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24_0715_b_01L아비담팔건도론 제4권
024_0715_b_01L阿毘曇八犍度論卷第四


가전연자 지음
승가제바ㆍ축불념 공역
권오민 번역
024_0715_b_02L迦旃延子造
符秦罽賓三藏僧伽提婆共竺佛念譯


2. 결사(結使)건도

1) 불선(不善)발거[모두 12품]
024_0715_b_04L阿毘曇結使犍度不善跋渠初自此盡十二品

[여러 번뇌의] 불선(不善)과 유보(有報).
견[제단(見諦斷)]과 견고[소단].
견(見) 등과 유각(有覺).
[5]근과의 상응.
욕계[에 매인 것]과 [번뇌 소속의] 획득과
단(斷), 5인(人)[의 성취ㆍ불성취]와
신견(身見)[의 상연(相緣)관계],
이 모든 것을 다음에서 설명하겠다.
024_0715_b_05L不善有報
見亦見苦
若見有覺
如相應根
欲界獲得
斷亦五人
身見如是
一切遍後

3결(結)ㆍ3불선근(不善根)ㆍ3유루(有漏)ㆍ4류(流)ㆍ4액(軛)ㆍ4수(受)ㆍ4박(縛)ㆍ5개(蓋)ㆍ5결(結)ㆍ5하분결(下分結)ㆍ5견(見)ㆍ6신애(身愛)ㆍ7사(使)ㆍ9결(結)ㆍ98사(使)가 있다.1)
여기에서 3결2)의 몇 가지가 불선(不善)이며, 몇 가지가 무기(無記)인가? 나아가 98사의 몇 가지가 불선이고, 몇 가지가 무기인가?
3결의 몇 가지가 과보가 있는 것[有報]이며, 몇 가지가 과보가 없는 것[無報]인가? 나아가 98사의 몇 가지가 유보이고, 몇 가지가 무보인가?
024_0715_b_08L三結三不善根三有漏四流四軛四縛五蓋五結五下分結五見身愛七使九結九十八使此三結不善幾無記此乃至九十八使幾不幾無記此三結幾有報幾無報乃至九十八使幾有報幾無報
3결의 몇 가지가 견제단(見諦斷)이며, 몇 가지가 사유단(思惟斷)인가? 나아가 98사의 몇 가지가 견제단이고, 몇 가지가 사유단인가?
3결의 몇 가지가 견고제단(見苦諦斷)이고, 몇 가지가 견습ㆍ진ㆍ도제단이며, 몇 가지가 사유단인가? 나아가 98사의 몇 가지가 견고제단이고, 몇 가지가 견습ㆍ진ㆍ도제단이며, 몇 가지가 사유단인가?
3결의 몇 가지가 견(見)이며, 몇 가지가 불견(不見)인가? 나아가 98사의 몇 가지가 견이고, 몇 가지가 불견인가?
024_0715_b_14L此三幾見諦斷幾思惟斷此乃至九十八使幾見諦斷幾思惟斷此三結見苦諦斷幾見習盡道諦斷幾思惟此乃至九十八使幾見苦諦斷見習盡道諦斷幾思惟斷此三結幾不見此乃至九十八使幾見不見
024_0715_c_02L3결의 몇 가지가 유각유관(有覺有觀)이고, 몇 가지가 무각유관(無覺有觀)이며, 몇 가지가 무각무관(無覺無觀)인가? 나아가 98사의 몇 가지가 유각유관이고 몇 가지가 무각유관이며, 몇 가지가 무각무관인가?
3결의 몇 가지가 낙근(樂根)과 상응하고 몇 가지가 고근(苦根)과 상응하고 몇 가지가 희근(喜根)과 상응하고 몇 가지가 우근(憂根)과 상응하고 몇 가지가 호근(護根)과 상응하는가? 나아가 98사의 몇 가지가 낙근과 상응하고, 몇 가지가 고근과 상응하고, 몇 가지가 희근과 상응하고, 몇 가지가 우근과 상응하고 몇 가지가 호근과 상응하는가?
024_0715_b_21L此三結幾有覺有觀幾無覺有幾無覺無觀此乃至九十八使有覺有觀幾無覺有觀幾無覺無觀此三結幾樂根相應幾苦根相應喜根相應幾憂根相應幾護根相應此乃至九十八使幾樂根相應幾苦根相應幾喜根相應幾憂根相應護根相應
이 3결의 몇 가지가 욕계에 매인 것이고, 몇 가지가 색계에 매인 것이며, 몇 가지가 무색계에 매인 것인가? 나아가 98사의 몇 가지가 욕계에 매인 것이고, 몇 가지가 색계에 매인 것이며, 몇 가지가 무색계에 매인 것인가?
모든 결이 바로 욕계에 속하는 것이라면 이러한 결은 욕계에 존재하는가? 만약 욕계에 존재하는 결이라면 이것은 욕계의 결인가?
존재하는 결이 바로 색ㆍ무색계의 결이라면 이러한 결은 색ㆍ무색계에 존재하는가? 만약 색ㆍ무색계에 존재하는 결이라면 이것은 색ㆍ무색계의 결인가?
024_0715_c_07L此三結幾欲界繫幾色界幾無色界繫此乃至九十八使欲界繫幾色界繫幾無色界繫諸結是欲界者此結在欲界耶設在欲界是欲界結耶所有結是色無色界此結在色無色界耶設結在色無色界是色無色界結耶
존재하는 결이 욕계의 결이 아니라면 이 결은 욕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만약 욕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이 결은 욕계의 결이 아닌가? 존재하는 결이 바로 색ㆍ무색계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것은 색ㆍ무색계에 존재하지 않는 결인가? 만약 결로서 색ㆍ무색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이것은 색ㆍ무색계의 결이 아닌 것인가?
견제(見諦)를 성취한 세존의 제자로서 아직 색이 다하지 않았으면 색에 계박된 자인가? 만약 색에 계박되었으면 이러한 색은 아직 다하지 않은 것인가? 만약 통ㆍ상ㆍ행ㆍ식이 다하지 않았으면 식 등에 계박된 자인가? 만약 식 등에 계박되었으면 식 등이 아직 다하지 않은 것인가?
024_0715_c_13L所有結非欲界結此結不在欲界耶設不在欲界此結非欲界結耶所有結不是色無色界此不在色無色界結耶設結不在色無色界此非色無色界結耶諦成就世尊弟子色未盡爲色繫耶設爲色繫此色未盡耶若痛想行識未盡爲識所繫耶設爲識所繫識未盡耶
024_0716_a_02L견제를 성취한 세존의 제자로서 색이 이미 다하였으면 이러한 색에서 벗어난 자인가? 만약 색에서 벗어난 자라면 이러한 색은 다한 것인가? 만약 통ㆍ상ㆍ행ㆍ식이 다하였으면 이러한 식 등에서 벗어난 자인가? 만약 식 등에서 벗어난 자라면 이러한 식 등이 다한 것인가?
견신(堅信)ㆍ견법(堅法)ㆍ신해탈(信解脫)ㆍ견도(見到)ㆍ신증(身證)의 다섯 사람이 있다. 견신인은 이러한 3결 중의 몇 가지를 성취하고, 몇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가? 나아가 98사 중의 몇 가지를 성취하고, 몇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가? 신증인은 이러한 3결 중 몇 가지를 성취하고, 몇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가? 나아가 98사 중의 몇 가지를 성취하고, 몇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가?
024_0715_c_21L見諦成就世尊弟子色已盡色解耶設色解者此色盡耶若痛想行識盡此識解耶設識解者此識盡五人堅信堅法信解脫見到身證堅信人於此三結幾成就幾不成就此乃至九十八使幾成就幾不成就乃至身證人此三結幾成就幾不成此乃至九十八使幾成就幾不成
신견(身見)은 그 같은 신견에 몇 가지 연연(緣緣)이 되는 것인가? 신견은 계도(戒盜)ㆍ의(疑) 내지는 무색계의 사유소단인 무명사(無明使)에 몇 가지 연연이 되는가? 무색계의 사유소단인 무명사는 그 같은 무색계의 사유소단인 무명사에 몇 가지 연연이 되는 것인가? 무색계의 사유소단인 무명사는 욕계의 신견ㆍ계도ㆍ의(疑) 내지는 무색계의 사유 소단인 만사(慢使)에 몇 가지 연연이 되는가?
이 장에서의 내용을 모두 연설하겠다.
3결 내지는 98사 가운데 그러한 3결은 몇 가지가 불선이고 몇 가지가 무기인가?3)
024_0716_a_06L身見彼身見幾緣緣身見乃至無色界思惟所斷無明使幾緣無色界思惟所斷無明使彼無色界思惟所斷無明使幾緣緣無色界思惟所斷無明使欲界身見乃至無色界思惟所斷慢使幾緣緣此章義願具演說三結乃至九十八使彼三結幾不善幾無記
【답】 한 가지는 무기이나 두 가지는 마땅히 분별되어야 한다. 즉 계도(戒盜)와 의(疑)가 욕계에 존재하는 것이면 불선이나, 색ㆍ무색계에 존재하는 것은 무기이다. 탐(貪)ㆍ진에(瞋恚)ㆍ우치(愚癡)는 결정적으로 불선이다. 누(漏) 중 한 가지는 무기이나 두 가지는 분별되어야 한다. 즉 욕루는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024_0716_a_13L答曰一無二當分別疑在欲界者則不在色無色界則無記瞋恚愚癡定不善有漏中一無記二當分別或不善或無記云何不善
【답】 무참(無慙)ㆍ무괴(無愧), 그것과 상응하는 욕루,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지 않는 욕루,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무명루는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는 무명루,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024_0716_a_17L答曰無愧彼相應欲漏是謂不善云何無答曰無慚無愧不相應欲漏是謂無記無明漏或不善或無記云何不答曰無慚無愧相應無明漏是謂不善云何無記
024_0716_b_02L【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지 않는 무명루,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유(流) 중 한 가지는 무기이나 세 가지는 분별되어야 한다. 즉 욕류(欲流)는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답】 무참ㆍ무괴 그것과 상응하는 욕류,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지 않는 욕류,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무명류는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024_0716_a_22L答曰無慚無愧不相應無明漏是謂無記流中一無記當分別欲流或不善或無記云何不答曰無慚無愧彼相應欲流是謂不善云何無記答曰無慚無愧不相應欲流是謂無記無明流或不善無記云何不善
【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는 무명류,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지 않는 무명류,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견류(見流)는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답】 욕계의 세 가지 견(見),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024_0716_b_05L答曰無慚無愧相應無明流是謂不善云何無記答曰慚無愧不相應無明流是謂無記或不善或無記云何不善答曰界三見是謂不善云何無記
【답】 욕계의 두 가지 견과 색ㆍ무색계의 5견,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액(軛)도 역시 이와 같다.
