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13_1315_a_01L차마바제수기경(差摩婆帝授記經)


원위(元魏) 보리류지(菩提流支) 한역(漢譯)
김철수 번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부처님께서는 왕사성(王舍城)의 기사굴산(耆闍崛山)에서 큰 비구들 2만 명과 함께 계셨다. 많은 보살들도 있었으니, 미륵보살과 문수사리 등 여러 큰 보살들이었다.
그때 세존께서는 이른 새벽에 옷을 갖추어 입으신 다음 발우를 드셨다. 미륵보살이 바로 뒤따르며 수행하였고, 함께 왕사대성(王舍大城)으로 들어가 탁발을 하시다가, 마침내 빈바사라(頻婆娑羅)대왕의 궁전에 이르러 들어가려고 하셨다.
그때 빈바사라대왕의 부인인 차마바제(差摩婆帝)가 층층으로 지어진 누각 위에 있는 것이 보였다.
그 부인은 세존을 바라보자 마음이 더욱 청정해져 누각에서 내려와 매우 값비싼 옷감인 파도나(波都拏)를 깔았다. 여래께서는 그 위에 앉으셨고, 미륵보살은 니사단(尼師壇)1)에 앉았다.
세존과 미륵보살 두 분이 모두 자리하시고 나자 왕의 부인 차마바제는 갖가지 장엄구로 그 몸을 장엄하고 세존의 발에 예를 올렸고, 아울러 미륵보살에게도 예를 올려 공경하였다. 그녀는 세존 앞으로 나아가 용모를 단정히 하고 바르게 앉아서 마음으로 공경하는 마음을 내어 설법을 듣고자 하였다.
그때 세존께서는 왕의 부인 차마바제가 일체의 장엄구로 몸을 장엄한 것을 보시고는, 일체 중생을 이익되게 하고 모든 중생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것임을 아시고 차마바제부인에게 물으셨다.
“차마바제여, 그것을 일컬어 무슨 나무라 하는가? 그대의 몸에 지금 걸치고 있는 이와 같은 과실은 제일가는 빛깔이 있고, 단엄(端嚴)하며, 뛰어나게 오묘하구나.”
그때 왕의 부인 차마바제가 게송으로 대답하였다.

제일가는 대장부께서
아시는 까닭에 저에게 물으시길
‘그 나무는 무슨 나무이기에
그대가 이와 같은 과실을 걸치고 있는가?’ 하시네.

그 나무의 이름은 복혜(福慧)이며
제가 지난 세상에서 심었던 것입니다.
이 과실은 그 나무의 것이기에
제가 지금 이와 같이 먹고 있습니다.

또한 이미 그 나무를
바르게 깨달은 성문(聲聞)의 땅에 심었기에
보살도에 편안히 머물러
정각자(正覺者)의 땅을 구하였습니다.

계(戒)의 청정한 물로 적셔
그 나무를 자라나게 하니
그 나무가 다 자라나서
이 단엄(端嚴)한 과실을 맺었습니다.

인욕(忍辱)과 정진력(精進力)이
이 나무를 자라게 할 수 있으니,
이 나무가 다 자라게 되면
이 티 없는 과실을 맺는 것입니다.

선혜(禪慧)는 꽃을 피게 하여
이 나무를 단아하게 장엄하니
제가 지금 이 과실을 먹는 것은
세존께서 보시는 바와 같습니다.

예컨대 나무와 숲과 과실 등은
모든 것을 산에 의지하며
가지나 잎사귀 등이 자라나
위아래가 모두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이 큰 나무도
제가 전세(前世)에 잘 심은 것이니
모든 중생을 이익되게 하여
모든 불법(佛法)을 얻기 위해서였습니다.

이와 같은 복덕(福德)의 나무에서
저는 오로지 그 꽃만을 원하였으나
지금 또한 이것을 먹으니
과실은 오히려 뒤에 있는 것입니다.

제일가는 보리(菩提)의 과실은
위없는 부처님의 보리이니
부녀자들이나 열등한 몸을 가진 이들에게 베풀어
후에 반드시 그 과실을 얻게 할 것입니다.

저는 마땅히 대장부가 되고
중생 가운데 상품(上品) 중의 상품이 되어
모든 법을 증득하고 피안에 이르러
일체지(一切智)로 두루 살펴볼 것입니다.

