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26_0484_b_01L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64권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김석군 개역


2. 결온(結蘊)

3) 유정납식 ②
욕계에 태어난 성자에게는 세 가지 일로써 목숨을 마치는 것이 있다.290) 첫째는 완전히 염(染)을 여의고서 목숨을 마치는 것이요, 둘째는 완전히 물러나면서 목숨을 마치는 것이며, 셋째는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치는 것이다. 이생은 다만 두 가지 일만으로 목숨을 마치는 것이 있다. 첫째는 완전히 염을 여의고 목숨을 마치는 것이요, 둘째는 완전히 물러나면서 목숨을 마치는 것이다.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치는 것은 없다.

색계에 난 성자에게는 두 가지 일로써 목숨을 마치는 것이 있다. 첫째는 완전히 염을 여의고 목숨을 마치는 것이요, 둘째는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치는 것이다. 물러나는 것은 없으니 색계와 무색계에는 물러난다는 뜻이 없기 때문이다.291)
이생에게는 다만 한 가지 일로써 목숨을 마치는 것이 있을 뿐이니 완전히 염을 여의는 것이다. 거기에는 물러나는 일이 없기 때문이며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무색계에 난 성자와 이생에 있어서도 그러한 줄 알아야 한다.
【문】무엇 때문에 성자는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치는 일이 있고 이생은 그렇지 않은가?292)
【답】 모든 성자에게는 무루의 선정293)이 있어서 맡아 지녀 상속하는지라 지극히 견고하게 되지만 이생은 다만 세속의 모든 선정만이 있어서 맡아 지녀 상속하므로 지극히 견고하지 않다.
또 성자는 훌륭한 사마타(奢摩他)와 비발사나(毘鉢舍那)를 성취하지만 이생은 그렇지 못하다.
또 성자는 무루도의 힘을 성취하여 하는 일이 뜻대로 되지만 이생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성자는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친다는 뜻이 있지만 이생에게는 곧 그런 것이 없다.
어떤 이는 이렇게 말한다.
“모든 성자는 세 가지 힘을 갖추기 때문이니 첫째는 성도(聖道)의 힘이요, 둘째는 번뇌의 힘이며, 셋째는 정업(定業)의 힘294)이다. 정업의 힘 때문에 완전히 염을 여의고 목숨을 마친다는 뜻이 있고,

번뇌의 힘 때문에 완전히 물러난 뒤에 목숨을 마친다는 뜻이 있으며, 성도의 힘 때문에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친다는 뜻이 있다.
이생에게는 다만 두 가지 힘이 있을 뿐이니 번뇌의 힘과 정업의 힘이며 성도의 힘은 없다. 정업의 힘 때문에 완전히 염을 여의고 목숨을 마친다는 뜻이 있고, 번뇌의 힘 때문에 완전히 물러나면서 목숨을 마친다는 뜻이 있으며, 성도의 힘이 없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친다는 뜻이 없다.”
어느 다른 논사는 또 이렇게 말한다.
“성자에게는 세 가지 힘이 있다. 첫째는 도의 힘이요, 둘째 번뇌의 힘이며, 셋째 정업의 힘이다. 도의 힘으로 말미암아 완전히 염을 여의고 목숨을 마치는 것이 있고, 번뇌의 힘으로 말미암아 완전히 물러나면서 목숨을 마치는 것이 있으며, 정업의 힘으로 말미암아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치는 것이 있다. 만일 완전히 염을 여읜다 하면 이 지(地)의 생(生)에서 비택멸(非擇滅)을 얻기 때문에 결정코 업을 받는 데 곧 과보를 주지 않는다. 이로 말미암아 정업(定業)은 방해가 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치는 이가 있는데 마치 가가(家家) 등과 같다.
이생에게는 다만 두 가지 힘이 있을 뿐이니 도의 힘과 번뇌의 힘이며 정업의 힘은 없다. 도의 힘으로 말미암아 완전히 염을 여의고 목숨을 마치는 것이 있고, 번뇌의 힘으로 말미암아 완전히 물러나면서 목숨을 마치는 것이 있으며, 정업의 힘은 없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치는 것은 없다. 설령 완전히 염을 여읜다 해도 도로 이 지(地)에 난다는 뜻이 있기 때문에 결정코 업을 받는 데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혹 어떤 이는 이렇게 말한다.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는 지위에서 성자의 보특가라를 따로 세우는 것이 있다. 욕계의 3ㆍ4품의 염을 여읜 이를 따로 가가(家家)라고 세우고, 6품의 염을 여읜 이를 따로 일래(一來)라고 세우며, 7ㆍ8품의 염을 여읜 이를 따로 일간(一間)이라고 세운다.
이 때문에 성자에게는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친다는 뜻이 있지만 이생에게는 결정코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는 지위에서 성자와 같이 따로 보특가라를 세우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그에게는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친다는 뜻이 없다.”
또 어떤 이는 “성자는 선정에 자재한 힘이 있기 때문에 염을 여읠 때에는 적은 부분을 여의면서도 목숨을 마치는 이가 있지만 이생은 선정에 자재한 힘이 없기 때문에 염을 여읠 때에는 적은 부분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치는 이가 없다”라고 말한다.
승가벌소(僧伽筏蘇) 존자는 “이생도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는 지위에서 목숨을 마치는 이가 있으나 목숨을 마친 뒤에 결생(結生)의 마음일 때에 먼저 끊은 결(結)을 반드시 도로 성취한다”라고 말씀하셨다.
【評】 그는 그렇게 말해서는 안 된다. 그는 목숨을 마칠 때 마음의 세력이 하열하기 때문에 먼저 끊은 결을 다시 성취하게 된 것이기 때문에 앞의 설이 이치로 보아 옳다 하겠다.
【문】세속의 도[世俗道]로써 모든 염을 여읠 때 무간도(無間道)와 해탈도(解脫道)에는 몇 가지 행상(行相)이 있는가?295)
【답】 모든 무간도에는 세 가지 행상296)이 있으니 첫째는 추(麤)의 행상이요, 둘째는 고(苦)의 행상이며, 셋째는 장(障)의 행상이다. 모든 해탈도에도 세 가지 행상이 있으니 첫째는 정(靜)의 행상이요, 둘째는 묘(妙)의 행상이며, 셋째는 이(離)의 행상이다.

【문】무간도에서 어느 행상이 뒤에 해탈도의 어느 행상을 일으키는가?
【답】 어떤 이는 “추의 행상의 무간도로부터 그 뒤에 정의 행상을 일으켜 해탈도가 되고, 고의 행상의 무간도로부터 그 뒤에 묘의 행상을 일으켜 해탈도가 되며, 장의 행상의 무간도로부터 그 뒤에 이의 행상을 일으켜 해탈도가 된다”라고 말한다.
어느 다른 논사는 “추의 행상의 무간도로부터 그 뒤에 묘의 행상을 일으켜 해탈도가 되고, 고의 행상의 무간도로부터 그 뒤에 정의 행상을 일으켜 해탈도가 되며, 장의 행상의 무간도로부터 그 뒤에 이의 행상을 일으켜 해탈도가 된다. 추(麤)와 묘(妙), 고(苦)와 정(靜), 장(障)과 이(離)는 상대가 되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評】 이 일은 일정하지 않다. 추의 행상의 무간도로부터 그 뒤에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을 일으켜서 해탈도가 될 수 있고, 고의 행상의 무간도로부터 그 뒤에 묘 등의 세 가지 행상을 일으켜서 해탈도가 될 수 있으며, 장의 행상의 무간도로부터 그 뒤에 이 등의 세 가지 행상을 일으켜서 해탈도가 될 수 있다. 이 여섯 가지 유루(有漏)의 행상은 염을 여의는 이가 좋아하는 바를 따라 일으키기 때문이다.
【문】세속의 도로써 모든 염을 여읠 때 무간도와 해탈도는 각각 어느 지(地)를 반연하는가?297)
【답】 욕염(欲染)을 여읠 때의 9무간도는 오직 욕계만을 반연할 뿐이며 9해탈도는 초정려를 반연한다.
【문】만일 그렇다면 근온(根蘊)에서 말한 것과는 잘 통한다. 거기에서 “혹시 색계의 법을 사유(思惟)하면서도 욕계를 두루 알 수 있는 것이 있는가? 있다”라고 한 것과 같으니 그 뜻은 단변지(斷遍知)를 말한다.