수(受) 중 한 가지4)는 무기이나 세 가지는 다시 분별되어야 한다. 즉 욕수(欲受)는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답】 무참ㆍ무괴 그것과 상응하는 욕수,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024_0716_b_09L答曰界二見色無色界五見是謂無記亦如是受中一無記三當分別欲受或不善或無記云何不善答曰無慚無愧彼相應欲受是謂不善云何無
【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지 않는 욕수,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계수(戒受)는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답】 욕계에 존재하는 것,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답】 색ㆍ무색계에 존재하는 것,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견수(見受)는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024_0716_b_14L答曰無慚無愧不相應欲受是謂無記戒受或不善或無記云何不答曰在欲界者是謂不善云何無答曰在色無色界者是謂無記見受或不善或無記云何不善
【답】 욕계의 두 가지 견5),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답】 욕계의 두 가지 견6)과 색ㆍ무색계의 네 가지 견7)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박(縛) 중 두 가지는 불선이나 두 가지는 다시 분별되어야 한다. 즉 계도신박(戒盜身縛)과 아견신박(我見身縛)이 욕계에 존재하면,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색ㆍ무색계에 존재하면 바로 무기이다.
024_0716_b_18L欲界二見是謂不善云何無記欲界二見色無色界四見是謂無縛中二不善二當分別戒盜身縛我見身縛在欲界是不善在色無色界是無記
024_0716_c_02L개(蓋)와 진에(瞋恚)ㆍ간(慳)ㆍ질결(嫉結)은 결정적으로 불선이다. 그리고 애결과 교만결이 욕계에 존재하면 바로 불선이며, 색ㆍ무색계에 존재하면 바로 무기이다.
5하분결 중 두 가지8)는 불선이고, 한 가지9)는 무기인데, 두 가지는 다시 분별되어야 한다. 즉 계도와 의결이 욕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불선이고, 색ㆍ무색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무기이다.
024_0716_b_23L蓋及瞋恚嫉結定不善愛結憍慢結在欲界是不善在色無色界是無記五下分結中二不善無記二當分別疑在欲界是不在色無色界是無記
견(見) 중 두 가지10)는 무기인데, 세 가지는 다시 분별되어야 한다. 즉 사견ㆍ견도ㆍ계도가 욕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불선이고, 색ㆍ무색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무기이다.
6신애(身愛) 중 두 가지11)는 불선인데 네 가지는 다시 분별되어야 한다. 안갱애(眼更愛)ㆍ이(耳)갱애ㆍ신(身)갱애가 욕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불선이고, 색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무기이다. 의(意)갱애가 욕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불선이고, 색ㆍ무색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무기이다.
024_0716_c_04L見中二無記三當分別邪見見盜戒盜在欲界是不善在色無色界是無記六身愛中二不善四當分別眼更愛耳身更愛在欲界是不善在色界是無記意更愛在欲界是不善在色無色界是無記
7사(使) 중 두 가지는 불선이고, 한 가지12)는 무기인데, 네 가지는 다시 분별되어야 한다. 교만사(憍慢使)와 의사(疑使)가 욕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불선이고, 색ㆍ무색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무기이다. 무명사는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024_0716_c_09L七使中二不善一無記四當分別慢使疑使在欲界是不善在色無色界是無記無明使或不善或無記何不善
【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는 무명사,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지 않는 무명사,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견사(見使)는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답】 욕계의 세 가지 견13),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024_0716_c_13L答曰無慚無愧相應無明使是謂不善云何無記答曰無慚無愧不相應無明使是謂無記見使或不或無記云何不善答曰欲界三見是謂不善云何無記
【답】 욕계의 두 가지 견과 색ㆍ무색계의 5견,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9결(結) 중 세 가지14)는 불선이며, 여섯 가지는 마땅히 분별되어야 한다. 즉 애결ㆍ교만결ㆍ실원결(失願結)ㆍ의결(疑結)이 욕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불선이고, 색ㆍ무색계에 존재하면 이것은 무기이다. 무명결은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024_0716_c_17L答曰欲界二見色無色界五見是謂無記九結中不善六當分別分別不善及無記也愛結憍慢結失願結疑結在欲界是不善在色無色界是無記無明結或不善或無記何不善
024_0717_a_02L【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는 무명결,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지 않는 무명결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견결(見結)은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답】 욕계의 한 가지 견15),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024_0716_c_22L答曰無慚無愧相應無明結是謂不善云何無記答曰無慚無愧不相應無明結是謂無記見結或不或無記云何不善答曰欲界一見是謂不善云何無記
【답】 욕계의 두 가지 견과 색ㆍ무색계의 세 가지 견16),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 98사(使) 가운데 서른세 가지17)는 불선이고, 예순네 가지18)는 무기인데, 한 가지는 다시 분별되어야 한다. 즉 욕계 고제소단의 무명사는 혹은 불선이고, 혹은 무기이다.
무엇을 불선이라고 하는가?
【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는 무명사, 이것을 불선이라고 한다.
무엇을 무기라고 하는가?
024_0717_a_03L答曰欲界二見色無色界三見是謂無記九十八使三十三不善六十四無記一當分別欲界苦諦所斷無明使或不善或無云何不善答曰無慚無愧相應無明使是謂不善云何無記
【답】 무참ㆍ무괴와 상응하지 않는 무명사, 이것을 무기라고 한다.[하나의 문인 불선이 끝나다.]
이러한 3결 중 몇 가지가 과보가 있는 것이며 몇 가지가 과보가 없는 것인가?19)
【답】 불선인 것은 모두 그 과보가 있지만 무기인 것은 모두 그 과보가 없다.
나아가 이러한 98사 중 몇 가지가 그 과보가 있는 것이며, 몇 가지가 그 과보가 없는 것인가?
024_0717_a_08L答曰無慚無愧不相應無明使是謂無記一門不善竟此三結幾有報幾無報答曰諸不善則有報諸無記是無報此乃至九十八使幾有報幾無報
【답】 불선인 것은 모두 그 과보가 있지만 무기인 것은 모두 그 과보가 없다.[보ㆍ무보의 두 문이 끝나다.]
이러한 3결 중 몇 가지가 견제단(見諦斷)이며, 몇 가지가 사유단(四惟斷)인가?20)
【답】 신견(身見)은 견제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혹은 견제단이며, 혹은 견제 사유단이다.
무엇을 견제단이라고 하는가?
024_0717_a_12L答曰諸不善是有諸無記是無報二門報無報竟此三結幾見諦斷幾思惟斷答曰身見見諦初二或見諦斷或見諦思惟斷云何見諦斷
【답】 만약 신견이 니유선야나아선야(尼維先若那阿先若:非想非非想處)에 매인 것으로서, 견신(堅信)ㆍ견법행(堅法行)의 고인(苦忍)으로 끊어지면 이것을 견제단이라고 한다. 나머지를 범부가 끊은 것이면 사유단이며, 세존의 제자가 끊으면 견제단이다. 계도와 의는 견제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혹은 견제단이며, 혹은 견제 사유단이다.
무엇을 견제단이라고 하는가?
024_0717_a_16L答曰若身見尼維先若那阿先若繫堅信堅法行苦忍斷是謂見諦餘殘若凡夫斷思惟斷進學分別意根似也尊弟子斷見諦斷戒盜見諦初二或見諦斷或見諦思惟斷云何見諦斷
024_0717_b_02L【답】 만약 계도와 의가 니유선야나아선야에 매인 것으로서, 견신ㆍ견법행의 인(忍)에 의해 끊어진 것이면, 이것을 견제단이라고 한다. 나머지 중 만약 범부가 끊은 것이면 사유단이며 세존의 제자가 끊은 것이면 견제단이다.
탐ㆍ진에ㆍ우치와 욕루는 사유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혹은 사유단이며, 혹은 견제 사유단이다.
무엇을 사유단이라고 하는가?
024_0717_a_21L答曰若戒盜尼維先若那阿先若繫堅信堅法行忍斷是謂見諦餘殘若凡夫斷思惟斷世尊弟子斷見諦斷瞋恚愚癡及欲漏思惟初二種或思惟斷或見諦思惟斷何思惟斷
【답】 만약 학견적(學見迹)21)의 사유로 끊어진 것이면 이것을 사유단이라고 한다. 나머지는 만약 범부가 끊은 것이면 사유단이며, 세존의 제자가 끊은 것이면 견제단이다. 유루 무명루는 견제를 비롯한 세 가지가 있다. 혹은 견제단이고, 혹은 사유단이며, 혹은 견제 사유단이다.
무엇을 견제단이라고 하는가?
【답】 만약 유루ㆍ무명루가 니유선야나아선야에 매인 것으로서, 견신ㆍ견법행의 인(忍)에 의해 끊어지면, 이것을 견제단이라고 한다.
무엇을 사유단이라고 하는가?
024_0717_b_03L答曰若學見迹思惟斷謂思惟斷餘殘若凡夫斷思惟斷尊弟子斷見諦斷有漏無明漏見諦初三種或見諦斷或思惟斷或見諦思惟斷云何見諦斷答曰若有漏明漏尼維先若那阿先若繫堅信堅法行忍斷是謂見諦斷云何思惟斷
【답】 만약 학견적의 사유로 끊어지면, 이것을 사유단이라고 한다. 나머지는 만약 범부가 끊으면 사유단이며, 세존의 제자가 끊으면 견제단이다.
