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25_0424_b_01L
아비담비바사론 제6권
025_0424_b_01L阿毘曇毘婆沙論卷第六


가전연자 지음
오백나한 풀이
부타발마ㆍ도태 등 한역
박진효 번역
025_0424_b_02L迦旃延子造 五百羅漢釋
北涼天竺沙門浮陁跋摩共道泰等譯


2) 지품 ②
025_0424_b_04L雜犍度智品之二
025_0424_c_02L무엇 때문에 한 사람의 전후 두 마음[二心]이 함께 일어나지 않는가?
【문】 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 이것은 방생론(傍生論)이다. 왜냐하면 앞에서 두 마음이 전전하여 상대방의 인(因)이 될 수 없음을 설하였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한 사람에게 전후의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나는 것은 없기 때문이다. 비록 이렇게 설하긴 했지만 그 까닭은 설하지 않았으므로 지금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 논을 지은 것이다.
【문】 무엇 때문에 한 사람의 전후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나지 않는가?
【답】 제2의 차제연(次第緣)이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설하는 심(心)ㆍ심수법(心數法)은 차제연에 의거해서 미래세법(未來世法)을 일으키고, 현재세법과 화합해서 그에 의지해서 현재세법을 일으키고 화합하지 않으면 현재세법을 일으키지 않는다. 미래세법에 차제연이 되면 일으키고, 차제연이 되지 않으면 일으키지 않는다.
또 어떤 사람은 ”무엇 때문에 한 사람의 전후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나지 않는가?……(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답하기를 중생은 천연적으로 하나하나의 마음이 차례로 일어나고 두 마음이 일어날 수 없다. 왜냐하면 제2의 차제연이 없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또 어떤 사람은 “이것은 앞에서 두 굴레가 서로 얽어매는 것과 같다고 설한 것과 같다”고 하였다.
【문】 무엇 때문에 제2의 차제연이 없는가?
【답】 중생은 하나하나의 마음이 차례로 일어나고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문】 무엇 때문에 중생은 하나하나의 마음이 차례로 일어나고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날 수 없는가?
【답】 제2의 차제연이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전전하여 상대의 인(因)이 된다’고 대답한 의미이다. 가령 현재에 하나의 차제연이 있으면 미래에 하나의 마음을 일으키는 것은 여기에서 자세하게 말하였는데, 비유하면 마치 양의 우리[羊園]에 많은 문이 닫혀서 협소해지면 우리의 좁은 문으로 양이 한 마리 한 마리씩 나오는 것과 같다.
저 심ㆍ심수법도 또한 이와 같아서 현재의 한 찰나가 미래의 한 찰나를 차례로 열어주는데, 설령 현재세에 여러 찰나가 있다 해도 미래의 여러 찰나를 차례로 열어주는 것은 없기 때문에 현재의 일찰나가 미래의 일찰나를 차례로 열어준다.
작의자(作義者)가 말하였다.
【문】 무엇 때문에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나지 않는가?
【답】 어떤 사람은 “가령 명근(命根)이 한 찰나이면 명근을 의지하는 마음도 한 찰나이기 때문에 함께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가령 신근(身根)이 한 찰나이면 신근을 의지하는 마음도 한 찰나이기 때문에 함께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 어떤 사람은 “만약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나면 마음을 조복할 수 없다. 가령 지금의 한 마음도 오히려 드세어서 조복하기 어려운데 하물며 두 마음이겠는가”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만약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나면 일시(一時)에 번뇌와 출요가 있게 되어 한 마음은 번뇌가 되고 한 마음은 출요가 된다. 만약 그렇다면 해탈도 없고, 번뇌를 떠남도 없고, 승(乘)도 없으니, 이와 같은 등등의 허물이 있게 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말하였다.
”만약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난다면 세 마음이 일어나는데 무슨 방애가 있겠는가. 만약 세 마음이 함께 일어날 수 있으면 3계신(界身)을 일시에 받을 수 있다. 삼계신을 일시에 받을 수 있으면 삼계가 파괴되고, 삼계가 파괴되면 한 몸에 욕계의 몸을 받을 수 있고 또한 색계ㆍ무색계의 몸을 받을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해탈할 수 없다.
만약 세 마음이 함께 일어날 수 있으면 네 마음이 함께 일어나는데 무슨 방애가 있겠는가. 만약 네 마음이 함께 일어난다면 일시에 4생신(生身)1)을 받을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4생이 파괴되어 한 몸에 태생을 받을 수도 있고, 난생을 받을 수도 있고, 습생을 받을 수도 있고, 화생을 받을 수도 있다. 만약 그렇다면 해탈할 수 없다.”
어떤 사람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만약 네 마음이 함께 일어난다면, 다섯 마음이 함께 일어나는데 무슨 방애가 있겠는가. 만약 다섯 마음이 함께 일어나면 일시에 5도의 몸을 받을 수 있는데 그렇다면 5도가 파괴된다. 만약 5도가 파괴되면 한 몸으로 지옥의 몸 내지는 하늘의 몸을 받게 된다.
만약 다섯 마음이 함께 일어날 수 있다면 여섯 마음이 함께 일어나는데 무슨 방해가 있겠는가. 만약 여섯 마음이 함께 일어날 수 있으면 일시에 6근(根)을 반연하는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만약 여섯 마음이 일어나는데 방애가 되지 않고 나아가 백천 미래세 가운데서 함께 일어나 한 찰나에 일어나고 한 찰나에 소멸된다면 미래가 없다. 미래가 있기 때문에 현재가 있고 현재가 있기 때문에 과거가 있는데, 만약 미래가 없다면 현재가 없고 현재가 없다면 과거가 없다. 만약 과거가 없다면 유위(有爲)가 없고 유위가 없으면 무위(無爲)가 없으며, 유위ㆍ무위가 없으면 일체제법이 없다. 이와 같은 등등의 허물이 있기 때문에 일시에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날 수 없다.”
【문】 가령 여러 심수법의 경우는 일시에 일어나서 앞에서와 같은 모든 허물이 없다. 만약 두 마음이 심수법처럼 일시에 일어난다면 또 어떤 허물이 있는가?
【답】 가령 하나의 마음이 미래의 일심(一心)에 차제연이 되어 화합하면, 일심과 화합하기 때문에 중생은 하나하나의 마음이 일어난다.
어떤 사람은 “관(觀)을 일으키면 미래의 일심과 화합하는 것처럼 일심과 화합하기 때문에 중생은 하나하나의 마음을 일으킨다. 만약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난다면 두 가지 수(受)가 함께 일어나야 한다. 두 가지 수가 함께 일어나면 중생의 신법(身法)이 파괴된다. 중생의 신법이 파괴되면 두 종류의 몸이 있게 된다. 만약 두 몸이 있게 되면 10음(陰)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허물이 있기 때문에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문】 차제연(次第緣)의 체성(體性)은 무엇인가?
【답】 가령 『파가라나(波伽羅那)』의 경우는 “과거와 현재의 아라한의 최후심(最後心)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과거ㆍ현재의 심ㆍ심수법이 체성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모든 과거ㆍ현재의 심ㆍ심수법이 차제연의 체성이다”라고 하였다.
【문】 만약 그렇다면, 아라한의 최후심에는 차제연의 의미가 없는데 무엇 때문에 차제연이라고 하는가?
【답】 아라한의 최후심에는 허물이 없기 때문에 여타의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른 것이 있기 때문에 저 최후심을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데 만약 일어난다면 차제연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문】 차제연의 상(相)은 어떤 것인가?
【답】 체성이라고 말한 것이 바로 상이며, 상이라고 말하는 것이 바로 체성이다. 일체제법은 체성과 분리시켜서 별도로 상을 세울 수 없다.
화수밀(和須蜜) 존자는 “서로가 [길을 열어주고] 피해주는 것이 차제연의 의미이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자취를 인발(引發)해서 서로 피해주는 것이 차제연의 의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능히 마음을 이끌어내는 것이 차제연이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마음이 상속하는 것이 차제연이다” 하였고, 어떤 사람은 “능취(能取)의 의미가 차제연이다” 하였고, 어떤 사람은 “마음의 세력이 작용하는 의미가 차제연이다”라고 하였다.
불타제바(佛陀提婆) 존자는 “차례로 마음을 일으키는 상(相)이 차제연이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찰나에서 찰나를 일으키는 것이 차제연이다”라고 하였다.
아비담인(阿毘曇人)은 “상(相)이 다른 법을 함께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차제연이다”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법을 자기와 비슷하게 일으키는 것이 차제연이다”라고 하였다.
【문】 이미 차제연의 체상(體相)은 설하였지만 그 까닭은 아직 말하지 않았다. 무엇 때문에 차제연이라고 하는가?
【답】 등무간(等無間)이 차제연의 의미이다.
【문】 만약 그렇다면 심(心)은 심과 차제연이 되고 심수법과는 차제연이 되지 않으며, 심수법은 심수법과는 차제연이 되고 심과는 차제연이 되지 않는 것인가?
【답】 상사법(相似法)을 설할 때 사문이 설한 것처럼 심은 심과 차제연이 되고 수(受)는 수에 차제연이 된다. 따라서 그처럼 말하는 것은 허물이 있다. 왜냐하면 탐욕심은 다시 탐욕심에 차제연이 되고, 진에(瞋恚)는 다시 진에의 차제연이 되고, 우치는 다시 우치에 차제연이 되고, 선(善)은 다시 선에 차제연이 되고, 불선(不善)은 다시 불선에 차제연이 되고, 무기(無記)는 다시 무기에 차제연이 되어서 이와 같이 말한다면 해탈열반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심은 심에 차제연이 되고 심수법과도 차제연이 되며, 심수법은 심수법에 차제연이 되고 심에도 차제연이 되며, 전심취(前心聚)가 후심취(後心聚)에 차제연이 된다”고 이처럼 말하는 것이 옳다.
【문】 만약 심과 심이 차제연이 된다면 심과 심은 서로 수순하면서 심수법은 수순하지 않는가? 또 심수법과 심수법이 차제연이 되면 서로는 수순하면서 심은 수순하지 않는 것인가?
【답】 만약 상사법을 설할 때 사문이 설한 것과 같다면, 심은 심을 수순하고 심수법은 심수법을 수순한다.
【評】그처럼 말해서는 안 되며, “심은 심수법에 차제연이 되고 심수법은 심에 차제연이 되며 전심취는 후심취에 차제연이 되어 모두 평등하므로 차별이 없다. 비유하면 콩무더기와 같다”고 말하는 것이 옳다.
【문】 『파가라나』에서 설한 것과 같다면, 어떤 법이 상대법[彼法]에 차제연이 될 때 어떤 때는 차제연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가?
【답】 상대법이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문】 여기서 아직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은 전자(前者)인가, 후자(後者)인가? 전법이 일어나지 않으면 후법을 차제라고 하지 않는데 만약 전법이 일어나면 차제라고 하는가? 또 후법이 아직 일어나지 않으면 전법을 차제라고 하지 않는데 후법이 일어나면 차제라고 하는가?
가령 세제일법(世第一法)과 고법인(苦法忍)이 차제가 되는 경우에, 세제일법이 아직 일어나지 않으면 고법인을 차제라고 하지 않는데 만약 일어나면 차제라고 하는가? 또 고법인이 아직 일어나지 않으면 세제일법을 차제라고 하지 않는데 만약 일어나면 차제라고 하는가?
전법이 아직 일어나지 않으면 후법을 차제라고 하지 않고 일어나면 차제라고 한다면 심이 있을 때는 가능하지만 심이 없을 때는 어떻게 가능한가? 가령 무상정(無想定)과 멸진정(滅盡定)에 들어가면, 일칠(一七)의 경우와 일칠을 넘어선 경우에 출정심(出定心)과 입정심(入定心)을 차제라고 하는데, 제2 찰나심(第二刹那心)이 반드시 일어난다. 왜냐하면 가령 어떤 법이 상대법에 차제연이 되면, 필경 이 법으로 하여금 제2 찰나심이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중생도 없고, 법도 없고, 주술도 없고, 약초도 없고 불(佛)ㆍ벽지불(辟支佛)ㆍ성문(聲聞)도 없다. 만약 그렇다면 두 가지 정(定)은 체(體)가 없다.
후법이 아직 일어나지 않으면 전법을 차제라고 하지 않으며, 만약 후법이 일어나면 이것을 차제라고 한다고 한다면, 고법인이 아직 일어나지 않으면 세제일법을 차제라고 할 수 없다.
무엇 때문에 아직 일어나지 않은 법을 말하는가? 어떤 사람은 “전법(前法)이 일어나지 않은 것을 차제가 아니라고 한다”라고 말해야 된다고 하였다.
【문】 만약 그렇다면 심이 있을 때는 가능하겠지만 심이 없을 때는 어떻게 가능한가?
【답】 심이 있을 때 그러하다면 심이 없을 때도 또한 가능하다. 왜냐하면 가령 무상정과 멸진정에 들어가면, 저 입정심(入定心)과 정(定)의 초찰나(初刹那)는 취과(取果)이기도 하고 여과(與果)2)이기도 하며, 나머지 모든 찰나와 출정심(出定心)은 단지 취과라고 하기 때문이다. 저 입정심이 소멸되어 과거가 되면 정(定)의 나머지 찰나와 출정심은 현재여서 여과가 된다.
이것은 그처럼 말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차제연의 의미에는 어떤 때는 취과이고 어떤 때는 여과인 의미가 없고, 여과일 때가 바로 취과이기 때문이다.
【문】 만약 여과일 때가 바로 취과라면, 심이 있을 때는 가능하겠지만 심이 없을 때는 어떻게 가능한가?
