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21_0539_c_01L
십송률 제6권


불야다라 한역
하용덕 번역
성재헌 개역


1. 초송 ⑥

3) 30니살기법을 밝힘 ②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에 계실 때였다. 그때 화색(華色) 비구니가 이른 아침에 옷을 입고 발우를 들고 성안에 들어가 걸식하였다. 밥을 먹고 나서는 안화(安和) 숲에 들어가 나무 아래 단정한 몸으로 똑바로 앉았는데 그 위의(威儀)가 청정하였다. 이때 5백 명의 도적 떼가 먼저 그 숲 속에 들어와 있었으며 도적 떼의 우두머리는 불법(佛法)을 믿는 자였다. 이에 화색 비구니가 단정한 몸으로 똑바로 앉아 있고 그 위의가 청정함을 보고는 청정한 신심(信心)이 생겨 말하였다.
“내 어찌 한 꼬치의 고기를 이 비구니가 맛보도록 주지 않겠는가.”
이 도적들 중에 불법을 조금 아는 또 한 명의 도적이 말하였다.
“이 비구니는 먹는 때가 되어야 먹는 사람이며 먹는 때가 아니면 먹지 않습니다.”
도적의 우두머리는 이 말을 듣고 신심이 더 깊어졌다.
“이 비구니는 단정한 몸으로 똑바로 앉아 그 위의가 청정하며, 때가 되어야 먹고 때가 아니면 먹지 않는다. 그러면 내 어찌 한 꼬치의 고기를 주어 내일 잡수게 하지 않겠는가.”
불법을 조금 아는 자가 말하였다.
“이 비구니는 음식을 얻는 대로 먹지 음식을 남겨두거나 다음날 먹지는 않습니다.”
이때 도적의 우두머리는 이 비구니에게 신심이 갑절로 생겨 말하였다.
“이 비구니는 단정한 몸으로 똑바로 앉아 그 위의가 청정하며, 때가 되어야 먹고 때가 아니면 먹지 않으며, 얻는 대로 먹고 남겨 두었다가 다음날 먹지도 않는다. 그러면 내 어찌 하나의 값비싼 천에 한 꼬치의 고기를 싸서 나무 위에 매달아 두었다가 이 비구니가 잡수도록 하지 않겠는가.”
그리고 이렇게 생각하였다.
‘어떤 사문ㆍ바라문이든 가지려는 자에게 당장 주리라.’
이렇게 생각하고는 즉시 값비싼 천에 고기를 싸서 나무 위에 매달아 놓고 이렇게 말하였다.
“어떤 사문ㆍ바라문이든 원하는 자에게 당장 주리라.”
그 밤이 지나고 화색 비구니가 이렇게 말하였다.
“도적이 나 때문에 천으로 고기를 싸서 나무 위에 매달아 놓고는 ‘어떤 사문ㆍ바라문이든 원하는 자에게 주리라’고 하였다. 그러나 나는 이 고기를 먹을 수 없으니 가져다 스님들에게 주고 천은 내가 가지리라.”
비구니는 즉시 그 고기를 가지고 기환(祇桓)에 들어가 밥 짓는 사람이 있는 곳을 물어 그 고기를 주고 기환을 나왔다. 이때 육군비구들이 화색 비구니가 좋은 천을 가지고 나오는 것을 보았다. 이를 보자 탐욕의 마음이 생겨 “그대가 가진 천은 아주 좋은 것이군요”라고 하자, 비구니는 “좋은 것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비구니가 좋은 것이라고 말하고 나자 육군비구들이 말하였다.
“좋은 것이면 어째서 좋은 사람에게 주지 않는가?”
이에 비구니는 ‘이렇게 단호히 요구하는데 어찌 주지 않겠는가’라고 생각하고 즉시 천을 육군비구에게 주었다. 그 비구니는 “부처님을 공경하십시오”라고 간곡히 말하고는 ‘내가 부처님을 뵙지 않을 수 없으니 되돌아 성으로 들어가야겠다’고 생각하였다. 이렇게 생각하고는 즉시 부처님 계신 곳으로 찾아갔다.
이때 세존께서는 주위에 있는 여러 대중들에게 설법하고 계셨다. 부처님은 화색 비구니가 오는데 의복이 떨어진 것을 멀리서 바라보았다. 부처님은 아시면서 짐짓 아난에게 물으셨다.
“이 화색 비구니는 어째서 의복이 해졌느냐? 옷을 보시 받지 못해서 그런가?”
아난이 말하였다.
“마침 값비싼 천을 얻었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 어디에 있는가?”
아난이 대답하였다.
“육군비구가 요구해 가지고 갔습니다.”
부처님은 알고 계시면서 짐짓 아난에게 물으셨다.
“비구가 친척이 아닌 비구니에게서 옷을 가져갔다는 게 사실인가?”
“실제로 가져갔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즉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길이가 충분한 옷 중에서 다섯 벌을 가져다 이 비구니에게 주도록 하라.”
아난이 대답하고 즉시 길이가 충분한 옷 중에서 다섯 벌을 가져다 주었다. 비구니는 곧 그 옷을 입고 부처님 계신 곳으로 찾아가 머리를 발에 대어 예배하고 한쪽에 섰다. 이에 부처님께서는 설법하고 가르침을 보여 이롭게 하고 기쁘게 해 주셨고, 가르침을 보여 이롭게 하고 기쁘게 하신 다음 침묵하셨다. 화색 비구니는 부처님께서 법을 설하시고 가르침을 보여 이롭게 하고 기쁘게 하는 말씀을 듣고는 머리를 발에 대어 예배하고 부처님 주위를 돌고 떠나갔다. 떠난 지 얼마 되지 않아 부처님께서 이 일로 비구 스님들을 모이게 하셨다. 부처님은 아시면서 육군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가 그랬다는 것이 사실인가?”
“사실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은 갖가지 인연을 들어 여섯 무리를 꾸짖으셨다.
“어찌 명색이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서 옷을 취했단 말인가. 친척이 아니면 옷이 풍족한지 여부와 길이가 충분한지 여부를 물어서도 안 되는데 달려들어 그렇게 곧장 빼앗았단 말인가. 설령 친척이라 해도 옷이 풍족한지 여부와 길이가 충분한지 여부를 물어야 마땅하며, 그 친척이 스스로 옷을 주어야 되는 일이다. 더구나 어찌 부족한 자에게서 취할 수 있겠느냐.”
갖가지 인연을 들어 꾸짖고 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이 있는 까닭에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이와 같이 말하라. 만약 비구가 친척이 아닌 비구니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니살기바일제(尼薩耆波逸提)이다. 친척이 아니라는 것에서 친척이란 어머니나 자매나 딸 내지 7세(世)의 인연이 있는 자를 말한다. 옷이란 베옷ㆍ붉은 베옷ㆍ횐 베옷ㆍ모시옷ㆍ시이라의(翅夷羅衣)ㆍ흠바라의(欽婆羅衣)ㆍ겁패의(劫貝衣) 등이다. 여기에서 죄를 범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만약 한 명의 비구가 친척이 아닌 한 비구니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그 한 사람은 니살기바일제이고, 한 명의 비구가 친척이 아닌 두 명ㆍ세 명ㆍ네 명의 비구니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그러는 장소마다 니살기바일제이다. 만약 두 명의 비구가 친척이 아닌 두 명ㆍ세 명ㆍ네 명ㆍ한 명의 비구니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그러는 장소마다 니살기바일제이다. 만약 세 명의 비구가 친척이 아닌 세 명ㆍ네 명ㆍ한 명ㆍ두 명의 비구니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그러는 장소마다 니살기바일제이다. 만약 네 명의 비구가 친척이 아닌 네 명의 비구니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그 네 사람은 니살기바일제이고, 네 명의 비구가 친척이 아닌 한 명ㆍ두 명ㆍ세 명의 비구니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그러는 장소마다 니살기바일제이다.”
부처님께서 사위국에 계실 때였다. 그때 교살라국(憍薩羅國)에서 2부(部)의 스님들이 많은 옷을 얻었다. 이를 두 등분으로 나누었는데 비구들은 비구니에게 알맞은 옷을 얻었고, 비구니들은 비구에게 알맞은 옷을 얻었다. 비구들이 옷을 얻을 때, 여러 비구니들이 비구들에게 말하였다.
“여러 대덕들의 옷을 우리에게 주시면 우리들이 얻은 옷을 여러 대덕들께 드리겠습니다.”
비구들이 대답하였다.
“부처님께서 친척이 아닌 비구니에게선 옷을 취하지 말라는 계율을 제정하셨습니다.”
여러 비구들은 어찌해야 할지 몰라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스님들을 모으고 갖가지 인연을 들어 계를 찬탄하고 지계를 찬탄하셨다. 계를 찬탄하고 지계를 찬탄하고 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이와 같이 말하라. 만약 비구가 친척이 아닌 비구니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서로 교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니살기바일제이다. 여기에서 죄를 범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만약 비구가 친척이 아닌 비구니를 친척이라 여기고 그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그런 비구ㆍ식차마니(式叉摩尼)ㆍ사미(沙彌)ㆍ사미니(沙彌尼)ㆍ출가인(出家人)ㆍ출가니(出家尼)라 여기고 그들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친척이 아닌 비구니를 비구가 친척인지 아닌지 의심하면서 그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그런 비구니인지 그런 비구니가 아닌지, 그런 식차마니인지 그런 식차마니가 아닌지, 그런 사미인지 그런 사미가 아닌지, 그런 사미니인지 그런 사미니가 아닌지, 그런 출가인인지 그런 출가인이 아닌지, 그런 출가니인지 그런 출가니가 아닌지 의심하면서 그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만약 어떤 비구가 친척인 비구니를 친척이 아니라 여기고 그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돌길라(突吉羅)이다. 그런 비구ㆍ식차마니ㆍ사미ㆍ사미니ㆍ출가인ㆍ출가니라 여기고 그들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돌길라이다.
만약 비구가 친척인 비구니를 친척인지 아닌지 의심하면서 그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돌길라이다. 그런 비구인지 그런 비구가 아닌지, 그런 식차마니인지 그런 식차마니가 아닌지, 그런 사미인지 그런 사미가 아닌지, 그런 사미니인지 그런 사미니가 아닌지, 그런 출가인인지 그런 출가인이 아닌지, 그런 출가니인지 그런 출가니가 아닌지 의심하면서 그에게서 옷을 취한다면 돌길라이다.
