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31_0878_a_01L
대주간정중경목록 제10권


명전 등 지음


6. 소승률(小乘律)ㆍ소승론(小乘論) 현성집전(賢聖集傳) 194부 1,341권

1) 소승률 104부 428권
십송률(十誦律) 1부 59권
후진(後秦) 홍시(弘始) 연간(399~416)에 불야다라(弗若多羅)가 번역하였고, 나집(羅什)이 도어(度語)하였으며, 『장방록(長房錄)』에 나온다.
십송률 1부 62권1,665지(紙)로 되어 있다.
동진(東晉) 시대 비마라차(卑摩羅叉)가 수춘(壽春) 석간사(石澗寺)에서 3권을 번역하였고, 이전의 59권과 함께 62권이 되었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십송비구니계(十誦比丘尼戒) 1권혹은 경(經)자가 있으며, 담마특(曇摩特)이 번역한 것과 다소 다르다.
서진(西晉) 시대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십송비구계본(十誦比丘戒本) 1권29지로 되어 있다.
동진(東晉) 효무제(孝武帝) 태강(太康) 6년 축담무란(竺曇無蘭)이 양도(楊都) 사진서사(謝鎭西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승순(僧純)ㆍ담마지(曇摩持)ㆍ축승서(竺僧舒) 등 세 사람이 함께 번역한 것과 합하여 한 권으로 만들었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비니송(毗尼誦) 1부 3권이는 『십송후선송(十誦後善誦)』이다.
동진 안제(安帝) 시대 계빈국(罽賓國) 삼장율사(三藏律師) 비마라차(卑摩羅叉)가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십송비구계본(十誦比丘戒本) 1권29지로 되어 있다.
전진(前秦) 시대 사문 담마지(曇摩持)가 축불념(竺佛念)과 함께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십송비구니계본(十誦比丘尼戒本) 1권34지로 되어 있다.
전진 시대 사문 혜상(慧常)이 담마지와 함께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교수비구니이세단문(敎授比丘尼二歲壇文) 1권
전진 시대 담마지가 축불념과 함께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십송률석잡사문(十誦律釋雜事問) 1부 2권
전진(前秦) 시대 담마비(曇摩蜱)가 번역하였으며, 『정태록(靜泰錄)』에 나온다.
십송비구니계소출본말(十誦比丘尼戒所出本末) 1권
후진(後秦) 시대 양주(涼州) 사문 축불념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십송률잡사(十誦律雜事) 1권
후진 시대 계빈국(罽賓國) 사문 담마야사(曇摩耶舍)가 번역하였으며, 『보창록(寶唱錄)』에 나온다.
십송률비구니계본(十誦律比丘尼戒本) 1권담마지가 번역한 것과 다소 다르다.
후진(後秦) 홍시(弘始) 연간(399~416)에 나집이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십송승니요사갈마(十誦僧尼要事羯磨) 1부 2권
송(宋)나라 폐제(廢帝) 때 율사 석승거(釋僧璩)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사분율(四分律) 1부 45권혹은 70권, 또는 60권으로 되어 있으며, 1,528지로 되어 있다.
후진 홍시 연간에 불타야사가 축불념과 함께 상안(常安)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사분비구승계본(四分比丘僧戒本) 1권[27지로 되어 있다.]
후진 시대 불타야사가 상안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內典錄)』에 나온다.
담무덕갈마(曇無德羯磨) 1권46지(紙)로 되어 있다.
전위(前魏) 정원(正元) 원년(254)에 담제(曇諦)가 낙양(洛陽)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사분갈마경(四分羯磨經) 1권혹은 『비구니갈마(比丘尼羯磨)』라고도 하며, 15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원가(元嘉) 8년(431)에 구나발마(求那跋摩)가 양주(楊州) 기원사(祇洹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사분비구계본(四分比丘戒本) 1권
양(梁)나라 천감(天監) 3년(504)에 영요사(靈曜寺) 사문 승위(僧威)가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보인다.
사분비구니계본(四分比丘尼戒本) 1권
양나라 천감 3년에 영요사 사문 승위가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보인다.
마하승기율(摩訶僧祇律) 1부 40권1,135지로 되어 있다.
동진(東晉) 안제(安帝) 의희(義熙) 12년(416)에 사문 불타발타라가 법현(法顯)과 함께 양도(楊都) 및 여산(廬山)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승기계본(僧祇戒本) 1권제일 먼저 역출된 것이다.
전위(前魏) 가평(嘉平) 연간(249~254)에 사문 담가가라(曇柯迦羅)가 백마사(白馬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마하승기비구니갈마(摩訶僧祇比丘尼羯磨) 1권
동진(東晉) 의희(義熙) 연간(405~418)에 사문 불타(佛馱)가 도량사(道場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승기대비구계본(僧祇大比丘戒本) 1권두 번째로 번역되었으며, 20지로 되어 있다.
동진 안제 의희 12년에 사문 불타발타라가 양도 및 여산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승기비구니계본(僧祇比丘尼戒本) 1권두 번째로 역출된 것이며, 위(魏)나라 때 가가라(柯迦羅)가 번역한 것과 다소 다르다.
동진 안제 때 법현(法顯)이 각현(覺賢)과 함께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미사색오분율(彌沙塞五分律) 1부 34권694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경평(景平) 원년(423)에 사문 불타집(佛陀什)이 축도생(竺道生)ㆍ지승(智勝)ㆍ석혜엄(釋慧嚴)과 함께 양도(楊都) 용광사(龍光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미사색비구계본(彌沙塞比丘戒本) 1권혹은 『오분계본(五分戒本)』이라고도 하며, 19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경평(景平) 연간(423~424)에 사문 불타집 등이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미사색갈마(彌沙塞羯磨) 1권
송나라 경평 연간에 사문 불타집 등이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미사색니계본(彌沙塞尼戒本) 1권
양(梁)나라 보통(普通) 3년(522)에 석명징(釋明徵)이 건초사(建初寺)에서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나온다.
미사색률초(彌沙塞律抄) 1권
사자국(師子國) 사문 승가발미(僧伽跋彌)가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나온다.
