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20_1200_a_01L변의장자자경(辯意長者子經)
020_1200_a_01L辯意長者子經


후위(後魏) 법장(法場) 한역
권영대 번역
020_1200_a_02L後魏沙門法場譯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서 1,250명의 사문과 만 명의 보살과 함께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 무앙수의 대중들에 둘러싸여 법을 설하셨다.
그때 사위성에는 큰 장자의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이 변의(辯意)였다. 그는 5백 시종을 각각 거느린 5백 장자를 데리고 부처님 처소에 이르러 머리 조아려 부처님께 절하고 물러나 한쪽에 있었다.
020_1200_a_03L聞如是一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與千二百五十沙門俱菩薩萬爾時世尊與無央數大衆共會圍繞說法時舍衛城中有大長者子曰辯意從五百長者子各有五百侍來詣佛所前以頭面著地爲佛作卻坐一面
020_1200_b_02L그때에 변의 장자의 아들은 무리들이 자리에 앉은 것을 살피고는 부처님의 위신을 받들어 자리에서 일어나 옷을 가다듬고 엄숙히 나아가 부처님께 절하고 길게 꿇어앉아 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여쭐 것이 있으니 세존께서는 사랑하고 가엾이 여기시어 연설하소서. 세존 지진(至眞)께서는 삼계에 위없는 도덕과 신통 변화로 온갖 중생을 제도하시고 크게 방편 도[權道]를 연설하시어 중생들로 하여금 제자리를 얻게 하소서. 오는 세상에는 다섯 흐림[五濁]이 뒤끓고 3독[貪ㆍ瞋ㆍ癡]이 불꽃처럼 성하여 이 때문에 서로 태우고, 높은 이도 낮은 이도 없이 독한 생각으로 서로 향하고, 신하나 임금이 되면 지위나 나라를 탐내어 군사를 일으켜서 서로 치다가 몸이 죽고 이름이 멸하나니, 이때를 당하여 재난이 백성에게 미치며, 부처님이 남긴 은혜를 입어 도의 이름을 얻은 이는 밖에 가사는 입었으나 안에는 질투를 품었으며 공경과 순함은 없고 번갈아서 비방하며 악함은 높이고 착함은 막으며 잘난 체하여 남을 비방합니다. 이와 같은 사람들은 다 지옥ㆍ아귀ㆍ축생의 분(分)으로써, 한 때의 영화로움을 이롭다 하고 뒷세상 여러 겁의 재앙은 알지 못하니, 어떤 법으로써 인도하고 교화해야 합니까? 세존께서는 교화할 수 있는 길을 자세히 보이시어 장래의 사람들로 하여금 이 복을 입어서 3도를 여의고 길이 복당(福堂)에 살게 하옵소서.”
020_1200_a_10L於時辯意長者子察衆坐定承佛威神從坐起正衣服儼然而前爲佛作禮長跪叉手白佛言有所問唯願世尊慈愍敷演世尊三界無上道德神化濟度群萌普演㩲道令衆得所當來之世五濁鼎沸三毒熾盛以此相燒無尊無畀毒念相向若當臣王以貪國位興師相伐身死名滅當爾之時災及小民佛弟子四輩之衆蒙佛遺恩得爲道外著法衣內懷嫉妒無有敬順轉相誹謗揚惡遏善貢高非彼此之人皆是地獄餓鬼畜生之分利一時之榮不知後世劫數之殃當以何法而開化之唯願世尊具示教化使將來人可蒙此福得離三塗永處福堂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훌륭하다, 변의 장자의 아들이여. 너는 부처님 앞에서 사자후를 하여 일체를 개화하여 다가올 세상의 어리석고 어둡고 흉악한 사람이 그 뜻을 입도록 발기(發起)하였으니 상쾌하도다. 묻고자 하는 것은 의심하거나 어려워하지 말라. 여래가 분별하여 해설하리라.”
020_1200_b_04L佛言善哉善哉辯意長者子乃於佛前作師子吼有所發起開化一切來愚闇凶惡之人得蒙是義快如是所欲問者莫得疑難如來當爲分別說之
장자의 아들 변의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사람은 어떤 인연으로 천상에 나며, 어떤 인연으로 인간 가운데 나며, 또 어떤 인연으로 지옥 가운데 납니까? 또 어떤 인연으로 아귀 속에 나며, 또한 어떤 인연으로 축생 가운데 납니까? 또한 어떤 인연으로 높고 귀한 데 나서 여러 사람의 공경을 받으며, 어떤 인연으로 종으로 태어나서 남에게 부림을 받습니까? 또한 어떤 인연으로 사람으로 태어나서 입의 기운 향기롭고 깨끗하며 몸과 마음이 항상 편안하며 남에게 칭찬을 받을지언정 비방은 받지 않습니까? 또한 어떤 인연으로 사람으로 태어나서 항상 비방을 받고 남에게 미움을 받으며 모양이 추악하고 몸과 뜻이 불안하며 항상 공포심을 품습니까?
020_1200_b_09L長者子辯意白佛言人何因緣得生天上復何因緣來生人中復何因緣生地獄中復何因緣常生餓鬼中何因緣生畜生中復何因緣常生尊貴衆人所敬復何因緣生奴婢中爲人所使復何因緣生庶民中口氣香潔身心常安爲人所譽不被誹謗何因緣得生爲人常被誹謗爲人所形狀醜惡身意不安常懷恐怖
또한 어떤 인연으로 나는 곳마다 항상 부처님과 만나서 법을 듣고 받들어 지니되 처음부터 조금도 어기지 아니하며, 선지식을 만나서 좋은 마음을 얻기에 이르며, 만약 사문이 되면 항상 원하는 것을 얻습니까? 묻는 것이 이와 같으니 세존께서는 분별하여 해설하시어 여기 모인 대중으로 하여금 바른 가르침을 듣도록 하고,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피안에 건너가게 하기를 원하옵니다.”
020_1200_b_18L何因緣所生之處常與佛會聞法奉持初不差違遭遇知識逮得好心作沙門常得所願所問如是唯願世分別解說令此衆會得聞正教使一切得濟彼安
020_1200_c_02L부처님께서 장자의 아들 변의에게 말씀하셨다.
“자세히 듣고 자세히 들으며 잘 생각하고 기억하여라. 내 너를 위해 묘한 법요를 해설하리라. 다섯 가지 일을 행하면 천상에 난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자비한 마음[慈心]이니, 온갖 생명을 죽이지 아니하고 모두 생명을 길러서 그들로 하여금 편안함을 얻게 함이다. 둘째는 어질고 착함[賢良]이니, 남의 물건을 훔치지 않고 보시하되 탐냄이 없으며 모든 궁핍한 이를 건짐이다. 셋째는 곧고 깨끗함[貞潔]이니, 바깥 색을 범하지[邪淫] 않으며 남녀의 계율을 지키며 재(齊)를 받들어 정진함이다. 넷째는 성(誠)과 신(信)이니, 남을 속이지 않으며 입의 네 가지 허물을 지키며 탐내고 속이지 않음이다. 다섯째는 술을 마시지 않음이니, 입의 행실을 그르치지 않음이다. 이 다섯 가지면 곧 천상에 나느니라.”
그때에 세존께서 게송으로써 말씀하셨다.
020_1200_b_23L佛告長者子辯意諦聽諦聽善思念吾當爲汝解說妙要有五事行得生天上何謂爲五一者慈心不殺群生悉飬物命令衆得安二者賢良盜他物布施無貪濟諸窮乏三者不犯外色男女護戒奉齋精進誠信不欺於人護口四過無得貪五者不飮酒不過口行此五事乃得生天爾時世尊以偈頌曰

