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15_0459_b_01L전법륜경우바제사번역기[轉法輪經憂婆提舍飜譯之記]
015_0459_b_01L轉法輪經憂波提舍飜譯之記


『전법륜경』은 여래가 처음으로 말씀하신 경전이다. 우바제사1)는 해설서[義門]의 이름으로 천친보살이 개시(開示)한 것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은 누구를 위해서인가? 교진여 등을 위해서이니, 그 뜻이 이 땅(중국)에 행해지려면 반드시 그 사람을 위주로 하는 것이다. 위(魏)의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어사중위(御使中尉) 발해(渤海)의 고중밀(高仲密)이 올바른 인사를 잘 구해서 참된 것을 선택하고 거짓된 것을 가려냈기 때문에 법사 비목지선(毘目智仙)을 청하였으니, 그 제자 구담류지(瞿曇流支)와 함께 업성(鄴城) 안에 있는 금화사(金華寺)에서 이 해설서 우바제사를 번역한 것이다. 흥화(興和) 3년 세차(歲次) 대량(大梁) 건유(建酉)의 삭차(朔次) 경자(庚子) 11일에 번역하였으며 3,942자이다.
사문 담림(曇林)이 대역(對譯)하고 기록하다.
015_0459_b_02L轉法輪經如來初說憂波提舍義門之名天親菩薩之所開示佛說爲誰憍陳如等義行此方必主其人魏驃騎大將軍開府儀同三司御史中尉勃海高仲密善求義方選眞簡僞請法師毘目智仙幷其弟子瞿曇流於鄴城內在金華寺出此義門憂波提舍興和三年歲次大梁建酉之月朔次庚子十一日譯三千九百四十二言沙門曇林對譯錄記


전법륜경우바제사(轉法輪經憂婆提舍)2)
015_0459_b_12L轉法輪經憂波提舍有釋論無經本


천친보살(天親菩薩) 지음
비목지선(毘目智仙) 한역
김호성 번역
015_0459_b_13L天親菩薩造元魏天竺三藏毘目智仙譯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에 바가바께서 왕사성의 기사굴산 가운데 머무셨는데, 대비구승(大比丘僧)ㆍ대보살(大菩薩)과 함께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 지원대해요설변재보살(智員大海樂說辯才菩薩)에게 말씀하셨다.
“지원대해요설변재여, 두 가지의 머무름[住持]이 있으므로 여래는 법륜을 굴리는 것이다. 어떤 것이 두 가지인가? 첫째는 중생에 머무르는 것이며, 둘째는 법에 머무르는 것이다. 지원대해요설변재여, 이러한 두 가지에 머무름이 있으므로 여래는 법륜을 굴리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수다라3)가 다하도록 말씀하셨다.
015_0459_b_14L如是我聞一時婆伽婆住王舍城耆闍崛山中與大比丘僧大菩薩衆俱爾時世尊告智員大海樂說辯才菩薩言智員大海樂說辯才有二種住持如來轉法輪何等爲二一者衆生住持二者法住持智員大海樂說辯此二種住持如來轉法輪乃至盡此修多羅說
015_0459_c_01L이 올바른 법륜의 뛰어난 수다라4)는 무슨 까닭에 저 모니왕(牟尼王)의 생각할 수 없고, 칭할 수 없고, 설명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으며, 비유할 수 없고, 마치 허공처럼 끊어지지도 않고 항상하지도 않고, 인연에 수순해 들어가고[順入], 적정(寂靜)하고, 잘 적정하며[勝寂靜], 가장 잘 적정하며[最勝寂靜], 제일 적정하며[第一寂靜], 진실한 진리처럼 허망하지 않아서 여래께서 위없는 법륜을 굴려 이 수다라를 말씀하시는가? 여래의 제자ㆍ성문의 사람ㆍ성문의 제자ㆍ모든 선인(仙人)들이 칭찬하는 바이니, 이러한 인연 때문에 내가 이제 해석하는 것이다.
015_0459_b_22L此正法輪勝修多羅以何義故彼牟尼王不可思議不可稱不可說不可不可喩如虛空不斷不常順入因寂靜勝寂靜最勝寂靜第一寂靜如實諦不虛妄如來轉無上法輪此修多羅如來弟子聲聞之人聲聞弟子諸仙人等之所讚歎此因緣故我今解釋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한량없는 공덕의 대모니왕(大牟尼王)은 무슨 까닭으로 이와 같이 생각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으며, 가장 적정하며, 훌륭하며, 더러움이 없는 법륜을 굴리시는가?
첫 번째, 무슨 까닭에 ‘뛰어난 수다라’라고 부르는가? 두 번째, 무슨 까닭에 세존이라고 부르는가? 본래 세 번째는 없다.5) 네 번째, 여래는 무엇 때문에 왕사성 기사굴산에 계시면서 두 가지에 머물러 지니며[住持] 이 법륜을 굴리셨고 다른 곳에는 계시지 아니하였는가? 다섯 번째, 무슨 까닭에 여래라고 부르는가? 여섯 번째, 무슨 까닭에 법륜이라고 부르는가? 일곱 번째, 또 다시 세존께서는 몇 번 굴리시고 몇 번 행하면서 법륜을 굴리는가?
015_0459_c_08L云何解釋無量功德大牟尼王何故轉此不可思議不可稱量第一寂靜善無垢輪以何義故勝修多羅以何義故名爲世尊本元少第三法如來何故在王舍城耆闍崛二種住持轉此法輪不在餘處以何義故名爲如來以何義故名爲法輪又復世尊幾轉幾行而轉法輪
여덟 번째, 또 다시 세존께서는 여기서 법륜을 굴림을 설하시는데, 무엇 때문에 ‘여래의 나지 않는 법문’에는 모든 법을 굴리지도 않으며 돌리지도 않는다[不轉不廻]고 말하는가? 마땅히 이와 같이 안다면 끝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만약 여기서 굴리는 것이라면 어떻게 저 수다라를 피할 수 있는가? 저 수다라는 피해서는 안 된다.6) 아홉 번째, 또한 만약 여기에서 중생의 주지(住持)를 말한다면 법의 주지란 것은 어떠한가? 『반야바라밀경』7) 중에서, “여래는 저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여래가 설사 겁을 지나도록 중생을 말하더라도 중생이 자못 있어서 중생이 생하고 멸하는가?’ 수보리가 말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모든 중생은 무시이래(無始以來)로 청정합니다.’”
015_0459_c_16L又復世尊此中說轉何故如來不生法門說一切法不轉不迴如是知畢竟不起若此轉者云何得避彼修多羅彼修多羅則不須避又若此說衆生住持法住持者云何般若波羅蜜中如來告彼須菩提言如來設復經劫說言衆生衆生頗有衆生生滅不耶須菩提言不也世尊一切衆生無始來淨
015_0460_a_01L여래가 다시 『무구명칭수다라(無垢名稱修多羅)』에서 말씀하셨다.
“만약 법상(法想)에 머무른다면 이것은 큰 병이다.”8)
만약 중생과 법을 모두 얻을 수 없다면 세존께서는 어떻게 주지하면서 법륜을 굴리는가? 이것이 해석되어야 한다. 열 번째, 또 다시 세존께서는 무슨 까닭으로 저 넓고 갖가지 뛰어나며 오묘한 꽃과 나무로 장엄된, 한량없이 많은 뛰어난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을 버리고서 바라나(波羅奈)의 사람이 적은 곳인 파타리수(波吒離樹) 그림자 아래의 사슴동산에서 법륜을 굴리시는가? 이러한 인연 역시 해석되어야만 한다. 열한 번째, 또 다시 세존께서는 어느 곳에 처음 앉으셔서 법륜을 굴리시는가? 열두 번째, 또다시 세존께서 법륜을 굴리실 때에 얼마나 많은 중생이 악을 버리고 선을 행하였는가? 열세 번째, 요점만 말하면 어떻게 중생의 주지와 법의 주지를 나타내 보이는가? 열네 번째, 이는 모두 어렵다.9)
이제부터는 해석이니, 저 법을 이제 말한다.
015_0460_a_01L如來復於無垢名稱修多羅說若住法想此則大病若衆生法皆不可得然則世尊何所住持而轉法輪此須解釋又復世尊以何義故捨彼寬博種種勝妙華樹莊嚴無量勝人多衆集處於波羅奈少人衆處在波咤離樹影蔭下鹿苑之中而轉法輪此之因緣亦須解十一又復世尊何處初坐而轉法十二又復世尊轉法輪時幾許衆生捨惡行善十三以要言之示現云何衆生住持及法住持十四此皆是難自下解釋彼法今說
무슨 까닭에 그렇게 가장 뛰어나며, 더러움이 없으며, 넓고 헤아릴 수 없으며, 생각할 수 없으며, 무너뜨릴 수 없으며, 매우 깊고, 움직이지 않는 정각(正覺)인가? 세존께서 이 경전을 말씀하신 뒤에 또 다시 이제 뛰어나고, 더러움이 없으며, 넓으며, 헤아릴 수 없음을 말씀하시니, 삼계의 중생이 찬탄하는 세존께서는 무엇 때문에 이러한 헤아릴 수 없고 모든 허물을 여읜 뛰어난 수다라를 말씀하시는 것인가? 이 뜻을 이제 해석한다. 세존께서는 저 모임 중에 있었던 천ㆍ아수라ㆍ사람ㆍ용ㆍ야차ㆍ구반다 등이 법륜 굴리심을 듣고서 세존께서 몇 가지의 주지(住持)로 법륜을 굴리시는지 알지 못할까 마음으로 의심을 낸 것이다. 세존께서는 중생의 의심을 관찰하시고 그 의심을 끊으려 하시니, 이 때문에 두 가지 주지를 말씀하셔서 법륜을 굴리시는 것이다. 이러한 뜻은 어떤가? 게송으로 말한다.
015_0460_a_14L以何義故彼最第一無垢廣博不可稱量不可思議不可破壞甚深不動正覺世尊已說此經又復今說勝無垢廣博不可稱三界衆生所讚世尊何故說此不可稱量離一切過勝修多羅此義今世尊恐彼會中有天阿修羅及夜叉鳩槃茶等聞轉法輪心生疑不知世尊幾種住持而轉法輪尊觀察衆生疑心爲斷彼疑是故爲說二種住持而轉法輪此義云何偈言
015_0460_b_01L
세간의 사람 및 천(天)이
의심스런 마음으로 법주(法主)를 바라보니
의심스런 뜻을 끊어 주려는 뜻으로
이 수다라를 말씀하시네.
015_0460_b_01L世閒人及天
疑心觀法主
爲斷疑義故
說此修多羅

