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23_0119_b_01L
사분율 제13권


요진 계빈삼장 불타야사ㆍ축불념 등 공역
김월운 번역
주호찬 개역


5. 아흔 가지 단제법 ③

22) 비구니에게 설법하되 해 지기까지 이르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존자 난타가 대중에서 뽑히어 비구니에게 가르치게 되었는데 비구니를 가르친 뒤에는 잠자코 있었다.
그때에 대애도 비구니가 말했다.
“존자 난타시여, 저희들은 법문을 듣고자 합니다. 바라옵건대 다시 저희들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그때에 존자 난타가 설법을 마치고 또 잠자코 있자, 대애도가 다시 청하였다.
“저희들은 법문을 듣고자 합니다. 바라옵건대 다시 말씀해 주십시오.”
그때에 존자 난타가 좋은 음성으로 설법을 하니 듣는 사람들이 좋아하였는데, 날이 저물었다.
그때에 비구니들이 기원정사(祇園精舍)를 나와서 사위성으로 가니, 성문은 이미 닫혀서 들어갈 수 없으므로 성 밖에 있는 성채[塹]에서 밤을 새고 새벽에 문이 열리자 맨 먼저 성으로 들어갔다.
그때에 장자들이 보고 모두가 말했다.
“사문 석자가 부끄러움도 없고 청정한 행도 없다. 겉으로는 내가 바른 법을 닦는다고 자칭하지만 이렇거늘 어찌 바른 법이 있으랴. 그대들, 이 비구니를 보라. 밤새도록 비구들과 함께 자다가 낮이 되어서야 풀려나온다.”
여러 비구들이 듣고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난타 비구는 비구니들에게 설법을 하다가 날이 저물기까지 이르러서 장자들이 비난하게 하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짐짓 존자 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참으로 비구니들을 가르치다가 해가 저물기까지 이르렀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난타 비구를 꾸짖으셨다.
“네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난타 비구야, 너는 어찌하여 비구니들에게 설법하고 가르치다가 날이 저물기까지 이르렀느냐?”
이와 같이 꾸짖으신 뒤에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난타,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대중에서 뽑히어 비구니들을 가르치되 날이 저물기까지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대중이라 함은 함께 계를 말하고 함께 갈마를 하는 사람이며, 가르친다 함은 대중이 뽑아서 알리기와 두 차례의 갈마를 하는 것이니라.
저 비구가 대중에게 뽑혀서 비구니들을 가르치되 해가 저물기까지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가르치는 일을 제외하고 경을 배우거나 경을 외우거나 묻거나, 그 밖에 다른 일을 하다가 해가 저물면 돌길라이며, 비구니를 제외한 다른 부녀자들과 경을 배우거나 경을 외우거나 묻거나, 그 밖에 다른 일을 하다가 날이 저물면 돌길라이니라.
날이 저물었는데 날이 저물었다고 생각하면 바일제이며, 날이 저물었다고 의심하면 돌길라이며, 날이 저물었는데 저물지 않았다고 생각하면 돌길라이며, 날이 저물지 않았는데 날이 저물었다고 생각하면 돌길라이며, 날이 저물지 않았다고 의심하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다. 범하지 않는다 함은 비구니를 가르치다가 날이 저물기 전에 그치거나, 부녀자들을 제외한 다른 사람들에게 경을 가르치고 경을 외우게 하고 묻게 하거나 그밖에 다른 일을 하면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나룻배에서 설법을 하는데 비구니가 듣거나, 장사꾼들과 함께 밤길을 가면서 설법하거나, 비구니 절에 가서 설법하거나, 계를 말하는 날에 교수할 사람을 청하러 대중에 왔다가 설법하는 자리를 만나 듣는 것들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율을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3) 교수하는 사람을 비방하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비구니들이 교수사(敎授師)가 온다는 말을 듣고 반 유순을 나와 맞이하되 방을 마련하고, 죽과 음식과 평상ㆍ방석ㆍ목욕할 곳 등을 장만하였다.
그때에 여섯 무리 비구들이 생각하였다.
‘저 비구들은 우리들이 비구니를 가르쳐 주도록 뽑아 주지 않았다.’
그들은 곧 질투하는 생각을 일으켜 말하였다.
“저 비구들은 진실답게 비구니들을 가르치지 못하고 다만 음식을 위해서 비구니들을 가르쳐 주어 경을 외우거나 경을 배우거나 묻게 한다.”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이 말을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여섯 무리 비구들을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말하되 ‘저 비구들은 우리들이 비구니들을 교수하도록 뽑아주지 않았다’ 하고, 곧 질투하는 마음을 내되 ‘저 비구들은 진실답게 비구니들을 가르쳐 주지 못하고 다만 음식을 위해서 비구니들을 가르쳐 주어 경을 외우고 경을 배우고 묻게 한다’ 하였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서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비구들을 모으시고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요 청정한 행이 아니요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들은 말하되 ‘저 비구들은 우리들이 비구니들을 가르치도록 뽑아 주지 않았다’ 하고, 질투하는 마음을 품되 ‘저 비구들은 비구니들을 가르치지 못할 터인데 다만 음식을 위해서 비구니들을 가르쳐서 경을 외우고 경을 배우고 묻게 한다’ 하였느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들에게 비방하는 말을 하되 저 비구는 음식을 위해서 비구니들을 가르친다 하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와 같나니, 그 비구가 말하되 ‘여러 비구들은 음식을 위해서 비구니들을 가르치고, 음식을 위해서 경을 외우고 경을 배우고 묻게 한다’ 하여 분명히 말하면 바일제이며, 분명하지 않게 말하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다.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며, 범하지 않는다 함은 참으로 음식 공양을 위하여 비구니들을 가르치고, 음식을 위하여 가르쳐서 경을 외우고 경을 배우고 묻게 하거나, 희롱으로 웃으면서 말하거나, 혼자서 말하거나, 꿈속에 말하거나, 이것을 말하려다 잘못하여 저것을 말한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4)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성안에 한 걸식 비구가 있었는데 위의가 구족하였다. 그때에 어떤 비구니가 그를 보자, 곧 좋아하는 마음이 생겼다. 비구니는 자주 자주 그 비구에게 공양을 청하였으나 비구는 받지 않았다.
그 뒤 어느 때에 기원정사의 여러 비구들이 옷을 나누었는데, 이 비구가 자기 몫의 옷을 가지고 기수급고독원 문을 나서는데 마침 그 비구니가 기수급고독원으로 들어오는 것을 만났다.
그때에 이 비구가 생각하였다.
‘이 비구니는 자주 자주 나에게 공양받기를 청하였는데 나는 받지 않았었다. 나는 지금 내 몫의 옷으로 저에게 주겠다고 청하리라. 그러면 그는 반드시 받지 않고 더 보태어 돌려보내 주리라.’
그때에 이 비구가 비구니에게 말했다.
“대매여, 이 옷은 나의 몫이니 필요하면 가지라.”
그때에 이 비구니가 얼른 받으니, 비구는 그 비구니를 비난하면서 말했다.
“나는 자주 자주 사람들에게 말하되 ‘저 비구니가 가끔 나에게 청하여 발우에 남긴 것을 주었는데 나는 받지 않았었소. 나는 생각하기를 저 비구니가 자주 자주 나에게 청하여 발우에 남긴 것을 주었으나 내가 받지 않았는데 나는 지금 이 몫의 옷을 저 비구니에게 주리라. 그는 반드시 받지 않고 더 보태어 돌려보내 주리라 여겼더니, 그는 얼른 받았다’ 하리라.”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그에 대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그 비구를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비구가 비구니에게 옷을 주고서도 버리지 않고 그에게 청하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비구들을 모으시고 그 비구를 꾸짖으셨다.
“네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요 청정한 행이 아니요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 비구야, 너는 어찌하여 비구니에게 옷을 주고서도 버리지 않고 그에게 청하였느냐?”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에게 옷을 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이와 같이 계를 제정해 주시니, 그 중에 어떤 비구는 조심스러워서 친속인 비구니에게도 옷을 주지 못하고 부처님께 이 사실을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친속인 비구니에게는 옷을 주도록 허락하노니,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계를 제정하신 뒤, 어느 때 기수급고독원의 두 무리 대중이 옷을 나누었는데 비구의 옷을 비구니가 얻고 비구니의 옷을 비구가 얻은 일도 있었다.
그때에 비구니들이 이미 얻은 옷을 가지고 절에 와서 비구들에게 말씀드렸다.
“대덕 스님 여러분, 이 옷과 바꾸시지 않겠습니까?”
비구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은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지 못하오.”
그때에 비구들이 부처님께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는 바꾸기 위해서는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도록 허락하노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고 바꾸는 것을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친속이 아니라 함도 위와 같고, 친속이라 함도 위와 같고 옷에 열 가지가 있음도 위와 같으니라.
바꾼다 함은 옷으로 옷을 바꾸고 옷으로 옷 아닌 것을 바꾸고 옷 아닌 것으로 옷을 바꾸고, 바늘과 칼이나 실이나 끈이나 아래로는 내지 약 한 조각을 바꾸는 것이니라.
만일 비구가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면 바꾸는 것을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이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친속인 비구니에게 옷을 주거나 서로서로 바꾸거나 부처님ㆍ스님들에게 주는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5)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만들게 하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어떤 비구니가 승가리(僧伽梨)를 만들려 하였는데, 옷을 만들기 위해 절에 와서 존자 가류타이에게 말하였다.
“대덕이여, 나는 이 옷감으로 승가리를 만들려 하는데 존자께서 나를 위해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가류타이가 대답했다.
“나는 못하겠다.”
“왜 못 만들어 주십니까?”
“너희들은 자주 와서 재촉하기를 좋아하므로 만들 수 없다.”
비구니가 말했다.
“우리들은 재촉하지 않겠습니다. 옷이 끝나는 대로 저에게 주시면 됩니다.”
“좋다.”
그때에 비구니가 옷감을 주고 떠났는데 가류타이는 옷 만드는 법을 잘 아는 까닭에 곧 재단하여서 남녀가 음욕을 행하는 형상을 만들었다.
그때에 비구니가 절에 왔다가 가류타이에게 물었다.
“대덕이여, 내 옷은 다 되었습니까?”
“다 되었다.”
“옷이 다 되었으면 보여 주십시오.”
그때에 가류타이가 곧 옷을 꺼내주면서 말했다.
“대매여, 잘 알라. 이 옷은 함부로 펴 보거나 남에게 보이지도 말고 알리는 때[白時]가 오거든 이 옷을 입고 비구니들 뒤를 따라다니라.”
그때에 비구니가 그 분부대로 펴 보지도 않고 남에게 말하지도 않다가 뒤에 알리는 때가 되어 이 옷을 입고 비구니들 뒤를 따라다녔다.
그때에 거사들이 보고 모두가 조롱하고 웃으며, 손뼉을 쳐서 마주 보고, 나무를 치고, 휘파람을 불고 높은 소리로 크게 웃으면서 말했다.
