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31_0794_a_01L
대주간정중경목록 서문


명전(明佺) 등 지음


가만히 생각하건대,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는 문자를 빌려서 나타내고, 정법(正法)과 상법(像法)은 이를 보호하고 유지함으로써 존속되는 것이니, 이는 불법을 만 겁(劫)에 유통시켜 4생(生:胎生ㆍ卵生ㆍ濕生ㆍ化生)을 이롭게 하기 때문이다.
우리 대주천책금륜성신황제(大周天策金輪聖神皇帝:측천무후) 폐하께서는 도(道)가 항겁(恒劫)에 드러나고, 수행하신 계위(階位)가 상인(上忍:聖位)에 가까워, 본원(本願)의 원력(願力)을 이어받아 이 세상에 태어나시어, 대비(大悲)하신 마음을 펴 중생들을 널리 구제하셨다.
금륜(金輪:法輪)을 굴려 사주(四洲:온 세상)를 교화하고 보마(寶馬)로 비행(飛行)하여 명성이 사방팔방의 구석진 곳까지 퍼졌다. 5계(戒)1)와 10선(善)2)을 고루 갖추지 않음이 없고, 3승(乘)3)과 6도(度)4)로 운행하였으며, 제왕(帝王)이 능히 행해야 할 일을 모두 실천함에 부족함이 없고, 보살의 법문을 두루 행함에 태만함이 없으셨다. 계승하여 융성하게[紹隆] 하고자 한 뜻은 금강(金剛)과 같이 굳고 홍서(弘誓:보살의 큰 서원)의 마음은 하늘과 같이 크시다.
성상의 뜻은, 교(敎)는 깨달음의 근본이고 법(法)은 곧 불교의 스승으로서, 괴로운 세상[苦海]을 떠나게 할 나루이며 미혹과 도탄에서 인도할 안목(眼目)이니, 의심되고 거짓된 것이 섞이지 않고 불법이 영구히 지속될 수 있게 하고자 힘쓰신 것에 있다. 이에 밝은 제서(制書)를 내리시어 상세하게 가려내게 하여 정경(正經)만을 남겨 두고 위본(僞本)은 모두 제거토록 명하셨다.
삼가 양(梁)나라의 석승교(釋僧皎)ㆍ석승우(釋僧祐)ㆍ석보창(釋寶唱)과 수(隋)나라 승려 법경(法經) 등이 찬술한 『일체경목록(一切經目錄)』과 수나라 번경학사(飜經學士) 비장방(費長房)이 찬술한 『개황삼보록(開皇三寶錄)』 및 당(唐)나라 승려 도선(道宣)이 찬술한 『내전록(內典錄)』 등을 참고하여, 이미 정목(正目)에 편입된 대승과 소승의 경(經)ㆍ율(律)ㆍ논(論) 및 현성(賢聖)의 집(集)ㆍ전(傳) 등 합계 2,146부 6,235권과 그 후 당조(唐朝)에서 성조(聖朝:大周)에 이르기까지 새로 번역된 경ㆍ논 및 전대(前代)의 구(舊) 번역이라도 아직 목록에 편입되지 않은 경이거나, 비록 목록에 편입되었더라도 의심되고 거짓되게 착주(錯注)된 것을 자세하게 모두 조사한 결과 바로 고쳐야 할 전ㆍ후 3건 등 대승과 소승의 경ㆍ율ㆍ논 합계 1,470부 2,406권을 밝으신 성지(聖旨)에 따라 빠짐없이 정목(正目)에 모두 편입, 지금 새로이 들어간 정목과 옛날에 들어간 정목의 대승과 소승의 경ㆍ율ㆍ논 및 현성의 집ㆍ전은 도합 3,616부 8,641권이다. 이에 그간 경명(經名)은 있으나 책이 없는 것, 책은 있으나 역자(譯者)를 알 수 없는 것, 현재 유행되는 것으로 대장경[藏]에 편입된 것, 단역(單譯)과 중역(重譯), 삼장(三藏:譯經者)이 같지 않고 양승(兩乘:대승과 소승)이 각각 다른 것 등으로 조건을 일일이 달아 합계 14권의 목록을 작성하여 『대주간정중경목록(大周刊定衆經目錄)』이라 부르게 되었다.
위경(僞經)이 이미 정경(正經)이 아닌데, 위경의 목록[僞目]을 어찌 정경의 목록[正目]과 동일시하여 이를 권차(卷次)에 편입할 수 있겠는가? 따라서 생각건대, 성상의 윤허를 받을 수 없을 것 같다. 그렇지만 비록 멀고 가까움은 밝혀야 할 것이 두렵더라도 별도로 여기에 한 축(軸)을 베껴 전한다.
대승과 소승의 경ㆍ율ㆍ논 및 현성의 집(集)ㆍ전(傳) 합계 3,616부 8,641권단 현재 유행되는 것으로 대장경에 편입된 것의 부(部)와 권(卷)은 이 숫자에 포함되지 않았다.이다.

제1권대승단역경목(大乘單譯經目) 283부 525권
제2권대승중역경목(大乘重譯經目) ① 180부 1,390권
제3권대승중역경목 ② 168부 338권
제4권대승중역경목 ③ 180부 421권
제5권대승중역경목 ④ 168부 365권
제6권대승률대승론목(大乘律大乘論目) 152부 716권
제7권소승단역경목(小乘單譯經目) 323부 419권
제8권소승중역경목(小乘重譯經目) ① 377부 846권
제9권소승중역경목 ② 279부 381권
제10권소승률론현성집전(小乘律論賢聖集傳) 194부 1,341권
제11권대소승실역경목(大小乘失譯經目) 424부 636권
제12권대소승궐본경목(大小乘闕本經目) 888부 1,263권
제13권현정입장유행목(見定入藏流行目) ①
제14권현정입장유행목 ②

대주간정중경목록(大周刊定衆經目錄) 제1권


명전 등 지음


1. 대승단역경목(大乘單譯經目) 283부 525권

불인삼매경(佛印三昧經) 1권
후한(後漢) 시대 안세고(安世高)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長房錄)』에 나온다.1)
졸봉적결대주경(卒逢賊結帶呪經) 1권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주적경(呪賊經) 1권일명(一名) 『제벽적해주(除僻賊害呪)』라고도 한다.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십사의경(十四意經) 1권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승우록(僧祐2)錄)』에 나온다.
보적삼매문수문법신경(寶積三昧文殊問法身經) 1권일명 『유일보적삼매문수사리문법신경(惟日寶積三昧文殊師利問法身經)』이라고도 하며, 6지로 되어 있다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명도오십교계경(明度五十校計經) 1부 2권일명 『오십교계경(五十校計經)』이라고도 하며, 44지(紙)로 되어 있다.
후한 원가(元嘉) 연간(51~52)에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사백삼매명경(四百三昧名經) 1권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연화녀경(蓮花女經) 1권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승방등요혜경(大乘方等要慧經) 1권1지로 되어 있다.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인본욕생경(人本欲生經) 1권
후한 환제(桓帝) 영수(永壽) 2년(156)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가섭결경(迦葉結經) 1권9지로 되어 있다.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문수사리문보살경(文殊師利問菩薩經) 1권일명 『문서경(問暑經)』이라고도 하며, 20지로 되어 있다.
후한 영제(靈帝) 때 지참(支讖)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광명삼매경(光明三昧經) 1권
후한 시대 지루가참(支樓迦讖)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내육바라밀경(內六波羅蜜經) 1권
후한 영제 때 청신사(淸信士) 엄불조(嚴佛調)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마하정진경(摩訶精進經) 1권일명 『대정진경(大精進經)』이라고도 한다
위(魏)나라 문제(文帝) 때 지겸(支謙)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다라니구경(陀羅尼句經) 1권
위나라 때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녹자경(鹿子經) 1권
오(吳)나라 건흥(建興) 연간(252~253)에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금강삼매본성청정불괴불명경(金剛三昧本性淸淨不壞不滅經) 1권일명 『금강청정경(金剛淸淨經)』이라고도 하며, 8지로 되어 있다.
