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30_0596_a_01L아비담오법행경(阿毘曇五法行經)


안세고(安世高) 한역


고법힐가(苦法黠可)란 고법(苦法)의 이치를 밝혀 구하는 지혜[黠]이고, 습법힐가(習法黠可)란 습법(習法)의 이치를 밝혀 구하는 지혜이며, 진법힐가(盡法黠可)란 진법(盡法)의 이치를 밝혀 구하는 지혜이고, 도법힐가(道法黠可)란 도법(道法)의 이치를 밝혀 구하는 지혜이다.
고법(苦法)이란 형체를 지닌 만물은 모두 다 쇠하고 늙고 죽는 것을 말하니, 이것이 고(苦)이다. 어리석은 사람은 모든 것이 항상 보존되고 유지된다고 말하며 즐거움으로 여긴다. 이치를 밝혀 구하려는 지혜로운 이[黠可者]는 그것들이 괴로움[苦]이라는 것을 알아 다시는 생사(生死)의 길로 향하지 않는다. 이를 고법의 이치를 밝혀 구하는 지혜로움이라 할 수 있다.
습법(習法)이란 탐욕[欲]에 물들고[習], 얻음[得]에 물들고, 음란[婬]에 물들고, 성냄[怒]에 물들고 어리석음[癡]에 물들고, 좋은 것[好]에 물들고 아름다운 것[美]에 물드는 것을 말한다. 이치를 밝혀 구하려는 지혜로운 이는 이와 같은 것을 습(習)으로 여겨 습으로부터 멸진[盡]을 얻어 곧 욕구하지 않게 된다. 이를 습법의 이치를 밝혀 구하는 지혜로움이라 할 수 있다.
진법(盡法)이란 사람이나 사물이 모여 들면 반드시 흩어져 없어지게 되는 데, 모여 들었다고 해서 기뻐하지 않고 잃었다고 해도 근심하지 않는 것이다. 이를 진법의 이치를 밝혀 구하는 지혜로움이라 할 수 있다.
도법(道法)이란 도를 행하여 도를 얻고, 선업(善業)을 지으면 천상에 올라가고 악업(惡業)을 지으면 악도(惡道)에 들어간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이치를 밝혀 구하려는 지혜로운 이는 악을 버리고 선으로 나아가는 것을 안다. 이를 도법의 이치를 밝혀 구하는 지혜로움이라 할 수 있다.
지혜로운 이와 깨달음을 구하는 이는 근본을 안다. 알지 못한다면 이는 괴로움[苦]이다. 괴로움이 첫 번째 의미라면 괴로움을 아는 것이 두 번째 의미이다. 습(習)이 첫 번째 의미라면 습을 아는 것이 두 번째 의미이다. 진(盡)이 첫 번째 의미라면 진을 아는 것이 두 번째 의미이다. 도(道)가 첫 번째 의미라면 도를 아는 것이 두 번째 의미이다.
이 여덟 가지 의미 이외에 비상(非常)ㆍ고(苦)ㆍ공(空)ㆍ비신(非身)이 있다. 본래 쌓아 익혀온 생인연(生因緣)이 다하여 그치면 마음대로 요도(要道)의 처소에서 감수(感受)하고 관(觀)하는 일을 다할[盡:滅) 수 있다.
고(苦)ㆍ공(空)ㆍ비신(非身)은 어떤 인연으로 진(盡)을 얻는가? 진은 고로부터 비롯되며, 고로부터 진을 얻을 수 있다. 진(盡)을 원인[因]으로 하면 공(空)을 얻을 수 있고, 공을 얻으면 내 몸이 아님[非我身]을 알 수 있다. 이 네 가지 의미는 고제(苦諦)를 따른 것이다.
고(苦)란 무엇인가? 생사 과정에 있는 모든 것이 다 고이다. 반드시 하고 싶은 것도 있고 또한 하고 싶지 않은 것도 있을 것이다. 반드시 하고 싶은 것이란 인간이 얻고자 하는 것들이고, 또한 하고 싶지 않은 것이란 인간의 마음이 하고 싶지 않은 것들이다. 이 모든 것이 괴로움이다. 탐(貪)은 습(習)으로부터 비롯된다. 비상(非常)을 따라 마음[意]이 멸(滅)을 구해야 한다. 고(苦)는 습(習)으로부터 얻는 것이다.
법(法)이란 무엇인가? 인연(因緣)이 이것을 짓나니, 이를 얻는 것을 법이라 한다. 마땅히 인식하고[識] 나면 인식이 물러나며 그러면 마음[意]도 마땅히 끊어진다. 사제(四諦) 가운데 고제(苦諦)와 습제(習諦)로부터 도(道)를 보면[見] 그것이 습(習)으로부터 일어남을 알 수 있고, 습을 보면 그 고(苦)를 알 수 있으며, 진제(盡諦)를 보면 비상(非常)을 알 수 있다.
가(可)란 무엇인가? 도(道)를 좋아하여 도를 잊지 않는 것이다. 항상 도를 구하는 것이 도라고 여기는 것을 가라고 한다.
힐(黠)이란 무엇인가? 항상 도를 묻는 것이 힐이다. 물은 후에는 받아들일 수 있고 행할 수 있는 것이 힐이다.
습(習)도 이와 같고 진멸(盡滅)도 이와 같으며, 도(道)도 역시 이와 마찬가지이다.
고(苦)는 죄(罪)이고 법(法)은 번뇌[結]를 행함이다. 힐(黠)은 삼십칠품경(三十七品經)이다. 가(可)는 행(行)이고 행이란 도를 행함을 말한다. 습(習)도 이와 같고, 진(盡)도 이와 같고 도(道)도 이와 같아서 모두 증상(增上)되어 간다.
첫 번째는 고(苦)이다. 고는 무엇인가? 모든 악에 대해 마음[意]이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 고이다. 이미 고(苦)를 인식하여 탐욕을 부리지 않는 자가 도를 행하여 도를 떠나지 않는 것이 가(可)이다. 고(苦)의 발생에는 바탕[本]이 있다. 고(苦)란 어떠한 것인가? 본래 만물(萬物)로부터 비롯된다. 그런데 만물은 존재하지도 않고 다함도 없다. 다함이 없으므로 사람들에게 근심이 없으며, 근심이 없으므로 사람들에게는 고(苦)가 없다.
두 번째는 습(習)인데 습이란 무엇인가? 마음이 애착[受]을 따르는 것이 습이다. 애착을 끊으면 습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어떤 행을 해야 애착을 끊을 수 있는가? 만물은 모두 인연으로부터 생한다. 그러므로 인연을 끊으면 다시는 생하지 않는다. 인연을 끊게 되면 마음 속[意]으로 도(道)를 생각하게 된다. 마음속으로 도를 생각하게 되면 마음이 두 생각[兩念]을 내지 않고 도에 생각을 두게 된다. 이것이 습이다.