친척이나 친척이 아닌 자에게서 그렇게 여겼건 의심했건 깨끗하지 못한 옷 즉 낙타의 털이나 소의 털이나 염소의 털이나 갖가지 실로 짠 것 등을 취하였다면 돌길라이다. 범하는 것이 아닌 경우는 다음과 같다. 만약 친척인 경우, 상대가 먼저 청한 경우, 별도의 방에 거처하므로 준 경우, 설법해 달라며 준 경우는 범하는 것이 아니다.”[네 번째 일을 마친다.]
부처님께서 사위국에 계실 때였다. 그때 장로 가류다이(迦留陀夷)는 굴다(掘多) 비구니와 오래도록 서로 알고 지내며 함께 이야기도 하고 왕래하였다. 이때 가류다이는 두 달 동안 다른 나라를 여행하였다. 굴다 비구니는 장로 가류다이가 두 달 동안 여행한다는 소식을 들었고, 굴다 비구니는 가류다이가 두 달 동안의 여행을 마치고 사위국으로 돌아왔다는 소식도 듣게 되었다. 굴다 비구니는 가류다이가 두 달 동안 여행하고 사위국으로 돌아왔다는 소식을 듣고 나서, 몸을 씻고 얼굴을 아름답게 꾸몄고 머리에 향유를 바르고 가벼운 물들인 옷을 입고는 가류다이가 있는 곳으로 갔다. 그리고는 얼굴을 발에 대어 예배하고 그의 앞에 앉았다. 이때 가류다이는 물들고 집착된 마음이 생겨 그의 얼굴을 그윽한 눈빛으로 바라보았고, 비구니도 물들고 집착된 마음이 생겨 비구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이에 비구니는 생각했다.
‘이 사람이 내 얼굴을 보고 물들고 집착된 마음이 생긴 것이 분명하다. 내가 앞장서 걸어야겠다.’
이때 가류다이는 니원승(泥洹僧)만 걸치고 함께 거닐다 욕심이 발동하게 되었다. 계율을 범하는 것이 두려워 감히 서로 접촉하지는 못했지만 그윽한 눈빛으로 서로의 얼굴을 바라보다 그만 정액을 방출하고 말았다. 그가 급한 열기에서 벗어나 바로 본래 자리로 돌아와 앉자 굴다 비구니는 생각하였다.
‘장로 가류다이가 본래 자리로 돌아가 앉은 것을 보니 분명 정액을 방출한 것이리라.’
이에 굴다 비구니는 다시 웃옷을 입고 가류다이에게 다가가 가루타이에게 말하였다.
“그 옷을 가져오십시오. 제가 빨아 드리겠습니다.”
가류다이는 여벌의 옷을 입고 그 옷을 벗어 비구니에게 주었다. 비구니는 그 옷을 가져다 잠시 뒤 한 모퉁이에서 옷을 비틀어 짜고는 그 즙을 취하여 소변보는 곳에 발랐다. 이에 곧 복덕자(福德子)가 태에 들어와 배가 점점 불러오게 되었다. 이에 모든 비구니들이 그를 절에서 쫓아내며 말했다.
“이 몹쓸 비구니야, 도둑놈 같은 비구니야. 네가 밖에서 새로 들어온 사람이냐? 출가한 지 오래된 사람이 어떻게 임신할 수 있느냐?”
굴다 비구니가 말하였다.
“저는 음행을 저지르지 않았습니다.”
그리곤 이와 같은 까닭을 여러 비구니들에게 말하였다. 비구니들은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이 일을 부처님에게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이 비구니를 꾸짖지 말라. 이 사람은 범행(梵行)을 깨뜨리지 않았고, 음욕을 범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인연 때문에 임신하게 된 것이다.”
이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스님들을 모으고 아시면서 짐짓 물으셨다.
“가류다이야, 그대가 그랬다는 것이 사실인가?”
“사실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갖가지 인연을 들어 가류다이를 꾸짖으셨다.
“어찌 명색이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입던 옷을 빨게 했단 말인가.”
부처님께서는 이와 같이 갖가지 인연을 들어 꾸짖고 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이 있는 까닭에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이와 같이 말하라. 만약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입던 옷을 빨게 하거나, 물들이게 하거나, 다듬이질을 하게 한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친척이 아니라는 것에서 친척은 어머니나 자매나 딸이나, 나아가 7세(世)의 인연이 있는 자들을 말한다. 입던 옷이란 한 번이라도 몸에 걸쳤던 옷은 모두 입던 옷이라 한다. 여기에서 죄를 범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만약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나를 위해 이 옷을 빨아 달라’고 하거나 ‘물들여 달라’고 하거나 ‘다듬이질해 달라’고 말해 비구니가 그 옷을 빨아 주었다면, 그 비구는 니살기바일제에 해당한다. 물들였어도 니살기바야제이고, 다듬이질을 했어도 니살기바야제이며, 빨아서 물들이거나 빨아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물들여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을 했다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다.
또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나를 위해 이 옷을 빨아 다듬이질을 하고 물들이지는 말라’고 말해 비구니가 그 옷을 빨아 주었다면, 그 비구는 니살기바일제에 해당한다. 다듬이질을 하거나 물들이거나 빨아서 물들이거나 빨아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물들여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을 했다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다.
또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나를 위해 이 옷을 빨아 물들이고 다듬이질은 하지 말라’고 말해 비구니가 그 옷을 빨아 주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물들이거나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아서 물들이거나 빨아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물들여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을 했다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다.
또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나를 위해 이 옷을 물들여 다듬이질을 하고 빨지는 말라’고 말해 비구니가 그 옷을 물들여 주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다듬이질을 했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빨거나 빨아서 물들이거나 빨아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물들여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을 했다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다.
어떤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나를 위해 이 옷을 빨아 다듬이질하고 물들이는 건 마음대로 하라’고 말해 비구니가 그 옷을 빨았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다듬이질을 했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빨거나 빨아서 물들이거나 빨아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물들여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을 했다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다.
어떤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나를 위해 이 옷을 빨아 물들이고 다듬이질은 마음대로 하라’고 말해 비구니가 그 옷을 빨았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물들이거나 다듬이질을 했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빨아서 물들이거나 빨아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물들여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을 했다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다.
어떤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나를 위해 이 옷을 물들여 다듬이질하고 빠는 것은 마음대로 하라’고 말해 비구니가 그 옷을 물들였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다듬이질을 했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빨거나 빨아서 물들이거나 빨아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물들여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을 했다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다.
또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나를 위해 이 옷을 빨고, 물들이거나 다듬이질은 하지 말라’고 말해 비구니가 그 옷을 빨았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물들였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아서 물들이거나 빨아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물들여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을 했다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다.
또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나를 위해 이 옷을 물들이고, 빨거나 다듬이질은 하지 말라’고 말해 비구니가 그 옷을 물들였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빨거나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아서 물들이거나 빨아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물들여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을 했다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다.
또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에게 ‘나를 위해 이 옷을 다듬이질하고, 빨거나 물들이지는 말라’고 말해 비구니가 그 옷을 다듬이질했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빨거나 물들이거나 빨아서 물들이거나 빨아서 다듬이질하거나 물들여서 다듬이질을 하거나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을 했다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다.
만약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를 친척이라 여기고 ‘나를 위해 이 옷을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라’고 말해 비구니가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했다면, 그 비구는 니살기바일제에 해당한다. 그런 비구라 하고, 그런 식차마니ㆍ사미ㆍ사미니ㆍ출가인ㆍ출가니라 여기고 ‘나를 위해 이 옷을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라’고 말해 그를 위해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였다면 그 비구는 니살기바일제이다.
만약 비구가 친척도 아닌 비구니를 친척인지 친척이 아닌지 의심하면서 ‘나를 위해 이 옷을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라’고 말해 비구니가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였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그런 비구인지 그런 비구가 아닌지, 그런 식차마니인지 그런 식차마니가 아닌지, 그런 사미인지 그런 사미가 아닌지, 그런 사미니인지 그런 사미니가 아닌지, 그런 출가인인지 그런 출가인이 아닌지, 그런 출가니인지 그런 출가니가 아닌지 의심하면서 ‘나를 위해 이 옷을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라’고 말해 그를 위해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였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만약 비구가 친척인 비구니를 친척이 아니라 여기고 ‘나를 위해 이 옷을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라’고 말해 비구니가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였다면 그 비구는 돌길라(突吉羅)에 해당한다. 그런 비구ㆍ식차마니ㆍ사미ㆍ사미니ㆍ출가인ㆍ출가니라 여기고 ‘나를 위해 이 옷을 빨아 물들이고 다듬이질하라’고 말해 그를 위해 빨아 물들이고 다듬이질하였다면 그 비구는 돌길라가 된다.
만약 비구가 친척인 비구니를 친척인지 친척이 아닌지 의심하면서 ‘나를 위해 이 옷을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라’고 말해 비구니가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였다면 돌길라이다. 그런 비구인지 그런 비구가 아닌지, 그런 식차마니인지 그런 식차마니가 아닌지, 그런 사미인지 그런 사미가 아닌지, 그런 사미니인지 그런 사미니가 아닌지, 그런 출가인인지 그런 출가인이 아닌지, 그런 출가니인지 그런 출가니가 아닌지 의심하면서 ‘나를 위해 이 옷을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라’고 말해 그를 위해 빨고 물들여 다듬이질하였다면 돌길라이다.
만약 비구가 친척이나 친척이 아닌 자에게 그렇게 여겼건 의심했건 깨끗하지 못한 옷 즉 낙타의 털이나 소의 털이나 염소의 털이나 갖가지 실로 짠 것 등을 빨게 하였다면 그런 비구는 모두 돌길라이다. 범한 것이 아닌 경우는 다음과 같다. 만약 친척이라면 범하는 것이 아니다.”[다섯 번째 일을 마친다.]