【답】 가령 무상정(無想定)과 멸진정(滅盡定)에 들어가면, 입정심과 정(定)의 처음 한 찰나는 취과이기도 하고 여과이기도 하다. 저 입정심이 소멸되어 과거가 되고, 정의 나머지 찰나와 출정심이 눈앞에 나타나면 취과ㆍ여과이다. 만약 이와 같이 말한다면 어떤 때는 취과이고 어떤 때는 여과인 의미가 없게 된다.
【문】 만약 그렇다면 과거법(過去法)이 작위함[作爲]이 있는가?
【답】 과거법은 작위하여 과를 취하거나[取果] 과를 취하는데 힘이 되어 줄 수는 있어도[與果] 과(果)는 없다. 과거세(過去世)는 색을 보고[見色] 법을 아는[知法] 작용은 없고, 힘이 되어서 과를 취하도록 하는 작용은 있을 수 있다.
어떤 사람은 “후법(後法)이 아직 일어나지 않으면 전법(前法)을 차제라고 하지 않고, 후법이 일어나면 전법을 차제라 한다”고 하였다.
【문】 만약 그렇다면 고법인(苦法忍)이 아직 일어나지 않으면 세제일법(世第一法)을 차제라고 하지 않는가?
【답】 차제(次第)라고 할 수는 있지만 차제연(次第緣)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만약 고법인이 일어나면 차제라고 하며 또한 차제연이라고도 한다.
차제와 차제연의 경우처럼, 차제ㆍ유차제(有次第)와 상속(相續)ㆍ유상속(有相續)과 의(依)ㆍ유의(有依) 같은 경우도 이와 같음을 알아야 한다.
【문】 미래세(未來世) 중에는 차제연이 있는가? 만약 있다면 제법(諸法)은 미래세 가운데 차례로 머물러 있어야 하므로 정방편(正方便)을 닦는다 해도 소용이 없게 된다. 왜냐하면 성도(聖道)가 미래세 가운데 이미 차례가 정해져 있어서 시절이 도래하면 일어나는 것이니, 정방편을 닦는다 해도 다시 무엇을 하겠는가.
또 큰 허물이 있다. 왜냐하면 탐욕을 제어하고 조복하여 부정관(不淨觀)을 일으킬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모든 번뇌를 제어하고 조복하여 대치관(對治觀)을 일으킬 수 없으면 해탈열반을 얻을 수 없다.
만약 미래세에 차제연이 없다면, 『팔분경(八分經)』]에서 “이 사람은 12겁 내지 20겁 동안 악취(惡趣)에 떨어지지 않으리라” 한 것과 어떻게 의미가 통할 수 있으며, 어떻게 3업(業)의 차별인 현법보(現法報)ㆍ생법보(生法報)ㆍ후법보(後法報)를 알 수 있는가?
또 무엇 때문에 일체시(一切時)에 세제일법은 단지 고법인 만을 일으키고 진지(盡智)3) 등의 제법은 일으키지 않으며 무엇 때문에 금강유정(金剛喩定)은 단지 진지만을 일으키고 나머지 법은 일으키지 않는가?
【답】 미래세 가운데는 차제연이 없다고 해야 한다.
【문】 만약 없다면 앞에서 말한 모든 허물이 없겠지만 『팔분경』에서 설한 것과 어떻게 의미가 통할 수 있는가?
【답】 세존께서 과거ㆍ현재의 모습을 비교 관찰하여 또한 미래도 알기 때문이다.
【문】 그것은 어째서인가?
【답】 세존께서는 과거세를 관하여 저 중생이 이와 같은 업을 닦아서 그 만큼의 겁 동안 악도에 떨어지지 않았음을 아셨고, 이 중생이 이와 같은 업을 닦아서 그 만큼의 겁 동안 악도에 떨어지지 않으리라는 것을 아신다. 또 모든 중생이 과거세에 이와 같은 업을 닦아서 현세 중에서 이와 같은 보(報)를 받음을 알며, 모든 중생이 그와 같은 업을 지어서 어떤 경우에는 생보(生報)를 받고 어떤 경우에는 후보(後報)를 받음을 알고, 모든 중생이 이와 같은 업을 지어서 어떤 경우에는 현보(現報)를 받고, 어떤 경우에는 생보를 받고, 어떤 경우에는 후보(後報)를 받음을 알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중생은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의 상(相)이 있어서 중생신(衆生身)에 머무는데, 세존께서는 선정이나 신통을 인유하지 않고 중생신 가운데 이러한 법이 있어서 그 만큼의 겁 동안 악도에 떨어지지 않음을 알며, 이 상을 보고 즉시에 이 중생이 현법보(現法報)를 받고 다음에 생보를 받고 다시 후보를 받음을 안다”고 하였다.
【評】그처럼 말해서는 안된다. 그렇다면 여래께서 비상지(比相智)만 있고 요달지(了達智)는 없음을 드러내시는 것이다. 따라서 “세존게서는 요달지가 있어서 미래를 아실 수 있다”고 말해야 한다.
미래법이 어지러워서 정(定)의 차제가 없어도 여래는 명정지(明淨智)로 미래법이 어지러워서 정의 차제가 없음을 알고, 모든 중생이 이와 같은 업을 지어서 이 소겁을 지나면서 악도에 떨어지지 않고 현보를 받고 다음에 생보를 받으며, 다시 후보를 받는 것을 알기 때문에 모든 오류가 없다. 가령 산수법(算數法)으로도 곡식의 무더기를 분명하게 알아서 오류가 없는데, 하물며 여래께 자연지(自然智)4)가 있음에랴.
【문】 무엇 때문에 세제일법은 차례로 고법인을 일으키고 진지(盡智) 등의 제법은 일으키지 않는가?
【답】 이것을 수(數)는 정해져도 사상(事相)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한다. 왜냐하면 고법인법(苦法忍法)은 6지(地)에 있지만 어느 지인지를 아직 알지 못하고, 고법인은 3근(根)과 상응하지만 어느 근과 상응하도록 정해졌는가를 알지 못하며, 4행(行)을 행하지만 어느 행을 행하도록 정해졌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가령 증상인(增上忍)에 머물 때에는 지(地)ㆍ행(行)ㆍ근(根)은 정해져도 찰나(刹那)는 정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여러 찰나가 있으므로 어느 찰나가 일어날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차제연도 또한 부정(不定)이다. 세제일법에 머물 때는 지(地)ㆍ근(根)ㆍ행(行)ㆍ차제(次第)ㆍ찰나(刹那)의 5사(事)가 정해진다. 이것을 수는 정해져도 사상은 정해지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어떤 사람은 “어떤 법이 전법(前法)에 의지해서 상속하여 일어나면 반드시 차제연이 필요하지는 않다. 비유하면 외물(外物)이 차제연이 없이 전법에 의지해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데, 가령 싹이 전에 뿌린 씨앗에 의지해서 상속하여 일어날 수 있고, 나아가 열매가 앞의 꽃에 의지해서 상속하여 일어나는 것과 같다.
내법(內法)도 또한 이와 같아서 차제연을 인유하지 않고 전법에 의지해서 상속하여 일어난다. 고법인은 세제일법에 의지하기 때문에 상속하여 일어나고, 나머지 진지(盡智) 등은 세제일법을 의지하지 않기 때문에 금강유정을 일으키지 않는 것도 또한 이것과 통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미래세법(未來世法)은 현재에 속하는 것이어서 현재와 화합하면 일어나지만 화합하지 않으면 일어나지 않으므로 세제일법이 후에 수도(修道)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다.
분별하기 위해서 세제일법이 수도와 화합한다고 가설하면 이때에는 일어나겠지만 화합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고법인은 세제일법에 속하기 때문에 일어나지만 나머지 법 내지는 진지(盡智) 등은 세제일법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지 않는다.
어떤 사람은 “미래세 중에 차제연이 있다”고 하였다.
【문】 만약 미래세에 차제연이 있다면, 제법이 차례로 머물러야 한다.
【답】 미래세 중에는 차제연(次第緣)의 의미는 있지만 차례로 머무는 것은 정해져 있지 않다. 미래세법이 어느 차제연을 따라서 일어나는가는 이미 정해져 있지만 차례로 머무는 것은 정해져 있지 않은데, 후법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어느 연을 따라서 일어나는가 하는 것도 정해지고 차례로 머무는 것도 정해진다.
비유하면, 마치 여러 비구들이 한 곳에 섞여서 거처할 때 납수(臘數)는 이미 정해져 있는데 항렬(行列)은 정해지지 않았다가, 후에 차례를 정해서 거주할 때는 납수도 정해지고 항렬도 정해지는 것과 같다.
이와 같아서 어떤 법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을 때는 어느 연에 속해서 일어나는가 하는 것은 정해져 있는데 차례로 머무는 것은 정해져 있지 않다가 후에 어떤 법이 일어나면 어느 연을 따라서 일어나는가도 정해지고 차례로 머무는 것도 정해진다.
【문】 만약 그렇다면 정방편(正方便)을 닦아도 소용없고 해탈열반도 얻을 수 없게 된다.
【답】 일심이 일어나는 차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두 가지 마음이 일어나는데, 선심(善心)과 염오심(染汚心)이다. 만약 정방편을 닦으면 선심은 곧바로 일어나고 염오심은 일어나지 않으며, 만약 삿된 방편을 수행하면 염오심은 곧바로 일어나고 선심은 일어나지 않는다. 비유하면 마치 하나의 종자에서 싹이 트는 경우와 썩는 경우의 두 가지가 일어나는데, 싹이 트는 인연을 만나면 곧 바로 싹이 나오고 썩는 인연을 만나면 썩어 버리는 것과 같다. 일심이 차례로 두 마음을 일으키는 것도 또한 이와 같다.
【評】미래세 가운데는 차제연이 없다고 말해야 한다. 왜냐하면 차제연은 차례가 정해져서 머무는 법인데 미래세는 차례가 정해져서 머무름이 없고, 차제연은 차례가 섞여 있지 않은 법(不亂法)인데 미래법은 뒤섞여 있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만약 미래세에 차제연이 있다면, 선(善)을 닦는 사람은 항상 선을 닦아야 한고, 악을 지어서는 안 되며 악을 닦을 때는 항상 악을 닦아야 하고 선을 닦아서는 안 된다. 그런데 지금 현재 제바달다(提婆達多)를 보면 본래는 선을 닦으려 했지만 후에 악을 지었고, 앙굴마라(央掘魔羅)와 같은 기허악인(氣噓惡人)은 본래 악을 지으려 했지만 후에 선을 닦았다. 이와 같은 등등의 인연이 있기 때문에 미래세에 차제연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문】 무엇 때문에 색법(色法)은 차제연이 없는가?
【답】 어떤 사람은 “만약 어떤 법이 소의(所依)가 정해져 있고, 소행(所行)이 정해져 있고, 소연(所緣)이 정해져 있으면 그 때문에 차제연이 있지만, 색법은 소의도 없고, 소행도 없고, 소연도 없기 때문에 차제연이 없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만약 어떤 법이 상응(相應)이고, 소의가 있고, 소행이 있고, 세용(勢用)이 있고, 소연이 있으면 그 때문에 차제연이 있겠지만, 색법은 상응하지 않고, 소의ㆍ소행ㆍ세용ㆍ소연이 없다. 그 때문에 차제연이 없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차제연은 차례로 머무는 법이지만 색법은 차례로 머무는 법이 아니어서 어떤 때는 2만 겁이나 4만 겁, 혹은 6만 겁, 혹은 8만 겁 동안 단절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차제연이 눈앞에 나타날 때는 섞여 있지 않지만 색법이 눈앞에 나타날 때에는 섞여 있어서 일시(一時)에 욕계ㆍ색계의 계(繫)인 색을 일으켜서 눈앞에 나타나게 하고, 욕계의 계ㆍ불계의 색을 일으켜서 눈앞에 나타나게 하고, 색계의 계ㆍ불계의 색을 일으켜서 눈앞에 나타나게 한다”고 하였다.
이 때문에 화수밀(和須蜜) 존자는 “욕계에서는 색을 증익시켜 소멸되지 않게 하고, 색계에서는 색을 증익시켜 일어나게 한다”고 하였다.
불타제바 존자는 “소색(少色)이 쉴 새 없이 다색(多色)을 일으키고, 다색이 쉴 새 없이 소색을 일으킨다. 소색이 쉴 새 없이 다색을 일으키는 것은 가령 공중의 적은 구름이 많은 구름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것이고, 작은 종자가 큰 나무로 자라는 것과, 작은 가라라(迦羅羅)5)가 후에 큰 사람이 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다색이 쉴 새 없이 소생을 일으키는 것은 가령 커다란 풀더미를 태워서 소량의 재를 만드는 것과 같은 것이다. 소색이 쉴 새 없이 다색을 일으키고, 다색이 쉴 새 없이 소색을 일으키기 때문에 차제연이 없다”고 하였다.
【문】 가령 심수법(心數法)에서 적은 법이 쉴 새 없이 많은 법을 일으키고 많은 법이 쉴 새 없이 적은 법을 일으킨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답】 무각문관지(無覺無觀地)에서 다음에 무각유관(無覺有觀)을 일으키고 차례로 유각유관(有覺有觀)을 일으키면, 이와 같은 것을 일컬어 적은 법이 쉴 새 없이 많은 법을 일으킨다고 한다.
【문】 가령 유각유관지(有覺有觀地)에서 무각유관을 일으키고 다음에 무각무관을 일으키면, 이와 같은 것을 일컬어 많은 법이 쉴 새 없이 적은 법을 일으킨다고 하는가?
【답】 지(地)로 정해서는 안 되고 법수(法數)로 정해야 한다. 만약 1수(受)가 차례로 2수를 일으키거나 2수가 차례로 1수를 일으키면 위와 같은 허물이 있겠지만,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허물이 없다.
【문】 무엇 때문에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에는 차제연이 없는가?
