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31_0604_a_01L
역대삼보기 제15권
031_0604_a_01L歷代三寶記卷第十五


비장방 지음
오준호 번역


5. 총목록(摠目錄)

상개황삼보록표(上開皇三寶錄表)
031_0604_a_02L上開皇三寶錄表
031_0604_b_02L신(臣) 비장방은 아뢰옵니다. 신이 듣건대 국가에 공이 있는 이는 역사에 그 공훈을 수록하고, 백성에게 정치를 잘한 이는 그 덕을 비석에 새겨 전한다고 하였습니다. 하물며 대성인이신 여래께서 두루 펼치신 교화가 무궁(無窮)하되, 화려함을 뽐내시지 않으신 채 수많은 왕들을 거쳐 천여 년 동안 찬란함을 남긴 것이겠습니까? 신이 찾아보니 한위(漢魏) 이래로 대대로 번역함이 있었지만 목록이 별처럼 흩어져 경의 대부분이 근원을 잃어버렸는데, 세간에서 묶고 정리하는 경우가 드물었고 시대가 사이사이 단절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부처님께서 국왕에게 정법을 부촉하셨으니, 이로써 교화가 흥성하게 됨은 제왕에게 달려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삼가 생각하옵건대 폐하께서는 천운(天運)에 감응하여 천하를 도모하시고, 여래의 수기(受記)를 받아 전륜성왕의 위업을 이으시어 염부제를 다스리시고, 세간의 혼미함을 불쌍히 여기시어 지혜의 태양을 밝게 비추셨습니다. 널리 불경과 성상(聖像)을 모으시고 가람을 크게 개창하여 해탈의 문을 천양하시어, 하늘과 인간의 길을 선도하셨습니다. 또한 선덕을 쌓아 만드신 배와 노[舟檝]로 수많은 중생들을 구제하셨으니, 이는 진실로 전례가 없는 일대의 융성함입니다. 어찌 신의 용렬함과 미천함으로 경솔하게 감히 망령되이 서술할 수 있겠습니까? 다만 예전에 불법이 훼손되고 폐지되는 지경일 때 신은 승복[染衣]을 입고 있었다가 금일에 불법이 흥성함을 맞이하여 다시 불법에 참여하여 하게 되어, 당시에 겪은 일과 자못 보고 듣게 된 것으로 역대에 불교와 관련된 일을 망라하였습니다.
맨 처음 희주(姬周)의 장왕(莊王) 갑오(甲午)년에 서역에서 부처님께서 탄생하시고, 후한(後漢)의 명제(明帝) 영평(永平) 연간인 정묘(丁卯)년은 경전이 동쪽으로 건너온 해인데, 그때로부터 지금 개황(開皇) 연간의 태세(太歲) 정사(丁巳)년에 이르도록 1,274년이 지났습니다. 그 동안 신령한 상서와 불법을 옹호한 황제와 군주, 명망 있는 승려들을 시대별로 나타내어 『개황삼보록(開皇三寶錄)』이라 이름을 붙였으니, 모두 15권입니다. 부디 불법이 감추어지지 않으며 경전이 널리 퍼지기를 바랄 뿐이지만, 저는 본래 성품이 하열하기 때문에 이를 감당하지 못하여 황송하고 두려워하면서도 경솔하게 표를 받들어 『삼보록』을 올려서 알리오니, 간절히 바라건대 천자의 자비로 신령함을 내리시어 근언(謹言)을 살피옵소서.