오나라 건흥 연간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達摩鬱多羅錄)』에 나온다.
화적다라니경(華積陁羅尼經) 1권3지로 되어 있다.
오나라 건흥 연간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보창록(寶唱錄)』에 나온다.
십이문대방등경(十二門大方等經) 1권
오나라 황무(黃武) 연간(222~229)에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구색록경(九色鹿經) 1권3지로 되어 있다.
오나라 시대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불종상소행삼십게경(佛從上所行三十偈經) 1권혹은 경(經)자가 없다.
오나라 황무 연간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생지경(菩薩生地經) 1권일명 『차마갈경(差摩竭經)』이라고도 하며, 9지로 되어 있다.
오나라 황무 연간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출가공덕경(出家功德經) 1권6지(紙)로 되어 있다.
오나라 때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출가공덕경 1권2지로 되어 있다.
문수사리보살경(文殊師利菩薩經) 1권
서진(西晉) 시대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삼귀오계신왕명경(三歸五戒神王名經) 1권
도안(道安)이 이르기를, “서진시대에 법호(法護)가 번역했다”고 했다. 『승우록』에 나온다.
시방불명공덕경(十方佛名功德經) 1권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시방불명경(十方佛名經) 1권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자인문팔십종호경(慈仁問八十種好經) 1권혹은 바로 『팔십종호경(八十種好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삼십이상경(菩薩三十二相經) 1권일명 『삼십이상인연경(三十二相因緣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엄정정경(嚴淨定經) 1권일명 『서세경(序世經)』이라고도 한다.
진(晉)나라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시녀경(寶施女經) 1권일명 『수마제법률삼매경(須摩提法律三昧經)』이라고도 한다.
진나라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금익장자자경(金益長者子經) 1권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이구개경(離垢蓋經) 1권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혜명경(慧明經) 1권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심명경(心明經) 1권3지(紙)로 되어 있으며, 일명 『심명녀범지부반즙시경(心明女梵志婦飯汁施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환사인현경(幻士仁賢經) 1권18지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등목보살소문삼매경(等目菩薩所問三昧經) 1부 3권혹은 2권으로 되어 있으며, 일명 『보현보살정의경(普賢菩薩定意經)』이라고도 하며, 63지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內典錄)에 나온다.
보살몽경(菩薩夢經) 1부 2권40지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 대안(大安) 연간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중우경(衆祐經) 1권
진나라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십등장경(十等藏經) 1권일명 『삼전월명경(三轉月明經)』이라고도 한다.
진나라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밀적금강역사경(密迹金剛力士經) 1부 5권혹은 8권으로 된 것도 있으며, 132지로 되어 있다.
진나라 태강(太康) 원년(280)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內典錄)』에 나온다.
결도속경(決道俗經) 1권
진나라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식중덕본경(殖衆德本經) 1권
진나라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마역경(魔逆經) 1권22지(紙)로 되어 있으며, 처음 번역된 것이다.
서진 태강 연간(280~289)에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미륵보살소문본원경(彌勒菩薩所問本願經) 1권일명 『미륵보살본원경(彌勒菩薩本願經)』, 또는 『미륵보살난경(彌勒菩薩難經)』이라고도 하며, 9지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일명경(日明經) 1권3지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미륵위여신경(彌勒爲女身經) 1권일명 『미륵보살위여신경(彌勒菩薩爲女身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제제방등학경(濟諸方等學經) 1권14지(紙)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잡주경(雜呪經) 1부 3권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맹시경(猛施經) 1권일명 『맹시도지경(猛施道地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아유월치차경(阿惟越致遮經) 1부 3권혹은 4권으로도 되어 있으며, 『아유월치경(阿惟越致經)』, 또는 『불퇴전법륜경(不退轉法輪經)』이라고도 하며, 77지로 되어 있다.
서진 태강 연간 사문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결정총지경(決定總持經) 1권10지로 되어 있으며, 일명 『결정총경(決定總經)』, 또는 『결총지경(決總持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멸시방명경(滅十方冥經) 1권처음 역출한 본(本)에는 원래 ‘멸(滅)’자가 없었다. 6지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 광희(光熙) 원년(306)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녹모경(鹿母經) 1권4지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팔양신주경(八陽神呪經) 1권일명 『팔양경(八陽經)』이라고도 하며, 3지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정의삼매경(定意三昧經) 1권
도안(道安)이 이르기를, “진(晉)나라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나온다.
오십삼불명제죄경(五十三佛名除罪經) 1권『약왕약상여래장경(藥王藥上如來藏經)』에서 나왔다.
도안(道安)이 이르기를, “오나라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나온다.
출요경(出要經) 1부 20권
도안이 이르기를, “진나라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나온다.
사자월불본생경(師子月佛本生經) 1권7지로 되어 있다.
서진 혜제(惠帝) 태안(太安) 연간(302~303)에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유칭시방불명득다복경(有稱十方佛名得多福經) 1권
도안이 이르기를, “서진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보인다.
시방불명멸죄경(十方佛名滅罪經) 1권
도안이 이르기를, “서진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나온다.
덕내풍엄왕불명경(德內豊嚴王佛名經) 1권
도안이 이르기를, “서진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보인다.
공덕보광보살문호지경(功德寶光菩薩問護持經) 1권
도안이 이르기를, “서진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보인다.
보살십주행도품경(菩薩十住行道品經) 1권
도안이 이르기를, “서진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보인다.
화엄정경(華嚴淨經) 1권
도안이 이르기를, “서진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보인다.
부목비유경(浮木譬喩經) 1권
도안이 이르기를, “서진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보인다.
다라니게경(陀羅尼偈經) 1권
도안이 이르기를, “서진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보인다.
목련상정거천경(目連上淨居天經) 1권어떤 본은 천(天)자가 없이 역출되어 유행되었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수동진경(普首童眞經) 1권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광명보살백사십원경(大光明菩薩百四十願經) 1권
서진 혜제 태강(太康) 연간(280~289)에 섭도진(聶道眞)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적음보살원경(寂音菩薩願經) 1권
서진 혜제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삼만다발다라보살경(三曼陀颰陀羅菩薩經) 1권8지(紙)로 되어 있다.
서진 혜제 원강(元康) 연간(291~299)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고행경(菩薩苦行經) 1권
서진 혜제 태강 연간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가수면경(菩薩呵睡眠經) 1권
서진 혜제 태강 연간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이출보살본기경(異出菩薩本起經) 1권혹은 기(起)자가 없기도 하다.
서진 혜제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가가과경(菩薩呵家過經) 1권
서진 혜제 태강 연간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여의신통경(菩薩如意神通經) 1권
서진 혜제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구오목법경(菩薩求五目法經) 1권
서진 혜제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도행육법경(菩薩道行六法經) 1권
서진 혜제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초지경(菩薩初地經) 1권
서진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십도지경(菩薩十道地經) 1권
서진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바사닉왕욕벌앙굴마라경(波斯匿王欲伐鴦掘魔羅經) 1권
서진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전륜성왕칠보구족경(轉輪聖王七寶具足經) 1권
서진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문수사리여리의녀논의극사유마경(文殊師利與離意女論議極似維摩經) 1권
서진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초발의보살행이행법경(初發意菩薩行易行法經) 1권
서진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잡행법행경(菩薩雜行法行經) 1권
서진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소행사법경(菩薩所行四法經) 1권
서진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오법행경(菩薩五法行經) 1권
서진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육법행경(菩薩六法行經) 1권
서진 시대에 섭도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엄정불토경(嚴淨佛土經) 1권또한 『정토경(淨土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혜제 시대에 하내(河內) 사문 백법조(白法祖)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현자오복경(賢者五福經) 1권2지(紙)로 되어 있다.
서진 혜제 시대에 사문 백법조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유체보살경(惟逮菩薩經) 1권
서진 혜제 시대에 백법조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단특다라니경(檀特陀羅尼經) 1권
서진 시대에 백법조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여래흥현경(如來興顯經) 1권
서진 혜제 시대에 하내 사문 백법조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수달경(首達經) 1권
서진 혜제 시대에 하내 사문 백법조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정의경(正意經) 1권두 번째 역출된 것이다.
