩若曹但坐不解欲欲諸菩薩報佛言我曹無有欲欲
“너희들은 부처님의 법도(法度)를 구하여 시방의 사람들을 제도하려고 하는가?”
“그러하옵니다. 저희들이 부처님의 법도를 구하여 시방의 사람들을 제도하고자 합니다.”
007_0563_c_15L佛問諸菩薩若曹欲求佛度十方人諸菩薩言我曹欲求佛度十方
“바로 그것을 욕심의 욕심이라 하나니, 어찌하여 욕심이 없다고 말하는가?”
부처님께서 다시 보살들에게 말씀하셨다.
“그리고 너희들은 시방의 근고(勤苦)하는 사람을 생각하느냐?”
“그러하옵니다. 저희들이 근고하는 사람을 생각합니다.”
007_0563_c_18L佛報諸菩薩言如是爲欲欲何以故言無欲佛問諸菩薩若意寧念十方勤苦人不諸菩薩言我曹念勤苦人
“만약에 근고하는 사람을 생각한다면 이것이 바로 욕심이니, 어떻게 욕심 없다고 말하겠느냐.”
부처님께서 다시 여러 보살들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시방 부처님 처소에 이르러서 경전을 묻는다면, 그 경전을 언제나 잊지 않을 수 있는가?”
“저희들이 물은 경전은 저희들이 다 인식하여 잊지 않습니다.”
007_0563_c_21L佛言若念諸勤苦人爲欲何以故言無欲佛問諸菩薩言若曹至十方佛所問經若今爲忘不諸菩薩報我所問經我皆識不忘
007_0564_a_01L“그렇다면, 너희들이 시방 부처님의 말씀하신 경전을 인식하여 남[人]을 위해 그 경전을 해설할 수 있는가.”
“그러하옵니다. 저희들이 매일 다니면서라도 남을 위해 경전을 해설할 수 있습니다.”
007_0564_a_01L佛問諸菩汝識十方佛說經寧傳爲人說經諸菩薩言我日行爲人說經
“남을 위해 경전을 해설한다면, 듣는 이로 하여금 알게 하려고 하는가.”
“그러하옵니다. 듣는 이로 하여금 알게 하려고 합니다.”
007_0564_a_03L若爲人說經寧欲使人解不諸菩薩言欲使人解
“만약 남을 위해 경전을 해설하고 듣는 이로 하여금 알게 하려고 한다면, 이것이 바로 욕심의 욕심이거늘, 어떻게 욕심이 없다고 말하겠는가?”
부처님께서 다시 보살들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남을 위해 경전을 해설한다면, 그들에게 보시하는 것을 가르치겠는가?”
“그러하옵니다. 저희들이 보시하는 것을 가르치겠습니다.”
007_0564_a_05L佛言如若爲人說爲欲使人解如是爲欲欲何以故言無欲佛復問菩薩若爲人說經教人布施不諸菩薩言我曹教人布施
“만약 보시하는 것을 가르친다면, 그들로 하여금 어떤 것을 가지고서 부처님께 보시하게 하겠는가?”
보살들이 대답하였다.
“저희들은 첫째 그들로 하여금 색 좋은 꽃을 가지고서 보시하게 하겠습니다.”
007_0564_a_09L佛問諸菩薩若教人布施持何等與佛諸菩薩報言我第一欲使人持好色華
“너희들 자신부터 색을 욕심내지 않는다면, 어떻게 남을 시켜 보기 좋은 다섯 가지 색의 꽃을 가지고 부처님께 보시하게 하겠는가. 그러므로 너희들은 색을 욕심내는 것이니라. 어떻게 ‘저희들은 색을 욕심내지 않습니다’라고 말하겠는가.”
007_0564_a_11L佛言汝曹不欲色何以故使人持五色好華可眼與佛如是汝爲欲色何以故言我曹不欲色
부처님께서 보살들에게 다시 물었다.
“너희들은 또 시방 부처님의 말씀하신 경전을 들을 때에 듣기가 좋은가.”
“그러하옵니다. 시방 부처님께서 저희들을 위해 경전을 말씀하심에는 저희들이 듣기가 좋아서 다 기뻐합니다.”
007_0564_a_13L復問諸菩薩若寧聞十方佛說經爲可耳不諸菩薩報言十方佛爲我說經可耳我曹皆歡喜
“너희들이 경전을 듣고 기뻐한다면 이것이 바로 욕심이거늘, 어떻게 욕심이 없다고 말하겠는가.”
부처님께서 다시 보살들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남을 가르치려고 할 때에 부처님을 위해 향을 사르게 하겠느냐.”“저희들이 매일 다니면서라도 뭇 꽃과 좋은 향을 구하여 부처님께 받들어 올리겠습니다.”
007_0564_a_16L佛言如汝聞經歡喜爲欲何以故言無欲佛復問諸菩薩言若欲教人爲佛燒香不諸菩薩報佛我日自行採衆華名香持用上佛
007_0564_b_01L“너희들이 다니면서라도 뭇 꽃과 좋은 향을 구하여 좋은 냄새를 얻어 부처님께 올리고자 한다면, 이것이 바로 욕심이거늘, 어떻게 욕심이 없다고 말하겠느냐.
그리고 너희들은 또 남을 위해 경전을 해설할 때 말하기 좋게 하려고 하는가.”
“그러하옵니다. 저희들이 남을 위해 경전을 해설할 때 분별하여말하기 좋게 하려고 하며, 또 그들로 하여금 뜻을 이해시키려고 합니다.”
007_0564_a_20L佛言如汝行採衆華香欲得可持行上佛佛言如若欲得香華可如是爲欲何以故言無欲佛復問諸菩薩言若曹爲人說經寧欲可口諸菩薩言我曹爲人說經欲分別可口欲使人意解
“만약 말하기 좋게 하려고 한다면 이것이 욕심이거늘 어떻게 욕심 없다고 말하겠느냐.
또 너희들은 서른두 가지 모습을 갖추어 몸을 좋게 하려고 하는가.”
“그러하옵니다. 저희들이 애써 모습을 갖춤은 다만 몸을 좋게 하려기 때문입니다.”
007_0564_b_02L佛言如若可口爲何以故言不欲佛復問諸菩薩言汝寧欲具三十二相可身不諸菩薩我勤苦具相但欲可身耳
“만약 몸을 좋게 하려고 한다면 이것이 욕심이거늘, 어떻게 욕심이 없다고 말하겠느냐.”
여러 보살들은 머리를 조아리면서 각자 부끄러워하였다.
007_0564_b_05L佛言若可身爲欲何以故言不欲諸菩薩稽首各自慚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러한 보살은 아직도 믿음을 지니지 못하였느니라.”