세 번째는 진(盡)이다. 고법(苦法)인 만물이 무너지면 근심하게[憂] 되고, 근심하게 되면 늙게 되며, 늙으면 병들고 수척해져 죽게 되는데, 이를 외진고법(外盡苦法)이라 한다. 외진(外盡)이 고법이 되는 까닭은 자신의 죄가 아직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신의 죄가 아직 제거되지 않은 까닭은 생사가 아직 멸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생사가 아직 멸하지 않은 까닭은 한 마음[意]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 마음이 아닌 까닭은 선기(禪棄)1)에 빠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선기에 빠지지 못한 까닭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받아들여 실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를 외진(外盡)이라 한다. 내진(內盡)이란 무엇인가? 마음[意]을 꼭 잘 지키는 것이다. 그 한 마음[一意]을 잘 지키면 다른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다른 마음이 생기지 않으면 번뇌[結]를 멸할 수 있다. 번뇌가 멸하면 죄가 다 없어진다. 죄가 다하면 진(盡)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내진(內盡)이라 한다.
네 번째는 도(道)인데 도는 무엇인가? 고(苦)는 도(道)에 대한 마음을 내게하는 데, 이를 팔종(八種)이라 한다. 팔종이란 무엇인가? 이는 안반수의(安般守意)에서 말하는 팔행(八行)2)의 의미와 같다. 생사에 떨어지지 않고 단지 도에 빠지며, 이미 도에 빠지면 앞의 세 가지 것[三事]을 끊게 된다. 세 가지 것이란 무엇인가? 고(苦)ㆍ습(習)ㆍ진(盡)이다. 이미 고ㆍ습ㆍ진을 끊고 나면 선정[定]에 든다. 이미 선정에 들어 나아가게 되면 도를 얻게 된다. 도를 얻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이미 고가 멸하여 다시는 생기지 않는 것을 얻는다고 한다.
다섯 가지 법행(法行)이 있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색(色)이고, 둘째는 의(意)이며, 셋째는 소념(所念)이고, 넷째는 별리의행(別離意行)이며, 다섯째는 무위(無爲)이다.
색이란 무엇인가? 이른바 색(色) 모두는 사행(四行)에 있으며 또한 사행으로부터 비롯된다. 사행이란 무엇인가? 지종(地種)ㆍ수종(水種)ㆍ화종(火種)ㆍ풍종(風種)이다. 또한 사행으로부터 비롯되는 색은 무엇인가? 안근(眼根)ㆍ이근(耳根)ㆍ비근(鼻根)ㆍ설근(舌根)ㆍ신근(身根)과 색(色)ㆍ성(聲)ㆍ향(香)ㆍ미(味)ㆍ세활(細滑:觸)과 일부분[一處]의 불갱(不更:無表色)이다.
의(意)란 무엇인가? 이른바 의심식(意心識)이다. 이것은 무엇인가? 육식신(六識身)이다. 육식(六識)이란 무엇인가? 안식(眼識)ㆍ이식(耳識)ㆍ비식(鼻識)ㆍ설식(舌識)ㆍ신식(身識)ㆍ심식(心識)이다.
소념법(所念去)이란 무엇인가? 가령 소념법은 의(意)와 함께 상응한다. 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통(痛)ㆍ상(想)ㆍ행(行)ㆍ양(痒)ㆍ의념(意念)ㆍ욕(欲)ㆍ의(意)ㆍ정(定)ㆍ힐(黠)ㆍ신(信)ㆍ진(進)ㆍ계(計)ㆍ염(念)ㆍ탐(貪)ㆍ불탐(不貪)ㆍ선본(善本)ㆍ악본(惡本)ㆍ불분별본(不分別本)ㆍ일체의 결박(結縛)ㆍ사(使)3)ㆍ노(勞)ㆍ종기(從起)ㆍ소힐(所黠)ㆍ소견(所見)ㆍ소요(所要)가 있으며, 이와 같은 법은 마음[意]과 함께 상응하므로 이를 의소념법(意所念法)이라 한다.
별리의행(別離意行)이란 무엇인가? 의(意)와는 따로 떨어져 함께 상응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득(得)ㆍ불사상정(不思想政)ㆍ진정(盡政)ㆍ불사상염상(不思想念想)과 하배(下輩)의 고득(苦得)ㆍ처득(處得)ㆍ종득(種得)ㆍ입득(入得)과 생(生)ㆍ노(老)ㆍ지(止)ㆍ비상(非常)ㆍ명자(名字)ㆍ절구(絶具)ㆍ여응(如應)이 있으며, 또한 그 밖의 이와 같은 법은 의행(意行)과는 분별되므로 분별의행(分別意行)이라고 한다.
무위(無爲)란 무엇인가? 공(空)ㆍ멸(滅)ㆍ미리멸(未離滅)이니, 결코 감수(感受)되지 않는다.
지종(地種)이란 무엇인가? 견고함[堅]이다. 수종(水種)이란 무엇인가? 축축함[濕]이다. 화종(火種)이란 무엇인가? 뜨거움[熱]이다. 풍종(風種)이란 무엇인가 ? 일어남[起]이다.
안근(眼根)이란 무엇인가? 안식(眼識)이 같이 붙어 작용을 일으키는 색(色)을 말한다. 이근(耳根)이란 무엇인가? 이식(耳識)이 같이 붙어 작용을 일으키는 색을 말한다. 비근(鼻根)이란 무엇인가? 비식(鼻識)이 같이 붙어 작용을 일으키는 색을 말한다. 설근(舌根)이란 무엇인가? 설식(舌識)이 같이 붙어 작용을 일으키는 색을 말한다. 신근(身根)이란 무엇인가? 신식(身識)이 같이 붙어 작용을 일으키는 색을 말한다.
색(色)이란 무엇인가? 가령 색에는 단정(端正)하거나 단정하지 못한 색과 그 중간 정도의 색이 있다. 그 양상을 생각하면 먼저 하나의 식이 작용한다. 눈[眼]이 색(色)을 인식하고 다시 심식(心識)이 색을 인식하여 두 가지 식이 번갈아 인식한다. 두 가지 식[兩識]이란 무엇인가? 안식(眼識)과 심식(心識)이다.
소리[聲]란 무엇인가? 사행(四行:四大)을 감수[受]함으로부터 비롯되는 소리와 사행을 감수함으로부터 비롯되지 않는 소리가 있고, 사행을 감수함으로부터 비롯되는 근본적인 소리와 사행을 감수함으로부터 비롯되지는 않지만 근본적으로 감수할 수 있는 소리가 있다. 먼저 하나의 식(識)이 소리를 인식하니 이식(耳識)임을 알 수 있다. 그런 다음 다시 심식(心識)이 곧 이 소리를 인식한다. 두 가지 식이 번갈아 인식한다. 이식(耳識)과 심식(心識)이다.