또 다시 세존께는 크게 자비로운 힘이 있어서 중생을 이익되게 하므로 이 경을 말씀하신 것이다. 어떻게 세존의 크게 자비로운 힘이 이러한 뜻을 말씀하시는가? 이제 해설한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모든 중생에게는 중생이 없으며,10) 모든 법이 모두 건달바성(乾闥婆城)11)과 같음을 아신 것이다. 이와 같이 중생의 주지와 법의 주지를 아시고 나서 법륜을 굴리신 것이다. 이러한 뜻은 어떤가? 게송으로 말한다.
015_0460_b_03L又復世尊有大悲力饒益衆生故說此經云何世尊大悲力說此義今說世尊如是於諸衆生知無衆生諸法皆如乾闥婆城如是知已衆生住持及法住持已轉法輪此義云何偈言

세간에는 아(我)가 없으며
허깨비ㆍ건달바와 같은 줄 아시고
중생과 법에 주지하면서
여래는 큰 자비로 말씀하시네.
015_0460_b_08L知世閒無我
如幻乾闥婆
衆生法住持
如來大悲說

자력(自力)을 나타내 보이므로 능히 뜻을 말씀하신다. ‘세간에는 더욱 능히 주지하는 자가 없다’는 것은 오직 부처님만이 두 가지의 주지를 지을 수 있지 어떤 사람도 능히 법륜을 굴릴 수 없다는 것이다. ‘나와 같이 굴린다’라는 것은 다시 다른 뜻이 있다. 게송으로 말한다.
015_0460_b_10L示現自力故能說義世閒更無能住持者唯佛能作二種住持更無有人能轉法輪如我轉者又復有義偈言

하늘의 궁전도 아니고
아수라의 집도 아니며
사람 사는 곳이나 용궁도 아닌데
이러한 중생이 있네.
015_0460_b_13L非是天宮殿
非阿修羅舍
非人處龍宮
有如是衆生

으뜸인데다 헤아릴 수도 없으며
허물을 여의고 세 가지 괴로움을 없애어
천인(天人)이 공경하며 예배하시니
제일륜(第一輪)을 잘 굴리시네.
015_0460_b_15L第一不可稱
離過滅三苦
天人恭敬禮
善轉第一輪

또한 한량없는 괴로움을 한량없이 갖춘 뒤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으므로 처음 행하는 보살이 이를 들으면 마음으로 겁을 낸다. 여래는 그들의 겁을 제거하고자 이러한 뜻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더러움이 없으며 깨끗한 깨달음이 만약 한량없는 괴로움을 한량없이 갖추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면, 한량없는 공덕도 이러한 법륜을 나타낸다. 게송으로 말한다.
015_0460_b_16L又無量苦無量具足然後乃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故始行菩薩若聞是已心生怯弱如來爲欲除彼怯弱示現此義無垢淨覺若無量苦無量具足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無量功德示此法輪偈言