보살들은 머리를 조아리면서 아뢰었다.
“원컨대 부처님께서 저희들을 불쌍히 여겨 말씀하옵소서.”
007_0564_b_07L佛言如是菩薩尚未有所怙諸菩薩稽首言願佛哀我當爲說
부처님께서 곧 말씀하셨다.
“보살의 도를 행하면서 숨을 헤아려서 선(禪)을 행하든, 스스로 선정의 뜻을 믿든 백여덟 가지의 타락됨을 교계(校計)해야 하나니, 그래서 멸하면 선정에 상응하는 것이고 멸하지 않는다면 선정에 상응하지 않는 것이니라.”
007_0564_b_09L佛因爲說行菩薩道若數息行禪若自怙定意當挍計百八墮滅者應禪不滅者不應禪
보살들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선정이란 나쁨을 버리는 것이니, 백여덟 가지의 타락이 멸한다면 나쁨을 버림이고 멸하지 않는다면 나쁨을 버리지 못함이니, 다니거나 앉거나 일어나거나 어떤 인연으로 남을 위해 경전을 해설할 때에 그의 보는 바 만물에 대하여 스스로 백여덟 가지의 타락을 교계함으로써 집착되지 않게 하고 죄에 떨어지지 않게 한다면, 이것을 보살의 교계하는 행이라 합니까?
007_0564_b_12L諸菩薩問佛言禪爲棄惡百八墮滅者爲棄惡不滅者不爲棄惡從禪覺起若行步坐起得因緣爲人說經所見萬物能自挍計百八墮能使不著能使不墮罪是爲菩薩挍計
또한 백여덟 가지의 타락이 어떠한 데로부터 일어난다고 교계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보살들에게 말씀하셨다.
“백여덟 가지의 타락을 교계해야 함은 이른바 보살의 마음에 생각하는 것이 있을 때에 그 생각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며, 마음이 굴러서 뜻을 지을 때에 그 뜻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며, 뜻이 굴러서 식(識)을 지을 때에 그 식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니라.
007_0564_b_17L諸菩薩問佛言挍計百八墮當從何所起佛告諸菩薩挍計百八墮者菩薩心所念中有五陰中有習是爲心轉作意中有五陰中有習是爲意轉作識中有五陰中有習是爲
007_0564_c_01L다시 눈에 전입하여 눈으로 좋은 색을 보게 되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고, 또 눈으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색을 보아도 그 중에 5음이 있고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고, 또 눈으로 나쁜 색을 보게 되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느니라.
007_0564_b_22L轉入眼眼所見好色中有五陰有習是爲墮眼所見中色中有五陰中有習是爲墮眼所見惡色中有五陰中有習是爲墮
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로 좋은 소리를 듣게 되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고, 또 귀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소리를 들어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고, 또 귀로 나쁜 소리를 듣게 되면 그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느니라.
007_0564_c_02L轉入耳耳所聞好聲中有五陰中有習是爲墮耳所聞中聲中有五陰中有習是爲墮耳所聞惡聲中有五陰中有習是爲墮
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로 좋은 냄새를 맡게 되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고, 또 코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를 맡아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고, 또 코로 나쁜 냄새를 맡게 되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느니라.
007_0564_c_05L轉入鼻所聞好香中有五陰中有習爲墮鼻所聞中香中有五陰中有習是爲墮鼻所聞惡臭中有五陰中有是爲墮
다시 입에 전입하여 입으로 맛난 음식을 먹고 좋은 말을 하게 되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고, 또 입으로 맛있지도 없지도 않은 음식을 먹고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말을 하여도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고, 또 입으로 나쁜 음식을 먹고 나쁜 말을 하게 되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느니라.
007_0564_c_09L轉入口口所得美味好語言中有五陰中有習是爲墮口所得中味中語言中有五陰中有習是爲口所得惡味惡語言中有五陰中有是爲墮
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이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운 몸이라 할 수 있으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고, 또 몸이 중간 정도의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운 몸이라 느끼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고, 또 몸의 추악하고 딱딱하고 고통스러워서 몸이라 할 수 없음을 느끼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므로 이것을 타락이라 하느니라.”
007_0564_c_13L轉入身身所得好細軟可身中有五陰中有習是爲墮身所得中細軟可身中有五陰中有習是爲墮身所得惡麤堅苦痛不可身中有五陰中有習是爲墮是爲百八墮行
007_0565_a_01L부처님께서 다시 보살들에게 말씀하셨다.
“백여덟 가지의 타락을 교계하는데도 고통이 반드시 뒤를 따르는 스스로 타락한 죄를 알지 못하고, 또 부끄러움을 알지 못하고서 스스로 백여덟 가지 타락의 길을 끊었다고 말한다면, 이 사람은 마치 음욕과 질투심[妬] 있는 여자와 같으니라. 즉 지나친 음행으로 임신하고도 태중에 있는 아이가 매일 얼마만큼 커나가는지 알지 못한 채 음행을 계속하다가 아이가 열 달을 채워서 곧 떨어질락 말락 나을락 말락 하는데, 그 어미는 배가 아파서 스스로 부끄러워하다가아이가 나올 무렵에는 그 질투심 있는 여자의 울음소리가 일곱째 하늘[第七天]에 들리기까지 하느니라. 그러다 아이를 낳은 뒤 아픔이 끝나면 그 어미는 곧 다시 음욕의 생각이 나서 부끄러움과 아픔을 기억하지 못한 채 여전히 음행을 저지르게 되는데, 이러한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거듭하여도 질투심 있는 여자는 그 고통을 스스로 깨닫지 못하느니라.
007_0564_c_17L佛告諸菩薩言挍計百八墮不自知墮罪苦痛當在後亦不知羞慚自說言能斷百八墮道行佛言是人譬如婬泆妒女上頭婬泆自可己妊身不知胞胎兒在腹中日大幾所婬泆妒女爲復婬泆自可至兒成就十月當生當轉未轉當生未生其母腹痛自慚自悔當墮痛時妒女啼聲聞第七天兒生已後其母痛愈便復念婬泆便不念慚不念痛便復婬泆如故如是苦不可言妒女亦不能自覺苦痛
그러므로 보살이 도를 행하되 백여덟 가지의 타락을 교계하지 않는다면, 이는 마치 음욕과 질투심 있는 여자가 자기 죄의 많고 적음을 알지 못하고, 고통에 질리지도 않고, 스스로 교계하여 그 죄를 부끄러워하지도 않고, 생사의 다섯 길[五道] 고통을 알지 못하고, 세 가지 나쁜 길에 떨어짐을 스스로 알지 못하고, 자신의 행동을 부끄러워하면서 나의 타락을 말하지 못하는 것과 같음이니, 이렇게 세세생생 스스로 재앙을 받고서야 돌이켜 부끄러워한들 무슨 이익이 있으랴. 도를 배우는 제자로서는 자세히 배워야 하리라.”