살생하지 아니하면 오래 살고
병 없이 늘 곱고 살찌며
일체가 하늘 자리 받아
몸은 편안하고 광명 이른다.
020_1200_c_09L不殺得長壽
無病常鮮肥
一切受天位
身安光景至

훔치지 않으면 늘 부귀하여
저절로 돈과 재물 일며
7보로 궁전 짓고
오락하며 마음 항상 즐겁다.
020_1200_c_11L不盜常大富
自然錢財寶
七寶爲宮殿
娛樂心常好

남녀가 음란하지 아니하면
몸이 향기롭고 깨끗하며
태어남이 항상 단정하고
덕과 행이 저절로 밝다.
020_1200_c_12L男女俱不婬
身體香潔淨
所生常端正
德行自然明

속이지 않으면 입의 기운 향기로워
말씨가 항상 총명하며
담론하며 더듬지 아니하며
말한 것을 모두가 받들어 행한다.
020_1200_c_13L不欺口氣香
言語常聰明
談論不謇吃
所說衆奉行
술과 고기 입에 넘기지 않으면
그릇되고 어지러운 마음 없나니
태어나는 곳마다
하늘과 사람 늘 받들어 모시리.
020_1200_c_15L酒肉不過口
無有誤亂意
若當所生處
天人常奉侍

수명을 마친 뒤에는
스물다섯 신(神)이 맞이해서
오복이 저절로 오고
광채가 환희 빛나리.
020_1200_c_16L若其壽終後
二十五神迎
五福自然來
光影甚煒煒

부처님께서 변의에게 말씀하셨다.
“또한 다섯 가지를 지니면 사람 가운데 난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보시니, 은혜가 빈궁한 이를 윤택케 함이다. 둘째는 계를 지님이니, 10악을 범하지 아니함이다. 셋째는 인욕이니, 온갖 마음[意]을 어지럽히지 아니함이다. 넷째는 정진이니, 친하여 게으른 이를 교화함이다. 다섯째는 한 마음[一心]이니, 효도를 받들고 충성을 다함이다. 이 다섯 가지를 하면 사람으로 태어나되 매우 부귀하고 오래 살고 단정하며 위엄과 덕이 있으며 왕이 되면 모두가 공경하여 모시느니라.”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20_1200_c_17L佛告辯意復有五事得生人中何謂爲五一者布施恩潤貧窮二者持戒不犯十惡三者忍辱不亂衆意四者精進勸化懈怠五者一心奉孝盡忠是爲五事得生人中大富長壽端正威德得爲人主一切敬侍爾時世尊以偈頌曰
020_1201_a_02L
보시하면 크게 부귀하여
돈과 재물 저절로 일고
나는 곳마다 늘 존귀하며
아버지의 유산을 얻는다.
020_1200_c_24L布施得大富
錢財而自然
所生常尊貴
輒得父餘財

계를 지녀 늘 완전히 갖추며
삼존의 가르침 받들어 지니고
마음을 다하여 악을 범하지 않으면
곧 수명이 길어짐 얻는다.
020_1201_a_03L持戒常完具
奉受三尊教
盡心不犯惡
便得壽命長
인욕하여 온갖 마음 어지럽히지 않고
성내어서 남을 범하지 않으며
맞거나 욕먹어도 갚지 않으면
태어남이 늘 단정하다.
020_1201_a_04L忍辱不亂衆
瞋恚不犯人
撾罵不還報
所生常端正