“그대들, 이 비구니가 입은 옷을 보라.”
그때에 대애도 비구니가 이를 보고 이 비구니에게 말했다.
“대매여, 속히 이 옷을 벗으시오.”
그는 곧 걷어서 어깨 위에 얹었다.
그때에 대애도 비구니가 공양 끝에 절로 돌아와서 그 비구니에게 말했다.
“그대의 아까 그 옷을 가지고 오시오. 내가 보려 하오.”
곧 꺼내서 보이니, 물었다.
“누가 그대에게 이 옷을 만들어 주었는가?”
“가류타이가 만들었습니다.”
“왜 펴 보지도 않고, 같은 도반들에게도 보이지 않았는가? 재단하고 꿰맨 것이 좋고 견고하던가.”
그때에 비구니가 가류타이가 분부한 일을 자세히 말하니, 여러 비구니들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가류타이를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비구니에게 이와 같은 옷을 만들어 주었는가?”
그때에 비구니들이 비구들에게 말하니, 비구들은 곧 부처님께 가서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짐짓 가류타이에게 물으셨다.
“너는 참으로 비구니에게 이와 같은 옷을 만들어 주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가류타이를 꾸짖으셨다.
“네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는 어찌하여 비구니들에게 이와 같은 옷을 만들어 주었느냐?”
가류타이를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에게 옷을 만들어 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이와 같이 계를 제정해 주시니 그 뒤에 비구들이 두려워서 친속인 비구니에게도 옷을 만들어 주지 못하고 부처님께서 가서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비구가 친속인 비구니에게는 옷을 지어 주도록 허락하노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만들어 주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친속과 친속이 아니라 함도 위와 같고, 옷에 열 가지가 있음도 위와 같으니라.
만일 저 비구가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지어 주면 재단한 것의 많고 적음에 따라 바일제이며, 한 올을 꿰매고 한 바늘을 뜨더라도 바일제이니라.
또 펴 보고, 당겨서 펴고, 다리미질을 하고, 손으로 쓰다듬거나, 네 모퉁이를 당기어 반듯하게 하여 상자에 넣거나, 도련ㆍ끈ㆍ고름을 달면 모두가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친속인 비구니에게 만들어 주거나 비구들에게 만들어 주거나 탑을 위하거나 빌려 입거나 빨고 물들이고 다듬어서 주인에게 돌리는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6) 드러난 곳이나 으슥한 곳에서 비구니와 단둘이 앉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존자 가류타이는 얼굴이 단정하였고, 투란난타(偸蘭難陀) 비구니도 얼굴이 단정하여 남들과 달랐다. 이런 까닭에 가류타이는 항상 투란난타 비구니에 대하여 좋아하는 생각을 가졌고, 투란난타 비구니도 가류타이에 대하여 좋아하는 뜻을 품고 있었다.
그때에 가류타이가 이른 아침에 옷을 입고 발우를 들고 투란난타의 처소에 가서 문밖에 자리를 같이하고 앉아 있었다.
그때에 거사들이 보고 모두가 미워하면서 제각기 말했다.
“그대들은 이 두 사람이 함께 앉은 것을 보라. 마치 부부와 같고 마치 원앙새와도 같구나.”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그에 대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가류타이를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투란난타 비구니와 문밖에 함께 앉았는가?”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가류타이에게 물으셨다.
“너는 참으로 투란난타 비구니와 함께 문밖에서 한 자리에 앉았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가류타이를 꾸짖으셨다.
“네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는 어찌하여 투란난타 비구니와 문밖에서 한 자리에 앉았었느냐?”
이와 같이 가류타이를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으슥한 곳에 함께 앉으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한 곳이라 함은 하나는 비구요 하나는 비구니인 것이며, 으슥한 곳이라 함은 보이지 않는 곳이나 들리지 않는 곳이니라.
보이지 않는 곳이라 함은 티끌ㆍ안개ㆍ연기ㆍ구름ㆍ어두움 때문에 보이지 않는 것이며, 들리지 않는 곳이라 함은 내지 예삿말이 들리지 않는 곳이며, 막힌 곳이라 함은 나무ㆍ담ㆍ울타리ㆍ옷 등이나 그 밖에 다른 물건으로 막힌 것이니라.
만일 비구가 으슥한 곳에서 비구니와 단둘이서 함께 앉으면 바일제이며, 앞은 못 보되 귀는 먹지 않았거나 먹었으되 소경은 아니면 돌길라이며, 섰으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비구에게 동무가 있거나 눈멀지 않고 귀먹지 않고 귀먹지 않고 눈멀지 않은 지혜 있는 사람이 둘이 곁에 있거나 가다가 별안간 땅에 넘어졌거나 힘 센 이에게 붙들렸거나 결박을 당했거나 목숨과 범행을 지니기 어려움이 있을 때에는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7) 비구니와 약속하고 다니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여섯 무리 비구들이 여섯 무리 비구니들과 함께 구살라 나라에서 세간으로 다니니, 여러 거사들이 보고 모두가 비난하였다.
“사문 석자가 부끄러움도 없고, 범행을 닦지도 않는다. 겉으로는 내가 바른 법을 닦는다고 자칭하지만, 이렇거늘 어찌 바른 법이 있겠는가? 비구니들과 함께 세간으로 다니다가 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곧 길에서 내려가겠지.”
여러 비구들이 그에 대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었다.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니들과 함께 세간으로 다녔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들은 여섯 무리 비구니들과 함께 구살라 나라에서 세간으로 다녔느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다니면서 한 마을에서 한 마을 사이에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시니, 그 뒤에 비구들이 비구니들과 먼저부터 기약함이 없이 우연히 길에서 만났으나 두려워서 감히 함께 가지 못했으므로 부처님께 말씀하셨다.
“함께 가자고 기약하지 않은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약속하여 한 길을 함께 다니되 한 마을 사이에라도 이르면 바일제이다.’”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셨다.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사위국에서 비사리로 가려 하였고, 여러 비구니들도 사위국에서 비사리로 가려 하였는데 비구니들이 비구들에게 물었다.
“대덕이시여, 어디로 가려 하십니까?”
비구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은 비사리로 가려 하오.”
비구니들이 말했다.
“대덕이시여, 우리들도 그리로 가려 합니다.”
비구들이 말했다.
“대매여, 갈려면 먼저 가시오. 우리들은 뒤에 가겠소. 아니면 우리들은 앞서 가고 대매들이 뒤에 오시오. 왜냐하면 부처님께서 계를 제정하시어 비구니와 같이 길을 다니지 말라 하셨기 때문이오.”
비구니들이 말했다.
“대덕들은 우리들의 어른이니 앞서 가십시오. 우리들은 뒤에 가겠습니다.”
그때에 비구니들이 뒤에 가다가 도적에게 겁탈을 당해 의발을 잃었다. 비구니들이 이 일로 인하여 부처님께 자세히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는 장사꾼들과 함께 가거나 두려움과 의심이 있는 곳에서는 범하지 않는 것이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약속하여 한 길을 가되 한 마을에서 내지 한 마을에까지 이르면 다른 때를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라.’
다른 때라 함은 장사꾼과 함께 가거나 의심하고 두렵고 겁날 때이니, 이것이 다른 때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기약한다 함은 함께 가서 어느 성 어느 나라에 이르자 하는 것이며, 의심이 있다 함은 도적이 있다고 의심되는 곳이요 두려운 곳이니라. 길이라 함은 마을 사이에 동구가 있어 다닐 수 없는 곳이니라.
만일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약속하여 한 길을 가다가 내지 마을 사이의 동구에 이르면 여러 경계의 많고 적음에 따라 모두가 바일제이며, 마을 아닌 빈 곳을 다니어 십 리에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한 마을이 못 되거나 십 리가 못되면 돌길라이며, 여러 마을 사이의 같은 경계를 다니면 돌길라이며, 방편으로 가려 하거나 함께 장엄하고자 하면 모두가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약속 없이 함께 다녔거나 큰 무리와 다니거나 의심과 두려움이 있는 곳이거나 저곳에 이르면 편안할 수 있을 때와 힘센 이에게 잡혔거나 결박을 당했거나 목숨과 범행을 유지하기 어려운 때에는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마음이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8) 비구니와 약속하고 함께 배를 타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여섯 무리 비구들이 여섯 무리 비구니들과 함께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였다.
그때에 거사들이 보고 모두가 비난하면서 수군거렸다.
“사문 석자가 부끄러움도 모르고 범행도 닦지 않는구나. 겉으로는 내가 범행을 닦는다고 자칭하지만, 이렇거늘 어찌 바른 법이 있겠는가? 비구니와 함께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다가 하고 싶은 일이 있을 때에는 곧 배를 언덕 가에다 멈춰 두고 마음대로 하겠지.”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그에 대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여섯 무리 비구들을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니들과 함께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였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는 비구니들과 함께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였느냐?”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꾸짖으신 뒤에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여섯 비구들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계를 제정해 주시니, 그때에 비구들이 기약하지 않는 것으로써 두려워하였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기약하지 않은 것은 범하지 않나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약속하여 같은 배에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셨는데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항하를 건너 이 언덕에서 저 언덕으로 가려 하였다.
그때 여러 비구니들도 항하를 건너 이 언덕에서 저 언덕으로 가려 하였는데, 비구니들이 비구들에게 가서 물었다.
“대덕이여, 어디로 가시렵니까?”
비구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은 항하를 건너려 하오.”
비구니들이 말했다.
“함께 건너십시다.”
비구들이 대답했다.
“여러분이 앞에 건너시오. 우리들은 뒤에 건너겠소.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이 뒤에 건너시오. 우리들이 앞에 건너겠소. 왜냐하면 부처님께서 계율을 제정하시되 비구니와 함께 같은 배로 물을 건너지 말라 하셨소. 그러므로 할 수 없소.”
비구니들이 말했다.
“대덕들은 우리들의 어른이시니 앞에 서십시오. 우리들은 뒤에서 건너겠습니다.”
그때에 여름철의 큰 소나기가 와서 강물이 불었으므로 배가 저 언덕에 갔다가 돌아오기 전에 해가 저물었다. 비구니들이 강가에서 자다가 밤에 나쁜 도적들에게 겁탈을 당하였다.
그때에 비구니들이 부처님께 가서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바로 건너서 저 언덕에 이르는 것은 범하지 않나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약속하여 같은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면 바로 건너는 것을 제하고는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함께 약속한다는 것도 위와 같고, 배라 함도 위와 같으니라.
만일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약속하여 같은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면 바로 건너는 것을 제외하고는 배 안에 들어간 것은 모두가 바일제이니라.