유(流) 중의 욕류는 사유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유류(有流)와 무명류는 견제를 비롯한 세 가지가 있다. 견류는 견제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액도 역시 이와 같다.
수(受) 중의 욕수는 사유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계수와 견수는 견제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아수는 견제를 비롯한 세 가지가 있다.
024_0717_b_09L答曰若學見迹思惟斷是謂思惟斷餘殘若凡夫斷思惟斷世尊弟子斷見諦斷流中欲流思惟初二種有流無明流見諦初三種見流見諦初二軛亦如是受中欲受思惟初二種戒受見受見諦初二種我受見諦初三種
박(縛) 중의 욕애신박과 진에신박은 사유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계도신박과 아견신박은 견제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개(蓋) 중의 탐욕ㆍ진에ㆍ수면(睡眠掉)ㆍ도(掉)는 사유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회(悔)는 결정적으로 사유단이다. 의개는 만약 범부가 끊은 것이면 사유단이며, 세존의 제자가 끊은 것이면 견제단이다.
결(結) 중의 진에결은 사유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애결과 교만결은 견제를 비롯한 세 가지가 있다. 질결과 간결은 결정적으로 사유단이다.
024_0717_b_16L縛中欲愛身縛瞋恚身縛思惟初二種戒盜身縛我見身縛見諦初二種蓋中貪欲瞋恚睡眠思惟初二悔定思惟斷疑蓋若凡夫斷思惟世尊弟子斷見諦斷結中瞋恚結思惟初二種愛結憍慢結見諦初三嫉結慳結定思惟斷
024_0717_c_02L5하분결 중 탐욕ㆍ진에는 사유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신견ㆍ계도ㆍ의 및 5견(見)은 견제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6신애 중 오신애는 결정적으로 사유단이며, 의갱애는 견제를 비롯한 세 가지가 있다.
7사(使) 중의 탐욕사와 진에사는 사유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유애사ㆍ교만사ㆍ무명사는 견제를 비롯한 세 가지가 있다. 견사와 의사는 견제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024_0717_b_22L五下分結中貪欲瞋恚思惟初二種身見戒盜及五見見諦初二種六身愛中五身定思惟斷意更愛見諦初三種使中貪欲使瞋恚使思惟初二種愛使憍慢使無明使見諦初三種使疑使見諦初二種
9결(結) 중 진에결은 사유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애결ㆍ교만결ㆍ무명결은 견제를 비롯한 세 가지가 있다. 견결ㆍ실원결ㆍ의결은 견제를 비롯한 두 가지가 있다. 질결과 간결은 결정적으로 사유단이다.
98사(使) 중 이십팔사는 견제단이며, 열 가지는 사유단이다. 나머지는 만약 범부가 끊으면 사유단이며, 세존의 제자가 끊으면 견제단이다.[세 문의 견제가 끝나다.]
024_0717_c_05L九結中瞋恚結思惟初二種愛結憍慢結無明結諦初三種見結失願結疑結見諦初二種嫉結慳結定思惟斷九十八使二十八使見諦斷十思惟斷餘殘凡夫斷思惟斷世尊弟子斷見諦斷三門見諦竟也
이러한 3결의 몇 가지가 견고제단(見苦諦斷)이고, 몇 가지가 견습(見習)ㆍ진(盡)ㆍ도제단(道諦斷)이며, 몇 가지가 사유단(思惟斷)인가?22)
신견은 견고단이다. 계도는 두 가지 행이 있으니 혹은 견고단이며, 혹은 견도단이다. 의는 네 가지 행이 있으니 혹은 견고단이며, 혹은 견습ㆍ진ㆍ도단이다. 탐ㆍ진에ㆍ우치, 욕루ㆍ유루ㆍ무명루, 욕류ㆍ유류ㆍ무명류는 다섯 가지 행이 있으며, 견류는 네 가지 행이 있다.
액도 역시 이와 같다.
024_0717_c_11L此三結幾見苦諦斷幾見習道諦斷幾思惟斷答曰身見見苦斷戒盜有二行或見苦斷或見道斷有四行或見苦斷或見習盡道斷瞋恚愚癡欲漏有漏無明漏欲流無明流五行見流四行軛亦如是
수(受) 중의 욕수ㆍ아수는 다섯 가지 행이 있으며, 계수는 두 가지, 견수는 네 가지 행이 있다.
박(縛) 중의 욕애신박과 진에신박은 다섯 가지 행이 있으며, 계도신박은 두 가지, 아견신박은 네 가지 행이 있다.
개(蓋) 중의 탐욕개ㆍ진에ㆍ수면도개는 다섯 가지 행이 있으며, 회개(悔蓋)는 결정적으로 사유단이고, 의개는 네 가지 행이 있다.
024_0717_c_16L受中欲受我受五行戒受二行見受四行縛中欲愛身縛瞋恚身縛五行戒盜身縛二行我見身縛四行蓋中貪欲蓋瞋恚睡眠掉蓋五行悔蓋定思惟斷疑蓋四行
024_0718_a_02L결(結) 중의 애결ㆍ진에결ㆍ교만결은 다섯 가지 행이 있으며, 질결ㆍ간결은 결정적으로 사유단이다.
5하분결 중 탐욕ㆍ진에결은 다섯 가지 행이 있으며, 신견결은 견고단이다. 계도결은 두 가지 행이 있고, 의결은 네 가지 행이 있다.
견(見) 중의 신견과 변견은 견고단이며, 사견과 견도는 네 가지 행이 있고 계도는 두 가지 행이 있다.
신애 중 오신애(五身愛)는 사유단이며, 의갱애는 다섯 가지 행이 있다.
024_0717_c_21L結中愛結瞋恚結憍慢結五行嫉結慳結定思惟斷五下分中貪欲瞋恚五行身見見苦斷盜二行疑四行見中身見邊見見苦邪見見盜四行戒盜二行身愛中五身愛思惟斷意更愛五行
사(使) 중의 탐욕사ㆍ진에사ㆍ유애사ㆍ교만사ㆍ무명사는 다섯 가지 행이 있으며, 견사와 의사는 네 가지 행이 있다.
결(結) 중의 애결ㆍ진에결ㆍ교만결ㆍ무명결은 다섯 가지 행이 있으며, 견결ㆍ실원결ㆍ의결은 네 가지 행이 있다. 질결과 간결은 결정적으로 사유단이다.
98사 중 스물여덟 가지23)는 견고단이며, 열아홉 가지24)는 견습단, 열아홉 가지는 견진단, 스물두 가지25)는 견도단이며, 열 가지26)는 사유단이다.[네 문의 고제가 끝나다.]
024_0718_a_03L使中欲使瞋恚使有愛使憍慢使無明使五行見使疑使四行結中愛結瞋恚憍慢結無明結五行見結失願結疑結有四行嫉結慳結定思惟斷十八使中二十八見苦斷十九見習十九見盡斷二十二見道斷十思惟斷四門苦諦竟
이러한 3결의 몇 가지가 견(見)이며 몇 가지가 불견(不見)인가?27)
【답】 두 가지28)는 견이며, 한 가지는 불견이다.
탐ㆍ진에ㆍ우치는 불견이다.
누(漏) 중의 한 가지는 불견이며, 두 가지는 마땅히 다시 분별해야 한다. 즉 욕루는 혹은 견이고, 혹은 불견이다.
무엇을 견이라고 하는가?
【답】 욕계의 5견, 이것을 견이라고 한다.
무엇을 불견이라고 하는가?
024_0718_a_10L此三結幾見幾不見答曰二見一不見瞋恚愚癡不見漏中一不見二當分別欲漏或見或不見云何見答曰欲界五見是謂見云何不見
【답】 욕계의 5견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욕루, 이것을 불견이라고 한다.
유루는 혹은 견이고, 혹은 불견이다.
무엇을 견이라고 하는가?
【답】 색ㆍ무색계의 5견, 이것을 견이라고 한다.
무엇을 불견이라고 하는가?
【답】 색ㆍ무색계의 5견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유루, 이것을 불견이라고 한다. 유(流) 중의 한 가지는 견이고, 세 가지29)는 불견이다. 액(軛)도 역시 이와 같다. 수(受) 중의 두 가지는 견이고, 두 가지는 불견이다. 박(縛) 중의 두 가지는 견이고, 두 가지는 불견이다. 개(蓋)와 결(結)은 불견이다. 하분결 중의 두 가지는 견이고, 세 가지는 불견이다. 견은 즉 (신견ㆍ계도의) 견을 말한다. 신애는 불견이다.
024_0718_a_14L答曰除欲界五見諸餘欲漏是謂不見有漏或見或不見云何見色無色界五見是謂見云何不見答曰除色無色界五見諸餘有漏謂不見流中一見三不見軛亦如是受中二見二不見縛中二見二不見結不見下分中二見三不見見則見身愛不見
사(使) 중의 한 가지는 견이고, 여섯 가지는 불견이다. 결 중의 두 가지는 견이고, 일곱 가지는 불견이다. 98사 중의 서른여섯 가지30)는 견이고, 예순두 가지는 불견이다.[다섯 문으로 된 견문(見門)이 끝나다.]
이러한 3결 중의 몇 가지가 유각유관(有覺有觀)이고, 몇 가지가 무각유관(無覺有觀)이며, 몇 가지가 무각무관(無覺無觀)인가?31)
024_0718_a_21L使中一見六不見結中二見七不見九十八使中三十六見六十二不見五門見門竟此三結幾有覺有幾無覺有觀幾無覺無觀
024_0718_b_02L【답】 모두 세 가지가 있으니 혹은 유각유관이고, 혹은 무각유관이며, 혹은 무각무관이다.
탐ㆍ진에ㆍ우치와 욕루는 유각유관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유각유관이고, 혹은 무각유관이며, 혹은 무각무관이다.