정진하여 게으르지 않고
늘 기억하여 받들어 지녀 행하면
태어남이 곧 뛰어나게 굳세어
일체의 장수가 된다.
020_1201_a_05L精進不懈怠
常念奉持行
所生輒豪强
得爲一切將

마음을 한결같게 하여 퇴전치 않으며
충(忠)과 신(信)을 늘 되풀이하며
여러 어른을 받들어 섬기면
태어나는 데에 험하고 어려움 없다.
020_1201_a_07L一心不退轉
忠信念反復
供事諸尊長
所生無艱難

만약 이 다섯 가지를 행하여
어쩌다 임금이 되면
재물 있고 얼굴도 단정하며
용맹한 장수도 자연 되리라.
020_1201_a_08L若行此五事
轉得爲人主
財力色端正
自然勇猛將

부처님께서 다시 변의에게 말씀하셨다.
“다섯 가지가 있는데 행하면 죽어서 지옥에 들어가며 억 겁이 되어야 나온다. 무엇이 다섯인가? 첫째는 불(佛)ㆍ법(法)ㆍ중(衆)을 믿지 아니하고 성인의 도를 비방하고 업신여기고 헐뜯음이다. 둘째는 절과 사당을 파괴함이다. 셋째는 사부 대중[四輩]을 번갈아 비방하고 헐뜯되 재앙과 죄라는 것을 믿지 아니하고 공경하고 순종하지 아니함이다. 넷째는 반역(反逆)이니, 위아래가 없으며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자식이 서로 따르지 아니함이다.다섯째는 오는 세상에서 도를 닦으려는 이가 이미 도를 얻었다고 하면서 스승의 가르침을 따르지 아니하고 스스로 높은 체하며 가볍고 오만하게 스승을 비방함이다. 이 다섯 가지를 하면 죽어서 지옥에 들어가며 지옥을 감돌며 나올 기약이 없느니라.”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20_1201_a_09L佛復告辯意有五事行死入地獄億劫乃出何謂爲五一者不信有佛法而行誹謗輕毀聖道二者破壞佛寺尊廟三者四輩轉相謗毀不信殃罪無敬順意四者反逆無有上下臣父子不相順從五者當來有欲爲道者已得爲道便不順師教而自貢高輕慢謗師是爲五事死入地獄轉地獄無有出期爾時世尊以偈頌曰

세간의 어리석은 사람
불ㆍ법ㆍ중 믿지 아니하고
어리석은 맘으로 헐고 무너뜨리고자
부처나 신(神)은 없다고 말한다.
020_1201_a_18L世閒愚癡人
不信佛法衆
愚意欲毀壞
言佛無有神

눈으로 선악의 일 보면서
일부러 갖은 죄 지어
신사(神祠)를 무너뜨리니
이익은 적고 죄는 많다.
020_1201_a_20L眼見善惡事
故作衆罪行
神祠而壞之
利少得罪多

말세의 사부대중
독함을 머금고 질투를 품어
명리(名利) 때문에 서로 헐뜯으며
나중의 죄 무거운 줄 알지 못한다.
020_1201_a_21L末世諸四輩
含毒懷嫉妒
名利故相毀
不知後罪重

세간의 나쁜 무리들
부자간에 서로 악을 짓고
재보와 이익과 명예 때문에
공경과 순한 뜻 없노라.
020_1201_a_22L世閒諸群臣
父子惡相加
財寶利名故
無有敬順意

오는 세상 나쁜 사람들
사문이 되었다고 여기어
스승의 가르침 받들지 않다가
죽어서 받은 죄 가볍지 않네.
020_1201_a_24L當來諸惡人
以得爲沙門
不奉受師教
死受罪不輕
020_1201_b_02L
이 다섯 가지 행하는 이
그 죄 말할 수 없나니
억겁 동안 지옥에서
모든 부처님도 구원 못하네.
020_1201_b_02L行此五事者
其罪不可說
億劫地獄中
諸佛不能救

“장자의 아들이여, 또한 다섯 가지가 있으니 행하면 아귀 가운데 떨어진다. 무엇이 다섯인가? 첫째는 아끼고 탐하여 보시하지 않음이다. 둘째는 훔치고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는다. 셋째는 어리석고 어두워 자비로운 마음이 없음이다. 넷째는 재물을 쌓아 모으면서 즐겨 입고 먹지 않음이다. 다섯째는 부모ㆍ형제ㆍ처자ㆍ노비에게 주지 않음이다. 이 다섯 가지를 하면 아귀 가운데 떨어진다.”
그때 세존께서는 게송으로 말씀하시었다.
020_1201_b_03L復次長者子有五事行墮餓鬼中謂爲五一者慳貪不欲布施二者竊不孝二親三者愚冥無有慈心積聚財物不肯衣食五者不給父母兄弟妻子奴婢是爲五事墮餓鬼爾時世尊以偈頌曰

아끼고 탐하여 보시하지 않고
가만히 훔치고 부모 봉양 않으며
저장하여 둔 것 없어질세라
늙은이에게 자비하지 않으며
020_1201_b_09L慳貪不布施
私竊不飬親
藏積恐亡遺
無慈於老人

처자나 종들에게
하나도 주지 않고
앉아서 재물 지키다 죽으면
아귀 되어 매우 괴롭다.
020_1201_b_11L妻子及奴婢
一皆不給與
坐守財物死
餓鬼甚爲苦

몸에는 옷을 볼 수가 없고
배는 큰데 목구멍은 바늘 같아
동서로 다니며 밥을 구하다
구리 녹은 물 그 입에 부으면,
020_1201_b_12L身不見衣裳
腹大咽如鍼
東西行求食
洋銅灌其口