금 구슬과 진주 등과
처자(妻子)와 나라를 보시하고
머리ㆍ눈ㆍ골수와
손과 발 등을 보시하네.
015_0460_b_22L金珠眞珠等
妻子國城施
頭分眼骨髓
手足等施勝
015_0460_c_01L
갖가지 괴로움 속에서도 계율 지키며
드물게 불신(佛身)을 얻으시네.
공덕이 가히 말할 수 없으므로
의심하고 겁내는 사람 위하여 보여 주시네.
015_0460_c_01L種種苦持戒
希有得佛身
功德不可稱
爲疑怯者示

부처님께서는 증상(增上)의 뜻으로 중생들의 마음을 관찰하시고 한량없는 공덕으로 법륜을 굴리신다. 또 다시 아직 보리심을 내지 않은 사람이나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이 열반의 집에 들어가고자 하면, 대승에 주지하여 이러한 뜻을 나타내 보이는 것이다. 또 다시 뛰어난 뜻으로 어떤 성문승이나 연각 등이 열반의 집에 들어간다면 다시는 위없는 법륜을 굴리지 않는다. 게송으로 말한다.
015_0460_c_02L佛增上意觀衆生心無量功德而轉法輪又復未發菩提心人聲聞緣覺欲入涅槃舍大乘住持此義示現又復勝意若有聲聞緣覺等乘入涅槃舍則不復轉無上法輪偈言

작은 마음으로 자비 등을 여의고
두 가지 열반에 들고자 하므로
성자12)께서 이 경전을 말씀하셔서
제일승(第一乘)에 머물게 하네.
015_0460_c_07L小心離悲等
欲入二涅槃
牟尼說此經
令住第一乘

또한 이 복인(福人)을 기쁘게 하며 이익하게 하고자 이러한 뜻을 나타내 보이는 것이다. 모든 세간의 가장 뛰어나며 비할 데 없는 전법륜사(轉法輪師)도 우리 스승만 못하다. 게송으로 말한다.
015_0460_c_09L又此福人歡喜饒益此義示現一切世閒最勝無比轉法輪師無如我師偈言

이미 부처님께 귀의하였으면
지금 귀의하고, 마땅히 다시 귀의하라.
성자[牟尼]께서 그 사람을 기쁘게 하고자
이러한 수다라를 말씀하시네.
015_0460_c_12L若已歸依佛
今歸當復歸
牟尼喜彼人
說此修多羅

만약 다른 외도에 의지하는 사람을 장차 인도하여 이익하게 하고자 하면 이러한 뜻을 나타내 보이는 것이다. 더러움이 없는 공덕으로 장엄하신 오묘한 몸으로 법륜을 굴리시니, 그대의 스승13)은 비교할 수 없다. 그대의 스승은 그대가 무루(無漏)의 선법(善法)을 얻도록 할 수 없다. 게송으로 말한다.
015_0460_c_14L若餘依止外道之人將引饒益此義示現無垢功德莊嚴妙身而轉法輪汝師非比汝師不能令汝獲得無漏善法偈言

악지식(惡知識)에 의지하면
여래가 세간을 보시고
그 사람을 인도하고자
이 보배경전을 말씀하시네.
015_0460_c_18L依止惡知識
如來見世閒
爲引彼人故
爲說此經寶

일체지(一切智)의 교만을 고요하게 하고 이롭게 하고자 이러한 뜻을 나타내 보이는 것이다. 나는 일체지로서 이제 새롭게 위없는 법륜을 굴린다. 어떻게 그대가 일체지의 사람인가? 게송으로 말한다.
015_0460_c_20L一切智慢寂靜饒益示現此義我一切智今者新轉無上法輪云何汝是一切智人偈言
015_0461_a_01L
부처님께서 처음으로 법륜을 굴리시니
능히 단견(斷見)과 상견(常見)의 전도됨을 제거하시네.
청정한 법륜 굴리지 못하면
그는 일체지가 아니네.
015_0460_c_23L佛初轉法輪
能除斷常倒
不能轉淨輪
彼非一切智

넓고 뛰어난 과보를 구하는 위없는 복전(福田)의 이익과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는 과보를 나타내 보여서 능히 시여(施與)한다. 위없는 법륜을 굴릴 수 있는 분이 있다면, 그런 사람에게 보시하면 큰 과보를 얻는다. 게송으로 말한다.
015_0461_a_02L求廣勝果無上福田饒益示現不可思議果報能與若有能轉無上法輪布施彼者得大果報偈言

만약 어떤 사람이
위없고 올바른 법륜을 굴릴 수 있다면
이러한 사람에게 조금만 보시하여도
비교할 수 없는 과보를 얻게 되리라.
015_0461_a_05L若有人能轉
無上正法輪
少施如是人
得無比果報