유(流) 중의 욕류는 유각유관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유각유관이고, 혹은 무각유관이며, 혹은 무각무관이다. 액 또한 이와 같다. 수(受)중의 욕수는 유각유관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유각유관이고, 혹은 무각유관이며, 혹은 무각무관이다.
024_0718_a_24L答曰三行或有覺有觀或無覺有觀或無覺無觀瞋恚愚癡及欲漏有覺有餘殘三行或有覺有觀或無覺有或無覺無觀流中欲流有覺有觀餘殘三行或有覺有觀或無覺有觀或無覺無觀軛亦如是受中欲受有覺有觀餘殘三行或有覺有觀或無覺有觀或無覺無觀
박(縛) 중의 욕애신박과 진에신박은 유각유관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유각유관이고, 혹은 무각유관이며, 혹은 무각무관이다.
개(蓋)와 진에결ㆍ질결ㆍ간결은 유각유관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유각유관이고, 혹은 무각유관이며, 혹은 무각무관이다.
하분결 중의 탐욕ㆍ진에는 유각유관이다. 그 밖의 나머지와 견(見)32)은 세 가지로, 혹은 유각유관이고, 혹은 무각유관이며, 혹은 무각무관이다.
024_0718_b_09L縛中欲愛身縛瞋恚身縛有覺有觀餘殘三行或有覺有觀或無覺有觀或無覺無觀及瞋恚結嫉結慳結有覺有觀餘殘三行或有覺有觀或無覺有觀或無覺無觀下分中貪欲瞋恚有覺有觀餘殘及見三行或有覺有觀或無覺有觀或無覺無觀
신애 중의 오신애는 유각유관이나 의갱애(意更愛)는 세 가지로, 혹은 유각유관이고, 혹은 무각유관이며, 혹은 무각무관이다.
사(使) 중의 욕탐사ㆍ진에사는 유각유관이나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유각유관이고, 혹은 무각유관이며, 혹은 무각무관이다.
결(結) 중 진에결ㆍ질결ㆍ간결은 유각유관이나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유각유관이고, 혹은 무각유관이며, 혹은 무각무관이다.
98사(使) 중 욕계의 것은 유각유관이다. 색계의 것은 세 가지로, 혹은 유각유관이고, 혹은 무각유관이며, 혹은 무각무관이다. 무색계는 무각무관이다.[여섯 문의 각관을 마친다.]
024_0718_b_16L身愛中五身愛有覺有觀意更愛三行或有覺有觀無覺有觀或無覺無觀使中貪欲使瞋恚使有覺有觀餘殘三行或有覺有觀或無覺有觀或無覺無觀結中瞋恚結嫉結慳結有覺有觀餘殘三或有覺有觀或無覺有觀或無覺無觀九十八使中欲界有覺有觀界三行或有覺有觀或無覺有觀無覺無觀無色界無覺無觀六門覺觀竟
024_0718_c_02L이러한 3결의 몇 가지가 낙근(樂根)과 상응하고, 몇 가지가 고근(苦根)과 상응하며, 몇 가지가 희근(喜根)과 상응하고, 몇 가지가 우근(憂根)과 상응하며 몇 가지가 호근(護根)과 상응하는가?33)
【답】 신견과 계도는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 근과 상응하며, 의(疑)는 고근을 제외한 네 근과 상응한다.
탐은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며, 진에는 낙근과 희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한다. 그리고 우치 및 욕루ㆍ무명루는 다섯 가지와 상응하며, 유루는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한다.
024_0718_c_02L此三結幾樂根相應幾苦根相應喜根相應幾憂根相應幾護根相應答曰身見戒盜三除苦根憂根疑四除苦根貪三除苦根憂根瞋恚三樂根喜根愚癡及欲漏無明漏五漏三除苦根憂根
유(流) 중의 욕류와 무명류는 다섯 가지 모두와 상응하고, 유류는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근과 상응하며, 견류는 고근을 제외한 네 가지와 상응한다. 액도 역시 그러하다.
수(受) 중의 욕수는 다섯 가지와 상응하고, 계수와 아수는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며, 견수는 고근을 제외한 네 가지와 상응한다.
박(縛) 중의 진에신박은 낙근과 희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며, 나머지 박은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한다.
024_0718_c_08L流中欲流無明流有流三除苦根憂根見流四除苦軛亦如是受中欲受五戒受我受三除苦根憂根見受四除苦根縛中恚身縛三除樂根喜根餘殘縛三苦根憂根
개(蓋) 중의 탐욕계는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며, 진에개는 낙근과 회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한다. 수도(睡掉)는 다섯 가지와 상응하고, 면(眠)은 낙근과 고근을 제외한 세 가지 및 회(悔)와 의(疑)는 우근과 호근의 두 가지 근과 상응한다.
결(結) 중의 진에결은 낙근과 희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며, 애결과 교만결은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한다. 그리고 질결과 간결은 우근과 호근의 두 가지 근과 상응한다.
024_0718_c_13L蓋中貪欲蓋三除苦根瞋恚蓋三除樂根喜根掉五除樂根苦根疑二根相應憂根及護根結中瞋恚結三除樂根喜根愛結憍慢結三除苦根憂根嫉結結二根相應憂根及護根也
하분결 중의 탐욕은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고, 진에는 낙근과 희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며, 신견과 계도는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한다. 그리고 의는 고근을 제외한 네 가지와 상응한다.
견(見) 중의 사견은 고근을 제외한 네 가지와 상응하고, 나머지 견은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한다.
신애 중의 오신애는 낙근과 호근의 두 가지 근과 상응하고, 의갱애는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한다.
024_0718_c_18L下分中貪欲三除苦根憂根瞋恚三除樂根喜根身見戒盜三除苦根憂根疑四除苦根見中邪見四除苦根餘殘見除苦根憂根身愛中五身愛二根相應樂根護根意更愛三除苦根
024_0719_a_02L사(使) 중의 탐욕사와 유애사와 교만사는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며, 진에사는 낙근과 희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한다. 그리고 무명사는 다섯 가지와 상응하고, 견사와 의사는 고근을 제외한 네 가지와 상응한다.
결(結) 중의 진에결은 낙근과 희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며, 애결과 교만결과 실원결은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한다. 그리고 무명결은 다섯 가지 모두와 상응하며, 견결과 의결은 고근을 제외한 네 가지와 상응하며, 질결과 간결은 우근과 호근의 두 가지 근과 상응한다.
024_0718_c_24L使中貪欲使有愛使憍慢使三苦根憂根瞋恚使三除樂根喜根明使五見使疑使四除苦根結中恚結三除樂根喜根愛結憍慢結願結三除苦根憂根無明結五見結疑結四除苦根嫉結慳結二根相應憂根護根
98사 중 욕계 중의 신견ㆍ변견ㆍ견도ㆍ계도와 견제소단의 욕ㆍ교만은 희근과 호근의 두 가지 근과 상응한다. 의(疑)와 견제소단의 진에는 우근과 호근 두 가지 근과 상응하며, 사견과 견제소단의 무명은 낙근과 고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한다. 사유소단의 탐욕은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며, 진에는 낙근과 희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고 교만은 희근과 호근의 두 가지 근과 상응하고 무명사는 다섯 가지와 상응하고 색계는 고근과 우근을 제외한 세 가지와 상응하며, 무색계는 한 가지와 상응하니 호근과 상응하는 것이다.[일곱 문의 근문이 끝나다.]
이러한 3결의 몇 가지가 욕계에 매인 것이고, 몇 가지가 색계에 매인 것이며, 몇 가지가 무색계에 매인 것인가?34)
024_0719_a_07L九十八使中欲界中身見邊見見盜戒盜見諦所斷欲憍慢根相應喜根及護根見諦所斷瞋二根相應憂根及護根邪見見諦所斷無明三除樂根苦根思惟所斷貪欲三除苦根憂根瞋恚三除樂根喜根憍慢二根相應喜根及護根明使五色界三除苦根憂根無色界護根相應也七門根門竟此三結幾欲界繫幾色界繫幾無色界繫
【답】 모두 세 가지가 있으니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고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탐ㆍ진에ㆍ우치와 욕루는 욕계에 매인 것이다. 유루는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고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유(流) 중의 욕류는 욕계에 매인 것이다. 유류는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색ㆍ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액(軛)도 역시 이와 같다.
024_0719_a_16L答曰有三行或欲界繫或色界繫或無色界繫瞋恚愚癡及欲漏欲界繫或色界繫或無色界繫餘殘三行或欲界繫或色界繫或無色界繫欲流欲界繫有流或色界繫或無色界繫餘殘三行或欲界繫或色無色界繫軛亦如是
024_0719_b_02L수(受) 중의 욕수는 욕계에 매인 것이다. 아수는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색ㆍ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박(縛) 중의 욕애신박과 진에신박은 욕계에 매인 것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색ㆍ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024_0719_a_23L受中欲受欲界繫我受或色界繫或無色界繫餘殘三或欲界繫或色無色界繫縛中愛身縛瞋恚身縛欲界繫餘殘三行或欲界繫或色無色界繫
5개(蓋)와 진에결ㆍ질결ㆍ간결은 욕계에 매인 것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색ㆍ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하분결 중의 탐욕ㆍ진에는 욕계에 매인 것이다. 그 밖의 나머지와 5견(見)은 세 가지로,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색ㆍ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신애 중의 비갱애(鼻更愛)와 설(舌)갱애는 욕계에 매인 것이다. 안(眼)갱애와 이(耳)ㆍ신(身)갱애는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다. 의(意)갱애는 세 가지로,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색ㆍ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024_0719_b_04L五蓋及瞋恚結嫉結慳結欲界繫餘殘三行或欲界繫或色無色界繫下分中貪欲恚欲界繫餘殘及五見三行或欲界或色無色界繫身愛中鼻更愛更愛欲界繫眼更愛耳身更愛或欲界或色界繫意更愛三行或欲界繫或色無色界繫
사(使) 중의 탐욕사와 진에사는 욕계에 매인 것이며, 유애사는 혹은 색계에 매인 것, 혹은 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색ㆍ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결(結) 중 진에결ㆍ질결ㆍ간결은 욕계에 매인 것이다. 그 밖의 나머지는 세 가지로,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며 혹은 색ㆍ무색계에 매인 것이다.