여러 보살들은 다 기뻐하면서 머리를 조아리고 받들어 행하였다.
007_0565_a_05L菩薩行道不挍計百八墮譬如婬泆妒女不自知罪多少亦不厭苦痛亦不自挍計還慚罪不知生死五道苦痛不自知墮三惡道不自慚行言我墮道如是世世自受殃還自慚斯無有利學道弟子諦學是諸菩薩皆歡喜稽首受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이 이와 같이 하더라도 아직 반드시 이해한다고 하지는 못하리라.”
보살들이 부처님께 물었다.
“무엇 때문에 아직 이해하지 못한다고 합니까?”
“이른바 보살이 백여덟 가지의 애착을 교계하지 못하기 때문이니라.”
007_0565_a_12L佛言菩薩如是尚未應爲解諸菩薩問佛言何以故爲未解佛言謂菩薩不能挍計百八愛故
“백여덟 가지의 애착을 교계하는 것이 무엇이나이까?”
“보살이 선정을 닦되, 한뜻과 한마음으로 그 애착을 멸하지 못하고 다만 앉아서 백여덟 가지에 집착하기 때문이니라. 첫째 보살이 마음에 생각하는 바가 있어 그 멸하지 못함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며, 마음이 굴러서 뜻을 짓는데 능히 멸하지 못함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며, 다섯 가지 뜻이 굴러서 식(識)을 짓는데 능히 멸할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니라.
007_0565_a_15L諸菩薩問佛計百八愛者云何佛言菩薩行禪不能一意一心令滅但坐著百八故者菩薩心有所念不能滅爲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心轉作意不能爲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轉作識不能滅爲愛中有五陰中有是爲愛
007_0565_b_01L다시 눈에 전입하여 눈으로 보는 좋은 색을 능히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고, 또 눈으로 보는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색을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이것을 애착이라 하고, 또 눈으로 보는 나쁜 색을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니라.
007_0565_a_22L轉入眼眼所見好色不能爲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所見中色不能滅爲愛中有五陰有習是爲愛眼所見惡色不能滅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
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로 듣는 좋은 소리를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고, 또 귀로 듣는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소리를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고, 또 귀로 듣는 나쁜 소리를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니라.
007_0565_b_03L轉入耳耳所聞好聲不能滅爲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耳所聞中聲不能滅是爲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所聞惡聲不能滅爲愛中有五陰有習是爲愛
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로 맡는 좋은 냄새를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고, 또 코로 맡는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를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고, 또 코로 맡은 나쁜 냄새를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니라.
007_0565_b_08L轉入鼻鼻所聞好香不能滅爲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鼻所聞中香不能滅爲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鼻所聞惡臭不能滅爲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
다시 입에 전입하여 입으로 느끼는 맛난 음식과 좋은 말씨를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고, 또 입으로 느끼는 맛있지도 없지도 않는 음식과 좋지도 나쁘지도 않는 말씨를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고, 또 입으로 느끼는 나쁜 맛의 음식과 나쁜 말씨를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니라.
007_0565_b_12L轉入口所得美味好語言不能滅爲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口所得中味中語言不能滅爲愛中有五陰有習是爲愛口所得惡味惡語言不能滅爲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
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이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랄 수 있는 느낌을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고, 또 몸이 중간으로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랄 수 있는 느낌을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고, 또 몸이 추악하고 딱딱하고 고통스러워서 몸이랄 수 없는 느낌을 없앨 수 없음이 애착이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애착이라 하느니라.
007_0565_b_17L轉入身身所得好細軟可身不能滅爲愛中有五陰中有習是爲愛身所得中細軟不能滅爲愛中有五陰有習是爲愛身所得惡麤堅苦痛痒不可身不能滅爲愛中有五陰中有是爲愛
007_0565_c_01L보살이 도를 행하면서도 이 백여덟 가지 애착을 교계하여 물리치지 못하고, 그 백여덟 가지의 애착이 죄에 떨어짐을 스스로 알지 못함은마치 처음 출생한 아이가 작을 때부터 클 때까지 스스로 알지 못하면서도 나날이 더 커지는 것과 같고, 또 보살이 도를 행하면서도 죄의 많고 적음을 깨닫지 못하는 것도 비유하면 그와 마찬가지이니라. 만약 보살이 도를 행하면서도 백여덟 가지 애착이 죄에 떨어짐을 깨닫는다면, 반드시 스스로 부끄러워해야 하고, 반드시 스스로 끊어버려야 하고, 반드시 스스로 여의어야 하고, 반드시 스스로 멸해야 하나니, 이와 같이 애착을 끊어야만 응당 보살이라 할 수 있으리라.”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여러 보살들은 다 머리를 조아리면서 받들어 행하였다.
007_0565_b_23L佛言菩薩行道不挍計卻百八愛不自知百八愛墮罪譬如新生小兒從小至大不能自知日增幾所大菩薩行道不能覺罪多少譬如若菩薩行道覺百八愛墮罪便當自慚便當自斷便當自離便當自滅如是愛斷爲應菩薩佛說如是諸菩薩皆稽首受行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보살이 도를 행할 때는 반드시 백여덟 가지 뿌리[栽]를 교계해야 하나니, 도를 행하면서도 이 백여덟 가지 뿌리를 교계하지 못하면 응당 보살의 수행이 될 수 없고 뿌리를 제거해야만 곧 보살의 수행이 될 수 있으리라.”
007_0565_c_07L佛言菩薩行道當挍計百八栽行道不挍計百八栽不應爲菩薩行去栽者乃應菩薩行
보살들이 부처님께 물었다.
“제거해야 할 뿌리란 어떤 것이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이 한 곳에서 앉아서 선정을 닦되 드나드는 숨을 따라 지관(止觀)하여 청정함에 돌아가야 하는데, 그 청정함을 얻으면 이는 뿌리를 제거함이고 청정함을 얻지 못하면 이는 뿌리를 제거하지 못함이니, 이와 같이 선정으로부터 일어나 사람 속에 있다면 반드시 교계를 행하여 이 뿌리를 끊어버려야 하느니라.”
007_0565_c_10L諸菩薩問佛言當去栽者云何佛告諸菩薩言菩薩獨處一處當坐行禪數息相隨止觀還淨得淨爲除栽不淨者爲不除栽如是從禪起若在人中當行挍計當斷去
보살들은 또 부처님께 물었다.