총목서(摠目序)
개황(開皇) 17년(587) 12월 23일 대흥선사(大興善寺) 번경학사(翻經學士) 신(臣) 성도(成都) 비장방(費長房) 올립니다.
생각하면 3보(寶)에 의지하여 4생(生)이 은택을 입으니, 세상에서 이를 흥성시키고 훼손하는 것에 따라 사람에게 오르고 내림이 있습니다. 흥성시키면 복업(福業)으로 항상 천당(天堂)과 전륜왕, 인주(人主)에 항상 감응하게 되고, 훼손하면 죄보(罪報)로 지옥ㆍ아귀ㆍ축생을 언제나 수용하게 됩니다. 중생을 깊이 이롭게 하는 것 가운데 법보다 나은 것이 없으니, 왜냐 하면 법은 바로 부처의 모태로서 부처님은 법으로부터 탄생하고, 3세(世)의 여래께서도 모두 법을 공양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승천왕반야경(勝天王般若經)』에서는 “법을 공양하는 것이 바로 부처님을 공양하는 것이니라”라고 하였으니, 법(法)의 가르침은 유전되어 만대(萬代)에 전하여지지만 부처님[佛]과 스님[僧]이 가르쳐서 인도하는 것은 한때에만 이롭게 하는 것에 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현겁(賢劫)에 일어난 천 분의 부처님의 교화가 동일하나, 길고 짧은 수명으로 4성(聖)이 그 햇수를 달리합니다. 비록 다시 세상에 머무신다 할지라도 머무시는 기간의 길고 짧음이 다르나, 그분들이 선양하신 위대한 법은 다름이 없으시니, 들끓는 애욕의 바다에서 중생을 구제하여 열반으로 나아가게 하고, 아만의 높은 산을 파내어 창생을 제도하여 반야(般若)로 회합시키려고 근심하지 않음이 없으십니다.
하지만 반야는 현묘하고 공적(空寂)하여 소리[聲]가 아니고서는 소통시키기가 어렵고, 소리는 반드시 형상에 의탁해야 하는 것으로, 형상에 의지하지 않고는 드러날 연유가 없습니다. 때문에 인찰(忍刹)이라 하는 경계는 백억(百億)의 수미(須彌)를 총괄하고, 사바(娑婆)라 부르는 세간은 삼천의 국토를 통괄하는데, 삼계오탁(三界五濁)의 예토(穢土)로 구분되고 형체는 6도(道) 2승(乘)의 비루한 양수레와 사슴수레로 나뉩니다. 위대한 성인께서 자비로 연민히 여기시어 가비라국(迦毗羅國)에 강림하시니, 1장(丈) 6척(尺)의 금빛 찬란한 위용으로 왕궁 안으로 감응하시어, 32(相)이 휘황한 태자의 몸으로 태어나셨으니, 19세에 출가하고 30세에 성도하셨으며, 49년 동안 세간에 계시면서 말과 음성을 빌려서 방편으로 연설하여 떨치시고, 염오가 없는 법을 금구(金口)로 선언하셨습니다. 일음(一音)으로 부연하시고 선양하셨지만, 온갖 중생은 각자의 근기에 따라 이해하였습니다. 근기와 상황이 동일하지 않아서 가르침이 티끌과 모래처럼 많았으나, 아난(阿難)이 모두 지녀서 한 방울도 유실됨이 없었으니, 비유하면 별도의 그릇에 담긴 물을 다른 병에 부은 것과 같았습니다. 사라쌍수에서 열반에 드시자, 가섭이 왕사성에서 결집을 행하여 일천 명의 아라한들이 번갈아 가면서 살피고 서사하였는데, 그것을 나뭇잎과 껍질에 옮겨서 천축에 유포시키니, 오백여 나라에서 각기 함께 받들어 지녔고, 16국의 대왕들이 모두 같이 옹호하였습니다.
후한(後漢) 초기에 바야흐로 중국에 이르니 왕조가 번갈아 바뀐 지 16대입니다. 저 서역의 말을 번역하여 이곳 말로 만든 때부터 지금에 이르도록 서로 이어서 5백여 년인데, 고록(古錄)과 구록(舊錄) 두 목록의 조목이 거의 없어져 주사행(朱士行)과 도안(道安)이 그 빠진 것을 이었으나, 조술(祖述)에는 다름이 있고 각각 한 쪽만을 기록하고 상호간에 본 것만을 보존하여, 유추한 것에 차이가 있어서 의심스럽거나 빠진 부분이 많습니다. 또한 제(齊)ㆍ주(周)ㆍ진(陳)나라에서 모두 번역이 이루어졌으나, 목록을 간행하지 않아 준거하여 계승할 바가 없고, 아울러 훼손되고 불태워졌으니 의거할 바가 없이 단절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 황제께서 땅을 유지하고 하늘을 지탱하게 된 데 힘입어 천지(天地)가 맑고 고요해졌으며, 6합(合)이 확연히 청정해졌으니, 조정에 만국의 사신이 찾아왔고 교화는 9주(州)를 섭수하여, 달리 출간되거나 유실된 경문들이 모여들지 않음이 없었습니다. 신이 다행히 이렇게 화평하고 안온한 시기를 만나 역경에 참가하고 부처님의 말씀을 품부 받아 집필하던 틈에 침식(寢食)을 잊고서 십여 년간 견문이 풍부한 노사(老師)들을 찾아뵙고 사물의 이치를 검토하여 찾아서[討究] 마침내 획득하였습니다. 하지만 엉성하게 편집하여 두루하지 못한 것이 염려스럽습니다. 널리 궁구하고 두루 찾을 미래의 영준한 이를 삼가 기다립니다.
지금 여기에서 찬집한 것은 대략 3서(書)에 준거하여 표준을 삼아 3보(寶)를 드러내었습니다. 부처님께서 탄생한 서상은 주나라에서 밤이 대낮처럼 밝은 일에 의거하였고, 경전이 처음 건너온 서상은 한나라의 황제가 스님의 꿈을 꾼 것을 계승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성(城)과 해자[塹]와 동량(棟梁)들의 광휘(光輝)를 도운 혜교(慧晈)를 존숭하였고, 그 외는 은일되어 온 역사적 연도와 나라의 사서, 옛 서적, 승우의 『출삼장집기』 등 여러 사전(史傳)과 수십 가(家)의 기록에서 그 정수[翠零]만을 가려 뽑아서 이러한 기틀[紀翮]을 이루었습니다. 그 교화가 천 년 동안 백왕(百王)에게 영향을 미쳐서, 함께 잡은 지혜의 횃불의 광명으로 시대의 혼미한 어둠을 밝히고, 같이 전한 법류(法流)의 윤택함으로 세상의 메마름을 적시었으니, 비로소 우리 황제께서 법으로 인도하여 그 시초를 열어주셨습니다.
옛날 경전을 결집하는 첫머리에 모두 어느 나라의 성에 있었다고 지적하였고, 지금 경전을 선양해서 번역한 공은 이치가 반드시 각각의 시대를 근본으로 여겨야 합니다. 그렇기에 이를 전체로 앞서 거명하여 기록하여 한(漢)ㆍ위(魏)ㆍ오(吳) 및 대수록(大隋錄)이라 한 것입니다. 실역과 의경이나 위경은 예전에 주석한 사람에 의거하여 햇수를 우선으로 하였고, 경전은 큰 것에 따라 차례로 거듭하여 나열하였습니다. 세대에 따라 나누어서 역경에 참여한 외국인과 중국인, 승려와 일반인을 총괄하면 도합 197인이며, 역출된 경ㆍ율ㆍ논ㆍ전(傳)은 2,146부이고 6,535권으로, 순위대로 그것을 나누어 15축(軸)으로 만들었습니다. 1권은 총목(摠目)이고, 2권은 입장(入藏)이며, 3권은 제년(帝年)이고, 9권은 대록(代錄)입니다. 대록(代錄)은 번역한 경전의 많고 적음을 차례로 보여주고, 제년은 부처님께서 세간에 계셨던 기간의 멀고 가까움을 알 수 있으며, 입장은 소승ㆍ대승의 가르침의 얕고 깊음을 분별하여 알 수 있습니다.
옛날 희주(姬主) 때 없어진 솥이 출현했던 것은 한(漢)나라 왕실이 장차 융성할 것임을 나타냈던 것이고, 근일에 주나라가 훼손한 불법이 중흥된 것은 위대한 수나라가 길이 태평할 것을 드러낸 일입니다. 불일(佛日)이 다시 비춘 것은 대흥의 시초에 시작되었고, 경론이 그윽하고 귀속된 일은 개황 연간 시초에 시작되었습니다. 사안이 부합되고 이치가 계합됨이 이러한 회창(會昌)에 합치되니, 기년이 유래된 바를 서술하고 이를 인유하여 지었기 때문에 겉의 제목을 ‘개황삼보록(開皇三寶錄)’이라 하였고, 그 권 안의 제목에는 ‘역대기(歷代紀)’라 하였습니다.
031_0604_a_03L臣房言臣聞有功於國史錄其勳政於民碑傳其德況如來大聖化洽無窮而不垂羙百王流芳千載者也臣竊尋覽自漢魏已來代有翻譯而錄目星散經多失源世罕綴修時致間緣此佛以正法付囑國王是知教興寄在帝主伏惟陛下應運秉圖如來記紹輪王業統閻浮提愍世間開慧日照廣緝經像大啓伽藍解脫之門導天人之路建善舟楫拔蒼生斯實曠古一代盛歟豈臣庸輕敢妄述但昔毀廢臣在染衣日興隆還參法侶時事所接頗預見因綱歷世佛法緣起始自姬周莊王甲午佛誕西域後漢明皇永平丁經度東歲迄今開皇太歲丁巳一千二百七十四載其間靈瑞帝主名僧代別顯彰名開皇三寶錄凡十五卷庶法無隱冀經有弘不任下情惶悚戰懼輕冒奉表上錄以聞伏願天慈垂神降省謹言開皇三寶錄摠目序開皇十七年十二月二十三日大興善寺翻經學士臣成都費長房上竊惟三寶所資四生蒙潤而世有興致人自昇沈興則福業恒#感天堂輪王人主毀則罪報常受地獄餓鬼畜生論益物深無過於法何者法是佛母佛從法生三世如來皆供養法故勝天王般若經云若供養法卽供養佛是知法教津流乃傳萬代佛僧開導止利一時故賢劫之興千佛同其修短之壽四聖異其年雖復住世延促有殊取其宣揚弘法無別莫不煎熬愛海濟含識以趣涅槃鏨鑿慢度蒼生以會般若然般若玄寂因聲難以通聲必託形不藉相無由所以境稱忍剎摠百億之須彌號娑婆統三千之國土區分三界五濁之穢土沙形別六道二乘之鄙羊鹿大聖慈愍俯降迦毘丈六金容王宮之裏三十二相炳太子之身九出家三十成道四十九載#處在世假以言音方便演暢無染之法口自宣一音敷揚萬類各解機緣一教有塵沙阿難摠持渧無遺失別器水瀉之異甁雙樹入般涅槃葉王城結集一千羅漢迭察迭書之葉皮布乎天竺五百中國各共奉十六大王皆同擁護後漢之始屆脂那帝世交參十有六代翻彼域作此方言相承迄今五百餘祀舊二錄條目殘亡士行道安創維其爾來間有祖述不同各紀一方存所見三隅致隔故多失疑又齊陳竝皆翻譯弗刊錄目靡所遵承値毀焚絕無依據賴我 皇帝維地柱澄靜二儀廓淸六合庭來萬國攝九州異出遺文莫不皆萃臣幸有遇屬此休時忝預譯經稟受佛語筆暇隙寢食敢忘十餘年來詢訪舊搜討方獲雖粗緝綴猶慮未周廣究博尋求敬俟來俊今之所撰集略准三以爲指南顯茲三寶佛生年瑞周夜明經度時祥承漢宵夢僧之元始城塹棟梁毘贊光輝崇於慧皎外傍採隱居歷年國志典墳僧祐集諸史傳等僅數十家摘彼翠零成斯紀翮扇之千載風於百王共秉智炬之光照時昏暗同傳法流之潤洽世燋枯闡我 皇猷導開厥始結集之首竝指在某國城宣譯之理須各宗時代故此錄體率擧號稱爲漢吳及 大隋錄也失譯依舊注之人以年爲先經隨大而有重列者猶約世分㧾其華戎黑白道俗合有一百九十七人都所出傳二千一百四十六部千二百三十五卷位而分之爲十五一卷㧾目兩卷入藏三卷帝年卷代錄代錄編鑑經翻譯之少多年張知佛在世之遐邇入藏別識教小大之淺深昔姬潛之鼎出現彰漢室之將隆近周毀之法重興顯大隋之永泰佛日再照起自大興之初經論冥歸發乎開皇之始事扶理契此會昌述紀所由因斯而作所以外題稱曰開皇三寶錄云其卷內甄爲歷代紀

1) 개황삼보록(開皇三寶錄)
031_0605_a_23L開皇三寶紀
031_0605_b_02L제1권제년(帝年)의 처음, 주(周)ㆍ진(秦)에 해당한다. 도합 26명의 군주이며, 그 기간은 481년이다.
주(周)나라
장왕(莊王) 15년지금 여기에서 다만 6년(장왕 9년부터 15년)간만을 부처님 탄생 이후로 보니, 부처님께서는 장왕 9년에 강림하셨다.
희왕(僖王) 5년
혜왕(惠王) 25년
양왕(襄王) 33년
경왕(傾王) 6년
광왕(匡王) 6년4년(기원전 609)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시다.
정왕(定王) 21년
간왕(簡王) 14년
영왕(靈王) 27년
경왕(景王) 25년
경왕(敬王) 43년26년(기원전 494) 아육왕(阿育王)이 8만 4천의 보탑을 세우다.
원왕(元王) 8년
진정왕(眞定王) 28년
효왕(孝王) 15년
위열왕(威列王) 24년
원안왕(元安王) 26년
이열왕(夷列王) 7년
현성왕(顯聖王) 48년
순정왕(順靜王) 6년
난왕(赧王) 59년
진(秦)나라
소양왕(昭襄王) 5년
효문왕(孝文王) 1년
장양왕(莊襄王) 3년
시황제(始皇帝) 37년
이세황제(二世皇帝) 3년
시황제자(始皇帝子) 46일