마시려고 하나 되지 않아서
억지로 입 벌려 삼키게 하여
한 모금 뱃속에 들어가면
간ㆍ허파ㆍ위ㆍ장 물크러진다.
020_1201_b_13L不欲得飮之
拍口强令咽
一口入腹中
肝肺腸胃爛

이와 같이 근고하여
다시 수만 년 지나서
죄를 다하여 벗어난데도
빈천한 사람으로 태어나노라.
020_1201_b_15L如是之勤苦
更歷數萬年
罪畢乃得出
生爲貧賤人

“장자의 아들이여, 다시 다섯 가지가 있으니 축생의 행을 지어 축생 가운데 떨어진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계를 범하고 도둑질 함이다. 둘째는 빚을 지고도 갚지 않음이다. 셋째는 생명을 죽여 몸으로써 갚음이다. 넷째는 경법(經法)을 기쁘게 받아 듣지 않음이다. 다섯째는 항상 인연이 힘들고 고생스러우며[艱難] 재계와 법회(法會)를 속됨으로 인연함이다. 이 다섯 가지를 하면 축생 가운데 태어나느니라.”
이에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20_1201_b_16L復次長者子又有五事作畜生行墮畜生中何謂爲五一者犯戒私竊偸二者負債觝而不償三者殺生以身償之四者不喜聽受經法五者以因緣艱難齋戒施會以俗爲緣爲五事生畜生中於是世尊以偈頌曰

항상 가만히 남의 물건 훔치며
돈과 재물 빚지고도 갚지 않으며
살생하기 좋아하여 사냥하고 그물 치며
속된 인연 만들어 법회 열지 않으며,
020_1201_b_22L常私竊盜人物
負錢財觝不償
喜殺生獵魚網
作俗緣不法會
020_1201_c_02L
정성과 믿음 없어 도를 알지 못하며
과거ㆍ미래ㆍ현재에서
온갖 죄 지은 것 깨닫지 못하면
점점 쌓아 축생에 떨어진다.
020_1201_b_24L無誠信不知道
去來事今現在
作衆罪不自覺
稍稍積墮畜生

소ㆍ말ㆍ코끼리ㆍ낙타
돼지ㆍ양ㆍ개 되어 수없이
껍질 벗겨서 무겁게 죽나니
이와 같은 괴로움 감당키 어렵다.
020_1201_c_03L牛馬象驢駱駝
豬羊犬不可數
常負重死剝皮
如是苦甚叵當

“장자여, 또 다섯 가지가 있으니 얻으면 높고 귀하여 뭇 사람의 공경을 받는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보시하되 크고 넘게 두루 베풂이다. 둘째는 불ㆍ법ㆍ승 삼보와 모든 장로에게 예경(禮敬)함이다. 셋째는 인욕하여 성냄이 없음이다. 넷째는 부드럽고 온화하고 겸손함이다. 다섯째는 경전과 계율을 널리 듣고 배워 외움이다. 이 다섯 가지를 하면 높고 귀하게 되어 뭇 사람의 공경을 받는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20_1201_c_05L復次長者子又有五事得爲尊貴衆人所敬何謂爲五一者布施周惠普二者禮敬佛法三寶及諸長老三者忍辱無有瞋恚四者柔和謙五者博聞學誦經戒是爲五事得爲尊貴衆人所敬爾時世尊以偈頌曰

보시하되 항상 마음을 평등하게
널리 건지어 무리를 편안케 하면
곱고 힘세고 오래 살고 병 없으며
친분이 두터운 이 다 은혜 입는다.
020_1201_c_11L布施常等心
普濟令衆安
色力壽無病
親厚皆蒙恩

삼보께 공경하며
어른을 섬기면
태어남이 존귀하여
누구에게나 존경 받는다.
020_1201_c_13L敬佛三寶者
禮事諸尊長
所生爲尊貴
常得一切禮

인욕하여 성냄이 없으면
갈 때마다 단정하여
사람마다 보고 즐거워하여
보아도 싫증나지 않는다.
020_1201_c_14L忍辱無瞋恚
生輒得端正
衆人見歡喜
視之無厭足

마음이 조화되고 부드러우며
겸양하고 공경스럽고 순하며
경전을 배워 묻고 외우고 익히면
곧 사람 가운데 높은 이 된다.
020_1201_c_15L心調能柔和
謙讓而敬順
學問誦習經
乃爲人中尊

“장자여, 또 다섯 가지가 있으니 날 때마다 비천하여 남의 종이 된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교만하여 부모에게 공경하지 않음이다. 둘째는 굳세고 강포하여 공순하고 정성스런 마음이 없음이다. 셋째는 방일하여 삼존께 예경치 아니함이다. 넷째는 도둑질로 생업을 삼는 것이다. 다섯째는 빚지고 피하여 갚지 아니함이다. 이 다섯 가지를 하면 날 때마다 비천한 노비 가운데 태어난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20_1201_c_17L復次長者子又有五事常生畀賤爲人奴婢何謂爲五一者憍慢不敬二二者剛强無恭恪心三者放逸不禮三尊四者盜竊以爲生業五者債逃避不償是爲五事常生畀賤奴婢之中爾時世尊以偈頌曰