만일 한 다리는 배에 있고 한 다리는 땅에 있거나 방편으로 들어가려 하다가 들어가지 않았거나 함께 장엄하려 하면 모두가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함께 약속하지 않거나 바로 저 언덕으로 건너거나 배에 들어갔는데 사공이 잘못하여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였거나 저 언덕에 가면 편안하지 못하거나 힘센 이에게 잡혔거나 결박을 당했거나 목숨과 범행이 두려우면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율을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9) 비구니가 찬탄한 음식을 먹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사위성에 한 거사가 있었는데 사리불과 목건련을 청하여 밥을 먹이려 하였다.
그는 그날 밤에 가지가지 음식을 장만하고, 이튿날 밖에다 좋은 자리를 편 뒤에 밥 때가 되었음을 알렸다.
그때에 투란난타 비구니는 먼저부터 그 거사 집의 단골 비구니였는데, 이른 아침에 옷을 입고 발우를 들고 그 거사의 집에 갔다가 거사가 한 곳에다 좋은 자리를 편 것을 보고 말했다.
“거사는 이 여러 가지 자리를 폈으니, 비구들을 청하려 하십니까?”
“청하려 하오.”
비구니가 말했다.
“어떤 비구를 청하려 하십니까?”
“나는 사리불과 목건련을 청하려 하오.”
비구니가 말했다.
“거사께서 청하신 이는 모두가 천한 사람입니다. 만일 먼저 나에게 말했더라면 나는 거사를 위해서 용 가운데 용[龍中之龍]을 청하였을 것입니다.”
거사가 물었다.
“누가 용 가운데 용인가요?”
“존자 제바달다ㆍ삼문달ㆍ타라달(陀羅達), 건타달바(騫陀達婆)ㆍ구바리(瞿婆離)ㆍ가류라제사(迦留羅提舍)입니다.”
이와 같이 말할 때에 사리불과 목건련이 왔는데, 비구니가 보고 거사에게 말했다.
“용 가운데 용이 왔습니다.”
거사가 비구니에게 말했다.
“그대는 아까 천한 사람이라 하더니, 지금은 어찌하여 용 가운데 용이라 하는가? 지금부터는 내 집에 왕래하지 말라.”
그때에 거사가 사리불과 목건련에게 말했다.
“앉으십시오.”
곧 자리에 나아가 앉으니 거사가 가지가지 맛있는 음식을 내어 공양하였다. 공양이 끝난 뒤에는 밥그릇을 치우고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한 뒤에 작은 평상을 가지고 와서 한쪽에 놓고 말씀드렸다.
“저는 법을 듣고자 합니다.”
그때에 사리불과 목건련이 가지가지 미묘한 법을 말하여 기쁘게 하였다.
설법을 마친 뒤에는 자리에서 일어나 절로 돌아가서 부처님께 나아가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으니, 부처님께서 알면서도 짐짓 사리불과 목건련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은 오늘 청을 받았는데 밥은 만족하게 먹었느냐?”
사리불과 목건련이 말씀드렸다.
“밥은 만족하였으나 저희들은 오늘 거사의 집에서 천한 이도 되고 용도 되었나이다.”
“무슨 까닭에 그러하였느냐?”
그때에 사리불과 목건련이 이 일로 인하여 자세히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제바달다의 사삿무리[部黨]가 비구니를 보내서 그를 공양하도록 권고하여 음식을 받고 있었습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짐짓 제바달다의 사삿무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은 참으로 비구니를 보내서 찬탄케 하고 단월을 권하여 밥을 얻었느냐?”
“그렇습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제바달다의 사삿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희들은 어찌하여 비구니를 보내서 찬탄케 하고 단월을 공양하여 밥을 받았느냐?”
이와 같이 제바달다의 사삿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신 뒤에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가장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를 보내서 권고하여 밥을 얻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이와 같이 계를 제정해 주신 뒤 비구들은 권고한 이가 있었는지 권고한 이가 없었는지 알지 못하다가 뒤에야 알고, 바일제의 참회를 하는 이도 있고, 의심하는 이도 있었으므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먼저 알지 못하고 한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들이 교화하는 곳임을 알면서도 밥을 얻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신 뒤 어느 때에 나열성에 큰 장자가 있었는데 이사달(梨師達)과 친구였으므로 항상 말하였다.
“대덕 이사달이 나열성에 오시면, 우리는 이사달이 처음 오시니 여러 스님들을 모두 청하여 공양하리라.”
그때에 장자의 집의 단골 비구니가 이 말을 듣고, 가만히 속에다 간직하였다. 그 뒤 어느 때 존자 이사달이 나열성으로 왔다.
그때에 비구니는 존자 이사달이 성에 들어왔다는 말을 듣고 장자에게 가서 말했다.
“아시겠습니까? 이사달이 이미 나열성으로 들어왔습니다.”
장자가 곧 사람을 시켜 절에 보내서 청하였다.
“내일 아침에 높으신 뜻을 굽히시어 여러 스님들과 함께 저의 집에 오셔서 공양하십시오.”
그때에 장자가 밤새 가지가지 맛난 음식을 장만하고, 이튿날 아침에 가서 밥 때가 되었음을 말씀드렸다.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옷을 입고 발우를 들고 장자의 집에 가서 자리에 앉으니, 장자가 이사달의 곁에 가서 말했다.
“바로 존자를 위해서 여러 스님들을 공양하는 것입니다.”
그때에 이사달이 장자에게 물었다.
“어떻게 내가 여기에 온 것을 알았소?”
장자가 대답했다.
“우리 집에서 공양하는 비구니가 말해 주었습니다.”
이사달이 장자에게 말했다.
“사실이 그렇다면 나는 이 밥을 받을 수 없소.”
장자가 대답했다.
“나도 이 비구니의 말에 따라 이 음식을 장만한 것이 아닙니다. 내가 먼저부터 서원하기를 ‘이사달께서 오시면 음식을 장만하여 여러 스님들에게 공양하리라’ 하였었습니다.”
이사달이 다시 장자에게 말했다.
“아무리 그렇게 말해도 나는 이 밥을 먹을 수 없소.”
그때에 이사달은 그만두고 먹지 않았다.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이 사실을 자세히 부처님께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단월이 먼저부터 뜻이 있었으면 범하지 않는 것이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들이 찬탄하고 교화한 사실이 있는 줄 알면서 밥을 얻어먹으면 단월이 먼저부터 뜻이 있었던 것을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교화한다 함은 아란야에 살고 걸식하고, 누더기를 입고, 밥 남기는 법을 한 뒤에는 먹지 않고, 한 자리에서 먹고, 한 덩어리로 먹고, 무덤 사이와 한데 나와 앉고, 나무 밑에 앉고, 항상 앉고, 경계를 따라 앉고, 세 가지 옷을 갖고, 게송을 읊고, 들은 것이 많고, 법사이며, 계율을 지키고, 좌선하는 사람이다 하는 것이며, 밥이라 함은 아침부터 낮에까지 얻어먹는 것이니, 그 비구가 비구니들이 교화한 곳임을 알면서도 밥을 얻어먹어 목구멍에 삼키면 바일제이니라.
이러한 밥을 제외하고, 그 밖에 속옷, 등잔 기름ㆍ다리에 바르는 기름 등을 교화하여 얻으면 모두가 돌길라이며, 교화한 것인 줄 알고, 교화한 것이라고 의심하면 돌길라이며, 교화하지 않은 것을 교화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돌길라이며, 교화하지 않는 것을 의심하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단월이 먼저부터 가졌던 뜻을 알지 못하거나 교화한 것을 교화하지 않았다고 생각했거나 비구니 자신이 장만했거나 단월이 비구니를 시켜 경영하거나 짐짓 교화하여 걸식하지 않아도 주는 것들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30) 여자와 약속하고 같이 다니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비사리 나라의 여자가 사위국 사람에게 시집을 갔다가, 뒤에 시어머니와 싸우고 본국으로 돌아왔다.
그때에 아나율(阿那律)이 사위국으로부터 비사리 나라로 가려 하였는데 그 여자가 아나율에게 물었다.
“존자께서는 어디로 가시겠습니까?”
“나는 비사리 나라로 가려 하오.”
여자가 얼른 말했다.
“데리고 가 주시겠습니까?”
“좋소.”
그때에 존자 아나율은 곧 이 여자와 같이 길을 떠났다. 그 여자의 남편은 먼저부터 밖에 나갔다가 뒷날에 집에 와 보니, 그 부인이 보이지 않으므로 그 어머니에게 물었다.
“내 처는 어디를 갔습니까?”
그의 어머니가 대답했다.
“나와 싸우고 도망하였는데 있는 곳을 알 수 없다.”
그때에 남편이 재빨리 뒤를 쫓아 길에서 그의 부인을 잡고, 아나율의 앞에 나서서 말했다.
“무슨 까닭에 내 아내를 데리고 도망하는가?”
아나율이 대답했다.
“그런 말을 말라. 우리들은 그런 사람이 아니다.”
장자가 말했다.
“어떻게 그렇지 않다고 하는가? 그대는 지금 분명히 같이 가고 있지 않는가?”
그 여자가 남편에게 말했다.
“내가 이 존자와 함께 오되 형제와 같이 따랐을 뿐 다른 허물은 없습니다.”
남편이 말했다.
“이 사람이 오늘 그대를 데리고 도망했는데 왜 그 말은 하지 않는가?”
그때에 그 사람이 아나율을 때려서 거의 죽을 뻔하였다. 존자 아나율은 길에서 내려 조용한 곳에서 가부좌를 맺고 앉아 몸을 단정히 하고 뜻을 바르게 하여 생각을 착한 곳에 모아 화광삼매(火光三昧)에 들었다.
그때에 장자가 이를 보고 곧 착한 마음이 생기어 속으로 생각하였다.
“만일 이 아나율이 삼매에서 일어나면 나는 예배하고 참회하리라.”
그때에 존자 아나율이 삼매에서 깨니, 장자는 곧 참회하였다.
“바라옵건대 대덕이시여, 저의 참회를 받으십시오.”
아나율이 그의 참회를 받으니, 장자는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았다.
그때에 아나율은 장자에게 가지가지 미묘한 법을 말해 주어 기쁘게 하였고, 설법을 마치고는 곧 자리에서 일어나 떠나버렸다.
그때에 아나율이 공양이 끝난 뒤에 절에 가서 이 사실을 자세히 여러 비구들에게 말하니, 여러 비구들이 그에 대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아나율을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아나율은 혼자서 여자와 함께 길을 갔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짐짓 아나율에게 물으셨다.
“너는 참으로 여자와 같이 길을 갔느냐?”
“그렇습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아나율을 꾸짖으셨다.
“네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는 어찌하여 여자와 함께 같은 길을 갔느냐?”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아나율을 꾸짖으신 뒤에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아나율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가장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여자와 함께 같은 길을 가서 마을 사이에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신 뒤에, 여러 비구들은 서로 약속하지 않았으나 길에서 만나게 되면 두려워서 같이 가지 못하는 이가 있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약속하지 않은 것은 범하지 않나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여자들과 약속하고 같은 길을 가서 마을 사이에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이와 같고 부인이라 함도 위와 같고, 함께 약속한다 함도 위와 같고, 길이라 함도 위와 같으니라.