저는 중생들이
일체의 괴로움과 두려움을 벗어나
모두 저에게 귀의하게 하리니
일체의 중생들을 가엾이 여기겠습니다.

그때 세존께서 왕의 부인 차마바제에게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차마바제여.
그대는 이와 같이 많은 사람들을 이익되게 하고, 많은 사람들을 안락하게 하며, 세간 사람들을 연민하고, 또한 일체의 대중과 천상, 인간 등을 이롭고 안락하게 하는구나.”
그때 왕의 부인 차마바제가 부처님께서 찬탄하신 말씀을 듣고 나서, 세존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몸은 32가지 대장부의 모습과 80종호(種好)를 갖추었으니, 어떤 인연으로 열 가지 여래의 힘[如來十力]2)과 네 가지 두려움 없음[四無所畏]3)과 네 가지 걸림 없음[四無礙]4)을 얻을 수 있습니까? 또한 18 가지 2승(乘) 등이 함께 할 수 없는 부처님의 법[十八不共佛法]5)과 지극한 자(慈)ㆍ비(悲)ㆍ희(喜)ㆍ사(捨)6) 등의 이와 같이 갖가지 한량없고 비견할 수 없고 말로는 다할 수 없는 무수한 불법은 어떻게 생기는 것입니까?”
왕의 부인 차마바제가 이와 같이 여쭙고 나자, 부처님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나 또한 그와 마찬가지로
지난 세상[往世]에 이 나무를 심어
중생을 이롭게 하고
바르게 깨닫는 지혜[正覺智]를 희구했다.

보시ㆍ지계ㆍ인욕과
정진ㆍ선(禪)을 닦아 모았으며
다시 일체의 시간에
항상 선혜(善慧)를 익혔다.

모든 중생에 대하여
일찍이 악한 마음을 내지 않았고
늘 평등한 마음을 행하여
오늘날 성불하게 되었다.

항상 좋아하는 것이든 좋아하지 않는 것이든
착한 벗이든 원수이든 평등하게 대하여
평등한 마음을 얻고 나면
복덕의 나무가 자라나게 된다.

나의 이 몸이라는 큰 나무는
한량없는 공덕을 지니고 있으므로
일찍이 전륜성왕이 되기도 하였고
또한 제석왕이 되기도 하였다.

다시 대범왕(大梵王)이 되어
갖가지 많은 부귀와 즐거움과
불가사의한 불법과
32상(相) 등을 지금 다시 얻었다.
왕의 부인 차마바제가 부처님께서 이와 같은 여러 공덕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나서, 곧 찬탄하였다.
“훌륭하십니다.
세존께서 하신 말씀은 지극한 기쁨을 낳습니다.”
곧 여래를 향하여 게송으로 말하였다.

뛰어난 사람 가운데 가장 뛰어난 분께
이와 같이 수순(隨順)하여 배우니
근본을 배움은 훌륭한 배움이어서
가없는 공덕의 바다입니다.

제가 이제 부처님 법을 배웠으니
온갖 공덕으로 피안(彼岸)에 이르고
마땅히 생사의 괴로움을 떠나
이와 같은 모니(牟尼)의 지위를 얻을 것입니다.

저는 본래 태어난 모든 곳에서
일찍이 보시를 행하였으니
바라건대 저 일체의 복으로
부처님의 무등지(無等智)를 얻었으면 합니다.

과거와 현재에 태어나는 모든 곳에서
저는 금계(禁戒)를 수호하고 간직하였으니
바라건대 저 일체의 복으로
반드시 여래의 지혜[如來智]를 얻었으면 합니다.

저는 인욕과 정진과
삼매와 반야 등을 닦았으니
바라건대 이와 같은 일체로
모두 부처님 법을 성취하였으면 합니다.

저는 몸과 입과 마음의 업으로
온갖 선행(善行)을 닦았으니
바라건대 큰 보리를 얻어
부처님의 지혜와 공덕을 구했으면 합니다.

저는 부녀자의 몸을 버리고
뛰어난 대장부의 몸을 얻으며,
저 장부의 몸을 얻고 나서는
다음으로 부처님의 몸을 얻었으면 합니다.

뛰어난 보리를 얻고 나면
위없는 법륜(法輪)을 굴려서
생사의 지옥에 매여 있는
중생들을 벗어나게 하겠습니다.