향(香)이란 무엇인가? 뿌리의 향ㆍ줄기의 향ㆍ꽃의 향ㆍ열매의 향ㆍ향기의 향[香香]ㆍ취향(臭香) 등의 항과 여러 모든 종류의 향[所香]이 있다. 이를 항이라 한다. 먼저 하나의 식이 작용하니, 그 하나의 식은 비식(鼻識)임을 알 수 있다. 다시 심식(心識)이 곧 이 향을 인식한다. 두 가지 식이 번갈아 인식한다. 비식과 심식이다.
맛[味]이란 무엇인가? 신맛[酢味]ㆍ단맛ㆍ소금맛ㆍ쓴맛ㆍ짠맛ㆍ매운맛ㆍ떫은맛이 있고 또한 씹어서 느낄 수 있는 맛이 있다. 먼저 하나의 식이 작용하니, 그것은 설식(舌識)임을 알 수 있다. 설식 다음에는 다시 심식이 곧 맛을 인식한다. 두 가지 식이 번갈아 인식한다. 설식과 심식이다.
세활(細滑)이란 또 무엇인가? 매끄러움ㆍ거침ㆍ가벼움ㆍ무거움ㆍ차가움ㆍ뜨거움ㆍ배고픔ㆍ갈증남이다. 먼저 하나의 식이 작용하니, 신식(身識)임을 알 수 있다. 신식 다음에는 다시 심식이 한 곳[一處]의 즐거움[樂]을 인식한다. 두 가지 식이 번갈아 인식한다.
심식의 일부분인 불갱색(不更色)이란 무엇인가? 색법(色法)에 식(識)과 상(想)이 들러붙는 것과 같다. 이는 무엇인가? 가령 몸[身]이 선한 것이든 선하지 못한 것이든 불갱(不更:無表ㆍ無作)함이다. 항상 하나의 식만 작용하니, 심식(心識)임을 알 수 있다. 안식(眼識)이란 무엇인가? 안근(眼根)을 서로 의지하여 색(色)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식(耳識)이란 무엇인가 ? 이근(耳根)을 서로 의지하여 소리[聲]를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비식(鼻識)이란 무엇인가 ? 비근(鼻根)을 서로 의지하여 냄새[香]를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설식(舌識)이란 무엇인가? 설근(舌根)을 서로 의지하여 맛[味]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신식(身識)이란 무엇인가? 신근(身根)을 서로 의지하여 낙착(樂著)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심식이란 무엇인가? 심근(心根)을 서로 의지하여 법(法)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통(痛)이란 무엇인가? 낙(樂)이니 이에는 세 가지가 있다. 즉, 적은 것[少]ㆍ많은 것[多]ㆍ한량이 없는 것[無有量]이다.
상(想)이란 무엇인가? 경계에 대하여 사유하는 것이다.
행(行)이란 무엇인가? 짓는 것을 말하며 이에는 세 가지가 있다. 선한 것[善]ㆍ악한 것[惡]ㆍ복이나 재앙을 분별하지 않는 것[不分別福殃度)이다.
원락(願樂)이란 무엇인가? 세 가지4)가 모여 성립하는 것으로 이에도 세 가지가 있다. 선락(善樂)ㆍ악락(惡樂)ㆍ불선불악락(不善不惡樂)이다. 의념(意念)이란 무엇인가? 의념에도 또한 세 가지가 있다. 선(善)ㆍ악(惡)ㆍ불분별(不分別:無記)이다.
욕(欲)이란 무엇인가? 마음이 작용하고자[欲作]하는 것이다. 이는 무엇인가? 마음[意]을 쓰는 것을 말한다.
의(意)란 무엇인가? 염두함[念]이다.
사유(思惟)란 무엇인가 ? 전일한 마음[一意]이다.
힐(黠)이란 무엇인가 ? 법을 관하는 것[觀法]이다.
신(信)이란 무엇인가 ?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것[可意]이다.
진(進)이란 무엇인가 ? 생각[念]을 관(觀)하는 것이다.
계(計)란 무엇인가 ? 생각한 바를 구하려고 바람[望]이나 염원(念願)을 늘리는 것이다. 이러한 바람을 계(計)라 이름한다.
분별념(分別念)이란 무엇인가? 관찰대상[所觀]을 관찰함[觀]을 따르되 , 끊이지 않고 따르는 것이다. 이를 염(念)이라 이름한다.
계(計)와 념(念)은 무엇인가? 마음[意]이 조대(粗大)한 것을 계(計)라 하고, 마음이 은미한 것을 염(念)이라 한다. 계와 염은 다르다.
탐(貪)이란 무엇인가? 선법(善法)을 따르지 않고 믿지 않으며, 지성을 다해 실천하지 않는 것이다. 마땅히 실천하지 않는 것을 탐(貪)이라 한다.
불탐(不貪)이란 무엇인가? 선법을 따라 믿고 지성을 다해 행하는 것이다. 마땅히 행하는 것을 불탐이라 한다.
선본(善本)이란 무엇인가? 세 가지 선본이 있다. 탐욕(貪欲)이 없는 선본과 성냄이 없는 선본과 어리석음이 없는 선본이다. 이를 선본이라 한다.
불선본(不善本)이란 무엇인가? 불선본에 세 가지 있다. 탐욕이 불선본이고 성냄이 불선본이며 어리석음이 불선본이다. 이를 불선본이라 한다.
불분별본(不分別本)이란 무엇인가? 다섯 가지가 있다. 불분별애(不分別愛)ㆍ불분별교만(不分別憍慢)ㆍ불분별치(不分別經)ㆍ불분별의(不分別疑)ㆍ불분별행(不分別行)이다. 이를 불분별본이라 한다.
결(結)이란 무엇인가? 아홉 가지 결이 있다. 첫째는 지념결(拂念結)이고, 둘째는 증결(憎結)이며, 셋째는 교만결(憍慢結)이고, 넷째는 치결(癡結)이며, 다섯째는 사결(邪結)이고, 여섯째는 실원결(失願結)이며, 일곱째는 의결(疑結)이고, 여덟 째는 질결(嫉結)이며, 아홉째는 간결(結)이다.
지념결(持念結)이란 무엇인가? 삼계(三界) 안에서 탐하는 것이다.
증결(憎結)이란 무엇인가? 사람들에게 분노를 그치지 않는 것이다.
교만결(憍慢結)이란 무엇인가? 교만결에는 일곱 가지가 있다. 무엇이 일곱 가지인가? 첫째는 교만(憍慢)이고, 둘째는 교(憍)이며, 셋째는 자만(自慢)이고, 넷째는 자계만(自計漫)이며, 다섯째는 기만(欺慢)이고, 여섯째는 불여만(不如慢)이며, 일곱째는 사만(邪慢)이다.