98사 중 서른여섯 가지는 욕계에 매인 것이고, 서른한 가지는 색계에 매인 것이며, 서른한 가지는 무색계에 매인 것이다.[여덟 문의 계문(繫門)이 끝나다.]
024_0719_b_11L使中貪欲使瞋恚使欲界繫有愛使或色界繫或無色界餘殘三行或欲界繫或色無色界結中瞋恚結嫉結慳結欲界繫殘三行或欲界繫或色無色界繫十八使中三十六欲界繫三十一色界繫三十一無色界繫八門繫門竟也
존재하는 모든 결사(結使)가 바로 욕계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결사는 욕계에 존재하는가?
【답】 혹은 바로 욕계의 결사이면서도 욕계에 존재하지 않는 결사가 있다.
욕계의 결사이면서 그 결사가 욕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024_0719_b_17L諸所有結使是欲界者彼結使在欲界耶答曰或是欲界結使彼結使不在欲云何是欲界結使彼結使不在欲
【답】 결사에 얽매인[纏] 악마 파순(波旬)이 머무는 범천 위로부터 여래에게 말하는 것과 또한 결사에 얽매여 색계로부터 사라져 욕계의 중음(中陰)을 형성[辨]하는 것, 이것을 욕계의 결사이면서 그 결사가 욕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욕계에 존재하는 결사이면서 그 결사가 바로 욕계에 속하지 않는 것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024_0719_b_21L答曰結使所纏魔波旬住梵天上如來語言亦結使所纏從色界沒辦欲界中陰是謂是欲界結使彼結使不在欲界云何結使在欲界彼結使不是欲界
024_0719_c_02L【답】 결사에 얽매여 욕계로부터 사라져 색계의 중음을 형성하는 것과 존재하는 결사가 색ㆍ무색계에 속하는 것으로서 욕계에 머무를 때 현전하는 것, 이것을 욕계의 결사이면서 그 결사가 욕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욕계의 결사이면서 그 결사가 욕계에 존재하는 것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024_0719_c_02L答曰結使所纏從欲界沒辦色界中陰亦所有結使是色無色住欲界現在前是謂在欲界結使彼結使不是欲界云何是欲界結使彼結使亦在欲界
【답】 결사에 얽매여 욕계로부터 사라져 욕계의 중음과 생음(生陰)을 형성하는 것과 또한 욕계에 있는 모든 결사로서 욕계에 머무를 때 현전하는 것, 이것을 욕계의 결사이면서 그 결사가 욕계에 존재하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바로 욕계의 결사도 아니면서 그 결사가 또한 욕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024_0719_c_06L答曰結使所纏欲界沒辦欲界中陰生陰亦諸結使在欲界者住欲界現在前是謂結使是欲界彼結使亦在欲界云何亦不是欲界結使彼結使亦不在欲界
【답】 모든 결사에 얽매여 색계로부터 사라져 색계의 중음과 생음을 형성하는 것, 색계에서 사라져 무색계에 태어나는 것, 무색계에서 사라져 무색계에 태어나는 것, 무색계에서 사라져 색계에 태어나는 것, 또한 색ㆍ무색계에 있는 모든 결사로서 색계에 머무를 때 현전하는 것, 그리고 무색계에 있는 모든 결사로서 무색계에 머무를 때 현전하는 것이니, 이것을 [욕계의] 결사(도 아니면서) 또한 바로 욕계에도 속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존재하는 모든 결사가 바로 색계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결사는 색계에 있는 것인가?
024_0719_c_10L答曰結使所纏從色界沒辦色界中陰生陰色界沒生無色界無色界沒生無色界無色界沒生色界亦所有結使在色無色界住色界現在前諸所有結使在無色界住無色界現在前是謂結使亦不是欲界彼結使亦不在欲界所有結使是色界彼結使在色界耶
【답】 혹은 결사가 바로 색계의 것이면서도 그 결사가 색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있다.
결사가 바로 색계의 것이면서도 그 결사가 색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답】 결사에 얽매여 욕계로부터 사라져 색계의 중음을 형성하는 것과 또한 색계에 속하는 모든 결사로서 욕계에 머무를 때 현전하는 것, 이것을 결사가 바로 색계의 것이면서도 그 결사가 색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색계에 존재하는 결사이면서 그 결사가 바로 색계에 속하지 않는 것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024_0719_c_17L答曰或有結使是色界彼結使不在色界云何結使是色界彼結使不在色界答曰結使所纏從欲界沒辦色界中陰亦所有結使是色界住欲界現在前是謂色界結使彼結使不在色界云何在色界結使彼結使不是色界
024_0720_a_02L【답】 모든 결사에 얽매인 악마 파순이 머무는 범천 위로부터 여래까지를 말하는 것과 또한 결사에 얽매여 색계로부터 사라져 욕계의 중음을 형성하는 것과 또한 존재하는 결사가 무색계에 속하는 것이면서 색계에 머무를 때 현전하는 것, 이것을 색계에 존재하는 결사이면서 그 결사가 바로 색계에 속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색계의 결사이면서 그 결사가 또한 색계에도 존재하는 것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024_0719_c_24L答曰諸結使所纏魔波旬住梵天上如來語言亦結使所纏從色界沒辦欲界中陰亦所有結使在無色住色界現在前是謂在色界結使彼結使不是色界云何是色界結使彼結使亦在色界
【답】 모든 결사에 얽매여 색계로부터 사라져 색계의 중음과 생음을 형성하는 것과 또한 색계에 속하는 모든 결사로서 색계에 머무를 때 현전하는 것, 이것을 색계의 결사이면서 그 결사가 또한 색계에도 존재하는 것이라고 한다.
결사가 바로 색계에 속하는 것도 아니면서 그 결사가 또한 색계에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024_0720_a_06L答曰諸結使所纏從色界沒辦色界中陰生陰亦所有結使是色界住色界現在前是謂是色界結使彼結使亦在色界云何結使不是色界彼結使亦不在色界
【답】 모든 결사에 얽매여 욕계로부터 사라져 욕계의 중음과 생음을 형성하는 것과 욕계에서 사라져 무색계에 태어나는 것과 무색계에서 사라져 무색계에 태어나는 것, 무색계에서 사라져 욕계에 태어나는 것, 또한 무색계에 속하는 모든 결사로서 욕계에 머무를 때 현전하는 것, 그리고 무색계에 속하는 모든 결사로서 무색계에 머무를 때 현전하는 것, 이것을 결사가 바로 색계에 속하는 것도 아니면서 그 결사가 또한 색계에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욕계ㆍ색계의 결사가) 아닌 것과 (그 소재의 관계) 역시 이와 같다.
존재하는 모든 결사로서 바로 무색계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결사는 무색계에 존재하는 것인가?
024_0720_a_10L諸結使所纏從欲界沒辦欲界中陰生陰從欲界沒生無色界無色界沒生無色界無色界沒生欲界亦所有結使在無色界住欲界現在前所有結使在無色界住無色界現在是謂結使不是色界彼結使亦不在色界非亦如是諸所有結使是無色界彼結使在無色界耶
【답】 그러하다. 존재하는 모든 결사로서 무색계에 있는 것이라면 그 결사는 바로 무색계에 속하는 것이다.
무색계에 속하는 결사이면서도 그 결사가 무색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있는가?
【답】 있다. 존재하는 모든 결사로서 바로 무색계에 속한 것이면서 욕ㆍ색계에 머무를 때 현전하는 결사이다.
존재하는 모든 결사로서 바로 무색계에 속하지 않는 것이면서 그 결사가 또한 무색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있는가?
024_0720_a_18L答曰如是諸所有結使在無色界彼結使是無色界也頗是無色界結使彼結使不在無色界耶答曰諸所有結使是無色界住欲色界現在前諸所有結使不是無色界彼結使亦不在無色界
024_0720_b_02L【답】 그렇다. 존재하는 모든 결사로서 바로 무색계에 속하지 않은 결사라면 그 결사는 역시 무색계에 존재하지 않는다.
혹은 무색계에 존재하지 않는 결사이면서 그 결사가 바로 무색계에 속하지 않는 경우란 없는 것인가?
【답】 있다. 존재하는 모든 결사로서 바로 무색계에 속하면서 욕계ㆍ색계에 머무를 때 현전하는 것이다.[아홉 문이 끝나다.]
024_0720_a_24L答曰如是諸所有結使不是無色彼結使亦不在無色界頗結使不在無色界彼結使非不是無色界耶答曰諸所有結使是無色界住欲界色界現在前九門竟
견제(見諦)를 성취한 세존의 제자로서 색이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색에 계박[繫]된 자인가?35)
【답】 그렇다.
만약 색에 계박되었으면 색이 다하지 않은 것인가?
【답】 그렇다.
만약 통(痛)이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통에 계박된 것인가?
【답】 그렇다. 통이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통에 계박된 것이다.
통에 계박된 이로서 통을 아직 다하지 않은 이는 없는 것인가?
024_0720_b_05L見諦成就世尊弟子色未盡爲色所繫耶答曰如是設爲色所繫色不盡耶答曰如是若痛未爲痛所繫耶答曰如是痛未盡爲痛所繫頗爲痛所繫非痛未盡耶
【답】 있다. 가가(家家)와 사다함(斯陀含)과 일종(一種)36)이 욕계에 매인 사유소단인 상ㆍ중품의 결(結)을 다하여도 그것과 상응하는 통은 하품의 결사에 계박되는 것이다. 상ㆍ행ㆍ식도 역시 이와 같다.[열 문이 끝나다.]
견제를 성취한 세존의 제자로서 만약 색을 이미 다하였으면 그러한 색으로부터 벗어난 자인가?
【답】 그렇다.
만약 [더 이상] 색에 계박되지 아니하면 그러한 색은 다한 것인가?