서진 혜제 시대에 법거(法炬)와 법립(法立)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정반왕반니원경(淨飯王般泥洹經) 1권
서진 혜제 시대에 사문 법거와 법립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제경보살명(諸經菩薩名) 1부 2권
서진 혜제 시대에 사문 법거와 법립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명제석시경(明帝釋施經) 1권
서진 혜제 시대에 사문 법거와 법립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아사세왕수결경(阿闍世王受決經) 1권5지로 되어 있다.
서진 혜제 시대에 법거와 법립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우전왕경(優塡王經) 1권일명 『우전왕작불형상경(優塡王作佛形像經)』이라고도 하며, 6지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에 사문 법거와 법립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전세삼전경(前世三轉經) 1권7지로 되어 있다.
서진 혜제 시대에 사문 법거와 법립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삼십칠품경(三十七品經) 1권
동진(東晉) 태강(太康)3) 연간(376~396)에 담무란(曇無蘭)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채화위왕상불수결경(採花違王上佛授決經) 1권4지로 되어 있다.
동진 효무제(孝武帝) 때 축담무란(竺曇無蘭)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칠불소결마유술주경(七佛所結麻油述呪經) 1권
이본(異本)이다. 동진 효무제 시대에 축담무란이 양도(楊都)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다린발주경(陀隣鉢呪經) 1권
동진 효무제 시대에 축담무란이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신모결서주경(大神母結誓呪經) 1권
동진 효무제 시대에 축담무란이 양도의 사진서사(謝鎭西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이원법원신주경(伊洹法願神呪經) 1권
동진 효무제 시대에 축담무란이 양도의 사진서사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해일액신주경(解日厄神呪經) 1권
동진 효무제 시대에 축담무란이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육신명신주경(六神名神呪經) 1권
동진 효무제 시대에 축담무란이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환사발다신주경(幻師颰陀神呪經) 1권일명 『파타경(波陀經)』이라고도 한다.
동진 효무제 시대에 축담무란이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단특라마유술신주경(檀特羅麻油述神呪經) 1권
동진 효무제 때 축담무란이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마유술신주경(麻油述神呪經) 1권
동진 효무제 시대에 축담무란이 양도의 사진서사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마니라단신주안마경(摩尼羅亶神呪按摩經) 1권
동진 효무제 시대에 축담무란이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의왕유루연신주경(醫王惟樓延神呪經) 1권일명 『아난소문의왕유루연주(阿難所問醫王惟樓延呪)』라고도 한다.
동진 효무제 시대에 축담무란이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용왕주수욕경(龍王呪水浴經) 1권
십팔용왕신주경(十八龍王神呪經) 1권
지우주경(止雨呪經) 1권
청우주경(請雨呪經) 1권
친수신주경(嚫水神呪經) 1권
환사아이추주경(幻師阿夷鄒呪經) 1권
주수경(呪水經) 1권
주약경(呪藥經) 1권
주독경(呪毒經) 1권
지구신주경(持句神呪經) 1권
주시기병경(呪時氣病經) 1권
주소아경(呪小兒經) 1권
주치경(呪齒經) 1권이본(異本)이다.
주아통경(呪牙痛經) 1권혹은 치통(齒痛)이라고도 한다.
주안통경(呪眼痛經) 1권
마니라단신주경(摩尼羅亶神呪經) 1권
오안문경(五眼文經) 1권
이상은 모두 동진 효무제 시대에 축담무란이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정육바라밀경(淨六波羅蜜經) 1권
동진 시대에 불타발타라가 번역하였으며, 『화도사록(化度寺錄)』에 나온다.
문수사리발원게경(文殊師利發願偈經) 1권
동진 안제(安帝) 원희(元熙) 2년(420) 삼장 불타발타라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선경(禪經) 1부 4권
동진 때 기다밀(祇多蜜)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오개의결실행경(五蓋疑結失行經) 1권두 번째 역출한 것이다.
동진 시대 기다밀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처태경(菩薩處胎經) 1부 5권123지(紙)로 되어 있다.
후진(後秦) 때 축불념이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중음경(中陰經) 1부 2권27지로 되어 있다.
후진 시대 축불념이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內典錄)』에 나온다.
보살보처경(菩薩普處經) 1부 3권
후진 시대 사문 축불념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선경(禪經) 1부 3권일명 『보살선법경(菩薩禪法經)』, 또는 『좌선삼매경(坐禪三昧經)』이라고도 하며, 대승(大乘)의 관법(觀法)과 수행(修行)을 밝혔다.
후진 홍시(弘始) 연간(399~416)에 구마라집[羅什]이 번역하였으며, 『이진록(二秦錄)』과 『보창록(寶唱錄)』에 나온다.
발보리심경(發菩提心經) 1부 2권
후진 홍시 연간에 구마라집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선권경(大善權經) 1부 2권
후진 시대 구마라집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지지경(持地經) 1권
후진 홍시 연간에 구마라집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화수경(花手經) 1부 10권일명 『섭제선근경(攝諸善根經)』이라고도 하며, 혹은 11권ㆍ12권ㆍ13권으로도 되어 있다.
후진 홍시 연간에 구마라집(鳩摩羅什)이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허공장보살문지경득기공덕경(虛空藏菩薩問持經得幾功德經) 1권6지로 되어 있다.
후진 시대 구마라집이 장안의 소요원(逍遙園)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천불인연경(千佛因緣經) 1권21지(紙)로 되어 있다.
후진 홍시 7년(406)에 구마라집이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장자법지처경(長者法志妻經) 1권3지로 되어 있다.
후진 시대 구마라집이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일체시왕소행단바라밀경(一切施王所行檀波羅蜜經) 1권4지로 되어 있다.
후진 시대 구마라집이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무량락불토경(無量樂佛土經) 1권
후진 홍시 연간에 구마라집이 장안의 소요원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제법무상경(諸法無相經) 1권
후진 홍시 연간에 구마라집이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나온다.
살라국왕경(薩羅國王經) 1권4지로 되어 있다.
후진 시대 구마라집이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현수경(賢首經) 1권일명 『현수부인경(賢首夫人經)』이라고도 하며, 3지로 되어 있다.
서진(西秦) 걸복(乞伏) 때 사문 법견(法堅)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태자수달나경(太子須達拏經) 1권24지로 되어 있다.
서진(西秦) 걸복국인(乞伏國仁) 때 사문 법견이 하남(河南)의 강릉(江陵) 신사(新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소생지경(菩薩所生地經) 1권일명 『마갈소문경(摩竭所問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걸복 때 사문 법견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지지경(菩薩地持經) 1부 10권
북량(北涼) 때 담무참(曇無讖)이 고장(姑臧)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방등다라니경(大方等陀羅尼經) 1부 4권일명 『단특다라니경(檀特陀羅尼經)』, 또는 『방등단특다라니경(方等檀特陀羅尼經)』, 또는 『다라니(陀羅尼)』라고도 하며, 62지로 되어 있다.
북량 때 석법중(釋法衆)이 고창군(高昌郡)에서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나온다.
공덕보일광보살경(功德寶一光菩薩經) 1권
북량 시대 사문 담무참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길의주경(大吉義呪經) 1부 4권44지로 되어 있으며, 혹은 2권으로 되어 있다.
후위(後魏) 태화(太和) 10년(486) 담요(曇曜)가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부증불감경(不增不減經) 1권6지(紙)로 되어 있다.
후위 때 보리류지(菩提留支)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불필정입정인경(不必定入定印經) 1권25지(紙)로 되어 있다.
후위 때 보리류지가 번역하였으며, 『정태법사록(靜太法師錄)』에 나온다.
차마파제수기경(差摩婆帝受記經) 1권4지로 되어 있다.
후위 때 보리류지가 낙양(洛陽) 및 업도(鄴都)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일체법고왕경(一切法高王經) 1권20지로 되어 있다.
후위4) 흥화(興和) 연간(539~542)에 보리류지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제일의법승경(第一議法勝經) 1권
후위 때 보리류지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법집경(法集經) 1부 8권혹은 7권이나 6권으로 되어 있으며, 132지로 되어 있다.