어떻게 2도(道)의 소연(所緣)과 행상(行相)이 뒤섞여 어지럽지[雜亂] 않는가? 만일 이 2도의 소연과 행상이 뒤섞여 어지럽다면 염을 여의는 일에 어떻게 장애와 방해가 되지 않는가?
【답】 이와 같은 2도의 소연과 행상이 비록 뒤섞이고 어지럽다 하더라도 염을 여의는 일에 있어서는 장애나 방해가 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는 염을 여의는 모든 지름길을 이미 잘 닦아 익혀서 가행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마치 견도(見道)298)에서 욕계를 반연하는 인지(忍智) 뒤에 유정(有頂)을 반연하는 인지가 앞에 나타나 있고, 유정을 반연하는 인지 뒤에 욕계를 반연하는 인지가 앞에 나타나 있어서 비록 소연과 행상이 뒤섞여 어지럽다 하더라도 현관(現觀)의 일에 있어서는 장애나 방해가 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그는 현관의 모든 지름길을 이미 잘 닦아 익혀서 가행을 이루었기 때문이니 이것도 그와 같아서 허물이 없다.
어떤 이는 “욕염을 여읠 때에 9무간도와 8해탈도는 모두가 욕계를 반연하고 맨 뒤의 해탈도만이 초정려를 반연한다. 마치 멸도지(滅道智)로써 비상비비상처의 염을 여읠 때에 9무간도와 8해탈도는 모두 멸ㆍ도를 반연하고 최후의 해탈도는 비상비비상처의 유루의 4온(蘊)을 반연하는 것처럼 이것도 그와 같다”라고 말한다.
어느 다른 논사는 이렇게 말한다.
“욕염을 여읠 때에 혹은 그쳐 쉬는[止息] 것이 없기도 하고 혹은 그쳐 쉬는 것이 있기도 하다. 그쳐 쉬는 것이 없다 함은 9무간도와 8해탈도는 모두 욕계를 반연하고 최후의 해탈도는 초정려를 반연하는 것을 말하며, 그쳐 쉬는 것이 있다고 함은 혹은 1품을 여의면서 곧 그쳐 쉬기도 하고, 혹은 2품을 여의면서 곧 그쳐 쉬기도 하며, 이렇게 하여 혹 8품을 여의면서 바야흐로 곧 그쳐 쉬기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만일 1품을 여의면서 곧 그쳐 쉬게 되면 그 무간도는 욕계를 반연하고 해탈도는 초정려를 반연하며, 만일 2품을 여의면서 곧 그쳐 쉬면 그 2무간도와 1해탈도는 욕계를 반연하고 제2해탈도는 초정려를 반연한다. 이렇게 하여 이에 8품을 여의면서 바야흐로 그쳐 쉬기에 이르면 그 8무간도와 7해탈도는 모두 욕계를 반연하고 제8해탈도는 초정려를 반연한다.”
혹 어떤 이는 “욕염을 여읠 때의 9무간도와 9해탈도는 모두 욕계를 반연하는 것이니, 마치 고집지(苦集智)로써 욕염을 여읠 때의 9무간도와 9해탈도는 모두 욕계를 반연하는 것처럼 이것도 그와 같다”라고 말한다.
【문】만일 그렇다면 비록 무간도와 해탈도의 소연(所緣)과 행상(行相)에는 뒤섞이거나 어지러운 허물은 없다 하더라도 근온(根蘊)에서 말한 것은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거기에서 “혹시 색계의 법을 사유(思惟)하면서 욕계를 두루 알 수[遍知] 있는 것이 있는가? 있다”라고 한 것과 같으니 그 뜻은 단변지를 말한다.
【답】 근온에서는 가까운[近] 가행(加行)에 의거하여 말한다. 수행하는 이가 장차 욕염을 여의려고 하면서 먼저 ‘욕계는 괴롭고[苦] 거칠고[麤] 장애[障]이며, 초정려는 고요하고[靜] 미묘하고[妙] 여읨[離]이다’라고 분별하면서 사유하게 된다.
【문】만일 그렇다면 근온에서 뒤에 논한 설[後說]은 다시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거기에서 “혹시 무색계의 법을 사유하면서 욕계를 두루 알 수 있는 것이 있는가? 없다”라고 한 것과 같으니 그 뜻도 단변지를 말한다.
그런데 어찌 수행하는 이가 장차 욕염을 여의려고 하면서 먼저 ‘욕계는 괴롭고 거칠고 장애이며, 무색계는 고요하고 미묘하고 여읨이다’라는 이런 분별을 일으키면서 사유하지 않겠는가?
【답】 비록 이런 분별을 일으키면서 사유한다 하더라도 먼[遠] 것이지 가까운 것이 아니므로 무색계를 사유한 뒤에 곧 욕염을 여의는 도를 이끌어 내는 것은 아니지만, 색계를 사유하는 것은 가까운 가행이므로 곧 욕염을 여의는 도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그 두 설(說)이 서로 어긋나는 것은 아니다.
또 어떤 이는 “욕염을 여읠 때의 9무간도와 9해탈도는 모두 초정려를 반연한다”라고 말한다.
【문】만일 그렇다면 근온에서 말한 것은 잘 회통한다. 거기에서 “혹시 색계의 법을 사유하면서 욕계를 두루 알 수 있는 것이 있는가? 있다”라고 하였으니 그 뜻은 단변지를 말한다.
또 두 가지 도[二道]의 소연과 행상에 뒤섞여 어지러운 허물이 없는데 어찌 다른 지[他地]를 반연하면서 그 밖의 지(地)의 염을 여읠 수 있는가?
【답】 여기에도 허물은 없다. 마치 멸도지(滅道智)의 모든 염을 여읠 때에 비록 멸ㆍ도를 반연한다 하더라도 고ㆍ집(苦集)을 끊는 것처럼 이것도 그와 같다.
【評】 이 같은 모든 설(說)은 비록 저마다 제자들의 각혜(覺慧)는 낼 수 있다 하더라도 맨 처음의 설이 이치로 보아 옳다 하겠다. 9무간도는 모두 욕계를 반연하고 9해탈도는 모두 초정려를 반연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세속의 도(道)로써 욕염을 여읠 때에는 아래는 싫어하고 위는 좋아해야 비로소 여읠 수 있기 때문이다. 욕염을 여의는 것과 같이 위의 7지(地)의 염을 여의는 것도 그러한 줄 알아야 한다.
【문】세속의 무간도와 해탈도의 하나하나에서는 몇 가지의 행상(行相)을 닦게 되는가?
【답】 모든 이생(異生)인 이가 욕염을 여의는 때에 9무간도에서는 세 가지 행상을 닦으니 고(苦)ㆍ추(麤)ㆍ장(障)이요, 8해탈도에서는 여섯 가지 행상을 닦으니 고ㆍ추ㆍ장과 정(靜)ㆍ묘(妙)ㆍ이(離)이다. 최후의 해탈도에서는 곧 이 여섯 가지 행상도 닦고 또한 미래의 초정려 지(地)의 끝없는[無邊] 행상도 닦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서 무소유처의 염을 여의는 데에 이르기까지 그 알맞은 바에 따라 역시 그러한 줄 알아야 한다.
만일 모든 성자가 욕염을 여읠 때에 9무간도에서는 열아홉 가지 행상을 닦으니 추(麤) 등의 세 가지와 유루ㆍ무루의 열여섯 가지 성스러운 행상이요, 8해탈도에서는 스물두 가지 행상을 닦으니 추 등의 세 가지와 정(靜) 등의 세 가지와 유루ㆍ무루의 열여섯 가지 성스러운 행상이며, 맨 뒤의 해탈도에서는 곧 이 스물두 가지 행상도 닦고 또 미래의 초정려 지의 끝없는 행상도 닦는다.
곧 모든 성자가 초정려의 염을 여의는 때에 9무간도에서는 열아홉 가지 행상을 닦으니 추 등의 세 가지와 오직 무루만의 열여섯 가지 성스러운 행상이요, 8해탈에서는 스물두 가지 행상을 닦으니 추 등의 세 가지와 정 등의 세 가지와 오직 무루만의 열여섯 가지 성스러운 행상이며, 맨 뒤의 해탈도에서는 곧 이 스물두 가지 행상도 닦고 또 미래의 제2 정려 지의 끝없는 행상도 닦는다. 이와 같이 하여 이에 무소유처의 염을 여의기에 이르기까지 그 알맞은 바에 따라 역시 그러한 줄 알아야 한다.
【문】무엇 때문에 초정려의 근분(近分)에서는 유루ㆍ무루의 열여섯 가지 성스러운 행상을 모두 다 닦으면서 상지(上地)의 근분에서는 오직 무루의 것만을 닦는가?
【답】 초정려의 근분에서는 성스러운 행상이 있기 때문에 유루ㆍ무루의 열여섯 가지 성스러운 행상을 모두 다 닦지만 상지의 근분에는 성스러운 행상이 없기 때문에 오직 무루의 행상만을 닦을 뿐이다.
어떤 이는 이렇게 말한다.
“모든 이생인 이가 욕염을 여의는 때에 9무간도에서는 아홉 가지 행상을 닦으니 추(麤) 등의 세 가지와 자ㆍ비ㆍ희ㆍ사와 부정관(不淨觀)과 지식념(止息念)이요, 8해탈도에서는 열두 가지 행상을 닦으니 앞의 아홉 가지와 정(靜) 등의 세 가지이며, 맨 뒤의 해탈도에서는 곧 이 열두 가지의 행상도 닦고 또 미래의 초정려 지(地)의 끝없는 행상도 닦는다.
만일 모든 성자가 욕염을 여의는 때에 9무간도에서는 스물다섯 가지 행상을 닦으니 추 등의 세 가지와 자ㆍ비ㆍ희ㆍ사와 부정관ㆍ지식념과 유루ㆍ무루의 열여섯 가지 성스러운 행상이요, 8해탈도에서는 스물여덟 가지 행상을 닦으니 곧 앞의 스물다섯 가지와 정(靜) 등의 세 가지이며, 맨 뒤의 해탈도 에서는 곧 이 스물여덟 가지 행상도 닦고 또 미래의 초정려 지의 끝없는 행상도 닦는다. 상지(上地)의 근분에서 닦는 것의 뜻도 앞에서와 같다.”
【문】무엇 때문에 초정려 근분에서는 이 같은 갖가지 행상을 닦으면서 상지의 근분에서는 닦을 수 없는가?
【답】 초정려의 근분에는 갖가지 선근(善根)이 있기 때문에 이런 갖가지 행상을 닦을 수 있지만 상지의 근분에는 선근이 적기 때문에 갖가지 행상을 닦을 수 없다. 또 욕계의 번뇌에는 갖가지 모양이 있으므로 도리어 갖가지 선근을 닦으면서 대치하지만 상지의 번뇌에는 갖가지 모양이 없기 때문에 갖가지 대치를 닦지 못한다.
【문】현재 함께 행하고 있는 무겁게 지고[負重] 작용 있는[有用] 세속의 무간도와 해탈도의 행상과 소연은 이미 앞의 설명과 같지만 미래에 닦는 것은[未來修] 무엇을 소연으로 삼는가?299)
【답】 욕염을 여의는 때에 9무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麤)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욕계만을 반연하며, 8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욕계와 초정려를 반연하고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초정려만을 반연하며, 맨 뒤의 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삼계를 모두 반연하고 정(靜)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초정려와 나아가 비상비비상처를 반연한다.
초정려의 염을 여의는 때에 9무간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초정려만을 반연하며, 8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초ㆍ2정려를 반연하고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제2 정려만을 반연하며, 맨 뒤의 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삼계를 모두 반연하고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제2 정려와 나아가 비상비비상처를 반연한다.
제2 정려의 염을 여의는 때에 9무간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제2 정려만을 반연하며, 8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제2ㆍ제3 정려를 반연하고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제3 정려만을 반연하며, 맨 나중의 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삼계를 모두 반연하고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제3 정려와 나아가 비상비비상처를 반연한다.
제3 정려의 염을 여의는 때에 9무간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제3 정려만을 반연하며, 8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제3ㆍ제4 정려를 반연하고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제4 정려만을 반연하며,