그때 세존께서는 왕의 부인 차마바제에게 게송으로써 그녀의 훌륭함을 찬탄하였다.

훌륭하구나, 이렇게 말하다니.
훌륭하구나, 마음속 착한 바람이여,
그대는 마땅히 마(魔)를 깨부수고
정각을 이룰 것이다.

그때 왕의 부인 차마바제는 세존께서 직접 수기(授記)하시는 것을 듣고서, 너무 기뻐 뛰어난 마음을 일으켜 결정적인 마음[決定意]을 내었고, 많은 것들로 부처님을 받들었으니, 거타니식(佉陀尼食)7)ㆍ포사니식(蒲闍尼食)8)ㆍ사타니식(娑陀尼食) 등을 공양하여 모든 것들이 풍족하였다.
이와 아울러 미륵보살마하살에게도 음식을 받들어 공양하였다.
그때 세존께서는 음식을 드셨고, 다 드신 뒤에는 발우를 놓고 손을 씻으셨으며, 손을 씻으신 뒤에는 왕의 부인 차마바제를 위하여 다시 법을 설하셔서, 보이시고 가르치시고 권하시고 인도하시어 환희하게 하신 다음 수기(授記) 하시면서 말씀하셨다.
“차마바제여, 그대는 미래에 무량겁(無量劫)을 지나 마땅히 부처가 될 것이니, 그 명호는 공덕보승(功德寶勝) 여래ㆍ응공(應供)ㆍ정변지(正遍知)ㆍ명행족(明行足)ㆍ선서(善逝)ㆍ세간해(世間解)ㆍ무상사(無上士)ㆍ조어장부(調御丈夫)ㆍ천인사(天人師)ㆍ불세존(佛世尊)이다.
그대의 부처님 세계는 제일로 청정하고, 악도(惡道)나 괴로운 일이 없을 것이며, 마음이 기쁘고 즐겁고 장엄(莊嚴)이 오묘하여 제일가는 청정한 보살의 처소가 될 것이니, 이와 같이 장엄하고 청정한 부처님의 세계를 그대는 마땅히 얻을 것이다.”
부처님께서 이와 같은 법문을 설하실 때 수천 명의 많은 우바새들이 모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냈으며, 인간과 천상 세간(世間)의 수천 명의 중생들이 법에 대해 의심하지 않고 수순(隨順)하는 마음을 내었다.
여래께서 말씀을 마치시니, 차마바제와 미륵보살 등 일체의 운집한 대중들과 아울러 천상ㆍ인간 및 아수라ㆍ건달바 등이 세존의 말씀을 듣고 모두 크게 기뻐하였다.
013_1315_a_01L差摩婆帝授記經元魏北印度三藏菩提流支譯如是我聞一時佛住王舍城耆闍崛山中與大比丘衆二十千人俱多有諸菩薩謂彌勒菩薩文殊師利等諸大菩薩衆爾時世尊於晨朝時著衣持鉢彌勒菩薩相隨俱入王舍大城而行乞食遂爾往到頻婆娑羅大王宮殿到已欲入爾時卽見頻婆娑羅大王夫人差摩婆帝在重樓上旣見世尊心更淸淨從樓而下敷大價衣名波都拏如來坐上彌勒菩薩坐尼師壇爾時世尊彌勒菩薩二俱坐已夫人差摩婆帝一切莊嚴莊嚴其身禮世尊足幷卽禮敬彌勒菩薩於世尊前斂容正坐心生敬重欲聞說法爾時世尊見王夫人差摩婆帝一切莊嚴莊嚴身已爲欲利益一切衆生饒益一切諸衆生故知而故問差摩婆帝王夫人言差摩婆帝彼名何樹汝身今著如是色果第一光明端嚴殊妙王夫人差摩婆帝以偈答曰第一大丈夫 知而故問我 彼樹名何樹汝著如是果 彼樹名福德 我於往世種此果是彼果 我今如是食 又已種彼樹於正覺聲聞 安住菩提道 求正覺者地施戒水濕潤 令彼樹增長 彼樹增長已生此端嚴果 忍辱精進力 能增長彼樹彼樹增長已 生此無垢果 禪慧開敷花令彼樹端嚴 我今食此果 如世尊所見如樹林果等 一切依止山 枝葉等增長上下皆不動 如是彼大樹 我前世善種利益諸衆生 爲得諸佛法 如是福德樹我此唯其花 我今且爾食 果猶故在後第一菩提果 無上佛菩提 捨婦女劣身後必得彼果 我當得丈夫 衆生中上上一切法彼岸 一切智遍見 我解脫衆生一切苦怖畏 一切當歸我 