제2권제년(帝年) 두 번째 전한(前漢)ㆍ신(新)ㆍ후한(後漢)이 이에 해당한다. 총 26명의 군주이며, 그 기간은 414년이다.
전한(前漢)
고제(高帝) 12년장안(長安)을 도읍으로 삼다.
혜제(惠帝) 7년
여후(呂后)의 섭정 8년
문제(文帝) 23년
경제(景帝) 16년
무제(武帝) 54년
소제(昭帝) 13년
선제(宣帝) 25년
원제(元帝) 16년
성제(成帝) 26년
애제(哀帝) 6년
평제(平帝) 5년
신(新)
왕망(王莽) 17년장안을 다스리다.
갱시제(更始帝) 2년또 장안을 다스리다.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23년낙양을 도읍으로 삼다.
명제(明帝) 18년10년간 역경(譯經)을 하다.
장제(章帝) 13년
화제(和帝) 17년
상제(殤帝) 1년
안제(安帝) 19년
순제(順帝) 19년
충제(沖帝) 1년
질제(質帝) 1년
환제(桓帝) 21년
영제(靈帝) 22년
헌제(獻帝) 30년

제3권제년(帝年) 마지막이니, 위(魏)ㆍ진(晉)ㆍ송(宋)ㆍ제(齊)ㆍ양(梁)ㆍ주(周)ㆍ대수(大隋)가 해당된다. 총 45명의 군주이며, 기간은 381년이다.
위(魏)
문제(文帝) 7년낙양을 도읍으로 삼다.
명제(明帝) 13년
제왕(齊王) 14년
고귀향공(高貴鄕公) 6년
원제(元帝) 5년
서진(西晉)
무제(武帝) 25년낙양을 도읍으로 하다.
혜제(惠帝) 16년
회제(懷帝) 6년
민제(愍帝) 4년장안(長安)을 도읍지로 하다.
동진(東晉)
원제(元帝) 6년건강(建康)을 도읍으로 하다.
명제(明帝) 3년
성제(成帝) 17년
강제(康帝) 2년
목제(穆帝) 17년
애제(哀帝) 4년
해서공(海西公) 5년
간문제(簡文帝) 2년
효무제(孝武帝) 24년
안제(安帝) 22년
공제(恭帝) 1년
송(宋)
무제(武帝) 3년건강(建康)을 도읍으로 하다.
전폐제(前廢帝) 1년
문제(文帝) 30년
효무제(孝武帝) 9년
중폐제(中廢帝) 1년
명제(明帝) 8년
후폐제(後廢帝) 5년
순제(順帝) 2년
제(齊)
고제(高帝) 5년건강을 도읍으로 하다.
무제(武帝) 10년
폐제(廢帝) 반년
신안왕(新安王) 반년
명제(明帝) 4년
동혼후(東昏候) 2년
남강왕(南康王) 1년
양(梁)
무제(武帝) 48년건강을 도읍으로 하다.
간문제(簡文帝) 2년
효원제(孝元帝) 4년강릉(江陵)을 도읍으로 하다.
서위(西魏)
제왕(齊王) 2년장안(長安)을 도읍으로 하다.
주(周)
약양왕(略陽王) 2년장안을 도읍으로 하다.
명제(明帝) 3년
무제(武帝) 18년
선제(宣帝) 2년 정제(靜帝) 10년
대수(大隋)
개황(開皇)년이 도래하다. 17년대흥(大興)을 도읍으로 삼다.

제4권후한(後漢)의 역경 총 12인, 합 359부 575권
후한(後漢)
사문 가섭마등(迦葉摩騰) 1부 1권 경
사문 축법란(竺法蘭) 5부 16권 경
사문 안세고(安世高) 176부 197권 경ㆍ율
사문 지루가참(支婁迦讖) 21부 63권 경
우바새(優婆塞) 도위(都尉) 안현(安玄) 2부 3권 경
사문 축불삭(竺佛朔) 2부 3권 경
사문 지요(支曜) 11부 12권 경
사문 강거(康巨) 1부 1권 경
청신사(淸信士) 엄불조(嚴佛調) 7부 10권 경
사문 강맹상(康孟詳) 6부 9권 경
사문 석담과(釋曇果) 1부 2권 경
사문 축대력(竺大力) 1부 2권 경
모든 실역경(失譯經) 125부 259권 경ㆍ주(呪)

제5권위(魏)ㆍ오(吳)의 역경 총 승속 10인, 합 371부 506권
위(魏)
사문 담가가라(曇柯迦羅) 1부 1권 계(戒)
사문 강승개(康僧鎧) 2부 4권 경
사문 담제(曇帝) 1부 1권 갈마(羯磨)
사문 백연(白延) 6부 8권 경
사문 지강량접(支彊梁接) 1부 6권 경
사문 안법현(安法賢) 2부 5권 경
오(吳)
사문 유기난(維祇難) 2부 6권 경
사문 축률담(竺律炎) 3부 3권 경
우바새 지겸(支謙) 129부 152권 경
사문 강승회(康僧會) 14부 29권 경 및 주(注)
모든 실역경(失譯經) 110부 291권 경

제6권서진(西晉)의 역경 승속(僧俗) 총 13인, 합 450부 717권
서진(西晉)
사문 축법호(竺法護) 215부 394권 경ㆍ계
사문 강량루지(彊梁婁至) 1부 1권 경
사문 안법흠(安法欽) 5부 12권 경
사문 무라차(無羅叉) 1부 20권 경
청신사 섭승원(聶承遠) 3부 4권 경
사문 축숙란(竺叔蘭) 2부 5권 경
섭승원(聶承遠)의 아들인 청신사 섭도진(聶道眞) 54부 66권 경(經)ㆍ목록(目錄)
사문 백법조(白法祖) 23부 25권 경
사문 석법립(釋法立) 4부 13권 경
우바새 위사도(衛士度) 1부 2권 경
사문 지민도(支敏度) 2부 13권 경
사문 석법거(釋法炬) 132부 142권 경
사문 지법도(支法度) 4부 5권 경
모든 실역경(失譯經) 8부 15권 경

제7권동진(東晉)의 역경 승속 총 27인, 합 267부 564권
동진(東晉)
사문 백시리밀다라(帛尸梨蜜多羅) 3부 11권 경ㆍ주(呪)
사문 지도근(支道根) 2부 7권 경
사문 강법수(康法邃) 1부 7권 경
사문 축담무란(竺曇無蘭) 110부 112권 경ㆍ주(呪)ㆍ계
사문 강도화(康道和) 1부 3권 경
사문 가류타가(迦留陁伽) 1부 1권 경
사문 승가제바(僧伽提婆) 5부 117권 경ㆍ논
사문 비마라차(卑摩羅叉) 2부 5권 율(律)ㆍ잡사(雜事)
사문 담마(曇摩) 1부 2권 율(律)ㆍ요(要)
사문 불타발타라(佛䭾跋陁羅) 15부 115권 경ㆍ계ㆍ논
사문 석법현(釋法顯) 6부 24권 경ㆍ계ㆍ론ㆍ전
사문 기다밀(祇多蜜) 25부 46권 경
외국거사(外國居士) 축난제(竺難提) 2부 3권 경
사문 석법력(釋法力) 1부 1권 경
사문 석숭공(釋嵩公) 3부 3권 경
사문 석퇴공(釋退公) 1부 1권 경
사문 석법용(釋法勇) 1부 1권 경
사문 석혜원(釋慧遠) 14부 25권 논ㆍ찬(讚)
사문 석승부(釋僧敷) 1부 1권 논
사문 석담선(釋曇詵) 2부 6권 주(注)ㆍ논
사문 지도림(支道林) 7부 7권 논ㆍ지귀(旨歸)
사문 축승도(竺僧度) 1부 1권 지귀(旨歸)
사문 석도조(釋道祖) 4부 4권 목록
사문 지민도(支敏度) 1부 1권 도록(都錄)
사문 강법창(康法暢) 1부 1권 논
사문 축법제(竺法濟) 1부 1권 전(傳)
사문 석담미(釋曇微) 2부 2권 논ㆍ지귀(旨歸)
모든 실역경(失譯經) 53부 56권 경ㆍ주(呪)

제8권2진(秦)의 역경 총 16인, 합 163부 914권
부진(苻秦)
사문 담마지(曇摩持) 2부 2권 계ㆍ법ㆍ단문(壇文)
사문 석혜상(釋慧常) 1부 1권 계본(戒本)
사문 담마비(曇摩蜱) 1부 5권 경
사문 구마라불제(鳩摩羅佛提) 1부 2권 경
사문 담마난제(曇摩難提) 5부 114권 경ㆍ논ㆍ집(集)
사문 승가발징(僧伽跋澄) 3부 27권 경
사문 승가제바(僧伽提婆) 3부 50권 아비담(阿毗曇) 등
사문 석도안(釋道安) 24부 28권 경ㆍ주(注) 및 해(解)ㆍ지(志)ㆍ녹(錄)
요진(姚秦)
사문 축불념(竺佛念) 13부 86권 경ㆍ논
사문 담마야사(曇摩耶舍) 2부 23권 경ㆍ아비담
사문 불야다라(弗若多羅) 1부 58권 율
사문 구마라집(鳩摩羅什) 98부 425권 경ㆍ논ㆍ전(傳)
사문 불타야사(佛䭾耶舍) 4부 69권 경ㆍ율ㆍ계
사문 석승예(釋僧叡) 1부 1권 경ㆍ목록
사문 석승조(釋僧肇) 4부 4권 논
사문 석도항(釋道恒) 1부 1권 논