【답】 어떤 사람은 “만일 어떤 법이 소의(所依)가 정해져 있고, 소행(所行)이 정해져 있고, 소연(所緣)이 정해져 있으면 그 때문에 차제연이 있지만, 심불상응행은 그렇지 않다”고 하였다. 색법은 삼계의 계(繫)이고 심불상응행도 삼계의 계이다. 나머지는 앞의 색법에서 설한 것과 같다.
【문】 무엇 때문에 무상정(無想定)과 멸진정(滅盡定)이 심차제(心次第)임은 설하면서 무상천(無想天)은 설하지 않는가?
【답】 어떤 사람은 “마땅히 설해야 하는데 설하지 않은 것은 여기에 남겨놓은 설명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용공(用功)6)과 난득(難得)7)인 경우는 설하였고, 용공이 아니고 난득이 아닌 경우는 설하지 않았다”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선법(善法)인 경우는 설했는데 저 무상천은 무기법(無記法)이기 때문에 설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문】 무엇 때문에 무상정ㆍ멸진정은 심차제이고 차제연이 아닌가?
【답】 어떤 사람은 “만약 어떤 법이 마음을 일으키고, 마음을 증익시키고, 마음을 취하면 차제연이지만, 저 정(定)이 일어날 때는 마음에 머물고, 마음을 장애하고, 마음을 부려서 상속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차제연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이 정은 심을 단절시키고 심행처(心行處)를 막아서 불상응(不相應)이고 세력으로 작용하는 법이 없기 때문에 차제연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문】 무상정과 멸진정에 들어간 심(心)과 출정심(出定心)은 차제이지만, 중간에 있는 많은 상속하는 정(定)은 무엇 때문에 차제라고 하는가?
【답】 이 중에 나머지 다른 심이 없기 때문에 차제라고 할 수 있다. 비유하면 마치 한 사람은 앞에서 가고 한 사람은 뒤에서 올 때 다른 사람이 뒤에 오는 사람에게 묻기를 “누구와 함께 옵니까?” 하고 물으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의 뒤에서 왔습니다” 하고 대답하는데, 그 둘의 중간에 촌락과 수목(樹木)과 축생 등의 물건이 있어도 다른 사람이 없기 때문에 다음에 온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이와 같아서 저 두 마음의 중간이 텅 비고 멀지만 나머지 심이 없기 때문에 차제(次第)라고 할 수 있다.
【문】 모든 법이 심차제(心次第)이면 또한 심무간(心無間)인가?
【답】 어떤 때는 심차제이지만 심무간이 아닌 경우도 있고, 심무간이면서 심차제가 아닌 경우가 있고, 심차제이면서 심무간이기도 한 경우가 있고, 심차제도 아니고 심무간도 아닌 경우가 있다.
심차제이지만 심무간이 아닌 경우는 정(定)의 초찰나와 나머지 심법(心法)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정과 출정심(出定心)인데 이것을 심차제이면서 심무간이 아닌 것이라고 한다.
심무간이면서 심차제가 아닌 경우는 정의 초찰나와 나머지 심법의 생(生)ㆍ주(住)ㆍ무상(無常)인데 이것을 심무간이면서 심차제가 아닌 것이라고 한다.
심차제이면서 심무간인 경우는 정의 초찰나와 나머지 모든 심법(心法)인데 이것을 심차제이면서 또한 심무간인 것이라고 한다.
심차제도 아니고 심무간도 아닌 경우는 정의 초찰나와 나머지 심법의 생ㆍ주ㆍ무상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정의 찰나와 출정심의 생ㆍ주ㆍ무상인데, 이것을 심차제도 아니고 심무간도 아닌 것이라고 한다.
【문】 모든 법이 심차제(心次第)이면 또한 정무간(定無間)인가?
【답】 4구(句)로 대답해야 한다.
심차제이면서 정무간이 아닌 경우는 정의 초찰나와 나머지 모든 심법인데 이것을 심차제이면서 정무간이 아닌 것이라고 한다.
정무간이면서 심차제가 아닌 경우는 정의 초찰나와 나머지 심법의 생ㆍ주ㆍ무상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정과 출정심의 생ㆍ주ㆍ무상인데, 이것을 정무간이면서 심차제가 아닌 것이라고 한다.
심차제이면서 또한 정무간인 경우는 정의 초찰나와 나머지 심법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정과 출정심인데, 이것을 심차제이면서 또한 정무간인 것이라고 한다.
심차제도 아니고 정무간도 아닌 경우는 정의 초찰나 생ㆍ주ㆍ무상과 나머지 심법의 생ㆍ주ㆍ무상인데 이것을 심차제도 아니고 정무간도 아닌 것이라고 한다.
관(觀)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이른바 별상관(別相觀)ㆍ총상관(總相觀)ㆍ허상관(虛相觀)이다.
별상관은 5온에서 ‘색(色)은 색상(色相)이다’라고 관하고 나아가 ‘식(識)은 식상(識相)이다’라고 관하며, 4대에서 ‘지(地)는 견상(堅相)이다’라고 관하고 나아가 ‘풍(風)은 동상(動相)이다’라고 관하는 것인데, 이것을 별상관이라고 한다.
총상관은 열여섯 가지 성행관(聖行觀)을 총상관이라고 하며, 허상관은 부정(不淨)ㆍ안반(安般)ㆍ무량(無量)ㆍ제입(除入)ㆍ해탈(解脫)ㆍ일체처(一切處)등을 허상관(虛相觀)이라고 한다.
【문】 이 세 가지 관에서 어떤 관이 차례로 성도(聖道)8)에 들어갈 수 있으며, 성도에서 나올 때는 어떤 관이 최초로 눈앞에 나타나는가?
【답】 어떤 사람은 “성도에 들어갈 때 세 가지 관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성도에서 나올 때 세 가지 관이 모두 눈앞에 나타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총상관으로 성도에 들어갈 수 있고, 성도에서 나올 때는 세 가지 관이 눈앞에 나타난다”고 하였다.
【문】 만약 허상관(虛相觀)으로 성도에 들어갈 수 없다면, 가령 이 경에서 “부정관(不淨觀) 다음에 염각의(念覺意)를 닦는다”고 설한 것과 어떻게 의미가 통할 수 있는가?
【답】 이것은 전전하여 상대의 인(因)이 되는 것을 말한 것이니 마치 자손법(子孫法)과 같은 것이다.
【문】 그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답】 먼저 부정관으로 심을 잘 조복하여 심을 지식(止息)시켜 모든 번뇌를 감당해 내고 질박하고 곧고 유연하게 하여 마음에 자재를 얻은 연후에 총상관이 눈앞에 나타나 성도에 들어갈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총상관이 눈앞에 나타나서 성도에 들어갈 수 있고 성도에서 나올 때도 또한 총상관이 눈앞에 나타난다”고 하였다.
【문】 만약 그렇다면, 가령 미지선(未至禪)을 의지하고, 초선(初禪)을 의지하고 선중간(禪中間)을 의지하여 정결정(正決定)을 얻어서 성도에서 나올 때는 욕계의 총상관이 눈앞에 나타날 수 있지만, 2선ㆍ3선ㆍ4선을 의지하여 정결정을 얻으면 저 욕계의 총상관이 눈앞에 나타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너무 멀기 때문이다.
또 총상관으로 달분선근(達分善根)을 제거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성도에 들어간 후에 다시 총상관을 일으켜서 눈앞에 나타나게 할 수 없기 때문인데, 성도에서 나올 때에 어떤 총상관을 일으켜서 눈앞에 나타나게 하는가?
【답】 난법(煖法)ㆍ정법(頂法)ㆍ인법(忍法)의 중간에서 총상관(總相觀)을 닦는데, 이른바 제행무상ㆍ고ㆍ공ㆍ무아ㆍ열반적정이다. 성도에서 나올 때 이러한 관(觀)이 눈앞에 나타난다.
【評】그처럼 말해서는 안 되고, 앞에서와 같이 말하는 것이 옳다.
욕계(欲界)에 세 가지 관(觀)이 있는데, 문혜(聞慧)ㆍ사혜(思慧)ㆍ생득혜(生得慧)이다. 색계(色界)에 세 가지가 있는데, 문혜ㆍ수혜(修慧)ㆍ생득혜이다. 무색계에 두 가지가 있는데 수혜와 생득혜이다.
【문】 욕계에 세 가지 관의 혜가 있는데, 어떠한 등등의 혜(慧)가 눈앞에 나타나 성도에 들어갈 수 있는가?
【답】 욕계에서는 사혜관(思慧觀)이 눈앞에 나타나 성도에 들어갈 수 있고, 성도에서 나올 때는 세 가지 관이 눈앞에 나타난다.
색계에서는 수혜관(修慧觀)이 눈앞에 나타나 성도에 들어갈 수 있고, 성도에서 나올 때는 문혜ㆍ수혜관의 두 가지가 눈앞에 나타나며 생득혜는 현전하지 않는다.
무색계에서는 수혜관이 현전하여 성도에 들어갈 수 있고, 성도에서 나올 때도 수혜관이 눈앞에 나타나며 생득혜는 나타나지 않는다.
【문】 무엇 때문에 성도에서 나올 때 욕계의 생득혜(生得慧)는 눈앞에 나타나는데, 색계와 무색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가?
【답】 욕계의 생득혜는 맹렬하고 날카로운데 색계ㆍ무색계의 혜는 맹렬하고 날카롭지 않기 때문이다.
가령 미지선(未至禪)에 의지해서 아라한과를 얻어 성도에서 나오는 경우에는 다시 미지지(未至地)와 욕계의 심을 일으키고,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의지해서 아라한과를 얻어 성도에서 나올 때는 다시 무소유처와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의 심을 일으키며, 나머지 지(地)를 의지해서 아라한과를 얻어 성도에서 나올 때는 바로 그 지(地)의 심을 일으킨다.
초선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미(味)ㆍ정(淨)ㆍ무루(無漏)이다. 내지 무소유처에도 세 가지가 있으며, 비상비비상처에는 미ㆍ정 두 가지가 있다. 미상응(味相應)은 차례로 미상응과 정을 일으키고 무루는 일으키지 않으며, 정은 세 가지를 일으키고, 무루는 정과 무루 두 가지는 일으키고 미ㆍ정은 일으키지 않는다.
초선(初禪)에 네 가지가 있는데 처분(處分)ㆍ주분(住分)ㆍ승진분(勝進分)ㆍ달분(達分)이 있으며, 내지 비상비비상처에도 또한 네 가지가 있다.
퇴분(退分)은 차례로 처분과 주분을 일으키고 승진분과 달분은 일으키지 않으며, 주분(住分)은 차례로 주분과 퇴분과 승진분은 일으키고 달분은 일으키지 않는다.
승진분은 차례로 승진분과 주분과 달분은 일으키고 퇴분은 일으키지 않으며, 달분(達分)은 차례로 달분과 승진분을 일으키고 주분과 퇴분은 일으키지 않는다.
어떤 사람은 “퇴분은 차례로 세 가지를 일으키고 달분은 일으키지 않으며, 주분과 승진분은 네 가지를 모두 일으키고, 달분은 퇴분을 제외한 세 가지를 차례로 일으킨다”고 하였다.
【문】 가령 2선ㆍ3선ㆍ4선지에서 초선에 들어가고자 하면 식(識)이 눈앞에 드러나는데, 몇 가지 관(觀)이 눈앞에 나타나는가?
【답】 머물고 있는 지(地)에 따라서 나타난다. 욕(欲)을 아직 떠나지 않은 경우에는 세 가지 관이 눈앞에 나타나는데, 선(善)과 염오(染汚)와 불은몰무기(不隱沒無記)이다. 나올 때에도 세 가지 관이 눈앞에 나타난다. 욕을 떠난 경우에는 두 가지가 눈앞에 나타난다.
열두 가지의 마음이 있다. 욕계의 계(繫)에 네 가지가 있는데, 선(善)과 불선(不善)과 은몰무기(隱沒無記)와 불은몰무기이다. 색계의 계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선과 은몰무기와 불은몰무기이다. 무색계의 계도 또한 세 가지이다. 여기에 학심(學心)과 무학심(無學心)의 둘을 더해서 열두 가지이다.
【문】 욕계의 계인 선심(善心)은 몇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며 또 몇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가? 나아가 무학심은 몇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며 또 몇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가?
【답】 욕계(欲界)의 계(繫)인 선심(善心)은 아홉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욕계의 계인 4심과 색계의 계인 선과 은몰무기 2심과 무색계의 계인 은몰무기 1심과 학ㆍ무학심이다. 또 여덟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욕계의 계(繫)인 4심과 색계의 선과 은몰무기 2심과 학ㆍ무학심이다.
불선심(不善心)은 욕계의 4심을 차례로 일으킨다. 또한 열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욕계의 계인 4심과 색계의 계인 3심과 무색계의 계인 3심이다. 은몰무기심도 이와 같다.
욕계의 계인 불은몰무기심은 일곱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욕계의 4심과 색계의 선과 은몰무기 2심과 무색계의 은몰무기 1심이다. 또한 다섯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욕계의 4심과 색계의 선심(善心)이다.
색계(色界)의 계(繫)인 선심은 열한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무색계의 계인 불은몰무기심을 제외한 나머지를 차례로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아홉 가지 마음으로부터 일어나는데, 자지(自地)인 색계의 3심과, 욕계의 선과 불은몰무기 2심과 무색계의 선과 은몰무기 2심과 학ㆍ무학심이다.
색계의 계인 은몰무기심(隱沒無記心)은 여섯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색계의 계인 3심과 욕계의 불은몰무기심을 제외한 3심이다. 또한 여덟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색계의 3심과 욕계의 선과 불은몰무기 2심과 무색계의 3심이다.