이백육십계(二百六十戒) 합이(合異) 2권
후한 명제 때 축법란(竺法蘭)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범계죄보경중경(犯戒罪報輕重經) 1권일명 『범죄경(犯罪經)』이라고도 하며, 2지로 되어 있다.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비구삼천위의경(大比丘三千威儀經) 1부 4권혹은 2권으로 되어 있으며, 47지(紙)로 되어 있다.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항수불설계경(恒水不說戒經) 1권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달마록(達摩錄)』 및 『왕종록(王宗錄)』에 나온다.
도본오계경(道本五戒經) 1권『장방록』에 나온다.
위의경(威儀經) 1권『장방록』에 나온다.
의복제경(衣服制經) 1권『장방록』에 나온다.
사미이위의경(沙彌離威儀經) 1권『장방록』에 나온다.
대계경(大戒經) 1권『장방록』에 나온다.
계소재경(戒消災經) 1권혹은 『계복소재경(戒伏消災經)』이라고도 하며, 4지로 되어 있다.
오나라 지겸(支謙)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비구위의경(大比丘威儀經) 1부 2권
도안(道安)이 이르기를, “진(晉)나라 시대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승우록』에 보인다.
계구경(誡具經) 1권
서진(西晉) 시대 사문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가섭결집전경(迦葉結集傳經) 1권혹은 『결집계경(結集戒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무제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계왕경(誡王經) 1권
서진 무제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계나운경(誡羅云經) 1권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유교법률삼매경(遺敎法律三昧經) 1부 3권혹은 2권으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 법거와 법립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이백육십계(二百六十戒) 3부 합이(合異) 2권
동진 효무제 시대 축담무란이 양도(楊都) 사진서사(謝鎭西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비니모론(毗尼母論) 1부 8권112지로 되어 있다.
동진(東晉) 태안(太安) 연간(302~303)에 부란(符蘭)이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達摩鬱多羅錄)』에 나온다.
아비담심게(阿毗曇心偈) 1부 4권80지로 되어 있다.
동진 태안 원년(302)에 승가제바(僧伽提婆)가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교계비구니법(敎誡比丘尼法) 1권
동진 무제 시대 사문 구담(瞿曇) 승가제(僧伽提)가 여산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잡문율사(雜問律事) 1부 2권
동진 안제 때 비마라차(卑摩羅叉)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잡문율사 1부 2권번역한 사람이 같지 않으므로 문장이 앞의 책과 다르다. 별록(別錄)에 보인다.
동진 안제 융안(隆安) 4년(400) 삼장율사 담마(曇摩)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가섭결집계경(迦葉結集戒經) 1권
동진 시대 석숭공(釋嵩公)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가섭금계경(迦葉禁戒經) 1권일명 『마하비구경(摩訶比丘經)』, 또는 『진위사문경(眞僞沙門經)』이라고도 하며, 3지로 되어 있다.
동진 시대 석퇴공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비구니계(比丘尼戒) 1권
전진(前秦) 간문제(簡文帝) 때 율사(律師) 혜상(慧常)이 담마지ㆍ축불념 등과 함께 장안(長安)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비내야율(鼻柰耶律) 1부 10권일명 『계인연경(戒因緣經)』이라고도 한다.
후진 시대 축불념 등이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우바새계본(優婆塞戒本) 1권
북량(北涼) 담무참(曇無讖)이 저거몽손(沮渠蒙遜)과 함께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나온다.
대애도비구니경(大愛道比丘尼經) 1부 2권
『승우록』에 이르기를, “양토(涼土)의 이경(異經)이다”라고 하였다.
해탈계본(解脫戒本) 1권『가섭비율(迦葉毗律)』에 나왔으며, 21지(紙)로 되어 있다.
후위(後魏) 시대 구담 반야류지(般若留支)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율이십이명료론(律二十二明了論) 1권또한 다만 『명료론(明了論)』이라고도 하며, 24지로 되어 있다.
진(陳)나라 삼장 진제(眞諦)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유교론(遺敎論) 1권
진나라 삼장 진제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승삽다율(僧澁多律) 1권진(陳)나라 말로는 총섭(摠攝)이라 한다.
진나라 삼장 진제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사미위의경(沙彌威儀經) 1권19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구나발마(求那跋摩)가 양도(楊都)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우바새오계약론(優婆塞五戒略論) 1권일명 『우바새오계상(優婆塞五戒相)』이라고도 한다.
송나라 원가 8년(431)에 구나발마가 기원사(祇洹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우바새오계상(優婆塞五戒相) 1권15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원가 연간(424~453)에 구나발마가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나온다.
우바새오계위의경(優婆塞五戒威儀經) 1권23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원가 8년에 구나발마가 기원사에서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나온다.
살바다마득륵가(薩婆多摩得勒伽) 1부 10권244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원가 연간에 승가발마가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육재팔계경(六齋八戒經) 1권
송나라 문제 원가 연간에 구나발타라가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현자율의경(賢者律儀經) 1권또한 『위의경(威儀經)』이라고도 한다.
송나라 무제 시대 북량 안양후 저거경성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가섭금계경(迦葉禁戒經) 1권
송나라 효무제 시대 북량 안양후 저거경성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우바새오계경(優婆塞五戒經) 1권일명 『오상경(五相經)』이고도 한다.
송나라 효무제 시대 북량 안양후 저거경성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진위사문경(眞僞沙門經) 1권일명 『마하비구경(摩訶比丘經)』이라고도 하며, 3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효무제 시대 사문 혜간이 녹야사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결정제부비니(決定諸部毗尼) 1부 2권
송나라 승명(昇明) 원년(477)에 석도엄(釋道儼)이 여러 율장(律藏)에 의거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타비리율(他毗利律) 1권
전제(前齊) 무제(武帝) 때 사문 마하승(摩訶乘)이 광주(廣州) 죽림사(竹林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선견비바사율(善見毗婆沙律) 1부 18권426지(紙)로 되어 있다.
남제(南齊) 무제 시대 사문 석승의(釋僧猗)가 광주 죽림사에서 외국 법사(法師) 승가발타라(僧伽跋陀羅)에게 청하여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비발률(毗跋律) 1권
제(齊)나라 영명(永明) 연간(483~493)에 외국 사문 석법도(釋法度)가 번역하였으며, 『보창록』에 나온다.