후위 때 보리류지가 낙양 및 업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불명경(佛名經) 1부 13권혹은 12권으로 되어 있으며, 300지로 되어 있다.
후위 정광(正光) 연간(520~525) 사문 보리류지가 낙양 및 업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방불경(謗佛經) 1권9지로 되어 있다.
후위 영평(永平) 2년(509)부터 동위(東魏) 천평(天平) 연간(534~537)까지 보리류지가 낙양 및 업도에 있으면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은색녀경(銀色女經) 1권7지로 되어 있다.
후위 시대에 불타선다가 낙양의 백마사(白馬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무외덕녀경(無畏德女經) 1권15지로 되어 있다.
후위5) 원상(元象) 연간(538~539)에 불타선다가 낙양 백마사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여래사자후경(如來師子吼經) 1권6지로 되어 있다.
후위의 불타선다와 보리류지가 함께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보살사법경(菩薩四法經) 1권
후위 시대 구담반야류지(瞿曇般若留支)가 업도의 금화사(金花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승가타경(僧伽吒經) 1부 4권59지로 되어 있다.
후위의 월파수나(月婆首那) 왕자가 업도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선덕바라문문제바달경(善德婆羅門問提婆達經) 1권
송나라 문제(文帝) 원가(元嘉) 4년(427) 사문 석지엄(釋智嚴)이 양도(楊都) 지원사(枳園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법고경(大法鼓經) 1부 2권36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가 동안사(東安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의경(大意經) 1권6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문제 시대에 구나발타라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불입감로조정의경(佛入甘露調正意經) 1권『대십이문경(大十二門經)』에 나온다.
송나라 문제 시대에 삼장법사 구나발타라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무우왕경(無憂王經) 1권
송나라 원가 연간(424~453)에 구나발타라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살룡제일국경(殺龍濟一國經) 1권제6권에서 나온다.
송나라 문제 시대에 삼장 구나발타라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본행육바라밀경(本行六波羅蜜經) 1권
송나라 문제 시대에 구나발타라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중음경(中陰經) 1권
송나라 효무제 시대에 저거경성(沮渠京聲)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아난견수광서경(阿難見水光瑞經) 1권
송나라 효무제 시대에 석혜간(釋慧簡)이 녹야사(鹿野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삼밀저야경(三蜜底耶經) 1권일명 『현인용률경(賢人用律經)』이라고도 한다.
송나라 명제(明帝) 시대에 사문 법권(法眷)이 광주(廣州)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여래은지부사의경(如來恩智不思議經) 1부 5권
송나라 명제 시대에 사문 축법권(竺法眷)이 광주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해의경(海意經) 1부 7권
보정경(寶頂經) 1부 5권
송나라 명제 때 사문 축법권이 광주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관세음참회제죄경(觀世音懺悔除罪經) 1권
남제(南齊) 영명(永明) 연간(483~493)에 사문 법의(法意)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칠불각설게경(七佛各說偈經) 1권
보리복장법화삼매경(菩提福藏法化三昧經) 1권
안묘주경(安墓呪經) 1권
남제 시대 사문 석도비(釋道備)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운보살경(寶雲菩薩經) 1권
양(梁)나라 보통(普通) 원년(520) 승가바라(僧伽婆羅)가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나온다.
우루빈경(優樓頻經) 1권
양나라 천감(天監) 15년(516) 청신사(淸信士) 목도현(木道賢)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문수사리문경(文殊師利問經) 1부 2권
양나라 천감 17년(518) 승가바라가 점운관(占雲館)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보살경계분신법문경(菩薩境界奮迅法門經) 1부 10권
양나라 무제(武帝) 시대에 사문 보리류지가 낙양에서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나온다.
호제동자주경(護諸童子呪經) 1권
양나라 무제 시대에 삼장 보리류지가 낙양 및 업도에 있으면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연등경(然燈經) 1권일명 『시등공덕경(施燈功德經)』이라고도 한다.
북제(北齊) 시대에 나련제야사(那連提耶舍)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견보삼매경(見寶三昧經) 1부 10권
북제 천통(天統) 연간(565~569)에 나련제야사가 업도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무상의경(無上依經) 1부 2권
진(陳)나라 영정(永定) 2년(558)에 사문 진제(眞諦)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광의법문경(廣義法門經) 1권
진나라 시대에 진제가 광주(廣州)의 제지사(制止寺)와 왕원사(王園寺)의 두 절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종종잡주경(種種雜呪經) 1권
주(周)나라 무제(武帝) 시대에 삼장법사 사나굴다(闍那崛多)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견고녀경(堅固女經) 1권일명 『뇌고녀경(牢固女經)』이라고도 하며, 6지(紙)로 되어 있다.
수(隋)나라 개황(開皇) 2년(582) 나련제야사가 흥선사(興善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호국보살경(護國菩薩經) 1부 2권42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연간(581~600)에 사나굴다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동방최승등왕여래경(東方最勝燈王如來經) 1권13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연간에 사나굴다와 급다(笈多)가 대흥선사(大興善寺)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무소유보살경(無所有菩薩經) 1부 4권60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연간에 사나굴다 등이 대흥선사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대방광총지경(大方廣摠持經) 1권13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연간에 비니다류지(毘尼多留支)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입법계체성경(入法界體性經) 1권10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연간에 사나굴다가 흥선사(興善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희유교량공덕경(希有校量功德經) 1권6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6년(586) 사나굴다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십이불명신주경(十二佛名神呪經) 1권일명 『교량공덕제장멸죄경(校量功德除障滅罪經)』이라고도 하며, 8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7년(587) 사나굴다가 대흥선사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여래방편선교주경(如來方便善巧呪經) 1권11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7년 사나굴다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선사동자경(善思童子經) 1부 2권20지(紙)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11년(591) 사문 사나굴다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월상녀경(月上女經) 2권27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10년(590) 사문 사나굴다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대법거다라니경(大法炬陀羅尼經) 1부 20권300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연간에 사문 사나굴다 등이 서경(西京) 대흥선사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오천오백불명경(五千五百佛名經) 1부 8권126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13년(593) 사나굴다가 서경 흥선사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제불호념경(諸佛護念經) 1부 10권
수나라 개황 14년(594) 사나굴다 등이 서경의 흥선사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위덕다라니경(大威德陀羅尼經) 1부 20권365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15년(595) 사나굴다 및 달마급다(達摩笈多) 등이 장안 흥선사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관찰제법행경(觀察諸法行經) 1부 4권60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15년 사나굴다 및 급다가 흥선사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역장엄삼매경(力莊嚴三昧經) 1부 3권36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연간에 야사가 장안 대흥선사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대집비유왕경(大集譬喩王經) 1부 2권32지(紙)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연간에 사나굴다가 흥선사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연화면경(蓮華面經) 1부 2권23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연간에 나련제야사(那連提耶舍)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발각정심경(發覺淨心經) 1부 2권27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15년 사나굴다가 흥선사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출생보리심경(出生菩提心經) 1권11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15년 사나굴다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상주천자문경(商主天子問經) 1권16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15년 사나굴다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제법최상왕경(諸法最上王經) 1권22지로 되어 있다.
수나라 개황 15년 사나굴다가 흥선사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보성다라니경(寶星陀羅尼經) 1부 10권140지로 되어 있다.
대당(大唐) 정관(貞觀) 원년(627) 삼장 파라파밀다(波羅頗蜜多)가 승광사(勝光寺)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점찰경(占察經) 1부 2권
외국(外國)의 사문 보리등(菩提登)이 번역하였고, 천책만세(天冊萬歲) 원년(695) 10월 24일에 칙명을 받들어 편집하였다.
청정관세음보현다라니경(淸淨觀世音普賢陀羅尼經) 1권5지로 되어 있다.
대당 영휘(永徽) 4년(653) 5월 11일 서경의 총지사(總持寺)에서 대덕승(大德僧) 지통(智通)이 번역하였고, 천책만세 원년 10월 24일에 칙명을 받들어 편집하였다.
다라니집경(陀羅尼集經) 1부 12권합 350지이다.