부처님께서 사위국에 계실 때였다. 그때 어떤 한 거사가 상하의(上下衣)를 입고 기환(祇桓)에 왔는데 그는 발난타(跋難陀)와 오래전부터 알고 지내는 사이로 함께 이야기하고 함께 일하곤 하였다. 이에 발난타는 거사가 오면서 입은 상하의를 멀리서 바라보고 그 옷을 입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거사는 점점 발난타가 있는 곳으로 다가와 머리를 발에 대어 예배하고 앞자리에 앉았다. 발난타는 그를 위해 갖가지 법을 설하고 가르침을 보여 이롭게 하고 기쁘게 한 다음 말하였다.
“거사여, 그대의 이 상하의는 좋군요. 비구의 승가리(僧伽梨)나 울다라승(鬱多羅僧)이나 안타위(安陀衛)를 만들기에 알맞겠습니다. 만약 그대가 나에게 준다면 내가 잘 간직하겠습니다.”
그러나 그 거사는 듣지 못하였거나 혹은 듣고도 주고 싶지 않아 하였다. 그러자 발난타는 다시 갖가지 기이한 법을 설하고 가르침을 보여 이롭게 하고 기쁘게 한 다음 다시 말하였다.
“그대가 입은 상하의는 좋군요. 비구의 승가리나 울다라승이나 안타위를 만들기에 알맞겠습니다. 만약 그대가 나에게 준다면 내가 잘 간직하겠습니다.”
그러나 그 거사는 듣지 못하였거나 혹은 듣고도 주고 싶지 않아 하였다. 그러자 발난타는 다시 갖가지 기이한 법을 설하고 가르침을 보여 이롭게 하고 기쁘게 한 다음 재차 말하였다.
“그대는 나에게 한 벌의 옷을 가져오라. 우리의 법에 거사로부터 옷을 얻게 되어 있다.”
이에 거사는 ‘이 비구가 이렇게 확고히 요구하는데 어찌 주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고 생각하고는 곧 옷을 하나 벗어 개어서 주었다. 거사는 옷을 주고 나서 마음으로 후회하며 분함을 참을 수 없어 이렇게 생각하고 말하였다.
“나는 절대 사문 석자의 스님들이 있는 절에는 오지 않을 것이다. 거사가 찾아오기만 하면 곧 의복을 강탈하니 험한 길과 다름없다. 이런 까닭에 절대로 사문 석자들이 있는 곳에는 오지 않으리라.”
이 거사가 사위성으로 들어갈 때 성문을 지키는 자가 보고서 물었다.
“그대는 나갈 때 상하의를 입고 갔는데 지금 옷 하나는 어디 두었습니까?”
거사가 즉시 그 까닭을 말하였다. 그 말을 할 때 후회스런 마음이 갑절이나 생겨 분노와 원한을 참지 못하고 말하였다.
“절대로 사문 석자의 스님들이 있는 절에는 가지 마시오. 가기만 하면 남의 옷을 강탈하는 것이 꼭 험한 길과 다름없습니다.”
이와 같이 한 사람이 두 사람에게 말하고, 두 사람이 세 사람에게 말해 소문이 널리 퍼졌다. 그리하여 사문 석자들은 남의 옷을 빼앗는다는 나쁜 소문이 온 사위성에 가득하게 되었다. 그러는 가운데 욕심을 줄이고 자족하며 두타를 실천하던 어떤 비구가 이 말을 듣고 마음이 불쾌하여 부처님께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은 이 일로 비구 스님들을 모으고 알면서 짐짓 발난타 석자에게 물으셨다.
“그대가 그랬다는 것이 사실인가?”
“사실입니다, 세존이시여.”
이에 부처님께서 갖가지 인연을 들어 발난타를 꾸짖으셨다.
“어찌 명색이 비구가 친척도 아닌데 그와 같은 생각으로 요구했단 말인가.”
부처님께서는 갖가지 인연을 들어 꾸짖고 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이 있는 까닭에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이와 같이 말하라. 만약 비구가 친척이 아닌 거사와 거사의 부인에게서 옷을 구걸한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친척이 아니라는 것에서 친척이란 부모ㆍ형제ㆍ자매ㆍ아들ㆍ딸 내지 7세(世)에 인연 있는 자들을 말하니, 이들을 제외하고는 친척이 아니다. 거사란 남자를 말하며 거사의 부인이란 여인을 말한다. 옷이란 흰 베옷ㆍ붉은 베옷ㆍ시이라의ㆍ흠바라의ㆍ모시옷ㆍ겁패의 등을 말한다.
여기에서 범하는 경우는 세 가지가 있으니, 값[價]과 색깔[色]과 규격[量]이다. 값이란 만약 비구가 거사에게 ‘나에게 비싼 옷을 주라’고 말하여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나아가 ‘값이 2, 3백 전(錢) 되는 옷을 나에게 주라’고 말하여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이를 값에 있어서 범하는 경우라 한다. 색깔이란 만약 비구가 거사에게 ‘나에게 푸른 옷을 주라’고 말하여 만약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그 외 황색ㆍ적색ㆍ백색ㆍ흑색의 옷과 흰 베옷ㆍ붉은 베옷ㆍ시이라의ㆍ흠바라의ㆍ모시옷ㆍ겁패의 등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색깔에 있어서 범하는 경우라 한다. 규격이란 만약 비구가 거사에게 ‘나에게 4주(肘)짜리 옷을 주라’고 말하여 만약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야제이고,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5주나 6주, 나아가 18주짜리 옷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규격에 있어서 범하는 경우라 한다.
이것을 요구했는데 저것을 얻었다면 돌길라이다. 만약 청색의 옷을 요구하였다가 황색의 옷을 얻었다면 돌길라이고, 청색의 옷을 요구했다가 적색ㆍ백색ㆍ흑색의 옷을 얻은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비구가 횐 베옷을 요구했다가 적색의 베옷을 얻었다면 돌길라이고, 나아가 흠바라의를 요구했다가 겁패의를 얻었다면 돌길라이다. 범한 것이 아닌 경우는 다음과 같다. 친척에게 요구한 경우, 먼저 요청한 경우, 요구하지 않았는데 스스로 주는 경우는 범하는 것이 아니다.”
부처님께서 사위국에 계실 때였다. 그때 바라(波羅) 비구는 교살라국(憍薩羅國)을 여행하며 사위국으로 향하다가 도중에서 도적을 만나 옷을 빼앗기고 나체로 다니게 되었다. 이때 그는 이렇게 생각하였다.
‘부처님께서 제정하신 계율에 친척이 아니면 옷을 구걸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나는 친척과 고향이 멀리 있으니 이제 나체로 사위국으로 가야겠구나.’
그래서 그냥 그대로 기환으로 들어가 구주 비구들에게 예를 올렸다. 구주 비구가 물었다.
“그대는 무엇 하는 사람인가?”
“저는 사문입니다.”
“어떤 사문인가?”
“석자(釋子) 사문입니다.”
“무슨 까닭에 나체로 다니는가?”
“저는 도중에 도적을 만나 옷을 빼앗기고 나체로 오게 되었습니다. 그때 저는 ‘부처님께서는 계율을 제정하시어 친척이 아니면 구걸하는 것을 청허하지 않으셨다. 나는 친척과 고향이 멀리 있으니 나체로 사위국으로 가야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제가 지금 나체입니다.”
다음으로 육군비구들이 있는 곳으로 가서 예를 올리자 육군비구가 물었다.
“그대는 무엇 하는 사람인가?”
“사문입니다.”
“어떤 사문인가?”
“석자 사문입니다.”
“무슨 까닭에 나체로 다니는가?”
“저는 도중에 도적을 만나 옷을 빼앗기고 나체로 오게 되었습니다. 그때 저는 ‘부처님께서는 계율을 제정하시어 친척이 아니면 구걸하는 것을 청허하지 않으셨다. 나는 친척과 고향이 멀리 있으니 나체로 사위국으로 가야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런 까닭에 나체가 되었습니다.”
이에 육군비구는 ‘이 인연으로 부처님은 분명 친척이 아니라도 구걸하는 것을 청허하실 것이다. 우리는 이 사람을 친근하게 대해야겠다’고 생각하였다. 육군비구가 말하였다.
“그대가 어떻게 나체로 부처님 계신 곳에 갈 수 있겠는가? 우리가 부처님 계신 곳으로 갈 수 있도록 그대에게 옷을 빌려줄 것이니, 그대는 옷을 얻게 되면 우리에게 되돌려 주어야 한다.”
그렇게 하겠다고 대답하자 육군비구는 즉시 옷을 빌려주어 입게 하였다. 그리하여 부처님 계신 곳에 찾아가 얼굴을 발에 대어 예배하고 한쪽에 앉았다. 나그네 비구가 오면 위로하며 여러 비구들에게 “견딜 만했는가, 만족스러웠는가, 안락하게 지냈는가, 걸식하기 어렵지는 않았는가, 여행길이 힘들진 않았는가”라고 묻는 것이 모든 부처님의 상법이었다. 즉시 부처님께선 이런 말로 바라 비구를 위로하며 물으셨다.
“견딜 만했는가, 만족스러웠는가, 안락하게 지냈는가, 걸식하기 어렵지는 않았는가, 여행길이 힘들진 않았는가?”
여러 비구들이 대답하였다.
“세존이시여, 견딜 만하고 만족스러웠으며 안락하게 지냈고 걸식하기 어렵지도 않았습니다. 다만 여행길이 매우 힘들었습니다.”
그리고 있었던 일을 부처님께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스님들을 모으고 갖가지 인연을 들어 계를 찬탄하고 지계를 찬탄하셨다. 계를 찬탄하고 지계를 찬탄하시고 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이와 같이 말하라. 만약 비구가 친척도 아닌 거사와 거사의 부인에게 옷을 구걸한다면 니살기바일제이지만 다른 때[餘時]만큼은 제외한다. 다른 때란 옷을 빼앗기거나 옷을 잃거나 옷이 탔거나 옷이 떠내려간 경우이니 이것이 다른 때이다. 옷을 빼앗긴 경우란 관리에게 빼앗기거나 도적ㆍ원수의 집안ㆍ원수의 무리 등에게 빼앗기는 것이다. 잃는다는 것은 잃어버려 어디 있는지 모르거나 낡아 해지거나 벌레가 먹은 것을 말한다. 탔다는 것은 불에 타거나 햇볕에 그을린 것을 말한다. 옷이 떠내려갔다는 것은 물에 떠내려갔거나 바람에 날아간 것을 말한다. 이것을 다른 때라 한다.”[여섯 번째 일을 마친다.]