색계의 계인 불은몰무기심(不隱沒無記心)은 여섯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색계의 3심과 욕계의 불선과 은몰무기 2심과 무색계의 은몰무기 1심이다. 또한 색계의 3심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난다.
무색계의 선심(善心)은 아홉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무색계의 3심과 욕계의 불선과 은몰무기 2심과 색계의 선과 은몰무기 2심과 학ㆍ무학심이다. 또한 여섯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무색계의 3심과 색계의 선심 1심과 학ㆍ무학심이다.
무색계의 계인 은몰무기심은 일곱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무색계의 3심과 욕계의 불선과 은몰무기 2심과 색계의 선과 은몰무기 2심이다. 또한 일곱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무색계의 3심과 욕계의 선과 은몰무기 2심과 색계의 선과 불은몰무기 2심이다.
무색계의 계인 불은몰무기심은 여섯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무색계의 3심과 욕계의 불선과 은몰무기 2심과 색계의 은몰무기 1심이다. 또한 무색계의 3심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난다.
학심(學心)은 다섯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욕계의 선과 색계의 선과 무색계의 선과 학ㆍ무학심이다. 또한 네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욕계의 선과 색계의 선과 무색계의 선과 학심이다.
무학심(無學心)은 네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욕계의 선과 색계의 선과 무색계의 선과 무학심이다. 또 다섯 가지 마음으로부터 일어나는데, 욕계의 선과 색계의 선과 무색계의 선과 학ㆍ무학심이다.

아홉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여덟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네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열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일곱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다섯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니
욕계의 마음임을 알아야 하네.

열한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아홉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여섯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여덟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여섯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세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니
이것은 색계의 마음이라네.

아홉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여섯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일곱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일곱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여섯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세 가지 마음을 일으키니
이것은 무색계의 마음이라네.

다섯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네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네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다섯 가지 마음에서 일어남은
학심ㆍ무학심인 줄 알아야 하니,
스무 가지의 마음이 있다네.

욕계(欲界)에 여덟 가지 마음이 있는데, 방편선심(方便善心)ㆍ생득선심(生得善心)ㆍ불선심(不善心)ㆍ은몰무기심(隱沒無記心)ㆍ위의심(威儀心)ㆍ공교심(工巧心)ㆍ보심(報心)ㆍ통과심(通果心)이다.
색계(色界)에 여섯 가지 마음이 있는데, 방편선심(方便善心)ㆍ생득선심(生得善心)ㆍ은몰무기심(隱沒無記心)ㆍ위의심(威儀心)ㆍ보심(報心)ㆍ통과심(通果心)이다.
무색계(無色界)에 네 가지 마음이 있는데, 방편선심ㆍ생득선심ㆍ은몰무기심ㆍ보심이다.
무루(無漏)에 두 가지 마음이 있는데, 학심(學心)과 무학심(無學心)이다.
【문】 욕계의 방편선심은 몇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고 몇 가지 마음으로부터 일어나는가? 나아가 무학심은 몇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고 몇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가?
【답】 욕계의 방편선심(方便善心)은 열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욕계에서 통과심을 제외한 7심과 색계의 방편선심 1심과 학심ㆍ무학심이다. 또 여덟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욕계의 방편선ㆍ생득선ㆍ불선ㆍ은몰무기 4심과 색계의 방편선과 은몰무기 2심과 학ㆍ무학심이다.
욕계의 생득선심(生得善心)은 아홉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통과심을 제외한 욕계의 7심과 색계의 은몰무기심과 무색계의 은몰무기심이다. 또한 열한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통과심을 제외한 욕계의 7심과 색계의 방편선과 은몰무기 2심과 학ㆍ무학심이다.
욕계의 불선심(不善心)은 통과심을 제외한 욕계의 일곱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킨다. 또한 열네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통과심을 제외한 욕계의 7심과 색계의 생득선심ㆍ은몰무기심ㆍ위의심ㆍ보심 등 4심과 방편선을 제외한 무색계의 3심이다. 은몰무기심(隱沒無記心)도 또한 이와 마찬가지이다.
욕계의 위의심(威儀心)은 여덟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방편선과 통과심을 제외한 욕계의 7심이다. 보심(報心)도 또한 이와 같다.
공교심(工巧心)은 여섯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방편선과 통과심을 제외한 욕계의 6심이다. 또한 일곱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통과심을 제외한 욕계의 7심이다.
욕계의 통과심(通果心)은 두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욕계의 통과심과 색계의 방편선심이다. 또한 두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욕계의 통과심과 색계의 방편선심이다.
색계의 방편선심(方便善心)은 열두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색계의 6심과 욕계의 방편선ㆍ생득선ㆍ통과심 3심과 무색계의 방편선심과 학ㆍ무학심이다. 또한 열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위의심과 보심을 제외한 색계의 4심과 욕계의 방편선과 통과심 2심과 무색계의 방편선과 은몰무기 2심과 학ㆍ무학심이다.
색계의 생득선심(生得善心)은 여덟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통과심을 제외한 색계의 5심과 욕계의 불선심과 은몰무기 2심과 무색계의 은몰무기심이다. 또한 통과심을 제외한 색계의 5심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난다.
색계의 은몰무기심(隱沒無記心)은 아홉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통과심을 제외한 색계의 5심과 욕계의 방편선ㆍ생득선ㆍ불선ㆍ은몰무기 4심이다. 또한 열한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통과심을 제외한 색계의 5심과 욕계의 생득선ㆍ위의ㆍ보심 3심과 방편선을 제외한 무색계의 3심이다.
색계의 위의심(威儀心)은 일곱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방편선과 통과심을 제외한 색계의 4심과 욕계의 불선과 은몰무기 2심과 무색계의 은몰무기심이다. 또한 다섯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통과심을 제외한 색계의 5심이다. 보심(報心)도 또한 이와 같다.
색계의 통과심(通果心)은 색계의 방편선과 통과심 2심을 차례로 일으킨다. 또한 두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색계의 방편선과 통과심이다.
무색계의 방편선심은 일곱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무색계의 4심과 색계의 방편선과 학ㆍ무학심이다. 또한 여섯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보심을 제외한 무색계의 3심과 색계의 방편선심과 학ㆍ무학심이다.
무색계의 생득선심은 일곱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무색계의 4심과 욕계의 불선과 은몰무기 2심과 색계의 은몰무기심이다. 또한 무색계의 4심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난다.
무색계의 은몰무기심은 여덟 가지 마음을 일으키는데, 무색계의 4심과 욕계의 불선과 은몰무기심 2심과 색계의 방편선심과 은몰무기심 2심과 색계의 방편선심과 은몰무기심 2심이다. 또한 열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무색계의 4심과 욕계의 생득선ㆍ위의ㆍ보심 3심과 색계의 생득선ㆍ위의ㆍ보심 3심이다.
무색계의 보심(報心)은 여섯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방편선을 제외한 무색계의 3심과 욕계의 불선과 은몰무기심 2심과 색계의 은몰무기심이다. 또한 무색계의 4심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난다.
학심(學心)은 여섯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욕계의 생득선과 방편선 2심과 색계의 방편선심과 무색계의 방편선심과 학ㆍ무학심이다. 또한 네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욕계의 방편선심과 색계의 방편선심과 무색계의 방편선심과 학심(學心)이다.
무학심(無學心)은 다섯 가지 마음을 차례로 일으키는데, 욕계의 방편선과 생득선심 2심과 색계의 방편선심과 무색계의 방편선심과 무학심이다. 또한 다섯 가지 마음으로부터 차례로 일어나는데, 욕계의 방편선심과 색계의 방편선심과 무색계의 방편선심과 학ㆍ무학심이다.

열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여덟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아홉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열한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고

일곱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열네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여덟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일곱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고

여섯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일곱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두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두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니
이것으로 욕계의 여덟 가지
마음을 모두 설하였네.

열두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열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여덟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다섯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아홉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열한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일곱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다섯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두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두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니
색계의 육심(六心)인 줄 알아야 하고

일곱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여섯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일곱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네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여덟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열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여섯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네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니
이것은 무색계의 4심이며

여섯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네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며
다섯 가지 마음을 일으키고
다섯 가지 마음에서 일어나니
학심ㆍ무학심인 줄 알아야 하네.

무엇 때문에 인(人)은 얻을 수 없는가?……(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문】 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 다른 사람의 잘못된 생각을 중지시키기 위해서이다.
어떤 사람은 “인(人)이 있다. 인이 있기 때문에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한다”9)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사물[物]의 본성[性]은 서로 숨어들어가는 관계[相入]라고 하였는데, 상입론자(相入論者)는 “모든 유위법(有爲法)에 2분(分)이 있다. 가령 낮과 밤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밤에는 낮이 밤 가운데로 들어가고 낮에는 밤이 낮 가운데로 들어간다. 왜냐하면 가령 밤에 작위했던 것을 낮에 기억하는 것은 밤이 낮으로 들어가기 때문이고, 낮에 작위했던 것을 밤에 기억하는 것은 낮이 밤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사물의 본성은 변하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물성변론자(物性變論者)는 “가라라(伽羅羅)가 변하여 아부타(阿浮陀)10)가 된다. 나아가 중년(中年)이 변하여 노년(老年)이 되기 때문에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한다. 비유하면 마치 파타수(婆吒樹)의 잎이 청색에서 황색으로 변하는 것과 같은데, 이것도 또한 마찬가지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사물의 본성은 왕래하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왕래론자(往來論者)는 “가라라의 본성이 아부타 가운데 이르러 머물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한다”라고 하였다.
【문】 물성변론(物性變論)과 왕래론(往來論)에는 어떤 차별이 있는가?
【답】 물성변론에서는 가라라가 변하여 아부타가 된다고 하였고, 왕래론에서는 가라라의 물성이 아부타에 이르러 와서 머문다고 하였는데 모두 증장(增長)하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지각(知覺)하는 본성은 하나이니 후에 지각하는 것이 바로 전에 지각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의계(意界)는 항상한 것[常]이다. 의계가 항상하기 때문에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근본음(根本陰)이 있고 객음(客陰)이 있다. 객음이 작위하는 것은 근본음이 알 수 있기 때문에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전심(前心)이 후심(後心)으로 흘러간다. 그래서 후심으로 나는 이와 같은 일을 하였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한다”고 하였다.
항하의 모래 수처럼 많은 모든 부처님과 불제자들은 ‘인(人)이 있다’고 의논하지 않고, ‘사물의 본성이 서로 숨어들어가는 것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사물의 본성이 변하는 것’이라고 말하지도 않고, ‘사물의 본성이 왕래하는 것’이라고 말하지도 않는다. ‘지각하는 성품은 하나이다’라고 말하지 않고, ‘의계(意界)가 행상한다’고 말하지도 않고, ‘근본음과 객음이 있다’고 말하지 않고, ‘전심이 후심으로 흘러간다’고 말하지도 않는다. 그렇지만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은 미세하고 심심미묘해서 알기가 어렵다. 이와 같이 미세하고 심심미묘해서 알기 어려운 법을 환하게 나타내려고 이것을 의론한다.
【문】 무엇 때문에 ‘인(人)은 얻을 수 없고, 전심(前心)은 후심(後心)으로 흘러가지 않는데, 내가 작위한 것이 있으면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고 말했는가?
【답】 “어떻게 인(人)은 얻을 수 없고, 사물의 본성은 상입(相入)하지 않으며, 사물의 본성은 변하지 않고, 사물의 본성은 왕래하지 않으며, 각성(覺性)은 하나가 아니고, 의계(意界)는 항상 하지 않고, 음성(陰性)은 근본(根本)과 객음(客陰)이 없고, 전심은 후심으로 흘러가지 않는데,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는가?”라고 말해야 하는데, 그렇게 말하지 않은 것은 처음과 끝의 중간을 간략하게 나타내서 문장을 간이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
가령 “인(人)은 얻을 수 없는 것이다”라고 설하면, 인(人)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의 생각을 중지시키고, “전심이 후심으로 흘러가지 않는다”고 설하면 왕래론자(往來論者)의 생각을 중지시킨다. 전심과 후심을 설하면 여타의 모든 의론자들의 생각을 중지시킨다.
【문】 [인은 얻을 수 없으며, 또한 전심이 후심으로 흘러간다는 이치가 없거늘 어떠한 연유로 본래 작위했던 일을 기억하는가?]11)
【답】 중생의 법은 이와 같이 서로 흡사한 습지(習智)에 의해서 얻는다.
【문】 앞에서는 인이 없다고 하였는데, 지금 여기에서는 무엇 때문에 중생을 말하는가?
【답】 설하는 것과 설하는 법체(法體)를 서로 수순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왜냐하면 중생을 말하지 않고 단지 법(法)만을 설하면, 법은 의미에 있어서는 수순하지만 문장에 있어서는 불편하다. 중생을 말한다면 문장이나 의미에 있어서 모두 수순하다. 이 때문에 중생을 설한 것이다.
어떤 사람은 “앞에서 실제의 의미[實義]를 설하였고, 지금 여기에서는 임시로 중생의 법은 이와 같이 서로 흡사한 습지(習智)로 얻는다고 한 것이다. 습지(習智)는 결정(決定)ㆍ수습(修習)ㆍ자재(自在)의 의미가 있다. 본래 작위한 것은 본사(本事)에 따라서 하는 것인데, 본사는 가령 그 본성과 체와 상(相)과 물(物) 같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본래 함께 작위한 것이라고 해야 한다. 어떤 것이 함께 작위한 것인가? 가령 예를 들면 본래 본 것과 과거에 경험한 것 등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본래 작위한 일[本作事]을 기억하는 것이라고 해야 한다. 어떤 것이 본래 작위한 일인가? 본래의 형색(形色)과 본래 행위를 한 것에 따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본래 작위한 것을 기억한다’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서 이것을 의론한다.