만일 비구가 여자와 함께 약속하여 같이 길을 가서 마을 사이에 이르면 여러 경계의 살피를 지난 것에 따라 낱낱이 바일제이며, 마을이 없는 호젓한 곳을 십 리 동안 가면 바일제이며, 한 마을이 못되거나 십 리가 못되면 돌길라이며, 마을 안의 한 경계를 함께 다니면 돌길라이며, 방편으로 다니려 하다가 다니지 않거나 함께 약속해서 장엄하려 하다가 가지 않으면 모두가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애초부터 함께 약속하지 않았거나, 저곳에 가야 편안하겠거나, 힘 센 이에게 잡혔거나, 갇혔거나, 목숨과 범행을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때는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31) 한 번만 밥을 주는 곳에서 지나치게 받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구살라 나라에는 비구가 쉴 곳이 없는 마을이 있었는데, 거사들이 비구를 위해 쉴 곳을 장만하고 항상 음식을 공양하였다.
“여기에서 쉬는 비구에게는 밥 한 끼니씩을 주리라.”
그때에 여섯 무리 비구들이 구살라 나라의 쉴 곳 없는 마을에 가려 하여, 그곳에 이르러서 하루를 쉬고 좋은 음식을 얻어먹었다. 그리고 다시 이틀째 쉬어 또 좋은 음식을 얻어먹었다.
그 여섯 무리 비구들은 생각하였다.
“우리들이 다니는 것은 바야흐로 음식을 위한 것인데 이제 얻었다.”
그들은 이 쉴 곳에서 자주 자주 쉬고 먹고 하니, 거사들이 모두 비방하였다.
“이 사문 석자들은 만족함도 없고 부끄러움도 모른다. 겉으로 내가 바른 법을 안다고 자칭하지만, 이렇거늘 어찌 바른 법이 있겠는가? 여기서 자주 자주 밥을 받으니, 마치 우리들은 이 사문 석자들만을 공급하기 위한 것같이 되었다. 우리들은 본래 한 번 쉬는 비구에게 두루 공급하려 하였다.”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이 말을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여섯 무리 비구들을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들은 이 쉴 곳에서 자주 자주 밥을 받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여섯 무리 비구들아, 너희들은 어찌하여 그 쉴 곳에서 자주 자주 밥을 받아먹었느냐?”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한 번 쉬고 먹는 곳에서 한 끼니만 먹을 것을 더 먹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신 뒤였다.
어느 때에 사리불이 구살라 나라에서 다니다가 이 쉴 곳 없는 마을에 이르러 하룻밤을 쉬고 이튿날 아침에 좋은 음식을 먹었다. 그런데 거기서 사리불은 병이 나서 생각하였다.
‘부처님께서 계율을 제정하시되 ≺비구는 한 번만 쉬는 곳에서는 한 끼니만 먹으라. 더 있으면 바일제이다≻라 하셨다.’
그는 앓으면서 떠났으나 병은 더욱 무거워졌다.
그때에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병든 비구는 오래도록 먹기를 허락하나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한 번만 먹는 곳에서 병 없는 비구는 한 끼니만 먹으라. 지나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쉴 곳이라 함은 그 안에서 한 번 쉬는 것이며, 먹는다 함은 때가 되어서 먹는 것이며, 병이라 함 그 마을을 떠나면 더 심해지는 것이니라.
만일 병 없는 비구가 한 번만 쉬고 먹는 곳에서 지나게 밥을 받아 목구멍에 삼키면 바일제이며, 밥을 제하고 다시 속옷ㆍ등잔 기름ㆍ다리에 비르는 기름 같은 것을 받으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바일제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한 번 자고 밥을 받았는데 병이 나서 지나게 받았거나, 거사들이 말하되 ‘대덕이시여, 여기에 머무시오. 저희들은 사문 석자들을 위해서 이 쉴 곳을 마련하고 음식을 공급하는데 사문 석자를 만나지 못하면 다른 사람을 주겠습니다’ 하는 것이니라.
또 단월이 차례차례 청하거나 그의 아들ㆍ딸ㆍ누이ㆍ며느리들이 차례차례 청하는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오늘은 이 사람의 밥을 받고 내일은 저 사람의 밥을 받거나, 물이 갑자기 흘러서 길이 막혔거나 도적ㆍ범ㆍ이리ㆍ사자 등이 있거나 힘 센 이에게 잡혔거나 갇혔거나 목숨과 범행을 유지하기 어려움이 있을 때에는 한 끼니를 지나게 먹어도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받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읽힌 때이니라.”

32) 여기저기서 먹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나열성의 가란타(迦蘭陀) 대숲 동산에 계셨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나열성에서 나오셔서 세간에 다니시는데 큰 비구들 1,250사람과 함께 계셨다.
그때에 온 나라 안에 농사가 안 되어 쌀값이 비싸서 걸식하기가 힘들고, 사람들은 모두가 주린 빛이었다. 그때에 5백 명의 걸인이 부처님의 뒤를 따라다녔다.
그때에 사토(沙菟)라는 바라문이 있었는데 5백 수레에다 음식을 가득 싣고 겨울에서 여름까지 부처님의 뒤를 따르면서 공양 없는 날에는 공양을 마련하려 하였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마갈 나라에서부터 점점 교화하여 아나빈두(阿那頻頭) 나라에까지 오셨는데 그 나라 사람들이 앞을 다투어 공양 거리를 장만하여 부처님과 비구들을 공양하여 빈 날이 없었다.
그때에 바라문이 종일 기다렸으나 빈틈이 없어서 공양을 차릴 수 없으므로 아난에게 가서 말했다.
“나 사토는 5백 수레에다 음식을 가득 싣고 겨울에서 여름까지 부처님의 뒤를 따르면서 공양이 없어 비는 날을 기다려 공양하려 하였습니다. 그러나 나는 지금까지 공양할 차례를 얻지 못했습니다. 우리들은 속인이어서 어려움이 많으니, 관청의 역사에 매이고, 일이 없는 날에도 나아가야 하며, 겸하여 안 일도 살펴야 하고, 또 관청에 재물과 곡식도 바쳐야 하니, 공ㆍ사에 시달려서 조금도 틈이 없습니다.
바라건대 존자께서는 나를 위해 부처님께 아뢰어 주시오. 부처님께서 분부가 계시면 받들어 행하겠습니다.
만일 부처님과 스님에게 공양할 차례를 얻지 못하면 나는 이 5백 수레의 음식을 길에 펴서 부처님과 스님 여러분께서 밟고 지나시게 함으로써 내 공양을 받으신 것으로 여기겠습니다.”
아난이 대답하였다.
“잠깐 기다리시오. 내가 부처님께 여쭈어 드리겠소.”
그때에 아난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서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사토 바라문이 제게 와서 말하기를 ‘겨울에서 여름까지 5백 수레에다 음식을 가득 싣고 부처님의 뒤를 따르면서 공양 없어 비는 날을 기다려 공양하려 하였는데 나는 지금 공양할 차례를 얻지 못했소.
우리들은 속인이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으니, 관청의 역사에 매이고, 일이 없는 날에도 나아가야 하고, 겸하여 집안일도 살피어 공ㆍ사에 틈이 없다. 바라건대 존자는 나를 위해 부처님께 아뢰어 주시오. 부처님께서 분부가 계시면 받들어 행하겠소. 만일 공양할 차례를 얻지 못하면 이 5백 수레의 음식을 길에다 펴서 부처님과 스님 여러분께서 밟고 지나시게 함으로써 자기의 공양을 받으신 것으로 여기겠다’ 하였습니다. 제가 그에게 대답하되 ‘잠깐 기다리라. 내가 부처님께 아뢰어 주겠다’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부처님께 여쭙나이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그 바라문에게 가서 말하되 ‘내일 아침에 이 음식으로 죽을 쑤어 비구들에게 먹이라. 다음에는 밥을 받으리라’ 하여라.”
그때에 아난이 부처님의 분부를 받고, 곧 바라문에게 가서 말했다.
“그대는 이 음식으로 죽을 쑤어서 비구들에게 먹이라. 그 뒤에는 밥을 받으리라.”
그때에 바라문이 보건대 공양하는 사람들이 아무도 떡을 장만하지 않으므로 그날 밤에 가지가지 맛있는 소락 기름ㆍ참기름ㆍ젓ㆍ맑은 물ㆍ생강ㆍ호초ㆍ필발(罼茇)을 준비하여 가지가지 죽과 떡을 만들었다.
밤이 지난 뒤에 이 죽으로 부처님과 비구들에게 공양하니, 비구들은 받지 못하고 바라문에게 말했다.
“부처님께서 아직 비구들에게 소락 기름과 내지 세 가지 약으로 만든 갖가지 죽을 받으라고 허락하시지 않았소.”
그때에 비구들이 이 사실을 부처님께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소락 기름과 내지 세 가지 약으로 만든 갖가지 죽을 받도록 허락하노니, 먹으라.
죽에는 다섯 가지 이익이 있느니라. 주림을 없애고, 목마름을 없애고, 묵은 밥을 소화시키고, 대변과 소변이 고르고, 풍병을 없애나니, 죽을 먹는 이에게는 이 다섯 가지 이로운 일이 있느니라.”
그때에 바라문이 다시 떡을 돌리니, 비구들이 받지 못하고 말했다.
“부처님께서 아직 비구들에게 떡을 받으라고 허락하시지 않았소.”
곧 부처님께서 가서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떡을 받도록 허락하노라.”
그때에 아나빈두 나라의 거사들이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죽과 떡을 받도록 허락하셨다는 말을 듣고 모두가 매우 기뻐하면서 말했다
“우리들은 매우 좋은 복밭[福田]에 공양하는 것을 얻었다.”
그 밖에 믿음이 적은 대신이 있었는데 부처님과 비구들이 많은 공양을 얻는 것을 보고 말했다.
“이는 사소한 복덕을 가진 사람들이 아니다. 이와 같이 곡식이 비싼 때에도 부처님과 비구승들에게는 이와 같은 공양을 드리는구나. 나도 지금 가지가지 맛난 음식을 마련하여 사람마다 한 그릇씩의 고깃국을 대접하리라.”
그때에 그는 곧 사람을 절로 보내서 아뢰게 하였다.
“대덕 스님들, 내일은 저의 공양을 받아 주시기 바랍니다.”
그날 밤에 가지가지 맛난 음식을 장만하고, 이튿날 아침에 절에 가서 밥 때가 되었음을 말씀드렸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몸소 절에 계시면서 공양 청하는 곳에 보내는 일을 보셨다.
그때에 아나빈두 나라의 거사들도 먼저부터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죽 먹기를 허락하셨다는 말을 듣고, 그날 밤에 가지가지 죽을 위와 같이 장만한 뒤에 이튿날 아침에 절로 보내서 비구들에게 먹였다.
비구들은 이미 다른 이의 밥을 먹었는데 또 이 가지가지 맛있는 죽을 먹고 또 이 대신의 집으로 먹으러 갔다.