교만이란 무엇인가? 자기보다 못한 이에게 자신이 뛰어나다고 하고 자기와 같은 정도의 사람과는 동등하다고 여긴다. 이런 교만함으로부터 스스로 헤아리는 마음[計意]을 일으켜 의식이 그런 마음[意]과 합하는 것을 교만이라 한다.
만(慢)이란 무엇인가? 같은 또래의 무리들 가운데 뛰어나다고 여기고 뛰어난 이들 가운데서는 자신이 그들과 동등하다고 여긴다.
이런 교만함으로부터 또한 스스로 헤아리기를 자기가 뛰어난 이들 가운데 뛰어나다고 여기는 것을 자만(自慢)이라고 한다. 또한 말하는 이가 교만하고 오만하여[憍慢慢] 그런 모든 것에 합치되면 이를 자만이라고 한다.
자계만(自計慢)이란 무엇인가? 오음(五隆) 자체를 나의 몸[我身]이라 헤아려 스스로 생각한다. 이런 교만함[慢慢]으로부터 스스로 안다는 생각을 내 그런 마음을 일으켜 그런 생각에 합치하는 것을 자계만이라 한다.
기만(欺慢)이란 무엇인가? 아직 얻지 못했는데 얻었다고 헤아리고[計], 아직 알지 못했는데 안다고 헤아리고, 아직 다하지[盡] 못했는데 다하였다고 헤아린다. 이런 교만함으로부터 스스로 헤아리는 마음으로 관(觀)하고 그런 마음을 일으켜 그런 의도에 합치하는 것을 기만이라 한다.
불여만(不如慢)이란 무엇인가? 차이가 커서 같지 못하면서도 스스로 조금만 차이가 난다고 헤아리고, 권세든 업이든 어떤 것이든 죄이든 병이든 열 배, 백배에 미치지 못하면서도 스스로 이와 같이 헤아려 오히려 자신과 같지 못하다고 여긴다. 이러한 교만으로부터 스스로 헤아리고 인식하여[見] 마음[意]을 내 그런 마음을 일으켜 그런 생각에 합치하여 스스로 행위하는 것을 불여만이라고 한다.
사만(邪慢)이란 무엇인가? 어질지 못한 자[不賢者]가 스스로 어질다고 여긴다. 이러한 교만함으로부터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헤아려 마음을 내 그런 마음을 일으켜 그런 생각에 합치하는 것을 사만이라고 한다. 이들을 일곱 가지 만(慢)이라고 하며 이러한 만을 교만결(憍慢結)이라 한다.
치결(癡結)이란 무엇인가? 삼계 안에 있는 모든 어리석음을 치결이라 한다.
사결(邪結)이란 무엇인가? 사결에는 세 가지가 있다. 그것을 사결이라 한다. 첫째는 신사(身邪)이고 둘째는 변사(邊邪)이며 , 셋째는 사사(邪邪)이다.
신사란 무엇인가? 이 몸을 나의 몸[我身]이라고 여기는 것을 신사라고 한다.
변사란 무엇인가? 첫째는 단멸(斷滅)의 견해이고, 둘째는 상재(常在)의 견해이니 이를 변사라고 한다.
사사란 무엇인가? 사사는 근본적인 것에 대해 쟁론하여 복(福)을 파괴하는 것이다.
이것이 세 가지 사(邪)이다.
실원결(失願結)이란 무엇인가? 근본을 잃어 공덕을 받아들이지 않고, 은혜를 알지 못하는 것을 실원결이라 한다. 이 두 가지 잃는 것을 실원결이라 한다.
도결(盜結)이란 무엇인가? 두 가지 도(盜)를 도결이라 한다. 첫째는 수도(受盜)이고, 둘째는 계도(戒盜)이다. 수도(受盜)란 무엇인가? 오음(五陰)에 대해서 최상이어서 끝이 없다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욕구를 일으키고 마음[意]을 내어 좋다고 여기고 수용하는 것을 수도5)라고 한다.
도계(盜戒)란 무엇인가? 오음(五陰)을 청정함[淨]ㆍ벗어남[離]ㆍ해탈[解]ㆍ출요[出要]라고 여김으로써 수용한다. 그에 따라 사람에 대해 마음을 내고 좋다고 받아들이고 소원하는 것을 도계라고 한다.
이 두 가지 도(盜)를 도결(盜結)이라 한다.
의결(疑結)이란 무엇인가?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諦]를 의심하는 것을 의결이라 한다.
질결(嫉結)이란 무엇인가? 마음[意]을 어지럽게 하는 것이 질결이다.
간결(慳結)이란 무엇인가? 마음을 제어하지 못하는 것을 간결이라 한다.
이상이 일체 결(結)에 관한 것이다.
박(縛)이란 무엇인가? 매이는 것을 박이라 하고 매임이라 한다.
사(使)란 무엇인가? 사에는 일곱 가지가 있다. 무엇이 일곱 가지인가? 첫째는 욕사(欲使)이고, 둘째는 불가사(不可使)이며 , 셋째는 욕세간사(欲世間使)이고, 넷째는 교만사(憍慢使)이며, 다섯째는 치사(癡使)이고, 여섯째는 사사(邪使)이며 , 일곱째는 의사(疑使)이다.
욕사란 무엇인가? 욕사에는 다섯 가지 사(使)가 있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욕계(欲界)에 매인6) 고견(苦見)에서 끊어야 할 탐욕[欲], 욕계에 매인 습견(習見)에서 끊어야 할 탐욕, 욕계에 매인 진견(盡見)에서 끊어야 할 탐욕, 욕계에 매인 도견(道見)에서 끊어야 할 탐욕, 욕계에 매인 사유견(思惟見)에서 끊어야 할 탐욕이다. 이것을 다섯 가지 사라 한다. 욕사(欲使)라고 한다.
불가사란 무엇인가? 다섯 가지 사를 불가사라 한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고견(苦見)에서 끊을 수 없는 것[不可斷], 습견(習見)에서 끊을 수 없는 것, 진견(盡見)에서 끊을 수 없는 것, 도견(道見)에서 끊을 수 없는 것, 사유견(思惟見)에서 끊을 수 없는 것이다. 이 다섯 가지 사를 불가사라 한다.
세간욕가사(世間欲可使)란 무엇인가? 열 가지 사[十使]를 세간욕가사라 한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색계(色界)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욕(欲), 색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욕, 색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욕, 색계에 매인 견행도(見行道)에서 끊어야 할 욕, 색계의 원인[因]에 매인 사유(思惟)에서 끊어야 할 욕, 무색계(無色界:無有色)의 원인[因]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욕, 무색계의 원인[因]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욕(欲), 무색계의 원인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욕, 무색계의 원인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욕, 무색계의 원인에 매인 사유(思惟)에서 끊어야 할 욕이다. 이 열 가지 사[十使]를 욕세간사(欲世間使)라 한다.