어리석고 미련한 이
부모에게 교만하며
공경하는 마음 없으면
나중에 비천한 데 난다.
020_1201_c_23L若有愚騃人
憍慢於二親
無有恭恪心
後生輒畀賤
020_1202_a_02L
삼보께 예로 섬기지 않고
높은 이와 어른께 뻣뻣하며
남에게 자비롭지 못하면
태어나 곧 노예가 된다.
020_1202_a_02L三寶不禮事
剛强於尊老
無慈孝於人
生輒爲奴婢

방심하여 마음을 함부로 하고
남의 재물 가만히 훔치며
진 빚을 갚으려고 하지 않으면
나중에 노비 가운데 태어나서.
020_1202_a_03L放心恣其意
盜竊人財物
負債不欲償
後生奴婢中

입고 먹음에 남을 쳐다보고
달리면서 심부름해도 자재치 못하나니
공을 들여 주인에게 보상하여야
죄를 마치고 거기서 벗어나리라.
020_1202_a_04L衣食仰於人
走使不自在
功力償其主
罪畢乃得出
“장자여, 또 다섯 가지가 있으니 사람으로 태어나서 입 기운이 향기롭고 깨끗하며 몸과 마음이 늘 편안하여 남에게 예경을 받을지언정 비방은 받지 않는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지극히 성실하여 남을 속이지 아니함이다. 둘째는 경전을 외우되 저[彼]와 이[此]가 없음이다. 셋째는 일을 단속하여 성인의 도를 비방하지 아니함이다. 넷째는 남을 가르쳐서 악을 멀리하고 선에 나아가게 함이다. 다섯째는 남의 장점과 단점을 구하지 아니함이다. 이 다섯 가지를 하면 사람 가운데 나서 입 기운이 향기롭고 깨끗하며 몸과 마음이 늘 편안하며 남에게 칭찬을 받을지언정 비방을 받지 아니한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20_1202_a_06L復次長者子又有五事得生人中口氣香潔身心常安爲人所譽不被誹何謂爲五一者至誠不欺於人二者誦經無有彼此三者護口不謗聖道四者教人遠惡就善五者不求人之長短是爲五事生於人中口氣香潔身意常安爲人所譽不被誹謗爾時世尊以偈頌曰

삼보께 공경하고
양친께 교만하지 않으며
지극히 성실해 속이지 않으면
이 수행인은 공경 받는다.
020_1202_a_14L恭敬於三寶
不憍慢二親
至誠不欺誑
是行人所敬

입을 단속하여 비방 않으며
일체에게 마음 평등함에
남을 권하여 죄를 멀리하게 하며
바른 법 외우고 익히고 기억하며
020_1202_a_16L護口不誹謗
等心於一切
勸人遠罪行
誦習念正法

남에게 교만하지 않고
공경하기 부모처럼 하며
악은 막고 선을 높이면
이러한 이 부처되기 빠르다.
020_1202_a_17L世人不憍慢
相敬如父母
遏惡而揚善
如是得佛疾
020_1202_b_02L
“장자여, 또 다섯 가지가 있으니 만일 사람 가운데 있으면 늘 비방을 받으며, 남에게 미움을 받으며, 모양이 추악하며, 마음과 뜻이 불안하며, 항상 두려워 떤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늘 지성스럽지 못하고 남을 속임이다. 둘째는 크게 모으고 법을 말하는 이를 비방함이다. 셋째는 모든 동학(同學)들을 보면 얕잡아 시험하는 것이다. 넷째는 다른 일을 보지도 아니하면서 허물을 짓는 것이다. 다섯째는 이간질하는 말로 저와 이를 다투고 어지럽게 함이다. 이 다섯 가지를 하면 사람 가운데 태어나더라도 늘 비방을 입으며 남에게 미움을 받으며 모양이 추악하며 마음과 뜻이 편안치 못하여 항상 두려워 떤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20_1202_a_18L復次長者子又有五事若在人中常被誹謗爲人所憎形體醜惡心意不安常懷恐怖何謂爲五一者常無至誠欺詐於人二者大會有說法處而誹謗之三者見諸同學而輕試之不見他事而爲作過五者兩舌鬪亂彼此是爲五事若在人中常被誹爲人所憎形體醜惡心意不寧常懷恐怖爾時世尊以偈頌曰

속이어 사람들을 미혹하고
언제나 지성스러움이 없으며
마음과 입으로 저질러서
몸으로 하여금 무거운 죄 받게 하나니,
020_1202_b_04L欺詐迷惑衆
常無有至誠
心口而作行
令身受罪重

지옥 가운데 나면
쇠갈고리로 혀를 낚아 빼며
양동(洋銅)을 그 입에 붓기를
밤낮으로 쉬지 않네.
020_1202_b_06L若生地獄中
鐵鉤鉤舌出
洋銅灌其口
晝夜不懈休

혹 사람으로 태어나도
입에 항상 비린내가 나며
남이 보면 기뻐하지 않으며
온화하고 즐겨함이 없으며
020_1202_b_07L若當生爲人
口氣常腥臭
人見便不喜
無有和悅歡

항상 관의 일을 만나서
남에게 비판거리가 되며
온갖 액난을 만나서
마음이 처음부터 불안하며
020_1202_b_08L常遇縣官事
爲人所譏論
遭逢衆厄難
心意初不安

죽으면 도로 지옥에 들어가고
나오면 축생이 되어
다섯 갈래를 전전하면서
갖은 고난 벗어나지 못한다.
020_1202_b_10L死還入地獄
出則爲畜生
展轉五道中
不脫衆苦難