대당 영휘 5년(654) 4월 15일 중천축국(中天竺國)의 삼장 아지구다(阿地瞿多)이는 무극고(無極高)를 말한다.가 서경의 혜일사(慧日寺)에서 번역하였고, 천책만세 원년 10월 24일 칙명을 받들어 편집하였다.
팔만다라경(八曼茶羅經) 1권일명 『사자혜보살소문경(師子慧菩薩所問經)』이라고도 한다.
대당 용삭(龍朔) 2년(662) 북천축국의 삼장 나제(那提)가 서경의 자은사(慈恩寺)에서 번역하였다.
이구혜보살소문예불법경(離垢慧菩薩所問禮佛法經) 1권5지(紙)로 되어 있다.
대당 용삭(龍朔) 3년(663) 북천축국의 삼장 나제가 번역하였다.
천전다라니주경(千轉陀羅尼呪經) 1권
육자다라니주경(六字陀羅尼呪經) 1권
칠구지불소주경(七俱胝佛所呪經) 1권
수일체여래의신주경(隨一切如來意神呪經) 1권
관자재보살수심주경(觀自在菩薩隨心呪經) 1권
여래시교승군왕경(如來示敎勝軍王經) 1권혹은 『승군왕경(勝軍王經)』이라고도 하며, 10지로 되어 있다.
심희유경(甚希有經) 1권5지로 되어 있다.
최무비경(最無比經) 1권2지로 되어 있다.
제불심다라니경(諸佛心陀羅尼經) 1권2지로 되어 있다.
수지칠불명호소생공덕경(受持七佛名號所生功德經) 1권5지로 되어 있다.
불임열반기법주경(佛臨涅槃記法住經) 1권5지로 되어 있다.
칭찬대승공덕경(稱讚大乘功德經) 1권5지로 되어 있다.
불지경(佛地經) 1권10지로 되어 있다.
현무변불토공덕경(顯無邊佛土功德經) 1권2지로 되어 있다.
승당비인다라니경(勝幢譬印陀羅尼經) 1권2지로 되어 있다.
발제고난다라니경(拔濟苦難陀羅尼經) 1권2지(紙)로 되어 있다.
팔명보밀다라니경(八名普密陀羅尼經) 1권2지로 되어 있다.
지세다라니경(持世陀羅尼經) 1권7지로 되어 있다.
연기성도경(緣起聖道經) 1권5지로 되어 있다.
육문다라니경(六門陀羅尼經) 1권2지(紙)로 되어 있다.
반야다심경(般若多心經) 1권1지로 되어 있다.
천청문경(天請問經) 1권3지로 되어 있다.
십이연기경(十二緣起經) 1권2지로 되어 있다.
적조신변삼마지경(寂照神變三摩地經) 1권
이상은 모두 대당(大唐)의 현장(玄奘)이 번역한 것이다.
대승사법경(大乘四法經) 1권1지로 되어 있다.
조탑공덕경(造塔功德經) 1권2지로 되어 있다.
대방광사자후경(大方廣師子吼經) 1권6지로 되어 있다.
이상은 모두 대당 영륭(永隆) 원년(680)에 지바하라(地婆訶羅)가 동태원사(東太原寺)에서 번역한 것이다.
대승백복상경(大乘百福相經) 1권8지로 되어 있다.
대당 영순(永淳) 2년(683)에 지바하라가 서경의 서태원사(西太原寺) 귀녕원(歸寧院)에서 번역한 것이다.
대승밀엄경(大乘密嚴經) 1부 3권63지로 되어 있다.
대당 삼장 지바하라가 번역하였다.
칠구지불모심대준제다라니경(七俱胝佛母心大准提陀羅尼經) 1권4지로 되어 있다.
대당 수공(垂拱) 원년(685)에 지바하라가 서경의 서태원사에서 번역한 것이다.
방광대장엄경(方廣大莊嚴經) 1부 12권246지로 되어 있다.
대당 수공 원년에 삼장 지바하라가 서경의 서태원사 귀녕원에서 번역한 것이다.
지거다라니경(智炬陀羅尼經) 1권4지로 되어 있다.
제불집회다라니경(諸佛集會陀羅尼經) 1권4지로 되어 있다.
이상 2본의 경전은 대주(大周) 천수(天授) 2년(691)에 우전국(于闐國) 삼장 제운반야(提雲般若)가 대주(大周) 동사(東寺)에서 번역한 것이다.
수구소득자재다라니경(隨求所得自在陀羅尼經) 1권
대주 장수(長壽) 2년(693)에 천축 삼장 보사유(寶思惟)가 천궁사(天宮寺)에서 번역한 것이다.
호명법문신주경(護命法門神呪經) 1권13지로 되어 있다.
대주 장수 2년에 보리류지가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번역하였다.
대승금강계주보살수행분경(大乘金剛髻珠菩薩修行分經) 1권21지로 되어 있다.
유덕녀소문대승경(有德女所問大乘經) 1권5지로 되어 있다.
이상 2경은 대주 장수 2년에 남천축국의 삼장 보리류지가 대주(大周) 동사(東寺)에서 번역하였다.
문수사리소설부사의불경계경(文殊師利所說不思議佛境界經) 1부 2권혹은 1권으로 되어 있으며, 27지로 되어 있다.
대주(大周) 장수 2년에 삼장법사 보리류지가 대주 동사에서 번역하였다.
보살도지경(菩薩道地經) 1권안공(安公)은 “방등부(方等部)에서 나왔다”고 하였다.
마하차갈선경(摩訶遮曷旋經) 1권
마하궐미난문경(摩訶厥彌難問經) 1권혹은 『대궐미경(大厥彌經)』이라고도 한다.
보살등행경(菩薩等行經) 1권
보살십구화경(菩薩十漚惒經) 1권
보살본행경(菩薩本行經) 1권
마하건타유위라진신비구등도경(摩訶乾陀惟衛羅盡信比丘等度經) 1권『구록(舊錄)』에서는 『진신비구경(盡信比丘經)』이라고 하였다.
대본장경(大本藏經)
이상 8경은 『승우록(僧祐錄)』에서 이르기를 “옛 것과 다른 경이다[古異經]”라고 하였다.
다라니집(陀羅尼集) 1부 10권187지(紙)로 되어 있으며, 일명 『잡주경(雜呪經)』이라고도 한다.
수능삼매경(首楞三昧經) 1부 2권
출생보리경(出生菩提經) 1권
비라삼매경(毘羅三昧經) 1부 2권
이상은 송대(宋代)의 사문 석지엄(釋智嚴)이 번역한 것이다.
결정죄복경(決定罪福經) 1권
북량(北涼)시대 사문 담무참(曇無讖)이 번역하였다.