또한 보살행이 과보의 이익을 얻으므로 이러한 뜻을 나타내 보인다.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이러한 법륜으로 크게 이롭게 할 수 있다. 이미 한량없는 억(億) 나유타(那由他) 백천(百千)의 고행을 행하였으며, 버리기 어려운 것을 능히 버렸다. 비유컨대 바닷물을 다 퍼 올릴 때까지라도 마음은 휴식하지 않는다”고 하셨다. 또 말씀하셨다.
“본생(本生) 때에 마나바14)가 되어서 몸과 처자를 나는 모두 보시하였다.”
015_0461_a_07L又菩薩行得果饒益示現此義世尊說言我此法輪能大饒益已行無量億那由他百千苦行能捨難捨譬如抒海心不休息又言本生作摩那婆身及妻子我皆捨施
또 말씀하셨다.
“본생 때에 범득왕(梵得王)이 되어서 사랑하는 두 아이들을 내가 보시하였지만, 마음에 후회하지 않았다.”
또 말씀하셨다.
“본생 때에 선아왕(善牙王)이 되었는데, 가장 단정한 여인 중에서 이름을 손타리(孫陀利)라고 하는 여인이 뛰어나고 묘했지만 바라문에게 보시하였다.”
또 말씀하셨다.
“덕장왕(德藏王)이 되어서 다라니를 얻었다. 나는 7천 년 동안 한 번도 옆구리를 대고 누워 잠자지 않았다.”
015_0461_a_12L又言本生作梵得王所愛二子我捨布施心不生悔又言本生作善牙王最端正女人中勝妙名孫陁利施婆羅門又言本生作德藏王得陁羅尼我七千年未一脅臥
또 말씀하셨다.
“본생 때에 부사의공덕보덕왕(不思議功德寶德王)의 태자가 되어서 어린 몸으로 모든 논의들을 내가 모두 터득하고 나서 중생을 위하여 말하였다.” 또 말씀하셨다
“본생 때에 신즙선(身汁仙)이 되어서 몸ㆍ손ㆍ발 등이 잘렸지만 화를 내거나 원망하지 않았으며 인욕법을 말하였다.”15)
또 말씀하셨다.
“본생 때에 월광왕(月光王)이 되어서 머리를 내버려 보시하였으나 화를 내거나 원망하지 않았다.”
또 말씀하셨다.
“본생 때에 일체중생소희견왕(一切衆生所喜見王)의 동자가 되었는데, 나는 12년 동안 향식(香食)16)을 하였으며, 몸을 태워 불법에 공양하였으나 후회하는 마음이 없었다.”
015_0461_a_17L又言本生作不思議功德寶德王之太子童子之身一切論義我皆已得爲衆生說又言本生作身汁仙割身手足不生瞋恨爲說忍法又言本生作月光王捨頭布施不生瞋恨又言本作一切衆生所喜見王童子之身我十二年食香燒身供養佛法心不生悔
015_0461_b_01L또 말씀하셨다.
“본생 때에 요병왕(療病王)의 몸이 되어서 모든 염부제(閻浮提) 사람들의 모든 병고를 치료하였다.”
이와 같이 갖가지 한량없는 고뇌를 모두 이미 크게 이익된 것으로 만들었다. 나는 이미 이와 같은 보살의 갖가지 고행이 과보를 얻음을 나타내 보였으며, 이익이 됨을 나타내 보였다.
세존께서 이러한 수다라를 말씀하시고 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15_0461_b_01L又言本作療病王身已療一切閻浮提人一切病苦如是種種無量苦惱皆悉已作有大饒益我已證得如是菩薩種種苦行得果示現示現饒益世尊已說此修多羅偈言

만약 이와 같은 초인(初因)17)
고행을 하여 널리 몸을 버리고
가난하여 구걸하는 자에게
호응하는 것에 따라 베풀어 주네.
015_0461_b_05L若如是初因
苦行廣捨身
貧窮乞丐者
隨所應施與

모든 허물을 여의고서
제일의 적정륜(寂靜輪)을
훼손할 수 없는 제일이라 말씀하시니
그러므로 나는 이제 법륜을 굴리네.
015_0461_b_07L離一切諸過
第一寂靜輪
說不毀第一
是故我今轉