맨 나중의 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삼계를 모두 반연하고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제4 정려와 나아가 비상비비상처를 반연한다.
제4 정려의 염을 여의는 때의 9무간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제4 정려만을 반연하며, 8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제4 정려와 공무변처(空無邊處)를 반연하고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공무변처만을 반연하며, 맨 나중의 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과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공무변처와 나아가 비상비비상처를 반연한다.
【문】만일 제4 정려의 염을 여의는 8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이 제4 정려와 공무변처를 반연한다고 하면 『식신론(識身論)』의 설을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거기에서 “혹 무색계의 선심(善心)이 색계와 무색계의 법을 요별(了別)할 수 있는가? 할 수 없다”라고 하였다.
【답】 거기에서는 찰나(刹那)는 차단하면서도 상속(相續)은 차단하지 않는다. 한 찰나 동안에 무색계의 선심이 색계와 무색계의 법을 요별한다는 것은 있을 수조차 없는 일이지만 만일 그 염을 여읜 8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이 혹 색계의 제4 정려를 반연하거나 혹 무색계의 공무변처를 반연한다고 하면 이런 일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찰나는 차단하면서도 상속을 차단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와 저기의 설이 모두 다 잘 회통하게 된다.
공무변처의 염을 여의는 때에 9무간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공무변처만을 반연하며, 8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공무변처와 식무변처를 반연하고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식무변처만을 반연하며, 맨 나중의 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과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식무변처와 나아가 비상비비상처를 반연한다.
식무변처의 염을 여의는 때에 9무간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식무변처만을 반연하며, 8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식무변처와 무소유처를 반연하고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무소유처만을 반연하며, 맨 나중의 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과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무소유처와 비상비비상처를 반연한다.
무소유처의 염을 여의는 때에 9무간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무소유처만을 반연하며, 8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은 무소유처와 비상비비상처를 반연하고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비상비비상처만을 반연하며, 맨 나중의 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추 등의 세 가지 행상과 정 등의 세 가지 행상은 오직 비상비비상처만을 반연한다.
【문】무엇 때문에 맨 나중의 해탈도에서 닦아야 하는 미래의 정려(靜慮)에 속하는 추 등의 행상은 삼계를 모두 반연하면서 무색(無色)에 속하는 추 등의 행상은 오직 무색계만을 반연하는가?
【답】 정려 지(地)에는 변연지(遍緣智)가 있으므로 자지(自地)ㆍ하지(下地)ㆍ상지(上地)를 반연할 수 있지만 무색지에는 변연지가 없으므로 오직 자지와 상지만을 반연하고 하지는 반연하지 않는다.
또 정려지의 공덕은 거칠게 드러나므로 알기도 쉽고 요별하기도 쉽지만 무색지는 그렇지 않다.
또 정려지에는 모든 공덕이 많고 모든 뛰어난 이익이 많지만 무색에서는 그렇지 않다.
또 정려지에는 갖가지 다른 모양[異相]과 다른 성품[異性]이 잘 있지만 무색에서는 그렇지 않다.
또 정려지에는 다른 모양의 근(根)과 다른 모양의 수(受)와 다른 모양의 심ㆍ심소법(心心所法)이 있지만 무색에서는 그렇지 않다.
그러므로 그때 닦아야 하는 미래의 정려에 속하는 추 등의 행상은 삼계를 모두 반연하게 되지만 무색에 속하는 추 등의 행상은 오직 무색계만을 반연할 뿐이다.

【論】 욕계의 견도에서 끊어지는 결(結)이 다하면 어느 과(果)에 속하는가?300)……(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 것인가?
【답】 먼저는 삼계(三界) 2부(部)의 모든 결을 단번[頓]에 또는 점차[漸]로 얻고[得] 버리는[捨] 것을 말했으면서도 그 끊어짐이 어느 과에 속하는 것인가는 말하지 않았으므로 이제 그것을 말하기 위하여 이것을 논하는 것이다.

【論】 욕계의 견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沙門果)에 속하거나 처소[處]가 없기도 하다.301)

4사문과에 속한다는 것은 그 결이 다하여 예류과(預流果)를 증득할 때에는 곧 예류과에 속하고, 일래과(一來果)를 증득할 때에는 곧 일래과에 속하며, 불환과(不還果)를 증득할 때에는 곧 불환과에 속하고,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한다는 것이다.
처소가 없기도 하다는 것302)은 모든 이생(異生)으로서 이미 욕염을 여읜 이가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한 것이 아니며, 이미 욕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正性離生)에 든 이로서 견도(見道)의 15심(心)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한 것이 아니며, 차제자(次第者)303)로서 도현관(道現觀)의 2심(心)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한 것이 아니다.


【論】 욕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불환과와 아라한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

불환과에 속한다는 것은 그 결이 다하여 불환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불환과에 속하는 것이고, 아라한과에 속한다는 것은 그 결이 다하여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한다는 것이다.
처소가 없다는 것은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욕염을 여읜 이가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한 것이 아니요, 이미 욕염을 여의고 정성이생에 든 이로서 견도의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한 것이 아니다.
차체자는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욕염을 여의어 제9무간도가 소멸할 때에 비로소 그것을 끊어서 다하는 것이며 제9해탈도가 생길 때에는 불환과를 증득하게 되므로 그 결이 다하면 곧 불환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論】 색계의 견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

4사문과에 속한다는 것은 그 결이 다하여 예류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예류과에 속하는 것이며, 나아가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한다는 것이다.
처소가 없다는 것은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색염(色染)을 여읜 이가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한 것이 아니요, 이미 색염을 여의고 정성이생에 들어간 이로서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한 것이 아니다.
차제자는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도류지인(道類智忍)이 소멸하는 때에 비로소 그것을 끊어 다하는 것이요, 도류지(道類智)가 생길 때에는 알맞은 바를 따라 앞의 세 가지 과(果)를 증득하므로304) 그 결이 다하면 곧 앞의 세 가지 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論】 색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아라한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

아라한과에 속한다는 것은 그 결이 다하여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 곧 아라한과에 속한다는 것이다.
처소가 없다는 것은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색염을 여읜 이가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이미 색염을 여의고 정성이생에 든 이로서 견도 15심 동안과 도류지 등의 모든 유학위(有學位)에서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305)로서 제4 정려의 염을 여의는 제9해탈도로부터 이에 금강유정이 앞에 나타나 있을 때에 이르기까지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論】 무색계의 견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한다.

그 결이 다하여 예류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예류과에 속하며 나아가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한다.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견도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다.
차제자도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도류지인이 소멸할 때에 비로소 그것을 끊어 다하는 것이요, 도류지가 생길 때에는 그 알맞은 바에 따라 앞의 세 가지 과를 증득하는 것이므로 그 결이 다하면 곧 앞의 세 가지 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論】 무색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아라한과에 속한다.

그 결이 다하여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하는 것이다.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다.
차제자도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금강유정이 앞에 나타나 있을 때에야 비로소 그것을 끊어 다하며 처음 진지(盡智)가 생길 때에는 아라한과를 증득하는 것이므로 그 결이 다하면 곧 아라한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論】 5부(部)의 결이 있으니 견고에서 끊어지는 결이며 나아가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이다.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 것인가?
【답】 앞에서 비록 삼계 2부의 결이 다할 때의 모든 과에 속한다는 것을 말했다 하더라도 아직 5부의 결이 다할 때의 모든 과에 속한다는 것은 말하지 않았으므로 이제 그것을 말하기 위하여 이것을 논하는 것이다.