“어떻게 교계하여 뿌리를 제거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도를 행하되 일심의 정해진 뜻을 얻지 못하면 뿌리를 없애지 못하나니, 일심의 정해진 뜻을 얻지 못하는 자는 그 마음에 생각하는 바가 있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다시 뜻에 전입하여 그 뜻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다시 식(識)에 전입하여 그 식 속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다시 눈에 전입하여 눈으로 좋은 색을 보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또 눈으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색을 보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또 눈으로 나쁜 색을 보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느니라.
007_0565_c_15L諸菩薩問佛言當挍計去栽者云佛言行道不得一心定意爲不滅佛言不得一心定意者心有所念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轉入意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轉入識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轉入眼見好色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所見中色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眼所見惡色中有五陰中有習便生
007_0566_a_01L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로 좋은 소리를 듣는 그 중에 5음이 있고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또 귀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소리를 듣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또 귀로 나쁜 소리를 듣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로 좋은 냄새를 맡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또 코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를 맡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또 코로 나쁜 냄새를 맡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느니라.
007_0566_a_01L轉入耳耳所聞好聲中有五陰有習便生栽耳所聞中聲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耳所聞惡聲中有五中有習便生栽轉入鼻鼻所聞好香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鼻所聞中香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鼻所聞惡臭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
다시 입에 전입하여 입으로 맛난 음식과 좋은 말씨를 느끼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또 입으로 맛있지도 없지도 않은 음식과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말씨를 느끼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또 입으로 나쁜 맛과 나쁜 말씨를 느끼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이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랄 수 있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또 몸이 중간으로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랄 수 있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으며, 또 몸이 추악하고 딱딱하고 고통스러워서 몸이랄 수 없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문득 뿌리를 낳나니, 이러므로 뿌리를 끊지 못하느니라.
007_0566_a_07L入口口所得美味好語言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口所得中味中語言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口所得惡味惡語言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轉入身身所得好細軟可身中有五中有習便生栽身所得中細軟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身所得惡麤堅苦痛不可身中有五陰中有習便生栽如是爲栽不斷
007_0566_b_01L만약 어떤 보살이 도를 행하되 ‘나는 이러한 뿌리가 없다’고 말하면서 훌륭한 체 한다면, 스스로 뿌리를 심어서 문득 스스로 능히 도탈(度脫)하지 못하고, 문득 영리한 뜻이 없어서 뿌리가 된 죄의 많고 적음을 알지 못함이니, 마치 자기 몸에 있는 털[毛]을 사람들이 낱낱이 헤아려 교계할 수 없어서 털의 많고 적음을 알지 못함과 같으니라.
보살들이 도를 행하되 자신의 죄도 제거하지 못하면서 도리어‘나는 불도(佛道)를 구해서 시방을 제도하고자 한다고 말하니, 이러한 보살은 자신도 제도하지 못하거늘 어찌 시방을 제도할 수 있으랴. 그러므로 보살이 도를 행할 때는 그 뿌리를 제거해야만 시방을 제도할 것이고 뿌리를 제거하지 못하면 시방을 제도할 수 없으리라.”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자, 여러 보살들이 다 기뻐하면서 받들어 행하였다.
007_0566_a_16L佛言若有菩薩行道言我無是栽如是爲貢高爲自種栽便不能自度脫便無有黠意能知栽罪多少譬如身生毛其人亦不能自挍計一一數不能自知毛多諸菩薩行道不能自除罪反言我求佛道欲度十方如是尚不能自度何能度十方菩薩行道能去栽者便能度十方不去栽便不能度十方說如是諸菩薩皆歡喜受行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이러한 보살은 아직 이해한다고 할 수 없느니라.”
보살들은 다 머리를 조아려 아뢰었다.
“이같이 이해하지 못하니, 원컨대 부처님께서 저희들을 이해하게 하여 주소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은 백여덟 가지 죄의 식[罪識]이 있으니, 이것을 없애지 못하면 보살이 될 수 없느니라.”
보살들은 물었다.
“어떤 것을 백여덟 가지 죄의 식이라 합니까?”
007_0566_b_02L佛言如是菩薩尚未應解諸菩薩復稽首言如是未解願佛爲我解佛言菩薩有百八罪識不滅者不應爲菩諸菩薩問佛言何等爲百八罪識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른바 보살이 마음으로 생각하는 바가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識)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의식이라 하며, 다시 뜻에 전입하여 그 뜻이 생각에 생각을 거듭함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며, 다시 식(識)에 전입하여 그 식이 생각하는 것을 잊지 않음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느니라.
007_0566_b_06L佛言謂菩薩心所念爲罪中有五陰有習爲識是爲罪識轉入意意所念復念爲罪中有五陰中有習爲識爲罪識轉入識識所念不忘爲罪有五陰中有習爲識是爲罪識
다시 눈에 전입하여 눈으로 좋은 색을 보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며, 또 눈으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색을 보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며, 또 눈으로 나쁜 색을 보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며, 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로 좋은 소리를 듣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며, 또 귀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소리를 듣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고, 또 귀로 나쁜 소리를 듣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느니라.
007_0566_b_11L轉入眼所見好色爲罪中有五陰中有習爲識是爲罪識眼所見中色爲罪中有五陰中有習爲識是爲罪識所見惡色爲罪中有五陰中有習爲是爲罪識轉入耳耳所聞好聲中有五陰中有習爲識是爲罪識耳所聞中聲爲罪中有五陰中有習爲識是爲罪識耳所聞惡聲爲罪有五陰中有習爲識是爲罪識
007_0566_c_01L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로 좋은 냄새를 맡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고, 또 코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를 맡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며, 또 코로 나쁜 냄새를 맡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며, 다시 입에 전입하여 맛난 음식과 좋은 말씨를 느끼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고, 또 입으로 맛있지도 없지도 않는 음식과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말씨를 느끼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고, 또 입으로 나쁜 맛과 나쁜 말씨를 느끼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느니라.
007_0566_b_20L轉入鼻所聞好香爲罪中有五陰中有習爲識是爲罪識鼻所聞中香爲罪中有五陰中有習爲識是爲罪識所聞惡臭爲罪中有五陰中有習爲是爲罪識轉入口口所得美味好語言爲罪中有五陰中有習爲識爲罪識口所得中味中語言爲罪有五陰中有習爲識是爲罪識口所得惡味惡語言爲罪中有五陰中有習爲識是爲罪識
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이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고, 또 몸이 중간으로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고, 또 몸이 추악하고 딱딱하고 고통스러워서 몸이라 할 수 없는 것이 죄가 되어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식이 되므로 이것을 죄의 식이라 하느니라.”
007_0566_c_07L轉入身身所得好細軟可身爲罪中有五陰中有習爲是爲罪識身所得中細軟爲罪有五陰中有習爲識是爲罪識身所得惡麤堅苦痛不可身爲罪中有五中有習爲識是爲罪識
부처님께서 여러 보살들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은 이러한 죄가 있는가 없는가?”