제자기역술만계경(弟子耆域述慢戒經) 1권
송나라 효무제 시대 북량 저거경성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현자위의경(賢者威儀經) 1권
송나라 효무제 시대 북량 저거경성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경률분이기(經律分異記) 1권
삼승무당률(三乘無當律) 1권『장방록』에 나온다.
사부율소명경중물명(四部律所明輕重物名) 1권『장방록』에 나온다.
비구계소출본말(比丘戒所出本末) 1권『장방록』에 나온다.
제율해(諸律解) 1권『장방록』에 나온다.
비구바라제목차(比丘波羅提木叉) 1권『승우록』에 나온다.
결계문경(結界文經) 1권『승우록』에 나온다.
우파리문불경(優波離問佛經) 1권혹은 『우파리율(優波離律)』이라고도 하며, 23지로 되어 있다. 『장방록』에 나온다.
응행률경(應行律經) 1권3지로 되어 있다. 『보창록』에 나온다.
비구제금률(比丘諸禁律) 1권『승우록』에 나온다.
대사문백일갈마(大沙門百一羯磨) 1권22지로 되어 있다. 『장방록』에 나온다.
오계보응경(五戒報應經) 1권『보창록』에 나온다.
첨파국불설계경(瞻波國佛說戒經) 1권『장방록』에 나온다.
목련문경(目連問經) 1권27지로 되어 있다.
사미니십계(沙彌尼十戒) 1권
오부위의복식경(五部威儀服飾經) 1권일명 『오부승복색명경(五部僧服色名經)』이라고도 한다. 『보창록』에 나온다.
현자잡사경(賢者雜事經) 1권『승우록』에 나온다.
재가율의경(在家律儀經) 1권『장방록』에 나온다.
건추법(揵搥法) 1권『장방록』에 나온다.
출률의요(出律儀要) 1부 22권『장방록』에 나온다.
사미십계병위의(沙彌十戒幷威儀) 1권21지로 되어 있다. 『보창록』에 나온다.
사미리계경(沙彌離戒經) 1권『장방록』에 나온다.
사리불문경(舍利弗問經) 1권11지로 되어 있다. 『장방록』에 나온다.
이백오십계(二百五十戒) 1권『장방록』에 나온다.
우바새오학략론(優婆塞五學略論) 1부 2권『장방록』에 나온다.
살바다비니비바사(薩婆多毗尼毗婆沙) 1부 9권혹은 8권으로 되어 있으며, 197지로 되어 있다. 『장방록』에 나온다.
이상 정률본(正律本) 이외의 것은 모두 여러 율(律)의 지파(枝派)이다.

2) 소승론 54부 856권
아비담구십팔결법(阿毗曇九十八結法) 1권『장방록』에는 『아비담구십팔결경(阿毗曇九十八結經)』이라 하였다.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분별공덕론(分別功德論) 1부 5권혹은 4권, 또는 3권으로 되어 있으며, 72지로 되어 있다.
서진 시대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증일아함경』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삼법도론(三法度論)1) 1부 2권혹은 3권으로 되어 있다.
동진(東晉) 태원(太元) 16년(391) 승가제바가 여산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잡아비담심(雜阿毗曇心) 1부 13권
동진 안제 융안 3년에 사문 법현(法顯)이 각현(覺賢)과 함께 번역하였으며, 이는 두 번째로 번역된 것이다2). 전진(前秦)의 승가발징(僧伽跋澄)이 번역한 것과 대동소이(大同小異)하며, 『고승전』에 나온다.
아비담심(阿毗曇心) 1부 16권혹은 13권으로 되어 있다.
진나라 효무제 시대 계빈국 사문 승가제바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아비담심 1부 4권
진나라 효무제 시대 승가제바가 여산에서 원(遠)법사를 위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존바수밀소집론(尊婆須蜜所集論) 1부 12권혹은 10권으로도 되어 있으며, 307지로 되어 있다.
전진(前秦) 건원(建元) 19년(383)에 승가발징이 축불념과 함께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아비담비바사(阿毗曇毗婆沙) 1부 14권혹은 11권으로도 되어 있으며, 『승우록』에는 『잡아비담비바사(雜阿毗曇毗婆沙)』라고 하였다. 혹은 심(心)자가 있기도 하다.
전진(前秦) 시대 승가발징이 번역하였다. 승가발징은 진(秦)나라 말로 중현(衆現)이다. 『장방록』에 나온다.
아비담심(阿毗曇心) 1부 5권
전진 건원(建元) 연간(365~385)에 승가제바가 도안(道安)과 함께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의선사록(義善寺錄)』에 나온다.
비바사아비담론(鞞婆沙阿毗曇論) 1부 19권혹은 15권, 또는 14권이라고도 하며, 또는 『비바사(毗婆沙)』, 또는 『광설(廣說)』이라고도 한다. 450지로 되어 있다.
전진 건원 연간에 승가제바가 낙양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삼법도론(三法度論) 1부 2권
전진 시대 담마난제(曇摩難提)가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승가제바가 번역한 것과 조금 다르다. 『장방록』에 나온다.
아비담팔건도(阿毗曇八犍度) 1부 30권혹은 20권으로 되어 있으며, 일명 『가전연아비담팔건도(迦旃延阿毗曇八犍度)』라고도 한다. 450지로 되어 있다.
전진(前秦) 건원(建元) 연간(365~385)에 사문 승가제바가 축불념과 함께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사리불아비담(舍利弗阿毗曇) 1부 30권혹은 20권, 또는 22권으로도 되어 있으며, 760지로 되어 있다.
후진(後秦) 홍시(弘始) 10년에 사문 담마굴다(曇摩崛多)가 담마야사(曇摩耶舍)와 함께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성실론(成實論) 1부 24권혹은 20권, 16권, 또는 14권으로도 되어 있으며, 477지로 되어 있다.
후진 시대 구마라집이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아비담팔건도비바사(阿毗曇八犍度毗婆沙) 1부 84권혹은 109권, 또는 60권으로도 되어 있으며, 1,378지로 되어 있다.