비유하면 글을 잘 쓰는 사람[能書者]12)과 같다.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가령 글을 잘 쓰는 사람은 글에 능한 다른 사람에게 가서 “당신은 어떤 글자를 썼습니까”하고 묻지도 않고 그 사람도 “나는 이 글자를 썼습니다” 하고 대답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이처럼 그 동안 익힌 습지(習智)로 자신이 쓴 글자도 알고 타인이 쓴 글자도 알며, 나아가 다른 나라[海外]에서 책이 와도 읽어서 알 수 있는 것과 같다.
이와 같아서 전심(前心)이 후심(後心)으로 흘러가지 않지만, 후심이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
다시 거듭해서 이 의미를 분명하게 밝히기 위해서 비유를 다시 든다. 가령 타인의 마음을 아는 두 사람이 전전하여 상대방을 반연하여, 이 사람이 저 사람에게 “당신은 어떤 일을 생각합니까?” 하고 묻지 않고, 저 사람도 “나는 이러한 일을 생각합니다” 하고 대답하지 않으며, 내지 백 유순(由旬) 밖에 있어도 두 사람의 마음을 서로 아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전심이 후심으로 이르러 가지 않아도 후심이 본래 생각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
다음에, 모든 심ㆍ심수법은 반연하는 대상[所緣]에서 정해진다.
【문】 어떤 법에서 정해지는 것을 정해진다고 하는가? 안입(眼入)에서 정해지는가, 색(色)에서 정해지는가, 찰나(刹那)에서 정해지는가?
【답】 어떤 사람은 “안입에서 정해지고, 색ㆍ찰나에서 정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일어나지 않는 심ㆍ심수법이 많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문】 무엇 때문에 안입(眼入)에서 정해지는가?
【답】 가령 안식(眼識)은 색(色)에서 정해지고, 그 나머지 모든 식은 각각 자신의 경계(境界)에서 정해지는데, 안입이 청색(靑色)과 화합하면 청식(靑識)이 일어나고 나머지 색과 화합하면 나머지 식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문】 만약 그렇다면 바로 두 가지 마음이 있게 되는데 청색을 지각(知覺)하는 마음은 황색 등을 아는 마음과 다르다. 또 『식신경(識身經)』에서 “과거의 안식은 과거법(過去法)을 반연하는가, 현재법(現在法)을 반연하는가, 미래법(未來法)을 반연하는가? 답한다. 과거법을 반연하고 현재ㆍ미래법은 반연하지 않는다”고 한 경문에 위배된다.
또 어떤 사람은 “안입(眼入)과 색(色)에서 정해지고, 찰나에서는 정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일어나지 않는 심ㆍ심수법이 많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무엇 때문에 색에서 정해지는가?
【답】 청색을 반연하면 청식(靑識)이 일어나고 나머지는 일어나지 않는다. 황색 등을 반연하는 경우도 또한 이와 같다.
【문】 청색은 여러 가지인데, 푸른 줄기ㆍ푸른 가지ㆍ푸른 잎ㆍ푸른 꽃ㆍ푸른 열매가 있다. 가령 푸른 줄기를 반연하는 식은 무엇 때문에 푸른 가지ㆍ푸른 잎ㆍ푸른 꽃ㆍ푸른 열매를 반연하는 식(識)이 아닌가?
【評】“세 가지 법에서 정해진다”고 말해야 한다.
【문】 만약 그렇다면 일어나지 않는 심ㆍ심수법이 많게 된다.
【답】 일어나지 않는 법이 많으면 다시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미래세법은 필경에 주처(住處)가 없는데 이미 주처가 있기 때문이다.
【문】 심ㆍ심수법이 소연(所緣)에서 정해지면 소의(所儀)에서도 정해지는가?
【답】 소의에서도 정해진다. 왜냐하면 가령 미래의 심ㆍ심수법은 소의(所儀)와 멀지만, 일어나서 눈앞에 나타나면 소의와 함께 갖추어지고, 소멸되면 소의와 멀어진다.
어떤 사람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심ㆍ심수법은 소의와 멀지만, 일어나서 눈앞에 나타나는 경우는 함께 갖추어지고, 소멸되면 함께 갖추어지고, 소멸되면 함께 소멸된다”고 하였다.
【문】 심ㆍ심수법이 소연(所緣)과 소의(所依)에서 정해진다면, 어느 때에 소연이 되는가? 생시(生時)에 되는가, 멸시(滅時)에 되는가? 만약 생시라면 생시는 미래인데, 어떻게 미래가 소연이 될 수 있는가? 만약 멸시(滅時)라면 멸시는 무너져서 흩어진 쇠퇴법(衰退法)인데, 어떻게 무너져서 흩어지고 쇠퇴한 때에 소연이 될 수 있겠는가?
【評】멸시에 소연이 될 수 있으며 생시에는 소연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아직 일어나지 않은 법은 미래인데 미래법은 소연이 될 수 없으며, 멸시를 현재라고 하는데 현재법은 작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 만약 그렇다면 무너져서 흩어진 쇠퇴법이 어떻게 작위할 수 있는가?
【답】 모든 유위법의 체성은 미미하고 하열하여 여러 가지 인연에 묶이기 때문에 자재하지 못하다.
만약 심ㆍ심수법이 소연을 의지해서 화합하면 소연을 취할 수 있는데, 미래세법의 소의와 경계는 산란하다. 미래법과 같아서 과거법도 또한 그러하다. 현재법은 중연(衆緣)이 화합하는데, 현재가 경계를 반연하지 못하면 필경에 경계를 반연하는 의미가 없다.
【문】 만약 심ㆍ심수법이 소연과 소의에서 정해진다면, 여기에서는 무엇 때문에 소연만을 설하고 소의는 설하지 않았는가?
【답】 여기에서는 소념사(所念事)를 설하였기 때문에 소의를 설하지 않았다. 소념(所念)이 있으면 반드시 소연을 의지하므로 소의는 소용이 없다. 가령 하나의 경계가 많은 심ㆍ심수법의 소연이 되는 것과 같고, 전찰나의 일심이 반연한 이후에 여러 마음도 반연하는 것과 같다. 비유하면 한 사람에게 백 명의 아들이 있는데, 한 아들이 아버지를 생각하면 나머지 아들들도 생각하는 것과 같은데, 저 하나의 경계가 여러 마음의 소연이 되는 것도 또한 이와 같다.
【문】 만약 경험한 일이 다르고, 기억하고 있는 일이 다르다면, 어떻게 제바달다(提婆達多, Devadatta)가 경험한 것을 연야달다(延若達多, Yajñadatta)가 기억할 수 없는가? 또한 연야달다가 경험한 일을 어째서 제바달다가 기억할 수 없는가?
【답】 제바달다의 몸[身]이 다르고 연야달다의 몸이 다르다.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하는 것은 몸이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제바달다와 연야달다와 같은 경우에 심(心)이 전전하여 상대방의 인(因)이 될 수 없는데,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하는 것은 전심이 후심의 인이 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마음이 상속(相續)하고 몸이 상속하면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지만, 제바달다와 연야달다는 마음도 상속하지 않고 몸도 상속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문】 만약 마음이 상속한다면, 먼저 한 소를 보고 후에 다른 소를 보았는데, 이것을 본래의 소라고 하는가?
【답】 과거에 경험한 일은 서로 비슷해야만 그것이 먼저 본 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후에 다시 경험한다 해도 후에 본 소와 비슷하지 않기 때문에 알지 못한다. 만약 앞에서 본 소와 후에 본 소가 서로 비슷하면 알 수 있다.
앞에서 경험한 의(意)에 반드시 세력이 있어야만 후에 생각을 잃지 않고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 앞에서 일어난 심취(心聚)를 의(意)라 하고 후에 일어나는 심취를 염(念)이라고 하는데, 전의(前意)에 세력이 있기 때문에 후념(後念)으로 하여금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하게 한다.
후념을 잃지 않는다고 한 것은 마음을 광란하지 않게 하고, 고통에 핍박받지 않는 것을 말한다.
두 가지 마음이 있는데, 첫째는 동행심(同行心)이고 둘째는 동연심(同緣心)이다. 고법인(苦法忍)ㆍ고비인(苦比忍)ㆍ고비지(苦比智)는 동행심이라 하고 동연심이라고 하지 않으며, 집법인(集法忍)ㆍ집법지(集法智)는 동연심이라 하고 동행심이라고 하지 않는다.
고법지(苦法智)는 동행심이라고도 하고 동연심이라고도 하며, 그 나머지는 동행심이라고 하지도 않고 동연심이라고 하지도 않는다. 동행심이 경험한 일을 동연심이 기억할 수 있고, 동연심이 경험한 일을 동행심이 기억할 수 있다.
세 가지 마음이 있는데, 선(善)ㆍ불선(不善)ㆍ무기(無記)이다. 선심이 경험한 일을 선ㆍ불선ㆍ무기심이 기억할 수 있으면, 불선ㆍ무기심도 또한 이와 같다.
또 네 가지 마음이 있는데, 선(善)ㆍ불선(不善)ㆍ은몰무기(隱沒無記)ㆍ불은몰무기(不隱沒無記)이다. 가령 선심이 경험한 일은 네 가지 마음이 기억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불은몰무기심이 경험한 일을 네 가지 마음이 기억할 수 있다.
또 네 가지 마음이 있는데, 인연으로부터 일어나는 마음[從因緣生心]과 차제연으로부터 일어나는 마음[從次第緣生心]과 경계연으로부터 일어나는 마음[從境界緣生心]과 위세연으로부터 일어나는 마음[從威勢緣生心]이다. 하나의 마음이 과거에 경험한 일을 네 가지 마음이 모두 기억할 수 있다.
또 다섯 가지 마음이 있는데, 체성이 고임을 보고 끊는 견고소단심(見苦所斷心) 내지는 수도에서 끊어지는 수도소단심(修道所斷心)이다.
견고소단심이 경험한 일을 다섯 가지 마음이 기억할 수 있으며, 견집소단심(見集所斷心)과 수도소단심도 이와 같다. 견멸소단심(見滅所斷心)이 경험한 일은 견도소단심을 제외한 네 가지 마음이 기억할 수 있고, 견도소단심(見道所斷心)도 이와 같아서 이 심이 경험한 일을 네 가지 마음이 기억할 수 있는데, 견멸소단심은 제외된다.
또 여섯 가지 마음이 있는데 이른바 6식(識)을 말한다. 6식이 경험한 일을 의식(意識)이 기억할 수 있다.
다시 열두 가지 마음이 있는데, 욕계에 선심ㆍ불선심ㆍ은몰무기심ㆍ불은몰무기심이 있으며, 색계에 불선심을 제외한 세 가지가 있고, 무색계도 이와 같으며, 무루의 학심과 무학심이다.
열두 가지 마음의 경우에는 이와 서로 비슷한 12법(法)ㆍ12념(念)이 있다. 욕계의 선심이 경험한 법의 경우는 열두 가지 염이 모두 기억할 수 있으며 불선심이 경험한 법의 경우도 이와 같다. 은몰무기심이 경험한 법은 여덟 가지 염이 기억할 수 있는데, 욕계의 네 가지 마음과 색계의 선심ㆍ불은몰무기심ㆍ학심ㆍ무학심이다. 욕계의 불은몰무기심도 이와 같다. 색계의 선심이 경험한 법은 열두 가지 염이 기억할 수 있고, 색계의 은몰무기심이 경험한 법은 욕계의 은몰무기심과 불은몰무기심을 제외한 열 가지 염이 기억할 수 있다. 색계의 불은몰무기심이 경험한 법은 무색계의 은몰무기심과 불은몰무기심을 제외한 열 가지 염이 기억할 수 있으며, 무색계의 선심이 경험한 법은 욕계의 은몰무기심과 불은몰무기심을 제외한 열 가지 염이 기억할 수 있다. 무색계의 은몰무기심이 경험한 법은 아홉 가지 염이 기억할 수 있으며, 욕계의 선심ㆍ불선심과 색계의 선심ㆍ은몰무기심과 무색계의 3종심인 학심ㆍ무학심ㆍ불은몰무기심도 이와 같다. 학심이 경험한 법은 열두 가지 염이 기억할 수 있으며, 무학심도 이와 같다.
가령 경(經)에서는 “존자 사리불이 이와 같이 말하였다. 모든 장로들이여. 만약 내입(內入)인 의(意)가 무너지지 않고 외입(外入)인 법(法)을 관조하여 정관(正觀)을 일으켜서 눈앞에 나타나게 하면 의식(意識)이 생깁니다”라고 하였다.
【문】 그는 무엇 때문에 의입(意入)이 무너지는 것을 말하였는가?
【답】 무너짐[壞]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수유괴(須臾壞)ㆍ명종괴(命終壞)ㆍ 구경괴(究竟壞)이다.
수유괴란 무상정(無想定)과 멸진정(滅盡定)에 들어가면, 이것을 잠깐 무너진다는 뜻에서 수유괴라고 한다.
명종괴란 가령 단선근(斷善根)의 선의(善意)가 무너진 경우와, 범부가 욕(欲)을 떠나거나 내지 수명이 다했을 때 불선의(不善意)가 무너지는 경우를 말한다.
구경괴란 가령 고비지(苦比智)가 일어나면 고제소단의(苦諦所斷意)가 마지막까지 무너지고, 나아가 도비지(道比智)가 일어나면 견제소단의(見諦所斷意)가 마지막까지 무너지는 것 등을 말한다. 불퇴법(不退法)에 머무는 사다함(斯陀含)은 견제소단의와 욕계(欲界)의 수도소단의(修道所斷意) 등 여섯 가지 의(意)를 마지막까지 무너뜨리고, 불퇴법에 머무는 아나함(阿那含)은 모든 견제소단의(見諦所斷意)와 욕계의 수도(修道)에서 끊은 염오의(染汚意)를 끝까지 무너뜨리며, 불퇴법에 머무는 아라한(阿羅漢)은 모든 염오의를 끝까지 무너뜨린다.