【論】 견고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

4사문과에 속한다는 것은 그 결이 다하여 예류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예류과에 속하며, 나아가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한다는 것이다.
처소가 없기도 하다는 것은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으니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견고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나 차제자는 고현관(苦現觀)의 1심(心) 동안306)과 집(集)ㆍ멸현관(滅現觀)의 각 4심 동안과 도현관(道現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지 않는 것이다.

【論】 견집(見集)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

4사문과에 속한다는 것은 앞에서의 설명과 같다.
처소가 없기도 하다는 것은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으니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견집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나 차제자는 집현관(集現觀)의 1심 동안307)과 멸현관의 4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하는 것은 과에 속하지 않는 것이다.

【論】 견멸(見滅)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

4사문과에 속한다는 것은 앞에서의 설명과 같다.
처소가 없기도 하다는 것은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으니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견멸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나 차제자는 멸현관의 1심 동안308)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하는 것은 과에 속하지 않는 것이다.

【論】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한다.

그 결이 다하여 예류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예류과에 속하며 나아가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하는 것이다.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견도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다.
차제자도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도류지인이 멸할 때에 비로소 그것을 끊어 다하며 도류지가 생길 때에는 그 알맞은 바에 따라 앞의 세 가지 과를 증득하는 것이므로 그 결이 다하면 곧 앞의 세 가지 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論】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아라한과에 속한다.

그 결이 다하여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하는 것이다.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다.
차제자도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금강유정이 앞에 나타나 있을 때에 비로소 그것을 끊어 다하며 처음 진지(盡智)가 생길 때에는 아라한과를 증득하는 것이므로 그 결이 다하면 곧 아라한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論】 9부(部)의 결(結)이 있으니 고법지(苦法智)에서 끊어지는 결이며 나아가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이다.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 앞에서 비록 5부의 결이 다할 때의 모든 과에 속한다는 것을 말했다 하더라도 아직 9부의 결이 다할 때의 모든 과에 속한다는 것은 말하지 않았으므로 이제 그것을 말하기 위하여 이것을 논한다.
곧 앞의 5부의 모든 결은 대치(對治)의 차별에 의거하여 9부라고 말하는 것이니 법지(法智)ㆍ유지품(類智品)의 저마다 따로따로 대치할 결을 나누어서 8부로 삼고 여러 가지[雜] 대치할 것309)을 통틀어 1부로 삼기 때문에 9부가 있다.

【論】 고법지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無處]도 하다.

4사문과에 속한다는 것은 그 결이 다하여 예류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예류과에 속하며, 나아가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한다.
처소가 없기도 하다는 것은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욕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욕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의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로서 고현관의 3심 동안과310) 집ㆍ멸현관의 각각 4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論】 고류지(苦類智)와 나아가 도법지(道法智)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

4사문과에 속한다는 것은 앞에서의 설명과 같다.
처소가 없기도 하다는 것은 만일 고류지(苦類智)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으니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견고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나 차제자는 고현관의 1심 동안311)과 집ㆍ멸현관의 각각 4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집법지(集法智)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욕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욕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도 집현관의 3심 동안312)과 멸현관의 4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집류지(集類智)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이생에게는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으니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견집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나 차제자는 집현관의 1심 동안과 멸현관의 4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멸법지(滅法智)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욕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욕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도 멸ㆍ도현관의 각각 3심 동안313)에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멸류지(滅類智)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이생에게는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으니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견멸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가 없기 때문이나 차제자는 멸현관의 1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도법지(道法智)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욕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욕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도 도현관의 2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처소가 없다고 말한다.

【論】 도류지(道類智)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한다.

그 결이 다하여 예류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예류과에 속하며 나아가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한다.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견도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다. 차제자도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도류지인(道類智忍)이 소멸할 때에야 비로소 그것을 끊어서 다하며 도류지가 생길 때에는 그 알맞은 바를 따라 앞의 세 가지 과[前三果]를 증득하는 것이므로 그 결이 다하면 곧 앞의 세 가지 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論】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아라한과에 속한다.

그 결이 다하여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한다.
이생에게는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다. 차제자도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금강유정(金剛喩定)이 앞에 나타나 있을 때에 비로소 그것을 끊어서 다하며 처음 진지(盡智)가 생길 때에는 아라한과를 증득한 것이므로 그 결이 다하면 곧 아라한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문】무간도(無間道)가 모든 결을 끊는 것인가, 해탈도(解脫道)가 모든 결을 끊는 것인가?
가령 그렇다면 어떤 허물이 있는가 하면 두 가지에 모두 허물이 있다. 왜냐하면 만일 무간도가 모든 결을 끊는다면 이 글[比文]에서 말한 것을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할 때 이 글에서는 “고법지에서 끊어지는 결이며 나아가 도류지에서 끊어지는 결이다”라고 말하였기 때문이다.
만일 해탈도가 모든 결을 끊는다면 지온(智蘊)에서 말한 것은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하면, 거기에서는 “모든 결로서 견고(見苦)에서 끊어지는 그 결은 고지(苦智)로 끊는 것이 아니라 고인(苦忍)으로 끊는 것이며 나아가 모든 결로서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그 결은 도지(道智)로 끊는 것이 아니라 도인(道忍)으로 끊는 것이다”라고 말하였기 때문이다.
【답】 “오직 무간도에서만 모든 결을 끊는다”라고 말해야 한다.
【문】만일 그렇다면 지온에서 말한 것은 잘 회통하지만 이 글에서 말한 것은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답】 이 글에서는 “9부(部)의 결이 있으니 고법지인(苦法智忍)에서 끊어지는 것과 나아가 도류지인(道類智忍)에서 끊어지는 것이다”라고 해야 하는데도 이렇게 말하지 않은 것은 별도의 뜻[意趣]이 있어서이다. 인(忍)은 지(智)에 속하며 지를 돕는 벗[助伴]이므로 모든 인에서 끊는 것을 지에서 끊는 것이라고 한다. 마치 신하가 한 일을 왕이 한 일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
또 무간도가 정작 결을 끊는 것이요 해탈도는 유지하면서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니, 비록 무간도가 정작 결을 끊는다 하더라도 만일 해탈도에서 유지하며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없다면 그 결이 도로 일어나면서 곧 과환(過患)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곧 해탈도는 끊은 것에 대하여 작용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법ㆍ유지(法類智)에서 끊는다고 말한다.
또 무간도와 해탈도는 짓는 일이 동일하여 결을 끊는 일에 대해 다 같이 세력이 있는 것은 마치 두 역사(力士)가 원수 한 사람을 같이 해칠 때에 한 사람은 땅에 쓰러뜨려 놓고 한 사람은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것과 같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도로 일어나서 과환을 끼치게 될 것이다.
또 마치 두 사람이 한 도둑을 쫓을 때에 한 사람은 몰아서 나가게 하고 한 사람은 굳게 문을 닫는 것과 같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도로 들어와서 과환을 끼치게 될 것이다.
또 마치 두 사람이 독사 한 마리를 붙잡아서 한 사람은 병 속에 넣고 한 사람은 단단히 아가리를 막아두는 것과 같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도로 나와서 과환을 끼치게 될 것이다.
무간도와 해탈도가 결을 끊는 것도 그러하여 해탈도는 이와 같이 끊은 것에 대하여 작용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법ㆍ유지로 끊는다고 말한다.
또 해탈도는 무간도에서 끊어지는 결안에서 많은 작용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이 많은 작용이 마치 근온(根蘊)에서의 설명314)과 같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법ㆍ유지로 끊는다고 말한다.
또 모든 무간도가 정작 결을 끊을 때에 모든 해탈도는 그 모든 결이 끊어진 득(得)과 함께 생기게 되며 이미 끊어지게 되면 끊어지는 그 작용이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법ㆍ유지로 끊는다고 말한다.
또 끊어짐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따로따로[別]요, 둘째는 다 통함[通]이다. 따로따로는 오직 무간도이고 다 통함은 해탈도이다. 여기에서는 통함에 의거하여 말하기 때문에 이치에 어긋나지 않는다.
또 여기의 모든 인(忍)을 지(智)로써 이름한 것은 지를 이끌기 때문에 원인에 결과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니 마치 기갈(飢渴)이라는 이름이 그 원인이 되는 감촉에 인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결을 끊는 것은 오직 무간도일 뿐이다.


【論】 15부(部)의 결(結)이 있다. 삼계에 각각 다섯이 있으니 곧 견고(見苦)에서 끊어지는 결과 나아가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이다.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 앞서 비록 9부의 결이 다할 때의 모든 과에 속하는 것을 말했다 하더라도 아직 15부의 결이 다할 때에 모든 과에 속하는 것은 말하지 않았으므로 이제 그것을 말하기 위하여 이것을 논하는 것이니, 계(界)와 부(部)의 두 문(門)을 기준으로 하여 모든 결의 차별을 분별하면 열다섯 가지가 있는 것이다.