북량 저거경성 때 부타발마(浮陀跋摩)가 도연(道挻) 등과 함께 고장(姑臧)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독자도인문론(犢子道人問論) 1권
후위(後魏) 흥화(興和) 연간에 구담 반야류지가 업도(鄴都) 금화사(金花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아비담감로미(阿毗曇甘露味) 1부 2권혹은 『감로미아비담(甘露味阿毗曇)』이라고도 한다.
위(魏)나라 제왕(齊王) 때 번역되었으나, 역자를 알 수 없다. 『장방록』에 나온다.
중사분아비담론(衆事分阿毗曇論) 1부 12권237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원가(元嘉) 12년(435) 문제 시대 구나발타라가 양도(楊都)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잡아비담비바사(雜阿毗曇毗婆沙) 1부 14권두 번째로 역출된 것이다.
송나라 문제 원가 10년(433)에 승가발마(僧伽跋摩)가 장간사(長干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잡아비담심(雜阿毗曇心) 1부 10권
송나라 원가 3년(426)에 이섭바라(伊葉波羅)가 번역하였으며, 택품(擇品)에 이르기까지 모은 것이다. 『장방록』에 나온다.
잡아비담심 1부 13권혹은 14권으로 되어 있으며, 327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원가 8년(431)에 구나발마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해탈도론(解脫道論) 1부 13권혹은 12권으로 되어 있으며, 198지(紙)로 되어 있다.
양(梁)나라 천감(天監) 14년(515) 승가바라가 양도 점운관(占雲館)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삼세분별론(三世分別論) 1권
양(梁)나라 승성(承聖) 연간(552~555)에 삼장 진제(眞諦)가 광주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법승아비담론(法勝阿毗曇論) 1부 6권103지로 되어 있다.
후제(後齊) 천통(天統) 연간(565~569)에 야사(耶舍)가 법지(法智)와 함께 번역하였으며, 또 『달마울다라록』에 의하면, 요진(姚秦) 시대 발징(跋澄)이 외우고 축불념이 번역했다고 하였다. 『내전록』에 나온다.
별역법승아비담심(別譯法勝阿毗曇心) 1부 6권122지로 되어 있다.
제나라 천통 5년(569)에 야사가 법지와 함께 번역하였으며, 『달마울다라록』에 나온다.
사제론(四諦論) 1부 4권70지로 되어 있다.
진(陳)나라 때 삼장 진제가 광주 남강군(南康郡)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수상론(隨相論) 1부 2권34지로 되어 있으며, 혹은 『구나마제수상론(求那摩諦隨相論)』이라고도 한다.
진나라 시대에 삼장 진제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십팔부론(十八部論) 1권7지로 되어 있다.
진나라 시대에 삼장 진제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부이집론(部異執論) 1권9지로 되어 있으며, 일명 『집부이론(執部異論)』이라고도 한다.
진나라 시대에 삼장 진제가 광주 제지사(制旨寺) 및 왕원사(王園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입세아비담론(立世阿毗曇論) 1부 10권173지로 되어 있다.
진(陳)나라 시대에 영정(永定) 3년(559)에 삼장 진제가 광주 제지사 및 왕원사의 두 절, 시흥군(始興郡)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구사론게(俱舍論偈) 1권
진나라 시대에 삼장 진제가 광주의 제지사 및 왕원사 두 곳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구사석론(俱舍釋論) 1부 22권458지로 되어 있다.
진나라 시대에 삼장 진제가 광주의 제지사 및 왕원사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수발다라인연론(須跋陀羅因緣論) 1부 2권
주(周)나라 무제 시대 삼장법사 야사굴다(耶舍崛多)가 사천왕사(四天王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비바사론(大毗婆沙論) 1부 200권3,109지로 되어 있다.
대당(大唐) 영휘(永徽) 연간(650~655)에 삼장 현장이 서경(西京)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순정리론(順正理論) 1부 80권1,420지로 되어 있다.
대당 영휘 연간에 삼장 현장이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현종론(顯宗論) 1부 40권644지(紙)로 되어 있다.
대당 영휘 연간에 삼장 현장이 대자은사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발지론(發智論) 1부 20권364지로 되어 있다.
대당 영휘 연간에 삼장 현장이 내궁(內宮) 안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아비달마구사론(阿毗達磨俱舍論) 1부 30권470지로 되어 있다.
대당(大唐) 현경(顯慶) 연간(656~661)에 삼장 현장이 내궁 안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구사론송(俱舍論頌) 1권34지로 되어 있다.
대당 삼장 현장이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식신족론(識身足論) 1부 16권271지로 되어 있다.
대당 현경 연간에 삼장 현장이 궁중(宮中)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법온족론(法蘊足論) 1부 12권192지로 되어 있다.
대당 현경 연간에 삼장 현장이 궁중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 1권
대당 삼장 현장이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아비달마오사론(阿毗達磨五事論) 1부 2권
대당 삼장 현장이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품류족론(品類足論) 1부 18권
대당 삼장 현장이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계신족론(界身足論) 1부 3권
대당 삼장 현장이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집이문족론(集異門足論) 1부 20권
대당 삼장 현장이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오사비바사론(五事毗婆沙論) 1부 2권
대당 삼장 현장이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입아비달마론(入阿毗達磨論) 1부 2권20지로 되어 있다.
대당 현경(顯慶) 연간에 삼장 현장이 궁중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아비담심게(阿毗曇心偈) 1부 4권
5음(陰)ㆍ12입(入)ㆍ98사(使)를 밝혔으며, 『보창록』에 나온다.
삼미저론(三彌底論) 1부 4권혹은 3권으로도 되어 있으며, 또는 『삼미기론(三彌祇論)』이라고도 한다. 40지로 되어 있다.
『장방록』에 나온다.
벽지불인연론(辟支佛因緣論) 1부 2권24지로 되어 있다.
잡심론(雜心論) 1부 16권
육족아비담론(六足阿毗曇論) 1권『장방록』에 나온다.

3) 현성집전 36부 91권
불소행찬전(佛所行讚傳) 1부 5권105지로 되어 있으며, 마명보살(馬鳴菩薩)이 지었다.
동진의 보운(寶雲)이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아육왕전(阿育王傳) 1부 7권혹은 5권으로도 되어 있으며, 115지로 되어 있다.