024_0720_b_09L家家斯陁含一種欲界繫增上中思惟所斷結盡彼相應痛下結使想行識亦復如是十門竟見諦成就世尊弟子若色已盡彼色脫耶答曰如是若色不繫彼色盡耶
【답】 그렇다.
만약 통이 이미 다하였으면 그러한 통에 [더 이상] 계박되지 않는가?
【답】 그렇다. 만약 통에 [더 이상] 계박되지 않으면 통은 다한 것이다.
통이 이미 다한 이로서 그러한 통에 계박되지 않는 이는 없는 것인가?
【답】 있다. 가가와 사다함과 일종이 욕계에 매인 사유소단인 상ㆍ중품의 결을 다하였어도 그것과 상응하는 통은 하품의 결사에 계박되는 것이다. 상ㆍ행ㆍ식도 역시 이와 같다.[열한 문이 끝나다.]
024_0720_b_14L答曰如是若痛已盡彼痛不繫耶答曰如是若痛不彼痛盡耶頗痛盡彼痛非不繫耶答曰家家斯陁含一種欲界繫增上中思惟所斷結盡彼相應痛下結使繫想行識亦復如是十一門竟
024_0720_c_02L견신(堅信)ㆍ견법(堅法)ㆍ신해탈(信解脫)ㆍ견도(見到)ㆍ신증(身證)의 다섯 사람이 있다.
견신인은 이러한 3결에 대하여 몇 가지를 성취하고, 몇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가?37)
【답】 고미지지(苦未知智)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일체를 성취한다. 만약 고미지지가 생겨났으면 두 가지38)를 성취하고 한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탐ㆍ진에ㆍ우치의 경우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한다.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모두를 성취하지 않는다. 유루 [등 3루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하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두 가지39)를 성취하고 한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024_0720_b_19L五人堅信信解脫見到身證堅信人於此三成就幾不成就幾答曰苦未知智未生一切成就苦未知智生二成就一不成就貪瞋恚愚欲愛未盡切成就欲愛已盡一切不成就有漏欲愛未盡一切成就欲愛已盡成就一不成就
[네 가지] 류(流)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하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세 가지40)를 성취하고 한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액(軛)과 수(受)의 경우도 역시 이와 같다. 박(縛)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하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두 가지41)를 성취하고 두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개(蓋)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고 도법지(道法智)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한다. 만약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알고 도법지가 생겨났으면 네 가지를 성취하고 한 가지42)를 성취하지 않는다. 그러나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모두를 성취하지 않는다. 결(結)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하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두 가지43)를 성취하고 세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024_0720_c_03L流中欲愛未盡一切成就欲愛已盡三成就一不成就受亦如是縛中欲愛未盡一切成就欲愛已盡二成就二不成就蓋中愛未盡道法智未生一切成就若欲愛未盡道法智生四成就一不成就欲愛已盡一切不成就結中欲愛未一切成就欲愛已盡二成就三不成就
하분결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고 고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한다. 만약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고 고미지지가 생겨났으면 네 가지를 성취하고 한 가지44)를 성취하지 않는다. 그리고 욕애가 이미 다하고 고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세 가지45)를 성취하고 두 가지를 성취하지 않으며, 욕애가 이미 다하고 고미지지가 생겨났으면 두 가지[계도ㆍ의]를 성취하고 세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견(見) 중에 있어서는 고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하지만 고미지지가 생겨났으면 세 가지46)를 성취하고 두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024_0720_c_11L下分中欲愛未盡苦未知智未一切成就若欲愛未盡苦未知智四成就一不成就欲愛已盡苦未知智未生三成就二不成就若欲愛已盡苦未知智生二成就三不成就見中苦未知智未生一切成就苦未知智生三成就二不成就
신애(身愛)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한다. 그리고 욕애가 이미 다하고 범천의 애(愛)를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네 가지를 성취하고 두 가지47)를 성취하지 않지만, 범천의 애가 다하면 한 가지[의갱애]를 성취하고 다섯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사(使)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하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다섯 가지를 성취하고 두 가지[탐욕과 진에]를 성취하지 않는다. [아홉의] 결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하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여섯 가지를 성취하고 세 가지[진에ㆍ질ㆍ간]를 성취하지 않는다.
024_0720_c_17L身愛中愛未盡一切成就欲愛已盡梵天愛未盡四成就二不成就梵天愛盡一成五不成就使中欲愛未盡一切成欲愛已盡五成就二不成就結中欲愛未盡一切成就欲愛已盡成就三不成就
024_0721_a_02L98사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고 다하고 고법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한다. 고법지가 생겨났으나 고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욕계의 고제소단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고미지지가 생겨나고 습법지(習法智)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3계의 고제소단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습법지가 생겨나도 습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3계의 고제소단을 성취하지 않고, 또한 욕계의 습제소단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024_0720_c_23L九十八使中欲愛未苦法智未生一切成就苦法智生苦未知智未生欲界苦諦所斷不成餘殘成就苦未知智生習法智未三界苦諦所斷不成就餘殘成就習法智生習未知智未生三界苦諦所斷不成就及欲界習諦所斷餘殘成就
습미지지가 생겨나도 진법지(盡法智)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3계의 고습소단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진법지가 생겨나고 진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3계의 고제와 습제소단을 성취하지 않으며, 또한 욕계의 진제소단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진미지지가 생겨나도 도법지(道法智)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3계의 고제ㆍ습제ㆍ진제소단을 성취하지 않으며, 또한 욕계의 도제소단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024_0721_a_07L習未知智生盡法智未生三界苦習所斷不成就餘殘成就盡法智盡未知智未生三界苦諦習諦所斷不成就及欲界盡諦所斷餘殘成盡未知智生道法智未生三界苦諦習諦盡諦所斷不成就餘殘成道法智生三界苦集盡諦所斷不成就及欲界道諦所斷餘殘成就
욕애가 이미 다하였어도 색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고 고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욕계의 모두를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고미지지가 생겨나도 습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욕계의 모두를 성취하지 않으며, 또한 색ㆍ무색계의 고제소단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습미지지가 생겨나도 진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욕계의 모두를 성취하지 않으며, 또한 색ㆍ무색계의 고제ㆍ습제소단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진미지지가 생겨났으면 욕계의 모두를 성취하지 않으며, 또한 색ㆍ무색계의 고제ㆍ습제ㆍ진제소단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024_0721_a_14L欲愛已盡色愛未盡苦未知智未生欲界一切不成就餘殘成就苦未知智生習未知智未生欲界一切不成及色無色界苦諦所斷餘殘成習未知智生盡未知智未生欲界一切不成就及色無色界苦諦習諦所斷餘殘成就盡未知智生欲界一切不成就及色無色界苦諦習諦盡諦所斷餘殘成就
024_0721_b_02L색애가 이미 다하였어도 무색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며 고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다면 욕ㆍ색계의 모두를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고미지지가 생겨나도 습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욕ㆍ색계의 모두를 성취하지 않으며, 또한 무색계의 고제소단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습미지지가 생겨나도 진미지지가 아직 생겨나지 않았으면 욕ㆍ색계의 모두를 성취하지 않으며 또한 무색계의 고제ㆍ습제소단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진미지지가 생겨났으면 욕ㆍ색계의 모두를 성취하지 않으며 또한 무색계의 고제ㆍ습제ㆍ진제소단도 (성취하지 않지만) 다른 나머지를 성취한다.
024_0721_a_23L色愛已盡無色愛未盡苦未知智未生欲色界一切不成就餘殘成就苦未知智生習未知智未生欲色界一切不成就及無色界苦諦所斷餘殘成就習未知智生盡未知智未生欲色界一切不成就及無色界苦諦習諦所斷餘殘成就盡未知智生欲色界一切不成就無色界苦諦習諦盡諦所斷餘殘成
견법인에 있어서도 역시 이와 같다.
신해탈인은 이러한 3결의 몇 가지를 성취하며 몇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가?
【답】 모두를 성취하지 않는다.
탐ㆍ진에ㆍ우치의 경우,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하고,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모두를 성취하지 않는다. 유루 [등 3루]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하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두 가지48)를 성취하고 한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유(流)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세 가지49)를 성취하고 한 가지를 성취하지 않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두 가지50)를 성취하고 두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액(軛)의 경우도 역시 이와 같다.
024_0721_b_09L堅法亦如是信解脫人此三結成就幾不成就答曰一切不成就瞋恚愚癡欲愛未盡一切成就欲愛已盡一切不成就有漏中欲愛未盡一切成就欲愛已盡二成就一不成流中欲愛未盡三成就一不成就欲愛已盡二成就二不成就軛亦如
수(受)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두 가지51)를 성취하고 두 가지를 성취하지 않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한 가지52)를 성취하고 세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박(縛)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두 가지53)를 성취하고 두 가지를 성취하지 않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모두를 성취하지 않는다. 결(結)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네 가지를 성취하고 한 가지54)를 성취하지 않으며,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모두를 성취하지 않는다. 개(蓋)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하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두 가지55)를 성취하고 세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024_0721_b_16L受中欲愛未盡二成就二不成就欲愛已盡一成就三不成就縛中愛未盡二成就二不成就欲愛已盡一切不成就蓋中欲愛未盡四成就一不成就欲愛已盡一切不成就欲愛未盡一切成就欲愛已盡成就三不成就
024_0721_c_02L하분결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두 가지56)를 성취하고 세 가지를 성취하지 않으며,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모두를 성취하지 않는다. 견(見)은 성취하지 않는다. 신애(身愛)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모두를 성취한다. 그리고 욕애가 이미 다하고 범천의 애(愛)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네 가지를 성취하고 두 가지57)를 성취하지 않지만, 범천의 애가 다하였으면 한 가지58)를 성취하고 다섯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024_0721_b_22L下分中欲愛未盡成就三不成就欲愛已盡一切不成見不成就身愛中欲愛未盡一切成就欲愛已盡梵天愛未盡四成就二不成就梵天愛盡一成就五不成
사(使)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다섯 가지를 성취하고 두 가지59)를 성취하지 않지만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세 가지60)를 성취하고 네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아홉 가지] 결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여섯 가지를 성취하고 세 가지61)를 성취하지 않으며, 욕애가 이미 다하였으면 세 가지62)를 성취하고 여섯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024_0721_c_04L使中欲愛未盡五成就二不成就欲愛已盡三成就四不成就結中愛未盡六成就三不成就欲愛已盡三成就六不成就
98사 중에 있어서는 욕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열 가지63)를 성취하고 여든여덟 가지64)를 성취하지 않으며, 욕애가 이미 다하고 색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여섯 가지65)를 성취하고 아흔두 가지66)를 성취하지 않는다. 색애가 이미 다하였으나 무색애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세 가지67)를 성취하고 아흔다섯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견도의 경우도 역시 이와 같다.