【論】 욕계의 견고ㆍ견집ㆍ견멸ㆍ견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果)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315)

4사문과에 속한다는 것은 그 결이 다하여 예류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예류과에 속하며 나아가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아라한과에 속하는 것이다.
처소가 없기도 하다는 것은 만일 욕계의 견고(見苦)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에 대해서 말하자면 모든 이생으로서 욕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욕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見道) 15심(心)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次第者)로서 고(苦)현관의 3심 동안과 집(集)ㆍ멸(滅) 현관의 각각 4심 동안과 도(道)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욕계의 견집(見集)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에 대해서 말하자면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욕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욕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로서 집현관의 3심 동안과 멸현관의 4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욕계의 견멸(見滅)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에 대해서 말하자면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욕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욕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로서 멸ㆍ도 현관의 각각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욕계의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에 대해서 말하자면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욕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욕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로서 도현관의 2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論】 욕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불환과와 아라한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

불환과에 속한다는 것은 그 결이 다하여 불환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불환과에 속하는 것을 말하며, 아라한과에 속한다는 것은 그 결이 다하여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하는 것을 말한다.
처소가 없기도 하다는 것은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욕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욕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들어간 이의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다. 차제자는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욕염을 여의고서 제9간도가 소멸할 때에 비로소 그것을 끊어서 다하며 제9해탈도가 생길 때에는 불환과를 증득하는 것이므로 곧 불환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論】 색계의 견고ㆍ견집ㆍ견멸ㆍ견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316)

4사문과에 속한다는 것은 앞에서의 설명과 같다.
처소가 없기도 하다는 것은 만일 색계의 견고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에 대해서 말하자면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색염(色染)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색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로서 고현관의 1심 동안과 집ㆍ멸현관의 각각 4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색계의 견집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에 대해서 말하자면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색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색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로서 집현관의 1심 동안과 멸현관의 4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색계의 견멸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에 대해서 말하자면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색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색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로서 멸현관의 1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색계의 견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에 대해서 말하자면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색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색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차제자는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도류지인(道類智忍)이 소멸할 때에 비로소 그것을 끊어서 다하며 도류지(道類智)가 생길 때에는 그 알맞은 바에 따라 앞의 세 가지 과를 증득하는 것이므로 그 결이 다하면 곧 앞의 세 가지 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論】 색계의 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아라한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

아라한과에 속한다는 것은 그 결이 다하여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과에 속하는 것이다.
처소가 없기도 하다는 것은 모든 이생으로서 이미 색염을 여읜 이의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색염을 여의고서 정성이생에 든 이의 견도 15심 동안과 도류지 등의 모든 유학위(有學位)의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차제자로서 제4 정려의 염(染)을 여읜 제9해탈도로부터 이에 금강유정이 앞에 나타나 있는 때에 이르기까지 그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지 않는다.

【論】 무색계의 견고ㆍ견집ㆍ견멸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하거나 처소가 없기도 하다.317)

4사문과에 속한다는 것은 앞에서의 설명과 같다.
처소가 없기도 하다는 것은 만일 무색계의 견고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에 대해서 말하자면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으니 왜냐하면 이생으로서 비상비비상처의 견도ㆍ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을 여읠 수 있는 이는 없기 때문이나 차제자는 고현관의 1심 동안과 집ㆍ멸 현관의 각각 4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무색계의 견집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에 대해서 말하자면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는 것이니 그 뜻은 앞에서의 설명과 같고 차제자는 집현관의 1심 동안과 멸현관의 4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만일 무색계의 견멸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에 대해서 말하자면 이생은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으니 그 뜻은 앞에서의 설명과 같고 차제자는 멸현관의 1심 동안과 도현관의 3심 동안에 그 결이 다한 것은 과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論】 만일 무색계의 견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4사문과에 속한다.

그 결이 다하여 예류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예류과에 속하며 나아가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의 과에 속한다.
이생에게는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는 것이니 그 뜻은 앞에서의 설명과 같다. 차제자도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도류지인이 소멸할 때에 비로소 그것을 끊어서 다하며 도류지가 생길 때에는 그 알맞은 바에 따라 앞의 세 가지 과를 증득하는 것이므로 그 결이 다하면 곧 앞의 세 가지 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論】 무색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면 어느 과에 속하는가?
【답】 아라한과에 속한다.