양나라 천감 연간에 승가바라가 양주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부법장전(付法藏傳) 1부 4권94지로 되어 있다.
후위 시대 사문 담요(曇曜)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부법장경전(付法藏經傳) 1부 4권혹은 2권으로 되어 있다.
후위(後魏) 시대 사문 길가야(吉迦夜)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선비요경(禪秘要經) 1부 4권또한 경(經)자 없이 『선비요(禪秘要)』라고도 한다.
오나라 시대에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선비요(禪秘要) 1부 5권일명 『선법요(禪法要)』라고도 하며, 혹은 3권으로 되어 있다. 70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원가(元嘉) 연간(424~453)에 사문 담마밀다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선비요법(禪秘要法) 1부 3권혹은 4권으로 되어 있으며, 76지(紙)로 되어 있다.
후진(後秦) 홍시(弘始) 연간(399~416)에 구마라집이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선법요해(禪法要解) 1부 2권
북량 저거경성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선법요해 1부 2권58지로 되어 있다.
후진 홍시 연간에 구마라집이 장안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치선병비요(治禪病秘要) 1권32지로 되어 있다.
북량 안양후 저거경성이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부정관선경수행방편(不淨觀禪經修行方便) 1부 2권
진나라 시대에 불타발타라가 번역하였으며, 『정태록(靜太錄)』에 나온다.
오문선경요용법(五門禪經要用法) 1권
송나라 원가 연간에 담마밀다가 번역하였으며, 『정태록』에 나온다.
백구유집(百句喩集) 1부 10권세 번째로 역출된 것이며, 혹은 5권으로 되어 있다.
남제(南齊) 영명(永明) 연간(483~493)에 사문 구나비지가 양주 비야사(毗耶寺)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백유집(百喩集) 1부 4권승가사나(僧伽私那)가 지었으며, 44지로 되어 있다.
남제 영명 10년(492)에 사문 구나비지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백유집 1부 2권
남제 영명 연간에 사문 구나비지가 번역하였으며, 『현법사록(玄法寺錄)』에 나온다.
보살본연집(菩薩本緣集) 1부 3권혹은 4권으로도 되어 있으며, 승가사나(僧伽斯那)가 역찬(譯撰)하였다. 53지로 되어 있다.
오나라 시대 지겸이 강남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승가나찰집(僧伽羅刹集) 1부 3권혹은 2권, 또는 5권으로 되어 있으며, 99지로 되어 있다.
전진(前秦) 시대 사문 담마난제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용수보살위선타가왕설요게(龍樹菩薩爲禪陀迦王說要偈) 1권일명 『권발제왕요게(勸發諸王要偈)』라고도 하며, 7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원가 연간에 구나발마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청빈두로법(請賓頭盧法) 1권2지로 되어 있다.
후한 시대 안세고가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빈두로위왕설법(賓頭盧爲王說法) 1권7지로 되어 있으며, 서역에서 초집(抄集)한 것이다.
『진적사록(眞寂寺錄)』에 나온다.
청빈두로법경(請賓頭盧法經) 1권
송나라 효무제 시대 사문 혜간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빈두로돌라사위우타연왕설법(賓頭盧突羅闍爲優陀延王說法) 1권8지로 되어 있다.
송나라 때 구나발타라가 양도에서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마명보살전(馬鳴菩薩傳) 1권2지로 되어 있다.
후진 시대 구마라집이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용수보살전(龍樹菩薩傳) 1권4지로 되어 있다.
후진 시대 구마라집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제바보살전(提婆菩薩傳) 1권4지로 되어 있다.
후진 시대 구마라집이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바수반두전(婆藪盤豆傳) 1권14지로 되어 있다.
진(陳)나라 때 진제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아라한난타밀다라법주기(大阿羅漢難陀蜜多羅法住記) 1권7지(紙)로 되어 있다.
대당(大唐) 용삭(龍朔) 연간(661~663)에 현장이 옥화궁(玉華宮)에서 번역하였으며, 『내전록』에 나온다.
찬관세음보살송(讚觀世音菩薩頌) 1권4지로 되어 있다.
대주(大周) 장수(長壽) 2년(693)에 혜지(慧智)가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번역하였다.
권발법왕요게(勸發法王要偈) 1권7지로 되어 있으며, 용수보살(龍樹菩薩)이 지었다.
송나라 때 승가발마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대용보살분별업보집(大勇菩薩分別業報集) 1권
송나라 문제 시대 승가발마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비유집(臂喩集) 1부 10권222지로 되어 있다.
동진 성제(成帝) 때 강법수(康法遂)가 여러 경전 가운데 부의(部義)가 매우 요긴하며 좋은 것을 종류별로 모아 지은 것이며, 『내전록』에 나온다.
불종상소행삼십게(佛從上所行三十偈) 1권
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정태록(靜泰錄)』에 나온다.
법구집(法句集) 1부 2권
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정태록』에 나온다.
합미밀지법기(合微密持法記) 1권
이는 서역의 성현이 지은 것이며, 『진적사록(眞寂寺錄)』에 나온다.
기법주전(記法住傳) 1권
대당 삼장 현장이 번역하였다.
십보법삼통략(十報法三統略) 1권
송나라 문제 시대 구나발타라가 번역하였으며, 『장방록』에 나온다.