교만사(憍慢使)란 무엇인가? 교만사에는 열다섯 가지가 있다. 무엇이 열다섯 가지인가? 욕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교만, 욕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교만, 욕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교만, 욕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교만, 욕계에 매인 사유견(思惟見)에서 끊어야할 교만, 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교만, 색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교만, 색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교만, 색계에 매인 사유(思惟)에서 끊어야 할 교만, 무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교만, 무색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교만, 무색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교만, 무색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교만, 무색계에 매인 사유(思惟)에서 끊어야 할 교만이다. 이 열다섯 가지 사(使)를 교만사(憍慢使)라 한다.
치사(癡使)란 무엇인가? 열다섯 가지 사(使)를 치사라고 한다. 무엇이 열다섯 가지인가? 욕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癡], 욕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욕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욕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욕계에 매인 사유(思惟)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색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색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색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색계에 매인 사유(思惟)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무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무색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무색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무색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 무색계에 매인 사유(思惟)에서 끊어야 할 어리석음이다. 이 열 다섯 가지 사를 치사(癡使)라고 한다.
사사(邪使)란 무엇인가? 서른여섯 가지 사가 사사이다. 무엇이 서른여섯 가지인가? 욕계에 매인 열두 가지 사(使), 색계에 매인 열두 가지 사, 무색계에 매인 열두 가지 사를 서른여섯 가지 사라고 한다. 욕계에 매인 열두 가지 사는 무엇인가? 욕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할 신사(身邪), 욕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요사(要邪), 욕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사사(邪邪), 욕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사사(邪邪), 욕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사사(邪邪), 욕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사사(邪邪), 욕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할 견도(見盜), 욕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견도(見盜), 욕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견도(見盜), 욕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할 견도(見盜), 욕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계도(戒盜), 욕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계도(戒盜)이다. 이를 열두 가지 사로서 욕계에 매인 사라 한다.
색계에 매인 열두 가지 사는 무엇인가? 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할 신사(身邪), 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요사(要邪), 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사사(邪邪), 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할 견도(見盜), 색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사사(邪邪), 색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사사(邪邪), 색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할 사사(邪邪), 색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견도(見盜), 색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견도(見盜), 색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할 견도(見盜), 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계도(戒盜), 색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계도(戒盜)이다. 이를 열두 가지 사로서 색계에 매인 사라 한다.
무색계(無色界)에 매인 열두 가지 사는 무엇인가? 무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신사(身邪), 무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요사(要邪), 무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사사(邪邪), 무색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사사(邪邪), 무색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사사(邪邪), 무색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사사(邪邪), 무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견도(見盜), 무색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견도(見盜), 무색계에 매인 견진(見盡)7)에서 끊어야 할 견도(見盜), 무색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견도(見盜), 무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계도(戒盜), 무색계에 매인 견도(見適)에서 끊어야 할 계도(戒盜)이다. 이를 열두 가지 사로서 무색계에 매인 사라 한다.
이것이 서른여섯 가지 사(使)가 되며, 서른여섯 가지 사사(邪使)라 한다.
의사(疑使)란 무엇인가? 열두 가지 사(使)를 의사라 한다. 무엇이 열두 가지인가? 욕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의(疑), 욕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의혹, 욕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끓어야 할 의혹, 욕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의혹, 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의혹, 색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의혹, 색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의혹, 색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의혹, 무색계에 매인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의혹, 무색계에 매인 견습(見習)에서 끊어야 할 의혹, 무색계에 매인 견진(見盡)에서 끊어야 할 의혹, 무색계에 매인 견도(見道)에서 끊어야 할 의혹이다. 이를 열두 가지 의사(疑使)라 한다.
노(勞)8)에는 진(塵)이 있고 진뇌(塵腦)가 있다. 어떤 때는 진만 있고 뇌(腦)가 없다. 진(塵)을 제외한 나머지가 의념(意念)을 어지럽히는 법인데, 이것은 뇌이지 진은 아니다.
종기(從起)에는 여덟 가지가 있다. 첫째는 수(睡)이고, 둘째는 명(瞑)이며, 셋째는 낙(樂)이고, 넷째는 의(疑)이며, 다섯째는 의(猗)이고, 여섯째는 자태(姿態)이며, 일곱째는 불괴(不愧)이고, 여덟째는 불참(不慚)이다. 따라서 종기(從起)를 여덟이라고 말한다.
소힐(所黠)이란 무엇인가? 열 가지 힐(黠)이 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첫째는 법힐(法黠)이고, 둘째는 비힐(比黠)이며, 셋째는 지인심힐(知人心黠)이고, 넷째는 교힐(巧黠)이며, 다섯째는 고힐(苦黠)이고, 여섯째는 습힐(習黠)이며, 일곱째는 멸힐(滅黠)이고, 여덟째는 도힐(道黠)이며, 아홉째는 진힐(盡黠)이고, 열째는 무위힐(無爲黠)이다.
법힐(法黠)이란 무엇인가? 생사(生死:行)가 욕계에 처해 있다는 것을 아는 결박이 없는 지혜[無有結黠:無漏智]이고, 생사가 욕계의 근본임을 아는 무유결힐이며, 생사가 욕계에서 멸한다는 것을 아는 무유결힐이고, 생사가 욕계에서 무너지게 하는 것이 도행(道行)임을 아는 무유결힐이다. 또한 법힐과 법힐의 자리[法池]를 아는 무유결힐이다. 이를 법힐이라 한다.
비힐(比黠)이란 무엇인가? 색계와 무색계에서 행(行)을 아는 무유결힐(無有結黠)이고, 색계와 무색계에서 행의 근본 원인[本]을 아는 무유결힐이며, 색계와 무색계에서 행의 멸[行滅]을 아는 무유결힐이고, 색계와 무색계에서 행을 끊는 도(道)를 아는 무유결힐이다. 또한 비힐과 비힐의 자리[比地]에 대해 아는 무유결힐이다. 이를 비힐이라 한다.
지인심힐(知人心黠)이란 무엇인가? 지혜로움을 행해서 얻은 지혜의 복이며 지혜로움의 합(合)이다. 이미 얻은 다음에는 버리지 않고 항상 염두하여 잊어버리지 않으며 다른 사람을 위하고 다른 대중들을 위하여 은혜로운 인식행을 한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들의 의념(意念)을 잘 알므로 이를 지인심힐이라 한다.
교힐(巧黠)이란 무엇인가? 세간에서 행해지는 지혜[黠]이다. 이를 교힐이라 한다.
고힐(苦黠)이란 무엇인가 ? 오음(五陰)을 비상(非常)ㆍ고(苦)ㆍ공(空)ㆍ비신(非身)이라고 받아들여 그렇게 생각하는 무유결힐(無有結黠)이다. 이를 고힐이라 한다.