제9권걸복(乞伏)씨의 서진(西秦)과 저거(沮渠)씨의 북량(北涼)과 원위(元魏)ㆍ고제(高齊)ㆍ진(陳)의 역경 총 27인, 합 204부 917권
걸복서진(乞伏西秦)
사문 석성견(釋聖堅) 14부 21권 경
모든 실역경(失譯經) 8부 11권 경
저거북량(沮渠北涼)
사문 석도공(釋道龔) 2부 12권 경
사문 석법중(釋法衆) 1부 4권 경
사문 승가타(僧伽陁) 1부 2권 경
사문 담마참(曇摩讖) 24권 151권 경ㆍ계(戒)
안양후(安陽侯) 저거경성(沮渠京聲) 1부 2권 선법(禪法)
사문 부타발마(浮陁跋摩) 1부 60권 아비담(阿毗曇)
사문 석지맹(釋智猛) 1부 20권 경
사문 석담각(釋曇覺) 1부 15권 경
모든 실역경(失譯經) 5부 17권 경ㆍ불명(佛名)
원위북대(元魏北臺)
사문 석담요(釋曇曜) 2부 4권 경ㆍ전
사문 길가야(吉迦夜) 3부 25권 경ㆍ논
사문 석담변(釋曇辯) 1부 1권 경
원위남량(元魏南涼)
사문 담마류지(曇摩留支) 3부 8권 경
사문 보리류지(菩提留支) 39부 127권 경ㆍ논
사문 석법장(釋法장) 1부 1권 경
사문 석담정(釋曇靖) 1부 2권 경
사문 늑나바제(勒那婆提) 6부 24권 경ㆍ논
사문 불타선다(佛陁扇多) 10부 11권 경ㆍ논
원위업도(元魏鄴都)
우바새 구담반야유지(瞿曇般若留支) 15부 84권 경ㆍ계ㆍ논
우선니국(優禪尼國) 왕자(王子) 월파수나(月婆首那) 3부 7권 경
기성군(期城郡) 태수(太守) 양현지(楊衒之) 1부 5권 사기(寺記)
청신사 이곽(李廓) 1부 1권 경ㆍ녹
고제(高齊)
사문 나련제야사(那連提耶舍) 7부 50권 경ㆍ논
우바새 만천의(萬天懿) 1부 1권 경
진씨(陳氏)
사문 구나라타(俱那羅陁) 45부 232권 경ㆍ논ㆍ소ㆍ전ㆍ어(語)
왕자(王子) 월파수나(月婆首那) 1부 7권 경
사문 수보리(須菩提) 1부 8권 경

제10권송(宋)의 역경 총 23인, 합 210부 490권
송(宋)
사문 불타집(佛陁什) 3부 36권 율ㆍ계ㆍ갈마(羯磨)
사문 석지엄(釋智嚴) 14부 26권 경
사문 석보운(釋寶雲) 4부 15권 경
사문 석혜엄(釋慧嚴) 1부 36권 경
사문 이섭파라(伊葉波羅) 1부 10권 아비담
사문 구나발마(求那跋摩) 7부 48권 경ㆍ논ㆍ기
사문 승가발마(僧伽跋摩) 5부 27권 아비담ㆍ집(集)ㆍ게(偈)
사문 구나발타라(求那跋陁羅) 78부 161권 경ㆍ집ㆍ비유(譬喩)
사문 담마밀다(曇摩蜜多) 11부 12권 경
사문 강량야사(畺良耶舍) 2부 2권 경
사문 담무갈(曇無竭) 2부 6권 경ㆍ전
안양후(安陽侯) 저거경성(沮渠京聲) 35부 36권 경
사문 공덕직(功德直) 2부 7권 경
사문 석혜간(釋慧簡) 25부 25권 경
사문 석승거(釋僧璩) 1부 2권 갈마
사문 석법영(釋法穎) 3부 3권 계본ㆍ갈마
사문 축법권(竺法眷) 6부 29권 경
사문 석상공(釋翔公) 1부 2권 경
사문 석도엄(釋道嚴) 2부 3권 경
사문 석용공(釋勇公) 4부 4권 경
사문 석법해(釋法海) 2부 2권 경
사문 석선공(釋先公) 1부 1권 경
사문 석도엄(釋道儼) 1부 2권 경ㆍ논

제11권제(齊)ㆍ양(梁)ㆍ주(周)의 역경 총 51인, 합 169부 1,326권
제(齊)
사문 담마가타야사(曇摩伽陁耶舍) 1부 1권 경
사문 마하승(摩訶乘) 2부 2권 경ㆍ율
사문 승가발타라(僧伽跋陁羅) 1부 18권 율
사문 석법의(釋法意) 2부 2권 경
사문 구나비지(求那毗地) 3부 15권 경
사문 석법도(釋法度) 2부 2권 경
사문 석법원(釋法願) 2부 2권 경
사문 석왕종(釋王宗) 2부 7권 경ㆍ목록
사문 석담경(釋曇景) 2부 4권 경
사문 석법니(釋法尼) 1부 2권 경
사문 석도정(釋道政) 1부 1권 경
사문 석도비(釋道備) 5부 5권 경ㆍ게(偈)
경릉(竟陵) 문선왕(文宣王) 소자량(蕭子良) 17부 259권 경초(經抄)
상시(常侍) 유힐(庾頡) 1부 1권 경
사문 석초도(釋超度) 1부 7권 율ㆍ례(例)
사문 석법화(釋法化) 1부 1권 경
사문 석법원(釋法瑗) 1부 3권 주경(注經)
사문 석혜기(釋慧基) 1부 1권 주경
문선왕(文宣王) 기실(記室) 왕건(王巾) 1부 10권 승사(僧史)
양(梁)
사문니(沙門尼) 승법(僧法) 21부 35권 경
사문 석승위(釋僧威) 1부 1권 계법
사문 석묘광(釋妙光) 1부 1권 경
사문 석승우(釋僧祐) 14부 63권 집(集)ㆍ기(記)ㆍ전
사문 석도환(釋道歡) 1부 1권 게(偈)
사문 만다라(曼陁羅) 3부 11권 경
사문 승가바라(僧伽婆羅) 11부 38권 경ㆍ논ㆍ전
청신사 목도현(木道賢) 1부 1권 경
왕자(王子) 월파수나(月婆首那) 1부 1권 경
사문 진제(眞諦) 16부 46권 경ㆍ론ㆍ소(疏)ㆍ기(記)
사문 석승민(釋僧旻) 1부 88권 경초
사문 석승소(釋僧紹) 1부 4권 녹목(錄目)
사문 석보창(釋寶唱) 8부 107권 잡록(雜錄)
사문 석법랑(釋法朗) 1부 72권 주경
사문 석지장(釋智藏) 1부 80권 의림(義林)
무황제(武皇帝) 소연(蕭衍) 1부 50권 주경
사문 석혜령(釋慧令) 1부 12권 경초
사문 석혜교(釋慧晈) 1부 14권 경ㆍ전
우바새 원담윤(袁曇允) 1부 20권 논초
간문제(簡文帝) 소강(蕭綱) 1부 200권 법집(法集)
상동왕(湘東王) 문학(文學) 우효경(虞孝敬) 1부 30권 내전박요(內典博要)
주(周)
사문 석담현(釋曇顯) 2부 23권 경요(經要)
사문 양나발타(攘那跋陁) 1부 1권 논
사문 달마류지(達摩留支) 1부 20권 범천문(梵天文)
사문 사나야사(闍那耶舍) 6부 17권 경
사문 야사굴다(耶舍崛多) 3부 8권 경
사문 사나굴다(闍那崛多) 4부 5권 경
사문 석승면(釋僧勔) 2부 2권 경
사문 석혜선(釋慧善) 1부 8권 논
사문 석망명(釋忘名) 12부 12권 논ㆍ명(銘)ㆍ전(傳)
사문 석정애(釋淨藹) 1부 12권 삼보집(三寶集)
사문 석도안(釋道安) 1부 1권 논