024_0721_c_07L九十八使中欲愛未盡十成就八十八不成就欲愛已色愛未盡六成就九十二不成就色愛已盡無色愛未盡三成就九十五不成就見到亦復如是
신증인은 이러한 3결의 몇 가지를 성취하며, 몇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가?
【답】 모두를 성취하지 않는다.
탐ㆍ진에ㆍ우치도 성취하지 않는다. 유루 [등 3루]에 있어서는 두 가지68)를 성취하고 한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네 가지] 류 중에 있어서는 두 가지69)를 성취하고 두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액도 역시 이와 같다.
수(受) 중에 있어서는 한 가지[아수]를 성취하고 세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네 가지] 박은 성취하지 않는다. [다섯 가지] 개도 성취하지 않는다. 결(結) 중에 있어서는 두 가지[애와 교만]를 성취하고 세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하분결은 성취하지 않는다. [다섯 가지] 견도 성취하지 않는다.
024_0721_c_11L身證人三結幾成就幾不成就答曰一切不成就瞋恚愚癡不成就有漏中成就一不成就流中二成就二不成軛亦如是受中一成就三不成就縛不成就蓋不成就結中二成就不成就下分不成就見不成就
신애 중에 있어서는 [제6의] 한 가지를 성취하고 다섯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사(使) 중에 있어서는 세 가지70)를 성취하고 네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9결 중에 있어서는 세 가지71)를 성취하고 여섯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 98사 중에 있어서는 세 가지72)를 성취하고 아흔다섯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다.[열두 문이 끝나다.]
024_0721_c_17L身愛一成就五不成就使中三成就不成就結中三成就六不成就九十八使中三成就九十五不成就十二 門竟
[3결의] 신견(身見)은 그 신견에 몇 가지 연연(緣緣)이 되는가?73)
【답】 혹은 네 가지ㆍ세 가지ㆍ두 가지ㆍ한 가지의 연이 된다.
무엇을 네 가지라고 하는가?
【답】 예컨대 신견이 차제(次第:신역 等無間)로 신견을 일으킬 경우 바로 그것을 사유하는 것과 같다. 즉 앞서 생겨난 것[前生]은 뒤에 생겨나는 것[後生]에 인연(因緣)ㆍ차제연(次第緣)ㆍ연연(緣緣)ㆍ증상연(增上緣)이 된다. 이것을 네 가지라고 한다.
무엇을 세 가지라고 하는가?
024_0721_c_20L彼身見幾緣緣答曰或四三二一答曰如身見次第生身見卽彼思惟前生後生次第增上是謂四
024_0722_a_02L【답】 예컨대 신견이 차제로 신견을 일으킬 경우 바로 그것을 사유하지 않는 것과 같다. 즉 앞서 생겨난 것은 뒤에 생겨나는 것에 인연ㆍ차제연ㆍ증상연이 되지만 연연이 되는 일은 없다. 혹은 신견이 자제로 약간의 마음[若干心:신역 餘心]을 일으키고 [그 후에] 신견을 일으킬 경우 (바로 앞서 생겨난 그것을) 사유하는 것과 같다. 즉 앞서 생겨난 것은 뒤에 생겨나는 것에 인연ㆍ연연ㆍ증상연이 되나 차제연이 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을 세 가지라고 한다.
무엇을 두 가지라고 하는가?
024_0721_c_24L答曰如身見次第生身見卽彼不思惟前生後生次第增上無緣身見次第生若干心生身見卽彼思惟前生後生增上無次第是謂誰二
【답】 이를테면 신견이 차제로 약간의 마음을 일으키고 [그 후에] 신견을 일으킬 때, (바로 뒤에 생겨난 그것을) 사유하지 않는 것과 같다. 즉 이때 먼저 생겨난 것은 뒤에 생겨나는 것에 인연ㆍ증상연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두 가지라고 한다.
무엇을 한 가지라고 하는가?
【답】 뒤에 생겨난 (신견이) 앞서 생겨난 (신견에) 대해 만약 연이 된다면 연연과 증상연이 되지만 연이 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증상연이 된다. 미래의 것은 과거ㆍ현재의 것에 만약 연이 된다면 연연과 증상연이 되지만 연이 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증상이 된다. 미래와 현재의 것은 과거의 것에 만약 연이 된다면 연연과 증상연이 되지만 연이 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증상이 된다. 욕계에 매인 것은 색계에 매인 것에 하나의 증상이 된다.
024_0722_a_05L答曰如身見次第生若干心生身見卽彼不思惟前生後生增上是謂二誰一答曰後生前生若與緣增上不與緣一增上未來過去現若與緣增上不與緣一增上來現在過去若與緣增上不與緣一增上欲界繫色界繫一增上
색계에 매인 것은 욕계에 매인 것에, 만약 차제연이 된다면 차제와 증상이 되지만, 차제연이 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증상이 된다. 욕계에 매인 것은 무색계에 매인 것에 하나의 증상이 된다. 무색계에 매인 것은 욕계에 매인 것에, 만약 차제연이 된다면 차제와 증상이 되지만, 차제연이 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증상이 된다. 색계에 매인 것은 무색계에 매인 것에 하나의 증상이 된다. 무색계에 매인 것이 색계에 매인 것에 만약 차제연이 된다면 차제와 증상이 되지만, 차제연이 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증상이 된다.
이를테면 신견이 신견의 연이 되는 것처럼 이와 같이 불일체변(不一切遍)에도 연이 되며, 불일체변은 불일체변과 일체변에도 (연이 된다.)
신견은 계도(戒盜)에 몇 가지 연연(緣緣)이 되는 것인가?
024_0722_a_11L色界欲界繫若與次第次第增上不與次第一增上欲界繫無色界繫一增無色界繫欲界繫若與次第次第增上不與次第一增上色界繫無色界繫一增上無色界繫色界繫若與次第次第增上不與次第一增上身見身見如是不一切遍不一切遍一切遍一切遍身見戒盜有幾緣緣
【답】 혹은 네 가지ㆍ세 가지ㆍ두 가지ㆍ한 가지의 연이 된다.
무엇을 네 가지라고 하는가?
【답】 신견이 차제로 계도를 일으킬 경우 바로 [먼저 생겨난] 그것을 사유하는 것과 같은데 이때 먼저 생겨난 것은 뒤에 생겨나는 것에 인연ㆍ차제연ㆍ연연ㆍ증상연이 된다. 이것을 네 가지라고 한다.
무엇을 세 가지라고 하는가?
024_0722_a_19L答曰或四三二一誰四答曰如身見次第生戒盜卽彼思惟前生後生增上是謂四誰三
024_0722_b_02L【답】 신견이 차제로 계도를 일으킬 경우 바로 그것을 사유하지 않는 것과 같은데 이때 먼저 생겨난 것은 뒤에 생겨나는 것에 인과 차제와 증상이 되지만 연연이 되는 일은 없다. 혹은 신견이 차제로 약간의 마음을 일으키고 [그 후에] 계도를 일으킬 경우 바로 [먼저 생겨난] 그것을 사유하는 것과 같은데, 이때 먼저 생겨난 것은 뒤에 생겨나는 것에 인ㆍ연ㆍ증상이 되어도 차제가 되는 일은 없다. 이것을 세 가지라고 한다.
024_0722_a_22L答曰如身見次第生戒盜卽彼不思惟前生後生次第增上無緣如身見次第生若干心生戒盜卽彼思惟前生後生增上無次第是謂三
무엇을 두 가지라고 하는가?
【답】 이를테면 신견이 차제로 약간의 마음을 일으키고 [그 후에] 계도를 일으킬 경우, 바로 그것을 사유하지 않는 것과 같은데, 이때 먼저 생겨난 것은 뒤에 생겨나는 것에 인과 증상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두 가지라고 한다.
무엇을 한 가지라고 하는가?
024_0722_b_03L誰二答曰身見次第生若干心生戒盜卽彼不思惟前生後生增上是謂二誰一
【답】 뒤에 생겨난 (계도는) 앞에 생겨난 (신견에) 만약 연이 된다면 연과 증상이 되지만, 연이 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증상이 된다. 미래의 것은 과거ㆍ현재의 것에 대해, 만약 연이 된다면 연과 증상이 되지만 연이 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증상이 된다. 미래와 현재의 것은 과거의 것에 만약 연이 된다면 연과 증상이 되지만, 연이 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증상이 된다. 욕계에 매인 것은 색계에 매인 것에 하나의 증상이 된다.
024_0722_b_05L答曰後生前生若與緣增上不與一增上未來過去現在若與緣增上不與緣一增上未來現在過去若與緣增上不與緣一增上欲界色界繫一增上
색계에 매인 것이 욕계에 매인 것에, 만약 차제는 되어도 연연이 되는 일이 없으면 차제와 증상이 된다. 만약 연연은 되어도 차제가 되는 일이 없으면 연과 증상이 된다. 만약 차제와 연이 된다면 차제와 연ㆍ증상이 되지만, 만약 차제와 연이 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증상이 된다. 욕계에 매인 것은 무색계에 매인 것에 하나의 증상이 된다. 무색계에 매인 것은 욕계에 매인 것에 만약 차제는 되어도 연이 되는 일이 없으면 차제와 증상이 되고, 만약 연은 되어도 차제가 되는 일이 없으면 연과 증상이 된다.