습힐(習黠)이란 무엇인가? 세간의 근본 원인이 본래 모여[集] 인연을 낳는다고 생각[思念] 하는 무유결힐이다. 이를 습힐이라 한다.
멸힐(滅黠)이란 무엇인가? 멸하여 없어진 상태를 지혜로 삼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결박이 없는 지혜[不結黠]이다. 이를 멸힐이라 한다.
도힐(道黠)이란 무엇인가? 도(道)를 도로 여겨 응당 그렇게 받아들이고 간주하여[受觀] 욕계로 부터 벗어나려고 생각하는 무유결힐(無有結黠)이다. 이를 도힐이라 한다.
진힐(盡黠)이란 무엇민가? 이미 고(苦)가 다했음을 인식하고, 이미 습(習)을 버리고, 진(盡)을 이미 증득하고, 도(道)를 이미 행하여 이로부터, 힐(頡)ㆍ견(見)ㆍ지(知)ㆍ의(意)가 합당함을 얻는다. 이를 진힐이라 한다.
무위힐(無爲黠)이란 무엇인가? 고(苦)를 이미 경험했으므로 다시는 경험할 것이 없고 습(習)을 이미 마쳤으므로 다시는 마칠 것이 없으며, 진(盡)을 이미 증득했으므로 다시는 증득할 것이 없고, 도(道)를 이미 행했으므로 다시는 행할 것이 없으니 이로부터 힐ㆍ견ㆍ지ㆍ의가 합당함을 얻는다. 이를 무위힐이라 한다.
따라서 소힐(所黠)이라 말한다.
모든 견[所有見]이란 무엇인가? 모든 힐전(黠見)이 견(見)이다. 어떤 경우에는 견(見)이지만 힐(黠)이 아닌 때도 있다. 그것은 무엇인가? 여덟 가지 갱자가(更者可)이다. 여덟 가지 갱자가란 무엇인가? 고법힐가(苦法黠可)ㆍ고비힐가(苦譬黠可)ㆍ습법힐가(習法黠可)ㆍ습비힐가(習譬黠可)ㆍ진법힐가(盡法黠可)ㆍ진비힐가(盡譬黠可)ㆍ도법힐가(道法黠可)ㆍ도비힐가(道譬黠可)이다. 따라서 소견(所見)이라고 말한다. 만약 이것을 얻으면 힐(黠)이고, 얻지 못했을 때에는 비힐(非黠)이다. 팔갱가(八更可)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다. 따라서 소갱(所更)이라 말한다.
덕(德)이란 무엇인가 ? 법을 얻는 것을 덕이라 한다.
무유사상사유(無有思想思惟)란 무엇인가? 친상(天上)의 한 곳[一處]을 일체정(一切淨)이라 하는데, 무유욕천(無有欲天) 앞에 있다. 사상(思想)을 벗어나 의법(意法)과 염법(念法)이 멸하여 따르지 않으니[不隨] 이를 불사상사유(不思想思惟)라고 한다.
멸사유(滅思惟)란 무엇인가? 스물여섯 번째 천상(天上)의 이름을 불욕(不欲)이라 하는데 그 가운데 도를 얻는 이는 먼저 행(行)을 벗어나 의법과 염법이 멸하게 된다. 이를 멸사유라 한다. 불사상(不思想)이란 무엇인가? 사상이 없는 사람이 천상에 화생(化生)하여 먼저 마음[意]도 또한 천상에 떨어질 때 마음이 제거되는데, 이 사이에는 그로부터 마치 의병과 염법이 멸한 것과 같은 상태다. 이를 불사상이라 한다.
염근(念根)이란 무엇인가? 삼계 중의 수명[命]이다.
회(會)란 무엇인가? 인간이 함께 모여 사는 것이다.
처득(處得)9)란 무엇인가? 함께 군현(郡縣)을 이루는 것이다.
종득(種得)이란 무엇인가 ? 오음(五陰)이다.
입득(入得)이란 무엇인가 ? 이른바 내(內:根)와 외(外:境)가 입(入:處)을 얻는 것이니 이를 입득이라 한다.
생(生)이란 무엇인가 ? 음(陰)을 얻는 것이다.
노(老)란 무엇민가? 음(陰)이 익어가는[熟] 것이다.
지(止)란 무엇인가? 숙명의 행(行)이 다가오는 것[來望]이다.
비상(非常)이란 무엇인가? 이미 생긴 것이 다시 없어지는 것이다.
명자(名宇)란 무엇인가? 인식하여 분별하는 것[知分別]이다.
절(絶)이란 무엇인가 ? 글자가 갖추어지는 것이다.
정용(政用)이란 무엇인가 ? 글자가 모이는 것이다.
공(空)이란 무엇인가? 허공은 그 안에 존재하는 바가 없고[無所有], 집착할 바도 없으며(無所著), 색이라는 것도 없다[無所色]. 이를 공이라 한다.
진상미리(盡尙未離)란 무엇인가? 이미 멸해 없어진 것은 다시 되풀이되지 않고 다시 집착할 바가 없는 것이다.[아직 번뇌를 다 벗어나지 못한 상태이다.]
진(盡)이란 무엇인가 ? 세간을 초월한[度] 무위(無爲)이다.
이것이 오법(五法)ㆍ오행(五行)인데 모두 말하였다.