그때 육군비구는 부처님께서 이런 인연으로 친척이 아닌 사람에게 구걸하는 것을 청허하셨다는 말을 들었다. 그 소식을 듣고 바라 비구에게 말하였다.
“그대들은 아는 사람이 적으므로 의복이 없고, 우리들은 아는 사람이 많은데도 의복이 적다. 이제 우리가 그대들을 위해 빌려 주었으니 만약 그대들에게 3의(衣)가 갖춰지게 되면 나머지 옷은 모두 우리에게 주라.”
바라 비구는 그렇게 하겠다고 말하였다. 이때 육군비구는 즉시 사위국으로 들어가 부귀한 사람의 집에 도착해 바라 비구의 선행을 찬탄하였다.
“이 사람은 부처님의 친척인데 험한 여행길에 도적을 만나 옷을 빼앗겼으니, 그대들이 옷을 주십시오.”
즉시 신자들이 갖가지 옷을 주었는데 모직물과 양털로 짠 옷 등이었다. 이와 같이 한 집에서 또 다른 집으로 전전하며 많은 옷을 얻어 이를 싸서 어깨에 메고 돌아왔다. 이에 육군비구는 스스로 좋은 옷을 가지고 좋지 않은 것을 가져다 바라 비구에게 주었다. 그러는 가운데 욕심을 줄이고 자족하며 두타(頭陀)를 실천하던 비구가 이 일을 듣고 마음이 불쾌하여 갖가지 인연을 들어 육군비구를 꾸짖었다.
“어찌 명색이 비구가 일부러 바라 비구의 옷을 빼앗았단 말입니까.”
여러 비구들을 갖가지 인연을 들어 꾸짖고 나서 부처님께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은 이 일로 비구 스님들을 모으고 아시면서 짐짓 육군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가 그랬다는 것이 사실인가?”
“사실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선 갖가지 인연을 들어 육군비구들을 꾸짖으셨다.
“어찌 명색이 비구가 고의로 바라 비구의 옷을 빼앗았단 말인가.”
갖가지 인연을 들어 꾸짖고 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이 있는 까닭에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이와 같이 말하라. 만약 비구가 옷을 빼앗기거나 옷을 잃거나 옷을 태웠거나 옷이 떠내려갔을 때에는 친척이 아닌 거사와 거사의 부인에게 구걸해도 된다. 이럴 경우 마음대로 많은 옷을 주더라도 비구는 상하의(上下衣)만 취해야 한다. 만약 과도하게 취한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상하의엔 두 가지 종류가 있으니, 일반인의 상하의와 비구의 상하의이다. 일반인의 상하의란 하나의 상의와 하나의 하의이다. 비구의 상하의란 쓰임새에 따라 세 가지 옷이 있다. 일반인의 상하의를 얻었을 경우 적으면 다시 구걸해야 하고, 많으면 주인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비구의 상하의를 얻었을 경우 적더라도 다시 요구해서는 안 되며, 많더라도 주인에게 되돌려 주어서는 안 된다. 여기에서 죄를 범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만약 비구가 3의(衣)를 구족했다면 구걸해서는 안 된다. 만약 구걸한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구걸했다가 얻지 못하면 돌길라이다. 비구가 세 가지 옷 가운데 한 가지 옷을 잃었을 경우, 그 비구의 승가리(僧伽梨)를 잘라 옷을 만들 수 있다면 잘라서 옷을 만들어야지 구걸해서는 안 된다. 만약 구걸하여 얻는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구걸했다가 얻지 못하면 돌길라이다. 만약 비구가 두 가지의 옷을 잃었을 경우, 그의 승가리를 잘라 옷을 만들 수 있다면 한 가지 옷만 구걸해야지 두 가지 옷을 구걸해서는 안 된다. 만약 두 가지 옷을 구걸하여 얻는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구걸했다가 얻지 못하면 돌길라이다. 만약 비구가 세 가지 옷을 잃었다면 5중(衆)이 있는 곳에 가서 잠시 옷을 빌려 입고 마을에 들어가 옷을 구걸해야 한다. 그럴 수 없다면 그곳에 있는 사방승물(四方僧物) 즉 담요나 방석이나 요나 반방(班縍)이나 베개 등을 잘라 옷을 만들어 입고, 그 옷을 입은 다음에 옷을 구걸해야 한다. 그렇게 옷을 구걸하여 얻었으면 마땅히 새 옷을 입고 앞의 옷은 빨아 말리고 다듬이질하여 본래 자리에 되돌려 놓아야 한다. 만약 그 절이 텅 비어 머무는 사람이 없으면 스님이 사는 가까운 절에 갖다 놓아야 한다. 그러다 앞의 절에 다시 사람이 살게 되면 그것을 도로 가져다 본래 자리에 갖다 놓아야 한다.”[일곱 번째 일을 마친다.]
부처님께서 사위국에 계실 때였다. 그때 어떤 거사가 발난타(跋難陀) 석자를 위해 그의 옷값을 마련하였다. 그리고는 ‘내가 이 옷값으로 이러한 옷을 사서 발난타 석자에게 주리라’고 생각하였다. 이때 발난타 석자가 이 말을 듣고 거사가 있는 곳으로 찾아가 물었다.
“그대가 나를 위해 옷값을 마련하고는 ‘내가 이 옷값으로 이러이러한 옷을 사서 발난타 석자에게 주리라’고 생각했다는 게 사실입니까?”
거사가 사실이라고 대답하자 다시 물었다.
“저에게 어떤 옷을 만들어 주실 겁니까?”
이러이러한 옷을 만들겠다고 대답하자 발난타 석자가 말하였다.
“좋군요. 우리 비구 출가인들은 의복이 적고 구걸해도 얻기 어렵습니다. 여러분과 같은 거사들에게 보시할 수 있는 인연이 항상 있는 게 아닙니다. 나를 위해 옷을 만들어 주려고 하였다면 마땅히 나를 위해 이러이러한 옷을 마련해 주십시오.”
거사는 그렇게 하겠다고 말하였다. 그 거사는 곧 앞서 마련했던 옷값에서 두 배 세 배나 지출해 옷을 만들고 발난타 석자에게 주었다. 그 후 마음에 후회가 생겨 욕을 하며 말하였다.
“사문 석자는 때도 모르고 만족할 줄도 모르며 양을 헤아릴 줄도 모른다. 보시하는 자가 양을 모르면 받는 자라도 양을 알아야 한다. 나는 본래 마련했던 옷값에서 다시 두 배 세 배나 내놓아야 했다. 이들은 우리에게 손해만 되고 번뇌만 될 뿐 이로움이 없다. 무엇하러 이처럼 만족시키기 어렵고 봉양하기 어려우며 만족을 모르는 자들에게 보시하고 공양했을까.”
그러는 가운데 욕심을 줄이고 자족하며 두타(頭陀)를 실천하던 비구들은 이 일을 듣고 마음이 불쾌하였다. 이에 여러 비구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스님들을 모으고 알면서 짐짓 발난타 석자에게 물으셨다.
“그대가 그랬다는 것이 사실인가?”
“사실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갖가지 인연을 들어 발난타 석자를 꾸짖으셨다.
“어찌 명색이 비구가 친척도 아닌 자에게 내 생각과 같으리라 여기고 요구했단 말인가.”
갖가지 인연을 들어 꾸짖고 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이 있는 까닭에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이와 같이 말하라. 비구를 위한 까닭에 친척도 아닌 거사나 거사의 부인이 옷값을 마련하고는 ‘내가 이 옷값으로 이러이러한 옷을 사서 아무개 비구에게 주리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그럴 때 비구가 먼저 요청도 없었는데 곧장 거사나 거사의 부인에게 찾아가 내 생각과 같으리라 여기고 ‘그대가 나를 위해 이런 옷값을 마련하였다면 이러이러한 옷을 사서 나에게 주면 좋겠다’고 말해 그런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여기서 비구는 발난타 석자이다. 옷이란 횐 베옷ㆍ붉은 베옷ㆍ시이라의ㆍ흠바라의ㆍ모시옷ㆍ교사야의ㆍ겁패의 등이다. 옷값이란 금ㆍ은ㆍ자거ㆍ마노ㆍ돈 내지는 곡식을 말한다. 마련했다는 것은 이와 같은 값진 물건을 한곳에 모아 두었다는 것이다. 이러이러한 옷이란 이런 값, 이런 색깔, 이런 규격의 것을 말한다. 아무개 비구에게 준다는 것은 발난타 석자에게 준다는 말이다. 먼저 요청한 일이 없다는 것은 거사가 먼저 말하지 않았는데 비구가 원하는 것을 와서 가져갔다는 것이다. 내 생각과 같으리라 여긴다는 것은 ‘그 거사는 나를 따르니 이런 저런 것을 요구해도 성내지 않을 것이다’라고 믿는 것이다. 좋다는 것은 만족시키기 어렵고 봉양하기 어렵고 만족함이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범하는 경우는 세 가지가 있으니, 값과 색깔과 규격이다. 값이란 다음과 같다. 만약 비구가 거사에게 ‘나에게 좋은 옷을 주라’고 말하여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나아가 ‘나에게 2, 3백 전(錢) 값어치의 옷을 주라’고 말하여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이것을 값에 있어서 범하는 것이라 한다. 색깔이란 다음과 같다. 비구가 거사에게 ‘나에게 푸른 옷을 주라’고 말하여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나에게 황색ㆍ적색ㆍ백색ㆍ흑색의 옷이나 횐 베옷ㆍ붉은 베옷ㆍ시이라의ㆍ흠바라의ㆍ모시옷ㆍ교사야의ㆍ겁패의를 주라’고 말하여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이것을 색깔에 있어서 범하는 것이라 한다. 규격이란 다음과 같다. 만약 비구가 거사에게 ‘나에게 4주(肘)짜리 옷을 주라. 5주ㆍ6주 나아가 18주짜리 옷을 주라’고 말하여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이것을 규격에 있어서 범하는 것이라 한다.