제12권대수(大隋)의 역경 총 19인, 합 75부 462권
대수(大隋)
양천군수(洋川郡守) 담법지(曇法智) 1부 1권 경
사문 비니다류지(毗尼多留支) 2부 2권 경
사문 나련제야사(那連提耶舍) 8부 28권 경
사문 석승취(釋僧就) 1부 60권 경
사문 사나굴다(闍那崛多) 31부 165권 경
사문 석법상(釋法上) 3부 43권 수(數)ㆍ논ㆍ녹(錄)
사문 석영유(釋靈裕) 8부 30권 논ㆍ기(記)
사문 석신행(釋信行) 2부 35권 삼계집(三階集)
사문 석법경(釋法經) 1부 7권 녹목
사문 석보귀(釋寶貴) 1부 8권 경
사문 석승찬(釋僧粲) 1부 1권 논
사문 석승곤(釋僧琨) 1부 31권 잡론(雜論)
사문 석언종(釋彦琮) 6부 9권 논ㆍ전ㆍ녹
사문 석혜영(釋慧影) 4부 27권 지도해(智度解)ㆍ논(論)
광주사마(廣州司馬) 곽의(郭誼) 1부 2권 경
유림낭(儒林郞) 후군소(侯君素) 1부 10권 전(傳)
진왕부좨주(晉王府祭酒) 서동경(徐同卿) 1부 2권 논
번경학사(翻經學士) 유빙(劉憑) 1부 1권 내수술(內數術)
유사에게 칙령을 내려 편찬 1부 10권 중경법식(衆經法式)

제13권[대승록에 입장(入藏)된 목록] 대승(大乘) 551부 1,586권
① 수다라(修多羅) 유역(有譯) 234부 885권
② 수다라 실역(失譯) 235부 402권
③ 비니(毗尼) 유역(有譯) 19부 40권
④ 비니 실역(失譯) 12부 14권
⑤ 아비담(阿毗曇) 유역(有譯) 49부 238권
⑥ 아비담 실역(失譯) 2부 7권

제14권[소승록에 입장된 목록] 소승(小乘) 525부 1,712권
① 수다라(修多羅) 유역(有譯) 108부 527권
② 수다라 실역(失譯) 317부 482권
③ 비니(毗尼) 유역(有譯) 39부 285권
④ 비니 실역(失譯) 31부 67권
⑤ 아비담(阿毗曇) 유역(有譯) 21부 351권
⑥ 아비담 실역(失譯) 10부 27권