【문】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 일을 잊어버려도 다시 기억할 수 있는가?
【답】 중생의 법은 심(心)이 서로 비슷하게 차례로 지견(知見)을 일으킨다.
세 가지 서로 비슷한 것이 있는데, 방편상사(方便相似)ㆍ경계상사(境界相似)ㆍ수순상사(隨順相似)이다.
무엇을 방편상사라 하는가? 가령 어떤 사람이 수다라(修多羅)를 읽고 후에 잊어버려도 그 후에 부지런히 방편수행을 하면 다시 날카롭게 통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하는데, 비니(毘尼)와 아비담(阿毘曇)의 경우에는 부지런히 방편수행을 하는 것도 이와 같다.
먼저 부정관(不淨觀)을 닦고 후에 잊어버려도 부지런히 방편수행을 하면 그 경계를 따라서 다시 눈앞에 나타나는데, 안반관(安般觀)의 경계방편도 이와 같다.
일찍이 듣건대, 어떤 바라문이 『위타경(違陀經, Veda)』을 읽고 후에 잊어버렸는데 다시 외우려고 모든 방편을 썼지만 할 수가 없었다. 그는 스승을 찾아가서는 물었다.
“본래 읽어서 외웠던 위타경을 지금 모두 잊어버렸습니다. 다시 날카롭게 통달해서 외우려고 부지런히 방편수행을 해도 할 수가 없습니다. 지금 어떻게 해야 합니까?”
그 스승이 물었다.
“네가 본래 독송할 때 어떻게 외웠느냐?”
제자가 답하였다.
“처음 경을 독송할 때는 손에 노끈을 들고 세면서 입으로 경을 외웠습니다.”
스승이 말해 주었다.
“먼저 읽었던 법대로 다시 독송하여라.”
제자는 가르침대로 한 후에 바로 날카롭게 통달하여 외울 수 있었다. 이런 경우를 비슷한 방편을 쓴다고 해서 방편상사(方便相似)라고 한다.
어떤 것을 경계상사라고 하는가? 가령 이곳에서 강ㆍ연못ㆍ산림(山林)과 경행(經行)하고 머무는 처소를 보고 후에 다른 곳에 이르러서 먼저 보았던 것과 같은 것을 보면 본래 보았던 것을 다시 기억하는데, 이것을 경계상사(境界相似)라고 한다.
어떤 것을 수순상사라고 하는가? 가령 음식(飮食)ㆍ방토(方土)ㆍ주처(住處)와 동행인(同行人)을 수순(隨順)하면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
일찍이 들으니, 한 비구가 아함경을 독송하다가 후에 잊어버렸는데 부지런히 방편을 써도 다시 옛날처럼 날카롭게 통달하여 독송할 수 없어서 대덕(大德)인 아난의 처소를 찾아가 이렇게 말하였다.
“제가 본래 『아함경』을 독송하다가 지금 잊어버렸는데 부지런히 방편을 써도 예전처럼 날카롭게 통달하여 독송할 수 없습니다. 이제 어떻게 해야 합니까?”
아난이 말하였다.
“많은 기름을 구해서 욕실(浴室)에 들어가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고, 음식ㆍ방토ㆍ주처ㆍ설법ㆍ동행인을 수순해야 합니다.”
그는 아난이 말한 대로 모든 방편을 갖추어서 다시 날카롭게 통달하여 독송할 수 있었는데, 이것을 수순상사(隨順相似)라고 한다.
【문】 어떤 것을 차제(次第)라고 하는가?
【답】 서로 연속되어서 단절되지 않는 것[相續不斷]을 차제라고 한다.
어떤 사람은 “차제는 불상속심(不相續心)을 다시 상속하게 하여 막거나 중지시킬 수 없게 하고, 대치법(對治法)에 파괴되지 않으며, 과거에 경험했던 의(意)의 세력이 강하여 후념(後念)에서 잊어버리지 않게 한다. 앞에 일어난 심취(心聚)를 의(意)라 하고, 후에 일어나는 심취를 염(念)이라 하는데, 전심(前心)에 세력이 있기 때문에 후심이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하여 후념을 잊어버리지 않아서 마음이 미치고 어지러워지거나 고통에 핍박받지 않게 한다”고 하였다.
화수밀 존자는 “세 가지가 있기 때문에 소념사(所念事)를 잊어버려도 다시 기억하는데, 첫째는 전념에 떠오른 상[前相]을 잘 취하는 것이고, 둘째는 서로 비슷한 방편을 쓰는 것이고, 셋째는 후념을 잊어버리지 않는 것[不失念]이다”라고 하였다.
【문】 무엇 때문에 기억했던 일을 잊어버리고 다시 기억하지 못하는가?
【답】 중생의 법(法)은 심(心)이 서로 흡사하지 않고 불차제(不次第)하게 심의 지견(知見)을 일으키는데, 세 가지의 서로 흡사하지 않은 것이 있다. 이른바 방편불상사와 경계불상사와 수순불상사이다.
무엇을 방편불상사라 하는가?
가령 어떤 사람이 수다라(修多羅)를 독송하다가 후에 잊어버리면, 또한 비니(毘尼)와 아비담(阿毘曇)을 독송했던 것도 잊어버리며, 먼저 부정관(不淨觀)을 닦다가 후에 다시 잊어버리면 또한 안반관(安般觀)의 경계와 방편도 망실(忘失)해버리는데, 이것을 방편불상사(方便不相似)라고 한다.
어떤 것을 경계불상사라고 하는가? 과거에 본래 보았던 강물과 연못과 경행하고 거주하는 처소 등의 것을 후에 다른 곳에 이르렀을 때 이와 같은 등등의 일을 보지 않으면, 전에 보고 경험했던 일을 다시 기억하지 못하는데, 이것을 경계불상사(境界不相似)라고 한다.
어떤 것을 수순불상사라고 하는가? 만약 음식ㆍ방토(方土)ㆍ주처(住處)ㆍ동행인(同行人)을 수순하지 못하면 전에 작위했던 것을 영원히 다시는 기억할 수 없는데, 이것을 수순불상사(隨順不相似)라고 한다.
불차제(不次第)는 서로 연속되지 않아서 단절되는 것을 불차제라고 한다. 또한 과거에 경험했던 의(意)의 세력이 미약해서 기억했던 것을 잊어버리는데, 저 전(前)에 일어난 심취(心聚)를 의(意)라 하고, 후에 일어난 심취를 염(念)이라 한다. 전심(前心)이 약하기 때문에 후심(後心)이 본래 작위했던 것을 기억하게 할 수 없으며, 기억했던 것을 잊어버리면 마음이 미치고 어지러워지거나 고통에 핍박을 받게 된다.
화수밀 존자는 “세 가지 일 때문에 전에 기억했던 것을 잊어버리고 다시 기억할 수 없으니, 첫째는 전념에 떠오른 상을 잘 취하지 못하는 것[不善取前相)이고, 둘째는 무상사방편(無相似方便)이고, 셋째는 기억한 것을 잊어버리기 때문이다[失所念]”라고 하였다.
【문】 색계의 수혜(修慧)도 잊어버리고 다시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있는가?
【답】 몸이 미미하고 나약하기 때문에 마음이 미미하고 나약하며, 마음이 미미하고 나약하기 때문에 기억했던 것을 잊어버리고 기억하지 못한다.
【문】 누가 잊어버리고 기억하지 못하는가?
【답】 성인(聖人)과 범부(凡夫)가 모두 잊어버린다. 성인의 경우 수다원(須陀洹)ㆍ사다함(斯陀含)ㆍ아나함(阿那含)ㆍ아라한(阿羅漢)ㆍ벽지불(辟支佛)도 또한 기억했던 것을 잊어버리고 다시 기억하지 못하는데, 오직 여래(如來)만이 기억해서는 잊어버리지 않으신다.
【문】 어떻게 아는가?
【답】 경에서 설하기를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시되, 가령 모든 비구 대중이 백 년 동안 나를 평상에 앉히거나 눕혀서 올려놓고 행하면서 여래의 무상지변(無上之辯)에 퇴실(退失)함이 있다고 하면 이것은 옳지 않은 것이니, 마치 네 가지 궁(弓)의 비유와 같느니라.……(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라고 하셨는데, 이 때문에 여래는 잊어버림이 없음을 알 수 있다.
025_0424_b_05L以何等故一人前後二心不俱生何以作此論答曰此是傍生論以者何前說二心不得展轉相因以故無有一人前後二心俱生故有是說未說所以今欲說之故作此以何等故一人前後二心不俱生答無第二次第緣此說心心數法依次第緣生未來世法依現在世法和合則生不和合則不生現在若與未來次第則生不與次第則不生有說者以何等故一人前後二心不俱生乃至廣說答曰衆生法爾一一心次第生不得有二所以者何無第二次第緣故復有說者此說前如兩鞅相繫以何等故無第二次第緣衆生一一心次第生不得有二何等故衆生一一心次第生不得有答曰無第二次第緣是名展轉更相答義如現在有一次第緣未來生一心是中應說如園中閉衆多羊門俠小喩如羊園俠小門中一一羊出彼心心法生亦復如是現在一剎那與未來剎那開次設現在世有衆多剎那者則與未來衆多剎那開次無故現在一剎那與未來一剎那開作義者說曰以何等故二心不俱答曰或有說者如命根是一剎那依命根心亦一剎那是故不俱復有說者如身根是一剎那依身根心一剎那是故不俱復有說者若二心俱生則心不可調伏如今一心猶剛强難伏何況二心復有說者若二心俱生者則一時有煩惱出要一心煩一心出要若爾者則無解無離乘如是等過復有說者若二心俱生何妨有三若有三者則三界身可一時受若三界一時受身則破界若界破一人亦是欲界亦是色界無色界若然則無解脫乃至廣說若三心俱生何妨有四若有四心則可一時受四生身若然者則壞四生一身亦是胎生亦是卵生亦是濕生亦是化生則無解脫乃至廣說復有說者若四俱生何妨有五若有五者則可一時受五道身若然者則五道壞若五道壞地獄身乃至卽是天身乃至廣說若五俱生何妨有六若有者則可一時緣六根義乃至廣說若不妨六至百千未來世中一時俱生一剎那一剎那滅若然則無未來以有未則有現在以有現在則有過去無未來則無現在若無現在則無過若無過去則無有爲若無有爲無無爲若無有爲無爲則無一切諸有如是等過不得二心一時俱生問曰如衆多數法一時生無如上等諸過若當二心如數法一時生者有何過答曰如一次第緣與未來一心和合以一心和合故衆生一一心復有說者如作觀與未來一心和以一心和合故衆生一一心生有二心俱生應有二受俱生若有二則破衆生身法若破衆生身法有二種身若有二身則有十陰以有如是過故二心不得俱生問曰次第緣體性是何答曰如波伽羅那說除過去現在阿羅漢最後心諸餘過去現在心心數法是也復有說者諸過去現在心心數法是次第緣體性問曰若然者阿羅漢最後心無次第緣義云何名次第緣耶答曰不以阿羅漢最後心過故餘心不生更有餘事故令後心不生若當生者能與次第緣問曰次第緣者有何相答曰所言體性卽是其相所言相者卽是體性一切諸法不可離體性別立其相尊者和須蜜說曰相避義是次第緣復有說者發迹相避義次第緣復有說者能生心義是次第復有說者心相續義是次第緣有說者能取義是次第緣復有說者心勢用義是次第緣尊者佛陁提婆說曰次第生心相是次第緣復有說未生剎那令剎那生是次第緣毘曇人說曰異相法令俱生是次第緣復有說者未生法似自己是次第緣已說次第緣體相未說所以以何等名次第緣答曰等無閒義是次第問曰若然者心與心作次第不與數法作次第耶數法與數法作次第不與心作次第耶答曰如說相似法沙門所說心與心作次第受與受作次第如是說者則有過所以者何欲心還與貪欲心作次第瞋恚還與瞋恚愚癡還與愚癡善還與善不善還與不善無記還與無記如是說者則無解脫涅槃如是說者好所謂心與心作次第亦與數法作次第數與數作次第亦與心作次第前心聚與後心聚作次第問曰若心與心作次則相隨順非數法耶若數法與數法作次第則相隨順非心耶答曰如說相似法沙門所說心隨順心法隨順數法評曰不應作是說作如是說者好所謂心與數法作次第法與心作次第前心聚與後心聚作次第等無差別猶如豆聚如波伽羅那所說若法與彼法作次第或時不作次第耶答曰若彼法未生問曰此說未生爲前者耶爲後