보살들이 대답하였다.
“저희들은 5음이 있기는 하지만 죄는 없습니다.”
부처님께서 다시 물으셨다.
“이 천하에서는 무엇 때문에 사람으로 하여금 죄가 있어서 도를 얻지 못하게 하는가?”
보살들이 대답하였다.
“천하 사람들이 다 탐욕에 빠져 도를 얻지 못합니다.”
007_0566_c_12L佛問諸菩若曹有是罪不諸菩薩言我但有五陰無有罪佛復問諸菩薩言天下何等爲使人有罪不得道者諸菩薩報佛言天下人皆坐貪不得道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천하 사람들이 생사를 탐내는 것은 5음과 습기가 있기 때문이 아니겠느냐.”
보살들이 말하였다.
“그러하옵니다. 죄가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다시 보살들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은 지니고 보는 몸으로 부처를 취하려면 반드시 생사를 반복해야 하느니라.”
보살들이 대답하였다.
“저희들은 다시 생사를 반복해야 하며, 현재의 몸으로부터는 부처가 될 수 없습니다.”
007_0566_c_16L佛言天下人貪生死爲有五陰習不諸菩薩言有罪佛問諸菩薩言若曹持見身取佛當復生死諸菩薩報佛言曹當復生死不從是現在身得佛
007_0567_a_01L“그렇다면, 너희들은 다시 얼마나 생사를 겪어야 부처가 될 수 있겠는가.”
“저희들은 아직 생사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어찌하여 생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가.”
“저희들은 아직 자신의 죄와 복이 얼마나 많고 적은지 알지 못하며, 이 때문에저희는 생사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007_0566_c_20L問諸菩薩若曹要當更幾生死當得諸菩薩報佛言我曹生死尚未有佛復問諸菩薩何以故無有要菩薩言我不自知罪福多少用是故我不知要
“그렇다면, 너희들이 이 천하 사람보다 무엇이 다른 것이 있느냐?”
보살들은 부처님께 대답하였다.
“저희들은 시방 부처님 국토에 날아다닐 수 있고, 저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능히 밝힐 수 있습니다.”
“너희들이 시방 부처님 국토에 날아다닐 수 있고, 시방 부처님 말씀을 밝힐 수 있다면, 어찌하여 때에 응하여 부처가 되지 않고 다시 생사를 필요로 하는가.”
“저희들 본래의 죄가 아직 다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고 아직 본래 서원의 공덕과 복이 아직 채워지지 않았기 때문에 때에 응하여 부처가 될 수 없습니다.”
007_0567_a_02L佛告諸菩薩如是若曹與天下人有何等異諸菩薩報佛言能飛到十方佛國我能曉佛所語若曹能飛到十方佛國能曉十方佛所語若曹何以不應時取佛何以故復生死要諸菩薩報佛言我曹尚有本罪未盡故用本願功德福未滿用是故我曹不應時得佛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의 말처럼 천하 사람들이 다만 5음과 생사의 습기에 빠지기 때문에 죄가 있다면, 이제 너희들도 다시 생사의 습기로 죄가 있거늘, 너희들이 어찌하여 ‘나는 죄가 없다’라고 말하는가.”
여러 보살들은 다 부끄러워서 머리를 조아리고 받들어 행하였다.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내가 이와 같이 말하여도 보살들은 아직 이해하지 못하리라.”
여러 보살은 머리를 조아리면서 아뢰었다.
“원컨대 부처님께서 다시 저희들을 이해시켜 주소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은 또 백여덟 가지 인연에 집착된 고통이 있느니라.”
보살들은 부처님께 물었다.
“어떤 것을 백여덟 가지 인연에 집착된 고통이라 합니까?”
007_0567_a_09L佛言曹言天下人但坐五陰生死習故有今若曹亦當復生死習有罪若曹何以故語我言無罪諸菩薩皆慚稽首受行佛言我雖說是菩薩尚未解諸菩薩稽首言願佛當復爲我解佛言菩薩有百八因緣著痛諸菩薩問佛何等爲百八因緣著痛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이 마음에 생각하는 바가 있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며, 다시 뜻에 전입하여 뜻으로 생각하는 바가 있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며, 다시 식(識)에 전입하여 식에 식(識)하는 바가 있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니라.
007_0567_a_17L佛言菩薩心有所念爲因緣著痛中有五陰中有習坐因緣生死痛轉入意意有所念爲因緣著痛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轉入識識有所識爲因緣著痛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
007_0567_b_01L다시 눈에 전입하여 눈으로 좋은 색을 보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며,또 눈으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색을 보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고, 또 눈으로 나쁜 색을 보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니라.
007_0567_a_23L轉入眼眼所見好色爲因緣著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眼所見中色爲因緣著痛中有五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眼所見惡色爲因緣著痛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
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로 좋은 소리를 듣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고, 또 귀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소리를 듣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고, 또 귀로 나쁜 소리를 듣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니라.
007_0567_b_05L轉入耳耳聞好聲爲因緣著痛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耳所聞中聲爲因緣著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耳所聞惡聲爲因緣著痛中有五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
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로 좋은 냄새를 맡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고, 또 코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를 맡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고, 또 코로 나쁜 냄새를 맡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니라.
007_0567_b_10L轉入鼻所聞好香爲因緣著痛中有五陰中有當坐因緣生死痛鼻所聞中香爲因緣著痛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鼻所聞惡臭爲因緣著痛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
다시 입에 전입하여 입으로 맛난 음식과 좋은 말씨를 얻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고, 또 입으로 맛있지도 없지도 않은 음식과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말씨를 얻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고, 또 입으로 나쁜 맛과 나쁜 말씨를 얻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니라.
007_0567_b_15L轉入口口所得美味好語言爲因緣著痛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口所得中味中語言爲因緣著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口所得惡味惡語言爲因緣痛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
007_0567_c_01L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이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고, 또 몸이 중간 정도로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고, 또 몸이 추악하고 딱딱하고 고통스러워서 몸이라 할 수 없는 것이 인연에 집착한 고통이 되어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그 인연의 생사 고통에 빠지느니라.”
007_0567_b_21L入身身所得好細軟可身爲因緣著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身所得中細軟爲因緣著痛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身所得惡麤堅苦痛不可身爲因緣著痛中有五陰中有習當坐因緣生死痛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여러 보살들은 아직도 인연의 생사 고통을 싫어하지 않는가.”
보살들은 아뢰었다.
“저희들이 인연의 생사 고통을 싫어하기 때문에 보살들이 되었습니다.”