이상 개황삼보록 14권의 총목록을 마친다. 이것은 총목록 15권과 통하는데, 뒷부분 제13권ㆍ14권 대소승(大小乘) 입장목록을 합친 것이다. 합 1,076부 3292권이다.
031_0605_a_24L卷第一帝年上周秦合二十六主四百八十一年周莊王 十五年今止取六年入紀九年佛生僖王 五年惠王 二十五年 襄王 三十三年傾王 六年  匡王 六年四年佛入涅槃定王 二十一年 簡王  十四年靈王  二十七年 景王  二十五年敬王  四十三年二十六年阿育王起八萬四千寶塔元王 八年眞定王 二十八年  孝王  十五年威列王 二十四年 元安王 二十六年夷列王 七年  顯聖王 四十八年順靜王 六年  𧹞王  五十九年秦昭襄王 五年  孝文王 一年莊襄王 三年  始皇帝 三十七年二世皇帝 三年  始皇帝子 四十六日開皇三寶錄卷第二帝年前漢次新後漢合二十六主四百一十四年前漢高帝 十二年都長安惠帝 七年呂后攝 八年 文帝 二十三年景帝 十六年 武帝 五十四年昭帝 十三年 宣帝 二十五年元帝 十六年 成帝 二十六年哀帝 六年 平帝 五年新王莽 十七年治長安更始帝 二年亦長安後漢光武帝 二十三年都雒陽明帝 十八年十年譯經章帝 十三年 和帝 十七年殤帝 一年 安帝 十九年順帝 十九年 沖帝 一年質帝 一年 桓帝 二十一年靈帝 二十二年 獻帝 三十年開皇三寶錄卷第三帝年下魏晉宋齊梁周大隋合四十五主三百八十一年魏文帝 七年都雒陽明帝 十三年齊王 十四年 高貴鄕公  六年元帝 五年西晉武帝 二十六年都雒陽惠帝 十六年懷帝 六年 愍帝 四年都長安東晉元帝 六年都建康明帝 三年成帝 十七年 康帝 二年穆帝 十七年 哀帝 四年海西公 五年 簡文帝 二年孝武帝 二十四年 安帝  二十二年恭帝 一年宋武帝 三年都建康前廢帝 一年文帝 三十年 孝武帝 九年中廢帝 一年 明帝 八年後廢帝 五年 順帝 二年齊高帝 五年都建康武帝 十年廢帝 半年  新安王  半年明帝 四年  東昏侯  二年南康王 一年梁武帝 四十八年都建康簡文帝 二年孝元帝 四年都江陵西魏齊王 二年都長安周略陽王 二年都長安明帝 三年武帝 十八年  宣帝 二年靜帝 十年大隋開皇來 十七年都大興開皇三寶錄卷第四譯經後漢摠一十二人合三百五十九部  五百七十五卷後漢沙門迦葉摩騰一部 一卷 經沙門竺法蘭 五部 十六卷 經沙門安世高 一百七十六部一百九十七卷 經律沙門支婁迦讖二十一部 六十三卷 經優婆塞都尉安玄二部 三卷 經沙門竺佛朔 二部 三卷 經沙門支曜 十一部 十二卷 經沙門康巨 一部 一卷 經淸信士嚴佛調  七部  十卷  經沙門康孟詳 六部 九卷 經沙門釋曇果 一部 二卷 經沙門竺大力 一部 二卷  經諸失譯經  一百二十五部 二百五十九卷 經呪開皇三寶錄卷第五譯經魏吳摠道俗一十人合三百七十一部五百六卷魏沙門曇柯迦羅一部 一卷沙門康僧鎧 二部  四卷 經沙門曇帝  一部 一卷 羯磨沙門白延  六部 八卷 經沙門支彊梁接  一部 六卷 經沙門安法賢  二部 五卷 經吳沙門維祇難  二部 六卷 經沙門竺律炎  三部 三卷  經優婆塞支謙 一百二十九部 一百五十二卷 經沙門康僧會 一十四部  二十九卷  經及注諸失譯經 一百一十部  二百九十一卷 經開皇三寶錄卷第六譯經西晉摠道俗一十三人合四百五十部 七百一十七卷西晉沙門竺法護 二百一十部 三百九十四卷 經戒沙門畺梁婁至 一部  一卷  經沙門安法欽 五部  一十二卷  經沙門無羅叉 一部  二十卷  經淸信士聶承遠 三部  四卷  經沙門竺叔蘭 二部  五卷  經承遠子淸信士道眞 五十四部 六十六卷 經及目錄沙門白法祖 二十三部 二十五卷 經沙門釋法立 四部  十三卷 經優婆塞衛士度 一部  二卷  經沙門支敏度 二部  十三卷 經沙門釋法炬 一百三十二部 一百四十二卷  經沙門支法度 四部  五卷  經諸失譯經  八部  一十五卷  經開皇三寶錄卷第七譯經東晉摠道俗二十七人合二百六十七部  五百六十四卷東晉沙門帛尸梨蜜多羅 三部 十一卷 經呪沙門支道根 二部  七卷  經沙門康法邃 一部  七卷  經沙門竺曇無蘭一百一十部一百一十二卷沙門康道和 一部  三卷 經沙門迦留陁伽 一部  一卷 經沙門僧伽提婆 五部  一百一十七卷 經論沙門卑摩羅叉 二部  五卷 律雜事沙門曇摩  一部  二卷 律要沙門佛馱跋陁羅 一十五部 一百一十五卷 經戒論沙門釋法顯 六部  二十四卷 經戒論傳沙門祇多蜜 二十五部 四十六卷 經外國居士竺難提 二部  三卷 經沙門釋法力 一部 一卷 經沙門釋嵩公 三部 三卷 經沙門釋退公 一部 一卷 經沙門釋法勇 一部 一卷 經沙門釋慧遠 十四部 二十五卷 論讚沙門釋僧敷 一部 一卷 論沙門釋曇詵 二部 六卷 注論沙門支道林 七部 七卷 論旨歸沙門竺僧度 一部 一卷 旨歸沙門釋道祖 四部 四卷 目錄沙門支敏度 一部 一卷 都錄沙門康法暢 一部 一卷 論沙門竺法濟 一部 一卷 傳沙門釋曇微 二部  二卷  論旨歸諸失譯經  五十三部 五十六卷  經呪開皇三寶錄卷第八譯經二秦摠一十六人合一百六十三部九百一十四卷符秦沙門曇摩持 二部  二卷  戒法壇文沙門釋慧常 一部 一卷 戒本沙門曇摩蜱 一部 五卷 經沙門鳩摩羅佛提 一部 二卷 經沙門曇摩難提 五部 一百一十四卷 經論集沙門僧伽跋澄 三部  二十七卷 經沙門僧伽提婆 三部 五十卷 阿毘曇等沙門釋道安 二十四部二十八卷 經注及解志錄姚秦沙門竺佛念 一十三部  八十六卷  經論沙門曇摩耶舍 二部  二十三卷  經阿毘曇沙門弗若多羅 一部  五十八卷  律沙門鳩摩羅什九十八部四百二十五卷沙門佛馱耶舍 四部  六十九卷  經律戒沙門釋僧睿 一部  一卷  經錄目沙門釋僧肇 四部  四卷  論沙門釋道恒 一部  一卷  論開皇三寶錄卷第九譯經乞伏西秦沮渠 北涼元魏高齊陳氏二十七人合二百 四部  九百一十七卷乞伏西秦沙門聖堅 十四部  二十一卷  經諸失譯經  八部  十一卷  經沮渠北涼沙門釋道龔 二部  十二卷  經沙門釋法衆 一部  四卷  經沙門僧伽陁 一部  二卷  經沙門曇摩讖 二十四部一百五十一卷安陽侯沮渠京聲 一部  二卷  禪法沙門浮陁跋摩 一部  六十卷  阿毘曇沙門釋智猛 一部  二十卷  經沙門釋曇覺 一部  十五卷  經諸失譯經  五部 一十七卷  經佛名元魏北臺沙門釋曇曜 二部 四卷 經傳沙門吉迦夜 三部 二十五卷 經論沙門釋曇辯 一部 一卷 經元魏南京沙門曇摩留支 三部 八卷 經沙門菩提留支 三十九部 一百二十七卷 經論沙門釋法場 一部 一卷 經沙門釋曇靖 一部 二卷 經沙門勒那婆提 六部 二十四卷 經論沙門佛陁扇多 十部 十一卷 經論元魏鄴都優婆塞瞿曇般若留支十五部八十四卷優禪尼國王子月婆首那三部 七卷 經期城郡太守楊衒之 一部 五卷 寺記淸信士李廓 一部 一卷 經錄高齊沙門那連提耶舍 七部 五十卷 經論優婆塞萬天懿 一部 一卷 經陳氏沙門俱那羅陁 四十五部二百三十二卷經論疏傳語王子月婆首那 一部 七卷 經沙門須菩提 一部 八卷 經開皇三寶錄卷第十譯經宋摠二十三人合二百一十部四百九十卷宋沙門佛陁什 三部 三十六卷 律戒羯磨沙門釋智嚴 一十四部二十六卷 經沙門釋寶雲 四部 一十五卷 經沙門釋慧嚴 一部  三十六卷  經沙門伊葉波羅 一部  十卷  阿毘曇沙門求那跋摩 七部  四十八卷  經論記沙門僧伽跋摩 五部 二十七卷 阿毘曇集偈沙門求那跋陁羅七十八部一百六十一卷譬喩沙門曇摩蜜多 一十部 一十二卷 經沙門畺良耶舍 二部  二卷  經沙門曇無竭 二部  六卷  經傳安陽侯沮渠京聲 三十五部 三十六卷 經沙門功德直 二部  七卷  經沙門釋慧簡 二十五部 二十五卷沙門釋僧璩 一部  二卷  羯磨沙門釋法穎 三部  三卷 戒本羯磨沙門竺法眷 六部  二十九卷 經沙門釋翔公 一部  二卷  經沙門釋道嚴 二部  三卷  經沙門釋勇公 四部  四卷  經沙門釋法海 二部  二卷  經沙門釋先公 一部  一卷  經沙門釋道儼 一部  二卷  經論開皇三寶錄卷第十一齊梁周譯經摠五十一人 合一百六十九部 一千三百二十六卷齊沙門曇摩伽陁耶舍一部 一卷  經沙門摩訶乘 二部  二卷  經律沙門僧伽跋陁羅一部  一十八卷 律沙門釋法意 二部  二卷  經沙門求那毘地 三部  十五卷  經沙門釋法度 二部  二卷  經沙門釋法願 二部  二卷  經沙門釋王宗 二部 七卷 經及錄目沙門釋曇景 二部  四卷  經沙門釋法尼 一部  二卷  經沙門釋道政 一部  一卷  經沙門釋道備 五部  五卷  經偈竟陵文宣王蕭子良 一十七部 二百五十九卷 經抄常侍庾頡  一部  一卷  經沙門釋超度 一部  七卷  律例沙門釋法化 一部  一卷  經沙門釋法瑗 一部  三卷  注經沙門釋慧基 一部  一卷  注經文宣王記室王巾 一部  一十卷  僧史梁沙門尼僧法 二十一部 三十五卷 經沙門釋僧盛 一部  一卷  戒法沙門釋妙光 一部  一卷  經沙門釋僧祐 一十四部 六十三卷沙門釋道歡 一部  一卷  偈沙門曼陁羅 三部  一十一卷 經沙門僧伽婆羅 一十一部 三十八卷  經論傳淸信士木道賢 一部  一卷  經王子月婆首那 一部  一卷  經沙門眞諦  一十六部 四十六卷  經論疏記沙門釋僧旻  一部  八十八卷 經抄沙門釋僧紹 一部  四卷  錄目沙門釋寶唱 八部  一百七卷 雜錄沙門釋法朗 一部  七十二卷 注經沙門釋智藏 一部  八十卷 義林武皇帝蕭衍 一部  五十卷  注經沙門釋慧令 一部  十二卷  經抄沙門釋慧皎 一部  十四卷  僧傳優婆塞袁曇允 一部  二十卷  論抄簡文帝蕭網 一部  二百卷  法集湘東王文學虞孝敬 一部 三十卷  內典博要周沙門釋曇顯 二部  二十三卷 經要沙門攘那跋陁 一部  一卷  論沙門達摩留支 一部  二十卷  梵天文沙門闍那耶舍 六部  一十七卷 經沙門耶舍崛多 三部  八卷  經沙門闍那崛多 四部  五卷  經沙門釋僧勔  二部  二卷  經沙門釋慧善 一部  八卷  論沙門釋忘名 十二部 十二卷 論銘傳沙門釋淨藹 一部  十一卷  三寶集沙門釋道安 一部  一卷  論開皇三寶錄卷第十二譯經大隋摠一十九人 合七十五部四百六十二卷大隋洋川郡守曇法智 一部 一卷  經沙門毘尼多留支  二部  二卷  經沙門那連提耶舍  八部 二十八卷 經沙門釋僧就  一部  六十卷  經沙門闍那崛多 三十一部一百六十五卷沙門釋法上  三部  二十三卷 數及論錄沙門釋靈祐  八部  三十卷  論記沙門釋信行   二部 三十五卷 三階集沙門釋法經  一部 七卷  錄目沙門釋寶貴  一部  八卷  經沙門釋僧粲  一部  一卷  論沙門釋僧琨  一部 三十二卷 雜論沙門釋彦琮  六部  九卷  論傳錄沙門釋慧影  四部  二十七卷 智度解及論廣州司馬郭誼  一部  二卷  經儒林郞侯君素  一部  十卷  傳晉王府祭酒徐同卿一部 二卷  論翻經學士劉憑 一部  一卷 內數術勅有司撰  一部  十卷 衆經法式開皇三寶錄卷第十三大乘錄入藏目五百五十一部一千五百八十六卷大乘修多羅有譯 一 二百三十四部 八百八十五卷修多羅失譯 二 三百三十五部 四百二卷毘尼有譯 三 一十九部  四十卷毘尼失譯 四 一十二部  一十四卷阿毘曇有譯 五 四十九部  二百三十八卷阿毘曇失譯 六 二部  七卷開皇三寶錄卷第十四小乘錄入藏目五百二十五部一千七百一十二卷小乘修多羅有譯 一 一百八部  五百二十七卷修多羅失譯 二  三百一十七部 四百八十二卷毘尼有譯 三 三十 九部 二百八十五卷毘尼失譯 四 三十一部 六十七卷阿毘曇有譯 五  二十一部  三百五十一卷阿毘曇失譯 六  十部  二十七卷右開皇三寶錄一十四卷摠目訖此通摠目一十五卷其後十三十四大小乘入藏目錄合一千七十六部三千二百九十二卷

2) 중경별록(衆經別錄) 2권
031_0609_b_22L衆經別錄二卷
031_0609_c_02L작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으나, 송나라 때에 저술된 것으로 보인다.
상권 총 438부 914권
① 대승경록(大乘經錄) 370부 779권
② 삼승통교록(三乘通敎錄) 51부 97권
③ 삼승중대승록(三乘中大乘錄) 17부 38권
하권 총 651부 1,682권
④ 소승경록(小乘經錄) 436부 610권
⑤ 궐본(闕本)이다.
⑥ 대소승불판록(大小乘不判錄) 174부 184권
⑦ 의경록(疑經錄) 17부 20권
⑧ 율록(律錄) 12부 195권
⑨ 수록(數錄) 6부 121권
⑩ 논록(論錄) 6부 152권
모두 2권 10편 1,089부 2,596권이다.
031_0609_b_23L 未詳作者似宋時述大乘經錄第一卷上摠四百三十八部九百一十四卷右三百七十部七百七十九卷三乘通教錄二右五十一部九十七卷三乘中大乘錄三右一十七部三十八卷小乘經錄第四卷下摠六百五十一部一千六百八十二卷右四百三十六部六百一十卷第五篇目本闕大小乘不判錄六右一百七十四部一百八十四卷疑經錄七右一十七部二十卷律錄八右一十二部一百九十五卷數錄九右六部一百二十一卷論錄十右六部一百五十二卷都兩卷十篇一千八十九部二千五百九十六卷