者耶爲如前法未生後法不名次第若生是次第耶復如後法未生前法不名有次若生是有次第耶如世第一法苦法忍作次第爲如世第一法未生法忍不名次第若生是次第耶復如苦法忍未生世第一法不名有次第若生是有次第耶若前法未生後法不名次第若生是次第者有心時可無心時云何可爾如入無想定盡定若一七若過一七出定心與入定心名爲次第彼第二剎那心必生所以者何若法與彼法能作次第緣無有衆生無有法無有呪術無有藥草無有佛無有辟支佛無有聲聞能遮此法使第二剎那心令不生者若然者二定則無體若當後法未生前法不名有次第若生是有次第然者則苦法忍未生世第一法不名有次第何故說未生耶或有說者作是說前法未生不名次第問曰然者有心時可爾無心時云何答曰有心時已爾無心時亦可爾其事云如入無想定滅盡定彼入定心定初剎那亦取果亦與果諸餘剎那及定心但名取果彼入定心滅在過定餘剎那及出定心其現在者與果彼不應作是說所以者何次第緣義無有異時取果異時與果卽與果時取果問曰若與果時取果有心時可爾無心時云何答曰如入無想定滅盡定彼入定心與定初一剎那取果與果彼滅在過去定餘剎那及出定心若現在前取果與果若作是說無異時取果異時與果問曰若然者過去法則有所作答曰雖過去有所作能取果與果而無有果過去世見色乃至知法無如是作事與果果可有是事復有說者後法未生前不名次第後法若生則前法名次第問曰若然者苦法忍未生世第一法不名次第耶答曰可名次第不名次第緣若苦法忍生是名次第亦名次第緣如次第次第緣次第有次第相續有相續依有依當知亦如是曰未來世中有次第緣不耶若有者諸法應未來世中已次第住修正方便則無有用所以者何聖道於未來世已有次第時到則生修正方便復何所爲復有大過何以故無有制伏貪欲生不淨觀如是亦不能制伏一切煩惱生對治觀若爾則無解脫涅槃乃至廣說若無者八分經云何如說是人十二劫不墮惡趣乃至二十劫云何知三業差別是現法報是生法報是後法報何故一切時世第一法但生苦法忍何以不生乃至盡智等諸法何故金剛喩定但生盡不生餘法答曰應作是說未來世中無次第緣問曰若無者則無前說諸過此八分經云何通答曰世尊觀過去現在以比相亦知未來世其事云何答曰世尊觀過去世見彼衆生修如是業爾所劫中不墮惡道見此衆生修如是業爾所劫中當不墮惡見諸衆生於過去世修如是業現世中受如此報見諸衆生於彼造若受生報若受後報見諸衆生於此造業若受現報若受生報若受後復有說者衆生有相是心不相應住衆生身中世尊不因禪定神通能知衆生身中有此法者爾所初中不墮惡道卽見此相知是衆生受現法報次受生報復受後報評曰不應作是說若作此說明如來唯有比相無了達智應作是說佛世尊有了達智能知未來雖未來法亂無定次如來以明淨智能知未來亂法無定次第知諸衆生造如此業經爾所劫不墮惡道受於現報次受生報受後報悉實無謬如筭數法知於穀明了無謬何況如來有自然智以何等故世第一法次生苦法忍不生乃至盡智等諸法答曰此名數定事相不定所以者何苦法忍法在於六地未知爲是何地苦法忍三根相應不知定與何根相應行於四行不知定行何行如住增上忍時地行根定剎那不定所以者何有多剎那不知生者是何剎那次第緣亦不定住世第一法時有五事定地根行次第剎那是名數定事相不定復有說者若法依前法相續生不必次第猶如外物無次第緣依於前法相續而生如牙依前種相續得生乃至果依前花相續而生內法亦爾不因次第緣依於前法相續而生苦法忍依世第一法故相續而生餘乃至盡智不依世第一法故是以不生金剛喩定亦應如是通然未來世法屬於現在若於現在和合則生若不和合不生世第一法後能生修道無有是以分別故設當世第一法與修道和合爾時則生以不與和合故是則不生如是苦法忍屬世第一法故生餘乃至盡智不屬故不生復有說者未來世中有次第緣問曰若未來世有次第緣諸法應次第住答曰未來世中有次第緣義無次第住未來世法應從何次第緣生者已定然不次第住後若生時從何緣生亦定次第住亦定猶如衆多比丘亂住一處數已定行列不定後次第住時臈數亦定行列亦定如是法未生時應屬何緣生者已定次第住不定後若生從緣生亦定次第住亦定問曰然者修正方便則無有用亦無解脫涅槃答曰一心次第略說有二種心當生所謂善與染污若修正方便善心便生染污不生若行邪方便染污便生善心不生如一種子後二種當所謂牙與爛壞若遇生牙因緣便生牙若遇爛壞因緣則生爛壞心次第生二種心亦復如是評曰作是說未來世中無次第緣所以者次第緣者是次第住法未來世中無次第住次第緣者是不亂法未來法亂復有說者若未來世有次第緣修善者常應修善不應作惡若修惡時常應作惡不應修善今現見提婆達多本欲修善而後作惡央掘魔羅氣噓惡人本欲作惡而後修善如是等因緣故知未來世無次第緣問曰以何等故色法無次第緣答曰或有說者若法定有所依定有所行定有所緣故有次第緣色法無有所無所行旡所緣是故無次第緣有說者若法是相應有所依有所行有勢用有所緣故有次第緣色法不相應無依無行無勢用無緣故無次第緣復有說者次第緣者是次第住色非次第住法或二萬劫或四萬或六萬劫或八萬劫斷絕者復有說者次第緣現在前時不亂色法現在前時亂如一時中起色界繫色現在前欲界繫不繫色現在前色界繫不繫色現在前是故尊者和須蜜說欲界增益色未滅色界增益色生尊者佛陁提婆說曰少色無閒生多多色無閒生少色彼少色無閒生多色者如空中雲少便生多如小種子生於大樹如小迦羅羅後成大人多色無閒生少色者如燒大草𧂐後生少灰以少色無閒生多色多色無閒生少色故無次第緣問曰如心數少無閒生多多無閒生少其事云答曰如無覺無觀地次生無覺有次生有覺有觀如此名少無閒生如有覺有觀地生無覺有觀次生無覺無觀如此名多無閒生少答曰不應以地定應以數法定若一受次第生二受若二受次第生一受有如上過以不生故無如上過問曰以何等故心不相應行無次第答曰或有說者若法定有所依有所行定有所緣故有次第緣心不相應行不爾色法三界繫心不相應三界繫餘如上色法說問曰以何等故說無想定滅盡定是心次第說無想天答曰或有說者亦應說而不說者當知此是有餘之說復有說若用功難得者說不用功不難得者不說復有說者若是善者說彼是無記故不說問曰以何等故無想定滅盡定是心次第而非次第緣耶或有說者若法能生心能增益心能取心是次第緣彼定生時住心使心不相續是以不作次第緣有說者此定斷心遮心行處是不相應無勢用法是以不作次第緣問曰入無想定滅盡定心出定心是其次中閒有爾許多相續定云何是次答曰此中更無餘心故得名次第猶如有人一在前行一在後來他人問言彼後來人與誰共來其人答言與某甲人次後而來彼二中閒雖有村落樹木畜生等物更無餘人故次第如是彼二心中閒雖復曠遠無餘心故得名次第問曰諸法是心次第亦是無閒耶或有是心次第非心無閒有是心無閒非心次第有是心次第亦心無有非心次第非心無閒是心次第非心無閒者除定初剎那及餘有心法諸餘定及出定心是謂心次第心無閒是心無閒非心次第者定初剎那及餘有心法生住無常是謂心無閒非心次第是心次第亦心無閒定初剎那諸餘有心法是謂心次亦心無閒非心次第非心無閒者除定初剎那及餘有心法生住無常諸餘定剎那及出定心生住無常謂非心次第非心無閒問曰諸是心次第亦是定無閒耶答曰應作四句是心次第非定無閒者謂定初剎那諸餘有心時是謂心次第非定無閒是定無閒非心次第者除定初剎那及餘有心法生住無常諸餘定及出定心生住無常是謂定無閒非心次是心次第亦定無閒者除定初剎那及餘有心法諸餘定及出定心謂心次第亦定無閒非心次第非定無閒者定初剎那生住無常及餘有生住無常是謂非心次第非定無閒觀有三種所謂別相觀摠相觀虛相別相觀者觀色是色相乃至觀識是識相觀地是堅相乃至觀風是動是名別相觀摠相觀者十六聖行是名摠相觀虛相觀者不淨安般無量除入解脫一切處是名虛相觀問曰此三種觀何觀次第能入聖道出聖道時何觀最初現在前答曰有說者入聖道時三種能入出聖道三種現在前復有說者摠相觀能入聖道出聖道時三種現在前問曰若虛想觀不入聖道此經云何通不淨觀次修念覺意答曰此說展轉相因如子孫法其事云何答曰以不淨觀善調伏心使心止息堪任質直柔軟心得自在然後摠相觀現在前能入聖道復有說者摠相觀現在前能入聖道出聖道時亦摠相觀而現在前問曰若然者若依未至依初禪若依中閒得正決定出聖道欲界摠相觀現在前可爾若依二三禪四禪得正決定彼無欲界摠相觀所以者何以大遠故復更不得摠相觀除達分善根所以者何以聖道後不能復起現在前故出聖道時爲起何等摠相觀現在前答曰於煖頂忍中閒修摠相觀所謂諸行無常無我涅槃寂靜出聖道時此觀現在前評曰不應作是說如前說者欲界有三種觀所謂聞慧思慧得慧色界有三種所謂聞慧修慧得慧無色界有二種修慧生得慧欲界有三種觀慧何等慧現在前能入聖道答曰欲界思慧觀現在前能入聖道出聖道時三種觀現在前色界修慧觀現在前能入聖道出聖道時二種修慧觀現在前非生得無色界修慧現在前能入聖道聖道時亦修慧觀現在前非生得慧問曰以何等故出聖道時欲界生得慧現在前色無色界答曰欲界生得慧猛利色無色界不猛利若依未至禪得阿羅漢出聖道時還起未至及欲界心若依無所有處得阿羅漢出聖道時還起無所有處及非非非想處心若依餘地得阿羅漢出聖道時卽起彼地心初禪有三種味淨無漏乃至無處亦三種非想非非想處二種味味相應次第生味相應及淨不生無漏淨三種無漏二種淨及無漏生味淨初禪有四種有退分住分勝進分達分乃至非想非非想處亦有四種退分次第生退分生住分不生勝進分不生達分住分次第生住分生退分生勝進分不生達分勝進分次第生勝進分生住分生達分不退分達分次第生達分生勝進分不生住分退分復有說者退分次第生種不生達分住分勝進分盡生種達分次第生三種除退分問曰若坐二禪三禪四禪地欲入初禪識現在前幾種觀現在前答曰隨所住地未離欲者三種觀現在前所謂善不隱沒無記出時亦三種現在前若離欲二種有十二種心欲界繫四不善隱沒無記不隱沒無記界繫三種隱沒無記不隱沒無記無色界繫亦三種無學心問曰界繫善心次第生幾心復從幾心次第生乃至無學心次第生幾心復從幾心生答曰欲界繫善心次第生九欲界繫四色界繫二隱沒無記無色界繫一隱沒無記無學亦從八心次第生欲界繫四色界二善隱沒無記無學不善心次第生欲界四心亦從十心次第生欲界繫四界繫三無色界繫三隱沒無記心亦如是欲界繫不隱沒無記心次第生七心欲界四色界二隱沒無記無色界一隱沒無記亦從五心次第生界四色界一善心色界繫善心次第生十一心除無色界繫不隱沒無記餘次第能生亦從九心生自地三欲界二不隱沒無記無色界二隱沒無記無學心色界繫隱沒無記心次第生六心色界繫三欲界三除不隱沒無記心亦從八心次第生色界三欲界二不隱沒無記無色界三色界繫不隱沒無記心次第生六心色界三欲界二不善隱沒無記無色界一隱沒無記亦從色界三心次第生無色界善心次第生九心色界三欲界二不善隱沒無記色界繫二隱沒無記無學心亦從六心次第生無色界三色界一善心無學心無色界繫隱沒無記心次第生七心無色界三欲界二不善隱沒無記色界二隱沒無記亦從七心次第生無色界三欲界二不隱沒無記色界二不隱沒無記無色界繫不隱沒無記心次第生六心無色界欲界二不善隱沒無記色界一沒無記亦從無色界三心次第生心次第生五心欲界善色界善無色界善無學心亦從四心次第生界善色界善無色界善學心無學心次第生四心欲界善色界善無色界無學心亦從五心生欲界善色界無色界善無學心九八四與十 七五當知欲 十一九六八六三當知色 九六七亦七 六三知無色五四亦四五 當知學無學有二十種心欲界有八心方便善心生得善心不善心隱沒無記心威儀工巧心報心通果心色界有六心方便善心生得善心隱沒無記心儀心報心通果心無色界有四心便善心生得善心隱沒無記心報心無漏有二心學心無學心問曰欲界方便善心次第生幾心亦從幾心次第生乃至無學心次第生幾心亦從幾心生答曰欲界方便善心次第生十心欲界七除通果心色界一方便善心學心無學心亦從八心次第生欲界四方便善生得善不善隱沒無色界二方便善隱沒無記無學欲界生得善心次第生九心欲界七除通果心色界隱沒無記心無色界隱沒無記心亦從十一心次第生界七除通果心色界二方便善隱沒無記無學不善心次第生欲界七除通果心亦從十四心次第生界七除通果心色界四生得善隱沒無記威儀無色界三除方便善沒無記心亦如是欲界威儀心次第生八心欲界六除方便善通果心界一隱沒無記心無色界一隱沒無記心亦從七心次第生欲界七除通果心報心亦如是工巧心次第生六除方便善通果心亦從七心次第生欲界七除通果心欲界通果心次第生二心欲界通果色界方便善心亦從二心次第生欲界通果色界方便善心色界方便善心次第生十二色界六欲界三方便善生得善果心無色界一方便善無學心從十心次第生色界四除威儀心欲界二方便善通果心無色界二方便善隱沒無記無學心色界生得善次第生八心色界五除通果心欲界二不善心隱沒無記無色界一隱沒無記心亦從色界五心次第生除通果心色界隱沒無記心次第生心色界五除通果心欲界四方便善生得善不善隱沒無記亦從十一心次第生色界五除通果心欲界三得善威儀報心無色界三除方便善色界威儀心次第生七心色界四除方便善通果心欲界二不善隱沒無記心無色界一隱沒無記心亦從五心次第生色界五除通果心報心亦如是色界通果心次第生色界二方便善通果心亦從二心次第生色界方便善通果心無色界方便善心生七心無色界四色界一方便善學無學心亦從六心次第無色三除報心色界一方便善學無學心無色界生得善次第生七心無色界四欲界二不善隱沒無記色界一沒無記心亦從無色界四心次第生無色界隱沒無記心次第生八心無色界四欲界二不善隱沒無記心色界二方便善隱沒無記心亦從十心次第生無色界四欲界三生得善威儀報心色界三生得善威儀報心無色界報心次第生六心無色界三除方便善欲界二不善隱沒無記心色界一隱沒無記心亦從無色界四心次第生學心次第生六心欲界二生得善方便善色界一方便善心色界一方便善心無學心亦從四心次第生欲界一方便善心色界一方便善心無色界一方便善心學心無學心次第生五心欲界二方便善生得善心色界一方便善心無色界一方便善心無學心亦從五心次第生欲界一方便善心色界一方便善心無色界一方便善心無學心十八次生九 