법두경(法杜經) 1부 2권
서진(西晉)시대 사문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031_0794_a_01L大周刊定衆經目錄序大唐天后勅佛授記寺沙門明佺等撰竊以眞諦俗諦藉文字而方顯正法像法由護持而獲存所以得萬劫流通四生利益我大周天策金輪聖神皇帝陛下道著恒劫位鄰上忍乘本願而下生演大悲而廣濟金輪騰轉化偃四洲寶馬飛行聲覃八表莫不齊之以五戒十善運之以三乘六度帝王能事畢踐無遺菩薩法門周行莫怠紹隆之意與金剛而等堅弘誓之心共虛空而比大聖情以教爲悟法是佛師出苦海之津梁導迷塗之眼目務欲令疑僞不雜住持可久迺下明制普令詳擇存其正經去其僞本謹按梁朝釋僧皎釋僧祐釋寶隋朝僧法經等所撰一切經目錄隋朝翻經學士費長房所撰開皇三寶錄唐朝僧道宣所撰內典錄等編入正目小乘經幷賢聖集合二千一百四十六部六千二百三十五卷其後唐朝至 聖朝新譯經論及有雖是前代舊翻而未經入幷雖已入目而錯注疑僞審共詳事須改正者前後三件小乘經律論合一千四百七十部二千四百六卷悉依明旨咸編正目今新入正目及舊入正目小乘經幷賢聖集傳都合三千六百一十六部千六百四十一卷其閒有名闕本本失譯見行入藏及翻譯單三藏不同兩乘各異竝備出條件撰爲目錄合一十四卷號之曰大周刊定衆經目錄其僞經旣不是正經僞目豈同於正目編之卷次竊將未允然恐須明示遠近故別爲一軸傳寫焉小乘經論及賢聖集傳合三千六百一十六部八千六百四十一卷其見定入藏流行部卷不在此數大乘單譯經目 卷第一二百八十三部五百二十五卷大乘重譯經目之一 卷第二一百八十部一千三百九十卷大乘重譯經目之二 卷第三一百六十八部三百三十八卷大乘重譯經目之三 卷第四一百八十部四百二十一卷 大乘重譯經目之四 卷第五一百六 十八部三百六十五卷大乘律大乘論目  卷第六一百五十二部七百一十六卷小乘單譯經目 卷第七三百二十三部四百一十九卷小乘重譯經目之一 卷第八三百七十七部八百四十六卷小乘重譯經目之二 卷第九二百七十九部三百八十一卷小乘律論賢聖集傳 卷第十一百九十四部一千三百四十一卷大小乘失譯經目 卷第十一四百二十四部六百三十六卷大小乘闕本經目 卷第十二八百八十八部一千二百六十三卷見定入藏流行目上 卷第十三見定入藏流行目下 卷第十四大周刊定衆經目錄卷第一大乘單譯經目二百八十三部五百二十五卷佛印三昧經一卷右後漢代安世高譯出長房錄卒逢賊結帶呪經一卷右後漢代安世高譯出長房錄呪賊經一卷一名除辟賊害呪右後漢代安世高譯出長房錄十四意經一卷右後漢代安世高譯出僧祐錄寶積三昧文殊問法身經一卷一名惟日寶積三昧文殊師利問法身經六紙右後漢代安世高譯出長房錄明度五十挍計經一部二卷一名五十挍計經四十四紙右後漢元嘉年安世高譯出長房錄四百三昧名經一卷右後漢代安世高譯出長房錄蓮花女經一卷右後漢代安世高譯出長房錄大乘方等要慧經一卷 一紙右後漢代安世高譯出長房錄人本欲生經一卷右後漢桓帝永壽二年安世高出長房錄迦葉結經一卷九紙右後漢代安世高譯出長房錄文殊師利問菩薩經一卷一名問署經二十紙右後漢代靈帝支讖譯出長房錄光明三昧經一卷右後漢代支樓迦讖譯出長房錄內六波羅蜜經一卷右後漢代靈帝淸信士嚴佛調出長房錄摩訶精進經一卷一名大精進經右魏文帝代支謙譯出長房錄陁羅尼句經一卷右魏代支謙譯出長房錄鹿子經一卷右吳建興年支謙譯出長房錄金剛三昧本性淸淨不壞不滅經一一名金剛淸淨經八紙右吳建興年支謙譯出達摩鬱多羅錄華積陁羅尼經一卷三紙右吳建興年支謙譯出寶唱錄十二門大方等經一卷右吳黃武年支謙譯出長房錄九色鹿經一卷三紙右吳代支謙譯出達摩鬱多羅錄佛從上所行三十偈經一卷或無經字右吳黃武年支謙譯出長房錄菩薩生地經一卷一名差摩竭經九紙右吳黃武年支謙譯出長房錄出家功德經一卷六紙右吳時支謙譯出長房錄出家功德經一卷二紙文殊師利菩薩經一卷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三歸五戒神王名經一卷右道安云西晉代法護譯出僧祐錄十方佛名功德經一卷右西晉竺法護譯出長房錄十方佛名經一卷右西晉竺法護譯出長房錄慈仁問八十種好經一卷或直云八十種好經右西晉竺法護譯出長房錄菩薩三十二相經一卷一云三十二相因緣經右西晉竺法護譯出長房錄嚴淨定經一卷一名序世經右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寶施女經一卷一名須摩提法律三昧經右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金益長者子經一卷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離垢蓋經一卷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慧明經一卷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心明經一卷三紙一名心明女梵志婦飯汁施經右西晉竺法護譯出達摩鬱多羅錄幻士仁賢經一卷十八紙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等目菩薩所問三昧經一部三卷或二卷一名普賢菩薩定意經六十三紙右西晉竺法護譯出內典錄菩薩夢經一部二卷四十紙右西晉大安年竺法護譯出達摩鬱多羅錄衆祐經一卷右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十等藏經一卷一名三轉月明經右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密迹金剛力士經一部五卷或八卷一百三十二紙右晉太康元年竺法護譯出內典錄決道俗經一卷右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殖衆德本經一卷右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魔逆經一卷二十二紙初出右西晉太康年竺法護譯出長房錄彌勒菩薩所問本願經一卷一名彌勒菩薩本願經一名彌勒菩薩難經九紙右西晉代竺法護譯出內典錄日明經一卷三紙右西晉代竺法護譯彌勒爲女身經一卷一名彌勒菩薩爲女身經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濟諸方等學經一卷十四紙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雜呪經一部三卷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猛施經一卷一名猛施道地經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阿惟越致遮經一部三卷或四卷或名阿惟越致經或名不退轉法輪經七十七紙右西晉太康年沙門竺法護譯出長房錄決定摠持經一卷十紙一名決定摠經一名決摠持經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滅十方冥經一卷初出一本無滅字六紙右西晉代光熙元年竺法護譯出長房錄鹿母經一卷四紙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八陽神呪經一卷一名八陽經三紙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定意三昧經一卷右道安云晉代竺法護譯出僧祐錄五十三佛名除罪經一卷出藥王藥上如來藏經右道安云吳代竺法護譯出僧祐錄出要經一部二十卷右道安云晉代竺法護譯出僧祐錄師子月佛本生經一卷七紙右西晉代惠帝太安年竺法護出達摩鬱多羅錄有