또한 이것을 요구하였다가 저것을 얻으면 돌길라이다. 청색을 요구하였다가 황색을 얻으면 돌길라이고, 청색을 요구하였다가 적색이나 백색이나 흑색을 얻은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횐 베옷을 요구하였다가 붉은 베옷을 얻거나, 나아가 흠바라의를 요구하였다가 겁패의를 얻은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범하는 것이 아닌 경우는 다음과 같다. 친척에게 요구한 경우, 먼저 요청한 경우, 요구하지 않았는데 스스로 주는 경우는 범하는 것이 아니다.”[여덟 번째 일을 마친다.]
부처님께서 사위국에 계실 때였다. 그때 발난타 석자에게 친척도 아닌 거사와 거사의 부인 두 사람이 발난타 석자를 위해 옷값을 마련하고는 이렇게 생각하였다.
‘우리는 이 옷값으로 각기 이러이러한 옷을 사서 발난타 석자에게 주리라.’
이에 발난타 비구가 이런 말을 듣고 곧장 거사와 거사의 부인에게 찾아가 말하였다.
“그대들이 나를 위해 옷값을 마련하고서 ‘우리는 이 옷값으로 각기 이러이러한 옷을 사서 발난타 석자에게 주리라’고 생각했다는 것이 사실입니까?”
사실이라고 대답하자 다시 물었다.
“어떤 옷을 만들어 주실 겁니까?”
이러이러한 옷을 만들겠다고 대답하자 발난타 석자가 말하였다.
“좋군요. 우리 비구 출가인들은 의복이 적고 구걸해도 얻기 어렵습니다. 여러분에게 보시할 수 있는 인연이 항상 있는 게 아닙니다. 그대들이 이제 좋은 마음으로 저를 위해 이러이러한 옷을 만드는군요. 만약 각자 만들 수 없다면 두 분이 같이 한 벌의 옷을 만들어 저에게 주십시오.”
그렇게 하겠다고 말하고 그 거사와 거사의 부인은 앞서 마련했던 옷값에서 두 배 세 배나 지출해 옷을 만들고 발난타 석자에게 주었다. 그 후 마음에 후회가 생겨 욕을 하며 말하였다.
“사문 석자는 만족시키기 어렵고 봉양하기도 어려우며 만족을 모르는 자들이다. 우리는 손해보고 괴롭힘만 당했고 이로움이 없다. 무엇하러 이런 사람에게 보시하고 공양했을까?”
그러는 가운데 욕심을 줄이고 자족하며 두타를 실천하던 어떤 비구가 이 일을 듣고 마음이 불쾌하였다. 그리하여 여러 비구들은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스님들을 모으고 아시면서 짐짓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그대가 그랬다는 것이 사실인가?”
“사실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해 갖가지 인연을 들어 꾸짖으셨다.
“어찌 명색이 비구가 친척도 아닌데 내 생각과 같으리라 여기고 요구했단 말인가.”
갖가지 인연을 들어 꾸짖고 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이 있는 까닭에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이와 같이 말하라. 어떤 비구에게 친척도 아닌 거사와 거사의 부인 두 사람이 각기 옷값을 마련하고서 ‘나는 이 옷값으로 각기 이런 옷을 사서 아무개 비구에게 주리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그럴 때 비구가 먼저 요청하지 않았는데 곧장 거사와 거사 부인에게 찾아가 내 생각과 같으리라 여기고는 ‘여러분이 각기 옷값을 마련하였다면 그 돈을 합해 한 벌의 옷을 만들어 주면 좋겠다’고 말해 그런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여기서 비구는 발난타 석자이다. 옷, 옷값, 마련한다, 먼저 요청하지 않았다는 것 등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여기에서 범하는 경우는 세 가지가 있으니, 값과 색깔과 규격이다. 값이란 다음과 같다. 만약 비구가 거사에게 ‘나에게 좋은 옷을 주려면 두 사람이 함께 한 벌의 옷을 만들어라’고 말하여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나에게 좋은 옷을 주라’고 하거나 ‘두 사람이 돈을 합하라’고 말하거나 ‘두 사람이 한 벌의 옷을 만들어라’고 말하거나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나아가 ‘나에게 2, 3백 전 값어치의 옷을 주라’고 말하여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이것을 값에 있어서 범하는 것이라 한다. 색깔이란 다음과 같다. 비구가 거사에게 ‘나에게 푸른 옷을 주라’고 하거나 ‘황색ㆍ적색ㆍ백색ㆍ흑색의 옷이나 횐 베옷ㆍ붉은 베옷ㆍ시이라의ㆍ모시옷ㆍ흠바라의ㆍ겁패의를 주라’고 말하여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나에게 좋은 옷을 주라’고 하거나 ‘두 사람이 돈을 합하라’고 말하거나 ‘두 사람이 한 벌의 옷을 만들어라’고 말하거나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이것을 색깔에 있어서 범하는 것이라 한다. 규격이란 다음과 같다. 만약 비구가 거사에게 ‘나에게 4주(肘)짜리 옷을 주라. 5주ㆍ6주 나아가 18주짜리 옷을 주라’고 말하여 옷을 얻었다면 니살기바일제이고, ‘나에게 좋은 옷을 주라’고 하거나 ‘두 사람이 돈을 합하라’고 말하거나 ‘두 사람이 한 벌의 옷을 만들어라’고 말하거나 옷을 얻지 못했다면 돌길라이다. 이것을 규격에 있어서 범하는 것이라 한다.
또한 이것을 요구하였다가 저것을 얻으면 돌길라이다. 청색을 요구하였다가 황색을 얻으면 돌길라이고, 청색을 요구하였다가 적색이나 백색이나 흑색을 얻은 경우도 돌길라이다. 횐 베옷을 요구하였다가 붉은 베옷을 얻거나 나아가 흠바라의를 요구하였다가 겁패의를 얻은 경우도 돌길라이다. 범하는 것이 아닌 경우는 다음과 같다. 친척에게 요구한 경우, 먼저 요청한 경우, 요구하지 않았는데 스스로 주는 경우는 범하는 것이 아니다.”[아홉 번째 일을 마친다.]
부처님께서 사위국에 계실 때였다. 그때 어떤 거사가 심부름꾼을 보내 옷값을 발난타 석자에게 주게 하였다. 심부름꾼은 그 옷값을 가지고 오다가 발난타 석자가 상인과 함께 시장의 평상에 앉아 있는 것을 보았다. 심부름꾼이 다가가 말하였다.
“대덕이시여, 아무개 거사가 저를 시켜 이 옷값을 보냈습니다. 대덕께선 받아주십시오.”
이때 발난타 비구는 그 말을 듣고 나서 상인에게 말하였다.
“그대가 이 옷값을 받아 수량을 계산해 보관해 주시오. 내 부릴 노복을 얻으면 와서 가져가리다.”
이에 상인이 곧 수량을 계산해 보관하였다. 그때 사위국 사람들이 모두 한곳에 모이는 일이 있었는데, 참석하지 않는 자에게는 벌금이 50전(錢)이었다. 그 상인 역시 참석해야만 했다. 상인이 물건을 모아 한곳에 두고 가게 문을 단단히 잠근 뒤에 떠나려고 하던 참이었다. 그때 발난타 석자가 노복을 데리고 와서 상인에게 말하였다.
“내 옷값을 주시오.”
상인이 대답하였다.
“이 사위성 사람들이 모두 모일 일이 생겼습니다. 저도 꼭 가야만 합니다. 만약 참석하지 않으면 벌금이 50전입니다. 조금만 기다리시면 제가 돌아와서 드리겠습니다.”
발난타가 말하였다.
“그럴 수 없소. 그대는 항상 이익만 구하는 일반인이고 재가인이 아니오. 먼저 나에게 주고 가시오. 조금도 기다릴 수 없소.”
그 상인은 다시 가게 문을 열고 옷값을 꺼내 수량대로 주고 돌려보냈다. 그러고 나서 들으니 사람들이 모였다가 이미 해산했다 하였으며 사람들이 찾아와 벌금 50전을 요구하였다. 이에 상인은 마음에 근심과 번뇌가 생겨 욕하였다.
“사문 석자는 때도 모르고 양을 헤아릴 줄도 모르는 구나. 조금만 기다렸으면 그대의 일도 잘되고 나도 벌금을 내지 않았을 것이다. 나는 이 사문 석자 때문에 공연히 재물만 잃었다.”
이 이야기를 한 사람이 두 사람에게 말하고, 두 사람은 세 사람에게 말하여 이와 같이 점점 사문 석자들의 악명이 유포되어 온 사위국에 두루 퍼졌다. 그러는 가운데 욕심을 줄이고 자족하며 두타를 실천하던 어떤 비구가 이 말을 듣고 마음이 불쾌하였다. 그리하여 여러 비구들이 그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스님들을 모으고 아시면서 짐짓 발난타 석자에게 물으셨다.
“그대가 그랬다는 것이 사실인가?”
“사실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갖가지 인연을 들어 발난타 석자를 꾸짖으셨다.