031_0878_a_01L大周刊定衆經目錄卷第十 瑟大唐天后勅佛授記寺沙門明佺等撰小乘律小乘論賢聖集傳  一百九十四部一千三百四十一卷小乘律 一百四部 四百二十八卷十誦律一部五十九卷右後秦弘始年弗若多羅譯什度語出長房錄十誦律 一部六十二卷一千六百六十五紙右東晉卑摩羅叉於壽春石㵎寺譯出三卷足前五十九六十二卷出長房錄十誦比丘尼戒 一卷或有經字與曇摩特所出少異右西晉竺法護譯出長房錄十誦比丘戒本 一卷二十九紙右東晉孝武帝代太康六年曇無蘭於楊都謝鎭西寺合僧純曇摩持竺僧舒三家共爲一卷出長房錄毘尼誦 一部三卷是十誦後善誦右東晉安帝代罽賓國三藏律師卑摩羅叉於長安譯長房錄十誦比丘戒本 一卷二十九紙右前秦沙門曇摩持共竺佛念於長安譯出長房錄十誦比丘尼戒本 一卷三十四紙右前秦沙門慧常共曇摩持於長安譯出長房錄教授比丘尼二歲壇文 一卷右前秦曇摩持共竺佛念譯長房錄十誦律釋雜事問 一部二卷右前秦曇摩蜱譯出靜泰錄十誦比丘尼戒所出本末 一卷右後秦涼州沙門竺佛念譯長房錄十誦律雜事 一卷右後秦罽賓沙門曇摩耶舍出寶唱錄十誦律比丘尼戒本 一卷 與曇摩持譯者少異右後秦弘始年羅什於長安譯出長房錄十誦僧尼要事羯磨 一部二卷右宋廢帝代律師釋僧璩譯出長房錄四分律 一部四十五卷或七十卷或六十卷一千五百二十八紙右後秦弘始年佛陁耶舍共竺佛念於常安譯出長房錄四分比丘僧戒本 一卷二十七紙右後秦佛陁耶舍於常安譯內典錄曇無德羯磨 一卷四十六紙右前魏正元元年曇諦於洛陽出內典錄四分羯磨經 一卷或云比丘尼羯磨十五紙右宋元嘉八年求那跋摩於楊州祇洹寺譯出長房錄四分比丘戒本 一卷右梁天監三年靈曜寺沙門僧威出見寶唱錄四分比丘尼戒本 一卷右天監三年靈曜寺沙門僧威出見寶唱錄摩訶僧祇律 一部四十卷一千一百三十五紙右東晉安帝代義熙十二年沙門佛陁跋陁羅共法顯於楊及廬山譯出長房錄僧祇戒本 一卷初出右前魏嘉平年沙門曇柯迦羅於白馬寺譯出長房錄摩訶僧祇比丘尼羯磨 一卷右東晉義熙年中沙門佛馱於道場寺譯出長房錄僧祇大比丘戒本 一卷第二譯二十紙右東晉安帝代義熙十二年門佛陁跋陁羅於楊都及廬山出長房錄僧祇比丘尼戒本 一卷第二出與魏世柯迦羅出者小異右東晉安帝代法顯共覺賢譯出長房錄彌沙塞五分律 一部三十四卷六百九十四紙右宋景平元年沙門佛陁什共竺道生智勝釋慧嚴於楊都龍光寺譯出長房錄彌沙塞比丘戒本 一卷或云五分戒本十九紙右宋景平年沙門佛陁什等於楊都譯出長房錄彌沙塞羯磨 一卷右宋景平年沙門佛陁什等於楊都譯出長房錄彌沙塞尼戒本 一卷右梁普通三年釋明徵於建初寺出見寶唱錄彌沙塞律抄 一卷右師子國沙門僧伽跋彌譯寶唱錄二百六十戒合異 二卷右後漢明帝代竺法蘭譯出長房錄犯戒罪報輕重經一卷一名犯罪經二紙右後漢代安世高 譯出長房錄大比丘三千威儀經 一部四卷或二卷四十七紙右後漢代安世高譯出長房錄恒水不說戒經 一卷右後漢代安世高譯出達摩錄及王宗錄道本五戒經 一卷出長房錄威儀經 一卷出長房錄衣服制經 一卷出長房錄沙彌離威儀經 一卷出長房錄大戒經 一卷出長房錄戒消災經 一卷或云戒伏消災經四紙右吳代支謙譯出長房錄大比丘威儀經 一部二卷右道安云晉代竺法護出見僧祐錄誡具經 一卷右西晉沙門竺法護譯出長房錄迦葉結集傳經 一卷或云結集戒經右西晉武帝代竺法護譯出長房錄誡王經 一卷右西晉武帝代竺法護譯出長房錄誡羅云經 一卷右西晉代竺法護譯出長房錄遺教法律三昧經 一部三卷或二卷右西晉法炬法立譯出長房錄二百六十戒 三部合異二卷右東晉孝武帝代竺曇無蘭於楊都謝鎭西寺譯出長房錄毘尼母論 一部八卷一百一十二紙右東晉太安年符蘭譯出達摩鬱多羅錄阿毘曇心偈 一部四卷八十紙右東晉太安元年僧伽提婆譯出達摩鬱多羅錄教誡比丘尼法 一卷右東晉武帝代沙門瞿曇僧伽提於廬山譯出長房錄雜問律事 一部二卷右東晉安帝代卑摩羅叉譯出長房錄雜問律事 一部二卷譯處不同文與前異見別錄右東晉安帝隆安四年三藏律師曇摩譯出長房錄迦葉結集戒經 一卷右東晉釋嵩公譯出長房錄迦葉禁戒經 一卷一名摩訶比丘經一名眞僞沙門經三紙右東晉釋退公譯出長房錄比丘尼戒 一卷右前秦簡文帝代律師慧常共曇摩持竺佛念等於長安譯出長房錄鼻柰耶律 一部十卷一名戒因緣經右後秦竺佛念等於長安譯長房錄優婆塞戒本 一卷右北涼曇無讖共沮渠蒙遜譯出寶唱錄大愛道比丘尼經 一部二卷右僧祐錄云涼土異經解脫戒本 一卷出迦葉毘律二十一紙右後魏瞿曇般若留支譯出長房錄律二十二明了論 一卷亦直云明了論二十四紙右陳代三藏眞諦譯出長房錄遺教論 一卷右陳代三藏眞諦譯出長房錄僧澀多律 一卷陳言摠攝右陳代三藏眞諦譯出長房錄沙彌威儀經 一卷十九紙右宋求那跋摩於楊都譯出內典錄優婆塞五戒略論 