愍一切衆生爾時世尊告王夫人差摩婆帝作如是言善哉善哉差摩婆帝汝能如是利益多人安樂多人憐愍世閒饒益安樂一切大衆諸天人等王夫人差摩婆帝聞佛讚已白言世尊世尊此身三十二種大丈夫相八十種好何因緣得十如來力四無所畏及四無礙復有十八不共佛法大慈大悲大喜大捨如是種種無量無等不可說盡無數佛法從何而生時王夫人差摩婆帝如是問已佛說偈言我亦復如是 往世種彼樹 爲利益衆生悕求正覺智 修行施戒忍 精進禪和集復於一切時 恒常習禪慧 於一切衆生不曾起惡心 常行平等心 今日得成佛常於愛不愛 善友怨平等 得平等心已福德樹增長 我此身大樹 攝無量功德曾爲轉輪王 亦作帝釋王 復作大梵王種種多富樂 不思議佛法 相等今復得王夫人差摩婆帝聞說如是諸功德已讚言善哉於世尊語極生隨喜卽向如來而說偈言如勝人中勝 如是隨順學 如本學善學無邊功德海 我今學佛學 諸功德彼岸當離生死苦 得如是牟尼 我本諸生處曾修行布施 願彼一切福 得佛無等智過現諸生處 我護持禁戒 願彼一切福當得如來智 我修忍精進 三昧般若等願如是一切 皆成就佛法 我身口意業所修行諸善 願得大菩提 求佛智功德我捨婦女體 得勝丈夫身 得丈夫身已次第得佛身 得勝菩提已 轉無上法輪與縛生死獄 衆生除解脫爾時世尊爲王夫人差摩婆帝偈說善哉而讚之言善哉此語說 善哉心善願 汝當破壞魔而得成正覺時王夫人差摩婆帝旣蒙世尊現自授記聞已歡喜起勝上心生決定意多奉世尊佉陁尼食蒲闍尼食娑陁尼食事事豐足如是幷奉彌勒菩薩摩訶薩食爾時世尊旣食食已離鉢洗手旣洗手已爲王夫人差摩婆帝復更說法示已教已勸已導已令歡喜已與授記言差摩婆帝汝於未來過無量劫當得作佛號曰功德寶勝如來應正遍知明行足善逝世閒解無上士調御丈夫天人師佛世尊汝佛世界第一淸淨無有惡道苦惱之事心喜心樂莊嚴殊妙第一淸淨菩薩住處如是嚴淨佛之世界汝當得之佛說如是法門之時有多千數諸優婆塞一切皆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多千衆生人天世閒於法不疑得隨順心如來說已差摩婆帝彌勒菩薩一切衆會幷諸天人及阿修羅乾闥婆等聞世尊說皆大歡喜差摩婆帝授記經辛丑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 비구가 앉거나 누울 적에 땅에 펴서 몸을 보호하며, 또 와구(臥具) 위에 펴서 와구를 보호하는 네모진 깔개.
  2. 2)여래의 10력(力)이란, 첫 번째는 바른 도리와 이치에 맞지 않는 도리를 분별하는 능력인 처비처지력(處非處智力)이고, 두 번째는 선악(善惡)의 업과 그 과보를 여실하게 아는 능력인 업이숙지력(業異熟智力)이며, 세 번째는 4선(禪)ㆍ8해탈(解脫)ㆍ3삼매(三昧)ㆍ8등지(等至) 등 여러 선정(禪定)을 체득ㆍ숙련하는 능력인 정려해탈등지등지력(靜慮解脫等持等智力)이고, 네 번째는 중생의 근기의 높고 낮음과 우열을 여실하게 아는 능력인 근상하지력(根上下智力)이며, 다섯 번째는 중생의 여러 의욕을 여실하게 아는 능력인 종종승해지력(種種勝解智力)이고, 여섯 번째는 중생계의 차별을 여실하게 아는 능력인 종종계지력(種種界智力)이며, 일곱 번째는 수행의 방법과 그 도의 진행 결과를 여실하게 아는 능력인 변취행지력(遍趣行智力)이고, 여덟 번째는 중생의 과거세의 운명을 바로 아는 능력인 숙주수념지력(宿住隨念智力)이며, 아홉 번째는 중생의 미래세의 운명을 바로 아는 능력인 사생지력(死生智力)이고, 열 번째는 일체의 번뇌나 장애가 다하여 불도를 획득하는 지혜의 능력인 누진지력(漏盡智力)이다.