030_0596_a_01L阿毘曇五法行經後漢安息三藏安世高 譯苦法黠可苦法黠習法黠可習法黠盡法黠可盡法黠道法黠可道法黠苦法者謂形體萬物皆當衰老死亡是爲苦癡人謂可常保持是爲樂黠可知是爲苦便不復向生死是爲苦法黠可習法者謂#習欲習得習婬習怒習癡好習美黠可者如是爲習從習盡便不欲是爲習法黠可盡法者人物會當消散滅盡便得亦不喜失亦不憂是爲盡法黠可道法者行道得道作善上天作惡入惡道黠可知去惡就善是爲道法黠可黠者覺可者知本不知是爲苦苦爲一意知爲苦是爲二意習爲一意知爲習是爲二意盡爲知爲盡是爲二意道爲一意知爲道是爲二意此八意在外非常苦空非身本習生因緣盡止如意要道處受觀盡苦非身何緣得盡盡從苦來苦得盡因盡便得空得空便知非我身是四意爲隨苦諦何等爲苦一切在生死皆爲苦會欲亦不欲會欲謂人諸所欲得#亦不欲謂人意諸所不欲是皆爲苦貪從習隨非常意求滅苦從習得何等爲法謂因緣作是得是是爲法當爲識已識爲卻意當爲斷從四諦中苦諦習諦爲證有道見苦知從習見習知苦見盡諦知非常何等爲可謂憙道不忘道常求道道爲可何等爲黠常問道爲黠已問能受能行是爲黠習亦如是盡滅亦如是道亦如是苦爲罪法爲行結黠爲三十七品經爲行行者爲行道如是爲習如是爲如是爲道皆爲增上第一爲苦何等爲苦一切惡不可意爲苦已識苦不欲者便行道不離爲苦生有本苦爲何等本從萬物物無有亦不盡已不盡人亦不憂不憂人亦無有苦第二爲習何等爲習意隨愛爲習愛無有習持何等行爲斷愛萬物皆從因緣生斷因緣不復生當那得斷因緣持意念道已持意念道意不得兩念便在道是爲習第三爲盡苦法爲萬物以敗便得憂已得憂便老已老便得病是名爲外盡苦法何以故爲外盡苦法自罪未除何以故爲自罪未除爲生死未滅何以故生死未滅爲非一意何以故非一意爲不墮禪棄故何以不墮禪棄不受行如佛語是名爲外盡內盡爲何等意墮守已墮守意不得生已餘意不得生便滅結滅結便罪盡已罪盡便盡無有是名爲內盡第四爲道何等爲道苦可意道名爲八種何等爲八種如是安般守意說八行意不墮生死但有墮道已墮道便斷上頭三事何等三事斷苦便定已定所向便得道等爲得道已苦滅不復生是爲得五法行何等五一者色#二者意三者所念#四者別離意行#五者無爲色爲何等所色一切在四行亦從四行所四行爲何等地種水種火種亦從四行因所色爲何等眼根鼻根舌根身根細滑一處不更意爲何等所意心識是爲何等六識六識爲何等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心識所念法爲何等若所念法意共俱爲何等念欲是意定黠不貪善本惡本不分別本一切結縛便勞從起所黠所見所要亦所有如是法意共俱是名爲意所念法別離意行爲何等所別離意不共爲何等得不思想政盡政不思想念下輩苦得處得種得入生老止常名字絕具如應亦餘如是法分別意行是名分別意行無爲何等空滅未離滅不須受地種爲何等堅者水種何等濕者種何等熱者風種何等起者眼根何眼識相著可色耳根何等耳識相著可色鼻根何等鼻識相著可色根何等舌識相著可色身根何等根相著可色色爲何等若色端正端正等色俱中央色想像上頭一識更眼識色更爲心識更是色兩識更知何等兩眼識心識聲爲何等從受行出聲亦不從受行出聲從受行本亦不從受行本受聲#若上頭一識#更知耳識已更心識便知是聲兩識更知耳識心識香爲何等若根香莖香若花香若實香香香臭香等香#所香是名爲香若上頭一識一識更知鼻識已更心識便知是香兩識更知鼻識心識味爲何等若酢味甜味鹽味苦味醎味辛味澀味亦所噉覺若上頭一識知舌識舌識已更心便知是味兩識更知舌識心識滑更爲何等若滑若麤若輕若重若熱若飢若渴爲上頭一識知身識身識已更心識便知是一處樂兩識更知身識心識心識一處不更色爲何等若色法識想著是爲何等若身善者不善者不更若常一識知心識眼識爲何等眼相依色因知耳識爲何等故耳根相依聲因知鼻爲何等鼻根相依香因知舌識爲何等舌根相依味因知身識爲何等身根相依樂著因知心識爲何等心根相依法因知痛爲何等爲樂是亦爲三輩少多無有量想爲何等所對行爲何等所作是亦爲三輩善惡不分別福殃度樂爲何等三會是亦爲三輩善樂惡樂亦不善亦不惡樂意念何等爲意念是亦爲三輩善惡不分別欲爲何等欲作是何等意可意爲何等思惟何等爲一意黠爲何等爲觀法信爲何等可意進爲何等觀念計爲何等所念使求增望念願願是名爲計分別念爲何等所觀觀隨不絕相是名爲念計念爲何等異意大爲意微爲念念是爲異貪爲何等不隨善法不信至誠不行不應行名爲貪不貪爲何等隨善法信至誠行應行是名爲不貪善本何等有三善本無有貪善本無有瞋恚善本有愚癡善本是名爲善本不善本爲何等不善本有三貪爲不善本瞋恚爲不善本愚癡爲不善本是名爲不善本不分別本爲何等有五不分別愛不分別憍慢不分別癡不分別不分別行是名爲不分別本結爲何等有九結一爲持念結二爲憎結三爲憍慢結四爲癡結五爲邪六爲失願結七爲疑結八爲嫉結九爲慳結持念結爲何等三界中貪增結爲何爲人閒不可息憍慢結爲何等慢結名爲七輩何等七一爲憍慢爲憍三爲自慢四爲自計慢五爲欺六爲不如慢七爲邪慢憍慢爲何不如者我爲勝如者等從是憍慢自計意起意識合意是名爲憍慢慢爲何等輩中勝勝中等從是所亦自計自計勝者勝是名爲自慢亦說者憍慢當爲一切合會是名爲自慢自計慢爲何等爲五陰自身是我身計自念從是慢慢自知意生意起合意是名爲自計慢欺慢爲何未得計得未知計知未盡計盡是憍慢自計意觀意起合意是名欺不如慢爲何等遠不如自計少不若豪若業若業若何若罪若病及十倍百倍自計如是爲不如從是憍慢自計自見意生意起合念自爲是名爲不如慢邪慢爲何等不賢者自計賢者從是有憍慢自念自計生意起合念是名爲邪慢是爲七慢慢名爲憍慢結癡結爲何等三界中所有癡是名爲癡結邪結爲何等邪結有三輩名爲邪結一爲身邪二爲邊邪三爲邪邪身邪爲何等是身是我身是名爲身邪邪爲何等一者斷滅二者常在是名爲邊邪邪邪爲何等邪邪爲諍本壞福是爲三邪失願結爲何等失本不受功挍恩是名失願結是兩失名爲失願結盜結爲何等兩盜名爲盜結一爲受盜爲戒盜受盜爲何等爲五陰念尊大最無有極從是所欲所意所可所用是名爲盜結盜戒爲何等從是淨是離從是解從是要出用是故所人所意所可所願是名爲盜戒是兩盜名爲盜結疑結爲何等爲疑四諦是名爲疑結嫉結爲何等亂意爲嫉結慳結爲何等不能制意是名爲慳結故一切結縛者爲何等所結者名爲縛故說縛使者爲何等使者爲七何等爲七爲欲使二爲不可使#三