稱十方佛名得多福經一卷右道安云西晉代竺法護所出見僧祐錄十方佛名滅罪經一卷右道安云西晉代竺法護譯僧祐錄德內豐嚴王佛名經一卷右道安云西晉代竺法護譯出見僧祐錄功德寶光菩薩問護持經一卷右道安云西晉代竺法護出僧祐錄菩薩十住行道品經一卷右道安云西晉代竺法護出僧祐錄華嚴淨經一卷右道安云西晉代竺法護出僧祐錄浮木譬喩經一卷右道安云西晉代竺法護出僧祐錄陁羅尼偈經一卷右道安云西晉代竺法護出僧祐錄目連上淨居天經一卷一本無天字出本行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普首童眞經一卷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大光明菩薩百四十願經一卷右西晉惠帝太康年聶道眞出長房錄寂音菩薩願經一卷右西晉惠帝代聶道眞譯出長房錄三曼陁颰陁羅菩薩經一卷八紙右西晉惠帝代元康年聶道眞出長房錄菩薩苦行經一卷右西晉惠帝大康年聶道眞譯出長房錄菩薩呵睡眠經一卷右西晉惠帝代太康年聶道眞出長房錄異出菩薩本起經一卷或無起字右西晉惠帝代聶道眞譯出長房錄菩薩呵家過經一卷右西晉惠帝代太康年聶道眞出長房錄菩薩如意神通經一卷右西晉惠帝代聶道眞譯出長房錄菩薩求五目法經一卷右西晉惠帝代聶道眞譯出長房錄菩薩道行六法經一卷右西晉惠帝代聶道眞譯出長房錄菩薩初地經一卷右西晉代聶道眞譯出長房錄菩薩十道地經一卷右西晉代聶道眞譯出長房錄波斯匿王欲伐鴦掘魔羅經一卷右西晉代聶道眞譯出長房錄轉輪聖王七寶具足經一卷右西晉代聶道眞譯出長房錄文殊師利與離意女論議極似維摩經一卷右西晉代聶道眞譯出長房錄初發意菩薩行易行法經一卷右西晉代聶道眞譯出長房錄菩薩雜行法行經一卷右西晉代聶道眞譯出長房錄菩薩所行四法經一卷右西晉代聶道眞譯出長房錄菩薩五法行經一卷右西晉代聶道眞譯出長房錄菩薩六法行經一卷右西晉代聶道眞譯出長房錄嚴淨佛土經一卷亦云淨土經右西晉惠帝代河內沙門白法祖譯出長房錄賢者五福經一卷二紙右西晉惠帝代河內沙門白法祖譯出長房錄惟逮菩薩經一卷右西晉惠帝代白法祖譯出長房錄檀特陁羅尼經一卷右西晉代白法祖譯出長房錄如來興顯經一卷右西晉惠帝代河內沙門白法祖譯出長房錄首達經一卷右西晉惠帝伐河內沙門白法祖譯出長房錄正意經一卷第二出右西晉惠帝代法炬法立譯長房錄淨飯王般泥洹經一卷右西晉惠帝代沙門法炬法立出長房錄諸經菩薩名一部二卷右西晉惠帝代沙門法炬法立出長房錄明帝釋施經一卷右西晉惠帝代沙門法炬法立譯出長房錄阿闍世王受決經一卷五紙右西晉惠帝代法炬法立譯出長房錄優塡王經一卷一名優塡王作佛形像經六紙右西晉代沙門法炬法立譯出長房錄前世三轉經一卷七紙右西晉惠帝代沙門法炬法立譯出長房錄三十七品經一卷右東晉代太康年曇無蘭譯出長房錄採花違王上佛授決經一卷四紙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譯出長房錄七佛所結麻油述呪經一卷 異本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譯出長房錄陁鄰鉢呪經一卷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譯出長房錄大神母結誓呪經一卷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謝鎭西寺譯出長房錄伊洹法願神呪經一卷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謝鎭西寺譯出長房錄解日厄神呪經一卷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譯出長房錄六神名神呪經一卷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譯出長房錄幻師颰陁神呪經一卷亦名波陁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譯出長房錄檀特羅麻油述神呪經一卷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譯出長房錄麻油述神呪經一卷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謝鎭西寺譯出長房錄摩尼羅亶神呪按摩經一卷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譯出長房錄醫王惟樓延神呪經一卷一名阿難所問醫王惟樓延呪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譯出長房錄龍王呪水浴經一卷十八龍王神呪經一卷止雨呪經一卷請雨呪經一卷嚫水神呪經一卷幻師阿夷鄒呪經一卷呪水經一卷呪藥經一卷呪毒經一卷持句神呪經一卷呪時氣病經一卷呪小兒經一卷呪齒經一卷異本呪牙痛經一卷或作齒痛呪眼痛經一卷摩尼羅亶神呪經一卷五眼文經一卷右竝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譯出長房錄淨六波羅蜜經一卷右東晉代佛陁跋陁羅譯出化度寺錄文殊師利發願偈經一卷右東晉安帝代元熙二年三藏佛陁跋陁羅譯出長房錄禪經一部四卷右東晉祇多蜜譯出長房錄五蓋疑結失行經一卷第二出右東晉代祇多蜜譯出長房錄菩薩處胎經一部五卷一百二 十三紙右後秦竺佛念於長安譯出長房錄中陰經一部二卷二十七紙右後秦代竺佛念於長安譯內典錄菩薩普處經一部三卷右後秦沙門竺佛念譯出長房錄禪經一部三卷一名菩薩禪法經與坐禪三昧經同大乘明觀行右後秦代弘始年羅什譯出二秦及寶唱錄發菩提心經一部二卷右後秦代弘始年羅什譯出長房錄大善權經一部二卷右後秦羅什譯出長房錄持地經一卷右後秦弘始年羅什譯出長房錄花手經一部十卷一名攝諸善根經或十一卷或十二卷或十三卷右後秦代弘始年鳩摩羅什於長安譯出長房錄虛空藏菩薩問持經得幾功德經一卷六紙右後秦代羅什於長安逍遙園出長房錄千佛因緣經一卷二十一紙右後秦代弘始七年羅什譯達摩鬱多羅錄長者法志妻經一卷三紙右後秦代羅什譯出達摩鬱多羅錄一切施主所行檀波羅蜜經一卷四紙右後秦代羅什譯出達摩鬱多羅錄無量樂佛土經一卷右後秦代弘始年羅什於長安逍遙園譯出長房錄諸法無相經一卷右後秦代弘始年鳩摩羅什譯出寶唱錄薩羅國王經一卷四紙右後秦代羅什譯出達摩鬱多羅錄賢首經一卷一名賢首夫人經三紙右西秦代乞伏世沙門法堅譯出長房錄太子須達拏經一卷二十四紙右西秦代乞伏國仁世沙門法堅於河南江陵新寺譯出長房錄菩薩所生地經一卷一名摩竭所問經右西秦代乞伏世沙門法堅譯出長房錄菩薩地持經一部十卷右北涼曇無讖於姑臧譯出長房錄大方等陁羅尼經一部四卷一名檀特陁羅尼經一名方等檀特陁羅尼經一名陁羅尼六十二紙右北涼釋法衆於高昌郡譯寶唱錄功德寶一光菩薩經一卷右北涼代沙門曇無讖譯出長房錄大吉義呪經一部四卷四十四紙或二卷右後魏太和十年曇曜譯出達摩鬱多羅錄不增不減經一卷六紙右後魏菩提留支譯出長房錄不必定入定印經一卷二十五紙右後魏菩提留支譯出靜太法師錄差摩婆帝受記經一卷四紙右後魏菩提留支於洛及鄴譯出長房錄一切法高王經一卷二十紙右後魏興和年菩提留支譯長房錄第一議法勝經一卷右後魏菩提留支譯出長房錄法集經一部八卷或七卷或六卷 