무슨 까닭에 세존이라고 부르는가? 감히 공양을 받을 수 있으므로 세존이라고 한다. 다시 다른 뜻이 있으니 『보리심우바제사(菩提心憂波提舍)』 속에 나타내 보인 것과 같다.
015_0461_b_08L以何義故名世尊者堪受供養故名世尊更有餘義如菩提心憂波提舍彼中示現
여래께서는 무엇 때문에 왕사성 기사굴산에 계시면서 두 가지의 주지(住持)로 법륜을 굴리시는가? 다른 곳에 계시지 않음은 어려워서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곳에 계시느냐에 따라서 이 어려움은 끝이 없는 것이다. 세존께서 만약에 다른 곳을 유행(遊行)하셨더라면 역시 이러한 어려움이 끝없이 있었을 것이다. 다시 다른 뜻이 있는데, 『보리심우바제사』, 그곳에서 나타내 보인 것과 같다.
015_0461_b_11L如來何故在王舍城耆闍崛山二種住持轉于法輪不餘處者難不相應隨在何處此難無窮世尊若在餘處遊行亦有此難是則無窮更有餘義如菩提心憂波提舍彼處示現
무슨 까닭에 여래(如來)라고 부르는가? 그 뜻을 이제 말한다. 실답게 왔으므로 ‘여래’라고 부른다. 어떤 법을 ‘여(如)’라고 하는가? 열반을 ‘여’라고 한다. 중생과 법(法:涅槃)이 둘이라면 ‘여’는 아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모든 비구들이여, 제일의 성제(聖諦)이며 허망하지 않은 법을 열반이라고 부른다”고 하셨다. 알기 때문에 ‘온다[來]’라고 이름한다. 성론(聲論)18)의 세계나 지자론(知字論)의 세계처럼 세상 사람들이 말하는 것과는 다르다. 이 사람이 와서 태어나는데, 이는 어떤 뜻을 밝히는 것인가? 이는 지혜가 갖추어짐을 밝힌다. 오는 뜻이 이와 같으니, 열반을 ‘여’라고 하며 지해(知解)를 ‘래’라고 한다. 올바로 열반을 깨달으므로 여래라고 부른다.
015_0461_b_16L以何義故名如來者彼義今說如實而來故名如來何法名如涅槃名如衆生與法彼二不如如世尊說諸比丘一聖諦不虛妄法名爲涅槃知故名異聲論界知字論界如世人說此人來生此明何義此明智慧具足來義如是涅槃名如知解名來正覺涅槃故名如來
015_0461_c_01L또 공(空)ㆍ무상(無相)ㆍ무원(無願)을 ‘여’라고 한다. 그러한 모든 행과 같으므로 ‘여’라고 한다. 또한 4성제를 ‘여’라고 한다. 다른 사람은 그러한 모든 행을 보지 않으므로 여래라고 부른다. 또 다시, 모든 이와 같은 불법을 ‘여’라고 하니, 거기서 이 사람이 오기 때문에 여래라고 부른다. 또 다시 ‘여’는 6바라밀이라고 부르니, 정각이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ㆍ반야에서 오기 때문에 여래라고 부른다. 진실한 버림[實捨]ㆍ고요한 지혜[寂慧]의 안주(安住)가 ‘여’이니, 그러한 위없이 높고 올바른 지혜[無上正遍知]19)가 오기 때문에 여래라고 부른다. 이와 같은 보살들의 모든 계위20)를 ‘여’라고 하니, 그와 같은 위없이 높고 올바른 지혜가 오기 때문에 여래라고 부른다. 8정도와 같이 오기 때문에 여래라고 부른다. 반야바라밀이 갖추어지고 방편이 갖추어져서 오기 때문에 여래라고 부른다. 혹은 여거(如去)21)라고도 부른다. ‘여거’라고 말하는 것은 혹은 여(如)로써 말하기 때문에 여거라고 부르는 것이다. 또 여거라는 것은 가서 다시 오지 않기 때문에 여거라고 부른다.
015_0461_c_01L又空無相無願名如如彼一切行故名如來又四聖諦此名爲非餘人見彼一切行故名如來復一切如是佛法此名爲如彼來此人故名如來又復如名六波羅蜜持戒忍辱精進禪定般若正覺彼來故名如來實捨寂慧安住是如彼無上正遍知來故名如來一切如是菩薩諸地歡喜離垢難勝遠行不動善慧法雲等十此名爲如彼無上正遍知來故名如來八道來故名如來以有般若波羅蜜足方便足來故名如來或名如去如去者或以如說故名如去又如去去不復來故名如去
무슨 까닭으로 법륜이라고 부르는가? 그 뜻을 이제 말한다. 법을 본체로 삼는 수레바퀴이므로 법륜이라고 부른다. 비유하면, 세간에서는 동(銅)을 본체로 삼는 병을 동병(銅甁)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 나무를 본체로 삼는 수레바퀴를 목륜(木輪)이라고 부르니, 이것도 역시 마찬가지여서 법을 본체로 삼는 수레바퀴이므로 법륜이라고 부르며 이와 같이 나타내 보이는 것이다. 어떤 것이 법인가? 37보리분법(菩提分法)을 말한다. 이러한 법이 수레바퀴가 되기 때문에 법륜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또한 모든 법의 자체각(自體覺), 이것이 법륜의 뜻이다. 또 모든 법의 뛰어난 장엄, 취하고 버린다는 뜻을 법륜이라고 부른다.
015_0461_c_15L以何義故名法輪者彼義今說法體是輪故名法譬如世閒銅體是甁故名銅甁體爲輪故名木輪此亦如是法體爲故名法輪如是示現何者是法三十七菩提分法此法是輪故名法又一切法自體覺義是法輪義一切法勝莊嚴義又取捨義如是等義名爲法輪
015_0462_a_01L어떤 것을 버리느냐? 유위법을 버린다. 어떤 것을 취하느냐? 열반을 취한다. 또한 능히 모든 번뇌를 부술 수 있기 때문에 수레바퀴라고 한다. 여시운륜(如時運輪)ㆍ법왕치륜(法王治輪)ㆍ여륜(如輪)ㆍ왕륜(王輪)ㆍ일체세간광명조륜(一切世間光明照輪)ㆍ여성수륜(如星宿輪), 또 설법륜(說法輪)ㆍ부단상륜(不斷常輪)ㆍ이변부정우불생륜(二邊不定又不生輪)ㆍ여인연생우불이륜(如因緣生又不二輪)은 눈과 색(色)이 같으며 더 나아가 뜻과 법(法)이 둘이 아님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다. 불가득륜(不可得輪)은 3세의 법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 다시 공륜(空輪)은 모든 견해를 여의기 때문이다. 또 무상륜(無相輪)은 모든 모습을 관찰하여 모든 모습을 여의기 때문이다. 또한 무원륜(無願輪)은 삼계를 여의기 때문이다. 일체분별불별이륜(一切分別不別異輪)은 모든 법을 분별하지 않기 때문이다.
015_0461_c_23L捨何等物謂捨有爲何者物謂取涅槃又能破壞一切煩是故名輪如時運輪法王治輪輪王輪一切世閒光明照輪如星宿又說法輪不斷常輪二邊不定不生輪如因緣生又不二輪如眼與乃至意法不二應知不可得輪三世法不可得故又復空輪離諸見又無相輪觀一切相離諸相故無願輪離三界故一切分別不別異以一切法不分別故
세존께서는 다시 『아나바달다용왕수다라(阿那婆達多龍王修多羅)』 중에서 용왕에게 말씀하셨다. “현면용왕(賢面龍王)22)이여, 또한 법륜은 진실로 무너지지 않는 행이다. 이와 같이 윤이라고 부르는 것은 3세에 동등하기 때문이다. 무자체륜(無自體輪)은 유와 무의 두 가지 견해를 여의었기 때문이다. 또한 다시 이륜(離輪)은 몸에 오염이 없기 때문이다. 또 불착륜(不著輪)은 심ㆍ의ㆍ의식 등을 여의었기 때문이다. 무처소륜(無處所輪)은 모든 행함이 있는 생을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다시 실륜(實輪)은 크게 진실하게 보기 때문이다. 또한 체륜(諦輪)은 올바로 닦아서 부서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 부진륜(不盡輪)은 다하지 않음을 보여 주기 때문이다.
015_0462_a_10L世尊復於阿那婆達多龍王修多羅中告龍王言賢面龍王又法輪者不壞行如是名輪三世等故無自體以離有無二種見故又復離輪無染故又不著輪以離心意意識等無處所輪以捨一切有行生故復實輪大實見故又復諦輪正修不壞故又不盡輪示不盡故