그 결이 다하여 아라한과를 증득할 때에는 곧 아라한의 과에 속한다.
이생은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으니 앞에서의 설명과 같다. 차제자도 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 없다. 왜냐하면 금강유정이 앞에 나타나 있을 때에 비로소 그것을 끊어서 다하며 처음 진지(盡智)가 생길 때에는 아라한과를 증득하는 것이므로 그 결이 다하면 곧 아라한과에 속하기 때문이다.
026_0484_b_01L阿毘達磨大毘婆沙論卷第六十四 弗五百大阿羅漢等造三藏法師玄奘奉 詔譯結薀第二中有情納息第三之二生欲界聖者有三事命終一全離染而命終二全退而命終三分離染而命終異生但有二事命終一全離染而命終二全退而命終無分離染而命終者生色界聖者有二事命終全離染而命終二分離染而命終有退者無色界無退義故異生但有一事命終謂全離染彼無退故分離染而命終故生無色界聖者應知亦爾何故聖者有分離染而命終異生不爾以諸聖者有無漏定任持相續令極堅固異生但有世俗諸定任持相續非極堅固復次聖者成就勝奢摩他毘鉢舍那異生不爾復次聖者成就無漏道力隨意所爲異生不爾是故聖者有分離染而命終義異生卽無有作是說以諸聖者具三種力一聖道力二煩惱力三定業力定業力故有全離染而命終義煩惱力故有全退已而命終義聖道力故有分離染而命終義異生但有二種力謂煩惱力定業力無聖道定業力故有全離染而命終義惱力故有全退已而命終義無聖道力故無分離染而命終義有餘師說聖者有三力一道力二煩惱力三定業力由道力故有全離染而命終煩惱力故有全退已而命終由定業力故有分離染而命終若全離染此地生非擇滅故決定受業便不與由此定業爲留難故有分離染而命終者如家家等異生但有二力道力煩惱力無定業力由道力故全離染而命終由煩惱力故有全退已而命終無定業力故無分離染而命終設全離染而有還生此地義故決定受業不爲留難或有說者分離染位有別立聖補特伽羅謂離欲界四品染別立家家離六品染別立一來離七八品別立一閒是故聖者有分離染而命終義異生定無分離染位如聖別立補特伽羅是故彼無分離染已而命終義復有說者聖者於定有自在力故離染時有離少分而命終者異生於定無自在力故染時無離少分而命終者尊者僧伽筏蘇說曰異生亦有分離染位而命終者然命終已結生心時先所斷結必還成就評曰彼不應作是說彼命終心勢力劣故先所斷結已得成就故前說於理爲善以世俗道離諸染時無閒解脫幾行相諸無閒道有三行相一麤行相二苦行相三障行相諸解脫道有三行相一靜行相二妙行相三離行相無閒道中何行相後起解脫道何行相耶有作是說從麤行相無閒後起靜行相爲解脫道從苦行相無閒道後起妙行相爲解脫道從障行相無閒道後起離行相爲解脫道有餘師說從麤行相無閒道後起妙行相爲解脫道從苦行相無閒道起靜行相爲解脫道從障行相無閒後起離行相爲解脫道離對故評曰此事不定從麤行相無閒道後容起靜等三種行相爲解脫道從苦行相無閒道後容起妙等三種行相爲解脫道從障行相無閒後容起離等三種行相爲解脫道以此六種有漏行相隨離染者所樂起故以世俗道離諸染時無閒解脫各緣何地離欲染時九無閒道唯緣欲界九解脫道緣初靜慮若爾通根薀所說如說頗有思惟色界法而能遍知欲界耶彼意說斷遍云何二道所緣行相而不雜亂此二道所緣行相有雜亂者於離染事如何不爲障㝵留難如是二道所緣行相雖有雜亂於離染事不能爲障㝵留難所以者何彼於離染諸逕路中已善修習加行成故見道中緣欲界忍智後緣有頂忍智現在前緣有頂忍智後緣欲界忍智現在前雖有所緣行相雜亂於現觀然不能爲障閡留難所以者何於現觀諸逕路中已善修習加行成此亦如是故無有失有作是說欲染時九無閒道八解脫道皆緣欲最後解脫緣初靜慮如以滅道智離非想非非想處染時九無閒道解脫道皆緣滅道最後解脫道緣非想非非想處有漏四薀此亦如是餘師說離欲染時或無止息或有止無止息者九無閒道八解脫道緣欲界最後解脫道緣初靜慮有止息者或離一品卽便止息或離二品而便止息如是乃至或離八品方乃止息若離一品卽止息者彼無閒道緣欲界解脫道緣初靜慮若離二品便止息者彼二無閒道一解脫道緣欲界第二解脫道緣初靜慮如是乃至若離八品方止息者彼八無閒道七解脫道皆緣欲界第八解脫道緣初靜慮或有說者離欲染時九無閒九解脫道皆緣欲界如以苦集智離欲染時九無閒道九解脫道皆緣欲界此亦如是若爾雖無無閒脫所緣行相雜亂過失根薀所說云何通如說頗有思惟色界法而能遍知欲界耶彼意說斷遍知根薀依近加行而說謂修行者將離欲染先起如是分別思惟欲界苦初靜慮靜若爾根薀後說復云何通如說頗有思惟無色界法而能遍知欲界耶彼意說斷遍豈修行者將離欲染不先起此分別思惟欲界苦無色界靜雖起如是分別思惟而遠非近非於思惟無色界後卽能引生離欲染道思惟色界是近加行卽能引生離欲染道故彼二說非互相違復有說者離欲染時九無閒道九解脫道皆緣初靜慮若爾善通根薀所說如說頗有思惟色界法而能遍知欲界耶彼意說斷遍知又無二道所緣行相雜亂過失云何緣他地離餘地染此亦無失如滅道智離諸染時雖緣滅道而斷苦此亦如評曰如是諸說雖各能生弟子覺而最初說於理爲善謂九無閒道皆緣欲界九解脫道皆緣初靜慮以者何以世俗道離欲染時厭下方能離故如離欲染離上七地染應知亦爾世俗無閒解脫道中一一能修幾種行相諸異生者離欲染時九無閒道中修三行相謂苦八解脫道中修六行相謂苦障及靜最後解脫道中卽修此六行相亦修未來初靜慮地無邊行相如是乃至離無所有處染隨其所應當知亦爾若諸聖者離欲染時九無閒道中十九行相謂麤等三及有漏無漏十六聖行相八解脫道中修二十二行謂麤等三靜等三及有漏無漏十六聖行相最後解脫道中卽修此二十二行相亦修未來初靜慮地無邊行相卽諸聖者離初靜慮染時九無閒道中修十九行相謂麤等三及唯無漏十六聖行相八解脫道中修二十二行相謂麤等三靜等三及唯無漏十六聖行相最後解脫道中卽修此二十二行相亦修未來第二靜慮地無邊行相如是乃至離無所有處隨其所應當知亦爾何故初靜慮近分通修有漏無漏十六聖行相上地近分唯修無漏耶初靜慮近分有聖行相故能通修有漏無漏十六聖行相上地近分無聖行相故能修無漏行相有作是說諸異生者離欲染時九無閒道中修九行相麤等三及慈不淨觀持息念八解脫道中修十二行相謂卽前九及靜等三最後解脫道中卽修此十二行相亦修未來初靜慮地無邊行若諸聖者離欲染時九無閒道中修二十五行相謂麤等三不淨觀持息念及有漏無漏十六聖行相八解脫道中修二十八行相卽前二十五及靜等三最後解脫道卽修此二十八行相亦修未來初靜慮地無邊行相上地近分修義何故初靜慮近分能修如是種種行相上地近分不能修耶初靜慮近分有種種善根故能修此種種行相上地近分諸善根少故不能修種種行相復次欲界煩惱有種種相還修種種善根對治上地煩惱無種種相故彼不修種種對治問現在俱行負重有用世俗無閒及解脫道行相所緣已如前說未來修爲何所緣離欲染時九無閒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唯緣欲界八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緣欲界及初靜慮靜等三行相唯緣初靜慮最後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通緣三界靜等三行相緣初靜慮乃至非想非非想處離初靜慮染時九無閒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唯緣初靜慮八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緣初二靜慮等三行相唯緣第二靜慮最後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通緣三靜等三行相緣第二靜慮乃至非想非非想處離第二靜慮染時九無閒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唯緣第二靜慮八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緣第二第三靜慮靜等三行相唯緣第三靜慮最後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通緣三界等三行相緣第三靜慮乃至非想非非想處離第三靜慮染時九無閒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唯緣第三靜慮八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緣第三第四靜慮靜等三行相唯緣第四靜慮最後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通緣三界靜等三行相緣第四靜慮乃至非想非非想離第四靜慮染時九無閒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唯緣第四靜慮八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緣第四靜慮及空無邊處靜等三行相唯緣空無邊處最後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及靜等三行相緣空無邊處乃至非想非非想處若離第四靜慮染八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能緣第四靜慮及空無邊處者識身論說當云何通頗有無色界善心能了別色無色界法耶彼遮剎那不遮相續一剎那頃無色界善心能了別色色法者無有是處若離彼染八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或緣色界第四靜慮或緣無色界空無邊處斯有是處故遮剎那不遮相續此彼說俱爲善通離空無邊處染時九無閒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唯緣空無邊處八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緣空無邊處及識無邊靜等三行相唯緣識無邊處最後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及靜等三行相緣識無邊處乃至非想非非想處離識無邊處染時九無閒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唯緣識無邊處八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緣識無邊處及無所有處等三行相唯緣無所有處最後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及靜等三行相緣無所有處及非想非非想離無所有處染時九無閒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唯緣無所有處八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緣無所有處及非想非非想處靜等三行相唯緣非想非非想處最後解脫道中所修未來麤等三行相及靜等三行相唯緣非想非非想處故最後解脫道中所修未來靜慮所攝麤等行相通緣三界無色所攝麤等行相唯緣無色界耶靜慮地中有遍緣智能緣自地下地上地無色地中無遍緣智唯緣自不緣下地復次靜慮地中功德麤顯易知易了非無色地復次靜慮地中多諸功德多諸勝利無色不爾復次靜慮地中善有種種異相異性無色不爾復次靜慮地中有異相根異相受異相心心所法無色不爾是故爾時所修未來靜慮所攝麤等行相通緣三界色所攝麤等行相唯緣無色界欲界見所斷結盡何果攝乃至廣說何故作此論先說三界二部諸結頓漸得捨未說彼斷是何果攝欲說之故作斯論欲界見所斷結盡何果攝答四沙門果或無處四沙門果攝者謂彼結盡證預流果時卽預流果攝證一來果時卽一來果攝不還果時卽不還果攝證阿羅漢果卽阿羅漢果攝或無處者謂諸異生已離欲染彼結盡非果攝已離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結盡非