그때에 믿음이 적던 대신이 비구들에게 가지가지 음식을 주었는데 비구들이 말했다.
“멈추시오. 단월이여, 조금씩 부으시오.”
대신이 비구들에게 말했다.
“나는 짐짓 비구 스님들을 위해 맛난 음식을 장만하여 한 사람마다 한 그릇씩의 고깃국을 만들었는데 나의 믿음이 적다 하여 배불리 잡숫지 않지 마십시오. 여러 대덕이여, 그저 잡수십시오. 나는 믿는 마음이 있습니다.”
여러 비구들이 대답했다.
“그 까닭에 안 먹는 것이 아니오. 성안의 백성들이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죽과 떡을 먹으라고 허락하신 것을 듣고, 그날 밤에 가지가지 소락 기름ㆍ참기름ㆍ젓ㆍ맑은 물ㆍ생강ㆍ호초ㆍ필발로 죽을 쑤어 그 이튿날 아침에 절로 보내서 비구들에게 먹였소. 우리들이 먼저 그 죽을 먹었으므로 지금 더 많이 먹지 못할 뿐이니, 괴이히 여기지 마시오.”
그때에 믿음이 적던 대신이 즉석에서 비난하였다.
“내가 짐짓 여러 비구들을 위해서 이와 같은 가지가지 좋은 음식을 장만하여 사람마다 한 그릇씩의 고깃국을 주는 것은 여러 스님 여러분께서 다 공양하시게 하려는 것이었는데, 어찌하여 먼저 진한 죽을 먹은 뒤에야 내 밥을 받으실까?”
그때에 대신은 성이 나서 갖가지 좋은 떡과 고기들을 감춰 두고 국과 밥만을 차려 준 뒤에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부처님께 여쭈었다.
“아까 여러 스님들에게 공양을 차린 것은 복이 많겠나이까? 죄가 많겠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당신이 공양을 베푼 것은 복덕이 매우 많습니다. 이는 하늘에 나는 원인입니다. 비구들이 당신에게 한 덩어리의 밥만을 먹더라도 그 복덕이 한량없습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점점 설법하여 주시되 보시와 계율과 하늘에 나는 법을 말씀하시고, 애욕은 죄악이요 최상의 유루라고 꾸짖으시고, 벗어남은 해탈을 더하게 하는 법이라고 찬탄하셨다.
이 법을 말씀하시니 그는 곧 앉은 자리에서 온갖 번뇌가 다하여 법 눈이 맑아졌다.
그는 법을 보고 법을 얻고 바른 법을 닦아 가장 높은 과위를 얻은 뒤에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지금부터 불ㆍ법ㆍ승에 귀의하오니, 우바새가 되도록 허락해 주옵소서. 목숨이 다하도록 살생하지 않고, 내지 술을 마시지 않겠나이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공양을 마치시고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비구들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은 참으로 새벽에 다른 이의 진한 죽을 먹은 뒤에 대신의 청을 받았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희들은 어찌하여 어리석게도 먼저 진한 죽을 먹은 뒤에 청을 받으러 갔느냐? 먼저 청을 받고서는 진한 죽을 먹지 말라. 진한 죽이라 함은 풀잎으로 그어서 죽의 금이 합쳐지지 않는 것이니, 먹어서는 안 되느니라. 먹으면 법대로 다스리라.”
그때에 부처님께서 아나빈두 나라로부터 세간으로 떠나셨는데 1,250사람과 함께 계셨다.
그때에 그 나라에 곡식이 귀하여 걸식하기 어려웠고 사람들은 주린 빛이 있었다. 그리하여 5백 사람의 거지가 항상 부처님의 뒤를 따르고 있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마갈 나라에서 점점 걸어서 나열성으로 옮겨오셨다. 그때에 부처님과 비구들이 많은 공양을 얻었다.
그때에 나열성에 믿음이 적은 한 악사(樂師)가 있었는데 부처님과 비구들이 많은 공양을 얻는 것을 보고 생각하였다.
‘이는 사소한 복밭이 아니다. 이와 같이 곡식이 귀한 때에 부처님과 비구들은 공양을 많이 얻었다. 나도 지금 한 해 동안 생기는 물건으로 가지가지 맛난 음식과 사람마다 한 그릇씩의 고기를 장만하여 부처님과 비구들에게 공양하리라.”
그때에 그는 몸소 절에 가서 비구들에게 말했다.
“내일 아침에는 제 공양을 받아 주십시오.”
그날 밤에 가지가지 맛난 음식을 장만하고, 이튿날 아침에 가서 밥 때가 되었음을 말씀드렸다.
그때에 나열성은 명절을 만나 거사들이 앞을 다투어 밥ㆍ국수ㆍ건반ㆍ생선ㆍ고기를 가지고 절에 가서 비구들에게 주니, 비구들은 그것을 먹고 청을 받으러 갔다.
그때에 악사가 손수 가지가지 음식을 나누어 주니 비구들이 말했다.
“그만두시오. 거사여, 밥을 많이 담지 마시오.”
악사가 말했다.
“제가 한 해 동안 얻은 물건으로 일부러 스님들을 위해 가지가지 맛난 음식과 사람마다 한 그릇씩의 고기를 장만했습니다. 제가 믿음이 적다 하여 믿지 않는 마음을 낼까 두려워하여 많이 안 잡숫지 마십시오. 어서 잡수시오. 나는 믿음이 있습니다.”
그때에 비구들이 거사에게 말했다.
“우리들은 그 일 때문에 안 먹는 것이 아니오. 조금 전에 성안의 사람들의 음식을 먼저 먹었소. 그러므로 지금 적게 먹는 것이니, 다른 마음이 없소. 괴이히 여기지 마시오.”
그때에 믿음이 적던 악사가 이 말을 듣고 비방하는 생각을 품었다.
‘내가 한 해 동안 생기는 물건으로 일부터 스님들을 위해 가지가지 맛난 음식과 사람마다에게 한 그릇씩의 고기를 장만했거늘, 비구들은 어찌하여 먼저 남의 밥ㆍ국수ㆍ건반ㆍ생선ㆍ고기 등을 먹은 뒤에 내 밥을 받을까?’
악사는 성이 나서 가지가지 좋은 음식은 감춰 두고 국과 밥만을 준 뒤에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 부처님께서 여쭈었다.
“제가 베푼 음식은 복이 많나이까? 죄가 많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 네가 보시한 음식은 하늘에 태어나는 원인이다. 비구들이 한 덩어리의 밥만을 받더라도 그 복이 한량없거늘 하물며 지금 이와 같이 장만한 것이겠느냐? 그 복덕은 한량이 없느니라.”
그때에 부처님께서 미묘한 법을 연설해 주시니 보시와 지계(持戒)는 하늘에 나는 원인이라 하시고, 애욕은 허물이며 최상의 유루라고 꾸짖으셨다.
그때에 악사가 이 말씀을 듣고 앉은 자리에서 온갖 번뇌가 다하여 법 눈이 밝아졌다.
법을 보고 법을 얻고 바른 법을 닦아 가장 높은 과위를 얻고는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지금부터 우바새가 되겠사오니, 허락해 주옵소서. 목숨이 다하도록 살생하지 않고, 내지 술을 마시지 않겠나이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짐짓 비구들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은 참으로 먼저 남의 다섯 가지 음식을 먹은 뒤에 이 공양 청을 받았느냐?”
“그렇습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어리석은 사람들아, 너희들은 어찌하여 먼저 남의 다섯 가지 음식을 먹은 뒤에 다시 이 청을 받았느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남의 다섯 가지 음식을 먹은 뒤에 청을 받지 말라.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여기저기서 먹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하신 뒤의 어느 때에 병든 비구들이 청을 받아먹는 곳에는 병에 맞는 음식과 병에 맞는 약이 없었고, 설사 딴 곳에는 병에 맞는 음식과 약이 있더라도 조심스러워서 먹지 못했으니, 여기저기서 먹지 못하는 계를 범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었다.
그때에 비구들이 이 일로 인하여 부처님께 가서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병든 비구에게는 여기저기서 먹도록 허락하노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여기저기서 먹으면 특별한 때[異時]를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 특별한 때라 함은 병든 때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신 뒤 어느 때에 어떤 거사가 부처님과 비구들을 청하여 음식을 공양하려 하였는데 다시 어떤 거사가 부처님과 비구들을 청하여 음식과 의복을 마련해서 공양하려 하여 절에 가서 비구들에게 말했다.
“제가 부처님과 스님들을 청하여 음식을 공양하려 합니다.”
비구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은 먼저 다른 거사의 청을 받았소.”
거사가 말했다.
“대덕이여, 나는 좋은 음식과 옷을 보시하려 합니다. 바라건대 스님 여러분께서는 제 청을 받아 주십시오.”
그때에 비구들은 조심스러워서 부처님께 가서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옷을 보시할 때에는 여기저기서 먹도록 허락하노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여기저기서 먹으면 특별한 때[餘時]를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 특별한 때라 함은 병들었을 때와 옷을 보시하는 때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여기저기서 먹는다 함은 청하는 때에 한하는 것이니라. 청하는 것은 두 가지가 있으니, 대중의 차례대로 청함[僧次請]과 따로 청함[別請]이니라.
먹는다 함은 밥ㆍ국수ㆍ건반ㆍ생선ㆍ고기이며, 병든 이라 함은 한 자리에서 좋은 음식을 먹어 배부를 수 없는 사람이며, 옷을 준다 함은 자자를 바치고 카타나 옷이 없으면 한 달이며, 가치나 옷이 없으면 다섯 달이니라.
만일 여러 곳에서 음식과 의복을 보시한다는 이가 있거나 하루에 여러 곳에서 공양 청장을 받았거든 자기는 한 사람의 청만을 받고 나머지는 남에게 미루어 줄지니, 이와 같이 말하고 주라.
‘장로여, 내가 거기에 가야 하겠으나 이제 그대에게 보시합니다.’