“그대는 때도 모르고 양도 모르는구나. 왜 잠시만 기다리지 않았는가? 그랬으면 그대의 일도 잘되고 거사도 잃은 것이 없었을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갖가지 인연을 들어 꾸짖고 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이 있는 까닭에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이와 같이 말하라. 비구를 위해 왕이나 신하나 바라문이나 거사가 심부름꾼을 시켜 옷값을 보내는 경우가 있다. 그 심부름꾼이 비구에게 찾아와 ‘대덕이시여, 아무개 왕, 신하, 바라문, 거사가 이 옷값을 보냈으니 그대는 받아주십시오’라고 할 것이다. 그러면 비구는 ‘우리 비구의 법에 옷값을 직접 받지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옷이 필요할 때면 깨끗한 옷감을 얻어 직접 자기 손으로 받아 속히 옷을 만들어 가지게 되어 있습니다’라고 말해야 한다. 그 심부름꾼이 비구에게 ‘대덕이시여, 비구들을 위해 일을 봐 주는 집사(執事)가 있습니까’라고 말하면, 그 비구는 그 일을 집행할 사람으로 승원에 사는 백성이나 우바새를 지목하며 ‘이 사람이 비구를 위해 그 일을 집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해야 한다. 그러면 그 심부름꾼은 그 일을 집행할 사람에게 찾아가 ‘훌륭하십니다. 집사여, 그대가 이 옷값을 가져다가 이러이러한 옷을 만들어 아무개 비구에게 주도록 하십시오. 그 비구가 옷이 필요할 때 찾아오면 당신이 그 옷을 주십시오’라고 할 것이다. 그 심부름꾼은 그렇게 말하고 나서 비구에게 돌아가 ‘제가 이미 말해 두었으니 대덕께서 옷이 필요할 때 바로 가서 가져 오십시오. 당연히 당신에게 옷을 줄 것입니다’라고 할 것이다. 그러면 그 비구는 집사에게 찾아가 옷을 만들어 줄 것을 요구하며 이렇게 말해야 한다. ‘저는 옷이 필요합니다.’ 재차 삼차 이와 같이 되풀이해서 옷을 얻으면 괜찮겠지만 그래도 얻지 못하면 네 번 다섯 번, 나아가 여섯 번을 찾아가고 집사 앞으로 다가가 묵묵히 서 있어야 한다. 만약 네 번 다섯 번, 나아가 여섯 번을 되풀이하고 묵묵히 서 있다가 옷을 얻으면 괜찮겠지만 그래도 옷을 얻지 못했을 때 이보다 더 지나치게 요구하여 옷을 얻는다면 니살기바일제이다. 그렇게 하고도 옷을 얻지 못하면 옷값을 보내준 곳에 직접 가거나 심부름꾼을 보내 ‘그대가 보낸 옷값을 저는 얻지 못했습니다. 당신 스스로 알아서 할 물건이니 잃어버리지는 마십시오’라고 말해야 한다. 이 일은 마땅한 이렇게 해야 한다. 비구란 발난타 석자를 말한다. 왕이란 찰리종(刹利種) 가운데 왕의 직위를 받은 자로서 왕(王)이라고도 하고, 국주(國主)라고도 하며 수요정(水澆頂)이라고도 한다. 혹 바라문이나 거사 및 여인도 왕의 직위를 받으면 왕이라 하고 국주라고도 하며 수요정이라고도 한다. 신하란 관리로서 녹봉을 받는 자를 말한다. 바라문이란 바라문 종족이며, 거사란 왕과 신하 및 바라문을 제외한 종족으로 집에서 지내며 흰옷을 입는다. 이들을 거사라 한다. 심부름꾼이란 남자ㆍ여자ㆍ황문ㆍ이근 등을 말한다. 옷이란 흰 베옷ㆍ붉은 베옷ㆍ시이라의ㆍ모시옷ㆍ교사야의ㆍ흠바라의ㆍ겁패의 등이다. 옷값이란 금ㆍ은ㆍ자거ㆍ마노ㆍ돈 내지는 곡식을 말한다. 심부름꾼이 와서 비구에게 말한다는 것은 이 심부름꾼이 발난타 석자에게 ‘대덕이시여, 아무개 왕, 신하, 바라문, 거사가 이 옷값을 대덕에게 보냈으니 이제 받아 주십시오’라고 한 것이다. 비구가 심부름꾼에게 ‘우리 비구의 법에 옷값을 직접 받지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깨끗한 옷감을 얻으면 직접 자기 손으로 받아 속히 옷을 만들어 가지게 되어 있습니다’라고 말한다는 것은 승가리나 울다라승이나 안타위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 심부름꾼이 집사에게 ‘이 옷값으로 이러이러한 옷을 만들라’는 것은 이런 가격, 이런 색깔, 이런 규격으로 만들라는 말이다. 내가 이미 집사에게 말해 두었다는 것은 직접 말했거나 혹은 사람을 보내 말했다는 것이다. 비구는 옷이 필요할 때 찾아가 옷을 요구하며 이렇게 말해야 한다는 것은 재차 삼차 찾아가 ‘제가 옷이 필요합니다’라고 말해야 한다는 것이다. ‘세 번을 찾아가 말해 옷을 얻으면 괜찮지만 그래도 옷을 얻지 못하면 여섯 번을 찾아가고 집사 앞에서 묵묵히 서 있어야 한다’는 것은 그의 얼굴 앞에 서 있으라는 말이다. 여기에 물건을 만드는 곳, 그가 사는 곳, 일하는 곳, 시장의 가게 등이 있다. 물건을 만드는 곳이란 대장간이나 목공소나 도자기 굽는 곳 등을 말한다. 집사가 그런 곳에 있으면 비구는 그의 얼굴 앞에 묵묵히 서 있어야 한다. 그가 사는 곳이란 그가 사는 집이나 방을 말한다. 일하는 곳이란 농사짓는 곳, 판매하는 곳, 나가서 재물을 불리는 곳, 계산하는 곳 등을 말한다. 시장의 가게란 금 가게, 은 가게, 여관, 구슬 가게 등을 말한다. 집사가 그런 곳에 있으면 비구는 네 번 다섯 번 나아가 여섯 번을 반복하고 묵묵히 그 얼굴 앞에 서 있어야 한다. 그래도 옷을 얻지 못하면 마땅히 옷 주인에게 말해야 한다는 것은 직접 가거나 심부름꾼을 보내 ‘그대가 보낸 옷값을 내가 쓰지 못했으니 그대가 직접 알아서 할 재물이다’라고 하는 것이다. 그 비구가 옷 주인에게 그렇게 말한 뒤에 다른 인연으로 그런 곳에 갔을 때 만약 집사가 비구에게 ‘그대는 무엇 때문에 왔는가’라고 물으면 비구는 ‘나는 다른 일 때문에 온 것이다’고 대답해야 한다. 만약 집사가 ‘당신은 이 옷값을 가지고 가라’고 말하면 비구는 ‘제가 이미 옷 주인에게 말했으니 당신이 직접 가서 같이 나누라’고 말해야 한다. 만약 집사가 ‘그대는 이 옷값을 가지고 가기만 하면 된다. 내 직접 찾아가 옷 주인에게 잘 설명하리라’고 말한다면 비구가 이럴 때 옷값을 받아 가지고 가는 것은 범하는 것이 아니다.”[열 번째 일을 마친다.]
021_0539_c_01L十誦律卷第六 初誦之六 攝 後秦北印度三藏弗若多羅 譯明三十尼薩耆法之二佛在舍衛國爾時華色比丘尼晨朝時到著衣持鉢入城乞食食已入安和林中在樹下端身政坐威儀淸淨時有五百群賊先入林中是賊主信法見華色比丘尼端身政坐威儀淸見已生淸淨信心我何不以一丳與是比丘尼令噉是賊中更有少法者言此比丘尼是時食人不非時食賊主聞已信心轉深是比丘尼端身政坐威儀淸淨時食不非時食我何不以一丳肉令明日食少知法者言是比丘尼隨得而食不留餘宿食食時賊主於比丘尼倍生信心是比丘端身政坐威儀淸淨時食非時食隨得而食不留餘宿食食我何不以一貴價㲲裹一丳肉懸著上爲是比丘尼故作是念若有沙門羅門取者卽以施與作是念已卽以貴價㲲裹肉懸著樹上作是言沙門婆羅門須者卽以施與時夜已華色比丘尼作是言賊因我故㲲裹肉懸著樹上作是言若沙門羅門須者以施與我不應噉此肉當與僧㲲當自取卽持是肉至祇桓問作食人處以肉與已出祇桓去六群比丘見華色比丘尼持好㲲出見已生貪心語言汝㲲細好比尼答言細好比丘尼答言細好已六群比丘言好何不施與好人比丘尼作是念是決定索云何不與卽以㲲與六群比丘是比丘尼深信敬佛作是念我不應不見佛便還入城作是念已卽向佛所爾時世尊與諸大圍遶說法佛遙見華色比丘尼來衣服弊壞佛知而故問阿難是華色比丘尼何以衣弊壞不能得布施衣耶阿難言適得貴價㲲佛言今在何處阿難言六群比丘索去佛知故問阿難比丘實從非親里比丘尼取衣耶答言實取世尊佛卽語阿難盈衣中取五衣與是比丘尼阿難言爾卽盈長衣中取五衣與之比丘尼卽著是衣來詣佛所頭面禮足在一面立佛與說法示教利喜示教利喜已默然華色比丘尼聞佛說法示教利喜頭禮足遶佛而去去不久佛以是事集比丘僧佛知而問六群比丘汝實作事不答言實作世尊佛以種種因緣呵責六群比丘云何名比丘從非親里比丘尼取衣非親里人不能問衣足不足爲長不長趣得便取若親里者當問衣足不足爲長不長親里人尚自持衣與何況不足而取佛如是種種因緣呵已語諸比丘以十利故與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