“장자의 아들이여, 또 다섯 가지가 있으니 나는 곳마다 늘 불ㆍ법ㆍ중을 만나 처음부터 어긋남이 없으며 부처님을 뵙고 법을 들으면 좋은 마음을 얻으며 만약 사문이 되면 원하는 것을 얻는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몸으로 삼보를 받들어 남을 권하여 예경하여 섬기게 하는 것이다. 둘째는 부처님의 형상을 만들되 곱고 깨끗하게 하는 것이다. 셋째는 항상 스승의 가르침을 받들어 받은 바를 범하지 않는 것이다. 넷째는 널리 일체를 사랑하되 몸과 같이 하고 어린아이 사랑하듯 하는 것이다. 다섯째는 받은 경법을 밤낮으로 읊고 외우는 것이다. 이 다섯 가지를 하면 나는 곳마다 항상 불ㆍ법ㆍ중을 만나되 처음부터 어긋남이 없으며, 부처님을 뵙고 법을 들으면 좋은 마음을 얻으며, 만약 사문이 되면 소원을 얻는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20_1202_b_11L復次長者子又有五事所生之處常與佛法衆會初不差違見佛聞法便得好心若作沙門卽得所願何謂爲五一者身奉三寶勸人令事二者作佛形像當使鮮潔三者常奉師教不犯所受四者普慈一切與身正等如愛赤子五者所受經法晝夜諷誦是爲五事所生之處常與佛法衆會初不差違見佛聞法便得好心若作沙門卽得所願爾時世尊以偈頌曰

삼존께 받들어 공경하고
남도 교화하여 섬기도록 권하며
불상을 짓되 아름답게 하며
모든 높은 스승의 가르침 받들며
020_1202_b_21L奉敬三尊寶
教化勸令事
作佛形像好
奉諸尊師教

일체의 사람을 보되
자신처럼 하고 다름이 없으며
저와 내가 다 평등하여
이 모임을 부처님 앞에서 행하여
020_1202_b_23L當視一切人
與身等無異
彼我悉平等
行是會佛前