024_0722_b_10L色界繫欲界繫與次第無緣次第增上若與緣無次增上若與次第次第增上若不與次第一增上欲界繫無色界繫一增上無色界繫欲界繫若與次第無緣次第增上若與緣無次第增上
그리고 만약 차제와 연이 된다면 차제와 연ㆍ증상이 되며, 만약 차제와 연이 되지 않으면 하나의 증상이 된다. 색계에 매인 것은 무색계에 매인 것에 하나의 증상이 된다. 무색계에 매인 것이 색계에 매인 것에, 만약 차제가 되어도 연이 되는 일이 없으면 차제와 증상이 되고, 만약 연은 되어도 차제가 되는 일이 없으면 연과 증상이 된다. 그리고 만약 차제와 연이 되면 차제와 연ㆍ증상이 되고, 만약 차제와 연이 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증상이 된다.
이를테면 신견이 계도의 (연이 되는 것처럼), 이와 같이 불일체변에도 (연이 되며), 나아가 불일체변이 일체변과 불일체변에 연이 되는 것 (역시 그렇다).
이상 아비담 불선품(不善品) 제9를 마친다.
[범본 602수로 장 14자]
024_0722_b_16L若與次第次第增上不與次第一增上色界繫無色界一增上無色界繫色界繫若與次無緣次第增上若與緣無次第增上若與次第次第增上若不與次第一增上如身見戒盜如是不一切遍一切遍一切遍不一切遍阿毘曇不善品第九竟梵本六百二首盧秦長十四字也
阿毘曇八犍度論卷第四
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
  1. 1)이상 번뇌의 제문분별(諸門分別). 『발지론』에서는 3결(結)ㆍ3불선근(不善根)ㆍ3루(漏)ㆍ4폭류(瀑流)ㆍ4액(軛)ㆍ4취(取)ㆍ4신계(身繫)ㆍ5개(蓋)ㆍ5결(結)ㆍ5순하분결(順下分結)ㆍ5순상분결(順上分結)ㆍ5견(見)ㆍ6애신(愛身)ㆍ7수면(隨眠)ㆍ9결(結)ㆍ98수면으로 열여섯 가지이다. 이러한 번뇌의 제문분별에서 3결은 신견(身見:有身見)ㆍ계도(戒盜:戒禁取)ㆍ의(疑), 3불선근은 탐(貪)ㆍ진에(瞋恚:瞋)ㆍ우치(愚癡:癡). 3루는 욕루(欲漏)ㆍ유루(有漏)ㆍ무명루(無明漏), 4류는 욕류(欲流)ㆍ유류(有流)ㆍ견류(見流)ㆍ무명류(無明流), 4액은 4류와 같다. 4수는 욕수(欲受)ㆍ견수(見受:見取)ㆍ계수(戒受:계금취)ㆍ아수(我受:我語取), 4박은 탐욕(貪欲)ㆍ진에(瞋恚)ㆍ계도(戒盜:계금취)ㆍ아견(我見:此實執), 5개는 탐욕ㆍ진에ㆍ수면(睡眠:惛沈睡眠)ㆍ조희(調戱:掉擧惡作)ㆍ의(疑), 5결은 애(愛:貪)ㆍ진에[瞋]ㆍ교만(憍慢:慢)ㆍ간(慳)ㆍ질(嫉), 5하분결은 탐욕ㆍ진에ㆍ신견ㆍ계도ㆍ의, 5견은 신견ㆍ변견(邊見:邊執見)ㆍ사견(邪見)ㆍ견도(見盜:見取)ㆍ계도, 6신에는 안갱애(眼更愛:眼觸所生愛身)ㆍ내지 의갱애(意更愛:意觸所生愛身), 7사는 탐욕(貪欲)ㆍ진에ㆍ유애(有愛:有貪)ㆍ교만[慢]ㆍ무명ㆍ견(見)ㆍ의(疑), 9결은 애(愛)ㆍ에(恚)ㆍ교만[慢]ㆍ무명ㆍ견(見)ㆍ실원(失願)ㆍ의(疑)ㆍ간(慳)ㆍ질(嫉)이다.
  2. 2)범어로는 śtisaṃyojanāni. 유중견(有衆見)ㆍ의(疑)ㆍ재계취(齋戒取)의 세가지 번뇌를 말한다.
  3. 3)3결(結)과 98사(使)의 불선ㆍ무기성의 분별에 관한 논이다.
  4. 4)아수(我受)를 가리킨다.
  5. 5)사견과 견도의 둘을 말한다.
  6. 6)신견과 변견의 둘을 말한다.
  7. 7)신견ㆍ변견ㆍ사견ㆍ견도의 넷을 말한다.
  8. 8)탐욕과 진에의 둘을 말한다.
  9. 9)신견을 말한다.
  10. 10)신견과 변견의 둘을 말한다.
  11. 11)비(鼻)갱애와 설(舌)갱애의 둘을 말한다.
  12. 12)유탐을 말한다.
  13. 13)사견ㆍ견도ㆍ계도의 셋을 말한다.
  14. 14)간결ㆍ질결ㆍ에결의 셋을 말한다.
  15. 15)사견을 말한다.
  16. 16)신견ㆍ변견ㆍ사견의 셋을 말한다.
  17. 17)욕계36사 중 신견ㆍ변견ㆍ무명을 제외한 것이다.
  18. 18)상 2계의 모든 사와 욕계의 신견ㆍ변견이다.
  19. 19)3결 또는 98사의 유보(有報) 무보(無報)에 대한 것이다.
  20. 20)3결 또는 98사의 견ㆍ사유의 2단(斷)분별에 대한 것이다.
  21. 21)이미 4제의 도적(道迹)을 보아 도류지(道類智)가 생겨난 유학위의 성자를 말한다.
  22. 22)3결 또는 98사의 오부단(五部斷)에 대한 것이다.
  23. 23)욕계의 탐ㆍ진에ㆍ우치ㆍ교만ㆍ의ㆍ5견 등 열 가지와 진에를 제외한 상 2계에서의 각각 9가지를 말한다.
  24. 24)3계의 탐ㆍ우치ㆍ교만ㆍ의ㆍ사견ㆍ견도 18가지와 욕계의 진에를 말한다.
  25. 25)3계의 탐ㆍ우치ㆍ교만ㆍ의ㆍ사견ㆍ견도ㆍ계도 21가지와 욕계의 진에를 말한다.
  26. 26)3계의 탐ㆍ우치ㆍ교만 9가지와 욕계의 진에를 말한다.
  27. 27)3결 또는 98사의 견(見)ㆍ불견(不見)에 대한 분별이다.
  28. 28)신견과 계도의 둘을 말한다.
  29. 29)욕ㆍ유ㆍ무명류의 셋을 말한다.
  30. 30)고제단인 신견ㆍ변견의 두 가지, 4제단인 사견ㆍ견도의 각 네 가지, 고ㆍ도제단인 계도의 두 가지 등 12가지가 3계에 걸쳐 존재하므로 36가지가 된다.
  31. 31)3결 또는 98사의 각ㆍ관(覺觀:신역 尋伺) 3행(行)에 대한 분별이다.
  32. 32)5견을 말한다.
  33. 33)3결 또는 98사와 5수근(受根)의 상응관계에 대한 분별이다.
  34. 34)3결 또는 98사의 ‘계 매임[界繫]’에 대한 분별이다.
  35. 35)견제(見諦)를 성취한 성자에게 있어서 오온의 미진(未盡)ㆍ이진(已盡)과 계(繫)ㆍ이계(離繫)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36. 36)범어로는 ekavicika. 불환(不還) 중의 일종성자. 욕계 7, 혹은 8품의 수혹(修惑)을 끊어 1ㆍ2품의 번뇌를 남긴 자를 말한다. 신역어는 一間이다,
  37. 37)5인(人:補特伽羅)의 3결 또는 98사의 성취ㆍ불성취에 대한 것이다.
  38. 38)계도와 의의 둘을 말한다.
  39. 39)유루와 무명루의 둘을 말한다.
  40. 40)유ㆍ견ㆍ무명류의 셋을 말한다.
  41. 41)계도와 아견의 둘을 말한다.
  42. 42)의개를 말한다.
  43. 43)에와 교만의 둘을 말한다.
  44. 44)신견을 말한다.
  45. 45)신견ㆍ계도ㆍ의의 셋을 말한다.
  46. 46)사견ㆍ견도ㆍ계도의 셋을 말한다.
  47. 47)비갱애와 설갱애의 둘을 말한다.
  48. 48)유루와 무명루의 둘을 말한다.
  49. 49)욕류ㆍ유류ㆍ무명류의 셋을 말한다.
  50. 50)유와 무명류의 셋을 말한다.
  51. 51)욕수와 아수의 둘을 말한다.
  52. 52)아수를 말한다.
  53. 53)탐욕과 진에의 둘을 말한다.
  54. 54)의개를 말한다.
  55. 55)애와 교만의 둘을 말한다.
  56. 56)탐욕과 진에의 둘을 말한다.
  57. 57)비ㆍ설갱애의 둘을 말한다.
  58. 58)의갱애를 말한다.
  59. 59)견ㆍ의의 둘을 말한다.
  60. 60)탐욕ㆍ교만ㆍ무명의 셋을 말한다.
  61. 61)견ㆍ실원ㆍ의의 셋을 말한다.
  62. 62)애ㆍ교만ㆍ무명의 셋을 말한다.
  63. 63)3계의 사유단을 말한다.
  64. 64)3계의 견제단을 말한다.
  65. 65)색ㆍ무색계의 사유단을 말한다.
  66. 66)3계의 견제단과 욕계의 사유단을 말한다.
  67. 67)무색계의 사유단을 말한다.
  68. 68)유루와 무명루의 둘을 말한다.
  69. 69)유와 무명류의 둘을 말한다.
  70. 70)탐욕ㆍ교만ㆍ무명의 셋을 말한다.
  71. 71)애ㆍ교만ㆍ무명의 셋을 말한다.
  72. 72)무색계의 사유단을 말한다.
  73. 73)3결 또는 98사 각각의 상연(相緣)관계에 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