007_0567_c_04L佛言諸菩薩尚未厭因緣生死痛菩薩言我用厭因緣生死痛故作菩薩耳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이 과연 생사의 고통을 싫어한다면, 무엇 때문에 도(道)의 뿌리를 심지 않고 인연의 생사 고통에 따른 죄의 뿌리를 심느냐.”
보살들은 부처님께 대답하였다.
“저희들이 날마다 도의 뿌리를 심겠습니다.”
007_0567_c_07L佛言汝曹厭生死痛何以故不種道栽何以故種因緣生死痛罪罪諸菩薩報佛言我日種道栽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도의 뿌리를 심는다면, 무엇 때문에 백여덟 가지 인연의 생사 고통을 지니고 있는가.”
여러 보살들은 곧 부끄러워서 머리를 조아리고 받들어 행하였다.
007_0567_c_09L佛言如若種道栽何以故有因緣生死百八痛諸菩薩卽慚稽首受行
보살들은 다 머리를 조아려 다시 부처님께 물었다.
“부처님께서 저희들을 위해 경전을 말씀하여 주셨건만, 저희들은 아직 이해하지 못합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너희들이 백여덟 가지 고통 심는 것을 보고는, 너희들의 이해하지 못할 줄을 알았노라.”
보살들은 다시 머리를 조아리면서 아뢰었다.
“원컨대 부처님께서 저희들을 알게 하여 주소서.”
007_0567_c_11L諸菩薩皆稽首問佛言佛雖爲我說我不解是佛言我見若曹種百八我知汝曹不解諸菩薩復稽首言願佛解我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이 마음에 생각하는 바가 있어서 그 마음을 얻고자 해도 얻지 못할 때에는 고통에 빠지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 심음이라 하며, 다시 뜻에 전입하여 뜻에 생각하는 바가 있되 그 뜻이 옳은가 옳지 않은가를 생각함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 심음이라 하며, 다시 식(識)에 전입하여 식이 식(識)하는 바가 있어 나에게 고통이 되지 않을 수 없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 심음이라 하니라.
007_0567_c_15L佛言菩薩心有所念欲得心不能以時得坐痛中有五陰中有是爲種痛轉入意意有所念復念可意不可意爲種痛中有五陰中有是爲種痛轉入識識有所識不可我爲痛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
다시 눈에 전입하여 눈으로 좋은 색을 보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 심음이라 하고, 또 눈으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색을 보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 심음이라 하고, 또 눈으로 나쁜 색을 보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 심음이라 하니라.
007_0567_c_20L轉入眼眼所見好色爲痛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眼所見中色爲痛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眼所見惡色爲痛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
007_0568_a_01L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로 좋은 소리를 듣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 심음이라 하고, 또 귀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소리를 듣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 심음이라 하고, 또 귀로 나쁜 소리를 듣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 심음이라 하니라.
007_0568_a_01L轉入耳耳所聞好聲爲痛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耳所聞中聲爲痛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耳所聞惡聲爲痛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
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로 좋은 냄새를 맡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 심음이라 하고, 또 코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를 맡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의 심음이라 하고, 또 코로 나쁜 냄새를 맡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의 심음이라 하니라.
007_0568_a_06L轉入鼻鼻所聞好香爲痛中有五中有習是爲種痛鼻所聞中香爲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鼻所聞惡臭爲痛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
다시 입에 전입하여 입으로 맛난 음식과 좋은 말씨를 얻음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의 심음이라 하고, 또 입으로 맛있지도 없지도 않은 음식과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말씨를 얻음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의 심음이라 하고, 또 입으로 나쁜 맛과 나쁜 말씨를 얻음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의 심음이라 하니라.
007_0568_a_10L轉入口口所得美味好語言爲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口所得中味中語言爲痛中有五陰中有是爲種痛口所得惡味惡語言爲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
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의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라 할 수 있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의 심음이라 하고, 또 몸이 중간으로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라 할 수 있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의 심음이라 하고, 또 몸의 추악하고 딱딱하고 고통스러워서 몸이라 할 수 없는 것이 고통이 되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것을 고통의 심음이라 하나니, 보살이 이 백여덟 가지 고통을 끊으면 보살의 수행이 될 수 있고 끊지 못하면 보살의 수행이 될 수 없으리라. 그러므로 보살은 이 열 가지를 교계해야 하느니라.”
007_0568_a_14L入身身所得細軟可身爲痛中有五中有習是爲種痛身所得中細軟爲痛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所得惡麤堅苦痛不可身爲痛中有五陰中有習是爲種痛佛言菩薩斷是百八痛乃應爲菩薩行不斷痛者不應爲菩薩行是爲菩薩十挍計
007_0568_b_01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여러 보살들은 이와 같이 하더라도 여전히 알지 못할 것이므로 다시 교계해야 하리라.”
보살들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다시 어떤 것을 교계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들은 다시 백여덟 가지 생의 빗장(關生)을 교계해야 하리라.”
보살들은 부처님께 물었다.
“어떤 것을 백여덟 가지 생의 빗장이라 합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들은 마음에 꿰어진 고통스러운 생각과 생사의 식(識)에서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를 생을 뀀이라 하느니라.
관심(關心 마음에 빗장을 지름)은 고통스러운 생각과 생사의 식을 들어오지 않게 함으로써 문득 5음이 없고 습기가 없느니라.
007_0568_a_21L諸菩薩如是尚未解當復挍計菩薩問佛當復挍計何等佛言菩薩當挍計百八閞生諸菩薩問佛何等爲百八閞生佛言菩薩心所貫痛痒思想生死識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佛言閞心不使入痛痒思想生死識便無五陰無有習
5음과 습기에 빗장을 질러 마음을 흔들리지 않게 함으로써 생사의 고통스런 관문을 끊게 되느니라.
땅․물․불․바람․허공의 고통스러운 생각과 생사의 식(識)을 꿰게 되어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를 생을 뀀이라 하느니라.
관의(關意; 뜻에 빗장을 지름)로 문득 흔들리지 않으면 땅․물․불․바람․허공의 고통스러운 생각과 생사의 식을 받지 않아서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으니, 이를 생을 뀀이라 하고, 뜻에 빗장을 질러 문득 흔들리지 않으면 땅, 물, 불, 바람, 허공의 고통스러운 생각과 생사의 식을 받지 않고 5음과 습기도 받지 않느니라. 빗장을 지르지 않는 자는 죄에 떨어지고, 뜻에 빗장을 지르는 자는 도에 떨어지니, 이를 생의 빗장이라 하느니라.