밤낮으로 항상 배우고 묻나니
지혜는 이 큰 보배라
모든 소경을 개오(開悟)하여
널리 도의 참을 알게 한다.
020_1202_b_24L晝夜常學問
智慧是大寶
開悟諸盲冥
普使知道眞
020_1202_c_02L
“이때 장자의 아들 변의는 부처님께서 설하신 50가지 요긴한 법의 뜻을 듣고 기뻐서 법인을 얻게 되었고, 오백 장자의 아들은 다 법의 눈이 깨끗해졌으며 모인 여러 사람들도 각각 그 뜻을 얻었다.
이때 변의는 곧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께 절하고 길게 꿇어앉아 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훌륭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쾌히 이 법을 설하시어 모인 이들로 하여금 제자리를 얻게 하셨으며, 또한 오는 세상의 사람들로 하여금 재난을 건너게 하셨습니다. 세존께서는 저의 마을[貧聚]에 여러 회중과 함께 들리셔서 내일 한낮에 집에서 차린 공양[舍食]에 왕림하시기 원하옵니다.”
그때에 세존께서 잠자코 허락하셨다. 모든 장자들은 부처님께 절하고 환희하여 물러갔다.
020_1202_c_02L於是長者子辯意聞佛說五十事要法之義欣然歡喜逮得法忍五百長者子皆得法眼淨又諸會者各得其於是辯意卽從坐起爲佛作禮跪叉手白佛言善哉世尊快說此法乃令會者得聞其所復使將來濟度厄難唯願世尊過於貧聚及諸衆會明日日中屈於舍食爾時世尊默然而許諸長者子爲佛作禮歡喜而去
변의는 집에 이르러 부모님께 아뢰었다.
“오늘 청한 분은 사람 중에는 있기 어려운 분으로 여래ㆍ위없는 법사ㆍ삼계에 같을 이 없는 이라 부릅니다.”
그리고 그의 아내에게 말하여 밥을 차리고 반찬을 갖추도록 하였다.
이튿날 세존께서 여러 대중들을 데리고 그의 집에 이르러 엄연히 자리에 나아가셨다.
그때에 변의 장자의 아들과 부모ㆍ친속들은 앞에 나아가 부처님 발에 절하고 각기 공양 시중을 하였다. 변의는 일어나 손을 씻고 공경스런 마음으로 밥을 들었는데, 밥을 채 다 먹지 않아서 한 거지 아이가 와서 자리에 앉아 빌었다. 부처님께서 아직 축원을 하시지 않았으므로 아무도 주는 이가 없었다.
020_1202_c_11L辯意到舍白父母言今所請者人中難有名曰如來無上法師三界無比便告其妻令設飯食卽尋具饌明日世尊與諸大衆往到其家就坐儼然時辯意長者子父母眷屬前禮佛足各自供侍辯意起行澡水敬意奉食下食未訖有一乞兒前歷座乞佛未呪願無敢與者
그는 두루 돌았으니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성을 내고 나갔으며 곧 악한 생각을 내었다.
‘이 모든 사문들은 방일하고 어리석고 미혹하니 무슨 도가 있겠는가. 가난한 이가 밥을 빌어도 줄 마음이 없구나. 장자는 미혹하여 이 공양을 베풀었으며 자비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없다. 내가 왕이 되면 쇠 수레바퀴로 그의 머리를 갈아서 끊어야지.’
그러고는 곧 가버렸다.
020_1202_c_19L遍無所得瞋恚而出便生惡念此諸沙門放逸愚惑有何道哉貧者從乞無心見與長者迷惑用爲飯此無慈愍意吾爲王者以鐵輞車轢斷其頭言已便去
020_1203_a_02L부처님께서 공양하시기를 마치시자 한 거지 아이가 들어와서 밥을 빌었다. 자리에 뭇 사람들은 모두 밥을 주었으므로 밥을 많이 얻고 좋아하며 돌아가면서 생각하였다.
‘여기 모든 사문들은 다들 자비한 마음을 가졌구나. 나의 춥고 배고픔을 가엾이 여겨 밥을 잔뜩 주었으니 며칠은 살겠구나. 착하구나, 장자는 이들에게 공양할 만한 보살이다. 그 복이 한이 없겠다. 내가 왕이 되면 반드시 부처님과 그의 여러 제자들에게 공양하되 7일 동안을 하여서 오늘의 주리고 목말랐던 은혜를 갚아야지.’
020_1202_c_23L佛達嚫訖有一乞兒來入乞丐坐中衆人各各與之大得飯食歡喜而去卽生念言此諸沙門皆有慈心憐吾貧寒施食充飽得濟數日善哉長者乃能供事此等大士其福無量吾爲王者當供飬佛及衆弟子乃至七日之中當報今日飢渴之恩
그러고는 곧 떠나갔다.
부처님께서는 공양을 마치자 법을 설하시고 곧 절[精舍]로 돌아오셨다.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제부터 공양을 받아먹는 이것으로 법을 삼노라.”
그때에 두 거지 아이는 돌아다니면서 밥을 빌었는데 한 나라에 이르러 길가 깊숙한 풀 속에 누워 있었다. 때마침 그 나라의 왕이 갑자기 죽었는데 뒤를 이을 이가 없었다. 그때 나라에 관상을 보는 이가 있었는데 상보는 법을 밝게 알았다. 그는 예언하여 기록하기를 “천한 사람이 반드시 왕이 되리라”하였으므로 모든 신하와 백관들은 천승 만기를 타고 국경을 다니면서 “누가 마땅히 왕이 되겠는가” 하다가 길가에 있는 숲속을 돌아보니 그 위에 구름이 덮여 있었다.
상보는 이가 가리키면서 말했다.
“저 속에 신인(神人)이 있다.”
그곳에 나아가 거지 아이를 보니 상이 왕이 될 만하였다.
모든 신하들은 절하고 뵈면서 모두 신(臣)이라 말했다.
020_1203_a_07L言已便去佛食已訖說法卽還精舍之中佛告阿難從今以後嚫訖下食以此爲常時二乞兒展轉乞丐到他國中臥於道邊深草之中時彼國王忽然崩亡無有係嗣時國相師明知相法讖書記曰當有賤人應爲王者諸臣百官千乘萬騎按行國界誰應爲王顧見道邊深草之中上有雲蓋相師指曰中有神人卽見乞兒相應爲王諸臣拜謁各稱曰臣
거지 아이는 놀라서 말했다.
“나는 낮고 천한 사람이며 왕족이 아닙니다.”
모두는 “관상에 응하는 것이지 억지로 시키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였다.
향 끓인 물에 목욕하고 왕의 옷을 입으니 빛나는 몸매가 엄연하여 한없이 훌륭하였다. 앞뒤로 따르면서 수레를 돌려 나라 안으로 들어왔다.
그때에 악한 생각을 한 이는 숲속에서 잠이 깨지 아니하여 수레바퀴가 그의 머리를 잘랐다.
왕은 나라에 이름이 음양으로 조화되고 네 가지 기운[氣]이 높이 빛났으며, 인민은 안락하여 왕의 덕을 칭송하였다.
020_1203_a_17L乞兒驚愕自云下賤非是王種皆言應相非是强力沐浴香湯著王者之服光相儼然稱善無導從前後迴車入國時惡念者在於深草中臥寐不覺車轢斷其頭到國中陰陽和調四氣隆赫人民安稱王之德
020_1203_b_02L그때 국왕은 스스로 생각하되 ‘옛적 빈궁하던 사람이 무슨 인연으로 국왕이 되었는가? 옛적에 빌어먹을 때 부처님의 은혜를 입어 많이 밥을 얻고 곧 선한 생각을 내어서 왕이 되면 7일 동안을 공양하리라 하였더니, 이제야 열매를 맺었구나’ 하고는 곧 여러 신하를 불러서 멀리 사위국을 향하여서 향 사르고 절하고 곧 사자를 보내어 부처님께 청하여 말하였다.
“세존께서 끼치신 은혜로 왕이 되었습니다. 높으신 몸을 굽히시고 오시어, 이 나라의 어리석고 어두운 사람을 교화하시어 가르쳐 주소서.”
020_1203_a_23L爾時國王自念昔者貧窮之人以何因緣得爲國王昔行乞得蒙佛恩大得飯食便生善念爲王者供飬七日佛之恩德今已果卽召群臣遙向舍衛國燒香作禮卽遣使者往請佛言蒙世尊遺恩爲人王願屈尊神來化此國愚冥之得見教訓
이때 부처님께서 여러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그들의 청함을 받아야 한다.”
부처님과 제자들과 한량없는 대중이 그 나라에 이르자 왕은 나와서 맞이하였으며, 여러 뭇 신하들과 함께 부처님 발에 머리 조아리고 향 사르고 꽃 뿌리고 기악을 울리며 공양하였다.
부처님께서 궁중에 드시어 곧 자리에 앉으시니, 왕은 일어나 물을 가져 왔으며 밥을 차리어 잠깐 동안에 마쳤다. 그때에 국왕은 부처님께 절하고 나아가 아뢰었다.
“저는 본래 소인이었는데 무슨 복으로 이런 지위를 누리게 되었는지 부처님께서 해설하시어 이 나라 사람들로 하여금 힘입어 눈을 열게 하소서.”
020_1203_b_07L於是佛告諸弟子當受彼請佛與弟子無央數衆往到彼國時王出迎與諸群臣稽首佛足燒香散華伎樂供飬佛入宮中卽以就坐王起行水供設飯食須臾以訖爾時國王爲佛作禮前白佛言我本是小有何福行得享斯位願佛解說此國人得蒙開眼
부처님께서 왕에게 말씀하셨다.
“옛적에 사위성에 한 장자의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이 변의(辯意)였습니다. 그는 큰 보시를 차리고 부처님과 그의 제자들을 청하였습니다. 그때에 부처님이 자리를 정하여 밥을 드셨는데 채 끝나기 전에 한 거지 아이가 들어와 밥을 빌고자 하였으나 조금도 얻지 못하자 화를 내고 나가서 악한 생각을 내되, ‘만약 내가 왕이 된다면 쇠 수레바퀴로 중들의 머리를 자르겠다’고 하였습니다. 뒤에 또 한 사람이 와서 빌었는데, 밥을 많이 얻고 나가서 말하되, ‘내가 만약 왕이 된다면 이들 여러 스님들께 공양하되 7일 동안 하리라’ 하였습니다.
020_1203_b_14L佛告王曰往日舍衛城中有長者子名曰辯意施設大檀請佛及僧時佛坐定下食未嚫有一乞兒來入欲乞一無所得瞋恚而出惡念生曰若吾爲王以鐵輞車轢斷僧頭一人後來乞丐大得飯食出卽念言若我爲王飬此等衆聖之僧七日之中
020_1203_c_02L그때 선한 생각을 한 이는 곧 지금의 왕이며, 그때 악한 생각을 한 이는 깊은 풀 속에 누워 있다가 왕께서 왕의 지위를 받고 수레를 돌려 나라로 돌아올 때 따르는 말 수레가 갈아서 그의 머리를 잘랐으며, 죽어서 지옥에 들어가서는 불 수레에 갈렸는데 억 겁이 지나야 나올 것입니다. 왕은 이제 부처님을 청하여 맹세한 것을 후하게 갚았으니 세세로 복을 받아 다함이 없을 것입니다.”
그때에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였다.
020_1203_b_21L時善念者今王是也時惡念者臥深草中王受正位迴車入國車騎侍從轢斷其頭死入地獄爲火車所轢億劫乃出今請佛報誓過厚世世受福無有極爾時世尊以偈頌曰