果攝次第者道現觀二心頃彼結盡非果攝欲界修所斷結盡何果攝不還阿羅漢果或無處不還果攝者謂彼結盡證不還果時卽不還果攝阿羅漢果攝者謂彼結盡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攝或無處謂諸異生已離欲染彼結盡非果已離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盡非果攝無次第者非果攝義所以者何離欲染第九無閒道滅時方斷彼盡第九解脫道生時證不還果彼結盡卽不還果攝故界見所斷結盡何果攝四沙門果或無處四沙門果攝者謂彼結盡預流果時卽預流果攝乃至證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攝或無處者諸異生已離色染彼結盡非果攝已離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彼結盡非果攝無次第者非果攝所以者何道類智忍滅時方斷彼道類智生時隨其所應證前三果彼結盡卽前三果攝故色界修所斷結盡何果攝阿羅漢果或無處羅漢果攝者謂彼結盡證阿羅漢果卽阿羅漢果攝或無處者謂諸異生已離色染彼結盡非果攝已離色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道類智等諸有學位彼結盡非果攝次第者從離第四靜慮染第九解脫道乃至金剛喩定現在前時彼結盡非果攝無色界見所斷結盡何果攝四沙門果謂彼結盡證預流果時卽預流果攝乃至證阿羅漢果時阿羅漢果攝無異生者非果攝義以者何無有異生能離非想非非想處見所斷結故亦無次第者非果攝所以者何道類智忍滅時方斷彼道類智生時隨其所應證前三果彼結盡卽前三果攝故無色界修所斷結盡何果攝阿羅漢果謂彼結證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攝異生者非果攝義所以者何無有異生能離非想非非想處修所斷結故亦無次第者非果攝義所以者何剛喩定現在前時方斷彼盡初盡智生時證阿羅漢果彼結盡卽阿羅漢果攝故有五部結謂見苦所斷結乃至修所斷結何故作此論先雖說三界二部結盡諸果所攝而未說五部結盡諸果所攝今欲說之故斯論見苦所斷結盡何果攝四沙門果或無處四沙門果攝者謂彼結證預流果時卽預流果攝乃至證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攝或無處無有異生非果攝義所以者何異生者能離非想非非想處見苦所斷結故次第者苦現觀一心頃現觀各四心頃道現觀三心頃彼結盡非果攝見集所斷結盡何果攝四沙門果或無處四沙門果攝者前說或無處者無有異生非果攝義所以者何無異生者能離非想非非想處見集所斷結故次第者集現觀一心頃滅現觀四心頃道現觀三心彼結盡非果攝見滅所斷結盡果攝答四沙門果或無處四沙門果攝者如前說或無處者無有異生非果攝義所以者何無異生者能離非想非非想處見滅所斷結故次第者滅現觀一心頃道現觀三心頃彼結非果攝見道所斷結盡何果攝四沙門果謂彼結盡證預流果時預流果攝乃至證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攝無有異生非果攝義所以者何無異生者能離非想非非想處見道所斷結故亦無次第者非果攝所以者何道類智忍滅時方斷彼道類智生時隨其所應證前三果彼結盡卽前三果攝故修所斷結盡何果攝阿羅漢果謂彼結盡證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攝無有異生非果攝義所以者何無異生者能離非想非非想處修所斷結故亦無次第者非果攝義所以者何金剛喩定現在前時方斷彼盡初盡智生時阿羅漢果彼結盡卽阿羅漢果攝故有九部結謂苦法智所斷結乃至修所斷結何故作此論先雖說五部結盡諸果所攝而未說九部結盡諸果所攝今欲說之故作斯論卽前五部諸結依對治差別說爲九部類智品各別所對治結分爲八部雜所對治摠爲一部故有九部苦法智所斷結盡何果攝答四沙門果無處四沙門果攝者謂彼結盡證預流果時卽預流果攝乃至證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攝或無處者謂諸異生已離欲染彼結盡非果攝已離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盡非果攝次第者苦現觀三心集滅現觀各四心頃道現觀三心彼結盡非果攝苦類智乃至道法智所斷結盡何果攝四沙門果無處四沙門果攝者如前說或無處若苦類智所斷結盡無有異生非果攝義所以者何無異生者能離非想非非想處見苦所斷結故次第者苦現觀一心頃滅現觀各四心頃道現觀三心頃彼結盡非果攝若集法智所斷結盡謂諸異生已離欲染彼結盡非果攝已離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盡非果攝次第者集現觀三心頃滅現觀四心道現觀三心頃彼結盡非果攝類智所斷結盡無有異生非果攝所以者何無異生者能離非想非非想處見集所斷結故次第者集現觀一心頃滅現觀四心頃道現觀三心頃彼結盡非果攝若滅法智所斷結盡謂諸異生已離欲染彼結盡果攝已離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盡非果攝次第者滅道現觀各三心頃彼結盡非果攝滅類智所斷結盡無有異生非果攝所以者何無異生者能離非想非非想處見滅所斷結故次第者滅現觀一心頃道現觀三心頃彼結盡果攝若道法智所斷結盡謂諸異生已離欲染彼結盡非果攝已離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非果攝次第者道現觀二心頃結盡非果攝故說無處道類智所斷結盡何果攝答四沙門果謂彼結盡證預流果時卽預流果攝乃至證阿羅漢果卽阿羅漢果攝無有異生非果攝義所以者何無異生者能離非想非非想處見道所斷結故亦無次第者非果攝義所以者何道類智忍滅時方斷彼盡道類智生時隨其所證前三果彼結盡卽前三果攝故修所斷結盡何果攝阿羅漢果彼結盡證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無有異生非果攝義所以者何異生者能離非想非非想處修所斷結故亦無次第者非果攝義所以者金剛喩定現在前時方斷彼盡盡智生時證阿羅漢果彼結盡卽阿羅漢果攝故爲無閒道能斷諸結爲解脫道能斷諸結設爾何失二俱有過所以者若無閒道能斷諸結此文所說云何通如說苦法智所斷結乃至道類智所斷結若解脫道能斷諸結薀所說當云何通如說諸結見苦所彼結非苦智斷是苦忍斷乃至諸結見道所斷彼結非道智斷是道忍應作是說唯無閒道能斷諸結若爾善通智薀所說此文所說云何通此文應作是說有九部結謂苦法智忍所斷乃至道類智忍所而不作是說者有別意趣謂忍屬是智助伴諸忍所斷名智所斷臣所作名王所作復次無閒道正能斷結解脫道持令不生謂無閒道雖正斷結若無解脫道持令不生者結還起便爲過患顯解脫道於斷有用故此文說法類智斷復次無閒脫同一所作於斷結事俱有勢力二力士同害一怨一撲置地一令不不爾還起能爲過患又如二人同逐一賊一驅令出一牢閉門不爾能爲過患又如二士同捉一蛇內甁中一牢蓋口不爾還出能爲過無閒解脫斷結亦然顯解脫道於斷有用故此文說法類智斷復次顯解脫道於無閒道所斷結中有多作用此多作用如根薀說故此文說法類智斷復次諸無閒道正斷結諸解脫道與彼諸結斷得俱生旣得彼有斷彼用故此文說法類智斷斷有二種一別二通別唯無閒解脫此依通說故不違理復次此中諸忍以智名說能引智故因立果名如飢渴名因彼因觸故能斷結唯無閒道有十五部結謂三界各有五卽見苦所斷結乃至修所斷結問何故作此先雖說九部結盡諸果所攝未說十五部結盡諸果所攝今欲說之故作斯論謂約界部二門分別諸結差別有十五種欲界見苦所斷結盡何果攝四沙門果或無四沙門果攝者謂彼結盡證預流果時卽預流果攝乃至證阿羅漢果卽阿羅漢果攝或無處者若欲界見苦所斷結盡謂諸異生已離欲染彼結盡非果攝已離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盡非果攝次第者苦現觀三心頃集滅現觀各四心頃道現觀三心頃彼結盡非果若欲界見集所斷結盡謂諸異生已離欲染彼結盡非果攝已離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非果攝次第者集現觀三心頃現觀四心頃道現觀三心頃彼結盡非果攝若欲界見所斷結盡謂諸異生已離欲染彼結盡非果攝已離欲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結盡非果攝次第者滅道現觀各三心頃彼結盡非果攝若欲界見道所斷結盡謂諸異生已離欲染彼結盡非果攝已離欲染入正性離生者道十五心頃彼結盡非果攝次第者道現觀二心頃彼結盡非果攝欲界修所斷結盡何果攝不還阿羅漢或無處不還果攝者謂彼結盡不還果時卽不還果攝阿羅漢果攝謂彼結盡證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攝或無處者謂諸異生已離欲彼結盡非果攝已離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盡非果無次第者非果攝義所以者何欲染第九無閒道滅時方斷彼盡九解脫道生時證不還果卽不還果攝色界見苦道所斷結盡何果四沙門果或無處四沙門果者如前說或無處者若色界見苦所斷結盡謂諸異生已離色染彼結盡果攝已離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盡非果攝次第者苦現觀一心頃集滅現觀各四心頃道現觀三心頃彼結盡非果攝若色界見集所斷結盡謂諸異生已離色染彼結盡非果攝已離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盡非果攝次第者集現觀一心頃滅現觀四心道現觀三心頃彼結盡非果攝色界見滅所斷結盡謂諸異生已離色染彼結盡非果攝已離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盡果攝次第者滅現觀一心頃道現觀三心頃彼結盡非果攝若色界見道所斷結盡謂諸異生已離色染彼結非果攝已離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彼結盡非果攝無次第者非果攝義所以者何道類智忍滅時方斷彼盡道類智生時隨其所證前三果彼結盡卽前三果攝故色界修所斷結盡何果攝阿羅漢或無處阿羅漢果攝者謂彼結盡證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攝或無處者謂諸異生已離色染彼結盡果攝已離色染入正性離生者見道十五心頃及道類智等諸有學位結盡非果攝次第者從離第四靜慮第九解脫道乃至金剛喩定現在前時彼結盡非果攝無色界見苦滅所斷結盡何果攝四沙門果無處四沙門果者如前說或無處者若無色界見苦所斷結盡無有異生非果攝義所以者何無異生者能離非想非非想處見修所斷結故次第者苦現觀一心頃集滅現觀各四心道現觀三心頃彼結盡非果攝無色界見集所斷結盡無有異生非果攝義義如前說次第者集現觀一心頃滅現觀四心頃道現觀三心頃彼結盡非果攝若無色界見滅所斷結盡無有異生非果攝義義如前說次第者滅現觀一心頃道現觀三心彼結盡非果攝若無色界見道所斷結盡何果攝四沙門果謂彼結證預流果時卽預流果攝乃至證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攝無有異生非果攝義義如前說亦無次第者非果攝義所以者何道類智忍滅時方斷彼盡道類智生時隨其所應前三果彼結盡卽前三果攝故無色界修所斷結盡何果攝阿羅漢果謂彼結盡證阿羅漢果時卽阿羅漢果攝無有異生非果攝義義如前說亦無次第者非果攝義所以者何剛喩定現在前時方斷盡初盡智生證阿羅漢果彼結盡卽阿羅漢果攝故說一切有部發智大毘婆沙論卷第六十四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