007_0568_b_05L佛言閞五陰習令心不動爲斷生死痛閞者爲貫地水火風空痛痒思想生死識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閞意便不動不受地水火風空痛痒思想生死識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閞意便不動不受地水火風空痛痒思想生死識不受五陰習不閞者墮罪閞意不動者墮道是爲閞生
다시 식(識)에 전입하여 식(識)도 땅․물․불․바람․허공의 고통스러운 생각과 생사의 식(識)을 꿰어서 문득 5음과 습기가 있고 문득 생사를 꿰나니, 빗장을 지르지 못한 자는 생사의 고통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른 자는 도에 떨어져 생사를 벗어날 것이며, 다시 눈에 전입하여 눈으로 좋은 색을 꿰는 그 중에 5음이 있고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며, 또 눈으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색을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며, 또 눈으로 나쁜 색을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느니라.
007_0568_b_13L轉入識識亦貫地水火風空色痛痒思想生死識便有五陰習便貫生死不閞者墮生死閞者爲墮道不爲生死轉入眼所貫好色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道不閞者墮罪眼所貫中色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道不閞墮罪眼所貫惡色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道不閞者墮罪
007_0568_c_01L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로 좋은 소리를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며, 또 귀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소리를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며, 또 귀로 나쁜 소리를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느니라.
007_0568_b_22L轉入耳耳所貫好聲中有五陰中有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道閞者墮罪耳所貫中聲中有五陰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道不閞者墮罪耳所貫惡聲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不閞者墮罪
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로 좋은 냄새를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며, 또 코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를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며, 또 코로 나쁜 냄새를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느니라.
007_0568_c_06L轉入鼻鼻所貫好香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道不閞者墮罪鼻所貫中香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死令不動者墮道不閞者墮罪鼻所貫惡臭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道不閞者墮罪
다시 입에 전입하여 입으로 맛난 음식과 좋은 말씨를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며, 또 입을 맛있지도 없지도 않은 음식과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말씨를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며, 또 입으로 나쁜 맛과 나쁜 말씨를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느니라.
007_0568_c_12L轉入口所貫美味好語言中有五陰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道不閞者墮罪口所貫中味中語言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道不閞者墮罪口所貫惡味惡語言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閞令不動者墮道不閞者墮罪
007_0569_a_01L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의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라 할 수 있음을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며, 또 몸의 중간으로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라 할 수 있음을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며, 또 몸의 추악하고 딱딱하고고통스러워서 몸이라 할 수 없음을 꿰는 그 중에 5음과 습기가 있어서 이를 생사를 꿴다고 하나니, 빗장을 질러서 흔들리지 않는 자는 도에 떨어지고 빗장을 지르지 못하는 자는 죄에 떨어지느니라. 그러므로 보살이 도를 행함에는 반드시 빗장을 질러 흔들리지 않게 해야 하리니, 흔들리는 자는 아직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니라.”
007_0568_c_19L入身身所貫好細軟可身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不閞者墮罪身所貫中細軟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道不閞者墮罪身所貫惡麤堅苦痛不可身中有五陰中有習是爲貫生死閞令不動者墮道不閞者墮佛言菩薩行要當閞令不動動者爲未解
보살들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저희들은 좌선(坐禪)하여서 흔들리지 않게 하겠습니다.”
“좌선했는데 다시 흔들리는가?”
“좌선에서 깨게 되면 다시 흔들립니다.”
“무엇 때문에 다시 흔들리느냐.”
“자연이 흔들립니다.”
“무엇 때문에 자연히 흔들리느냐.”
“저희들도 무슨 인연으로 흔들리는지 이해하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합니다.”
“그러므로 여러 보살들은 아직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니라.”
“원컨대 부처님께서 다시 저희들을 이해시켜 주소서.”
007_0569_a_05L諸菩薩報佛言我曹當坐禪令不動佛問諸菩薩言禪已復動不諸菩薩報佛言禪覺復動佛問諸菩何以故復動諸菩薩言自然動問諸菩薩何以故自然動諸菩薩言我不解不知從何因緣動佛言如是諸菩薩尚未解諸菩薩言願佛當復爲我解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이 선을 하면서도 자연히 자각이 흔들리는 것은 보살에게 백여덟 가지 관생(關生)이 있어서 동(動)과 부동(不動)이 그치지 않는 까닭이니라.”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여러 보살들은 다 머리를 조아리고 받들어 행하였다.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보살의 이러함은 아직 이해했다고는 할 수 없느니라.”
“무엇 때문에 아직 이해하지 못합니까?”
“다만 앉아 있는 보살로서는 본래 백여덟 가지 행(行)을 그쳐서 지키지 못하기 때문이니라.”
보살들은 다 머리를 조아리면서 아뢰었다.
“원컨대 다시 부처님께서 저희들을 이해시켜 주소서.”
007_0569_a_12L佛言菩薩所以禪自然動覺菩薩有百八閞生動不動不止故佛說如是諸菩薩皆稽首受行佛言菩薩如是尚未應解諸菩薩言何以故復未解佛言但坐菩薩有本不止守百八行故諸菩薩皆稽首言願佛當復爲我解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은 마음에 본래 생각하는 바가 많아서 지수(止守; 그쳐서 지킴)하지 못하기 때문에 마음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며, 다시 뜻에 전입하여 뜻에 본래 생각하는 바가 많아서 지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뜻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며, 다시 식(識)에 전입하여 식으로 본래 생각하는 바가 많아서 지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식(識)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니라.
007_0569_a_18L佛言菩薩心本多所不止守故心本罪百八行轉入意本多所念不止守故意本罪百八行轉入識識本多所念不止守故識本罪百八行
007_0569_b_01L그리고 다시 눈에 전입하여 눈은 본래 좋은 색을 보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않기 때문에 눈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고, 또 눈은 본래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색을 보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않기 때문에 눈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고, 또 눈은본래 나쁜 색을 보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않기 때문에 눈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니라.
007_0569_a_22L轉入眼眼本多所見好色不止守故眼本罪百八行眼本多所見中色不止守故眼本罪百八行本多所見惡色不止守故眼本罪百八行
다시 귀에 전입하여 귀는 본래 좋은 소리를 듣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않기 때문에 귀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고, 또 귀는 본래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소리를 듣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않기 때문에 귀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고, 또 귀는 본래 나쁜 소리를 듣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않기 때문에 귀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니라.
007_0569_b_03L轉入耳耳本多所聞好聲不止守故耳本罪百八行耳本多所聞中不止守故耳本罪百八行耳本多所聞惡聲不止守故耳本罪百八行
다시 코에 전입하여 코는 본래 좋은 냄새를 맡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않기 때문에 코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고, 또 코는 본래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를 맡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코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고, 또 코는 본래 나쁜 냄새를 맡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코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니라.