  3. 3)부처님께서 어느 누구에게든 견고함으로 어떠한 문답이나 논의든 당당하게 논파하는 네 가지 것을 말한다. 첫 번째 일체지무외(一切智無畏)란 일체를 아는 자로서의 부처님의 자신감을 말하고, 두 번째 누진무외(漏盡無畏)란 일체의 번뇌와 장애를 끊는 부처님의 자신감을 말하며, 세 번째 설장도무외(說障道無畏)란 번뇌나 업 등의 장애를 설하는 데 있어 자재하신 부처님의 자신감이고, 네 번째 설진고도무외(說盡苦道無畏)란 번뇌나 괴로움을 제거하기 위한 3학(學)의 수행방법을 설하는 데 있어 자재하신 부처님의 자신감이다.
  4. 4)자유자재하여 걸림이 없는 이해능력과 언어로써 표현하는 능력으로 4무애지(無礙智), 또는 사무애해(事無礙解)라고도 한다. 즉 첫째는 법무애(法無礙)이고, 둘째는 의무애(義無礙)이며, 셋째는 사무애(詞無礙)이고, 넷째는 변무애(辨無礙)이다.
  5. 5)18불공법은 일반적으로 말해서 첫째는 신업(身業)의 과실이 없음이고, 둘째는 구업(口業)의 과실이 없음이며, 셋째는 의업(意業)의 과실이 없음이고, 넷째는 일체 중생에게 평등하게 대하는 마음이며, 다섯째는 중생의 불안한 마음을 제거해 줌이고, 여섯째는 알지 못하는 중생도 버리지 않는 마음이니, 이상의 여섯 항목은 계학(戒學)에 따른 무주열반(無住涅槃)의 원인이다. 일곱째는 무주열반에 대한 무너지지 않는 청정한 믿음이 있음이고, 여덟째는 무주열반에의 의지가 감퇴하지 않음이며, 아홉째는 정진을 게을리 하지 않음이고, 열 번째는 중생을 이익되게 하는 지혜가 감소하지 않음이며, 열한 번째는 대승의 해탈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정진함이고, 열두 번째는 중생이 무상열반(無上涅槃)에 들어가고자 하는 노력이 감퇴하지 않게 함이니, 이상 여섯 항목은 정학(定學)에 따른 무주열반의 원인이다. 열세 번째는 신업(身業)이 지혜를 따라 행함이고, 열네 번째는 구업(口業)이 지혜를 따라 행함이며, 열다섯 번째는 의업(意業)이 지혜를 따라 행함이고, 열여섯 번째는 과거의 법에 대해 집착함이 없고 얻었다는 생각이 없어 그 지견(知見)이 자유자재함이며, 열일곱 번째는 미래의 법에 대해 집착함이 없고 얻을 것이라는 생각이 없어 그 지견이 자유자재함이고, 열여덟 번째는 현재의 법에 대해 집착함이 없고 얻는다는 생각이 없어 그 지견이 자유자재함이니, 이상 여섯 항목은 혜학(慧學)에 따른 무주열반의 본체이다.
  6. 6)4무량심(無量心) 또는 4등심(等心)이라고 하며, 자(慈)ㆍ비(悲)ㆍ희(喜)ㆍ사(捨)의 마음으로 한량없는 중생들을 인도하여 괴로움을 여의고 즐거움을 얻도록 하는 불보살의 마음을 말한다.
  7. 7)부정식(不正食)이라 한다. 비구에게 금지된 5가지 먹을거리로, 뿌리・줄기・잎・꽃・부드럽게 갈은 음식을 말한다. 이것은 비구가 먹어서는 안 되는 음식이 아니라 먹어도 쉽게 배부르지 않기 때문에 정식(正食)에 대해 이렇게 말한 것이다.
  8. 8)5가지 정식(正食)을 말하니, 보릿가루・밥・말린 밥・생선・고기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