3) 출삼장집기록(出三藏集記錄)
031_0609_c_20L出三藏集記錄
031_0610_a_02L제(齊)나라 건무(建武)년 율사 승우(僧祐)가 편찬하였다.
① 신집찬출경론록(新集撰出經論錄) 420부 1,801권
② 신집찬출경연록(新集撰出經緣錄) 34부 294권
③ 신집서사부율록(新集序四部律錄) 14부 180권
④ 신집안공고이경록(新集安公古異經錄) 92부 92권
⑤ 신집안공실역경록(新集安公失譯經錄) 141부 146권
⑥ 신집안공양토이경록(新集安公양土異經錄) 59부 79권
⑦ 신집안공관중이경록(新集安公關中異經錄) 24부 24권
⑧ 신집속찬실역잡경록(新集續撰失譯雜經錄) 1,306부 1,570권
⑨ 신집초경록(新集抄經錄) 46부 352권
⑩ 신집안공의경록(新集安公疑經錄) 26부 30권
⑪ 신집의경위찬잡록(新集疑經僞撰雜錄) 20부 26권
⑫ 신집안공주급잡지(新集安公注及雜志) 24부 28권
모두 12건 합 2,162부 4,328권
031_0609_c_21L 齊建武年律師僧祐撰新集撰出經論錄一四百二十部一千八百一卷新集撰出經緣錄二三十四部 二百九十四卷新集序四部律錄三十四部一百八十卷新集安公古異經錄四九十二部九十二卷新集安公失譯經錄五一百四十一部一百四十六卷新集安公涼土異經錄六 五十九部 七十九卷新集安公關中異經錄七 二十四部 二十四卷新集續撰失譯雜經錄八 一千三百六部 一千五百七十卷新集抄經錄九四十六部 三百五十二卷新集安公疑經錄十二十六部 三十卷新集疑經僞撰雜錄十一二十部 二十六卷新集安公注及雜志十二二十四部 二十八卷都十二件合二千一百六十二部四千三百二十八卷

4) 위세중경록목(魏世衆經錄目)
031_0610_a_11L魏世衆經錄目
영희(永熙)년 칙사인(勅舍人) 이곽(李廓) 편찬하였다.
① 대승경목록(大乘經目錄) 214부
② 대승론목록(大乘論目錄) 29부
③ 대승경자주목록(大乘經子注目錄) 12부
④ 대승미역경론목록(大乘未譯經論目錄) 33부
⑤ 소승경율목록(小乘經律目錄) 69부
⑥ 소승론목록(小乘論目錄) 2부
⑦ 유목미득경목록(有目未得經目錄) 16부
⑧ 비진경목록(非眞經目錄) 62부
⑨ 비진론목록(非眞論目錄) 4부
⑩ 전비경우인망칭목록(全非經愚人妄稱目錄) 11부
모두 10건 경ㆍ율ㆍ논 진위(眞僞) 427부 2,053권
031_0610_a_12L 永熙年勅舍人李廓撰大乘經目錄一 二百一十四部大乘論目錄二 二十九部大乘經子注目錄三 一十二部大乘未譯經論目錄四 三十三部小乘經律目錄五 六十九部小乘論目錄六 二部有目未得經目錄七 一十六部非眞經目錄八 六十二部非眞論目錄九 四部全非經愚人妄稱目錄十 十一部都十件論眞僞四百二十七部二千五十三卷

5) 제세중경목록(齊世衆經目錄)
031_0610_a_23L齊世衆經目錄
031_0610_b_02L무평(武平)년 사문통(沙門統) 법상(法上)이 편찬하였다.
① 잡장록(雜藏錄) 291부 874권
② 수다라록(修多羅錄) 179부 330권
③ 비니록(毗尼錄) 19부 256권
④ 아비담록(阿毗曇錄) 50부 421권
⑤ 별록(別錄) 37부 74권
⑥ 중경초록(衆經抄錄) 127부 137권
⑦ 집록(集錄) 33부 147권
⑧ 인작록(人作錄) 51부 106권
모두 8건 경ㆍ율ㆍ논 진위(眞僞) 787부 2,334권
031_0610_a_24L 武平年沙門統法上撰雜藏錄一 二百九十一部 八百七十四卷修多羅錄二 一百七十九部 三百三十卷毘尼錄三 一十九部  二百五十六卷阿毘曇錄四 五十部  四百二十一卷別錄五  三十七部  七十四卷衆經抄錄六 一百二十七部  一百三十七卷集錄七  三十三部  一百四十七卷人作錄八  五十一部  一百六卷都八件論眞僞七百八十七部千三百三十四卷

6) 양세중경목록(梁世衆經目錄)
031_0610_b_11L梁世衆經目錄
031_0610_c_02L천감(天監) 17년 사문(沙門) 보창(寶唱) 편찬하였다.
제1권대승(大乘)이다. 모두 262부 674권
① 유역인다권경(有譯人多卷經) 69부 467권
② 무역인다권경(無譯人多卷經) 5부 19권
③ 유역인일권경(有譯人一卷經) 90부 90권
④ 무역인일권경(無譯人一卷經) 98부 98권
제2권소승(小乘)이다. 모두 285부 400권
① 유역인다권(有譯人多卷) 17부 120권
② 무역인다권(無譯人多卷) 5부 17권
③ 유역인일권(有譯人一卷) 50부 50권
④ 무역인일권(無譯人一卷) 213부 213권
제3권 모두 362부 1,682권
① 선이역경(先異譯經)[45부 다권경(多卷經) 279권ㆍ38부 1권경 38권]
② 선경(禪經)[9부 다권경 38권ㆍ31부 1권경, 31권]
③ 계율(戒律) 68부 275권
④ 의경(疑經) 62부 67권
⑤ 주경(注經) 40부 246권
⑥ 수론(數論) 31부 367권
⑦ 의기(義記) 38부 341권
제4권 모두 129부 985권
① 수사별명(隨事別名) 13부 413권
② 수사공명(隨事共名) 35부 470권
③ 비유(譬喩) 15부 36권
④ 불명(佛名) 14부 19권
⑤ 신주(神呪) 47부 47권
총 4책 도합 20건 모두 1,433부 3,741권
031_0610_b_12L 天監十七年勅沙門寶唱撰衆經目錄卷第一大乘凡二百六十二部六百七十四卷有譯人多卷經一 六十九部 四百六十七卷無譯人多卷經二 五部 一十九卷有譯人一卷經三 九十部 九十卷無譯人一卷經四 九十八部 九十八卷衆經目錄卷第二小乘 凡二百八十五部 四百卷有譯人多卷一 一十七部 一百二十卷無譯人多卷二 五部 一十七卷有譯人一卷三 五十部  五十卷無譯人一卷四 二百一十三部二百一十三卷衆經目錄卷第三 凡三百六十二部一千六百八十二卷先異譯經一四十五部多卷 二百七十九卷 三十八部一卷 三十八卷禪經二九部多卷三十一部一卷三十八卷三十一卷戒律三  六十八部 二百七十五卷疑經四  六十二部 六十七卷注經五  四十部  二百四十六卷數論六三十一部三百六十七卷義記七三 十八部三百四十一卷衆經目錄卷第四# 凡一百二十九部九百八十五卷隨事別名一  一十三部  四百一十三卷隨事共名二  三十五部 四百七十卷譬喩三 一十五部 三十六卷佛名四 一十四部 一十九卷神呪五 四十七部 四十七卷摠四卷都二十件凡一千四百三十三部三千七百四十一卷