만일 비구가 앞의 청을 버리지 않고 뒤의 청을 받아 밥이 목구멍을 넘으면 바일제이며, 뒤의 청을 버리지 않고 앞의 청을 받아 밥이 목구멍을 넘으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병들었을 때와 옷을 보시할 때와 하루에 여러 사람이 청하였는데 자기는 한 사람의 청만을 받고 나머지는 다른 사람에게 주었거나, 만일 청하고서도 다섯 가지 밥 아닌 것을 주거나 밥이 부족하거나 공양을 청한 이가 없어서 먹거나 먹은 뒤에 다시 밥이 생겼거나 한 곳에 앞의 밥과 뒤의 밥이 있는 때는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023_0119_b_01L四分律 卷第十三 初分之十三姚秦罽賓三藏佛陁耶舍共竺佛念等 譯九十單提法之三爾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尊者難陁爲衆僧所差教授比丘尼教授比丘尼已默然而住爾時大愛道語言尊者難陁我等欲得聞法更與我等說爾時尊者難陁與說法默然而住大愛道復重請言我等欲得聞法願與我等說尊者難陁好音聲爲說法聽者樂聞遂至日暮比丘尼出祇桓精舍往舍衛城門已閉不得入門卽便依門外城塹中宿晨旦門開在前入城諸長者見已皆言沙門釋子無有慚恥無淸淨行自稱言我修正法如是有何正汝等皆觀此比丘尼竟夜與比丘共宿晝便放還諸比丘聞已衆中有少欲知足行頭陁樂學戒知慚愧者嫌責言云何難陁與比丘尼教誡至日暮使諸長者嫌責耶諸比丘往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坐以此因具白世尊世尊爾時以此因緣比丘僧知而故問尊者難陁汝實與比丘尼教誡至日暮耶答曰實爾世尊以無數方便呵責難陁言所爲非非威儀非沙門法非淨行隨順行所不應爲云何難陁與比丘尼說法教誡乃至日暮耶呵責已諸比丘此難陁癡人多種有漏處初犯戒自今已去與比丘結戒集十句義乃至正法久住欲說戒者當如是說若比丘爲僧差教授比丘尼至日暮者波逸提比丘義如上僧者一教授一羯磨教授者衆僧中差白二羯磨彼比丘衆僧所差教授比丘尼應乃至日未暮當還若比丘教授比丘尼乃至日暮者波逸提除教授若受經若誦經若問若以餘事乃至日突吉羅除比丘尼已若爲餘婦女誦經若受經若問若以餘事至日暮突吉羅若日暮日暮想波逸提日暮突吉羅日暮不日暮想突吉羅日暮日暮想突吉羅不日暮疑突吉比丘尼突吉羅式叉摩那沙彌彌尼突吉羅是謂爲犯不犯者教授三中比丘尼日未暮便休除婦女已若爲餘人若教誦經受經若問若以餘事不犯若船濟處說法比丘尼聽若與賈共行夜說法若至比丘尼寺中法若說戒日來在衆中請教授人値說法便聽無犯無犯者最初未制戒癡狂心亂痛惱所纏 二十二竟爾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彼比丘尼聞教授師來半由旬迎安處房舍辦粥若飮食牀座具洗浴爾時六群比丘作是念彼諸比丘差我等教授比丘尼生嫉妒心言彼諸比丘教授比丘尼無有眞實但爲食故教授比丘尼誦經受經若問諸比丘聞其中有少欲知足行頭陁樂學戒知慚愧者嫌責六群比云何作如是語諸比丘不差我等教授比丘尼便生嫉妒心彼諸比丘授比丘尼無有眞實但爲飮食故教授比丘尼若誦經受經若問諸比丘往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坐以此因緣具白世尊世尊爾時集比丘僧呵責六群比丘言汝所爲非非威儀非沙門法非淨行非隨順行所不應云何六群比丘乃作是言彼諸比不差我等教授比丘尼便生嫉妒彼諸比丘教授比丘尼無有眞實但爲飮食故教授比丘尼若誦經若問世尊以無數方便呵責六群比丘已告諸比丘此癡人多種有漏最初犯戒自今已去與比丘結戒集十句義乃至正法久住欲說戒者當如是說若比丘語諸比丘作如是比丘爲飮食故教授比丘尼者逸提比丘義如上彼比丘作是言比丘爲飮食故教授比丘尼爲飮食教誦經受經若問說而了了者逸提不了了者突吉羅比丘尼突吉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謂爲犯不犯者其事實爾爲飮食供養故教授比丘尼爲飮食故教誦經受經若問若戲笑語獨處語夢中語欲說此乃錯說彼無犯無犯者最初未制戒癡狂心亂痛惱所纏 二十三竟爾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舍衛城中有一乞食比丘威儀具足時有比丘尼見便生善心數請彼比丘比丘不受後於異時祇桓衆分衣物此比丘持衣分出祇桓門比丘尼方來入祇桓彼比丘念言此比丘尼數數請我而我不受我今寧可持此衣分用請彼彼必不取足以相遺時此比丘語比丘尼言大妹此衣我分須者可取時比丘尼輒便受之此比丘嫌責比丘尼言我數數向人說言彼比丘尼數請我以鉢中遺餘與我而我不取我作如是念彼丘尼數數請我以鉢中遺餘與我而我不取我今寧可持此衣分與彼比尼彼必不受足以相遺而彼便受之爾時諸比丘聞其中有少欲知足行頭陁樂學戒知慚愧者嫌責彼比丘言云何比丘與比丘尼衣不捨請他耶諸比丘往世尊所頭面足在一面坐以此因緣具白世尊世尊爾時集比丘僧呵責彼比丘汝所爲非非威儀非沙門法非淨行非隨行所不應爲云何比丘與比丘尼衣不捨而請他以無數方便呵責彼伕夫比丘已告諸比丘言此癡人多種有漏處最初犯戒自今已去與比丘結戒集十句義乃至正法久住欲說戒者如是說若比丘與比丘尼衣波逸如是世尊與比丘結戒其中有比丘畏愼不敢與親里比丘尼衣白佛佛言自今已去聽與親里比丘尼若與非親里比丘尼衣者波逸提如是世尊與比丘結戒爾時祇桓中二部僧共分衣物比丘分比丘尼得比丘尼衣分比丘得時比丘尼所得衣持來詣僧伽藍中白諸比丘大持此衣共貿易耶比丘答言諸妹曹不得與非親里比丘尼衣爾時比丘白佛佛言自今已去若貿易聽與非親里比丘尼衣自今已去當如是說戒若比丘與非親里比丘尼衣除貿易波逸提比丘義如上說非親里者如上說親里者亦如上衣者有十種如上說貿易者以衣易衣以衣易非衣以非衣易衣鍼貿刀若縷線下藥一片若比丘與非親里比丘衣除貿易波逸提比丘尼突吉羅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是謂爲犯不犯者與親里尼衣共相貿易與塔與佛與僧無犯無犯者最初未制戒癡狂心亂痛惱所纏二十四竟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爾時有比丘尼欲作僧伽梨以作衣來至僧伽藍中語尊者迦留陁夷大德我持此衣財欲作僧伽梨願尊者與我作迦留陁夷報言我不能作問言何故不與我作報言汝等喜數來相催促故不能作比丘尼報言我不數來相隨作竟與我迦留陁夷報言可爾時比丘尼授衣與之而去迦留陁夷善知衣法卽與裁之作男女行婬欲像時比丘尼來至僧伽藍中問迦留陁夷言大德爲我成衣未答言衣成比丘尼言衣若成者今可見與時迦留陁夷卽襞衣授與之語言大妹當知此衣不得妄解披看亦莫示人若時到當著此衣在比丘尼僧後行時比丘尼如其教亦不披衣看復不語人知後於異時白時到卽著此衣在比丘尼僧後行諸居士見皆共譏笑或拍手相向或打木或嘯或高聲大笑言汝等看此比丘著衣汝等看此比丘尼所著衣時摩訶波闍波提比丘尼見已語此比尼言妹速脫襞此衣卽便襞之著肩上時摩訶波闍波提比丘尼食後還僧伽藍中語彼比丘尼言取汝向者衣來我欲看之卽持出示之問言誰與汝作此衣報言是迦留陁夷作語言何不披看持示同學耶縫割好不牢不時比尼以迦留陁夷所勅事向說之時比丘尼衆中有少欲知足行頭陁樂學戒知慚愧者嫌責迦留陁夷云何與比丘尼乃作如是衣爾時比丘尼白諸比丘諸比丘卽往白世尊世尊以此因緣集比丘僧知而故問迦留陁夷言汝實與比丘尼作是衣耶答曰實爾世尊以無數方便呵責迦留陁夷言汝所爲非非威儀非沙門法非淨行非隨順行所不應爲云何乃與比丘尼作如是衣耶呵責迦留陁夷已告諸比丘此癡多種有漏處最初犯戒自今已去與巳守比丘結戒集十句義乃至正法夂住欲說戒者當如是說若比丘與比丘尼作衣者波逸提如是世尊與比丘結戒時諸比丘畏愼不敢與親里丘尼作衣往白佛佛言自今已去聽比丘與親里比丘尼作衣自今已去如是說戒若比丘與非親里比丘尼作衣者波逸提比丘義如上非親里親里者如上衣者有十種亦如若彼比丘與非親里比丘尼作衣隨刀截多少波逸提隨一縫一鍼亦波逸提若復披看牽挽熨治以手摩若捉角頭挽方正安帖若緣若索若續綖一切突吉羅比丘尼突羅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謂爲犯不犯者與親里比丘尼作與僧作若爲塔若借著浣染治還主無犯無犯者最初未制戒癡狂心亂痛惱所纏 二十五竟爾時世尊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爾時尊者迦留陁夷顏貌端正偸蘭陁比丘尼亦復顏貌端正與人有異迦留陁夷有欲意於偸蘭難陁比丘尼偸蘭難陁比丘尼亦有欲意於迦留陁夷爾時迦留陁夷淸旦著衣持鉢至偸蘭難陁所在門外共一處坐時諸居士見已皆共嫌之各自謂言汝等觀此二人共坐猶如婦亦如鴛鴦爾時諸比丘聞其中有少欲知足行頭陁樂學戒知慚愧者嫌責迦留陁夷云何與偸蘭難陁比丘尼在門外共一處坐耶爾時諸丘往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坐此因緣具白世尊世尊以此因緣集比丘僧知而故問迦留陁夷言汝實與偸蘭難陁比丘尼在門外共一坐耶答曰實爾世尊以無數方便責迦留陁夷言汝所爲非非威儀非沙門法非淨行非隨順行所不應爲云何與偸蘭難陁比丘尼共在門外處坐耶呵責迦留陁夷已告諸丘此癡人多種有漏處最初犯戒自今已去與比丘結戒集十句義乃至正法久住欲說戒者當如是說若丘與比丘尼在屛處坐者波逸提比丘義如上一處者一是比丘一是比丘屛障處者見屛處聞屛處見屛處者若塵若霧若煙雲若黑闇不見聞屛處者乃至不聞常語聲障者若樹若牆若籬若衣若復以餘物障若比丘獨在屛處與比丘尼坐者波逸提盲而不聾聾而不盲突吉羅立住者突吉羅比丘尼突吉羅式叉摩那彌沙彌尼突吉羅是謂爲犯不犯者若比丘有伴若有智人有二不盲不聾不聾不盲若行過卒倒地若病側若爲力勢所持若被繫閉若命難梵行難無犯無犯者最初未制戒癡狂心亂痛惱所纏 