一百三十二紙右後魏菩提留支於洛陽及鄴出長房錄佛名經一部十三卷或十二卷三百紙右後魏正光年沙門菩提留支於洛陽及鄴譯出長房錄謗佛經一卷九紙右後魏從永平二年至天平年菩提留支在洛及鄴譯出長房錄銀色女經一卷七紙右後魏代佛陁扇多於洛陽白馬寺譯出長房錄無畏德女經一卷十五紙右後魏元象年佛陁扇多於洛陽白馬寺譯出長房錄如來師子吼經一卷六紙右後魏佛陁扇多共菩提留支出內典錄菩薩四法經一卷右後魏代瞿曇般若留支於鄴都金花寺譯出長房錄僧伽咤經一部四卷五十九紙右後魏月婆首那王子於鄴都出內典錄善德婆羅門問提婆達經一卷右宋文帝代元嘉四年沙門釋智嚴於楊都抧園寺譯出長房錄大法鼓經一部二卷三十六紙右宋求那跋陁羅於東安寺譯出長房錄大意經一卷六紙右宋文帝代求那跋陁羅譯長房錄佛入甘露調正意經一卷出大十二門經右宋文帝代三藏法師求那跋陁羅譯出長房錄無憂王經一卷右宋代元嘉年求那跋陁羅譯出長房錄殺龍濟一國經一卷出第六卷右宋文帝代三藏求那跋陁羅出長房錄本行六波羅蜜經一卷右宋文帝代求那跋陁羅譯長房錄中陰經一卷右宋孝武帝代沮渠京聲譯出長房錄阿難見水光瑞經一卷右宋孝武帝代釋慧簡於鹿野寺譯出長房錄三蜜底耶經一卷一名賢人用律經右宋明帝代沙門法眷廣州譯出長房錄如來恩智不思議經一部五卷右宋明帝代沙門竺法眷於廣州譯出長房錄海意經一部七卷寶頂經一部五卷右竝宋明帝沙門竺法眷於廣州譯出長房錄觀世音懺悔除罪經一卷右南齊代永明年沙門法意譯出長房錄七佛各說偈經一卷菩提福藏法化三昧經一卷安墓呪經一卷右竝南齊代沙門釋道備譯長房錄寶雲菩薩經一卷右梁代普通元年僧伽婆羅譯出寶唱錄優樓頻經一卷右梁天監十五年淸信士木道賢譯出長房錄文殊師利問經一部二卷右梁代天監十七年僧伽婆羅於占雲館譯出長房錄菩薩境界奮迅法門經一部十卷右梁武帝代沙門菩提留支於洛陽譯出寶唱錄護諸童子呪經一卷右梁武帝代三藏菩提留支在洛及鄴譯出長房錄然燈經一卷一名施燈功德經右北齊代那連提耶舍譯出長房錄見寶三昧經一部十卷右北齊代天統年那連提耶舍於鄴譯出內典錄無上依經一部二卷右陳代永定二年沙門眞諦譯出長房錄廣義法門經一卷右陳代眞諦於廣州制止王園二寺譯出長房錄種種雜呪經一卷右周武帝代三藏法師闍那崛多譯出長房錄堅固女經一卷一名牢固女經六紙右隋開皇二年那連提耶舍興善寺譯出長房錄護國菩薩經一部二卷四十二紙右隋開皇年闍那崛多譯出內典錄東方最勝燈王如來經一卷十三紙右隋開皇年闍那崛多及笈多大興善寺譯出內典錄無所有菩薩經一部四卷六十紙右隋開皇年闍那崛多等於大興善寺譯出內典錄大方廣摠持經一卷十三紙右隋開皇年毘尼多留支譯長房錄入法界體性經一卷十紙右隋開皇年闍那崛多於興善寺譯出長房錄希有挍量功德經一卷六紙右隋開皇六年闍那崛多譯內典錄十二佛名神呪經一卷一名挍量功德除障滅罪經八紙右隋開皇七年闍那崛多於大興善寺譯出長房錄如來方便善巧呪經一卷十一紙右隋開皇七年闍那崛多譯長房錄善思童子經一部二卷二十紙右隋開皇十一年沙門闍那崛多譯出內典錄月上女經二卷二十七紙右隋開皇十年沙門闍那崛多出內典錄大法炬陁羅尼經一部二十卷三百紙右隋開皇年沙門闍那崛多等於西京大興善寺譯出長房錄五千五百佛名經一部八卷一百二十六紙右隋開皇十三年闍那崛多於西京興善寺譯出長房錄諸佛護念經一部十卷右隋開皇十四年闍那崛多等於西京興善寺譯出長房錄大威德陁羅尼經一部二十卷三百六十五紙右隋開皇十五年闍那崛多及達摩笈多等於長安興善寺譯出長房錄觀察諸法行經一部四卷六十紙右隋開皇十五年闍那崛多及笈多於興善寺譯出長房錄力莊嚴三昧經一部三卷三十六紙右隋開皇年耶舍於長安大興善寺譯出內典錄大集譬喩王經一部二卷三十二紙右隋開皇年闍那崛多於興善寺譯出內典錄蓮華面經一部二卷二十三紙右隋開皇年那連提耶舍譯內典錄發覺淨心經一部二卷二十七紙右隋開皇十五年闍那崛多於興善寺譯出內典錄出生菩提心經一卷十一紙右隋開皇十五年闍那崛多譯出內典錄商主天子問經一卷十六紙右隋開皇十五年闍那崛多譯出長房錄諸法最上王經一卷二十二紙右隋開皇十五年闍那崛多於興善寺譯出內典錄寶星陁羅尼經一部十卷一百四十紙右大唐貞觀初年三藏波羅頗蜜多於勝光寺譯出內典錄占察經一部二卷右外國沙門菩提登譯天冊萬歲元年十月二十四日奉勅編行淸淨觀世音普賢陁羅尼經一卷五紙右大唐永徽四年五月十一日西京摠持寺大德僧智通譯天冊萬歲元年十月二十四日勅編行陁羅尼集經一部十二卷合三百五十紙右大唐永徽五年四月十五日中天竺國三藏阿地瞿多此云無極高於西京慧日寺譯天冊萬歲元年十月二十四日奉 勅編行八曼荼羅經一卷一名師子慧菩薩所問經右大唐龍朔二年北天竺國三藏那提於西京慈恩寺譯離垢慧菩薩所問禮佛法經一卷五紙右大唐龍朔三年北天竺國三藏那提譯千轉陁羅尼呪經一卷六字陁羅尼呪經一卷七俱胝佛所呪經一卷隨一切如來意神呪經一卷觀自在菩薩隨心呪經一卷如來示教勝軍王經一卷或云勝軍王經十紙甚希有經一卷五紙最無比經一卷二紙諸佛心陁羅尼經一卷二紙受持七佛名號所生功德經一卷五紙佛臨涅槃記法住經一卷五紙稱讚大乘功德經一卷五紙佛地經一卷十紙顯無邊佛土功德經一卷二紙勝幢臂印陁羅尼經一卷二紙拔濟苦難陁羅尼經一卷二紙八名普密陁羅尼經一卷二紙持世陁羅尼經一卷七紙緣起聖道經一卷五紙六門陁羅尼經一卷二紙般若多心經一卷一紙天請問經一卷三紙十二緣起經一卷二紙寂照神變三摩地經一卷右竝大唐玄奘譯大乘四法經一卷一紙造塔功德經一卷二紙大方廣師子吼經一卷六紙右竝大唐永隆元年地婆訶羅於東太原寺譯大乘百福相經一卷八紙右大唐永淳二年地婆訶羅於西京西太原寺歸寧院譯大乘密嚴經一部三卷六十三紙右大唐三藏地婆訶羅譯七俱胝佛母心大准提陁羅尼經一卷四紙右大唐垂拱元年地婆訶羅於西京西太原寺譯方廣大莊嚴經一部十二卷二百四十六紙右大唐垂拱元年三藏地婆訶羅於西京西太原寺歸寧院譯智炬陁羅尼經一卷四紙諸佛集會陁羅尼經一卷四紙右二本經大周天授二年于闐三藏提雲般若於大周東寺譯隨求所得自在陁羅尼經一卷右大周長壽二年天竺三藏寶思惟於天宮寺譯護命法門神呪經一卷十三紙右大周長壽二年菩提留志於佛授記寺譯大乘金剛髻珠菩薩修行分經一卷二十一紙有德女所問大乘經一卷五紙右二經大周長壽二年南天竺國三藏菩提留志於大周東寺譯文殊師利所說不思議佛境界經一部二卷或一卷二十七紙右大周長壽二年三藏法師菩提留志於大周東寺譯菩薩道地經一卷安公云出方等部摩訶遮曷旋經一卷摩訶厥彌難問經一卷或云大厥彌經菩薩等行經一卷菩薩十漚和經一卷菩薩本行經一卷摩訶乾陁惟衛羅盡信比丘等度經一卷舊錄云盡信比丘經大本藏經一卷以前八經僧祐錄云古異經陁羅尼集一部十卷一百八十七紙一名雜呪經首楞三昧經一部二卷出生菩提經一卷毘羅三昧經一部二卷右宋代沙門釋智嚴譯決定罪福經一卷右北涼代沙門曇無讖譯法杜經一部二卷右西晉代沙門竺法護譯大周刊定衆經目錄卷第一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불교에 귀의한 사람들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금계(禁戒)로, 곧 살생ㆍ도적질ㆍ음행ㆍ거짓말ㆍ음주를 말한다.
  2. 2)불살생(不殺生)ㆍ불투도(不偸盜)ㆍ불사음(不邪淫)ㆍ불망어(不妄語)ㆍ불양설(不兩舌)ㆍ불악구(不惡口)ㆍ불기어(不綺語)ㆍ불탐욕(不貪慾)ㆍ불진에(不瞋恚)ㆍ불사견(不邪見)을 말한다.
  3. 3)성문승(聲聞乘)ㆍ연각승(緣覺乘)ㆍ보살승(菩薩乘)을 말한다.
  4. 4)시(施)ㆍ계(戒)ㆍ인(忍)ㆍ진(進)ㆍ선(禪)ㆍ명(明) 등을 말한다.
  5. 1)여기서 『장방록』에 나온다는 말은 어느 시대 누가 번역하였다는 내용이 어느 목록에 나온다는 말이니, 이하 다음에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보면 된다.
  6. 2)원문에는 ‘호(祜)’로 되어 있는데, 아마도 ‘호(祜)’는 ‘우(祐)’의 오류인 듯하다.
  7. 3)태강은 서진(西晉) 때의 연호이므로 서진 태원(太元)의 착오인 듯하다.
  8. 4)동위(東魏)의 착오인 듯하다.
  9. 5)‘동위(東魏)’의 착오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