一卷一名優婆塞五戒相右宋元嘉八年求那跋摩於祇洹寺譯出長房錄優婆塞五戒相 一卷十五紙右宋元嘉年求那跋摩譯寶唱錄優婆塞五戒威儀經 一卷二十三紙右宋元嘉八年求那跋摩於祇洹寺譯出寶唱錄薩婆多摩得勒伽 一部十卷二百四十四紙右宋元嘉年僧伽跋摩於楊都出內典錄六齋八戒經 一卷右宋文帝代元嘉年求那跋陁羅於楊都譯出長房錄賢者律儀經 一卷亦云威儀經右宋武帝代北涼安陽侯沮渠京聲譯出長房錄迦葉禁戒經 一卷右宋孝武帝代北涼安陽侯沮渠京聲譯出長房錄優婆塞五戒經 一卷一名五相經右宋孝武帝代北涼安陽侯沮渠京聲譯出長房錄眞僞沙門經 一卷一名摩訶比丘經三紙右宋孝武帝代沙門慧簡於鹿野寺譯出長房錄決定諸部毘尼 一部二卷右宋代昇明元年釋道儼依諸律出見長房錄他毘利律 一卷右前齊武帝代沙門摩訶乘於廣州竹林寺譯出長房錄善見毘婆沙律 一部一十八卷四百二十六紙右南齊武帝代沙門釋僧猗於廣州竹林寺請外國法師僧伽跋陁羅譯出長房錄毘跋律 一卷右齊永明年外國沙門釋法度譯出寶唱錄弟子耆域述慢戒經 一卷右宋孝武代北涼沮渠京聲譯出長房錄賢者威儀經 一卷右宋孝武代北涼沮渠京聲譯出長房錄經律分異記 一卷三乘無當律 一卷長房錄四部律所明輕重物名 一卷長房錄比丘戒所出本末 一卷長房錄諸律解 一卷長房錄比丘波羅提木叉 一卷僧祐錄結界文經 一卷僧祐錄優波離問佛經 一卷或云優波離律二十三紙長房錄應行律經 一卷三紙寶唱錄比丘諸禁律 一卷僧祐錄大沙門百一羯磨 一卷二十二紙長房錄五戒報應經 一卷寶唱錄瞻波國佛說戒經 一卷長房錄目連問經 一卷二十七紙沙彌尼十戒 一卷五部威儀服飾經 一卷一名五部僧服色名經寶唱錄賢者雜事經 一卷僧祐錄在家律儀經 一卷長房錄犍搥法 一卷長房錄出律儀要 一部二十二卷長房錄沙彌十戒幷威儀 一卷二十一紙寶唱錄沙彌離戒經 一卷長房錄舍利弗問經 一卷十一紙長房錄二百五十戒 一卷長房錄優婆塞五學略論一部二卷長房錄薩婆多毘尼毘婆沙 一部九卷或八卷一百九十七紙長房錄以上除正律本外竝是諸律枝派小乘論五十四部八百五十六卷阿毘曇九十八結法 一卷長房錄云阿毘曇九十八結經右後漢安世高譯出長房錄分別功德論 一部五卷或四卷或三卷七十二紙右西晉代竺法護譯釋增一阿含義出達摩鬱多羅錄三法度論 一部二卷或三卷右東晉太元十六年僧伽提婆於廬山譯出長房錄雜阿毘曇心 一部十三卷右東晉安帝隆安三年沙門法顯共覺賢譯是第二出與前秦僧伽跋澄出者大同小異高僧傳阿毘曇心 一部十六卷或十三卷右晉孝武帝代罽賓沙門僧伽提婆譯出長房錄阿毘曇心 一部四卷右晉孝武帝代僧伽提婆於廬山爲遠法師譯出長房錄尊婆須蜜所集論 一部十二卷或十卷三百七紙右前秦建元十九年僧伽跋澄共佛念譯出長房錄阿毘曇毘婆沙 一部十四卷或十一卷僧祐錄云雜阿毘曇毘婆沙或有心字右前秦代僧伽跋澄秦言衆現出長房錄阿毘曇心 一部五卷右前秦建元年僧伽提婆共道安於長安譯出義善寺錄鞞婆沙阿毘曇論 一部十九卷或十五卷或十四卷或云毘婆沙亦云廣說四百五十紙右前秦建元年僧伽提婆於洛陽譯出長房錄三法度論 一部二卷右前秦曇摩難提於長安譯與僧伽提婆譯者小異出長房錄阿毘曇八犍度 一部三十卷或二十卷一名迦旃延阿毘曇八犍度四百五十紙右前秦建元年沙門僧伽提婆共竺佛念譯出長房錄舍利弗阿毘曇 一部三十卷或二十卷或二十二卷七百六十紙右後秦弘始十年沙門曇摩崛多共曇摩耶舍於長安譯出長房錄成實論 一部二十四卷或二十卷或十六卷或十四卷四百七十七紙右後秦羅什於長安譯出長房錄阿毘曇八犍度毘婆沙 一部八十四卷或一百九卷或六十卷一千三百七十八紙右北涼沮渠代浮陁跋摩共道挻等於姑臧譯出長房錄犢子道人問論 一卷右後魏代興和年瞿曇般若留支於鄴都金花寺譯出長房錄阿毘曇甘露味 一部二卷或云甘露味阿毘曇右魏齊王代失譯出長房錄衆事分阿毘曇論 一部十二卷二百三十七紙右宋元嘉十二年文帝代求那跋陁羅於楊都譯出長房錄雜阿毘曇毘婆沙 一部十四卷第二出右宋文帝元嘉十年僧伽跋摩於長干寺譯出長房錄雜阿毘曇心 一部十卷右宋元嘉三年伊葉波羅譯擇品輟出長房錄雜阿毘曇心 一部十三卷或十四卷三百二十七紙右宋元嘉八年求那跋摩譯長房錄解脫道論 一部十三卷或十二卷一百九十八紙右梁代天監十四年僧伽婆羅於楊都占雲館譯出長房錄三世分別論 一卷右梁承聖年三藏眞諦於廣州出長房錄法勝阿毘曇論 一部六卷一百三紙右後齊天統年耶舍共法智譯又達摩鬱多羅錄云姚秦代跋澄誦佛念譯出內典錄別譯法勝阿毘曇心 一部六卷一百二十二紙右齊天統五年耶舍共法智出達摩鬱多羅錄四諦論 一部四卷七十紙右陳代三藏眞諦於廣州南康郡譯出長房錄隨相論 一部二卷三十四紙或云求那摩諦隨相論右陳代三藏眞諦譯出內典錄十八部論 