十一生於七 十四亦生八七六及與七 二生二欲盡 十二十八五九十一七五 二二當知色 七六七四八十六四無色 六四亦五五 當知學無學以何等故如人不可得乃至廣說問曰何故作此論答曰爲止他人意故有說者有人以有人故憶本所作有說者物性相入相入論者作如是一切有爲法有二分若晝若夜晝入夜中晝時夜入晝中所以者如夜中所作晝則憶之以夜入晝惠巳中故如晝中所作夜則憶之以晝夜中故是故憶本所作或有說者物性變物性變論者作如是說迦羅變作阿浮陁乃至中年變作老年是故憶本所作如婆咤樹葉靑變爲黃彼亦如是或有說者物性往來往來論者作如是說迦羅羅來至阿浮陁住故乃至廣說以是事故憶本所作問曰物性變論往來論有何差別曰物性變論言迦羅羅變作阿浮往來論言迦羅羅來至阿浮陁住俱增長故或有說者覺是一性所知覺卽是前所作覺或有說者意界是常以意界常故憶本所作或說者有根本陰有客陰客陰所作根本陰能知以是故能憶本所作或有者前心往後心語後心我作如是事是故憶本所作恒河沙數諸佛及佛弟子不作此論言有人不言物相入不言物性變不言物性往來不言覺性是一不言意界常不言有根本陰客陰不言前心往後心然能憶本所作如此事微細甚深難知爲顯如此微細甚深難知法故而作此論問曰以何等故唯說如人不可得前心不住後心言我有所作而能憶本所作答曰應如是說以何等故人不可得物性不相入物性不變物性不往來覺性不一意界不常陰性無根本無客陰前心不往後心而能憶本所作而不說者欲現始終略其中閒令經文易故若說如人不可得則止有人者意前心不往後心則止往來者意前心後心則止其餘諸論者意答曰衆生之法得如是相似習智問曰前言無人今何以言衆生答曰欲令所說與法體相順故所以者若不言衆生但言法法於義雖順於文不便若言衆生文義俱順以是故說於衆生復有說者前說實義今假名衆生之法得如是相似習智習智者是決定是修習是自在義本所者隨其本事本事者如其性如其體如其相如其物復有說者應言憶本共作云何共作如本所見曾所更復有說者應言憶本作事云何本作隨本形色本所爲欲明憶本所作義故而作此論喩如能書者乃至廣如能書者不至彼能書者所問言汝作何字彼亦不答我作是字然能書者得如此所習智自所作字亦知他所作字亦知乃至海外書來亦能讀知如是前心不往後心然後心能憶本所作復欲重明此義故更作喩如二知他心展轉相緣此亦不問彼汝思何事彼亦不答我思此事乃至百由旬外二心而能相知如是前心不至後心後心而能憶本所念復次諸心心數法於所緣定問曰於何法定言定耶爲於眼入定爲於色定爲於剎那定答曰或有說者眼入定不於色定剎那定也所以者未生心心數法甚多云何於眼入答曰如眼識於色定其餘諸識各於自境界定若眼與靑色和合則生靑識若與餘色和合則生餘識問曰若然者便有二心知靑色心則異知黃色等心復違識身經文如說過去眼識爲緣過去法緣現在法緣未來得伊法耶答曰緣過去法不緣現在未來有說者於眼入定色定於剎那定所以者何未生心心數法甚多云何於色定答曰若緣靑色則生靑識餘則不生緣黃等色亦復如是問色衆多有靑莖靑枝靑葉靑花靑若緣靑莖識云何不耶卽是緣靑靑葉靑花靑果識耶評曰應作說於三法定問曰若然者未生心心數法則多答曰未生法多復有何過未來世竟無住處耶先已有住處故問曰若心心數法於緣定於所依定耶答曰於所依亦定其事云何如未來心心數法於所依則遠若生在前與所依則俱若滅則遠所依有說者未生心心數法於所依遠現在前則俱若滅俱滅問曰若心心數法於所緣所依定者彼於何時能所緣爲於生時爲於滅時若以生時生時是未來云何未來能有所作若以滅時滅是壞散衰退之法云何壞散衰退之時能有所緣評曰應作是說滅時能緣非是生時所以者何未生法是未來未來法不能有所作滅時名現在現在法能有所作問曰若然者云何以壞散衰退之法能有所作答曰一切有法皆爾體性羸劣屬衆因緣不得自在若心心數法於依所緣和合能有所緣未來世依及境界散亂如未來過去亦爾現在則衆緣和合若當現在不能緣境界者則畢竟無緣境界義問曰若心心數法於所緣所依定者此中何以但說所緣不說所依答曰此中說所念事不說所依若有所念必依所緣用所依如一境界則爲衆多心心數法所緣如前一心緣已後衆多心亦緣猶如一人而有百子若一子念父餘子亦念彼一境界爲多心所緣亦復如是問曰若所更事異所念事異云何不提婆達多所更延若達多能憶若延若達多所更提婆達多能憶答曰婆達多身異延若達多身異憶本所作者身則不異復有說者如提婆達延若達多心不得展轉爲因憶本所作前爲後因復有說者若心相續若身相續能憶本所作提婆達多若達多心不相續身不相續問曰心相續者何以先見一牛後見餘牛言是本牛答曰曾所更事要當相似爾乃識之先所見牛雖復曾更而與後牛不相似故是以不識若前牛與後牛相似爾乃可識前所更意必當有力後不失念而能憶本所作先生心聚以意名說後生心聚以念名說以前意有勢力故令後念憶本所作不失念者所謂不狂心不亂不爲苦痛所逼是也有二種心一同行心二同緣心苦法苦比忍苦比智是名同行心不名同緣心集法忍集法智是名同緣心不名同行心苦法智亦名同行心名同緣心其餘心亦不同行亦不同同行心所更事同緣心能憶同緣心所更事同行心能憶有三種心不善無記若善心所更事不善記心能憶不善無記心亦如是復有四種心不善隱沒無記不隱沒無如善心所更事四種心能憶乃至不隱沒無記心所更事四種心能憶復有四種心從因緣生心從次第緣生心從境界緣生心從威勢緣生心若一心曾所更事四心盡能憶復有五種心見苦所斷心乃至修道所斷若見苦所斷心所更事五種心能見集所斷修道所斷亦如是見滅所斷心所更事四種心能憶除見道所斷心道亦如是除見滅所斷心有六種心所謂六識若六識所更事意識能憶復有十二種心欲界善心不善心隱沒無記心不隱沒無記心色界三種除不善無色界亦如是無學心如十二種心有相似十二法十二念如欲界善心所更法十二念盡能憶不善亦如是隱沒無記心所更法有八種念能憶欲界四色界不隱沒無記無學欲界不隱沒無記亦如是色界善心所更法十二種念能憶色界隱沒無記心所更法十種念能憶除欲界隱沒無記不隱沒無記色界不隱沒無記心所更法十種念能憶除無色界隱沒無記隱沒無記無色界善心所更法十種念能憶除欲界隱沒無記不隱沒無無色界隱沒無記心所更法九種念能憶欲界善不善色界善隱沒無無色界三種無學不隱沒無記亦如是學心所更法十二種念能憶無學心亦如是如經說尊者舍利弗作如是言諸長老若不壞意內入照了外入法能生正觀現在前則意識生彼云何壞意答曰壞有三種所謂須臾壞命終究竟壞須臾壞者若入無想定盡定是名須臾壞命終壞者如斷善根壞善意如凡夫人離欲乃至命終時壞不善意究竟壞者如苦比智生苦諦所斷意究竟壞乃至道比智生見諦所斷意究竟壞住不退法斯陁含見諦所斷意及欲界修道所斷六種意究竟壞住不退法阿那含一切見諦所斷意欲界修道所斷染污意究竟壞住不退法阿羅漢一切染污究竟壞以何等故所念事忘而復憶答曰生之法心相似次第生知見者有三種相似所謂方便相似境界相似順相似云何方便相似如人讀修多羅而後忘失後懃方便還復通利阿毘曇懃方便亦如是先修不淨觀而後忘失後懃方便隨其境界現在前安般觀界方便亦如是曾聞有婆羅門子讀違陁經而後忘失欲通利盡其方便而猶不能往詣師所而問之言本所讀經今悉忘失欲通利雖懃方便猶故不能今當云其師問言汝本讀時云何而讀子答言初讀經時手則索繩口誦經師告之言當如先法還讀誦之子如教後便通利是名相似方便何境界相似如於此處見河池山林經行住處後至異處若見如先事者還復憶念本所見事是名境界相似云何隨順相似如得隨順飮食方土住處說法同行之人則能憶本所作曾聞有一比丘讀誦阿含而後忘失雖懃方便猶故不能還得通利往詣大德阿難所作如是言本讀阿含而今忘失雖懃方便猶故不能還令通今當云何阿難語言可求多油入浴室中以用塗身煖水洗浴加求隨順飮食方土住處說法同行之人如其言具諸方便卽還通利是名隨順相似云何次第彼相續不斷是名次第復有說者次第者不相續心還令相續無能遮止不爲對治所壞所更意力强而不失念者前生心聚以意名說後生心聚以念名說前心有力故能令後心憶本所作不失念不狂不心亂不爲苦痛所逼尊者和須蜜說曰以三事故所念事忘而復憶一者善取前相二者有相似方便三者不失念以何等故先所念事忘而不憶答曰衆生之法心不相似次第生心知見有三種不相似所謂方便不相似境界不相似隨順不相似云何方便不相似如人讀修多羅而後忘失讀毘尼阿毘曇亦復忘失先修不淨觀後復忘失復修安般觀界方便復忘失是名方便不相似云何境界不相似本曾見河池山林經行住處如是等事後至異處不見如是等事於前所見更不復憶是名境界不相云何隨順不相似若不得隨順飮方土住處同行之人於前所作永不復憶是名隨順不相似不次第者不相續斷絕是名不次第亦所更意力弱而失所念者彼前生心聚以意名說後生心聚以念名說前心弱故不能令後心憶本所作失念者若狂心亂爲苦所逼尊者和須蜜說曰三事故前所念事忘而不憶一者不善取前相二者無相似方便三者失所念問曰色界修慧亦有忘而不憶耶亦有以身羸弱故心亦羸弱心羸弱故所念事忘而不憶誰有此忘而不憶耶答曰聖人凡夫俱有聖人者須陁洹斯陁含阿那含阿羅漢辟支亦於所念事忘而不憶唯有如來憶而不忘何以知之如經說佛告舍利假使諸比丘衆於百年中若以坐牀臥牀輿我而行若當如來無上智而有退失無有是處如持四弓喩乃至廣說以是事故知如來無忘
阿毘曇毘婆沙論卷第六
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
  1. 1)태생(胎生, jarāyuja)ㆍ난생(卵生, aṇḍaja)ㆍ습생(濕生, saṃsvedaja)ㆍ화생(化生, upapāduka)의 네 가지를 말한다.
  2. 2)어떤 사물의 인적(因的)인 요소가 현재에 미래의 결과를 취하는 인(因)이 되어서 그 각각의 과(果)를 취할 수 있도록 정해진 것을 취과(取果)라 하고, 인이 그 과를 현재에 실제로 과로서 냄으로써 현실화하는 것을 여과(與果)라고 한다.
  3. 3)범어로는 kṣaya-jñāna. 4성제의 완성을 아는 지혜로, 곧 ‘괴로움은 이미 알려졌으며, 그 원인은 끊어졌고 적멸의 경지는 체득되었고 그리로 가는 길은 이미 수습되었다’고 아는 지혜이다. 유부에서는 세속지(世俗智)ㆍ법지(法智)ㆍ유지(類智)ㆍ고지(苦智)ㆍ집지(集智)ㆍ타심지(他心智)ㆍ진지(盡智)ㆍ무생지(無生智)의 10지를 말한다.
  4. 4)범어로는 svayaṃbhu-jñāna. 부처님의 일체지(一切智)를 말한다.
  5. 5)범어 Kalalam의 음역. 태내오위(胎內五位)의 하나로, 탁태(托胎)한 최초의 7일간을 말한다.
  6. 6)범어로는 vyāpāra. ‘작용’ 혹은 ‘공과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7. 7)범어로는 durlabha 혹은 sudurlabha. ‘획득하기 어려운 것’을 의미한다.
  8. 8)견도(見道)ㆍ수도(修道)ㆍ무학도(無學道)의 세 가지 도를 말한다.
  9. 9)대비바사론에 의하면, 이는 독자부(犢子部)의 주장이다.
  10. 10)범어 arbuda의 음역. 태내 5위의 하나로, 탁태한 뒤 제2의 7일간을 말한다.
  11. 11)원문에는 없는 내용이나, 대비바사론에 의거하여 질문의 내용을 첨가한다.
  12. 12)대비바사론에서는 ‘도장새기는 이[造印者]’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