二十六竟爾時世尊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爾時六群比丘與六群比丘尼在拘薩羅國人間遊行諸居士見皆共嫌之沙門釋子無有慚愧不修梵行自稱言我修正法如是有何正法與比丘尼人閒遊行若有所欲便下道諸比丘聞其中有少欲知足行頭陁樂學戒知慚愧者嫌責六群比丘云何與六群比丘尼共人閒遊耶諸比丘往至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坐以此因緣具白世尊世尊以此因緣集比丘僧呵責六群比丘言汝所爲非非威儀非沙門法非淨行非隨順行所不應爲云何六群比丘六群比丘尼共在拘薩羅人閒遊行耶世尊以無數方便呵責六群比丘已諸比丘此癡人多種有漏處最初戒自今已去與比丘結戒集十句義乃至正法久住欲說戒者當如是說若比丘與比丘尼共行從一村乃至一者波逸提如是世尊與比丘戒時諸比丘不先與比丘尼共期卒道路相遇畏愼不敢共行佛言若不共期無犯自今已去應如是說戒若比丘與比丘尼共期同一道行乃至一村閒波逸提如是世尊與比丘結戒衆多比丘從舍衛國欲至毘舍離時衆多比丘尼亦從舍衛國欲毘舍離諸比丘尼問比丘言大德欲所至耶諸比丘報言我欲至毘舍離比丘尼言大德我亦欲往諸比丘言大妹若欲往者當在前我等後若我等在前大妹在後何以故世尊制戒不得與比丘尼同道行諸比丘尼言大德是我等上尊應在前我等在後諸比丘尼在後爲賊所劫衣鉢諸比丘以此事具白世尊世尊自今已去若與賈客行若疑畏怖無犯自今已去當如是說戒若比丘與比丘尼期同一道行從一村乃至一除異時波逸提異時者與賈客行若疑畏怖時是謂異時比丘義如上期者言共去至某村某城某國土疑處者疑有賊劫盜恐怖者恐有賊劫道者村閒有分齊行處是若比丘與比丘尼期同一道行乃至村閒分齊處隨衆多界多少一一波逸提村若空處行乃至十里波逸提若減一村若減十里突吉羅若多村閒一界行突吉羅方便欲去共期莊嚴一切突吉羅比丘尼突吉羅式叉摩沙彌沙彌尼突吉羅是謂爲犯犯者不共期大伴行疑恐怖處若往彼得安隱若爲力勢者所持若被繫若命難梵行難無犯無犯者最初未制戒癡狂心亂痛惱所纏 二十七竟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爾時六群比與六群比丘尼共乘上水下水時諸居士見皆共嫌之自謂言沙門釋子不知慚愧不修梵外自稱言我修正法如是何有正法與比丘尼共乘船上水下水若有所欲時便住船岸邊隨意爾時諸比聞其中有少欲知足行頭陁樂學戒知慚愧者嫌責六群比丘云何與六群比丘尼共乘船上水下水諸丘往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坐此因緣具白世尊世尊以此因緣比丘僧呵責六群比丘汝所爲非威儀非沙門法非淨行非隨順行所不應爲云何與六群比丘尼共乘船上水下水世尊呵責已告諸比丘此六群比丘癡人多種有漏處最初犯戒自今已去與比丘結戒集十句義乃至正法久住欲說戒者當如是說若比丘比丘尼共乘船上水下水者波逸提如是世尊與比丘結戒爾時諸比丘不期而畏愼佛言不期無犯自今已去當如是說戒若比丘與比丘尼共期同一船上水下水者波逸提如世尊與比丘結戒爾時有衆多丘欲渡恒水從此岸至彼岸爾時衆比丘尼亦欲渡恒水從此岸至彼諸比丘尼往問言大德欲何所至比丘報言我等欲渡恒水比丘尼言可得共伴渡不諸比丘報言諸妹在前我等在後若不爾者諸妹在後我等在前何以故世尊制戒不得與比丘尼同一船渡水是故不得比丘尼白言大德是我等所尊則應在前我等在後爾時夏月天大暴雨江泛漲船到彼岸未還之閒日已暮諸比丘尼卽在岸邊宿夜遇惡賊劫奪爾時諸比丘往白佛佛言直渡至岸者無犯自今已去當如是結戒若比丘與比丘尼共期同乘一船上水下水除直渡者波逸提比丘義如上共期亦如上船者如上所說若比與比丘尼共期同一船上水下水除渡若入船裏波逸提若一腳在上一腳在地若方便欲入而不入若共期莊嚴一切突吉羅比丘尼突吉羅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是謂爲犯不犯者不共期若直渡彼岸若入船船師失濟上水下水若往彼岸不得安隱或爲力勢者所持或被繫或命難梵行難無犯無犯者最初未制戒癡狂心亂痛惱所纏 二十八竟爾時世尊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爾時舍衛城中有一居士請舍利弗連與飯食彼卽於夜辦具種種明日露地敷好坐具已白時到爾時偸難陁比丘尼先是居士家丘尼時偸蘭難陁明旦著衣持鉢詣彼居士家見居士在露地敷衆多好坐具見已卽問居士言居士敷此衆多坐具欲請諸比丘耶答言欲請比丘尼卽問言請何等比丘耶報言我請利弗目連比丘尼語言居士所請者盡是下賤人若先語我者我當爲居士請龍中之龍居士問言何者是龍中之龍比丘尼答言尊者提婆三聞陁羅達騫馱羅達婆瞿婆離留羅提舍是言語之頃舍利弗目連已至比丘尼見已語居士言龍中之已至居士卽語比丘尼言汝向言下賤人今云何言龍中之龍耶自今已去勿復來往我家爾時士白舍利弗目連坐卽就座而坐時居士出種種甘美飮食供養食已除去食器頭面禮足已更取小牀在一面坐白言我欲得聞法時舍利弗目連爲種種微妙法勸令歡喜與說法已坐而去還至僧伽藍中往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坐世尊知而故問舍利弗目連言汝等今日受請食爲得充足不耶舍利弗目連白佛言食雖充足我於居士家亦是下賤亦是龍中之龍佛問言何故耶爾時舍利弗目連以此因緣具白世尊言是提婆達遣部黨比丘尼爲作勸化供養彼受飮食爾時世尊以此因緣集比丘僧知而故問提婆達部黨比丘言汝等實遣比丘尼往歎譽勸化檀越得食不對曰實爾時世尊以無數方便呵責婆達部黨比丘言汝所爲非非威儀非沙門法非淨行非隨順行所不應爲云何汝等遣比丘尼勸化檀越德惠受彼食耶呵責提婆達部黨比丘告諸比丘言此癡人多種有漏處最初犯戒自今已去與比丘結戒集十句義乃至正法久住欲說戒者當是說若比丘遣比丘尼勸化得食逸提如是世尊與比丘結戒爾時諸比丘不知有勸化無勸化然後乃知或有作波逸提懺者或有疑者先不知無犯自今已去當如是說戒若比丘知比丘尼教化得食者波逸提如是世尊與比丘結戒爾時羅閱城中有長者是梨師達親友知識彼作言若大德梨師達來至羅閱城者等當爲梨師達初至故供養衆僧長家比丘尼聞此語默然在懷於時尊者梨師達來入羅閱城爾時比丘尼聞尊者梨師達來入城便往語者言欲知不梨師達已來入羅城長者卽遣信至僧伽藍中請之明日淸旦願尊屈意幷及衆僧受我食時長者卽其夜辦具種種甘美飮食淸旦往白時到爾時諸比著衣持鉢往詣長者家就座而坐時長者德惠往詣梨師達所語言正爲尊者故飯食衆僧時梨師達問長者言云何知我來至此也長者報言家所供養比尼見語梨師達語長者言若實爾者我不應食此食長者報言我亦不從此比丘尼語設此食我先有誓願若梨師達來者我設飯食供養衆僧梨師達復語者言雖有此語我應食此食時梨師達卽止不食爾時諸比丘具白世尊世尊告言若檀先意者無犯自今已去當如是說戒若比丘知比丘尼讚歎教化因緣得食食除檀越先有意者波逸提比丘義如上教化者阿練若乞食人著糞掃衣作餘食法不食一坐食一摶食塚間露地坐樹下坐常坐隨坐持三衣讚偈多聞法師持律坐禪也食者從旦至中得食彼比丘知比丘尼教化得食食咽咽波逸提除此飯食已教化餘襯體衣燈油塗腳油一切突羅知教化教化想波逸提教化疑突羅不教化教化想突吉羅不教化疑突吉羅比丘尼突吉羅式叉摩那正三彌沙彌尼突吉羅是謂爲犯不犯者若不知若檀越先意若教化無教化想若比丘尼自作若檀越令比丘尼經營若不故教化而乞食與無犯無犯者最初未制戒癡狂心亂痛惱所二十九竟爾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時舍離嫁女與舍衛國人後與姑共諍還詣本國爾阿那律從舍衛國欲至毘舍離國時彼婦女問尊者阿那律言尊者欲至何處耶答言我至毘舍離婦女卽言可見將去不答言可爾爾時尊者阿那律便與此婦女同一道行爾時婦女夫主先行不在後日還家不見其婦卽問母言我婦爲所在耶其母報言與我鬪竟便逃去不知所在爾時夫主速疾往逐之於道路得婦將詣阿那律所語言何故將我婦逃走耶時阿那律答言止止莫作此語我等不爾長者語言云何言不爾汝今現與同道行其婦語夫主言我與此尊者行如兄弟相逐無他過惡夫主報言此人今日將汝逃正三走豈可不作此言耶爾時其人卽打阿那律垂斷命根爾時尊者阿那律下道在一靜處結加趺直身正繫念在前入火光三昧時長者見已便生善心長者念言若此那律從三昧起者我當禮拜懺悔時尊者阿那律從三昧覺已長者卽便懺悔願大德受我懺悔阿那律受其懺悔爾時長者禮足已在一面坐爾時阿那律爲長者說種種微妙法令喜心與說法已卽從坐起而去爾時阿那律食已往到僧伽藍中以此因緣具向諸比丘說爾時諸比丘其中有少欲知足行頭陁樂學戒知慚愧者嫌責阿那律云何阿那律獨與婦女共一道行諸比丘往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坐以此因緣具白世尊世尊爾時卽集比丘僧知而故阿那律言汝實共婦女同一道行耶答言實爾爾時世尊以無數方便呵責阿那律言汝所爲非非威儀非沙門法非淨行非隨順行所不應汝今云何與婦人共同一道行耶爾時世尊以無數方便呵責阿那律已諸比丘此阿那律多種有漏處最初犯戒自今已去與比丘結戒集十句乃至正法久住欲說戒者當如是若比丘與婦女同一道行乃至村波逸提如是世尊與比丘結戒諸比丘不共期道路相遇有畏愼敢共行佛言不期不犯自今已去如是說戒若比丘與婦女共期同一道行乃至村間波逸提比丘義如上婦女者如上說共期者亦如上說亦如上說若比丘與婦女共期同一道行乃至村閒隨衆多界分齊一一波逸提若無村若空處行十里波逸若減一村減十里突吉羅若村裏一界共行者突吉羅若方便欲行不行若共期莊嚴而不去一切突吉比丘尼突吉羅式叉摩那沙彌彌尼突吉羅是謂爲犯不犯者先不共期事須往彼得安隱若爲力勢所若被繫閉若命難若梵行難無犯無犯者最初未制戒癡狂心亂痛惱所纏 