015_0462_b_01L또 법계륜(法界輪)은 모든 법이 모두 행해지기 때문이다. 또 실제륜(實際輪)은 전후제(前後祭)가 제(際)의 윤(輪)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여여륜(如如輪)은 모든 법의 자체(自體)에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이무위륜(已無爲輪)은 모든 의심과 관찰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다시 상륜(常輪)은 성스러운 성품이 모이기 때문이다. 또한 다시 공륜(空輪)이니, 안과 밖의 모든 물건을 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무상륜(無相輪)은 모든 상을 분별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무원륜(無願輪)은 모든 법에 반연(攀緣)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무위륜(無爲輪)은 모든 언어로 말하는 것은 모두 공하여서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세존께서 말씀하신 법륜, 이런 것들이 모두 법륜23)의 뜻이다.
015_0462_a_18L又法界輪以一切法皆悉行故又實際輪以前後際非際輪故又如如輪諸法自體無自體故已無爲輪一切疑慮觀察定故又復常輪聖性集故又復空輪不見內外一切物故又無相輪以一切相不分別故又無願輪以一切法不攀緣故又無爲輪一切言語所說皆空不可說故如是世尊所說法輪此等皆是法輪之義
또한 다시 세존께서는 몇 번 굴리시며 몇 번 행하면서 법륜을 굴리시는가? 그 뜻을 이제 말한다. 세 번 굴리며 열두 번 행함이 있다. 이것은 고의 성제이며, 이것은 집의 성제이며, 이것은 멸의 성제이며, 이것은 고의 멸도의 성제이다. 이는 첫 번째 굴림이다. 이것은 고의 성제이니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며, 이것은 고의 집이니 마땅히 끊어야 할 것이며, 이것은 고의 멸이니 마땅히 증득해야 할 것이며, 이것은 고를 멸하는 도이니 마땅히 닦아야 할 것이다. 이것이 두 번째 굴림이다. 이러한 고의 성제를 이미 알았으며, 이러한 고의 집을 이미 끊었으며, 이러한 고의 멸을 이미 증득하였으며, 이러한 고를 멸하는 도를 이미 닦았다. 이것이 세 번째 굴림이다. 이렇게 세 번의 굴림을 말하는 것은 이와 같다. 고의 지혜ㆍ집의 지혜ㆍ멸의 지혜ㆍ도의 지혜는 이와 같다. 고제에도 세 번 굴림의 지혜가 이와 같이 있으며, 집제도 이와 같으며, 멸제도 이와 같으며, 도제도 세 번 굴림의 지혜가 있다. 그것[四聖諦]을 이와 같이 말하여 12행이 있는 것이다. 무슨 까닭인가? 이와 같은 이행(異行)은 고제 중에서 세 번 굴리는 지혜가 있게 된다. 이행의 집제와 이행의 멸제, 이행의 도제가 모두 세 번 굴리는 지혜가 있으니, 이와 같이 말하여 12행이 있는 것이다.
015_0462_b_04L又復世尊幾轉幾行轉法輪者彼義今說法輪三轉有十二行此苦聖諦此集聖諦此滅聖諦此苦滅道聖諦此第一轉此苦聖諦應知此苦集應此苦滅應證此苦滅道應修此第二轉此苦聖諦已知此苦集已斷苦滅已證此苦滅道已修此第三轉此說三轉如是苦智集智滅智道智如是苦諦有三轉智如是集諦如是滅諦如是道諦有三轉智彼如是說有十二行何以故如是異行於苦諦中有三轉智異行集諦異行滅諦行道諦皆三轉智此如是說有十二行
‘고(苦)’라고 한 것은 5음(陰)을 일컫는다. 5음의 괴로워하는 모습을 고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러한 고의 모습은 공(空)하다. 이러한 공함을 통달하는 것을 고지(苦智)의 성제라고 한다. 그러한 5음의 인(因)과 애(愛)ㆍ사(使)ㆍ견(見)의 인을 집(集)이라고 하며, 만일 분별하지 않고 분별하지 않아서 취하지도 않고 감촉하지도 않으면, 애의 인[愛因]과 견의 인[見因]을 집지(集智)의 성제라고 하는 것이다. 만약 그 같은 5음이 마침내 다 소멸해 버려서 전제(前際)는 오지 않으며 후제(後際)는 가지 않았으며 중제(中際)는 얻지 못함을 멸이라고 부른다.24)
015_0462_b_18L所言苦者謂之五陰五陰苦相是名爲苦彼苦相空通達此空是名苦智聖諦彼五陰因愛使見因是名爲集若不分別不分別不取不觸愛因見是名集智聖諦若彼五陰畢竟盡前際不來後際不去中際不得名爲滅
015_0462_c_01L그것을 이와 같이 아는 것을 멸지(滅智)의 성제라고 한다. 만약 도를 얻고 나면, 고지ㆍ집지ㆍ멸지를 반연하면서도 그것은 평등상(平等相)이며 그것은 불이지(不二智)이니, 이것을 고멸도지(苦滅道智)의 성제라고 한다. 또 다시 어찌하여 적지도 않고 많지도 않은가? 저 성제를 설함이 이와 같이 분별한다면 끝이 없을 것이다. 또한 다시 이와 같이 4성제를 알면 해탈하게 되니, 이른바 고ㆍ고의 인ㆍ고의 멸을 알고 난 뒤에야 방편을 얻는다. 이처럼 4성제는 이와 같은 뜻을 차례대로 말하는 것이다. 또한 평등상은 무엇인가? 성제이므로 허망하지 않은 법을 부르는 말이다. 허망하지 않기 때문에 진리[諦]라고 부르는 것이다. 각각의 자상(自相)이 모두 허망하지 않으며, 이와 같이 허망하지 않은 법이 평등상이다.
015_0462_c_02L彼如是知是名滅智聖諦道得已攀緣苦智集智滅智彼平等彼不二智是名苦滅道智聖諦復何故非少非多說彼聖諦如是分別此則無窮又復如是知四聖諦則得解脫所謂知苦苦因苦滅後得方便如是四聖諦此如是義次第而說又平等相何者名聖諦不虛妄法不虛妄故名爲諦各各自相皆不虛如是不虛妄法是平等相
또한 다시 승상(勝相)이니, 무엇이 승상인가? 고는 궁핍한 모습[逼迮相], 집은 능히 생산해 내는 모습[能生相], 멸은 적정한 모습[寂靜相]이며, 도는 벗어나는 모습[出相]이다. 또한 12행은 역관(逆觀)이거나 혹은 순관(順觀)으로서 열두 가지 인연의 생함과 변화가 있는 것이다. 또한 다시 『광보수다라(廣普修多羅)』에서는 올바른[正] 분별과 능한[能] 분별을 말하고 있다. “잘 관찰하지 못함은 무명에서 나오지만 생겨나는 법이 있는 것이 아니다.25) 이와 같이 나아가서 큰 고의 덩어리가 모이는 것이니, 저 유와 멸은 이처럼 법륜 12행으로 구른다. 거린야(居隣若)26)여, 3보가 구족함을 알아라.”
015_0462_c_11L又復勝何者勝相苦逼迮相集能生相寂靜相道者出相又十二行若逆若有十二分因緣生轉又復廣普修多羅說正分別能分別不善觀察生於無明非有生法如是乃至大苦聚彼有及滅如是法輪十二行轉鄰若知三寶具足
015_0463_a_01L또한 다시 세존께서는 여기서 법륜을 굴리시는 것을 말씀하신다. 무엇 때문에 ‘여래의 불생(不生) 법문’에서는 모든 법을 굴리지도 않으며 돌리지도 않는다[不轉不廻]고 말하는가? 마땅히 이와 같이 필경 일어나지 않음과 이와 같은 차례[次第]를 알아야 한다. 그 뜻을 이제 해석한다. 전자는 진제(眞諦)를 말한 것이고, 후자는 세제를 말한 것이다. 또한 후자는 때에 맞는 말[時說]이고, 또한 믿고 받아들임을 다스리기 위해서 이러한 뜻을 말한 것이다. 이미 이를 설하였으므로 이제 말한다. 또한 다시 이는 초업보살(初業菩薩)27)을 위하는 까닭에 이와 같이 말한다. 대지(大地)를 얻은 사람은 이와 같이 다투지 않는다.
015_0462_c_18L又復世尊此中說轉何故如來不生法門說一切法不轉不迴應如是知畢竟不起如是次第彼義今釋彼眞諦說此世諦說又此時說又此爲治信受故說此義已說是故今說又復此爲初業菩薩故如是說得大地人如是不諍
만약 중생과 법을 모두 얻을 수 없다면, 세존께서는 어느 곳에 주지하시면서 법륜을 굴리시는가? 그 뜻을 이제 해석한다. 부처님께서는 큰 자비로써 중생을 취하지도 않고 법을 취하지도 않으면서 항상 중생과 법을 주지하셨으므로 법륜을 굴리신다. 또한 다시 세존께서 『용왕문수다라(龍王問修多羅)』에서 말씀하셨다.
“허공과 같이 굴리는 것을 법륜이 구르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이는 세존의 방편이니, 모든 법은 이름이 없는데 이름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게송으로 말한다.
015_0463_a_02L若衆生法皆不可得然則世尊何所住持而轉法輪彼義今釋佛以大悲不取衆生亦不取法而常住持衆生及法已轉法輪又復世尊於龍王問修多羅說如虛空轉名法輪轉又復此是世尊方便諸法無名以名字說是故偈言