사람의 마음이란 독의 뿌리며
입이란 재앙의 문이다.
마음에 기억하고 입으로 말하여
몸이 그 죄앙을 받는다.
020_1203_c_03L人心是毒根
口爲禍之門
心念而口言
身受其罪殃

선과 악을 생각하지 않는 사람
제가 지어 제 몸이 우환을 받나니
마음에 다른 이를 해하려다가
수레에 머리 갈릴 줄 알지 못했네.
020_1203_c_05L不念善惡人
自作身受患
意欲害於彼
不覺車轢頭

마음은 또한 단 이슬의 법
사람으로 하여금 천상에 가게 한다.
마음에 기억하고 입으로 말하여
몸이 그 복덕 받았다.
020_1203_c_06L心爲甘露法
令人生天上
心念而口言
身受其福德

선과 악을 기억하는 이
스스로 몸 편할 근본 만드니
맘으로 일체의 선 기억하여
왕처럼 큰 지위 얻으라.
020_1203_c_07L有念善惡人
自作安身本
意念一切善
如王得天位

이때에 국왕은 경을 듣고 환희하였으며 온 나라의 신하와 백성은 수다원도를 얻었다. 부처님께 공양하기를 7일 동안 한 뒤에 부처님께서 가시려 하자 왕과 신하와 백성들은 부처님께 절하고 작별하였다.
그때에 세존께서는 사위국의 기수정사로 돌아오셨다.
현자 아난은 옷을 바로하고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께 절하고 길게 꿇어앉아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 경을 무엇이라 이름해야 되며, 어떻게 받들어 지녀야 합니까?”
020_1203_c_09L是時國王聞經歡喜擧國臣民得須陁洹道供飬佛七日之後佛於是欲去王及臣民爲佛作禮而別於是世尊還到舍衛祇樹精舍賢者阿難政衣從坐起爲佛作禮長跪白佛言以何名此經云何奉行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 경을 변의『장자자소문(辯意長者子所問)』이라 불러서 받들어 지녀라. 또한『제법요의(諸法要義)』라고도 하느니라.”
부처님께서 다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선남자ㆍ선여인이 이 경을 받들어 행하고 읊고 외우고 후세에 전하고 다른 이로 하여금 받아 지니게 한다면, 이 사람은 나를 모신 것처럼 그 복이 다름이 없다. 이 경을 외우는 이는 미륵불의 처소에서 수기[決]를 받으리니, 여래의 넓고 긴 혀로 말한 것은 다름이 없다.”
부처님께서 경을 말씀하시자 그때 모든 하늘ㆍ용ㆍ귀신ㆍ사부 제자는 경을 듣고 환희하여 부처님께 절하였다.
020_1203_c_15L佛告阿難經名爲『辯意長者子所問』當奉持之名『諸法要義』佛復告阿難若有善男善女人有行斯經奉持諷誦宣傳後世令人受持者是人如侍我身福無有異誦斯經者當爲彌勒佛所授決如來廣長舌所語無有異佛說經已時諸天鬼神四輩弟子聞經歡喜爲佛作禮
辯意長者子經
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