三十竟爾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拘薩羅國有無住處村有居士爲比丘作住處常供給飮食若在此住當聽一食爾時有六群比丘欲往拘薩羅國無住處村至彼住處經一宿得美好飮食故復住第二宿復得美好飮食彼六群比丘作如是念我所以遊行者正爲食耳今者已得彼此住處數數食諸居士皆共譏嫌此沙門釋子無有厭足不知慚愧自稱言我知正法如是有何正法此住處數數受食正似我曹常爲此沙門釋子供給飮食我本爲周給一宿住者耳爾時諸比丘聞已其中有少欲知足行頭陁樂學戒知慚愧者嫌責六群比丘言云何六群比丘於此住處數數受食諸比丘往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坐以此因緣具白世尊世尊爾時以此因緣集比丘僧呵責六群比丘言汝所爲非非威非沙門法非淨行非隨順行不應爲云何六群比丘於此住處數受食爾時世尊以無數方便責六群比丘已告諸比丘此癡人多種有漏處最初犯戒自今已去與比丘結戒集十句義乃至正法久住說戒者當如是說若比丘一住食應受一食若過一食者波逸提如是世尊與比丘結戒爾時舍利弗在薩羅國遊行詣此無住處村住一宿明日淸旦得好食舍利弗於彼得病念言世尊制戒比丘一宿處應一食若過者波逸提卽扶病而去病遂增動爾時比丘往白佛佛言自今已去聽病比丘過受食自今已去當如是說戒若施一食處無病比丘應一食過受者波逸提比丘義如上住者在中一宿食者乃至時食病者離彼村增劇者是若無病比丘於彼宿處過受咽咽波逸提除食已更受餘襯身衣燈油塗腳油盡突吉羅丘尼波逸提式叉摩那沙彌沙彌突吉羅是謂爲犯不犯者一宿食病過受食若諸居士請大德住我與食我等爲沙門釋子故設此宿處供給飮食若不得沙門釋子亦當餘人耳若檀越次第請食若兒若女若妹及兒婦次第請食無犯或日受此人食或明日乃受彼人食瀑漲道路澀難若有賊盜虎狼師或爲力勢者所持或被繫閉或難梵行難過一食者無犯無犯者最初未制戒癡狂心亂痛惱所纏 三十一竟爾時世尊在羅閱祇迦蘭陁竹園中世尊從羅閱城出遊行人閒與大比丘衆千二百五十人俱爾時國界田收米穀勇貴乞食難得人色時有五百乞人隨逐世尊後時有婆羅門名曰沙菟有五百乘車載滿飮食經冬涉夏隨逐世尊後伺候空缺無食之日便欲設供爾時世尊從摩竭國界漸漸教化至阿那頻頭國界彼國人民興供具飯佛及比丘僧無有空日時婆羅門終日伺候無有空缺不得設供卽便往阿難所語阿難言我沙菟有五百乘車載滿飮食經冬涉夏隨逐世尊伺候空缺無食之日便欲設供然我今者不得次供我等處俗多諸難故屬官役使至於斷事之日當應往赴兼復料理家復供官財穀公私驅馳初無停息唯尊者爲我白佛佛若有教我當奉行若佛及僧不得次食者我當以此五百乘車飮食布在道中令佛及僧腳蹈而過者則爲受我供養已報言且小住我正爾當爲白佛時難往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立以此因緣具白世尊言沙菟婆羅門來我所作是說有五百乘車載滿食經冬涉夏隨逐世尊伺候空缺無之日便欲設供然我今日不得供我等處俗多諸難故屬官使役至斷事之日當復往赴兼復料理業公私無停唯願尊者爲我白佛佛若有教我當奉行若不得次供者我當以此五百乘車飮食布在道中令佛及僧腳蹈上而去者則爲受我供養我向者報言可小住正爾當爲白佛是故啓尊爾時世尊告阿難汝可往語婆羅門明旦以此飮食具用作粥與諸比丘使食後當受時食爾時阿受佛教卽往婆羅門所語婆羅門言汝可以此飮食具用作粥與諸比丘使食當受時食時婆羅門觀諸供養之無有餠其夜種種美味酥油胡麻子乳淨水薑椒蓽茇作種種粥及餠夜過已以此粥供養佛及丘僧然諸比丘不敢受語婆羅門世尊未聽比丘受酥油乃至三種藥作種種粥爾時諸比丘以此因緣具白世尊世尊爾時告諸比丘自今已去聽諸比丘受酥油乃至三種藥作種種粥食之食粥有五事善除除渴消宿食大小便調適除風患食粥者有此五善事時婆羅門復行䴵比丘不敢受語婆羅門言世尊未聽比丘受餠卽往白佛言自今已去聽諸比丘受餠食時阿那頻頭國諸居士聞世尊聽諸比丘食粥及䴵皆大喜自相謂言我等快得作福供養已復有一少信大臣見佛及僧大得供養如是言此非是少福田者乃於穀貴中佛及比丘僧致如是供養我今可辦具種種肥美飮食人別一肉爾時卽遣人至僧伽藍中白言大德僧願受我明日請食卽其夜辦種種肥美飮食明日淸旦往白時到世尊自住僧伽藍中遣人請食阿那頻頭諸居士先聞佛聽諸比丘食粥卽其夜辦具種種粥如上明日送至僧伽藍中與諸比丘諸比丘先已受他請食復食此種種濃粥然後往彼大臣家食爾時少信大臣與諸比丘僧種種飮食諸比丘言止止越稍稍著大臣語比丘僧言我故爲比丘僧辦具肥美飮食人別一器肉莫以我信心薄少故而不飽食諸大德但食我有信心耳諸比丘報言爲此故不食城中人民聞佛聽諸比丘食粥及䴵卽於其夜辦具種種酥胡麻子淨水蓽茇作粥明日送至僧伽藍中與諸比丘我等先食彼粥故今者不能復多食耳莫怪也少信大臣卽嫌之言我故爲衆僧作此種種好食人別一器肉者欲使衆僧盡食云何先食濃粥已方受我大臣瞋恨卽便留種種䴵肉美唯施設羹飯往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坐坐已白佛言向者所設供養衆僧者福多耶罪多耶佛告大臣所設供養者得福極多乃是生天之因諸比丘乃至受汝一摶食者其福無量爾時世尊漸與說法布施持戒生天之法呵欲過惡及上有漏稱讚出離增益解脫爲說此法已卽於座諸塵垢盡得法眼淨見法得法於正法得增上果白佛言自今已去歸依佛法僧聽爲優婆塞盡形壽不殺生乃至不飮酒爾時世尊食後此因緣集比丘僧知而故問諸比丘汝等淸旦食他濃粥已然後受大臣請耶答言實爾爾時世尊以無數方便呵責諸比丘言汝所爲非非威非沙門法非淨行非隨順行所不應爲云何汝等愚癡先食彼濃粥後受請耶不得先受請已食稠粥粥者以草畫之不合不得食若食者當如法治爾時世尊從阿那頻頭國人閒遊行與千二百五十比丘俱國界米穀勇貴乞食難得人皆飢然有五百乞人常隨逐世尊後爾時世尊於摩竭提國漸漸遊行還羅閱時佛及衆僧多得供養羅閱城有一少信樂師見佛及比丘僧得供養作是念言此非是少福田者此穀貴中佛及比丘僧大得供養今寧可以一年所出之物供辦種種肥美飮食人別肉一器施佛及僧耶於是卽自往僧伽藍中白諸比丘言明日淸旦受我請食供養卽夜辦具種種好食已明日淸旦往白時到羅閱城中節會日諸居士競持飯乾飯魚及肉往詣僧伽藍中施諸比丘諸比丘得而食之然後受請爾時樂師手自斟酌種種飮食諸比丘言止止居士莫多著食彼樂師言我一年已來所出衆物故爲比丘僧辦種種肥美飮食人別肉一器莫以我少信故恐生不信而不多食願但我有信樂耳爾時諸比丘答此樂師言我不以此事故不食以向先受王舍城諸人食是故今者食少耳無餘心莫見怪也爾時少信樂師聞此語已卽生譏嫌言云何我一歲之道圭中所出物故爲衆僧辦具種種肥美飮食別肉一器云何諸比丘先受他飯麨乾飯魚及肉然後乃受我樂師瞋恨卽便留種種肥美飮食正與羹飯而已往詣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坐坐已問佛言我向者所設飯食福多耶罪多耶佛告言汝今所食者生天之因諸比丘乃至食摶其福無量何況今者施設如是不可量也爾時世尊爲說妙法布持戒生天之因呵欲過惡及上漏爾時樂師聞此語已卽於座上諸垢盡得法眼淨見法得法修於法得增上果卽白佛言自今已去願聽爲優婆塞盡形壽不殺生乃至不飮酒爾時世尊以此因緣集比丘僧知而故問諸比丘汝等實先受他請五種食然後受此請食耶答曰實爾時世尊以無數方便呵責諸比丘汝所爲非非威儀非沙門法非行非隨順行所不應爲云何癡人先受他五種食已然後受他請耶世尊以無數方便呵責諸比丘已告諸比洪與丘不應先受他請食五種食已然後受請也自今已去與比丘結戒集十句義乃至正法久住欲說戒者當如是說若比丘展轉食者波逸提如是尊與比丘結戒時諸病比丘所請食處無有隨病食隨病藥若有隨病美食及藥畏愼不敢食恐犯展轉食爾時諸比丘以此事往白佛佛告言自已去聽病比丘展轉食自今已去如是說戒若比丘展轉食除異時波逸提異時者病時如是世尊與比丘結戒爾時有一居士請佛及比丘僧欲設飮食供養復有一居士亦請佛及僧欲設飮食及衣供養卽往僧伽藍中語諸比丘言我欲請佛及比丘供養飮食比丘報言我等先以受居士白言大德我欲施好飮食及唯願衆僧受我請爾時諸比丘畏愼往白世尊世尊告言自今已去聽比丘布施衣時聽展轉食自今已當如是說戒若比丘展轉食除餘時波逸提餘時者病時施衣時是餘時比丘義如上展轉食者請也請洪與有二種若僧次請別請食者飯麨乾飯魚及肉病者不能一坐食好食令施衣者自恣竟無迦絺那衣一月有迦絺那衣五月若復有餘施食及衣若今日得多請食應自受一請餘者施與人如是施與言長老我應往彼今布施汝若比丘不捨前請受後請食咽咽波逸提不捨後請受前食者咽咽突吉羅比丘尼突吉羅式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是謂爲犯不犯者病時施衣時若一日之中有多請者自受一請餘者當施與人若請與非食或食不足或無請食者或食已更得食或一處有前食後食無犯無犯者最初未制戒癡狂心亂痛惱所纏 三十二竟四分律 卷第十三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