모든 법은 이름이 없는데
이름을 마련해서 법이라고 부르네.
015_0463_a_09L一切法無名
設名以名法

세존께서는 법대로 중생을 취하지 않으면서 중생을 다스려 그를 위하여 법을 말씀하시니, 비록 법을 취하지 않더라도 언제나 널리 모든 법을 말씀하신다. 또한 다시 『반야바라밀경』ㆍ『무구명칭수다라』에서 말하기를, “진제를 알기 위해서 속제를 말한다”고 하니, 이와 같이 하여도 허물이 없다.
015_0463_a_10L世尊法爾不取衆生而治衆生爲之說法雖不取法而常廣說一切諸法又復般若波羅蜜經無垢名稱修多羅說爲知眞諦故說世諦如是無過
015_0463_b_01L또한 다시 세존께서는 무엇 때문에 저 넓고 갖가지 뛰어나며 오묘한 꽃과 나무로 장엄된, 한량없이 많은 뛰어난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을 버리고서 바라나(波羅奈)의 사람이 적은 곳 파타리수(波吒離樹) 그림자 아래의 사슴동산에서 법륜을 굴리는가? 그 뜻을 이제 해석한다. 세존께서는 과거에 이미 그곳에서 60천억 나유타회(會)에 널리 보시를 행하였으며, 또 그곳에서 이미 일찍이 60천억 나유타의 부처님을 공양하였으며, 또한 그곳에는 이미 91억천 부처님이 계시면서 법륜을 굴리셨고, 그곳은 언제나 적정하여 선인(仙人)들이 많이 계셨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공덕이 있으니, 이 때문에 세존께서 그곳에 계시면서 법륜을 굴리시는 것이다. 이러한 뜻을 이미 해석했지만 이제 다시 해설한다. 또한 『광보경(廣普經)』에 게송이 있다.
015_0463_a_14L又復世尊以何義故捨彼寬博種種勝妙華樹莊嚴無量勝人多衆集處於波羅柰少人衆處在波咤離樹影蔭下鹿苑之中而轉法輪彼義今釋世尊往昔已於彼處六十千億那由他會廣行布施又於彼處已曾供養六十千億那由他佛又於彼處已有九十一億千佛轉於法輪彼處常饒寂靜仙人有如是等諸大功德是故世尊在於彼處而轉法輪此義已釋今復更說又『廣普經』有偈說言

나는 60천억 나유타회에
보시하였고
60천억 나유타의 모든 부처님을
공양하였네.
015_0463_b_03L我六十千億
那由他會施
供六十千億
那由他諸佛

바라나 뛰어난 곳에
뛰어난 옛 선인들 계셨으니
으뜸가는 천룡(天龍)들이
설법하는 곳을 언제나 찬탄하였네.
015_0463_b_05L波羅奈處勝
有勝舊仙人
第一天龍等
常讚說法處

91억 부처님 앞에서
나는 위없이 뛰어남을 억념하였으니
이 묘한 숲속에서
위없는 법륜을 굴리리라.
015_0463_b_06L九十一億前
我憶無上勝
於此妙林中
轉無上法輪

여기는 나유타의
적정하고 뛰어난 선인들이
언제나 사슴동산에 있기 때문에
선인들 사는 곳이라 말하네.
015_0463_b_07L此有那由他
寂靜勝仙人
常在鹿苑中
故名仙人處

이와 같은 뛰어난 숲속에서
위없이 높은 법륜 굴리리라.
如是勝林中
轉無上法輪

이와 같이 굴린 뒤에, 또 법과 사람을 위해서 이와 같이 굴렸다.
또한 다시 세존께서는 어느 곳에 처음 앉으셔서 법륜을 굴리셨는가? 그 뜻을 이제 해석한다. 세존께서는 저 대원전(大圓殿)의 한량없이 청정하고 묘한 색깔의 진귀한 보배로 장엄한 사자좌 위에 앉아서 법륜을 굴리셨다. 이는 어느 경에서 말씀하셨는가?
015_0463_b_09L如是已轉又爲法人如是已轉又復世尊何處初坐而轉法輪彼義今釋世尊坐彼大圓殿處無量淸淨妙色珍寶莊嚴師子座上而轉法輪此何處說
『광보경』 중에서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모든 비구여, 모든 하늘과 땅이 있다. 바라나에서 법륜을 굴리고자 하니 큰 이익이 있음을 알고 대원전을 설치하라.”
갖가지의 장엄이 넓고 화려하니, 그 전(殿)은 길이와 넓이가 7백 유순이 되며, 허공의 여러 하늘은 보개(寶蓋)와 당번(幢幡)으로써 장엄하였다. 허공 위에서 욕계(欲界)의 천자(天子)들이 8만 4천의 사자좌(獅子座)를 여래께 받들어 보시하였고, 보시한 뒤 일일이 청해 말씀드렸다.
“원하건대, 여래께서는 이 사자좌에 앉으셔서 법륜을 굴리소서.”
하나하나의 천자가 저마다 세존께서 그 보시 받은 사자좌 위에 앉으셔서 법륜을 굴리심을 보았다. 세존께서 이와 같이 모든 천자들의 뜻을 만족시켰던 것이다.
015_0463_b_14L『廣普經』中如是說言諸比丘有諸地天知波羅奈欲轉法輪有大饒益大圓殿種種莊嚴廣博嚴麗其殿縱廣七百由旬虛空諸天以蓋幢幡而爲莊嚴於上空中欲界天子八十四千師子之座奉施如來施如來已一請言唯願如來坐我此座而轉法一一天子各見世尊坐其所施師子座上而轉法輪世尊如是滿足一切諸天子意
015_0463_c_01L또한 다시 세존께서 법륜을 굴렸을 때 얼마나 많은 중생이 악을 버리고 선을 행하게 되었는가? 그 뜻을 이제 해석한다. 교진여 등의 다섯 비구와 다시 모든 천(天)의 60억의 수가 있었으며, 다시 색계천(色界天)의 80억과 다시 84천억의 사람이 있었다. 이는 어느 경에서 말씀하셨는가? 저 『광보경』에 게송이 있다.
015_0463_c_01L又復世尊轉法輪時幾許衆生捨惡行善彼義今釋憍陳如等有五比丘復有諸天六十億數復色界天八十億數復有八十四千億人此何處說彼『廣普經』有偈說言