爲欲世閒使#四爲憍慢使#五爲癡使#六爲邪使爲疑使欲使爲何等欲使名爲五使何等爲五者#欲從苦見斷欲著欲從習見斷欲著欲從盡見斷欲著欲從道見斷欲著欲從思惟見斷欲是名爲五使名爲欲使不可使名爲何等五使名爲不可使何等爲五從苦見不可斷從習見不可斷從盡見不可斷從道見不可斷從思惟見不可斷是五使名爲不可使世閒欲可使爲何等十使名爲世閒可欲使何等爲十著色見苦斷欲色見習斷欲著色見盡斷欲著色見行道斷欲從色因著思惟斷欲從無有色因著見苦斷欲從無有色因著見習斷欲從無有色因著見盡斷欲從無有色因著見道斷欲從無有色因著思惟斷欲是十使名爲欲世閒使憍慢使爲何等憍慢使有十五何等爲十五著欲見苦憍慢斷著欲見習憍慢斷著欲見盡憍慢斷著欲見道憍慢斷著欲思惟見憍慢斷著色見苦憍慢斷著色見習憍慢斷著色見盡憍慢斷著色見道憍慢斷著色思惟憍慢斷著無有色見苦憍慢斷無有色見習憍慢斷著無有色見盡憍慢斷著無有色見道憍慢斷著無有色思惟憍慢斷是十五使名爲憍慢使癡使爲何等十五使名爲癡使何等爲十五著欲見苦癡斷著欲見習癡著欲見盡癡斷著欲見道癡斷欲思惟癡斷著色見苦癡斷著色見習癡斷著色見盡癡斷著色見道癡著色思惟癡斷著無有色見苦癡著無有色見習癡斷著無有色見盡癡斷著無有色見道癡斷著無有色思惟癡斷是十五使名爲癡使邪使爲何等三十六使爲邪使何等爲三十六十二使著欲十二使著色十二使著無有色是名爲三十六使十二使著欲爲何等著欲見苦斷身著欲見苦斷要邪著欲見苦斷邪著欲見習斷邪邪著欲見盡斷邪著欲見道斷邪邪著欲見苦斷見著欲見習斷見盜著欲見盡斷見著欲見道斷見盜著欲見苦斷戒著欲見道斷戒盜是名爲十二使著欲使十二使著色爲何等著色見苦斷身著色見苦斷要邪著色見苦斷邪著色見習斷邪邪著色見盡斷邪著色見道斷邪邪著色見苦斷見著色見習斷見盜著色見盡斷見著色見道斷見盜著色見苦斷戒著色見道斷戒盜是名爲十二使著色使十二使著無有色爲何等著無有色見苦斷身邪著無有色見苦斷要邪著無有色見苦斷邪邪著無有色見習斷邪邪著無有色見習斷邪邪無有色見道斷邪邪著無有色見苦斷見盜著無有色見習斷見盜著無有色見盡斷見盜著無有色見道斷見盜著無有色見苦斷戒盜著無有色見道斷戒盜是名爲十二使著無有色使是爲三十六使名爲三十六邪使疑使爲何等十二使名爲疑使何等十二著欲見苦斷疑著欲見習斷疑著欲見盡斷疑著欲見道斷疑著色見苦斷疑著色見習斷疑著色見盡斷疑著色見道斷疑著無有色見苦斷疑著無有色見習斷疑著無有色見盡斷疑著無有色見道斷疑是名爲十二疑使是爲塵是爲塵腦有時無有腦者除塵所餘亂意念法爲腦非塵從起爲八一爲睡二爲暝三爲樂四爲疑五爲猗六爲恣態爲不愧八爲不慚是故說從起八所黠爲何等十黠何等爲十一爲法二爲比黠三爲知人心黠四爲巧五爲苦黠六爲習黠七爲滅黠爲道黠九爲盡黠十爲無爲黠法黠爲何等在生死欲所無有結黠在生死欲本所無有結黠在生死欲滅無有結黠在生死欲壞道行無有結黠亦在法黠亦在法地所無有結是名爲法黠比黠爲何等在色無有色行無有結在色無有色本無有結黠在色無有色行滅無有結黠在色無有色行斷爲道無有結黠亦在比黠亦在比地無有結黠是名爲比黠知人心黠爲何等所黠行所黠福黠合已得不舍常在前常念不忘人故爲他衆故恩行是故意念知名爲知人心黠巧黠爲何等世閒所行黠是名巧黠苦黠爲何等受五陰非常非身念所無有結黠是名爲苦黠習黠爲何等世閒本亦本習生因緣思念無有結黠是名爲習黠滅黠爲何等滅滅爲黠最要念不結是名爲滅黠道黠爲何等道爲道如應受觀者出念無有結黠是名爲道黠盡黠爲何等已識苦已舍習盡已證道已行從是黠見知意得應是名爲盡黠無爲黠爲何等苦已更不復更習已畢不復畢盡已有證不復用證道已行不復行從是所黠所見所知所意是名爲無爲黠故說所黠所有見爲何等所有黠見爲見有時見非黠爲何等八更者可八更者可爲何等苦法黠可苦譬黠可習法黠可習譬黠可盡法黠可盡譬黠可法黠可道譬黠可故說所見若得是爲黠不有時得非黠八更可如上說故說所更德爲何等得法爲德無有思想思惟爲何等天上一處名爲一切淨在有無有欲前有思想出所意念法滅不是名爲不思想思惟滅思惟爲何二十六天上名爲不欲中得道者上頭行要出所意念法滅倒是名爲滅思惟不思想爲何等無有思想人化生天上上頭意亦墮天上時意除是中閒乃從是若意念法滅倒是名爲不思想念根爲何等三界中命會爲何等同居得處爲何等同郡種得爲何爲五陰入得爲何等所內外得入是名爲入得生爲何等得陰老爲何陰熟止行何等宿命行來望非常爲何等已生復亡名字爲何等知分別絕爲何等字爲具政用爲何等字會空爲何等虛空無所有無所著無所是名爲空盡尚未離爲何等已盡不復更不復著盡爲何等度世無爲是名爲五法五行行說具阿毘曇五法行經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선정(禪定)에 들어 치우친 마음을 내지 않고 좋다거나 나쁘다는 생각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2. 2)팔정도(八正道)와 같은 뜻이다. 팔행(八行)은 직견(直見)ㆍ직치(直治)ㆍ직어(直語)ㆍ직업(直業)ㆍ직업치(直業治)ㆍ직정진(直精進)ㆍ직념(直念)ㆍ직정(直定)이다.
  3. 3)원문에는 ‘편(便)’으로 되어 있으나, 뒤에 풀이한 것에 의하면 ‘사(使)’가 타당하다.
  4. 4)근(根)ㆍ경(境)ㆍ식(識) 세 가지 것.
  5. 5)원문에는 ‘도결(盜結)’로 되어 있으나, 내용으로 볼 때 ‘수도(受盜)’가 타당하다.
  6. 6)원문에는 ‘자(者)’로 되어 있으나, 뒤에 이어지는 내용으로 볼 때 ‘착(著)’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7. 7)원문에는 ‘견습(見習)’으로 되어 있으나, 내용으로 볼 때 ‘견진(見盡)’이 타당하다.
  8. 8)원문에는 ‘노(勞)’가 없으나 앞에서 열거한 내용을 참고하여 첨가하였다.
  9. 9)원문에는 ‘득처(得處)’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