  1. 290)목숨을 마치는 세 가지 일에서 ① 완전히 염(染)을 여의고서 목숨을 마친다고 함은 욕계의 성자라면 불환과(不還果)를 얻고서 목숨을 마치는 것을 말하고 이생이라면 욕계의 견ㆍ수(見修) 2부(部)의 9품의 결(結)을 완전히 여의고 목숨을 마치는 것을 말하며, ② 완전히 물러나면서 목숨을 마친다고 함은 욕계의 성자라면 상상품(上上品)의 수혹전(修惑纏)을 일으키어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의 전체를 얻으면서 목숨을 마치는 것을 말하고 이생이라면 견ㆍ수 2혹(惑)의 상상품의 결을 얻으면서 목숨을 마치는 것을 말하며, ③ 부분적으로 염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친다고 함은 성자의 경우일 뿐이어서 욕계의 성자라면 수혹의 전3품(品)의 결을 끊고 목숨을 마치는 가가(家家), 전6품을 끊고 목숨을 마치는 일래(一來), 전8품을 끊고 목숨을 마치는 일간(一間)과 같은 이를 말한다. 앞에서부터 이생(異生)과 성자(聖者)의 염을 여의는[離染] 것과 물러나는 때[退時]에 대한 모든 문제를 논하여 왔다. 여기에서는 그것에 이어서 이생이나 성자가 삼계에서 목숨을 마치는 것을 역시 이 염을 여의는 것과 물러나는 것에 관계시켜서 밝히려고 하는 문단(文段)이다. 이제 그 대강을 밝히면 ① 성자가 삼계에서 목숨을 마치는 것과 ② 이생이 삼계에서 목숨을 마치는 것과 ③ 성자만이 일부의 염을 여의고 목숨을 마치는 까닭을 논한다.
  2. 291)성자(聖者)에게 물러남[退]이 있다는 것은 오직 욕계에서일 뿐이며 색계와 무색계에는 물러나게 하는 거리도 없고 공덕이 견고하기 때문에 물러나는 일이 없다.(『비바사론』 제62권 첫머리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3. 292)부분적으로 염(染)을 여의면서 목숨을 마치는 이는 성자(聖者)에 한정되며 그 까닭을 설명하는 데에 다섯 가지 이설(異說)이 있다. 지금은 그 중의 제1설인데 최후에 평자(評者)는 이 설을 선설(善說)로 판정한다.
  4. 293)무루의 선정이란 출세정(出世定)이라고도 한다. 무루는 성도(聖道)를 표시하는 것이므로 성도에 의한 정(定)이라는 뜻이다. 곧 정성이생(正性離生)에 들어간 이만이 닦는 정이다.(『비바사론』 제162권, 『구사론』 「正品」 제1 참조)
  5. 294)여기서 정업의 힘이라 함은 이숙과(異熟果)를 받는 업으로서의 순현수(順現受)ㆍ순차수(順次受)ㆍ순후차수(順後次受)의 세 가지 정업(定業)을 말한다.
  6. 295)세속의 도[世俗道]에 의해서도 결(結)을 끊을 수 있다는 것이 유부(有部)의 주장인데 앞에서부터의 이염론(離染論)이 계속 이어지는 것으로 본 절(節)은 세속의 도의 무간도(無間道)와 해탈도(解脫道)의 두 행상(行相)에 관하여 특히 갖가지 문제를 밝히려는 문단(文段)이다. 그 내용의 세목(細目)을 분류해 보면 첫째는 세속의 무간도와 해탈도 각각의 3행상(行相), 즉 유루(有漏)의 6행상을 밝히고, 둘째는 두 도(道)의 행상간의 관계를 밝히며, 셋째는 두 도가 반연하는 지(地)에 대해 설명하고, 넷째는 두 도에서 닦는 행상의 수(數)를 밝히며, 다섯째는 근분지(近分地)에서는 유루ㆍ무루의 행상을 닦지만 상지(上地)에서는 오직 무루도(無漏道)만을 닦는 까닭을 말하면서 유루 행상의 한계를 말하고, 여섯째는 특히 두 도의 미래수(未來修)의 소연(所緣)을 논하며, 일곱째는 그것에 대한 다른 글[異文] 등을 회통하며 마친다.
  7. 296)세속 무간도(無間道)의 3행상(行相)인 추(麤)ㆍ고(苦)ㆍ장(障)에서 추의 행상은 적정하지 않기 때문이요, 고는 미묘(美妙)하지 않기 때문이며, 장은 출리(出離)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이다. 세속 해탈도(解脫道)의 3행상인 정(靜)ㆍ묘(妙)ㆍ이(離)에서 정은 적정하기 때문이요, 묘는 미묘하기 때문이며, 이는 출리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이다.(『구사론』 「賢聖品」 제3 참조)
  8. 297)이하에서는 이 무간도와 해탈도의 소연(所緣)이 되는 지(地)에 대하여 네 가지 이설(異說)을 드는데, 평가(評家)는 마지막에 이 중에서 초설(初說)인 “9무간도는 오직 욕계만을 반연하며 9해탈도는 초정려(初靜慮)를 반연한다”를 취한다.
  9. 298)견도(見道)는 초ㆍ제2 찰나에 고인(苦忍)ㆍ고지(苦智)가 욕계를 반연하고, 제3 찰나에는 고류인(苦類忍)이 색계ㆍ무색계(이 중에는 有頂도 포함함)를 반연하며, 제4 찰나에는 고류지(苦類智)가 색계ㆍ무색계를 반연하고, 곧장 뒤의 제5 찰나에는 집인(集忍)이 욕계를 반연한 것같이 소연(所緣)과 행상(行相)이 서로 교착하면서도 수행에는 장애가 없다.
  10. 299)세속의 무간도와 해탈도의 현재수(現在修)를 모두 말하였으므로 다음에서는 미래에 닦는[未來修] 행상의 소연(所緣)에 대하여 논한다.
  11. 300)아래에서는 일곱 가지 결(結)이 모두 멸한 것을 들면서 그 중의 어느 것이 4사문과(沙門果)의 어디에 속하는가를 말하였다. 그러나 본 절(節)에서는 이상의 일곱 가지에서 앞의 네 가지, 곧 첫째는 삼계 2부의 결류(結類), 둘째는 견고(見苦)ㆍ견집(見集)ㆍ견멸(見滅)ㆍ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것과 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5부의 결류(結類), 셋째는 고법지(苦法智)와 나아가 도류지(道類智)의 8지(智)에서 끊어지는 것과 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9부의 결류(結類), 넷째는 삼계 5부에서의 15부의 결류(結類)의 그 하나하나가 모두 다 멸하는 것에 대하여 그 낱낱의 것은 어느 과(果)에 속하는가, 또는 그렇지 않는가를 설명한다.
  12. 301)본 절(節)은 네 가지 결(結)에서 첫 번째이다. 이 첫 번째 결이 다할 때의 4사문과(沙門果)에 속하는 것을 욕계 2부(部)와 색계 2부와 무색계 2부의 하나하나에 대하여 평론(評論)하는 문단이다.
  13. 302)여기서 처소가 없다[無處]는 것이란 어떤 결(結)이 다한 것은 4사문과(沙門果)에는 속하지 않기 때문에 처소, 즉 속하는 곳이 없다고 말하는 것이다.
  14. 303)차제자(次第者)란 유부종(有部宗)에서는 수행하는 이가 미혹[惑]을 끊는 과정을 마치 계단[階]과 사다리[梯]와 같다고 여기므로 그 수행의 낱낱 계제(階梯)에 위치한 사람에 대하여 말하는 경우를 여기서 차제자라고 한다. 지금은 욕계의 견도에서 끊어지는 결(結)이 다한 것에 대하여 그 차제자의 경우를 구하는 것인데, 견도(見道) 15심(心)에서 욕계의 도제관(道諦觀) 중의 도법인(道法忍) 도법지(道法智)의 2심(心) 동안에 비로소 욕계의 견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게 되므로 곧 여기에서는 도현관(道現觀) 2심 동안의 그 결이 다한 것을 든다. 그러나 아직 도류인지(道類忍智)를 얻지 못하면 과를 얻지[得果] 못하는 것이므로 과에 속하지 않는 것이다. 다음의 차제자에 대해서도 이에 준하여 생각하면 된다.
  15. 304)견도(見道)의 수행자, 즉 수신행자(隨信行者)와 수법행자(隨法行者)에게는 ① 예류향(預類向)이라 불리는 이와 ② 혹은 일래향(一來向)이라 불리는 이와 ③ 혹은 불환향(不還向)이라 불리는 이의 세 가지가 있다.(『바사론』 제54권 첫머리 참조) 이 세 부류의 사람들이 저마다 도류지(道類智)를 얻으면 첫 번째 사람은 예류과(預流果)를 얻고, 두 번째 사람은 일래과(一來果)를 얻으며, 세 번째 사람은 불환과(不還果)를 얻는 것이므로 여기서 “그 알맞은 바에 따라 앞의 세 가지 과를 증득한다”라고 하는 것이다.
  16. 305)차제자는 색계 수도(修道)의 염(染)을 여읜 이도 과(果)를 얻는 것은 없기 때문에 이 색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한 것도 과에 속하지 않는다.
  17. 306)여기서 말한 고현관(苦現觀) 1심(心) 동안이라 함은 견도(見道) 15심의 고류지(苦類智)가 이미 생긴 한 순간을 말한다. 이미 삼계의 견고(見苦)에서 끊어지는 결이 다하게 되었기 때문이다.(次第者의 현관에 대해서는 앞으로 이것에 준하여 생각하면 분명해질 것이다.)
  18. 307)여기의 집현관(集現觀)의 1심(心) 동안이라 함은 집류지(集類智)가 이미 생긴 한 찰나이다.
  19. 308)멸류지(滅類智)가 이미 생긴 한 찰나이다.
  20. 309)여러 가지[雜] 대치할 것[所對治]이라 함은 법지품(法智品)과 유지품(類智品)에서 다스리게 되는 번뇌, 즉 수도에서 끊어지는 번뇌를 말한다.
  21. 310)고제(苦諦) 아래의 고법지(苦法智)와 고류인(苦類忍)과 고류지(苦類智)의 3심(心)이다.
  22. 311)고류지(苦類智)가 이미 생긴 한 찰나이다.
  23. 312)집법지(集法智)와 집류인(集類忍)과 집류지(集類智)의 한 찰나이다.
  24. 313)멸현관(滅現觀)의 3심(心) 동안이란 멸법지(滅法智)와 멸류인(滅類忍)과 멸류지(滅類智)를 말하며, 도현관(道現觀)의 3심 동안이란 도법지(道法智)와 도류인(道類忍)과 도류지(道類智)를 말한다.
  25. 314)이 문단은 『발지론』 제15권에서 의근(意根)과 사근(捨根)과 신근(信根) 등의 5근과 3무루근(無漏根) 등의 멸하거나 생함[滅起]에 의하여 4과(果)를 증득하는 것을 설명한 대목이다. 『바사론』의 해석에 의하면 멸하는 것은 무간도(無間道)에 속하고 생기는 것은 해탈도(解脫道)에 속한다고 한다.
  26. 315)이하에서는 15부(部)의 결(結)에서 욕계 5부의 결이 다한 것에 대하여 과(果)에 속하는 것을 말하고 있다.
  27. 316)이하에서는 15부의 결에서 색계 5부의 결이 다한 것에 대하여 과(果)에 속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28. 317)이하에서는 15부의 결에서 무색계 5부의 결이 다한 것에 대하여 과(果)에 속하는 것을 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