7) 대수중경목록(大隋衆經目錄)
031_0610_c_13L大隋衆經目錄
031_0611_a_02L개황(開皇) 14년 번경소(翻經所) 법경(法經) 등 20대덕(大德)이 편찬하였다.
① 대승수다라장록(大乘修多羅藏錄)[6분(分)] 합 784부 1,718권
중경일역분(衆經一譯分) 합 133부 421권
중경이역분(衆經異譯分) 합 195부 532권
중경실역분(衆經失譯分) 합 134부 275권
중경별생분(衆經別生分) 합 221부 264권
중경의혹분(衆經疑惑分) 합 21부 30권
중경위망분(衆經爲妄分) 합 80부 196권
② 소승수다라장록(小乘修多羅藏錄) 6분(分) 도합 842부 1,201권
중경일역분(衆經一譯分) 합 72부 292권
중경이역분(衆經異譯分) 합 100부 270권
중경실역분(衆經失譯分) 합 250부 272권
중경별생분(衆經別生分) 합 341부 346권
중경의혹분(衆經疑惑分) 합 29부 31권
중경위망분(衆經僞妄分) 합 53부 93권
③ 대승비니장록(大乘毗尼藏錄) 6분 합 50부 83권
중률일역분(衆律一譯分) 합 12부 32권
중률이역분(衆律異譯分) 합 7부 7권
중률실역분(衆律失譯分) 합 12부 14권
중률별생분(衆律別生分) 합 16부 16권
중률의혹분(衆律疑惑分) 합 1부 2권
중률위망분(衆律僞妄分) 합 2부 11권
④ 소승비니장록(小乘毗尼藏錄) 6분 합 62부 381권
중률일역분(衆律一譯分) 합 15부 198권
중률이역분(衆律異譯分) 합 8부 126권
중률실역분(衆律失譯分) 합 29부 35권
중률별생분(衆律別生分) 합 6부 6권
중률의혹분(衆律疑惑分) 합 2부 3권
중률위망분(衆律僞妄分) 합 3부 3권
⑤ 대승아비담장(大乘阿毗曇藏) 6분 합 68부 281권
중론일역분(衆論一譯分) 합 42부 206권
중론이역분(衆論異譯分) 합 8부 52권
중론실역분(衆論失譯分) 합 1부 2권
중론별생분(衆論別生分) 합 15부 19권
중론의혹분(衆論疑惑分) 합 1부 1권
중론위망분(衆論僞妄分) 합 1부 1권
⑥ 소승아비담장(小乘阿毗曇藏) 6분 합 116부 482권
중론일역분(衆論一譯分) 합 14부 276권
중론이역분(衆論異譯分) 합 8부 66권
중론실역분(衆論失譯分) 합 5부 22권
중론별생분(衆論別生分) 합 86부 107권
중론의혹분(衆論疑惑分) 합 1부 1권
중론위망분(衆論僞妄分) 합 2부 10권
⑦ 불멸도후초집록(佛滅度後抄集錄) 2분 합 144부 627권
서역성현초집분(西域聖賢抄集分) 합 48부 119권
차방제덕초집분(此方諸德抄集分) 합 96부 508권
⑧ 불멸도후전기록(佛滅度後傳記錄) 2분 합 68부 185권
서역성현전기분(西域聖賢傳記分) 합 13부 30권
차방제덕전기분(此方諸德傳記分) 합 55부 155권
⑨ 불멸도후저술록(佛滅度後著述錄) 2분 합 119부 134권
서역성현저술분(西域聖賢著述分) 합 15부 19권
차방제덕저술분(此方諸德著述分) 합 104부 115권
이상 9록(錄) 합 2,257부 5,310권이다.
앞의 여섯 가지 경록은 찾아서 모두 살펴본 것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작성한 내용과 형식[諸家體用]을 이상과 같이 나열하였다.
031_0610_c_14L開皇十四年勅翻經所法經等二十大德撰大乘修多羅藏錄一六分合七百八十四部一千七百一十八卷衆經一譯分 合一百三十三部 四百二十一卷衆經異譯分 合一百九十五部 五百三十二卷衆經失譯分 合一百三十四部 二百七十五卷衆經別生分 合二百二十一部 二百六十四卷衆經疑惑分 合二十一部  三十卷衆經僞妄分 合八十部  一百九十六卷小乘修多羅藏錄二六分合八百四十二部 一千二百一卷衆經一譯分 合七十二部  二百九十二卷衆經異譯分 合一百部  二百七十卷衆經失譯分 合二百五十部 二百七十二卷衆經別生分 合三百四十一部 三百四十六卷衆經疑惑分 合二十九部 三十一卷衆經僞妄分 合五十三部 九十三卷大乘毘尼藏錄三六分合五十部  八十三卷衆律一譯分 合十二部  三十二卷衆律異譯分 合七部  七卷衆律失譯分 合十二部  一十四卷衆律別生分 合十六部  一十六卷衆律疑惑分 合一部  二卷衆律僞妄分 合二部  十一卷小乘毘尼藏錄四六分合六十二部 三百八十一卷衆律一譯分 合一十五部 一百九十八卷衆律異譯分 合八部  一百二十六卷衆律失譯分 合二十九部 三十五卷衆律別生分 合六部  六卷衆律疑惑分 合二部  三卷衆律僞妄分 合三部  三卷大乘阿毘曇藏五六分合六十八部 二百八十一卷衆論一譯分 合四十二部 二百六卷衆論異譯分 合八部  五十二卷衆論失譯分 合一部  二卷衆論別生分 合一十五部 一十九卷衆論疑惑分 合一部  一卷衆論僞妄分 合一部 一卷小乘阿毘曇藏六六分合一百一十六部 四百八十二卷衆論一譯分 合一十四部 二百七十六卷衆論異譯分 合八部  六十六卷衆論失譯分 合五部  二十二卷衆論別生分 合八十六部 一百七卷衆論疑惑分 合一部  一卷衆論僞妄分 合二部  十卷佛滅度後抄集錄七二分合一百四十四部 六百二十七卷西域聖賢抄集分 合四十八部一百一十九卷此方諸德抄集分 合九十六部 五百八卷佛滅度後傳記錄八二分合六十八部 一百八十五卷西域聖賢傳記分 合一十三部  三十卷此方諸德傳記分 合五十五部 一百五十五卷佛滅度後著述錄九二分合一百一十九部 一百三十四卷西域聖賢著述分 合一十五部 一十九卷此方諸德著述分 合一百四部 一百一十五卷右九錄合二千二百五十七部五千三百一十卷前六家錄搜尋竝見故列諸家體用如右
031_0611_c_02L
8) 이름만 전해지고 실제 판본은 없는 경록들
고록(古錄)2) 1권진(秦)나라 때 석리방(釋利防) 등이 가지고 온 경목록(經目錄)인 듯하다.
한시불경목록(漢時佛經目錄) 1권이는 가섭마등(迦葉摩騰)이 처음으로 번역한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에 이어서 바로 찬술된 경록인 듯하다.
주사행한록(朱士行漢錄) 1권위(魏)나라 때3)
구록(舊錄) 1권전한(前漢)의 유향(劉向)이 수집한 장서(藏書)에 보이는 경록이다.
석도안록(釋道安錄) 1권진(秦)나라 때
섭도진록(聶道眞錄) 1권진(晉)나라 때
석승예이진록(釋僧叡二秦錄) 1권후진(後秦)
주사행한록(朱士行漢錄) 1권위나라 때
축도조중경록(竺道祖衆經錄) 4권 위세(魏世)ㆍ오세(吳世)ㆍ진세잡록(晉世雜錄)ㆍ하서위록(河西僞錄)
축법호록(竺法護錄) 1권진(晉)나라 때
지민도록(支敏度錄) 1권동진(東晉)과 도록(都錄) 1권
석왕종록(釋王宗錄) 2권전제(前齊) 때
석홍충록(釋弘充錄) 1권
석도혜송제록(釋道慧宋齊錄) 1권
석도빙록(釋道憑錄) 1권
석정도록(釋正度錄) 1권
왕거기록(王車騎錄) 1권
시흥록(始興錄) 1권
여산록(鏑山錄) 1권
조록(趙錄) 1권이는 조나라 때 보이지 않는 경록으로, 조(趙)는 아마도 성씨인 듯하다.
잠호록(岑號錄) 1권
보리류지록(菩提流支錄) 1권후위(後魏)
석승소화림불전록(釋僧紹華林佛殿錄) 4권이는 양나라 천감(天監) 14년 사문(沙門) 석승소(釋僧紹)에게 칙령을 내려 찬술한 것이다.
영유법사역경록(靈裕法師譯經錄) 1권
중경도록(衆經都錄) 8권아마도 이는 여러 사람의 경록을 종합한 것인 듯한데, 작자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상 24종의 경록은 전기(傳記)를 검토하면 경록의 제목은 있으나, 모두 실제로 볼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나열하여 나중에 영원히 전해지도록 하였다.
031_0611_b_21L右錄一卷似是秦時釋利防等所齎來經目錄漢時佛經目錄一卷似是伽葉摩騰創譯四十二章經目卽撰錄朱士行漢錄一卷魏時舊錄一卷似前漢劉向搜集藏書所見經錄釋道安錄一卷秦時聶道眞錄一卷晉時釋僧睿二秦錄一卷後秦朱士行漢錄一卷魏時竺道祖衆經錄四卷魏世吳世晉世雜錄河西僞錄竺法護錄一卷晉時支敏度錄一卷東晉又都錄一卷釋王宗錄二卷前齊世釋弘充錄一卷釋道慧宋齊錄一卷釋道憑錄一卷釋正度錄一卷王車騎錄一卷始興錄一卷廬山錄一卷趙錄一卷似是趙時未見經致疑姓氏岑號錄一卷菩提流支錄一卷後魏釋僧紹華林佛殿錄四卷梁天監十四年勅沙門釋僧紹撰靈裕法師譯經錄一卷衆經都錄八卷似是總合諸家未詳作者右二十四家錄檢傳記有目竝未嘗見故列之於後使傳萬世歷代三寶紀卷第十五甲辰歲高麗國分司大藏都監奉勅彫造
  1. 2)고려대장경에는 ‘우록(右錄)’이라고 되어 있으나, 위와 같이 교정하여 번역한다.
  2. 3)아래에 거듭 나온다. 시대 순으로 보았을 때 이 부분의 목록은 연문(衍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