아야거린28)
이와 같은 다섯 비구
60억의 여러 천들이
모두 법안(法眼)이 청정해짐을 얻었네.
015_0463_c_06L阿若居鄰等
如是五比丘
六十億諸天
皆得法眼淨

80억의 색계천은
깨끗하고 위없는 법안을 얻었고
깨끗하고 뛰어난 법안을 얻은 사람은
8만 4천억이네.
015_0463_c_08L八十億色天
淨無上法眼
淨勝法眼人
八萬四千億

요점을 말하면, 중생의 주지는 중생에게 설함을 보임이며, 법의 주지란 것은 설법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또한 다시 뜻이 있으니, 중생에 주지하며 나타내 보인다는 것은 중생의 마음가짐[心行]이 8만 4천 가지임을 알게 하는 것이다. 법의 주지에서 나타내 보인다는 것은 8만 4천의 법이 모인 광명이 이롭게 하는 것이 많음을 알게 하는 것이다. 또한 다시 뜻이 있다. 중생에 주지하는 것은 이것이 중생의 평등함을 나타내 보이는 것이며, 법의 주지란 것은 법의 평등을 보이는 것이다. 또한 다시 이 두 가지29)는 속제(俗諦)를 나타내 보이는 것이다.
015_0463_c_09L以要言之衆生住持示說衆生法住持者示現說法又復有義衆生住持示現令知衆生心行八萬四千法住持者示現令知八萬四千法聚光明多所饒益又復有義衆生住持此爲示現衆生平等法住持者示法平等又復此二世諦示現
轉法輪經憂波提舍一卷
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산스크리트 upadésa의 음역어이다. 뜻으로 옮기면 분별ㆍ논의ㆍ논의경(論識經) 등이 된다.
  2. 2)『전법륜경』은 석가모니부처님의 첫 설법을 기록한 경전이다. 초전법륜의 내용은 대장경의 여러 경전에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전법륜경우바제사』의 경우, ‘경본은 없다’고 되어 있으니, 저본이 된 경전은 전해지지 않은 듯하다.
  3. 3)산스크리트 sūtra의 음역어. 경전의 뜻이지만, 이 글의 뉘앙스를 살리기 위해서 옮기지 않고 그대로 살려서 쓴다.
  4. 4)이 ‘정법륜승수다라(正法輪勝修多羅)’는 천친이 저본으로 삼은 경전 이름의 일부인지도 모르겠다.
  5. 5)원문은 ‘본원소제삼법(本元少第三法)’이라 되어 있다. 경전 원본에서 셋째 문제가 탈락되었던 것 같다.
  6. 6)이 여덟 번째 문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전법륜경』에서 부처님께서는 4성제의 법륜을 굴린다. 그런데, 다른 경전 ‘여래의 불생의 법문’에서 여래께서는 법륜을 굴리지 않는다고 하였다. 예컨대, 『능가경』에서 “한 글자도 설한 일이 없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이들 두 가지 이해가 서로 상반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점이 제기될 수 있다. 이를 어떻게 회통시켜야 할 것인가? 뒤에서 제기되는 해설을 살펴보면, 천친은 진제와 속제의 2제설(諦說)로서 회통한다. 즉 여래 불생의 법문은 진제이며, 여기 『전법륜경』의 입장은 속제라는 것이다.
  7. 7)원문에는 ‘반야바라밀’로 되어 있으나, 경전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인 출전은 알 수 없다.
  8. 8)『무구명칭수다라』는 『유마경』을 가리킨다. 『유마경』의 「문수사리문질품」의 말씀이다.
  9. 9)‘열네 번째’ 다음에 제기된 문제의 내용이 탈락된 것 같다.
  10. 10)중생이라고 해서 따로 중생의 성품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말한 것이다.
  11. 11)산스크리트로 gandharva-nagara이다. 신기루로 생긴 성을 말한다.
  12. 12)원어는 모니(牟尼, muni)이다.
  13. 13)다른 외도의 스승을 말한다.
  14. 14)mānava의 음역어이다. 뜻으로는 유동(儒童)이라 옮긴다.
  15. 15)『금강경』에서 설해지는, 부처님께서 과거 인욕선인(忍辱仙人)이셨을 때의 이야기와 같다.
  16. 16)사람은 덩어리를 먹으며[段食], 귀신은 촉식(觸食)을 하며, 부처님께서는 향식(香食)을 하신다.
  17. 17)본생 당시의 인행(因行)이므로 ‘초인’이라 하였다.
  18. 18)인도 6파철학의 하나인 미맘사학파를 가리킨다.
  19. 19)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말한다.
  20. 20)환희(歡喜)ㆍ이구(離垢)ㆍ명(明)ㆍ염(焰)ㆍ난승(難勝)ㆍ현전(現前)ㆍ원행(遠行)ㆍ부동(不動)ㆍ선혜(善慧)ㆍ법운(法雲) 등의 10지(地)이다.
  21. 21)산스크리트 tathāgata는 tathā+gata의 합성으로도, 흑은 tathā+agata의 합성으로도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여거(如去)외 의미가 되고, 후자는 여래(如來)의 의미가 된다.
  22. 22)현수(賢首)라고도 한다. 산스크리트 원어 mukha는 ‘얼굴‘도 되고 ’머리‘도 된다.
  23. 23)신수대장경(T.1533.26, p.3s7c.)의 ‘법론(法論)’은 ‘법륜(法輪)’의 오자이다.
  24. 24)과거를 잡아당기지도 않으며, 미래에 미리 달려가지도 않으며, 현재에 집착하지도 않는다는 의미. 이렇게 시간에 대한 집착을 떠나는 것이 열반이라는 것이다. 화엄사상의 무시간론(無時間論)에 통한다.
  25. 25)무명에서 생기지만, 생김의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실체 없이 생하는 것, 그것이 연기(緣起)다.
  26. 26)교진여(憍陳如)를 말한다.
  27. 27)초발심 보살을 가리킨다.
  28. 28)‘아야교진여’의 의미이다.
  29. 29)중생과 법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