007_0569_b_06L入鼻鼻本多所聞好香不止守故本罪百八行鼻本多所聞中香不止守故鼻本罪百八行鼻本多所聞惡不止守故鼻本罪百八行
다시 입에 전입하여 입은 본래 맛난 음식과 좋은 말씨를 얻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입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고, 또 입은 본래 맛있지도 없지도 않은 음식과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말씨를 얻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않기 때문에 입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고, 또 입은 본래 나쁜 맛과 나쁜 말씨를 얻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입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니라.
007_0569_b_10L轉入口口本多所得美味好語言不止守故口本罪百八行口本多所得中味中語言不止守故口本罪百八行口本多所得惡味惡語言不止守故口本罪百八行
다시 몸에 전입하여 몸은 본래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라 할 수 있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몸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고, 또 몸은 본래 중간으로 좋고 정밀하고 부드러워서 몸이라 할 수 있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몸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고, 또 몸은 본래 추악하고 딱딱하고 고통스러워서 몸이라 할 수 없는 것이 많아서 지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몸의 본래 죄가 백여덟 가지 행이니라.”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여러 보살들은 다 기뻐하면서 받들어 행하였다.
007_0569_b_15L轉入身身本多所得好細軟可身不止守故身本罪百八行本多所得中細軟不止守故身本罪百八行身本多所得惡麤堅苦痛不可身不止守故身本罪百八行佛說如是諸菩薩皆歡喜受行

대방등대집경 제59권
007_0569_b_20L大方等大集經卷第五十九
007_0569_c_01L
이 경의 59권 이하로 2권이 거란 장경에는 없다. 그 때문에서로 대조해서 교감할 수가 없다. 그런데 국본(國本)과 송본(宋本) 두 본의 이 58권 중에 모두 세 구절의 문장에서 문맥이 끊어지고 의미가 단절되어 이해를 취하기 어려운 곳이 있다.
첫 번째는 제9폭 17행 중에서 “오음(五陰)이 있고 그 중에 …… 있어”라고 한 문장 다음에 바로 “맛이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은 음식을 먹고,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말을 하여”라고 한 것이다. 두 번째는 제10폭 21행에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상호를 갖추지 못한 사람은 자신도 …… 하지 못하거늘’”이라 한 문장 다음에 바로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말하기를 ‘나는 죄가 없다’고 한다”라고 한 것이다. 세 번째는 제12폭 2행에서 “이것을 전도(顚倒)라고 한다. 입이 ……”라고 한 문장 다음에 바로 “부처가 될 수 (없다) …… 어떻게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부처가 되게 할 수 있으리오.”라고 한 것이다. 이것이 세 구절에서 문맥이 끊어진 곳이다.
007_0569_b_21L此經自下二卷則丹藏所無故今無可相挍而宋鄕二本此卷之中皆有三節之文文斷義絕難取解處第一第九幅十七行云有五陰中有之下便云所多得中味中語言等第二第十幅二十一行云言相未具者自不之便云習自言我無罪等第三第十二幅二行云是爲顚倒口之下便云能得佛何能使人得佛是爲三節文斷處
지금 『명도경(明度經)』에 준거해보면 이 중에 두 본이 모두 잘못되어 있다.“이것을 전도라고 한다. 입이 ……”라고 한 문장 다음에 있어야 할 “맛이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은 음식을 먹고 좋지도 나쁘지도 않을 말을 하여”라고 한 것과 “상호를 갖추지 못한 사람은 자신도 …… 하지 못하거늘”이라고 한 것 등 모두 27행 총 379자가 앞으로 가서 “오음이 있고 그 중에 …… 있어”라고 한 문장 다음에 쓰여져 있고, 도리어 “오음이 있고 그 중에 …… 있어”라고 한 문장 다음에 있어야 할 “습기(習氣)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말하기를 ‘나는 죄가 없다’고 하여”라고 한 것과 “이것을 전도라고 한다. 입이 ……”라고 한 것 등 모두 27행 총 376자가 뒤로 가서 “상호를 갖추지 못한 사람은 자신도 …… 하지 못하거늘”이라고 한 문장 다음에 쓰여져 있다. 세 구절의 문장이 이렇게 놓여 있어서 문맥이 끊어지고 의미가 단절된다. 지금 『명도경(明度經)』2)에 의거하여 진퇴시켜서 바로잡고 또 구본인 국본과 송본 장경을 보는 사람들을 위해서 바로잡은 문장을 다음에 간략하게 수록한다.
007_0569_c_10L今准『明度經』此中二本皆錯將是爲顚倒口之下所多得中味中語言乃至相未具者自不等凡二十七行摠三百七十九字進而寫之于五陰中有之下卻將五陰中有之下習自言我無罪乃至是爲顚倒口等凡二十七行摠三百七十六字退而寫之于相未具者自不之下致令三節之文文斷義絕今依『明度經』進退而正又爲看舊鄕宋藏者略錄正文于
“그 중에 오음(五陰)이 있고 그 중에” …… 라고 한 문장 다음에 바로 “습기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말하기를 ‘나는 죄가 없다’고 한다.” 내지 “이것은 전도된 것이다. 입으로” …… 라고 한 문장 다음에 바로 “입으로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은 음식을 많이 먹고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은 말을 많이 하여” 내지 “아직 상호를 갖추지 못한 사람도 스스로” …… 라고 한 문장 다음에 바로 “자신도 불도를 얻지 못하는데 어떻게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불도를 얻게 할 수 있겠느냐?”라고 하였다.
007_0569_c_20L中有五陰中有便云習自言我無罪至是爲顚倒口便云所多得中味中語乃至相未具者自不便云能得佛能使人得佛云云
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007_0570_a_01L
  1. 2)『대명도경(大明度經)』 ⓢĀrya-aṣṭasāhasrikāprajñāpāramitā-sūtra. 6권. 오(吳)나라 때(223~253) 지겸(支謙)이 번역하였다. 『대명경(大明經)』, 『명도경(明度經)』, 『대명도무극경(大明度無極經)』 등이라고도 한다. 이역경으로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의 제4회 및 제5회, 『도행반야경(道行般若經)』,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마하반야초경(摩訶般若鈔經)』, 『불설불모보덕장반야바라밀경(佛說佛母寶德藏般若波羅蜜經)』,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佛說佛母出生三法藏般若波羅蜜多經)』, 『소품반야바라밀경(小品般若波羅蜜經)』 등이 있다. 전체 30품으로 반야부 계통에 속한다. 반야 사상의 핵심을 밝히는 중요한 경전이다. 이 경에서 사용된 번역어는 다른 경전과 뚜렷한 차이가 있다. 반야바라밀다를 명도무극(明度無極), 지도무극(智度無極)이라 하였고, 보살을 개사(闓士), 수보리(須菩提)는 선업(善業), 사리자(舍利子)를 추로자(秋露子) 등으로 번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