一卷七紙右陳代三藏眞諦譯出內典錄部異執論 一卷九紙一名執部異論右陳代三藏眞諦於廣州制旨王園寺譯出長房錄立世阿毘曇論 一部十卷一百七十三紙右陳代永定三年三藏眞諦於廣州制旨王園二寺於始興郡出長房錄俱舍論偈 一卷右陳代三藏眞諦於廣州制旨王園二處譯出長房錄俱舍釋論 一部二十二卷四百五十八紙右陳代三藏眞諦於廣州制旨王園寺譯出長房錄須跋陁羅因緣論 一部二卷右周武帝代三藏法師耶舍崛多於四天王寺譯出長房錄大毘婆沙論 一部二百卷三千一百九紙右大唐永徽年三藏玄奘於西京譯出內典錄順正理論 一部八十卷一千四百二十紙右大唐永徽年三藏玄奘於大慈恩寺譯出內典錄顯宗論 一部四十卷六百四十四紙右大唐永徽年三藏玄奘於大慈恩寺譯出內典錄發智論 一部二十卷三百六十四紙右大唐永徽年三藏玄奘於內宮中譯出內典錄阿毘達磨俱舍論 一部三十卷四百七十紙右大唐顯慶年三藏玄奘於內宮中譯出內典錄俱舍論頌 一卷三十四紙右大唐三藏玄奘譯出內典錄識身足論 一部十六卷二百七十一紙右大唐顯慶年三藏玄奘於宮中譯出內典錄法蘊足論 一部十二卷一百九十二紙右大唐顯慶年三藏玄奘於宮中譯出內典錄異部宗輪論 一卷右大唐三藏玄奘譯出內典錄阿毘達磨五事論 一部二卷右大唐三藏玄奘譯出內典錄品類足論 一部十八卷右大唐三藏玄奘譯出內典錄界身足論 一部三卷右大唐三藏玄奘譯出內典錄集異門足論 一部二十卷右大唐三藏玄奘譯出內典錄五事毘婆沙論 一部二卷右大唐三藏玄奘譯出內典錄入阿毘達磨論 一部二卷二十紙右大唐顯慶年三藏玄奘於宮中譯出內典錄阿毘曇心偈 一部四卷右明五陰十二入九十八使出寶唱錄三彌底論 一部四卷或三卷或云三彌祇論四十紙右出長房錄辟支佛因緣論 一部二卷二十四紙雜心論 一部十六卷六足阿毘曇論 一卷出長房錄賢聖集傳 三十六部 九十一卷佛所行讚傳 一部五卷一百五紙馬鳴菩薩讚右東晉寶雲於楊都譯出長房錄阿育王傳 一部七卷或五卷一百一十五紙右梁天監年僧伽婆羅於楊州出內典錄付法藏傳 一部四卷九十四紙右後魏世沙門曇曜譯出長房錄付法藏經傳 一部四卷或二卷右後魏代沙門吉迦夜譯出長房錄禪秘要經 一部四卷亦云禪秘要無經字右吳支謙譯出長房錄禪秘要 一部五卷一名禪法要或爲三卷七十紙右宋元嘉年沙門曇摩蜜多出內典錄禪秘要法 一部三卷或四卷七十六紙右後秦弘始年羅什於長安譯出內典錄禪法要解 一部二卷右北涼沮渠京聲譯出長房錄禪法要解 一部二卷五十八紙右後秦弘始年羅什於長安譯出內典錄治禪病秘要 一卷三十二紙右北涼代安陽侯沮渠京聲出內典錄不淨觀禪經修行方便 一部二卷右晉代佛陁跋陁羅譯出靜太錄五門禪經要用法 一卷右宋元嘉年曇摩蜜多譯靜太錄百句喩集 一部十卷第三譯或五卷右南齊永明年沙門求那毘地楊州毘耶寺譯出長房錄百喩集 一部四卷僧伽私那撰四十四紙右南齊永明十年沙門求那毘地譯出內典錄百喩集 一部二卷右南齊永明年沙門求那毘地出玄法寺錄菩薩本緣集 一部三卷或四卷僧伽斯那譯撰五十三紙右吳代支謙於江南譯出內典錄僧伽羅剎集 一部三卷或二卷或五卷九十九紙右前秦代沙門曇摩難提譯長房錄龍樹菩薩爲禪陁迦王說要偈 一卷一名勸發諸王要偈七紙右宋元嘉年求那跋摩譯出內典錄請賓頭盧法 一卷二紙右後漢安世高譯出內典錄賓頭盧爲王說法 一卷七紙西域抄集右出眞寂寺錄請賓頭盧法經 一卷右宋孝武帝代沙門慧簡譯長房錄賓頭盧突羅闍爲優陁延王說法一八紙右宋代求那跋陁羅於楊都譯出長房錄馬鳴菩薩傳 一卷二紙右後秦代羅什譯出內典錄龍樹菩薩傳 一卷四紙右後秦代羅什譯出長房錄提婆菩薩傳 一卷四紙右後秦代羅什譯出長房錄婆藪盤豆傳 一卷十四紙右陳代眞諦譯出長房錄大阿羅漢難陁蜜多羅法住記 一卷七紙右大唐龍朔年玄奘於玉華宮出內典錄讚觀世音菩薩頌 一卷四紙右大周長壽二年慧智於佛授記寺譯勸發法王要偈 一卷七紙龍樹菩薩造右宋代僧伽跋摩譯出長房錄大勇菩薩分別業報集 一卷右宋文帝代僧伽跋摩譯出長房錄譬喩集 一部十卷二百二十二紙右東晉成帝代康法邃類集衆經撰出部義甚要好出內典錄佛從上所行三十偈 一卷右吳黃武年支謙譯出靜泰錄法句集 一部二卷右吳黃武年支謙譯出靜泰錄合微密持法記 一卷右是西域聖賢所撰出眞寂寺錄記法住傳 一卷右大唐三藏玄奘譯十報法三統略 一卷右宋文帝代求那跋陁羅譯出長房錄大周刊定衆經目錄卷第十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고려대장경에는 『이법도론(二法度論)』으로 잘못 기록되어있다.
  2. 2)고려대장경에는 “是第一出”로 되어 있는데, 이때 ‘一’은 ‘二’가 잘못 깍인 것이므로, 위와 같이 번역한다.