說若比丘從非親里比丘尼取衣尼耆波逸提非親里者親母姊妹若女乃至七世因緣者麻衣赤麻衣白麻衣芻麻衣翅夷羅衣欽婆羅衣劫貝衣是中犯若一比丘從一非親里比丘尼取一尼薩耆波逸提若一比丘從二三四非親里比丘尼取衣隨得尼薩耆波逸提若二比丘從二三一非親里比丘尼取衣隨得薩耆波逸提若三比丘從三四一二宗希非親里比丘尼取衣隨得爾所尼薩耆波逸提若四比丘從四非親里比丘尼取衣得四尼薩耆波逸提若四比丘從一二三非親里比丘尼取衣隨得爾所尼薩耆波逸提佛在舍衛國爾時憍薩羅國有二部僧多得衣分作二分比丘得比丘尼所宜衣比丘尼得比丘所宜衣比丘得時諸比丘尼語比丘言諸大德衣與我等等所得衣與諸大德比丘答言佛結戒不得從非親里比丘尼取衣諸比丘不知云何是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種種因緣讚戒持戒讚戒讚持戒已語諸比丘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從非親里比丘尼取衣除貿易尼薩耆波逸提是中犯者若比丘有非親里比丘尼謂是親里從取衣者尼薩耆波逸提若謂是比丘式叉摩尼沙彌沙彌尼家出家尼從取衣者尼薩耆波逸提若非親里比丘尼比丘生疑爲親里非親里從取衣者尼薩耆波逸提若疑是比丘尼非比丘尼是式叉摩宗希尼非式叉摩尼是沙彌非沙彌是彌尼非沙彌尼是出家非出家是出家尼非出家尼從取衣者尼薩耆波逸提若比丘有親里比丘尼謂非親里從取衣者突吉羅若謂是比丘尼式叉摩尼沙彌沙彌尼出家出家尼從取衣者突吉羅若比丘有親里比丘尼比丘生疑爲親里非親里從衣者突吉羅若疑是比丘非比丘是叉摩尼非式叉摩尼是沙彌非沙是沙彌尼非沙彌尼是出家非家是出家尼非出家尼從取衣者突吉羅取親里非親里若謂若疑以淨衣謂駱駝毛牛毛羖羊毛雜織突吉羅不犯者若親里若先請若別房中住故與若爲說法故與不犯四事竟佛在舍衛國爾時長老迦留陁掘多比丘尼舊相識共語來往時迦留陁夷二月遊行他國掘多比丘尼聞長老迦留陁夷二月遊行掘多比丘尼聞迦留陁夷二月遊行竟還到舍衛國掘多比丘尼聞迦留陁夷二月遊行還舍衛國已洗身體莊嚴面香油塗髮著輕染衣到迦留陁夷所頭面禮足在前而坐時迦留陁夷染著心諦視其面比丘尼亦生染視比丘面比丘尼作是念此面必生染著我何不在前起行時迦留陁夷單著泥洹僧共行來往欲心動發畏犯戒故不敢相觸諦相視面便失不淨離急熱已卽還本坐掘多比丘尼作是念長老迦留陁夷還坐本處必失不淨掘多比丘尼還著衣已來近迦留陁夷語迦留陁夷持衣來我當與浣迦留陁夷更著餘衣脫此衣與比丘尼比丘尼持是衣小卻一面捩衣取汁著小便處卽時有福德子來受母胎腹漸長大諸比丘尼驅出寺言是弊惡比丘尼賊比丘尼汝新外來耶舊出家人云何得娠是比丘尼言我不作婬欲如是因緣向諸比丘尼說諸比丘尼不知云何事白佛佛言汝等莫呵責此比丘是不破梵行不犯婬欲如是因故得娠爾時佛以是事集比丘僧而故問迦留陁夷汝實作是事不答言實作世尊佛種種因緣呵責迦留陁夷云何名比丘使非親里比丘尼浣故衣佛如是種種因緣呵已語諸比丘以十利故與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使非親里比尼浣故衣若染若打尼薩耆波逸提非親里者親里名母姊妹若女乃至七世因緣故衣者乃至一經身著皆名故衣是中犯者若比丘語非親里比丘尼爲我浣是故衣若染若打若比丘尼爲浣是衣比丘得尼薩耆波逸提若染尼薩耆波逸提若打尼耆波逸提若浣染若浣打若染打若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又比丘語非親里比丘尼爲我浣打是衣莫染比丘尼爲浣比丘得尼薩耆波逸提若打若染若浣染若浣打若染打若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又比非親里比丘尼爲我浣染是衣莫打若爲浣尼薩耆波逸提若染若若浣染若浣打若染打若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又比丘語非親里丘尼爲我染打是衣莫浣若爲染尼薩耆波逸提若打尼薩耆波逸提若浣染若浣打若染打若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有比丘語非親里比丘尼爲我浣打是衣如染若爲浣尼薩耆波逸提若打尼薩耆波逸提若染若浣染若浣打若染打若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有比丘語非親里比丘尼爲我浣染是衣如打若爲尼薩耆波逸提若染若打尼薩耆波逸提若浣染若浣打若染打若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有比丘語非親里比丘尼爲我染打是衣若浣若爲染尼薩耆波逸提若打尼薩耆波逸提若浣若浣染若浣打若染打若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又比丘語非親里比丘尼爲我浣是衣莫打若爲浣尼薩耆波逸提尼薩耆波逸提若打若浣染浣打若染打若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又比丘語非親里比丘尼我染是衣莫浣莫打若爲染尼薩耆波逸提若浣若打若浣染若浣打染打若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比丘語非親里比丘尼爲我打是衣莫浣莫染若爲打尼薩耆波逸提浣若染若浣染若浣打若染打若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若比丘有非親里比丘尼謂是親里作是言爲我浣染打是衣若爲浣染打比丘得尼薩耆波逸提若謂是比丘是式叉摩尼沙彌沙彌尼出家出家尼作是言我浣染打是衣若爲浣染打比丘得尼薩耆波逸提若比丘有非親里比丘尼疑爲親里非親里語言爲我浣染打是衣若爲浣染打尼薩耆波逸提若疑是比丘非比丘式叉摩尼非式叉摩尼沙彌非沙彌沙彌尼非沙彌出家非出家出家尼非出家尼爲我浣染打是衣若爲浣染打薩耆波逸提若比丘有親里比丘尼謂非親里語言爲我浣染打是衣爲浣染打比丘得突吉羅若謂是比式叉摩尼沙彌沙彌尼出家出家語言爲我浣染打是衣若爲浣染是比丘得突吉羅若比丘有親里比丘尼住疑是親里非親里語言我浣染打是衣若爲浣染打突吉羅若疑是比丘非比丘式叉摩尼非式叉摩尼沙彌非沙彌沙彌尼非沙彌出家非出家出家尼非出家尼爲我浣染打是衣若爲浣染打吉羅若比丘有親里非親里若謂若以不淨衣謂駱駝毛牛毛羖羊毛雜織衣使浣者比丘皆得突吉羅親里不犯五事竟佛在舍衛國爾時有一居士著上下來到祇桓是跋難陁舊相識共語共事跋難陁遙見居士來著上下衣生貪著心居士漸至跋難陁所頭面禮足在前坐跋難陁爲說種種法教利喜已作是言居士汝是上下衣好中作比丘僧伽梨鬱多羅僧安陁衛若汝與我者我能取畜是居士不聞或聞不欲與跋難陁更種種說異示教利喜已復言汝著上下衣好中作比丘僧伽梨鬱多羅僧安陁衛汝若與我我能取畜是居士不聞是或聞不欲與跋難陁更說種種異示教利喜已復語居士言汝與我一衣來我等法從居士得衣居士作是念此比丘作是決定索云何不與卽脫一衣卷疊授與是居士與衣已心悔瞋恚不忍作是念言我不應到沙門釋子僧伽藍中若居士到中强奪衣取如嶮道無異以是故不應到沙門釋子所是居士入舍衛城時守門者見而問言汝出時著上下衣今一衣所在居士卽以是因緣向說說是語時倍生悔心瞋恨不忍作是不應到沙門釋子僧伽藍中若到則强奪人衣如嶮道無異如是一人語二人二人語三人展轉相語沙門釋子强奪人衣惡名流布滿舍衛是中有比丘少欲知足行頭陁是事心不喜是事白佛佛以是事比丘僧知而故問跋難陁釋子汝實作是事不答言實作世尊佛以種種因緣呵責跋難陁云何名比丘非親里人所作同意索佛種種因緣呵責語諸比丘以十利故與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從非親里居士居士婦乞衣者尼薩耆波逸非親里者親里名若父母兄弟姊妹兒女乃至七世因緣除是名非親里居士者名爲男子居士婦者名爲女衣者白麻衣赤麻衣翅夷羅衣婆羅衣芻麻衣劫貝衣是中犯者三種謂價價者若比丘語居士與我好價衣若得衣者尼薩耆波逸若不得衣突吉羅乃至直二百百錢價衣與我若得衣者尼薩耆波逸提若不得衣突吉羅是名價色者若比丘語居士與我靑衣若得衣者尼薩耆波逸提若不得衣突吉羅赤白黑衣白麻衣赤麻衣翅夷羅衣欽婆羅衣芻麻衣劫貝等衣亦如是是名色量者若比丘語居士與我四肘衣若得衣者尼薩耆波逸提若不得衣突吉羅若五肘六肘乃至十八肘衣亦如是是名量索此得彼者吉羅若索靑得黃衣突吉羅若索靑得赤亦如是若比丘索白麻衣得赤麻衣突吉羅乃至索欽婆羅衣得劫貝衣突吉羅不犯者從親里索若先請若不索自與無犯佛在舍衛爾時波羅比丘從憍薩羅國遊行向舍衛國道中遇賊奪衣裸形而行時作是念佛結戒不得從非親里乞我親里遠今當裸形到舍衛國便來入祇桓禮舊比丘舊比丘問何人答言我是沙門何沙門答言子沙門何故裸形答言我道中遇賊奪衣裸形而來作是念佛結戒聽從非親里乞我親里遠當裸形舍衛國是故我今裸形次禮到六群比丘所六群比丘問言汝何人答言門何沙門答言釋子沙門何以故裸答言我道中遇賊奪衣時作是念佛結戒不聽從非親里乞我親里遠當裸形到舍衛國是故裸形六群比丘作是念以是因緣佛必當聽從非親里乞我等當親近是人六群比丘語言汝云何裸形到佛所我當借汝到佛所汝得衣已當還我答言群比丘卽借衣著向佛所頭面禮足一面坐諸佛常法客比丘至如是勞問語諸比丘忍不足不安樂住不乞食不乏不道路不疲極耶卽時佛以是語勞問波羅比丘忍不足不安樂住不食不乏不道路不疲極耶諸比丘答言世尊忍足安樂住乞食不難但道中疲極以是事向佛廣說佛以是事比丘僧以種種因緣讚戒讚持戒戒讚持戒已語諸比丘從今是戒如是說若比丘從非親里居士居士婦乞衣者尼薩耆波逸提除餘時餘時者奪衣失衣燒衣漂衣是爲時奪衣者若官奪若賊若怨家若怨黨奪失者若失不知何所在若朽爛若虫齧若爲火燒若日炙漂衣者若水漂風飄是名時六事竟爾時六群比丘聞佛以是因緣聽比丘從非親里居士乞聞已語波羅比丘言汝等少知少識故無衣我等多知多識亦少衣我今爲汝故乞若汝三衣滿足者餘殘衣盡用與我波羅比丘言如是六群比丘卽入舍衛到富貴人舍讚歎波羅比丘善好是佛親里嶮道中遇賊奪衣汝等當卽時信者與種種衣若㲲俱執婆羅如是展轉從一家至一家多得衣裹著肩上持還六群比丘自取好者持不好者與波羅比丘是中有比丘少欲知足行頭陁聞是事心不喜種種因緣呵責六群比丘云何名比丘故奪波羅比丘衣諸比丘種種因緣呵責向佛廣說佛以是事集比丘僧知而故問六群比丘汝實作是事不答言實作世尊佛以種種因緣呵責六群比丘云何名比丘故奪波羅比丘衣種種因緣呵已語諸比丘以十利故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比丘奪衣失衣燒衣漂衣時從非親里居士居士婦乞自恣多與衣是比丘應取上下衣若過是取者尼薩耆波逸提上下衣者有二種有白衣上下衣有比丘上下衣白衣上下衣者上衣一下衣比丘上下衣者所用三若得白衣上下衣若少應更乞多應還主若得比丘上下衣若少不應更乞若多不應還主是中犯者比丘三衣具足不應乞若乞得者薩耆波逸提若乞不得突吉羅若比丘失一衣是比丘僧伽梨可摘作衣摘作不應乞若乞得者尼薩耆波逸提若乞不得突吉羅若比丘失二是僧伽梨可摘作衣者應乞一衣不應乞二衣若乞得二衣者尼薩耆波逸提若乞不得突吉羅若比丘失三應從五衆所暫借衣著入聚落乞若無是事是中若有四方僧物氈若拘執若褥若斑縍若枕摘作衣著是衣已而乞衣若乞得衣者著新衣當浣先衣綟曬打治還成著本處若此寺空無人住者應隨著近有僧住處若先寺還有人住應取是物還著本處七事竟佛在舍衛國爾時有一居士爲跋難陁釋子辦衣直作是念言我以是衣買如是衣與跋難陁釋子跋難陁釋子聞已往到居士所問言汝實爲我辦衣直作是念言我以是衣直買如是衣與跋難陁釋子耶居士答言實爾云何爲我作衣答言作如是衣跋難陁釋子言我等比丘出家人少衣服乞求難得汝等居士不能常有布施因緣若欲爲我作衣者當爲我作如是如是衣居士是居士卽隨先衣直更辦再三倍價衣與跋難陁釋子後心生悔罵言沙門釋子不知時不知厭足知籌量若施者不知量受者應知量我本所辦衣直更出再三倍此是我等過罪衰惱無利何故布施供養如是難滿難養無厭足人是中有比丘少欲知足行頭陁聞是事心不喜比丘以是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知而故問跋難陁釋子汝實作是事不答言實作世尊佛以種種因緣呵責跋難陁釋子云何名比丘非親里人所作同意索種種因緣呵已諸比丘以十利故與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爲比丘故非親里居士居士婦辦衣直作是念言我以是衣直買如是衣與某比丘是中比丘先不自恣請便往居士居士婦所作同意言汝爲我辦如是衣直買如是如是衣與我爲好故若得衣者尼薩耆波逸提爲比丘者爲跋難陁釋子衣者白麻衣赤麻衣翅夷羅衣婆羅衣芻麻衣憍奢耶衣劫貝衣直者車璖瑪瑙錢乃至米穀以此直物別著一處如是衣者是價如是色如是量與某比丘者跋難陁釋子故先不自恣請者居士先不語比丘所須來取作同意者是居士隨我索多少不瞋爲好者難滿難養無厭足故是中犯者有三種價者若比丘語居士與我好若得衣者尼薩耆波逸提若不得突吉羅乃至與我二三百錢價衣若得衣者尼薩耆波逸提若不得衣突吉羅是名價色者比丘語居士言與我靑衣若得衣者尼薩耆波逸提不得衣突吉羅若言與我黃赤白黑白麻衣赤麻衣翅夷羅衣欽婆羅芻麻衣憍奢耶衣劫貝衣若得者尼薩耆波逸提若不得衣突吉羅名色量者若比丘語居士言與我四肘五肘六肘乃至十八肘衣若得者薩耆波逸提若不得衣突吉羅是名若索此得彼突吉羅若索靑得黃突吉羅若索靑得赤白黑亦如是索白麻衣得赤麻衣乃至索欽婆羅得劫貝衣亦如是不犯者從親里索若先請若不索自與無犯八事竟佛在舍衛國爾時跋難陁釋子有二非親里居士居士婦爲跋難陁釋子辦衣直作是念言我以是衣直各各買如是如是衣與跋難陁釋子跋難陁釋子聞已便往居士居士婦所言汝等實爲我故辦衣直作是念言我等以是衣直各各買如是衣與跋難陁釋子不答言實爾云何作衣居士答作如是衣跋難陁釋子言我等比丘出家人少衣服乞求難得汝等不能常有布施因緣汝今以有好心爲我作如是如是衣若不能各作者二人共作一衣與我答言諸居士居士婦隨所辦衣直更出再三倍衣與跋難陁釋子後起悔心呵責門釋子難滿難養無有厭足我等衰惱失利云何布施供養是人是中有比丘少欲知足行頭陁聞是事心不諸比丘以是事白佛佛以是事比丘僧知而故問跋難陁汝實作是事不答言實作世尊佛以是事種種因緣呵責云何名比丘非親里人作同意索種種因緣呵已語諸比丘十利故與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二非親里居士居士婦各辦衣直作是念言我以是衣直買如是衣與某甲比丘是中比丘先不請便往居士居士婦所作同意言汝等各辦衣直合作一衣與我爲好若得衣者尼薩耆波逸提爲比丘爲跋難陁釋子故衣直爲辦先不如上說是中犯者有三種價者若比丘語居士言與我好衣人共作一衣若得者尼薩耆波逸提說與我好衣若言二共合若言二作一衣若不得衣突吉羅乃至與我二三百錢價衣者尼薩耆波逸提若不得衣突吉羅是名價色者比丘語居士言與我靑衣若黃赤白黑衣白麻赤麻衣翅夷羅衣芻麻衣欽婆羅劫貝衣若得者尼薩耆波逸提言與我好衣若言二共合若言作一若不得衣突吉羅是名色量者比丘語居士言與我四肘衣五肘衣乃至十八肘衣得者尼薩耆波逸提言與我好衣若言二共合若言作一若不得衣突吉羅是名量若索此得彼突吉羅若索靑衣得黃衣突吉若索靑得赤白黑突吉羅若索白麻衣得赤麻衣乃至索欽婆羅衣得劫具衣突吉羅不犯者從親里索先請若不索自與無犯九事竟佛在舍衛國爾時有一居士遣使送衣直與跋難陁釋子使持是物來見跋難陁釋子共估客子在市肆中牀上坐使到作是言大德某甲居士遣送是衣直大德受取跋難陁釋子聞已語估客子汝受是衣直數取擧置若我得淨人當來取去估客子卽數取擧爾時舍衛國衆人共要聚集一處若不及者罰錢五十是估客子應往赴集估客子繫物著一處閉肆戶莊嚴欲去跋難陁釋子將淨人來語估客子與我衣直來答言舍衛城衆人有聚集事我必應往不及者罰錢五十小待我還當與難陁言不得爾汝白衣在家常自求先與我便去不得小住是估客子開肆戶出是衣直看數付與還歸聞衆人聚集已散卽罰錢五十衆人來責估客子心生愁惱呵罵沙門釋子知時不籌量若小住者汝事不廢不被罰我坐是沙門釋子故失是物一人語二人二人語三人如是展轉沙門釋子惡名流布遍舍衛城是中有比丘少欲知足行頭陁聞是事不喜諸比丘以是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知而故問跋難陁釋子實作是事不答言實作世尊佛以種種因緣呵責跋難陁釋子汝不知時不知量何不小住待汝事不廢居士無所失佛如是種種呵責已語諸比以十利故與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爲比丘故若王王臣婆羅門居士遣使送衣直是使到比丘所言大德若某王王臣若婆羅門居士送是衣直汝當受取比丘應言我比丘法不應受衣直若須衣時淨衣者當自手受速作衣持是使語比丘言大德有執事人能爲比丘執事是比丘應示執事人若僧園民優婆塞此人能爲比丘執事是使往執事人所言善哉執事汝取是衣直作如是如是衣與某比丘是比丘須衣時來汝當與衣是使語已還報比我已語竟大德須衣時便往取與汝衣是比丘到執事所索衣作是言我須衣至再三反亦如是索得衣者不得者四反五反乃至六反往執事前默然立若四反五反六反默然得衣者善若不得衣過是求得衣尼薩耆波逸提若不得衣隨送衣直來處若自往若遣使語汝所送衣直我不得汝自知物莫使失是事應爲比丘者爲跋難陁釋子故王者若剎利種受王職亦名王亦名國主亦名水澆頂若婆羅門若居士乃至女人受王亦名王亦名國主亦名水澆頂王臣食官俸祿婆羅門者婆羅門種士者除王王臣及婆羅門種餘在家白衣是名居士使者若男黃門衣者白麻衣赤麻衣翅夷羅衣麻衣憍奢耶衣欽婆羅衣劫貝衣車璖馬瑙使到已語比丘是使語跋難陁釋子言大德是某王臣若婆羅門若居士送是衣直與大德今當受取比丘語使言我比丘法不應受衣直若得淨衣者當自手速作衣持者若作僧伽梨鬱多羅安陁衛是使語執事以是衣直如是如是衣者謂如是價如是色是量我已語執事者若自口語若遣人語比丘須衣時往到索衣作是言者至再三反往應言我須衣若三反往語得衣者善若不得衣乃至六反執事前默然立者當在面前立謂巧作處自住處產業處市肆處巧作處鍛作處木作處陶作處若執事人在是處比丘應在其面前默然立住處者自在其家房舍處產業處者耕種處販賣處出息物處算計處肆處者金肆銀肆客作肆珠肆執事人在是處者比丘四反五反乃至六反默然在面前立不得衣者語衣主若自往若遣使汝所送衣直我不得用汝自知物是比丘語衣主有餘因緣往到是處若執事人問比丘汝何故來比丘答言我有餘事故來若執事言汝持是衣直去是比丘言我已語衣主汝自往共分了執事言汝但持是衣直去我自當往解語衣主若比丘爾時受衣直持去者無犯十事竟十誦律卷第六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